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3478A - Method for evaluating the scalp disruption by quantitatively analyzing and visually expressing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 Google Patents

Method for evaluating the scalp disruption by quantitatively analyzing and visually expressing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3478A
KR20090053478A KR1020070120339A KR20070120339A KR20090053478A KR 20090053478 A KR20090053478 A KR 20090053478A KR 1020070120339 A KR1020070120339 A KR 1020070120339A KR 20070120339 A KR20070120339 A KR 20070120339A KR 20090053478 A KR20090053478 A KR 20090053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p
damage
stratum corneum
skin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3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16153B1 (en
Inventor
이은영
안수선
이수진
강병하
문성준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70120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153B1/en
Publication of KR20090053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4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1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6Scalp evaluation or scalp disorder diagnosis, e.g. dandruf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61B5/0068Confocal sc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07Depth or shape recovery from shading

Abstract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를 다량 포함하고 있는 샴푸 등 두피 세정 제품의 실제 사용 조건에서의 미약한 피부 자극에 의한 각질층의 두께를 측정하여 두피의 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첩포시험(patch test)을 개선하고 생체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in vivo confocal microscopy)과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객관적이고 시각적으로 피부 각질층의 손상 정도를 측정하여 두피 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valuating the extent of damage to the scalp by measuring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due to mild skin irritation under actual use conditions of scalp cleaning products such as shampoos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surfactant, and more specifically, To assess the extent of scalp damage by objectively and visually measuring the extent of damage to the stratum corneum using an in vivo confocal microscopy and image analysis program. will be.

샴푸, 두피 세정 제품, 두피, 생체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in vivo laser confocal microscopy), 이미지 분석, 워시-오프(wash-off) Shampoos, scalp cleaning products, scalp, in vivo laser confocal microscopy, image analysis, wash-off

Description

피부 각질층의 두께를 정량적 및 시각적으로 측정하여 두피 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Method for evaluating the scalp disruption by quantitatively analyzing and visually expressing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Method for evaluating the scalp disruption by quantitatively analyzing and visually expressing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를 다량 포함하고 있는 샴푸 등 두피 세정 제품의 실제 사용 조건에서의 피부 자극에 의한 각질층의 두께를 측정하여 두피의 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첩포시험(patch test)을 개선하고 생체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in vivo confocal microscopy)과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객관적이고 시각적으로 각질층 손상 정도를 측정하여 두피 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valuating the extent of damage to the scalp by measuring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due to skin irritation under actual use conditions of scalp cleaning products such as shampoos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surfactant, and more specifically, conventional patch To improve the patch test and to evaluate the extent of scalp damage by objectively and visually measuring the extent of corneal layer damage using in vivo confocal microscopy and image analysis programs.

피부는 크게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및 피하조직(subcutaneous tissue)으로 구분할 수 있다. 피부의 최외곽층인 표피는 4개(thin)나 5개(thick)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질층(stratum corneum, keratin layer), 투명층(transparent layer), 과립층(granular layer), 유극층(prickly layer) 및 기저 층(basal layer). 이 중 최외곽층인 각질층의 첫번째 역할은 피부에서 외부로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억제하고, 외부 환경에 의한 손상이나 물질, 미생물에 대하여 피부를 보호하는 것이다. The skin can be roughly divided into epidermis, dermis and subcutaneous tissue. The epidermis, the outermost layer of skin, consists of four or five layers: the stratum corneum (keratin layer), the transparent layer, the granular layer, and the polar layer ( prickly layer and basal layer. The first role of the outermost stratum corneum is to suppress the evaporation of moisture from the skin to the outside, and to protect the skin against damage, substances and microorganisms caus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각질층은 수직으로 쌓여 있고 다각면의 각질세포(corneocyte)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질-부유막(lipid-enriched membranes)의 매트릭스(matrix)로 둘러싸여 있다. 그래서 벽돌 벽처럼 두 구역으로 된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각질세포(corneocyte)는 지질이나 세포기관(organelle)이 없지만 구조 단백질(keratin filament)과 삼투압 활성이 있는 작은 물질(osmotically active small molecules)로 채워져 있다.The stratum corneum is stacked vertically and consists of corneocytes of various sides and is surrounded by a matrix of lipid-enriched membranes. So it consists of a system of two zones, like a brick wall. Corneocytes do not have lipids or organelles, but are filled with structural proteins (keratin filament) and osmotically active small molecules.

각질세포(corneocyte)의 매트릭스는 복합 판상 시트(multiple lamellar sheets)에 배열되어 있는 소수성 지질(hydrophobic lipid)로 구성되어 있다. 판상막(Lamellar membrane)과 각질세포(corneocyte) 사이에는 지질-경계 외피(lipid-bound envelope)가 있다. 각질세포(corneocyte)의 세포질에는 많은 케라틴(주로 keratin-1 및 -10)과 필라그린(filaggrin)이 있다. 이 중 주요한 성분인 케라틴은 섬유상 단백질(fibrous protein)로서 불용성이다. 케라틴-10은 I형(acidic)이며 케라틴-1은 II형(basic)이다. 살아있는 세포의 세포질의 약 30%가 케라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죽은 세포의 경우에는 케라틴이 거의 90%에 가깝다. The matrix of corneocytes consists of hydrophobic lipids arranged in multiple lamellar sheets. There is a lipid-bound envelope between the lamellar membrane and the corneocytes. In the cytoplasm of corneocytes, there are many keratin (mainly keratin-1 and -10) and filaggrin. Of these, keratin, the main component, is insoluble as a fibrous protein. Keratin-10 is acidic and keratin-1 is basic. About 30% of the cytoplasm of living cells consists of keratin, and nearly 90% of keratin in dead cells.

