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3207A - 통신망 접속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망 접속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3207A
KR20090053207A KR1020070119913A KR20070119913A KR20090053207A KR 20090053207 A KR20090053207 A KR 20090053207A KR 1020070119913 A KR1020070119913 A KR 1020070119913A KR 20070119913 A KR20070119913 A KR 20070119913A KR 20090053207 A KR20090053207 A KR 20090053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network
access
data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9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0767B1 (ko
Inventor
강숙양
배정숙
신경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19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767B1/ko
Publication of KR20090053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통신망 접속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통신망 접속 관리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가 접속한 제1망 접속단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타 망으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1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형식 및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제2망을 선택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로 제2망 접속을 요청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둘 이상의 망에서의 이동 단말기 위치 정보 관리에 대한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무선랜, 셀룰러망, 접속, 관리, 이종, 통신망, 멀티통신망

Description

통신망 접속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NETWORK ACCESS ME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망 접속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멀티 이동통신망 환경의 차세대 통신망에서 이동 단말기의 통합 위치 관리를 통해 효율적인 페이징(Paging)을 제공하는 통신망 접속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신성장동력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S-003-02, 과제명: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플랫폼 개발].
종래에는 하나의 단말이 하나의 무선 기술을 수용하고 그 무선 특성(형식)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받았다.
하나의 단말에 두 개 이상의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두 무선 기술 별로 별도의 망이 존재하였고, 이에 따라 망 형상 정보, 위치 정보 및 사용자 관리를 각각의 망에서 관리하였다. 이 경우 별도의 망에서 일정 단위의 위치 영역 관리 체계를 두어 이동하는 사용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관리하여 빠른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었으나, 두 망을 연동한 서비스가 효율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라 하나의 단말에서 두 개의 망간 연동 서비스를 제공 받는 경우, 이동 단말기가 타망에서 망 이동을 하면, 이동 단말기가 접속된 망의 단말 관리 장치(예를 들어, 액세스 게이트웨이)는 이전 망의 단말 관리 장치와의 상호 연동을 통해 이동 단말기의 망 이동을 제어하였기 때문에, 망 간 연동에 따른 메시지 처리가 복잡하여 두 망을 연동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없었다.
차세대 이동통신망은 여러 네트워크가 존재하고 사용자는 원하는 서비스 수준에 맞는 적절한 망을 원하는 시점에서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요구도 그렇게 발전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여러 망에 대한 위치 정보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적절한 서비스를 해주느냐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사용자의 위치는 단말의 위치이므로 단말이 여러 개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더라도 방위 상의 사용자 위치는 동일하다. 즉, 사용자가 사용하는 네트워크가 달라질 뿐 이다.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안다면 사용자 주변 망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으므로, 여러 네트워크를 하나의 통합된 위치 영역 체계로 관리한다면, 망 별 위치 등록에 따른 복잡함과 데이터 불일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를 근간으로 사용자는 필요한 하나의 네트워크를 등록하더라도 주변의 다른 네트워크에 등록된 것과 같이 정보를 공유하고, 새로운 서비스의 요구로 구동되지 않은 네트워크가 필요할 때는 이를 구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멀티 이동통신망 환경의 차세대 통신망에서 이동 단말기의 통합 위치 관리를 통해 효율적인 페이징(Paging)을 제공하는 통신망 접속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서,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망을 포함하는 멀티 통신망에서 망 간의 이동 단말기 접속 제어를 관리하는 통신망 접속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망에 포함된 각각의 망 접속단들에 대한 위치 정보, 상기 이동 단말기의 망 접속에 대한 상태 정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한 망 접속단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등록기; 및 외부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형식을 확인하고, 상기 제1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해 상기 위치 등록기에 저장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확인된 데이터 형식을 기초로 복수의 망 중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접속시킬 망을 선택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페이징을 제어하는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액세스 게이트웨이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제1망에 접속한 상태에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 형식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2망 접속 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망으로 상기 이 동 단말기가 접속하면, 상기 데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서, 적어도 둘 이상의 망을 포함하는 멀티 통신망의 이동 단말기 접속을 관리하는 시스템에서의 통신망 접속 관리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한 제1망 접속단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타 망으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형식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제2망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제2망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망 접속 관리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기 제2망 접속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제1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서, 적어도 둘 이상의 망을 포함하는 멀티 통신망의 이동 단말기 접속을 관리하는 시스템에서의 통신망 접속 관리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한 제1망 접속단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타 망의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제1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망을 선택하도록 상기 제1 데이터에 대한 형식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망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망 접속 관리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기 제2망 접속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 기 제1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서, 적어도 둘 이상의 망을 포함하는 멀티 통신망의 접속을 관리하는 액세스 게이트웨이로 접속하는 이동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관리 방법은,
복수의 망에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인터페이스 중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망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제1망을 통해 상기 액세스 게이트웨이로부터 형식 정보-여기서, 형식 정보는 상기 액세스 게이트웨이가 타 망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형식을 포함함.-가 포함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형식 정보를 기초로 제2망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제2망의 제2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2망으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 통신망 환경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이를 기초로 효율적인 페이징을 제공함으로써, 둘 이상의 망에서의 이동 단말기 위치 정보 관리에 대한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멀티 통신망들의 형상 정보를 통해 이동 단말기가 접속 가능한 주변 네트워크 정보를 알 수 있어 효율적인 페이징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망 접속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망 접속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망 접속 관리 시스템은 위치 등록기(600), 게이트웨이노드(500),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 400-2), 제1종 액세스 장치(200-1, 200-2) 및 제2종 액세스 장치(300-1, 300-2, 300-3, 300-4)를 포함하고,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링크로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수 행한다.
