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3562A -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3562A
KR20090053562A KR1020070120449A KR20070120449A KR20090053562A KR 20090053562 A KR20090053562 A KR 20090053562A KR 1020070120449 A KR1020070120449 A KR 1020070120449A KR 20070120449 A KR20070120449 A KR 20070120449A KR 20090053562 A KR20090053562 A KR 20090053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ub
photographing apparatus
main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0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3562A/ko
Priority to US12/190,282 priority patent/US20090136222A1/en
Publication of KR20090053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5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1/00Special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G03B31/00 - G03B39/00; Apparatu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에 있어서, 주 촬영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부 촬영 장치를 동기화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동영상 촬영 요청이 있으면 상기 주 촬영 장치에서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고 상기 동기화된 부 촬영 장치로 동영상 촬영 개시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동영상 촬영 개시 신호에 따라 상기 부 촬영 장치에서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고 상기 촬영된 동영상을 주 촬영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부 촬영 장치에서 전송된 동영상을 상기 주 촬영 장치에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 촬영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부 촬영 장치. 즉, 복수의 촬영 장치를 동기화하여 각각의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사용자의 화면 전환 요청에 의해 선택하여 표시 또는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주 촬영 장치 및 부 촬영 장치 각각의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동영상들을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동기화, 블루투스, 촬영 장치, 동영상 파일, 동영상 촬영

Description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TAKING MOVING-IMAGES USING MULTIPLE 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동영상 영상 촬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 영역 통신망(PAN:Personal Area Network)이란 근거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술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TV와 같은 가전제품, 컴퓨터, 이동 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기기들을 가까운 범위 내에서 무선으로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식이다. 이를 활용한 가장 대표적인 예로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에서 블루투스(Bluetooth) 기능을 내장하여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적외선 통신(IrDA)을 이용하여 일정한 신호를 방출시켜 TV나 오디오 등 각종 전자 제품을 동작시킬 수 있는 기능 등이 있다. 상기 개인 영역 통신망에는 상기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외에도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 기술이 활용되는데 UWB(Ultra Wide 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에 포함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개인 영역 통신망은 이동 통신 단말기 뿐만이 아니라 컴퓨터, 노트북, 키보드, 헤드셋, 캠코더, 카메라 등에서도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캠코더나 카메라 등의 촬영 장치들에서 동영상 촬영 시 원격 제어가 가능한 리모콘(Remote-Control) 기능 등으로도 이미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리모콘 기능은 원거리에서 촬영을 제어할 수는 있으나, 각각 다른 장소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나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하더라도 다양한 각도의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실제 촬영이 이루어지는 촬영 장치 본체를 필요한 영상을 얻기 위한 장소로 옮겨야 하고, 각각의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동영상들을 파일 형태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PC 등의 외부 장치로 데이터를 이동시켜 별도의 편집 과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동영상 촬영 시 다른 장소에 위치한 상이한 피사체의 영상 촬영 또는 동일한 피사체의 다각도에서 영상 촬영을 수행하고 촬영된 동영상들을 이용하여 별도의 데이터 이동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휴대 단말기에 카메라나 디지털 방송(예컨대, 위성 디지털 방송, 지상파 디지털 방송, 디지털 티브이 방송 등) 수신기 등을 구비함으로써 동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 역시 구현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를 통해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여 표시하거나 전송할 수 있는 카메라 기능과,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카메라 기능과 디지털 방송 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 기능 수행 중에 사용자 요청에 따라 디지털 방송 출력 기능으로 전환해 야할 경우, 우선 피사체 영상을 프리뷰 하는 프리뷰 모드를 종료한 후 사용자의 메뉴 입력에 따라 디지털 방송 모드로 진입하도록 되어있다. 