샴푸 등 세정 제품의 워시-오프(Wash-off) 제품군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계면활성제의 소수성(hydrophobic) 및 극성(polar) 작용은 피부 표면의 더러운 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주로 하지만 피부에 원하지 않는 부작용을 야기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계면활성제는 피부의 최외곽층인 각질층의 표면과 작용하여 피부에 손상을 주게 된다. 각질층의 건조함량의 70%는 단백질이기 때문에 계면활성제가 단백질의 2차 구조를 변성(denaturation)시킬 가능성이 많으며, 이로 인하여 각질층의 지질(lipid) 초미세구조(ultrastructure)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세포간 지질 라멜라(lamellae)의 층분리(delamination)는 각질세포(corneocyte)간 분리를 유발하여 각질층 구조가 느슨해지므로 쉽게 팽윤(swelling)되어 각질층이 상대적으로 두꺼워지지만 장벽 기능(barrier function)은 감소하게 된다. The hydrophobic and polar action of surfactants, which are found in the wash-off family of cleaning products such as shampoos, mainly serve to remove dirty substances from the surface of the skin, but have unwanted side effects on the skin. It may cause. In this way, the surfactant damages the skin by acting on the surface of the stratum corneum, which is the outermost layer of the skin. Since 70% of the dry matter content of the stratum corneum is a protein, the surfactant is likely to denature the secondary structure of the protein, which may damage the lipid ultrastructure of the stratum corneum. In addition, the delamination of the intercellular lipid lamellae leads to the separation of the corneocytes, resulting in loosening of the stratum corneum structure. Done.

샴푸 등 두피 세정 제품 등의 워시-오프(wash-off) 제품의 피부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은 제품을 일정 농도로 희석하여 첩포시험(patch test)을 수행하고 피부에서 야기되는 홍반(erythema), 부종(edema) 및 건조함(dryness) 등을 평가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희석을 통한 첩포시험(patch test) 방법은 세정 제품의 실제 사용 조건을 반영하지 못하고 제품의 전체 계면활성제의 총량에만 영향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 세정 제품은 실제 사용 조건에서 전체 계면활성제의 총량보다 세정 후 물에 씻겨나가지 않고 피부의 단백질과 부착하여(binding) 잔존함으로써 피부 각질층을 변성시키는 계면활성제의 피부 잔존량에 의해 피부 자극 정도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또한 첩포시험 등에 의한 강한 자극 반응에는 육안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염증 반응(홍반, 붉어짐 및 부종 등)이 피부에 나타나지만 세정 제품의 실제 사용조건 등에서 유발될 수 있는 미약한 자극 반응에서는 육안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미약한 자극도 오랫동안 누적되거나 민감한 피부의 경우에 영향 을 줄 수 있다. 특히 두피는 구조적 특징으로 모낭과 피지선이 매우 많아 피부 도포에 의한 흡수나 피부 자극에 대한 영향이 전박이나 얼굴 등의 다른 부위 피부와 매우 다르다. A common method used to evaluate skin safety of wash-off products, such as shampoos and scalp cleaning products, is to dilute the product to a certain concentration to perform a patch test and cause erythema caused by skin ( erythema, edema and dryness. However, such a patch test method through dilution does not reflect the actual conditions of use of the cleaning product and is only affected by the total amount of the total surfactant of the product. The degree of skin irritation is determined by the amount of residual skin of the surfactant that denatures the stratum corneum by binding to the protein of the skin, rather than being washed in water after washing, rather than the total amount of the total surfactant in actual use conditions. Because. In addition, inflammatory reactions (erythema, redness and swelling, etc.) that can be visually seen in the strong irritation reactions by patch tests, etc. appear on the skin, but in the slight irritation reactions that can be caused by the actual conditions of use of the cleaning product Often there is no response. However, even these minor irritants can affect long-term cumulative or sensitive skin. In particular, the scalp is a structural feature of hair follicles and sebaceous glands are very large, so the effects of skin application or absorption of the skin irritation is very different from other parts of the skin such as forehead and face.

이러한 샴푸 등의 두피 세정 제품의 실제 두피에서의 사용 조건에서 피부 표면에 대한 미약한 손상은 육안 평가 등의 방법으로 측정하기에 한계가 있어 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경피수분손실량(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을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피부의 장벽 기능(barrier function)을 평가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피부의 내부에서 외부로 수분이 수동적으로 이동(passive diffusion)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현상을 관찰하는 것으로 피부 손상 정도와 상관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많이 발표되었다.Weak damage to the surface of the skin under the actual conditions of use of the scalp cleaning products such as shampoos is limited by the method of visual evaluation, so to measure the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A method of evaluating the barrier function of the skin using a measuring method is widely used. This method observes the phenomenon of passive diffusion of moisture from the inside of the skin to the outside and has been reported to be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skin damage.

