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3624A - Ims 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이를 위한 단말기 - Google Patents

Ims 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이를 위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3624A
KR20090053624A KR1020070120527A KR20070120527A KR20090053624A KR 20090053624 A KR20090053624 A KR 20090053624A KR 1020070120527 A KR1020070120527 A KR 1020070120527A KR 20070120527 A KR20070120527 A KR 20070120527A KR 20090053624 A KR20090053624 A KR 20090053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message
terminal
ims
transmitting
s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7633B1 (ko
Inventor
조보욱
정윤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20070120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633B1/ko
Publication of KR20090053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63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IMS 망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가 개시된다. IMS 망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 요청시 수신 단말기 중 IMS 단말기를 선별하여 선별된 IMS 단말기로, IMS 망을 통해,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특별한 조작 없이 IMS 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므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에 부과되는 요금을 절약할 수 있고, 메시지 전송시 오류가 발생할 확률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MS, 프레즌스, MSRP, MMS, 멀티미디어 메시지

Description

IMS 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message via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본 발명은 IMS 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에 대한 것으로, 특히 수신 단말기가 IMS 망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MMS 서버를 통하지 않고 IMS 망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All IP 기반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 Multimedia Subsystem : IMS)이 주목 받고 있다. 인터넷과 무선이동통신 환경을 통합해 주는 IMS의 기본적인 서비스 목표는 IP를 기반으로 하여 음성,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로 인하여 IMS는 통신 사업자들에게 시장을 선도해 나갈 핵심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IMS는 여러 기능을 포함하고 구현 방식도 다양하기 때문에 통일된 정의를 내리기 어렵지만, SIP서비스를 가능하게 해주는 서버들로 구성된 세션 제어 계층과 IMS 네트워크를 다른 IMS 네트워크와 PSTN 및 기타 기존 네트워크와 통신사 운영 지원 시스템과 연결해주는 게이트웨이(gateway) 계층, 그리고 비디오, 그룹 채팅과 같은 SIP 기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제공하며, 사용자 서비스 로직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계층 등 세 가지 논리적 핵심 구성요소로 정의된다.
IMS에서는 사용자들이 IP 기반의 사용자 메시지를 서로 교환할 수 있는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만 IMS에서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 사이에 인터넷 통신의 개시를 위하여 사용되는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ession initialization protocol :SIP)세션을 설정해야 한다. 또는 SIP 세션을 통해 형성된 메시지 세션 릴레이 프로토콜(Message Session Relay Protocol: MSRP) 세션을 설정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세션의 설정은 발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가 모두 IMS 망에 접속된 경우(로그 인(log in)되어 있는 상태)에만 설정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발신 단말기가 IMS 망에 접속하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 단말기에서 발신 단말기로 IMS 망을 통해 전송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의 경우 발신 단말기에서 수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과정은 메시지 전송에 있어서 오류가 일어날 확률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통신 사업자의 망을 거치므로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요금이 비싸다는 문제점 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수신 단말기가 IMS 망에 접속되었는지 일일이 체크하여야만 IMS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수신 단말기 중 IMS 망에 접속된 수신 단말기로는 IMS 망을 통하여, 그렇지 않은 수신 단말기로는 MMS 서버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IMS 망을 거쳐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면 IP기반으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어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에 부과되는 요금을 줄일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도 IMS 망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IMS 망을 이용 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IMS(IP Multimedia Subsystem)망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 요청시 상기 수신 단말기 중 IMS 단말기를 선별하는 단계 -IMS 단말기는 상기 IMS 망에 접속된 수신 단말기임-; (c) 상기 선별된 IMS 단말기로, 상기 IMS 망을 통해,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IMS 망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MS 망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수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생성부; 상기 수신 단말기 중 IMS 단말기를 선별하는 선별부-IMS 단말기는 상기 IMS 망에 접속된 수신 단말기임-; 상기 선별된 IMS 단말기로, IMS 망을 통해,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IMS 망을 통해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IMS 망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 를 전송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IMS(IP Multimedia Subsystem)망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a)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 요청시 상기 수신 단말기 중 IMS 단말기를 선별하는 단계 -IMS 단말기는 상기 IMS 망에 접속된 수신 단말기임-; (c) 상기 선별된 IMS 단말기로, 상기 IMS 망을 통해,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수신 