KR20090054710A - 발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4710A
KR20090054710A KR1020070121527A KR20070121527A KR20090054710A KR 20090054710 A KR20090054710 A KR 20090054710A KR 1020070121527 A KR1020070121527 A KR 1020070121527A KR 20070121527 A KR20070121527 A KR 20070121527A KR 20090054710 A KR20090054710 A KR 20090054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fluorescent lay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경
이상진
정규원
김윤희
선형래
문종운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1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4710A/ko
Publication of KR20090054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47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10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29/18Luminescent screens
    • H01J29/28Luminescent screens with protective, conductive or refl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12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 H01J31/123Flat display tubes
    • H01J31/125Flat display tubes provided with control means permitting the electron beam to reach selected parts of the screen, e.g. digital selection
    • H01J31/127Flat display tubes provided with control means permitting the electron beam to reach selected parts of the screen, e.g. digital selection using large area or array sources, i.e. essentially a source for each pixel gro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18Luminescent screens
    • H01J2329/28Luminescent screens with protective, conductive or reflective layers

Landscapes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제1 기판, 제1 기판에 대향 배치된 제2 기판, 제1 기판에 제공된 전자 방출 유닛 및 제2 기판에 제공되어 빛을 출사하는 발광 유닛을 포함하고, 발광 유닛은 제2 기판에 형성된 형광층 및 제2 기판에 고정되고 형광층에서 발광된 빛을 제2 기판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부재를 포함한다. 이 반사 부재는 복수개의 개구를 가지는 메쉬 및 제2 기판 측을 향한 메쉬의 일면에 형성된 금속막을 포함한다.
발광 장치, 형광층, 중간막, 소성, 반사막

Description

발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사막을 포함한 발광 장치의 발광 유닛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빛이 출사된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든 장치를 발광 장치라 할 때, 전면 기판에 형광층과 애노드 전극을 구비하고, 후면 기판에 전자 방출부와 구동 전극을 구비한 발광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은 밀봉 부재에 의해 접합되어 일체로 형성된 후, 내부 공간이 배기된 진공 용기를 구성한다.
전자 방출부는 전면 기판을 향해 전자들을 방출시키고, 이 전자들이 형광층을 여기시켜 형광층으로부터 가시광이 방출되도록 한다. 이 때, 애노드 전극은 수천 볼트의 전압을 인가받아 전자들을 형광층으로 가속시키는 가속 전극으로서 기능한다.
한편, 형광층 위에는 알루미늄(Al)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반사막이 형성 되는데, 이 반사막은 형광층에서 출사된 가시광 중 후면 기판을 향해 출사된 가시광을 전면 기판 측으로 반사시켜 발광 장치의 휘도를 향상시킨다.
이러한 반사막은 통상적으로 전면 기판 위에 형성된 형광층 위에 중간막을 먼저 형성하고, 이 중간막 위에 금속을 증착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때, 중간막은 반사막이 형광층의 표면 거칠기에 영향을 받지 않고 평탄하게 증착될 수 있도록 형광층을 덮으면서 평탄화막으로서 역할을 한다. 중간막은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져 형광층을 소성하는 과정에서 기화되어 전면 기판 상으로부터 반사막의 미세홀들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전면 기판 상에는 남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한 반사막 형성 방식에는 중간막을 기화시키는 소성 과정에서 형광층과 중간막을 이루는 유기물들이 반사막을 오염시키거나 중간막과 반사막 사이에 남아 반사막을 부풀게 하여 반사막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상기한 소성 과정에서 완전히 연소되지 못하고 전면 기판 상에 잔류된 유기물은 발광 장치의 구동 과정에서 진공 용기의 내부로 아웃개싱되어 진공 용기의 진공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발광 장치의 화소 불량으로 이어져 제품 품질의 저하나 수명 단축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중간막을 적용시키지 않고 평탄한 반사막을 형광층 위에 형성할 수 있으며, 반사막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형광층을 충분히 소성시킬 수 있는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제1 기판, 제1 기판에 대향 배치된 제2 기판, 제1 기판에 제공된 전자 방출 유닛 및 제2 기판에 제공되어 빛을 출사하는 발광 유닛을 포함하고, 발광 유닛은 제2 기판에 형성된 형광층 및 제2 기판에 고정되고 형광층에서 발광된 빛을 제2 기판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부재를 포함한다. 이 반사 부재는 복수개의 개구를 가지는 메쉬 및 제2 기판 측을 향한 메쉬의 일면에 형성된 금속막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 부재는 제2 기판에 제공된 가이드 부재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쉬의 개구율이 65% 내지 75% 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제1 기판을 향한 가이드 부재의 면이 제1 기판을 향한 형광층의 면보다 같거나 높게 위치하도록 제1 기판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는 프릿 글래스일 수 있다.