또한 피부 표면의 각질층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하여 투과 전자현미경 관찰(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시험 부위를 침습적으로 생검(biopsy)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There is also a method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to measure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on the skin surface. However, this method has the disadvantage of invasive biopsy of the test site.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샴푸 등의 두피 세정 제품의 실제 사용 조건에서 야기될 수 있는 피부 표면의 각질층의 손상 정도를 보다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데이터를 제시하기 위하여 두피 손상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노력한 결과, 생체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in vivo confocal microscopy)이라는 비침습적 방법(non-invasive method)을 사용하여 피부 표면부터 진피층까지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를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피부 각질층의 두께를 측정하여 객관적으로 피부 손상 정도를 평가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tried to find a method that can evaluate the degree of scalp damage in order to present more scientific and objective data on the extent of damage to the stratum corneum of the skin surface that can be caused by the actual use conditions of scalp cleaning products such as shampoos, An image is taken from the skin surface to the dermis using a non-invasive method called in vivo confocal microscopy, and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is measured objectively using an image analysis program.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discovering that the extent of skin damage can be evaluat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체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과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피부 표면의 미약한 손상에 의한 각질층의 두께 증가를 측정하여 객관적으로 두피 손상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that can objectively evaluate the extent of scalp damage by measuring the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due to the visually minor damage of the skin surface through a bio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and an image analysis program.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생체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두피 표면부터 표피하층까지 수직 아래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연속 촬영하여 복수개의 촬영 이미지들을 얻는 단계; 및 2) 상기 1) 단계에서 얻은 촬영 이미지들의 분석 영역을 설정하고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화상처리함으로써 두피 표면의 각질층의 두께를 시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피 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1) obtaining a plurality of photographed images by successively photographing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own direction from the scalp surface to the subepidermal layer using a biological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And 2) visualizing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layer on the surface of the scalp by setting an analysis region of the photographed images obtained in step 1) and image processing using an image analysis program. .

또한 본 발명은 1) 두피 세정용 워시오프(wash-off) 제품을 도포하기 전, 상기 서술된 두피 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통하여 두피 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 및 2) 상기 제품을 도포한 후, 상기 서술된 두피 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통하여 두피 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피 세정용 워시오프 제품의 피부 자극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evaluating scalp damage through a method of evaluating the scalp damage described above before applying the wash-off product for scalp cleaning; And 2) after applying the product, evaluating the degree of scalp damage by the method of evaluating the degree of scalp damage described above. .

본 발명에서는 생체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의 구성 자료를 이용하여 미약한 피부 손상에 의한 두피 표면의 각질층의 이미지를 측정할 수 있고 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이를 시각화하고 정량화하여 실제 사용 조건에서 두피 표면 각질층의 두께 평가에 의해 두피 세정 제품의 두피 손상 정도를 평가할 수 있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image of the stratum corneum on the surface of the scalp due to minor skin damage by using the data of the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The degree of scalp damage of the scalp cleaning product can be evaluated by the evaluation.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생체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in vivo confocal microscopy)은 비침습적 피부 미세영상분석기기로서 살아있는 피부를 생검(biopsy)하거나 염색 또는 절개하지 않고 자연적인 상태에서 표피와 진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상도가 높아 살아있는 조직의 역동적인 변화를 관찰하고 염증세포 침윤, 혈류 흐름 등을 실시간으로 횡축단면을 통해 표피의 각질층에서 진피의 망상층에 이르기까지 유효한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제조된 장비이다. In vivo confocal microscop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n-invasive skin microimaging device that checks the state of the epidermis and dermis in a natural state without biopsy, staining, or incision of living skin. It is designed to observe dynamic changes in living tissues with high resolution and to obtain effective images of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and blood flow from the stratum corneum to the reticular layer of the epidermis through the transverse section in real time. .

본 발명에서는 830nm 다이오드 레이저(diode laser)와 피부표면에서 25mW의 최대 전력(maximum power)을 가진 상용화된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in vivo confocal microscopy)인 Vivascope 1500(Lucid Inc, NY)을 이용하여 피부의 수평적인 이미지를 측정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침(water immersion)(30X)/유침(oil immersion)(60X) 대물렌즈(objective lense)를 사용하였다. 최상의 이미지는 계침 지수(immersion index) (n)값이 표피층의 계침(immersion) 중간값(n=1.34)일 때 얻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kin using a 830nm diode laser and Vivascope 1500 (Lucid Inc, NY), a commercially available confocal microscopy in vivo, having a maximum power of 25 mW at the skin surface. The horizontal image of was measured, but not limited thereto, and water immersion (30X) / oil immersion (60X) objective lense was used. The best image is obtained when the immersion index (n) is the median immersion of the epidermal layer (n = 1.34).

Vivascope 1500를 이용하여 피부 표면부터 1㎛ 간격 수직 아래 방향으로 연속 촬영하여 얻은 500㎛×500㎛ 크기의 이미지들을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과 데이터(data)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질층의 두께를 구하였다.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was determined by using an image analysis program and a data analysis program of 500 μm × 500 μm images obtained by continuously photographing the surface of the skin at 1 μm vertically from the surface of the skin using the Vivascope 1500.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 Image J는 주어진 화상을 편집, 화상 처리, 데이터 추출 및 자동 분석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화상 분석 소프트웨어이다. 외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얻은 화상을 화상처리하여 원하는 형태로 변화, 개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화상의 데이터 계측 및 처리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였다.The image analysis program Image J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mage analysis software that allows easy editing, image processing, data extraction, and automatic analysis of a given image. The image obtained by using an external input device can be image-processed to change and improve to a desired form, thereby enabling data measurement and processing storage of the image.