단말기 중 IMS 망에 접속된 수신 단말기로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은 IMS 망을 통하여, 그렇지 않은 수신 단말기로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은 MMS 서버를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보다 수월하게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특별한 조작 없이 IMS 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므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에 부과되는 요금을 절약할 수 있고, 오류가 발생할 확률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 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종래의 IMS 망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MS 망은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110), HSS(Home subscriber Server)(120),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130), 이동통신망(3G,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140), 단말기(150),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160), MGW(Media Gateway)(170),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18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는 1:1 게임, 네트워크 게임, 멀티미디어 서비스, TV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HSS(120)는 가입자 정보를 가지고 요청에 따라 해당 가입자 정보를 제공하며, CSCF(130)는 게이트웨이(gateway), 호 제어, 서빙 프로파일 관리 및 주소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MGCF(160)는 외부의 공중 유선 통신망(PSTN)과의 전송 제어 등을 담당하고, MGW(170)는 공중 유선 통신망(PSTN)과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구성 요소들은 IP 백본망(backbone network)에 연결되어 있어, 서로 IP 통신이 가능하다.
SGSN(142)은 단말기가 고속의 패킷 통신을 하고자 할 때, 기지국을 포함한 무선 교환망을 경유하고 다시 일반 인터넷 망에 접속하여 목적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무선 교환망과 인터넷 망을 연동하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담당하고, GGSN(142)은 이동 노드의 추적을 담당하며 이는 GGSN(142)과 패킷을 주고 받는 터널이 된다.
도 1에 나타낸 IMS 망에서 각 단말기(150)들은 서로 상이한 홈 네트워크(home network)에 연결될 수 있는데, 단말기(150)와 홈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망은 GGSN/SGSN을 통하여 연결된다. 다른 통신 장치와 송수신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세션(session)을 설정해야 하고, 세션 설정 이후에는 실제로 별도의 패킷 채널을 할당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150)에서 수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발신 단말기(150)에서 수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중간에 일정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본 발명에 따라 수신 단말기가 IMS 망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log on상태)에는 IMS 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전송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수신 단말기가 IMS 망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log off상태)에는 종래에 방법인 MMS 서버를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전송된다.
특히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다수에게 전송하고자 할 때, 수신 단말기가 IMS 망에 접속되어 있는지 일일이 확인하지 아니하여도 발신 단말기(150)가 수신 단말기 중 IMS 망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달리하므로 사용자는 보다 수월하게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수신 단말기가 IMS 망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이 달라지는 과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150)는 입력부(310), 멀티미디어 생성부(320), 선 별부(330), 세션 설정부(340), 전송부(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한다. 도 3에서는 선별부(330)는 제어부(360)와 독립된 구성 요소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선별부(330)는 제어부(360)의 일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말기(150)에서 수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입력부(310)는 사용자로부터 단말기(1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기능 선택 명령 등을 입력 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수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입력 받는다. 수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전화번호, 이메일(e-mail) 주소 정보, IP 값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쉽게 인식 할 수 있는 전화번호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입력부(310)는 예를 들어, 숫자/문자 등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키버튼으로 구현되거나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메시지 생성부(320)는 입력부(310)에서 입력된 수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는 구성으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텍스트(text), 이미지(image), 보이스(voice),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 다양하고,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생성 방법은 통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고 있는 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선별부(330)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수신 단말기 중 IMS 단말기를 선별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IMS 단말기는 IMS 망에 접속된 수신 단말기를 지 칭하는 것으로서, IMS 망에 접속된 수신 단말기(즉, log on 상태인 단말기)로 IMS 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수신 단말기 중 IMS 망에 접속된 수신 단말기(IMS 단말기)를 선별하는 방법으로는 IMS 프레즌스(presence)서비스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IMS 프레즌스 서비스란 미리 등록된 친구(buddy) 중 IMS 망을 통해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선별부(330)에서 IMS 단말기로 선별된 수신 단말기로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생성부(320)에서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IMS 망을 통해 전송되고, IMS 단말기로 선별되지 않은 수신 단말기로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MMS 서버를 통해 전송한다.