상기 형광층은 제1 기판을 향한 제2 기판의 면에 형성된 홈에 내재될 수 있고, 가이드 부재는 이 홈과 단차를 가지는 제2 기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가 형광층으로부터 이격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전술한 구성을 가지고 표시 패널에 빛을 제공하는 발광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이 제1 화소들을 포함하고 발광 장치가 표시 패널보다 적은 수의 제2 화소들을 포함하며, 제2 화소들은 각 화소별로 발광 세기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표시 패널에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형광층과 반사 부재를 별도로 형성하여 이들을 조립함으로써 중간막을 형성하지 않고도 평탄한 반사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형광층의 소성 과정에 반사 부재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형광층의 유기물을 충분히 소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형광층의 유기물에 의한 반사 부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발광 장치의 광반사 효율을 높이면서 표시 품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광 장치는 외부에서 볼 때 빛이 출사된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기호, 문자, 숫자 및 영상을 표시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모든 표시 장치도 발광 장치에 포함된다. 또한, 발광 장치는 수광형 표시 패널에 빛을 제공하는 광원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1000)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발광 장치(1000) 중 유효 영역의 내부를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발광 장치(1000)는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10) 및 제2 기판(12)을 포함한다.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은 그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밀봉 부재(14)에 의해 접합되어 내부 공간을 갖는 용기를 구 성한다. 이 용기는 내부 공간이 대략 10-6 Torr의 진공도로 배기되어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 및 밀봉 부재(14)로 이루어진 진공 용기를 구성한다.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 중 밀봉 부재(14)의 내측에 위치하는 영역은 실제 가시광 방출에 기여하는 유효 영역(DA)과, 유효 영역(DA)을 둘러싸는 비유효 영역(NDA)으로 구분지을 수 있다. 제1 기판(10) 내면의 유효 영역(DA)에는 복수의 전자 방출 소자들로 이루어진 전자 방출 유닛(100)이 제공되고, 제2 기판(12) 내면의 유효 영역(DA)에는 가시광 방출을 위한 발광 유닛(110)이 제공된다.
발광 유닛(110)이 위치하는 제2 기판(12)이 발광 장치(1000)의 전면 기판이 될 수 있으며, 전자 방출 유닛(100)이 위치하는 제1 기판(10)이 발광 장치(1000)의 후면 기판이 될 수 있다.
전자 방출 유닛(100)은 전자 방출부(16)와, 전자 방출부(16)의 방출 전류량을 제어하는 구동 전극들(14)(20)을 포함한다. 구동 전극들(14)(20)은 제1 기판(10) 위에 y축 방향을 따라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형성되는 캐소드 전극들(14)과, 절연층(18)을 사이에 두고 캐소드 전극들(14) 상부에서 캐소드 전극들(14)과 교차하도록 x축 방향을 따라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들(20)을 포함한다.
캐소드 전극들(14)과 게이트 전극들(20)의 교차 영역마다 게이트 전극들(20)과 절연층(18)에 각각 제1 개구부(201)와 제2 개구부(181)가 형성되어 캐소드 전극들(14)의 표면 일부를 노출시킨다. 제2 개구부(181) 내로 캐소드 전극들(14) 위에 는 전자 방출부(16)가 형성된다.