본 발명에서는 두피 세정 제품의 실제 사용 조건에서 야기될 수 있는 피부 표면의 각질층의 손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두피 표면에 실제 사용 조건과 유사하게 제품을 2주간 처치한 후 피부 각질층의 손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비침습적 방법(non-invasive method)인 생체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피부 표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의 분석영역을 설정하고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인 Image J (NIH, USA)를 도입하여 각질층의 두께에 따른 두피 손상 정도를 수치화하여 객관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각 제품에 의한 두피 표면 손상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기존에 많이 사용하는 방법인 경피수분증발량(TEWL)을 함께 측정하여 생체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을 이용한 정량적 결과와 함께 비교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valuate the extent of damage to the stratum corneum of the skin surface that may be caused by the actual use conditions of the scalp cleaning product to evaluate the extent of damage to the skin stratum corneum after treating the product for 2 weeks similar to the actual conditions of use on the scalp surface. The surface of the skin is photographed using a non-invasive method, a bio-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the analysis area of the photograph is taken, and the image analysis program Image J (NIH, USA) is introduced. The extent of scalp damage according to the thickness was evaluated objectively. In addition, in order to compare the scalp surface damage caused by each product, the transdermal moisture evaporation (TEWL), which is a commonly used method, was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 quantitative results using a bio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이를 통하여 종래의 첩포시험에서 평가할 수 없었던 샴푸 등 두피 세정 제품의 실제 사용 조건에서의 미약한 피부 손상에 인한 피부 각칠층의 두꺼운 정도를 평가할 수 있었고 기존의 피험자에 의한 주관적 평가에 의존하던 두피 손상 정도를 수치적으로 객관화하고 시각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evaluate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due to weak skin damage in actual use conditions of scalp cleaning products such as shampoo that could not be evaluated in the conventional patch test, and the degree of scalp damage that was dependent on the subjective evaluation by the existing subjects. Can be numerically objectified and visualized.

또한, 두피에 대한 자극이 강할수록 손상 정도가 심해지므로, 상기 두피 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두피 세정용 워시오프 제품을 도포하기 전 및 후에 각각 실시하고, 그 결과로 얻을 수 있는 손상 정도의 차이를 통하여 두피 세정용 워시오프 제품의 두피 자극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ronger the irritation to the scalp, the more severe the damage, so the method of evaluating the scalp damage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scalp wash wash off product, respectively, the difference in the resulting damage Through the scalp cleaning washoff product to evaluate the scalp irritation can be evaluated.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이 생체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 촬영과 이미지 분석을 통해 두피 표면 손상에 의한 피부 각질층의 두꺼운 정도를 객관적 및 시각적으로 측정하여 피부 손상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임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만 한정된 것은 아니다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evaluating the degree of skin damage by objectively and visually measuring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due to the scalp surface damage through bio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and image analysis. Although demonstrat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se Examples.

[참고예 1~2] 실제 사용 조건을 고려한 샴푸 제품의 도포Reference Examples 1 and 2 Application of Shampoo Products Considering Actual Use Conditions

모낭과 피지선이 매우 많은 두피의 특성을 반영하고자 두피 세정 제품인 샴 푸의 실제 사용 조건을 반영하여 수행하였다. 20-30대의 남녀 9명을 대상으로 머리 양쪽에 각각 다른 종류의 제품을 도포한 후 거품이 잘 생성되도록 1분간 문지르고 샤워기로 충분히 씻어내었다. 제품은 무작위로 적용하였다. 1일 1회, 1주 5일간 총 10회 2주간 처치 후 생체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과 경피수분증발량(TEWL)을 촬영하여 추적 관찰을 실시하였다.The hair follicle and sebaceous glands were performed to reflect the actual conditions of use of Shampoo, a scalp cleansing product,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alp. Nine men and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were applied with different types of products on both sides of the head, rubbed for one minute to form bubbles, and washed well with a shower. Products were randomly applied. After the treatment for 2 weeks, 10 times a day, 5 days a week, a bio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and transdermal moisture evaporation (TEWL) were taken and followed.

1. 모발 전체를 물로 적신 다음 양쪽 머리에 300㎕씩 제품을 도포하고 거품이 잘 생기도록 1분간 문질렀다. 1. Wet the whole hair with water, apply 300µl of the product on both heads, and rub for 1 minute to make bubbles.

2. 세정 제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샤워기로 1분간 씻어내었다. 2. Rinse for 1 minute with a shower to remove the cleaning product.

3. 헤어 드라이어로 30초간 두피 및 모발에 남아있는 다량의 수분을 제거하였다. 3. The hair dryer removes much of the water remaining in the scalp and hair for 30 seconds.

4. 1일 1회, 1주간 5일, 최종 2주 동안 제품을 처치하였다. 4. The product was treated once daily, 5 days a week, for the last 2 weeks.

시료의 조성 상태(단위: 중량%)Composition state of the sample (unit: wt%) 성분ingredient 참고예 1Reference Example 1 참고예 2Reference Example 2 양이온성 계면활성제Cationic surfactant 0.5%0.5% 0.3%0.3% 음이온성 계면활성제Anionic surfactant 30%30% 73%73% 양쪽 이온성 계면활성제Zwitterionic surfactant 25%25% -- 양이온성 폴리머Cationic polymer 0.25%0.25% -- 점도 조절제Viscosity modifier -- 0.45%0.45% pH 조절제pH regulator 0.94%0.94% 0.08%0.08% 증류수Distilled water 잔량Remaining amount 잔량Remaining amount

[비교예 1] 경피수분증발량(TEWL) 측정 방법을 이용한 피부 각질층 손상 정도 측정 방법[Comparative Example 1] Method for measuring the extent of damage to the stratum corneum by using a transdermal moisture evaporation (TEWL) measuring method

샴푸 등 두피 세정 제품에 따른 피부 표면 손상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각질수분증발량 (TEWL)를 이용하여 두피 표면을 측정하였다.In order to compare the degree of skin surface damage according to scalp cleaning products such as shampoo, scalp surface was measured by using keratin moisture evaporation (TEWL).