선별부(330)에서 IMS 단말기를 선별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달리하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도 IMS 망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특히 복수의 수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가 각 수신 단말기로 메시지 전송 방법을 지정하지 않고도 IMS 망을 통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세션 설정부(340)는 메시지 세션 릴레이 프로토콜(Message Session Reply Protocol : MSRP)을 이용하여 IMS 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수신 단말기와 발신 단말기 사이의 세션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세션 설정부(340)에서 수신 단말기와 발신 단말기 사이의 세션은 설정 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발신 단말기에서 수신 단말기로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 SIP) 메시지를 전송하여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 사이에 SIP 세션(session)을 설정하고, 이렇게 설정된 SIP 세션을 통해 MSRP 세션을 생성하여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IMS 망을 통해 수신 단말기로 전송이 완료되면 MSRP 세션이 해제된다.
세션 설정부(340)의 수행 과정 및 세션 설정 방법은 통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며, 도 5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송부(350)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송부(350)에서 수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은 달라질 수 있다.
선별부(330)에서 IMS 단말기로 선별된 수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할 경우에는 전송부(350)는 IMS 망을 통해 수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전송부(350)는 수신 단말기의 IP(internet protocol)값을 포함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IMS 망에 전송하게 된다. IMS 망에 전송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첨부된 IP에 해당하는 수신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결국 P2P 방식으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선별부(330)에서 IMS 단말기로 선별되지 않은 수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할 경우에는 전송부(350)는 MMS 서버를 통해 수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전송부(350)는 종래의 MMS 서버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고, MMS 서버에서 수신 단말기로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한다.
전송부(350)는 IMS 망 접속부 및 MMS 서버 접속부를 하나의 구성요소로 포함할 수 있으며 IMS 망 및 MMS 서버 모두 접속할 수 있는 수단이면 그 종류는 무관하다.
제어부(360)는 단말기(15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예를 들면, 입력부(310), 멀티미디어 메시지 생성부(320), 선별부(330), 세션 설정부(340), 전송부(350) 등)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60)는 입력부(310)에서 입력 받은 수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 중 IMS 망에 접속되어 있는 수신 단말기를 선별하도록 선별부(3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선별부(330)에서 IMS 망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기를 선별하는 방법은 IMS 프레즌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어부(360)는 선별부(330)로부터 수신 단말기 중 IMS 망에 접속되어 있는 수신 단말기를 선별 결과를 입력 받아 이에 상응하는 전송 방식으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전송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IMS 망에 접속되어 있는 수신 단말기로는 IMS 망을 통해, IMS 망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수신 단말기로는 MMS 서버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전송부(35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360)는 입력부(310)에서 입력된 수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멀티미디어 메시지 생성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선별부(330)에서 IMS 망에 접속된 단말기로 선별된 수신 단말기의 경우 IMS 망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수신 단말기와 발신 단말기 사이에 세션을 설정하도록 세션 설정부(34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IMS 망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수신 단말기와 발신 단말기 사이에 세션을 설정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메시지 세션 릴레이 프로토콜(Message Session Reply Protocol : MSRP)을 이용하여 세션을 설정한다.