전자 방출부(16)는 진공 중에서 전계가 가해지면 전자를 방출하는 물질들, 가령 탄소계 물질 또는 나노미터 사이즈 물질을 포함한다. 전자 방출부(16)는 일례로 탄소 나노튜브, 흑연, 흑연 나노파이버, 다이아몬드, 다이아몬드상 카본, 플러렌(C60), 실리콘 나노와이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전자 방출부(16)는 몰리브덴(Mo) 또는 실리콘(Si) 등을 주 재질로 하는 선단이 뾰족한 팁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서 하나의 캐소드 전극(14)과 하나의 게이트 전극(20) 및 캐소드 전극(14)과 게이트 전극(20)의 교차 영역에 위치하는 전자 방출부들(16)이 하나의 전자 방출 소자를 구성한다. 하나의 전자 방출 소자가 발광 장치(1000)의 한 화소 영역에 대응하거나, 2개 이상의 전자 방출 소자들이 발광 장치(1000)의 한 화소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발광 유닛(110)은 애노드 전극(22), 애노드 전극(22)의 일면에 위치하는 형광층(24) 및 형광층(24)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반사 부재(26)를 포함한다.
애노드 전극(22)은 형광층(24)으로부터 방출되는 가시광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와 같은 투명한 도전 물질로 형성된다. 애노드 전극(22)은 전자빔을 끌어당기는 가속 전극으로서, 수천 볼트 이상의 양의 직류 전압(애노드 전압)을 인가받아 형광층(24)을 고전위 상태로 유지시킨다.
형광층(24)은 적색 형광체, 녹색 형광체 및 청색 형광체가 혼합되어 백색광을 방출하는 혼합 형광체로 형성될 수 있다. 형광층(24)은 제2 기판(12)의 유효 영역(DA)에 있어 유효 영역(DA)의 전체 면에 형성되거나, 임의의 패턴을 가지고 화소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형광층(24)이 제2 기판(12)의 유효 영역(DA) 전체 면에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의 반사 부재(26)는 메쉬(261)와 금속막(262)을 포함한다. 반사 부재(26)는 형광층(24)에서 방출된 가시광 중 제1 기판(10)을 향해 방출된 가시광을 제2 기판(12) 측으로 반사시켜 발광 장치(1000)의 휘도를 높인다.
반사 부재(26)는 형광층(24)에 접촉되어 이를 덮지 않도록 형광층(24)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위치한다. 여기서, 반사 부재(26)는 애노드 전극(22) 및 형광층(24)이 형성된 제2 기판(12)과는 별도로 제조되고, 가이드 부재(28)에 의해 제2 기판(12)에 고정된다.
가이드 부재(28)는 형광층(24)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도 1의 z축을 기준으로 제1 기판(10)을 향한 가이드 부재(28)의 면(281)이 제1 기판(10)을 향한 형광층(24)의 면(241)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거나 높게 위치한다. 가이드 부재(28)는 글래스 프릿(glass frit)으로 이루어져 열처리를 통해 그 면(281)에 탑재되는 반사 부재(26)가 접착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메쉬(261)는 복수의 개구(2611)를 포함하며 전자 방출 유닛(100)에서 방출된 전자(e-)들이 이 개구(2611)를 통과하여 형광층(24)에 충돌한다. 금속막(262)은 메쉬(261)의 일면, 즉 형광층(24)을 향한 면으로 개구(2611)를 제외한 부위에 형성 된다. 금속막(262)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이 메쉬(261)에 증착된 박막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전사 필름을 통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을 메쉬(261)의 면에 전사시켜 금속막(26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반사 부재(26)는 전자빔을 통과시키면서 형광층(24)에서 출사된 가시광을 제2 기판(12) 측으로 반사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반사 부재(26)의 메쉬(261)는 실질적으로 개구(2611)에 의한 개구율이 65%~75%인 것이 좋다. 메쉬(261)의 개구율이 너무 작으면 메쉬(261)를 통과하는 전자빔의 양이 적어 형광층(24)의 발광 효율이 감소할 수 있으며, 메쉬(261)의 개구율이 너무 크면 메쉬(261)에 형성되는 금속막(262)의 전체 면적이 작아져서 가시광의 반사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반사 부재(26)를 포함하는 발광 유닛(110)의 제조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1000)의 발광 유닛(110)을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2 기판(12)의 일면에 애노드 전극(22)을 형성하고, 애노드 전극(22)의 가장자리에 가이드 부재(28)를 형성한다. 