상기 참고예 1~2의 실시 전과 2주 처치 후에 동일한 피험자 9명을 대상으로 두피의 모발 양측 좌우 일정 부위를 두피가 노출되도록 머리핀으로 고정 시킨 후 항온항습 조건(온도 14 ± 4 ℃, 상대습도 30 ± 2%)에서 15분간 대기하였다. VaporMeter SWL-2(Delfin, Finland)를 이용하여 각 시험 부위의 경피수분증발량(TEWL)을 측정하였다. Before and after the two-week treatment of Reference Examples 1 to 2, the same subjects were fixed on both sides of the hair on both sides of the scalp with a hairpin to expose the scalp, followed by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temperature 14 ± 4 ℃, relative humidity 30). ± 2%) for 15 minutes. VaporMeter SWL-2 (Delfin, Finland) was used to measure the transdermal moisture evaporation (TEWL) at each test site.

상기 참고예 1~2의 실시 전과 2주 처치후의 경피수분증발량(TEWL)의 차이를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산출하여 각 시험부위의 경피수분증발량의 변화량(△)을 비교하였다.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utaneous water evaporation amount (TEWL) before and after the two-week treatment of Reference Examples 1 and 2 was calculated as shown in Equation 1, and the change amount (△) of the percutaneous water evaporation amount of each test site was compared.

Figure 112007084492479-PAT00001
Figure 112007084492479-PAT00001

도 1는 각 시료의 경피수분증발량의 변화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시료 처치 2주 후 참고예 2와 비교하여 참고예 1의 피부 손상 정도가 가장 높았다. 이러한 기존의 경피수분증발량(TEWL) 측정을 통하여 각 시료에 의한 피부 손상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본 발명에 의한 새로운 평가법의 결과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1 is a graph comparing the change amount? Of the transdermal moisture evaporation amount of each sample. Two weeks after the sample treatment, the skin damage of Reference Example 1 was the highest compared with Reference Example 2. The extent of skin damage by each sample was determined through the measurement of the conventional transdermal moisture evaporation (TEWL),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new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1] 생체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 및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두피 표면 측정 방법Example 1 Scalp Surface Measurement Method Using a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and an Image Analysis Program

1) 생체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 분석1) Analysis of bio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상기 비교예 1을 통해 각 시료별 피부 손상 정도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경피수분증발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각각의 피부 자극 정도를 정량화할 수는 있으나 피부 손상의 정도를 시각화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It was confirmed through Comparative Example 1 that the degree of skin damage for each sample is different. However, the method of measuring the amount of transdermal moisture evaporation can quantify the degree of skin irritation, but there is a limit that it cannot visualize the extent of skin damage.

또한 피부 표면의 각질층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하여 투과 전자현미경 관찰(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시험 부위를 침습적으로 생검(biopsy)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피수분증발량 측정과 TEM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정량화하고 시각화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There is also a method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to measure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on the skin surface. However, this method has the disadvantage of invasive biopsy of the test site.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measurement of transdermal moisture evaporation and TEM method, a method that can be quantified and visualized was developed.

샴푸 등 두피 세정 제품 사용 후 두피 표면의 미약한 손상에 의한 각질층의 두께를 정량적, 시각적으로 관찰하기 위하여 상용화된 생체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인 Vivascope 1500(Lucid, USA)를 이용하여 피부 표면을 촬영하였다. Skin surface was photographed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bio-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Vivascope 1500 (Lucid, USA) to quantitatively and visually observe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due to minor damage to the scalp surface after using a scalp cleaning product such as shampoo. .

생체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을 이용한 촬영 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imaging method using the biological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is as follows:

상기 비교예 1의 시료 2주 처치 후 실험 실시와 동시에 동일한 피험자 9명을 대상으로 두피의 모발 양측 좌우 일정 부위를 두피가 노출되도록 머리핀으로 고정 시킨 후 항온항습 조건(온도 10 ± 2℃, 상대습도 30 ± 2%)에서 15분간 대기하였다. 먼저 증발측정기(vapometer)로 경피수분증발량(TEWL)을 측정하고, 각 시험부위 중앙에 증류수를 로딩하고 접착 고리(adhesive ring)를 부착하였다. 피부에 부착된 고리에 대용량 초음파전용 젤(ultrasound transmission gel)을 로딩하고 렌즈 부위를 고정하여 촬영을 시작하였다. 피부 조직 소견을 표면부터 일정 정도 깊이까지 깊이별로 스캔하며 측정하였다.After two weeks of treatment of the sample of Comparative Example 1, the same subjects were subjected to nine subjects at the same time a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hair on both sides of the scalp with a hairpin to expose the scalp, followed by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temperature 10 ± 2 ° C, relative humidity) 30 ± 2%) for 15 minutes. First, transdermal moisture evaporation (TEWL) was measured by a vaporometer, distilled water was loaded at the center of each test site, and an adhesive ring was attached. The recording was started by loading a large-sized ultrasound transmission gel on the ring attached to the skin and fixing the lens area. Skin tissue findings were measured by scanning depth from surface to depth.