제어부(360)는 수신 단말기와 발신 단말기 사이에 MSRP 세션을 설정하기 위해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 SIP) 메시지를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수신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있는 경우(수신 단말기가 IMS 망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360)의 제어에 의해 세션 설정부(340)는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 사이에 SIP 세션을 설정하고, SIP 세션을 통해 MSRP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된 MSRP 세션을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는 경우, MMS 서버를 통해 전송하는 것보다 전송의 오류가 일어날 확률을 줄이고,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부과되는 요금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된 경우 수신 단말기와 발신 단말기 사이에 설정된 MSRP 세션은 더 이상 무의미하므로 제어부(360)는 MSRP 세션을 해제하도록 세션 설정부(34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제어부(360)는 전송부(350)를 제어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송부(350)에서는 경우에 따라 IMS 망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MMS 서버를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 단말기 중 IMS 망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기로는 IMS 망을 통하여, 그렇지 않은 단말기로는 기존의 방식은 MMS 서버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기존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UI(User Interface)를 사용해도 IMS 망을 통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이 수행될 수 있으며, 특히 복수의 수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IMS 망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SIP 세션과 MSRP 세션의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SIP의 주된 역할은 세션 설명 프로토콜(Session Description Protocol : SDP)에서 정의된 미디어 세션을 혐의하고, 형성하며 최종적으로 종료시키는데 있다. 세션 기반 메시징을 위한 SIP 세션 협의 과정(단계 S410)에서는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 사이에 SDP 인수들을 서로 교환함으로써 SIP 세션에서 사용할 미디어와 세션의 특성을 결정한다. 이후 형성된 SIP 세션에서는 상기 결정된 미디어와 세션의 특성을 유지한다. 미디어와 세션 특성은 세션 변환 과정을 거쳐서 변환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SIP 세션 형성과 동시에 MSRP 메시지를 교환할 때 사용하기 위한 MSRP 인자들을 교환(단계 S415)한다. 이때 사용되는 인자로는, SIP 세션의 인식자, 수신 단말기의 주소, 발신 단말기의 주소, 그리고 MSRP 메시지를 교환할 때 사용할 TCP 포트번호 등이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TCP 접속을 유치하는 쪽에서 TCP 포트를 포함한 자원들을 예약하기도 한다.
이후 상기 MSRP 인자들을 이용하여 SIP 세션에 해당하는 MSRP 세션을 형성(단계 S420)한다. 이때 단일 SIP 세션에 대하여 복수의 MSRP 세션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 사이의 MSRP 세션은 이미 교환된 주소와 TCP 포트번호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단계 S420 이후에 상기 MSRP 세션을 통해 MSRP 메시지가 전송(단계 S425)된다. MSRP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면 SIP 세션을 해제(단계 S430)함으로써 메시징 서비스가 종료되고, 단계 S430에서 발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에서 사용하던 TCP와 기타 자원들이 반환되는 과정이 수행된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MS에서 SIP 세션 및 MSRP 세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IMS는 크게 발신 단말기에 대한 방문 네트워크(visited network)(510), 수신 단말기에 대한 방문 네트워크(520)와 발신 단말기에 대한 홈 네트워크(home network)(530), 수신 단말기에 대한 홈 네트워크(540)로 구성된다.
상기 IMS는 가입자가 위치하고 있는 망에 따라서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논리 적으로 구분되는 호 세션 제어 기능 블록(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 CSCF)(511, 521, 531, 541, 543)들과 상호 통신하는 발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와, 중간 노드의 역할을 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 : AS)(533, 545, 547) 를 포함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이와 같이 구성된 IMS의 전체적인 네트워크에서 발신 단말기 자신의 홈 네트워크(530)에서 외부 네트워크(visited network)(520)로 이동한 경우, S-CSCF(발신)(531)가 중간 노드를 초대(invite)하는 과정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IMS에서 세션 형성에 사용되는 메시지는 크게 3가지로 구분되며, 그 중 하나는 SIP 메시지이고, 다른 하나는 transport protocol 메시지이며, 나머지 하나는 MSRP 메시지이다.