이는 디지털 방송 출력 기능에서 카메라 기능으로 전환할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때문에 상기와 같이 카메라 기능과 디지털 방송 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 기능과 디지털 방송 출력 기능간의 모드 전환 시 사용자가 여러 차례의 키 입력을 해야 하므로 불편함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여러 차례의 키 입력에 따른 시간도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에 있어서, 주 촬영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부 촬영 장치를 동기화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동영상 촬영 요청이 있으면 상기 주 촬영 장치에서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고 상기 동기화된 부 촬영 장치로 동영상 촬영 개시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동영상 촬영 개시 신호에 따라 상기 부 촬영 장치에서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고 상기 촬영된 동영상을 주 촬영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부 촬영 장치에서 전송된 동영상을 상기 주 촬영 장치에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부 촬영 장치와 동기화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촬영 요청이 있으면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여 표시하고 동영상 촬영 개시 신호를 상기 부 촬영 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촬영하는 동영상 표시 중에 사용자의 화면 전환 요청이 있으면 상기 부 촬영 장치로부터 전송된 동영상을 표시하는 주 촬영 장치와, 상기 주 촬영 장치와 동기화된 상태에서 상기 주 촬영 장치로부터 상기 동영상 촬영 개시 신호를 수신하면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고 촬영되는 동영상을 상기 주 촬영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 촬영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 촬영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부 촬영 장치. 즉, 복수의 촬영 장치를 동기화하여 각각의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사용자의 화면 전환 요청에 의해 선택하여 표시 또는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주 촬영 장치 및 부 촬영 장치 각각의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동영상들을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복수의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개인 영역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을 이용하는 것을 가정 [전제로] 하므로 이하의 모든 설명에서는 상기 개인 영역 통신망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Master-Slave"를 차용하여 상기 시스템 구성 중 개인 영역 통신망 연결에 있어서 능동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촬영 장치를 주(Master) 촬영 장치, 피동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촬영 장치를 부(Slave) 촬영 장치라 통칭한다.
주 촬영 장치는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고 개인 영역 통신망을 이용하여 동기화된 적어도 하나의 부 촬영 장치에서 촬영되는 동영상을 전송 받는다. 상기 주 촬영 장치와 부 촬영 장치에서 촬영하는 피사체는 동일한 것일 수도 있고, 상이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화면 전환 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부 촬영 장치에서 촬영되어 전송된 동영상을 상기 주 촬영 장치에서 표시 또는 저장하고, 주 촬영 장치에서 촬영하는 동영상과 부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이용하여 별도의 데이터 이동 없이 간편하게 동영상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한 주 촬영 장치에서 촬영한 동영상과 상기 주 촬영 장치들과 이격된 위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부 촬영 장치에서 촬영되어 전송된 동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화면 전환 요청에 따라 선택된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표시 또는 저장하고 각각의 촬영 장치들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간편하게 동영상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각의 촬영 장치는 피사체의 영상을 입력 받는 카메라부와, 개인 영역 통신망에서 각 촬영 장치들 간에 무선 통신에 의한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의 모듈을 이용할 수 있으며, 기타 무선랜(Wireless-LAN)등의 채널을 형성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의 모듈 등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USB 등의 유선 통 신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특히, 블루투스 통신 모듈의 주파수 사용대역은 2.4~2.4835GHz로써 전세계적으로 공통적으로 비인가 대역인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로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간섭방지를 위하여 주파수 호핑 방식을 사용하고, 변조방식은 GFSK(Gaussian Frequency Shift Keying)를 사용하고 양방향(duplex) 통신을 위하여 TDD(Time Division Duplex)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상적인 데이터 뿐만 아니라 음성신호와 영상신호에 대해서도 디지털 변조하여 전송을 할 수 도 있다.
블루투스의 주파수할당은 대역확산(Spread Spectrum) 통신방식에서 주파수 호핑(FH : frequency Hopping)을 사용하며, 주파수 호핑 방식은 무선 통신을 할 때 정보의 파형을 변조하는 것으로서 초당 수천번의 주파수를 번갈아 가며 대역 확산시키면서 전송하여 전파의 중첩을 방지한다. 블루투스 표준에서 정하고 있는 GFSK 변조방식의 전력효율은 우수하며 송수신 기기간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만 적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각각의 촬영 장치는 이러한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된 촬영 장치는 블루투스 모듈이 내장된 타 촬영 장치들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각각의 촬영 장치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표시 또는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동영상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람직한 동작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장치를 촬영 장치라 통칭하여 설명하지만, 이에는 다양한 형태의 촬영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촬영 장치에는 디지털 카메라, 촬영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촬영 기능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기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동기화되는 촬영 장치는 동일 기종이 아닌 이기종의 촬영 장치로써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시스템에서 동영상 촬영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크게 임의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장치들 예컨대, 주 촬영 장치(110) 및 부 촬영 장치(120)와, 주 촬영 장치(110) 및 부 촬영 장치(120)간 개인 영역 통신망을 위한 무선 통신, 예컨데 블루투스 통신(130)을 포함한다. 또한 도 1에서의 영상들은 도면상 정지 영상으로 보일 수 있으나 동영상임을 가정한다.