피부 최외곽층부터 촬영하도록 렌즈의 Z-심도(Z-depth 0㎛)를 조절하여 측정 시작부위를 정하고 렌즈의 Z-심도(Z-depth)를 일정한 간격(1㎛)으로 수직으로 스캐닝하도록 작성된 프로파일(VivaStack profile)을 실행하였다. 도 2는 렌즈의 Z-심도를 조절하여 두피 표면을 스캐닝한 구성 자료이다. 각 시료별로 육안적으로 차이가 없던 각질층 최외곽 표면의 손상 정도와 각질층 두께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종래 기술인 경피수분증발량(TEWL) 측정을 통하여 각 시료에 의한 피부 손상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It is designed to determine the measurement start point by adjusting the Z-depth (Z-depth 0㎛) of the lens so as to shoot from the outermost layer of the skin and to scan the Z-depth of the lens vertically at regular intervals (1㎛). A VivaStack profile was run. 2 is a configuration data of scanning the scalp surface by adjusting the Z-depth of the le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tent of damage and the thickness of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stratum corneum was not visually different for each sample. This can be seen that the results similar to the results of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skin damage by each sample through the measurement of transdermal moisture evaporation (TEWL) of the prior art.

2) 이미지 분석을 이용한 생체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 자료 분석2) Analysis of Bio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Data Using Image Analysis

생체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으로 얻은 구성 자료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도입하였다.An image analysis program was introduced to objectively evaluate the constituent data obtained with a bio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기본적인 원리는 생체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으로 촬영된 사진을 깊이별로 쌓아서 각 표피층의 인덱스(index)값이 커지면 이미지의 회색값(gray value)이 커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이를 수치화하는 것이다.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 Image J (NIH, USA)의 이미지 분석을 통한 평가 방법은 하기 표 2와 같다.The basic principle is to quantify by using the principle that the gray value of the image increases as the index value of each epidermal layer is stacked by stacking the pictures taken by the bio-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Evaluation method through image analysis of the image analysis program Image J (NIH, USA) is shown in Table 2 below.

발명에 의한 피부 자극 분석과 기존과의 차이Skin irritat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Example 1 측정방법How to measure 육안판정, TEWLVisual judgment, TEWL 생체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Biometric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분석방법Analysis method 시험 전후의 델타(delta)값 비교 Comparison of delta values before and after the test 각질층 두께를 이미지 분석하여 객관적으로 평가 1. 각질층을 수직 방향으로 찍은 사진을 한꺼번에 들여옴(import). 2. 각 이미지(X-Y축)를 일정간격으로 자르고 재구성(reconstruction) 과정을 통해 수직(Z축)으로 쌓는다. 3. Z축 이미지간 간격을 보완하기 위하여 가우시안 흐림효과(Gaussian Blur) 적용. 4. 측정하고자 하는 부분을 정하기 위하여 직선툴을 이용하여 Z축 방향으로 설정. 5. 실제측정간격과 각 픽셀(pixel)간 거리를 보정하기 위하여 세트 스케일(Set scale) 조정. 6. 깊이에 따른 회색값(gray value)을 계산하기 위하여 플롯 프로파일(Plot profile) 실행. 7. 전체 플롯 값(Plot value)을 복사. 8. 엑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색값의 변화가 가장 큰 위치를 찾아 각질층의 두께 계산.Objectively assess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by image analysis 1. Import the photographs of the stratum corneum in a vertical direction. 2. Cut each image (X-Y axis) at regular intervals and stack them vertically (Z axis) through the reconstruction process. 3. Gaussian Blur is applied to compensate the gap between Z-axis images. 4. Set the Z-axis direction using the linear tool to determine the part to measure. 5. Adjust the set scale to compensate for the actual measurement interval and the distance between each pixel. 6. Run the Plot profile to calculate the gray value by depth. 7. Copy the entire plot value. 8. Calculate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using the Excel program to find the location where the gray value is the largest.

도 3는 상기 전술한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을 프로그램상에서 도식화한 것으로 실시예 1의 세부 분석 방법을 순서대로 보여준다. 또한 도 4는 생체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의 피부 표면 이미지와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으로 각질층의 두께를 시각화한 것을 나타낸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참고예 1을 사용하였을 때 각질층의 두께 변화가 더 크므로 각질 손상이 더 크고 이에 따라 참고예 1이 자극이 더 심한 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lgorithm of the above-described image analysis program on a program, and shows a detailed analysis method of Embodiment 1 in order. In addition, Figure 4 shows the visualiz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layer by the skin surface image and image analysis program of the biological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As can be seen in Figure 4, when using the reference example 1, the change in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is greater, so the keratin damage is greater and accordingly the reference example 1 can be said to be a more severe product.

각질층은 다량의 케라틴(keratin)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는 피부의 다른 부위와 비교하여 인덱스값이 커서 높은 회색값을 나타내게 된다. 수직 Z축의 회색값을 비교하여 회색값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큰 값을 나타내는 부분이 각질층과 다른 층의 경계부분이다. 이러한 수직층의 회색값의 변화를 계산하여 각질층의 두께를 측정하고 이를 통하여 단순한 시각화뿐만 아니라 처치 시료에 따른 두피 표면의 손상 정도를 보다 정확한 근거에 의해 정량화하여 비교할 수 있었다. The stratum corneum contains a large amount of keratin, which shows high gray values compared to other parts of the skin. The boundary between the stratum corneum and the other layer is the part where the gray value of the vertical Z axis is compared and the gray value is relatively large.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was measured by calculating the change in the gray value of the vertical layer, and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quantify and compare the degree of damage to the scalp surface according to the treatment sample based on a more accurate basis.