상기 CSCF는 P-CSCF들(511, 521), S-CSCF들(531, 543)과 I-CSCF(541)로 구분되며, 각각은 객체화된 교환기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P-CSCF들(511, 521)은 각각 해당 방문 네트워크(510, 520)에 위치하고 프록시(proxy) CSCF로서 단말이 IMS 서비스를 받을 때 가장 먼저 접촉하게 되는 블록이며, 상기 S-CSCF들(531, 543)은 서빙(Serving) CSCF로 각각 해당 홈 네트워크(530, 540)에 위치하여 단말의 SIP 세션을 처리한다. 상기 I-CSCF(541)는 응답 지령 신호를 보내는 CSCF로 다른 사업자 망 사이의 접촉 포인트에 위치한다. 여기서 발신 단말기에 위치한 S-CSCF(발신)(531)은 AS#1(533)로 초대하고, AS#1(533)은 차후에 있을 트랜잭션을 위해 기록 경로(record route)에 자신의 위치를 추가한다.
상기 수신 단말기에 대한 홈 네트워크(540)에 위치한 AS#2(545)는 AS#3(547) 을 초대함으로써 SIP 세션의 형성에 적극적으로 관여한다. 하지만 MSRP 세션에서는 관여되지 않는다. 즉 AS#2(545)는 SIP 초대 메시지를 AS#3(547)로 전송하고 다른 처리를 하지 않는다. 반면, AS#3(547)은 SIP 세션 및 MSRP 세션에 모두 관여하며, 퍼럭싱 서버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IMS의 전체적인 네트워크에서 초대에 대한 메시지는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 단말기, P-CSCF(511), S-CSCF(531), I-CSCF(541), S-CSCF(543), P-CSCF(521)을 거쳐 수신 단말기로 전송된다.
도한 MSRP 세션 형성은 발신 단말기, AS#1(533), AS#2(545)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 진다. 실제 메시지를 전송하는 MSRO 세션은 발신 단말기와 어플리케이션 서버(AS)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MSRP 세션 형성은 항상 SIP와 함께하는 SDP를 통해 협상된다. 여기서 SIP 메시지는 하부 전송 프로토콜에 독립적이고, SDP를 세션 정보를 협상하기 위한 메시지 바디로 사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S610에서 제어부(360)의 제어에 의해 멀티미디어 메시지 생성부(320)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멀티미디어 메시지에는 입력부(310)로부터 입력 받은 수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식별 정보에는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정보, IP값 등을 포함할 수 있음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 단계 S620으로 진행한다. 단계 S620에서 선별부(330)는 입력부(310)로부터 입력 받은 수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기 중 IMS 망에 접속된 수신 단말기(IMS 단말기)를 선별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IMS 단말기를 선별하는 방법으로는 IMS 프레즌스 서비스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즉, 미리 등록된 친구(buddy) 중 IMS 망을 통해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상태인 단말기를 선별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620에서 IMS 단말기 선별결과 IMS 단말기로 선별된 경우에는 단계 S630으로 진행하고, IMS 단말기가 아닌 것으로 선별된 경우에는 단계 S640으로 진행한다.
단계 S630에서 전송부(350)는 제어부(360)의 제어에 의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IMS 망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IMS 망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로 세션 설정부(340)에서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 사이에 MSRP 세션을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음은 상기에서 설명하였다.
단계 S640에서 전송부(350)는 제어부(360)의 제어에 의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MMS 서버를 통해 수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즉,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할 단말기가 복수인 경우 수신 단말기 중 IMS 단말기로 선별된 단말기로의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은 단계 S630에서 IMS 망을 통해 수행되고, IMS 단말기로 선별되지 않은 단말기로의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은 단계 S640에서 MMS 서버를 통해 수행된다.