위치 등록기(600)는 이동 단말기(100)의 프로파일 정보와 서로 다른 규격을 갖는 둘 이상의 망(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셀룰라망(Cellular) 및 무선랜(WLAN망)임.)에 대한 형상 정보를 기 저장하고 한다. 여기서, 형상 정보는 토폴로지 정보로, 셀룰러망 및 무선랜의 각 망 구성 장치(액세스 장치)에 대한 위치 정보와 각 망 장치(액세스 장치)들 간의 이웃(Neighbor) 장치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위치 등록기(600)는 셀룰러망의 제1종 액세스 장치들(200-1, 200-2) 및 무선랜의 제2종 액세스 장치들(300-1, 300-2, 300-3, 300-4) 간의 상호 이동 단말기 접속 영역(커버리지)에 속하는 이웃 장치 정보를 기 저장한다.
또한, 위치 등록기(600)는 제1 종 액세스 장치(200-1, 200-2) 및 제2종 액세스 장치(300-1, 300-2, 300-3, 300-4)로부터 이동 단말기(100)의 접속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이동 단말기(100)가 접속한 액세스 장치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위치 등록기(600)는 이동 단말기(100)의 MAC 정보, 가입자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게이트웨이 노드(500)는 타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해당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 400-2)로 전송하거나,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 400-2)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타 망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 400-2)는 게이트 웨이 노드(500) 및 위치 등록기(600)와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며, 서로 다른 망의 액세스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융합한다.
또한,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 400-2)는 가입자의 이동성 관리 및 세션 관리 기능을 담당하며, 위치 등록기(600)와의 연동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서로 다른 망의 액세스 장치(200-1, 200-2, 300-1, 300-2, 300-3, 300-4)들에 대한 형상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또한,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 400-2)는 타 망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과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이동 단말기(100)의 망 접속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데이터의 형식은 데이터의 규격(802.11b 등의 규격)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 400-2)는 타 망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수신된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하기 위해 수신된 데이터의 형식과 위치 등록기(100)의 이동 단말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망(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셀룰러망, 무선랜) 중 하나의 망을 선택하고, 선택한 망으로 이동 단말기(100)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동 단말기의 이종 망 접속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무선랜의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데이터 형식과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망 중 이동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랜을 선택하고, 이동 단말기가 접속되어 있는 망을 확인한 후 이동 단말기가 무선랜에 접속되어 있지 않고 셀룰러망에 접속되어 있으면, 셀룰러망을 통해 이동 단말기가 무선랜으로 접속하도록 페이징(Paging)을 요청한다.
제1종 액세스 장치(200-1, 200-2)는 셀룰러망의 접속단으로, 이동 단말 기(100)가 셀룰러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액세스 장치이다. 예를 들어, 셀룰러(Cellular) 망의 기지국임.
제2종 액세스 장치(300-1, 300-2, 300-3, 300-4)는 무선랜의 접속단으로, 이동 단말기(100)가 근거리 망인 무선랜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액세스 장치이다. 예를 들어,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의 AP(Access Point)임.