두피 세정 제품인 샴푸 종류에 따른 각질층의 두꺼운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2주 후 각질수분증발량(TEWL)의 결과와 같이 참고예 2의 피부 손상에 의한 각질 두꺼운 정도가 가장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의 실제 사용 조건을 고려한 두피 세정 제품의 피부 자극 평가는 장기간 적용해야 하고 2주간 적용 시 미약한 자극 유발로 육안적으로 판단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각질수분증발량(TEWL) 측정이라는 기존의 평가 방법이 있었으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시각화가 불가능하였다. 또한 TEM 법에 의한 피부 표면의 각질층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은 시험 부위를 직접 생검(biopsy)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비침습적인 생체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의 구성 자료의 이미지 분석을 통한 두피 표면 각질층의 두께 측정 방법은 피부 손상에 의한 각질층의 두께를 시각화하고 객관적으로 정량화할 수 있으며 2주 정도의 시험기간으로 실제 사용 조건을 고려한 5 shows the results of quantitatively analyzing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according to the shampoo type, which is a scalp cleaning product. After 2 weeks, as in the result of keratin evaporation (TEWL), it was confirmed that the thickness of keratin thick due to skin damage of Reference Example 2 was the highest. The skin irritation evaluation of scalp cleaning products considering the existing actual conditions of use has to be applied for a long time and it is difficult to judge visually as it causes a slight irritation when applied for 2 weeks. In addition, there was an existing evaluation method called TEWL measurement, but it was not possible to visualize it for easy understanding. In addition, the method of measuring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on the skin surface by the TEM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biopsy of the test site is performed directly. However, the method of measuring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layer by scrutinizing the data of the noninvasive bio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can visualize and objectively quantify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due to skin damage. Considering the actual conditions of use

시험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advantage is that the test period can be shortened.

기존 피부 손상 평가 방법과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손상 정도 평가법은 하기 표 3과 같은 차이점이 있으며, 이를 통해 평가방법의 정확성 및 시각화, 시간 단축의 효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Existing skin damage evaluation method and skin damage degre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difference as shown in Table 3, through which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n efficiency of the accuracy and visualization of the evaluation method, the time reduction.

발명에 의한 각질 박리 평가법과 기존방법과의 차이Difference between keratin exfoliation evaluation method and the existing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종래기술)Comparative Example 2 (Prior Art) 실시예 1Example 1 도포방법Application method 첩포시험(patch test)Patch test - - 워시-오프(Wash-off) 처리Wash-off processing 측정방법How to measure TEWLTEWL TEMTEM 생체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Biometric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분석방법Analysis method 시험 전후의 델타(delta) 값 비교, 시각화 불가Comparison of delta values before and after the test, no visualization 생검(Biopsy)를 통한 조직 분석Tissue analysis via biopsy 이미지 분석을 통한 시각화, 객관적 평가Visualization through objective image analysis, objective evaluation

도 6은 참고예 1~2를 2주간 처리한 후 비교예 1의 방법으로 경피수분증발량(TEWL)을 측정한 결과 및 실시예 1의 방법으로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방법을 통하여 비교예 1 보다 미약한 피부 손상에 의한 각질층의 두께를 측정하여 이를 시각화 및 정량화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6 compares the results obtained by measuring the transdermal moisture evaporation (TEWL) by the method of Comparative Example 1 after treating Reference Examples 1 and 2 for 2 weeks and using the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by the method of Example 1. As a graph, it was confirmed that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caused by the skin damage weaker than Comparative Example 1 can be visualized and quantified through the method of Examp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참고예 1, 2 실시 전후의 각 시료의 경피수분증발량의 변화량(D)을 비교한 그래프이다.1 is a graph comparing the change amount (D) of the transdermal moisture evaporation amount of each sample before and after carrying out Reference Examples 1 and 2. FIG.

도 2는 생체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으로 스캐닝(scanning)한 두피 표면의 이미지 자료이다.2 is image data of the scalp surface scanned with a bio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도 3은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인 Image J를 통한 생체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의 수직 이미지들의 분석방법을 도식화한 후 각질 두께를 측정하는 과정을 보여준다.Figure 3 shows the process of measuring the thickness of the keratin after the schematic analysis method of the vertical image of the bio-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through the image analysis program Image J.

도 4는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인 Image J를 이용하여 생체내공초점 현미경의 이미지를 각질층의 두께를 측정하도록 수직(Z축)으로 재구성하여 시각화하고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두께를 측정한 것을 나타낸다.Figure 4 shows that the image of the in vivo confocal microscope using the image analysis program Image J to visualize the reconstructed vertically (Z-axis) to measure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and measured the thickness using an Excel program.

도 5는 참고예 1, 2를 2주간 처리한 후 촬영한 생체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으로 측정하여 두피 표면 두꺼운 정도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Figure 5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mage of the scalp surface thickness measured by a biological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photographed after treatment for Reference Examples 1, 2 for 2 weeks.

도 6은 참고예 1, 2를 2주간 처리한 후 TEWL 결과(비교예 1)와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 결과(실시예 1)를 비교한 그래프이다.6 is a graph comparing the TEWL results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results (Example 1) after treating Reference Examples 1 and 2 for 2 weeks.