단계 S630에서 MSRP 세션을 설정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는 경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면 제어부(360)의 제어에 의해 기 설정된 MSRP 세션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 표시의 예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할 단말기가 IMS 망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달라지게 된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복수의 단말기로 동시에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수신 단말기가 IMS 망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일일이 확인하기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IMS 프레즌스 서비스를 사용하더라도 복수의 수신 단말기 중 일부만 IMS 망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IMS 망에 접속된 단말기와 그렇지 않은 단말기를 분류하여 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는 '010-1111-1111', '010-2222-2222', '010-1234-1234', '010-5687-5687'의 4개의 수신 단말기로 동시에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한다고 가정한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로부터 수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도 7에서는 식별 정보가 전화번호임)을 입력 받고 전송 요청(예를 들면 확인버튼)을 수신하게 되는 경우 단말기(150)는 수신 단말기 중 IMS 망에 접속된 수신 단말기를 선별한다. IMS 망에 접속된 수신 단말기의 선별은 제어부(360)의 제어에 의해 선별부(330)에서 수행됨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갔다.
선별부(330)의 선별 결과 '010-1111-1111'및 '010-1234-1234'의 전화번호를 갖는 수신 단말기는 IMS 망에 접속되어 있으며, '010-2222-2222' 및 '010-5687-5687'의 전화번호를 갖는 수신 단말기는 IMS 망에 접속되어 있지 않음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선별 결과는 단말기(150)의 표시부를 통하여 출력할 수도 있으며, 별도로 출력하지 아니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예에서 IMS 망에 접속된 단말인 '010-1111-1111'및 '010-1234-1234'의 전화번호를 갖는 수신 단말기로는 IMS 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고, IMS 망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010-2222-2222' 및 '010-5687-5687'의 전화번호를 갖는 수신 단말기로는 MMS 서버를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사용자는 종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UI(User Interface)를 그대로 이용하여 IMS 망으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어 수월하게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특별한 조작 없이 IMS 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므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에 부과되는 요금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움직임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 표시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종료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 본체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 본체간의 결합 상 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 본체간의 잠금 걸쇠를 이용한 결합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움직임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 받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 표시의 예시도.

Claims (15)

  1. IMS(IP Multimedia Subsystem)망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 요청시 상기 수신 단말기 중 IMS 단말기를 선별하는 단계 -IMS 단말기는 상기 IMS 망에 접속된 수신 단말기임-;
    (c) 상기 선별된 IMS 단말기로, 상기 IMS 망을 통해,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선별 결과 상기 IMS 단말기로 선별되지 않은 수신 단말기로, MMS 서버를 통해,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는,
    전화번호, 이메일(e-mail) 주소 정보 및 IP 값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MS 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메시지 세션 릴레이 프로토콜(Message Session Reply Protocol : MSRP)을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MSRP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은,
    상기 수신 단말기로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 SIP) 메시지를 전송하여 발신 단말기와 상기 수신 단말기 사이에 SIP 세션(Session)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SIP 세션을 통해 상기 MSRP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MSRP 세션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생성된 MSRP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법.