가이드 부재(28)는 글래스 프릿을 애노드 전극(22)의 둘레를 따라 제2 기판(12)에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8)는 z축을 기준하여 실질적으로 애노드 전극(22) 위에 형성될 형광층(24)의 상면과 자신의 상면이 일치하거나 약간 높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노드 전극(22) 위에 형광층(24)을 형성 한다. 형광층(24)은 형광체 물질을 애노드 전극(22) 위에 스크린 인쇄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형광층(24)은 백색 형광체가 단일막으로 이루어져 구성된 것이나, 다른 한편으로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색 형광체가 임의의 패턴을 가지고 백색을 발광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 형광층(24)에 대한 소성 공정이 실시되고,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기판(12)과 별도로 제조된 반사 부재(26)를 가이드 부재(28) 위에 위치시킨다. 여기서, 반사 부재(26)는 기설정된 개구율을 갖는 메쉬(261)의 일면에 금속막(262)을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반사 부재(26)는 형광층(24)이 형성된 제2 기판(12)과 별도로 제조되므로, 형광층(24)의 소성 과정시, 제2 기판(12) 상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열처리가 실시되고, 이를 통해 가이드 부재(28)가 점성을 가지게 되면, 가이드 부재(28)가 발휘하는 접착력에 의해 이 가이드 부재(28) 상에 반사 부재(26)가 고정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전술한 과정을 통해 형광층(24)과 접촉되지 않는 반사 부재(26)가 구비된 발광 유닛(11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발광 장치(1000)를 형성할 때에는 형광층(24)과 반사 부재(26)를 별도로 형성한 후, 형광층(24) 위에 반사 부재(26)를 위치시킴으로써, 통상적으로 반사막을 형성할 때, 형광층 위에 형성하던 중간막을 형성하지 않고도 평탄한 반사 부재(26)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반사 부재(26)가 제2 기판(12) 상에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형광층(24)을 소성시키므로, 형광층(24)의 유 기물을 충분히 소성시킬 수 있으며, 소성 과정에서 배출되는 형광층(24)의 유기물에 의해 반사 부재(26)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발광 유닛(110')의 단면도이다. 이 다른 실시예의 발광 유닛(110')은 전술한 실시예의 발광 유닛(110)과 그 구조가 유사하므로, 편의상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평탄한 반사 부재(26)를 형성하기 위해 반사 부재(26)를 제2 기판(12')에 고정시키기 위한 가이드 부재로서, 제2 기판(12')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제2 기판(12')의 일부를 식각하여 홈(121')을 형성하고, 이 홈(121')에 애노드 전극(22) 및 형광층(24)을 형성한다. 형광층(24)은 홈(121')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즉, 그 상면이 홈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기판(12')에는 홈(121')에 의해 단차가 형성되는데, 여기서 제2 기판(12')의 상부면(제1 기판을 향한 면)(122')에 반사 부재(26)를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반사 부재(26)의 금속막(262)과 제2 기판(12')의 접촉 부위에는 접착제(25)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 기판(12')의 상부면(122')은 z축을 기준으로 형광층(24)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하므로 상부면(122')에 고정된 반사 부재(26)는 거칠기를 가지는 형광층(24)의 윗면과 이격되면서 평탄한 상태로 제2 기판(12')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한 실시예를 기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 면,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 사이의 유효 영역(DA)에는 진공 용기에 가해지는 압축력을 지지하고 제1, 2 기판들(10)(12)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스페이서들(미도시)이 위치한다.
전술한 구조의 발광 장치(1000)는 캐소드 전극들(14)과 게이트 전극들(20) 중 어느 한 전극들에 주사 구동 전압을 인가하고, 다른 한 전극들에 데이터 구동 전압을 인가하며, 애노드 전극(22)에 수천 볼트 이상의 애노드 전압을 인가하여 구동한다.