Claims (3)

1) 생체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두피 표면부터 표피하층까지 수직 아래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연속 촬영하여 복수개의 촬영 이미지들을 얻는 단계; 및1) obtaining a plurality of photographed images by successively photographing at regular intervals in a vertical downward direction from the scalp surface to the subepidermal layer using a biological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And 2) 상기 1) 단계에서 얻은 촬영 이미지들의 분석 영역을 설정하고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화상처리함으로써 두피 표면의 각질층의 두께를 시각화하는 단계;2) visualizing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layer on the scalp surface by setting an analysis region of the photographed images obtained in step 1) and performing image processing using an image analysis program; 를 포함하는 두피 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How to evaluate the degree of scalp damag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의 화상처리는 1) 단계에서 얻은 촬영 이미지를 깊이별로 쌓고, 분석 영역내 이미지의 회색값(gray value)을 구하고, 상기 회색값의 변화를 정량화시켜 두피 표면의 각질층의 두께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age processing of step 2) comprises stacking the photographed images obtained in step 1) by depth, obtaining gray values of the images in the analysis region, and quantifying the change of gray values. Method for evaluating the degree of scalp da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measuring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1) 두피 세정용 워시오프(wash-off) 제품을 도포하기 전, 제 1항에 의한 방법을 통하여 두피 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 및1) assessing the extent of scalp damage by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efore applying the scalp wash-off product; And 2) 상기 제품을 도포한 후, 제 1항에 의한 방법을 통하여 두피 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2) after applying the product, evaluating the degree of scalp damage by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를 포함하는 두피 세정용 워시오프 제품의 피부 자극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Method for evaluating the degree of skin irritation of the scalp cleaning washoff product comprising a.
KR1020070120339A 2007-11-23 2007-11-23 Method for evaluating the scalp disruption by quantitatively analyzing and visually expressing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KR1009161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339A KR100916153B1 (en) 2007-11-23 2007-11-23 Method for evaluating the scalp disruption by quantitatively analyzing and visually expressing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339A KR100916153B1 (en) 2007-11-23 2007-11-23 Method for evaluating the scalp disruption by quantitatively analyzing and visually expressing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478A true KR20090053478A (en) 2009-05-27
KR100916153B1 KR100916153B1 (en) 2009-09-08

Family

ID=40860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339A KR100916153B1 (en) 2007-11-23 2007-11-23 Method for evaluating the scalp disruption by quantitatively analyzing and visually expressing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15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4528B2 (en) 2013-11-29 2018-08-21 Conopco, Inc. Method for demonstrating the capability of strengthening scalp and/or preventing dandruff
WO2019045386A1 (en) * 2017-08-28 2019-03-07 (주)아모레퍼시픽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coating characteristic of ultraviolet blocking ag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888A (en)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콘스탄트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scanning scalp based on imag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3823B2 (en) * 1990-09-25 1998-06-11 花王株式会社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ickness of stratum corneum
JP2003052642A (en) * 2001-08-13 2003-02-25 Shiseido Co Ltd Detector for epidermis-dermis interface of skin
EP1760440A1 (en) * 2005-08-31 2007-03-0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nfocal raman spectroscopy for dermatological studies
KR100734865B1 (en) 2005-12-09 2007-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 dimension skin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4528B2 (en) 2013-11-29 2018-08-21 Conopco, Inc. Method for demonstrating the capability of strengthening scalp and/or preventing dandruff
WO2019045386A1 (en) * 2017-08-28 2019-03-07 (주)아모레퍼시픽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coating characteristic of ultraviolet blocking ag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6153B1 (en) 2009-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rit et al. An in vivo randomized study of human skin moisturization by a new confocal Raman fiber-optic microprobe: assessment of a glycerol-based hydration cream
Antonov et al. Methods for the assessment of barrier function
Crouzet et al. Acute discrimination between superficial-partial and deep-partial thickness burns in a preclinical model with laser speckle imaging
RU2605300C2 (en) Method for evaluating cosmetic
Chrit et al. In vitro and in vivo confocal Raman study of human skin hydration: assessment of a new moisturizing agent, pMPC
Byrne Bioengineering and subjective approaches to the clinical evaluation of dry skin
Förster et al. Confocal Raman microspectroscopy for evaluating the stratum corneum removal by 3 standard methods
Contaldo et al. In vivo imaging of enamel by reflectance confocal microscopy (RCM): non-invasive analysis of dental surface
Teixeira et al. Confocal Raman spectroscopy: determination of natural moisturizing factor profile related to skin hydration
Mlosek et al. The use of high frequency ultrasound imaging in skin moisturization measurement
Astner et al. Irritant contact dermatitis induced by a common household irritant: a noninvasive evaluation of ethnic variability in skin response
KR100916153B1 (en) Method for evaluating the scalp disruption by quantitatively analyzing and visually expressing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Binder et al. Topical application of highly concentrated water-in-oil emulsions: physiological skin parameters and skin penetration in vivo-a pilot study
Bunyaratavej et al. Skin scrapings versus standardized skin surface biopsy to detect Demodex mites in patients with facial erythema of uncertain cause–a comparative study
Ghazaryan et al. Spatial and temporal analysis of skin glycation by the use of multiphoton microscopy and spectroscopy
KR100862274B1 (en) Method for valuating the human skin disruption by quantitative analyzing and visual expressing the furrows
JP6128549B2 (en) Skin age evaluation method and cosmetic evaluation method
Ruini et al. In vivo examination of healthy human skin after short‐time treatment with moisturizers using confocal Raman spectroscopy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Preliminary observations
KR101206622B1 (en) Method for estimating the moisturizing effect of cosmetics by measuring the roughness of stratum corneum
Agner et al. Emollients: effects, evidence, and side effects
Crowther et al. Changes in stratum corneum thickness, water gradients and hydration by moisturizers
Yang et al. Skin healing and collagen changes of rats after fractional erbium: yttrium aluminum garnet laser: observation by reflectance confocal microscopy with confirmed histological evidence
Kourbaj et al. Confocal Raman spectroscopy is suitable to assess hair cleansing‐derived skin dryness on human scalp
Agache 12 Metrology of the Stratum Corneum
JP7194931B2 (en) Skin condition evaluation method using stratum corneum hole as inde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