  7. IMS 망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수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생성부;
    상기 수신 단말기 중 IMS 단말기를 선별하는 선별부-IMS 단말기는 상기 IMS 망에 접속된 수신 단말기임-;
    상기 선별된 IMS 단말기로, IMS 망을 통해,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IMS 망을 통해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요청을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별부에서 상기 IMS 단말기로 선별되지 않은 수신 단말기로의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은, MMS 서버를 통해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선별부에서 상기 IMS 단말기로 선별되지 않은 수신 단말기로의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은 MMS 서버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제7항에 있어서,
    메시지 세션 릴레이 프로토콜(Message Session Reply Protocol : MSRP)을 이용하여 상기 IMS 망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세션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설정부는,
    상기 수신 단말기로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 SIP) 메시지를 전송하여 발신 단말기와 상기 수신 단말기 사이에 SIP 세션(Session)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SIP 세션을 통해 MSRP 세션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생성된 MSRP 세션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생성된 MSRP 세션을 해제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5. IMS(IP Multimedia Subsystem)망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a)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 요청시 상기 수신 단말기 중 IMS 단말기를 선별하는 단계 -IMS 단말기는 상기 IMS 망에 접속된 수신 단말기임-;
    (c) 상기 선별된 IMS 단말기로, 상기 IMS 망을 통해,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
KR20070120527A 2007-11-23 2007-11-23 Ims 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이를 위한 단말기 KR100957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20527A KR100957633B1 (ko) 2007-11-23 2007-11-23 Ims 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이를 위한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20527A KR100957633B1 (ko) 2007-11-23 2007-11-23 Ims 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이를 위한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624A true KR20090053624A (ko) 2009-05-27
KR100957633B1 KR100957633B1 (ko) 2010-05-13

Family

ID=40861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20527A KR100957633B1 (ko) 2007-11-23 2007-11-23 Ims 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이를 위한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76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362B1 (ko) * 2011-04-01 2013-01-22 인포뱅크 주식회사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거치지 않는 기업형 메시지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122374A1 (ko) * 2012-02-16 2013-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근접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125302A (ko) * 2014-04-30 2015-11-09 주식회사 인포존 데이터망 및 공중망을 이용한 동보메시지 전송방법
EP2640029A4 (en) * 2010-11-12 2017-12-13 ZT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page multimedia messages, session initiation protocol terminal and multimedia message proxy serv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440B1 (ko) * 2004-01-15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을 위해 멀티미디어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759012B1 (ko) * 2006-03-07 2007-09-14 주식회사 인티큐브 착신단말의 현재상태를 기반으로 한 프레즌스 메시징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40029A4 (en) * 2010-11-12 2017-12-13 ZT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page multimedia messages, session initiation protocol terminal and multimedia message proxy server
KR101225362B1 (ko) * 2011-04-01 2013-01-22 인포뱅크 주식회사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거치지 않는 기업형 메시지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122374A1 (ko) * 2012-02-16 2013-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근접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9706340B2 (en) 2012-02-16 2017-07-1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performing proximity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50125302A (ko) * 2014-04-30 2015-11-09 주식회사 인포존 데이터망 및 공중망을 이용한 동보메시지 전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7633B1 (ko)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4790B1 (ko)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의 멀티미디어 기능 장치 사이에서통신 정보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327680C (zh) 一种电路交换网络到ims网络呼叫路由的建立方法
US200602567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IMS network and H.323 network
US873094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 recipient handset as a remote screen
CN101563903B (zh) 用于向用户提供ip多媒体子系统通信服务的方法和设备
US9118616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ession for interworking in converged IP messaging service
EP1745632A1 (en) Session inspection scheme
EP2404424B1 (en) Capability query handling in a communication network
CN100550908C (zh) 一种进行会话能力信息操作的方法及网络实体
US10638299B2 (en) Dynamic scrolling-ticker for initiating telecommunications services
CN108243162A (zh) 一种sip注册的方法及装置
KR100957633B1 (ko) Ims 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이를 위한 단말기
US8909789B2 (en) Providing push to all (PTA) service
JP4887366B2 (ja) インターネット通信ネットワークコアに属するサービス装置における機能の実施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
CN101400022B (zh) 标识业务类型及根据标识建立业务的方法、装置及系统
WO20081311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 recipient handset as a remote screen
CN101448011A (zh) 早媒体信息播放选择方法
KR101129247B1 (ko)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 따른 호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2045298A (zh) 一种ims媒体编解码器协商的方法和系统
KR101158758B1 (ko) 프레젠스 상태 변경에 따른 호 처리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15007B1 (ko)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 인스턴트메시징 서비스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6566522B2 (ja) 要求元端末のオプション機能の非使用を整合する網間制御方法、sip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KR100905071B1 (ko)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메시지 저장 시스템 및 방법
KR100820968B1 (ko) Ims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실시간 팩스전송방법
Imai et al. Dynamic Session Modification between Multiple Devices in the IMS/MMD Archite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