그러면 캐소드 전극(14)과 게이트 전극(20)의 전압 차가 임계치 이상인 화소들에서 전자 방출부(16) 주위에 전계가 형성되어 이로부터 전자(e-)들이 방출된다. 방출된 전자들은 애노드 전극(22)에 인가된 애노드 전압에 이끌려 대응하는 형광층(24) 부위에 충돌함으로써 이를 발광시킨다. 화소별 형광층(24)의 휘도는 해당 화소의 전자빔 방출량에 대응한다.
한편, 전술한 구성의 발광 장치(1000)는 표시 장치에서 수광형 표시 패널에 빛을 제공하는 광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광원용 발광 장치(1000)에서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은 대략 5 내지 20㎜의 비교적 큰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의 간격 확대를 통해 진공 용기 내부의 아크 방전을 줄일 수 있고, 애노드 전극(22)에 10kV 이상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고휘도를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0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2000)는 발광 장치(1000), 발광 장 치(1000)의 전방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50)을 포함한다. 발광 장치(1000)와 표시 패널(50) 사이에는 발광 장치(1000)에서 출사된 빛을 고르게 확산시키는 확산판(52)이 위치할 수 있으며, 이 확산판(52)과 발광 장치(1000)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위치한다.
표시 패널(50)은 액정 표시 패널 또는 다른 수광형 표시 패널로 이루어진다. 이하, 표시 패널(50)이 액정 표시 패널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50)은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54), 화소 전극(56)이 형성된 하부 기판(58), 컬러 필터층(60)과 공통 전극(62)이 형성된 상부 기판(64), 상부 기판(64)과 하부 기판(58) 사이에 주입된 액정층(66)을 포함한다.
상부 기판(64)의 윗면과 하부 기판(58)의 아랫면에는 편광판(681)(682)이 부착되어 표시 패널(50)을 통과한 빛을 편광시킨다.
화소 전극(56)은 부화소마다 하나씩 위치하며, TFT(54)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화소 전극들(56)과 공통 전극(62)은 투명한 도전 물질로 형성된다. 컬러 필터층(60)은 부화소별로 하나씩 위치하는 적색 필터층과 녹색 필터층 및 청색 필터층을 포함한다.
특정 부화소의 TFT(54)가 턴 온되면, 화소 전극(56)과 공통 전극(62)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고, 이 전계에 의해 액정 분자들의 배열각이 변화하며, 변화된 배열각에 따라 광 투과도가 변화한다. 표시 패널(50)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화소별 휘도와 발광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서 인용부호 70은 각 TFT의 게이트 전극에 게이트 구동 신호를 전송하는 게이트 회로보드 어셈블리를 나타내고, 인용부호 72는 각 TFT의 소서 전극에 데이터 구동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회로보드 어셈블리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발광 장치(1000)는 표시 패널(50)보다 적은 수의 화소들을 형성하여 발광 장치(1000)의 한 화소가 2개 이상의 표시 패널(50) 화소들에 대응하도록 한다. 발광 장치(1000)의 각 화소는 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표시 패널(50) 화소들 중 가장 높은 계조에 대응하여 발광 할 수 있으며, 2 내지 8 비트의 계조를 표현할 수 있다.
편의상 표시 패널(50)의 화소를 제1 화소라 하고, 발광 장치(1000)의 화소를 제2 화소라 하며, 하나의 제2 화소에 대응하는 제1 화소들을 제1 화소군이라 명칭한다.
발광 장치(1000)의 구동 과정은 표시 패널(50)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미도시)가 제1 화소군의 제1 화소들 중 가장 높은 계조를 검출하고, 검출된 계조에 따라 제2 화소 발광에 필요한 게조를 산출하여 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광 장치(1000)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구동 신호를 발광 장치(1000)의 구동 전극들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장치(1000)의 구동 신호는 주사 구동 신호와 데이터 구동 신호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캐소드 전극과 게이트 전극 중 어느 한 전극(일례로 게이트 전극)이 주사 구동 신호를 인가받고, 다른 한 전극(일례로 캐소드 전극)이 데이터 구동 신호를 인가받는다.