주 촬영 장치(110)와 부 촬영 장치(120)가 블루투스 통신(130)을 통해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동기화 상태에 있을 때, 임의의 피사체(100)에 대하여 주 촬영 장치(110)와 부 촬영 장치(120)는 각각의 시점에서 동영상을 촬영하며 부 촬영 장치는 촬영된 동영상을 전송한다.
이후 부 촬영 장치(120)에서 촬영되어 전송된 동영상(150)과 주 촬영 장치(110)에서 촬영한 동영상(140)을 주 촬영장치(110)에서 표시한다. 이 때 사용자 의 화면 전환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촬영 장치의 동영상을 주 촬영 장치(110)에서 표시할 수 있으며, 주 촬영 장치(110)는 자신이 촬영한 동영상(140)과 부 촬영 장치(120)에서 촬영되어 전송된 동영상(150)을 동시에 표시(예컨대, 화면(160))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시 표시 방법은 PIP(Picture in picture), POP(Picture out picture), PBP(Picture by picture)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며, 상기 사용자의 화면 전환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촬영 장치의 동영상만을 표시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동영상 표시와 동시에 상기 주 촬영 장치(110) 및 부 촬영 장치(120) 각각의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동영상은 주 촬영 장치(110)에 구비된 저장부에 일시 저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후 주 촬영 장치(110)는 사용자의 동영상 파일 생성 요청에 따라 각각의 촬영 장치(110,120)에서 촬영된 동영상들을 이용하여 동영상 파일 형태로 저장한다.
주 촬영 장치(110)는 상기 사용자의 화면 전환 요청에 따라 선택되는 각 촬영 장치(110,120)의 영상을 하나의 동영상 파일 형태로 저장 할 수도 있고, 각각 별도의 동영상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된 동영상 파일은 사용자의 동영상 파일 전송 요청에 따라 다시 부 촬영 장치(120)에 전송되어 각 촬영 장치(110, 120)에서 공유될 수도 있다.
상기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2대의 촬영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다수개의 휴대 단말기들을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주 촬영 장치(110)와 복수의 부 촬영 장치(120)들을 동기화하여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부 촬영 장치(120)들에서 촬영되어 전송된 동영상은 상기 부 촬영 장치(120)의 개수만큼 분할하여 상기 주 촬영 장치(110)에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1에서는 동일한 피사체에 대한 다른 시점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주 촬영 장치(110)와 부 촬영 장치(120)가 촬영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각각 상이한 위치의 다른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주 촬영 장치(110) 및 부 촬영 장치(120)을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주 촬영 장치와 부 촬영 장치는 동일하게 구성되고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하 도 2의 설명에 한하여 주 촬영 장치(110)와 부 촬영 장치(120)를 촬영 장치라 통칭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은 반드시 동일한 기종의 촬영 장치들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성부들을 가진 이기종의 촬영 장치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장치(110, 12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장치(110, 120)는 블루투스 모듈(210), 오디오 처리부(220), 카메라부(230), 영상처리부(240), 키입력부(250), 표시부(260), 저장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한다.