이동 단말기(100)는 셀룰러망 및 무선랜에 접속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각 망의 액세스 장치로 접속하고, 그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셀룰러망 및 무선랜 이외에 망 및 다양한 RAT(Radio Access Technique)에 접속할 수 있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포함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다른 망에 접속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100)는 하나의 망에 접속하면, 전원 절약을 위해 접속된 망 외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비활성화를 수행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접속된 망외의 타 망 접속을 위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억세스 게이트웨이(400-1, 400-2)로부터 수신하면, 해당 망으로 접속하기 위한 페이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셀룰러망에 접속하고 있는 중에 무선랜 접속을 위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무선랜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여 무선랜 접속을 수행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 400-2)로부터 이동 단말기(100)가 수신할 데이터에 대한 형식 정보가 포함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형식 정보를 기초로 접속할 망을 선택한다. 이때, 이동 단말 기(100)는 선택된 망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해당 망에 접속하기 위한 페이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셀룰러망에 접속하고 있는 중에, 형식 정보를 억세스 게이트웨이(400-1)로부터 수신하면, 형식 정보에 대응하는 망(무선랜)을 선택하고, 선택된 무선랜의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여 무선랜 접속을 수행한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100)는 주파수 신호 세기 등을 이용하여 이동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이동 속도와 수신된 형식 정보를 기초로 접속할 망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통신망 접속 관리 시스템은 멀티 통신망 환경에서 각 망의 형성정보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페이징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며, 이동 단말기에 대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은 도2 내지 도4를 통해 통신망 접속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 내지 도4를 통한 통신망 접속 관리 방법에서는 이동 단말기(100)가 최초 셀룰러망에 접속한 후, 무선랜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한다고 가정하며, 이동 단말기(100)가 최초 무선랜에 접속한 후, 셀룰러망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할 수도 있다.
먼저, 도2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 후, 도3 및 도4를 통해 통신망 접속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통신망 접속 관리 방법은 위치 등록 방법을 수행한 후, 이동 단말기의 위치가 등록된 상태에서 수행된다고 가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망 접속 관리 시스템의 이동 단말기 위치 등록 방법을 도시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망 접속 시스템의 이동 단말기 위치 등록 방법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이 켜져 이루어진다.
이동 단말기(100)는 전원이 켜지면(Power ON), 두 개 이상의 망에 접속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채널을 열고, 각각의 채널에 대한 초기화 절차를 수행한다(S100).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성향(선호도, 이동속도) 정보를 입력받아 접속할 셀룰러망의 제1종 액세스 장치(200-1)를 선택한다(S102).
그리고, 선택된 제1종 액세스 장치(200-1)에 접속하고,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등록하기 위한 위치 등록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1종 액세스 장치(200-1)로 전송한다(S104).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선택된 제1종 액세스 장치(200-1)에 접속하고, 전원 절약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제1종 액세스 장치(200-1)로 접속하였다면, 이동 단말기(100)의 절원 절약을 위해 무선랜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비활성화한다.
제1종 액세스 장치(200-1)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위치 등록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위치 등록 요구 메시지에 제1종 액세스 장치(200-1)의 정보를 포함시켜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로 전송한다(S106).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는 제1종 액세스 장치로(200-1)부터 수신된 위치 등록 요구 메시지를 위치 등록기(600)에 보내어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기록하게 하고(S108), 위치 등록기(60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인 사용자 프로파일 및 서비스 프로파일을 전달받는다(S110).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프로파일 및 서비스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동 단말기(100)가 무선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위치 등록 요구 메시지에 대응되는 위치 등록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1종 액세스 장치(200-1)로 전송한다(S112).
그리고, 제1종 액세스 장치(200-1)은 수신한 위치 등록 응답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114).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망 접속 관리 방법에서는 액세스 게이트웨이에 의한 망 접속 관리 방법과, 이동 단말기에 의한 망 접속 관리 방법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통해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에 의한 망 접속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 게이트웨이에서의 이동 단말기 망 접속 관리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망 접속 관리 방법은 이동 단말기(100)가 셀룰라망의 제1종 액세스 장치(200-1)로 접속하고 있다고 가정하에 이루어진다.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는 타 망(외부의 망)로부터 이동 단말기(100)로 전 송될 무선랜의 데이터를 수신하면(S200), 이동 단말기(100)가 어느 망에 접속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의 접속 상태를 체크한다. 이때,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는 위치 등록기(600)와의 연동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접속 상태를 체크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는 이동 단말기(100)의 접속 상태가 무선랜에 접속되어 있지 않고, 셀룰러망에만 접속되어 있는 상태이면, 이동 단말기(100)의 페이징 절차를 수행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는 수신된 데이터의 형식과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망 중에 이동 단말기(100)가 데이터를 수신이 가능한 망(무선랜)을 선택한다(S202).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는 수신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선택된 무선랜으로 이동 단말기(100)를 접속시키기 위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가 접속 중인 제1종 액세스 장치(200-1)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204).