발광 장치(1000)의 구동을 위한 주사 회로보드 어셈블리와 데이터 회로보드 어셈블리는 발광 장치(1000)의 뒷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에서 인용부호 74가 캐소드 전극들과 데이터 회로보드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제1 접속 부재를 나타내고, 인용부호 76이 게이트 전극과 주사 회로보드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제2 접속 부재를 나타낸다.
애노드 전극은 도시하지 않은 제3 접속 부재와 연결되어 이를 통해 애노드 전압을 제공받는다.
이와 같이 발광 장치(1000)의 제2 화소는 대응하는 제1 화소군에 영상이 표시될 때, 제1 화소군에 동기되어 소정의 계조로 발광한다. 즉, 발광 장치(1000)는 표시 패널(50)이 구현하는 화면 가운에 밝은 영역에는 높은 휘도의 빛을 제공하고, 어두운 영역에는 낮은 휘도의 빛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화면의 콘트라스트 비를 높이고, 보다 선명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발광 장치 중 유효 영역의 내부를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 중 발광 유닛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유닛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표시 패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 부호의 설명>
1000; 발광 장치 24; 형광층 26; 반사 부재
261; 메쉬 262; 금속막 28; 가이드 부재

Claims (10)

  1.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에 대향 배치된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에 제공된 전자 방출 유닛; 및
    상기 제2 기판에 제공되어 빛을 출사하는 발광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유닛은,
    상기 제2 기판에 형성된 형광층; 및
    상기 제2 기판에 고정되고 상기 형광층에서 발광된 빛을 상기 제2 기판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부재는,
    복수개의 개구를 가지는 메쉬; 및
    상기 제2 기판 측으로 향한 상기 메쉬 일면에 형성된 금속막
    을 포함하는 발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제2 기판에 제공된 가이드 부재에 고정 설치된 발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의 개구율이 65% 내지 75% 인 발광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1 기판을 향한 상기 가이드 부재의 면이 상기 제1 기판을 향한 상기 형광층의 면보다 같거나 높게 위치하도록 상기 제1 기판에 형성된 발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가 글래스 프릿(glass frit)인 발광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층은 상기 제1 기판을 향한 상기 제2 기판의 면에 형성된 홈에 내재된 발광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홈과 단차를 가지는 상기 제2 기판의 일부분인 발광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가 상기 형광층으로부터 이격 설치된 발광 장치.
  9.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표시 패널에 빛을 제공하는 발광 장치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이 제1 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장치가 상기 표시 패널보다 적은 수의 제2 화소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화소들은 각 화소별로 발광 세기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빛을 제공하는 표시 장치.
KR1020070121527A 2007-11-27 2007-11-27 발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0900547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527A KR20090054710A (ko) 2007-11-27 2007-11-27 발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527A KR20090054710A (ko) 2007-11-27 2007-11-27 발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710A true KR20090054710A (ko) 2009-06-01

Family

ID=40986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527A KR20090054710A (ko) 2007-11-27 2007-11-27 발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47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58258A1 (en)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light emission device as its light source
US8164246B2 (en)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s light source
US7902737B2 (en) Light emission device with enhanced image luminance and display having the same
US7816854B2 (en) Light emission device and spacers therefor
US20080054792A1 (en)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light emission device as light source
KR100863959B1 (ko) 발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20090015130A1 (en)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light emission device as a light source
CN101441973B (zh) 发光器件以及使用该发光器件作为光源的显示器件
KR20100083555A (ko) 발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7671526B2 (en)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light emission device
US7969084B2 (en) Display device having backlight device and electron emission unit
KR20080109213A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20090054710A (ko) 발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080043536A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100869804B1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JP2008047511A (ja) 発光装置及び表示装置
US20100176712A1 (en)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EP1923903A1 (en)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light emission device as a light source
KR20100082048A (ko) 발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0766927B1 (ko)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백 라이트 유닛으로 사용하는액정 표시장치
KR20100083392A (ko) 발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080079838A (ko) 발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20100171410A1 (en) Light emission device
US20100172125A1 (en)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80108727A (ko)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