블루투스 모듈(210)는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이용한 블루투스 통신(130)을 수행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블루투스 모듈(210)을 이용하여 촬영 장치(110, 120) 상호 간의 블루투스 통신(130)을 통해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지만, 블루투스 통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랜(Wireless-LAN), 적외선 통신(IrDA),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치나, USB를 이용한 유선 통신 등으로 대체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모듈(210)은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장치들과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블루투스 모듈(210)은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신호 및 데이터를 블루투스 패킷(Packet) 형태로 변환하거나 그 역동작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제어부(미도시)와, 상기 블루투스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패킷을 RF 신호로 변환시켜 전송하거나 RF 신호를 수신받아 베이스밴드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블루투스 제어부로 인가하는 블루투스 송수신부(미도시),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ANT)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블루투스 제어부는 블루투스 모듈(210) 내에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촬영 장치(110, 120) 내의 제어부(280)에서 상기 블루투스 제어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오디오 처리부(220)는 코덱(CODEC: Coder/Decoder)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 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처리부(220)는 동영상 촬영 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음향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280)에 제공하고, 반대로 동영상 재생 시 디지털 음향 데이터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카메라부(230)는 렌즈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미도시)와,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고,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처리부(240)는 카메라부(23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한 영상 데이터를 제어부(280)로 전송하고, 표시부(260)의 표시 특성 및 크기에 알맞게 변형하여 출력한다. 또한, 영상처리부(240)는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제어부(28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영상처리부(240)는 영상 코덱(CODEC)을 구비하며, 표시부(260)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원래의 영상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영상 코덱은 JPEG 코덱, MPEG 코덱, 및 Wavelet 코덱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키 입력부(250)는 촬영 장치(110, 12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280)에게 전달한다. 이를 위해 키 입력부(250)는 촬영 장치(110, 12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키(미도시)와,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숫자 키(미도시)들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키 입력부(250)는 사용자의 촬영 요청 신호, 화면 전환 요청 신호, 동영상 파일 생성 요청 신호, 동영상 파일 전송 요청 신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부 촬영 장치(120)가 하나인 경우 화면 전환 요청 신호 입력을 위한 키는 소정의 단축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부 촬영 장치(120)가 복수인 경우에는 상기 키 입력부에 구비된 다수의 숫자 키들에 각각의 부 촬영 장치(120)를 할당하여 사용자가 상기 할당된 키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부 촬영 장치(120)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화면 전환 요청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표시부(260)는 카메라부(230)에서 촬상되는 영상을 화면으로 표시한다. 표시부(260)는 키 입력부(250)에서 입력된 화면 전환 요청 신호에 따라 촬영 장치(110, 120) 각각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26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260)는 LCD 제어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표시부(260)는 LCD에 한정되지 않으며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진 장치들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60)를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260)의 화면은 키 입력부로 동작될 수 있으며 이 때, 키입력부(25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저장부(27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촬영 장치(110, 12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데이터 메모리에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이 저장된 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270)는 카메라부(230)를 통해 촬영된 동영상이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270)는 촬영 장치(110, 120) 내에 구비될 수도 있고, 메모리 카드 등의 형태로 촬영 장치(110, 120)에 착탈 가능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280)는 촬영 장치(110, 12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제어부(280)는 블루투스 통신(130)에 필요한 신호 및 데이터 등을 비롯한 촬영된 동영상을 전송 받아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80)는 블루투스 모듈(210)을 통해 촬영 장치(110, 120) 상호 간에 블루투스 통신(130)을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블루투스 통신(130)을 제어하는 기능은 제어부(280)가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장치들 간 동영상 촬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설명하기에 앞서, 주 촬영 장치(110)와 부 촬영 장치(120)는 블루투스 통신 접속을 통한 동기화 수행 시, 소정의 인증 절차 등을 통해 상호간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증 절차는 주 촬영 장치(110) 또는 부 촬영 장치(120)에서 수행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주 촬영 장치(110)는 300단계에서와 같이 부 촬영 장치(120)로 개인 영역 통신망 예컨대, 블루투스 통신 접속을 요청하고, 상기 부 촬영 장치(120)는 주 촬영 장치(110)로부터 상기 블루투스 통신 접속이 요청되면 305단계로 진행하여 주 촬영 장치(110)와 부 촬영 장치(120)간의 상호 접속을 위한 소정의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인증 절차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므 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부 촬영 장치(120)는 상기 305단계에서와 같은 인증 절차 수행 결과 인증이 완료되면 310단계로 진행하여 주 촬영 장치(110)로 블루투스 통신 접속이 승인되었음을 통보한다.
한편, 상기 300단계에서 도면 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주 촬영 장치(110)가 주변에 위치한 부 촬영 장치(120)의 존재를 탐색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상기 300단계에서 블루투스 통신 접속 요청 시 주 촬영 장치(110)는 탐색되는 부 촬영 장치(120)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주 촬영 장치(110) 주변에 탐색되는 부 촬영 장치(12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그에 상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고, 이에 대응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탐색을 종료하거나 계속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탐색은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탐색하고, 탐색 결과 주변에 위치한 부 촬영 장치(120)를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상기 소정 시간 동안 탐색되지 않으면 안내 메시지와 함께 자동 종료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반대로 탐색 결과 부 촬영 장치(120)가 존재하면, 상기 305단계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305단계에서도 도면 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인증 절차 수행 결과 인증이 거부되면 주 촬영 장치(110)와 부 촬영 장치(120) 상호 간에 블루투스 통신 접속이 실패하였음을 주 촬영 장치(110)로 통보하도록 하고, 주 촬영 장치(110)는 블루투스 통신 접속 실패 통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블루투스 통신 접속이 실패하였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310단계에서 주 촬영 장치(110)가 부 촬영 장치(120)로부터 블루투스 통신 접속 승인 신호를 수신하면 주 촬영 장치(110)와 부 촬영 장치(120)는 상호 간에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동기화 상태가 된다.
주 촬영 장치(110)는 부 촬영 장치(120)와 동기화 되면 315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동영상 촬영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지 체크한다. 주 촬영 장치(110)는 동영상 촬영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고(325단계) 촬영하는 동영상을 저장한다(330단계). 상기 315단계에서 동영상 촬영 요청 신호 입력 시 주 촬영 장치(110)는 부 촬영 장치(120)로 촬영 개시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320단계) 부 촬영 장치(120)는 상기 촬영 개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동영상 촬영을 수행(335단계)하여 저장하고(340단계) 저장된 동영상을 상기 주 촬영 장치(110)로 전송(345단계)한다.
상기 315단계에서 주 촬영 장치(110)는 사용자로부터 동영상 촬영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동시에 부 촬영 장치(120)로 촬영 개시 신호를 송신하여 주 촬영 장치(110)와 부 촬영 장치(120)의 촬영이 동시에 개시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부 촬영 장치(120)에서 촬영되는 동영상을 주 촬영 장치(110)로 전송하는 상기 345단계는 부 촬영 장치(120)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저장하는 340 단계를 거치지 않고 동영상 촬영 수행 중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고 상기 부 촬영 장치(120)의 성능에 따라 일시 저장하고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345 단계 이후, 주 촬영 장치(110)는 35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화면 전환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345단계에서 부 촬영 장치(120)에서 촬영되어 전 송된 동영상으로 전환하여 표시 및 저장하는 35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55단계에서 부 촬영 장치(120)에서 촬영되어 전송된 동영상의 표시는 상기 주 촬영 장치(110)에서 촬영하는 동영상과 동시에 표시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동시 표시 방법에는 PIP(Picture in picture), PBP(Picture by picture), POP(Picture out picture), 화면 분할 등의 형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상기 화면 전환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주 촬영 장치(110)에서 촬영하는 동영상 표시를 중단하고, 부 촬영 장치(120)에서 촬영되어 전송된 동영상만 표시하게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355단계에서 주 촬영 장치(110)가 부 촬영 장치(120)에서 촬영된 동영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화면 전환 요청 신호가 다시 입력되면(360단계) 주 촬영 장치(110)는 상기 355단계로 돌아가 주 촬영 장치(110)에서 촬영하는 동영상을 표시 및 저장한다. 즉, 상기 355단계는 동영상 촬영 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350단계 내지 360단계의 설명에서는 2대의 촬영 장치 간에 화면 전환 표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부 촬영 장치(120)가 복수인 경우에도 사용자가 선택한 부 촬영 장치의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 및 저장하도록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음으로 365단계에서 주 촬영 장치(110)는 사용자의 동영상 파일 생성 요청이 입력되면 주 촬영 장치(110)에서 촬영한 동영상과 사용자의 화면 전환 요청에 의해 선택된 부 촬영 장치(120)의 동영상을 연결하여 동영상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370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동영상 파일은 주 촬영 장치(110)에서 촬영한 동영상과 사용자의 화면 전환 요청에 의해 선택된 부 촬영 장치(120)의 동영상을 하나의 파일로 연결하여 저장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고, 각각의 동영상 파일로 저장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후 375단계에서 주 촬영 장치(110)는 상기 370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동영상 파일을 사용자의 전송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동영상 파일을 상기 부 촬영 장치(120)로 전송하는 380단계를 수행하여 부 촬영 장치(120)에서 상기 저장된 동영상 파일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시스템에서 동영상 촬영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장치들 간 동영상 촬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Claims (21)

  1.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에 있어서,
    주 촬영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부 촬영 장치를 동기화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동영상 촬영 요청이 있으면 상기 주 촬영 장치에서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고 상기 동기화된 부 촬영 장치로 동영상 촬영 개시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동영상 촬영 개시 신호에 따라 상기 부 촬영 장치에서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고 상기 촬영된 동영상을 주 촬영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부 촬영 장치에서 전송된 동영상을 상기 주 촬영 장치에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과정은
    사용자의 화면 전환 요청이 있으면 상기 부 촬영 장치에서 전송된 동영상을 상기 주 촬영 장치에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동영상은 주 촬영 장치로 실시간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동영상은 상기 주 촬영 장치에서 촬영한 동영상과 동시에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동영상은 상기 주 촬영 장치에서 촬영한 동영상과 PIP(Picture in picture), POP(Picture out picture), PBP(Picture by picture) 형태로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 촬영 장치가 복수인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부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동영상만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 촬영 장치가 복수인 경우 상기 부 촬영 장치들에서 촬영된 동영상은 상기 부 촬영 장치의 개수만큼 화면을 분할하여 상기 주 촬영 장치에서 촬영한 동영상과 동시에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과정은
    개인 영역 통신망(PAN:Personal Area Network)을 이용하여 동기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촬영 장치와 상기 부 촬영 장치는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동영상 파일 생성 요청이 있으면 상기 주 촬영 장치에서 촬영하는 동영상을 저장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화면 전환 요청이 있으면 상기 주 촬영 장치에서 촬영한 동영상 저장을 중단하는 과정과,
    상기 부 촬영 장치에서 전송된 동영상을 상기 중단된 주 촬영 장치에서 촬영한 동영상에 연결하여 동영상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기 동영상 파일 전송 요청이 있으면 상기 부 촬영 장치로 상기 저장된 동영상 파일을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
  12.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부 촬영 장치와 동기화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촬영 요청이 있으면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여 표시하고 동영상 촬영 개시 신호를 상기 부 촬영 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촬영하는 동영상 표시 중에 사용자의 화면 전환 요청이 있으면 상기 부 촬영 장치로부터 전송된 동영상을 표시하는 주 촬영 장치와,
    상기 주 촬영 장치와 동기화된 상태에서 상기 주 촬영 장치로부터 상기 동영상 촬영 개시 신호를 수신하면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고 촬영되는 동영상을 상기 주 촬영 장치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 촬영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 촬영 장치는
    상기 부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주 촬영 장치로 실시간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 촬영 장치는
    상기 부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상기 주 촬영 장치에서 촬영한 동영상과 동시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 촬영 장치는
    상기 부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상기 주 촬영 장치에서 촬영한 동영상과 PIP(Picture in picture), POP(Picture out picture), PBP(Picture by picture) 형태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 촬영 장치는
    상기 부 촬영 장치가 복수인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부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동영상만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 촬영 장치는
    상기 부 촬영 장치가 복수인 경우 상기 부 촬영 장치들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상기 부 촬영 장치의 개수만큼 화면을 분할하여 상기 주 촬영 장치에서 촬영한 동영상과 동시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시스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 영상 촬영 장치와 상기 부 촬영 장치는 개인 영역 통신망(PAN:Personal Area Network)을 이용하여 동기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시스템.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 촬영 장치와 부 촬영 장치는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시스템.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 촬영 장치는
    촬영하는 동영상을 저장하고, 사용자의 화면 전환 요청이 있으면 상기 주 촬영 장치에서 촬영한 동영상 저장을 중단하고,
    상기 부 촬영 장치에서 전송된 동영상을 상기 중단된 주 촬영 장치에서 촬영한 동영상에 연결하여 동영상 파일 형태로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주 촬영 장치는
    사용자의 상기 동영상 파일 전송 요청이 있으면 상기 부 촬영 장치로 상기 동영상 파일을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시스템.
KR1020070120449A 2007-11-23 2007-11-23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5356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449A KR20090053562A (ko) 2007-11-23 2007-11-23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 및 시스템
US12/190,282 US20090136222A1 (en) 2007-11-23 2008-08-12 Method and system for photographing moving pictures using multiple photographing apparatu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449A KR20090053562A (ko) 2007-11-23 2007-11-23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562A true KR20090053562A (ko) 2009-05-27

Family

ID=40669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449A KR20090053562A (ko) 2007-11-23 2007-11-23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136222A1 (ko)
KR (1) KR2009005356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683B1 (ko) * 2011-07-26 2013-04-15 (주)에너브레인 3d 영상 촬영용 거치대 및 3d 영상의 촬영 제어 방법
KR101427779B1 (ko) * 2013-04-05 2014-08-07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카메라 및 그 활용 방법
KR20160144093A (ko) * 2015-06-08 2016-12-16 박대진 태블릿рс와 도킹스테이션을 이용한 스마트 영상 중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7965B2 (en) * 2016-10-04 2019-10-15 39Degrees C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KR101730115B1 (ko) * 2016-10-04 2017-04-26 주식회사 삼십구도씨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854A (en) * 1890-10-07 garrow
US1236974A (en) * 1916-03-15 1917-08-14 William S Orth Calendar.
US2110668A (en) * 1935-01-30 1938-03-08 Textile Machine Works Calendar and the like
US3333356A (en) * 1965-08-10 1967-08-01 Ketcham & Mcdougall Perpetual calendar
US3543699A (en) * 1968-10-24 1970-12-01 Streater Ind Inc Display rack with spiral shelves
USD245131S (en) * 1976-02-04 1977-07-26 Moderna Butiksinredningar Ab Display stand
USD247937S (en) * 1976-05-10 1978-05-23 Dilyard Richard D Rotary stand for potted plants
US4938364A (en) * 1988-05-23 1990-07-03 Stadelman Hildegarde A Presentation display storage system
DE9107451U1 (ko) * 1991-06-17 1991-09-26 Angele, Boris, 8036 Herrsching, De
ATE199193T1 (de) * 1995-01-11 2001-02-15 Bargy Gmbh Vorrichtung zur aufnahme und/oder entnahme flächiger produkte
DE69608264T2 (de) * 1995-03-24 2000-09-28 Ppt Vision Inc Maschinensichtsteuersystem
US6691875B1 (en) * 2002-02-19 2004-02-17 Ployhistor International, Inc. Optical disk storage unit/CD rack
JP3937332B2 (ja) * 2003-03-11 2007-06-27 ソニー株式会社 撮影システム
US9082456B2 (en) * 2005-01-31 2015-07-14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hared image device design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683B1 (ko) * 2011-07-26 2013-04-15 (주)에너브레인 3d 영상 촬영용 거치대 및 3d 영상의 촬영 제어 방법
KR101427779B1 (ko) * 2013-04-05 2014-08-07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카메라 및 그 활용 방법
KR20160144093A (ko) * 2015-06-08 2016-12-16 박대진 태블릿рс와 도킹스테이션을 이용한 스마트 영상 중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36222A1 (en) 200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5247B1 (ko) 촬영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N104657099B (zh) 屏幕投射方法、装置及系统
CN108966008B (zh) 直播视频回放方法及装置
KR100690243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제어 장치 및 방법
US7728874B2 (en) Video camera apparatus
CN112835549A (zh) 一种切换音频输出设备的方法及设备
WO2020259542A1 (zh) 一种显示设备的控制方法及相关装置
KR20130080278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기기 제어 및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KR20090053562A (ko)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 및 시스템
JP2013509130A (ja) 携帯用端末機及び携帯用端末機で撮影した映像の管理方法
JP2005151450A (ja) 携帯端末、ビデオ電話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1714050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표시장치 및 방법
CN113497851B (zh) 控制显示方法及电子设备
US10057495B2 (en)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EP4195659A1 (en) Screen shar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KR101341862B1 (ko) 플로우 모션 영상 촬영 방법 및 시스템
KR1011688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촬영 방법
KR100678208B1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저장 및 표시방법
CN114691059A (zh) 一种投屏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20080041007A (ko) 외장카메라들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그의 모드 전환방법
JPH11317724A (ja) 無線通信装置,無線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KR100769672B1 (ko) 화상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CN116981108B (zh) 无线投屏连接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2042281A1 (zh) 一种编解码方法、装置及系统
JP2019004422A (ja)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