제1종 액세스 장치(200-1)는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로부터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206).
이동 단말기(100)는 제1종 액세스 장치(200-1)를 통해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페이지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무선랜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한 후에, 셀룰러망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하여 셀룰러망과의 연결을 끊는다(S208).
그리고 나서,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랜 연결을 위한 서비스 개시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여 주변 제2종 액세스 장치(300-2)로 전송한다(S210).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서비스 개시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무선랜의 연결 설정이 되지 않는 경우에, 무선랜의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하고, 다시 셀룰러망의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여 셀룰러망을 통해 무선랜 접속이 되지 않음을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로 알린다.
제2종 액세스 장치(300-2)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서비스 개시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서비스 개시 요구 메시지를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로 전송한다(S212).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는 제2종 액세스 장치(300-2)로부터 이동 단말기(100)의 서비스 개시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여,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와 제2종 액세스 장치(300-2), 이동 단말기(100)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한 연결 설정을 수행한다(S214). 이때,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는 이동 단말기(100)가 제2종 액세스 장치(300-2)로 접속되었음을 위치 등록기(600)에 등록한다.
그리고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216).
다음은 도 4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의한 망 접속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망 접속 관리 시스템을 통한 이동 단말기 의 망 접속 관리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망 접속 관리 방법은 이동 단말기(100)가 셀룰러망의 제1종 액세스 장치(200-1)로 접속하고 있다고 가정하여 이루어진다.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는 타 망(외부의 망)로부터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될 무선랜의 데이터를 수신하면(S200), 이동 단말기(100)가 어느 망에 접속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의 접속 상태를 체크한다. 이때,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는 위치 등록기(600)와의 연동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접속 상태를 체크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는 이동 단말기(100)의 접속 상태가 무선랜은 접속되어 있지 않고, 셀룰러망에만 접속되어 있는 상태이면, 이동 단말기(100)의 페이징 절차를 수행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는 수신된 데이터의 QoS 트래픽 특성 정보를 통해 데이터 형식을 확인하고,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가 타 망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는 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수신된 데이터의 QoS 트래픽 특성 정보가 포함된 형식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는 이동 단말기(100)가 효율적인 망 접속을 수행하도록 형식 정보가 포함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1종 액세스 장치(200-1)로 전송한다(S302).
제1종 액세스 장치(200-1)는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로부터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304).
이동 단말기(100)는 제1종 액세스 장치(200-1)로부터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형식 정보를 기초로 접속 가능한 망 중 무선랜을 선택한다(S306).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랜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한 후에, 이동 단말기(100)는 제1종 액세스 장치(200-1)의 연결을 끊고, 무선랜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한다(S308).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주변의 제2종 액세스 장치(300-2)로 서비스 개시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S310).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서비스 개시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무선랜의 연결 설정이 되지 않는 경우에, 무선랜의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하고, 다시 셀룰러망의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여 셀룰러망을 통해 무선랜 접속이 되지 않음을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로 알린다.
제2종 액세스 장치(300-2)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서비스 개시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서비스 개시 요구 메시지를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로 전송한다(S312).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는 제2종 액세스 장치(300-2)로부터 이동 단말기(100)의 서비스 개시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여,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와 제2종 액세스 장치(300-2), 이동 단말기(100)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한 연결 설정을 수행한다(S314). 이때,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는 이동 단말기(100)가 제2종 액세스 장치(300-2)로 접속되었음을 위치 등록기(600)에 등록한다.
그리고 액세스 게이트웨이(400-1)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316).
한편, 도3 및 도4를 통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동 단말기(100)가 무선랜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셀룰러망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를 셀룰러망으로 페이징할 수 있다. 또한, 무선랜 및 셀룰러망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종망간의 이동 단말기 이동에 대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망 접속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망 접속 관리 시스템의 이동 단말기 위치 등록 방법을 도시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 게이트웨이에서의 이동 단말기 망 접속 관리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망 접속 관리 시스템을 통한 이동 단말기의 망 접속 관리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Claims (7)

  1. 적어도 둘 이상의 망을 포함하는 멀티 통신망의 이동 단말기 접속을 관리하는 시스템에서의 통신망 접속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한 제1망 접속단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타 망으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형식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제2망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제2망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망 접속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기 제2망 접속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제1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망 접속 관리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2망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망 접속 관리 방법.
  4. 적어도 둘 이상의 망을 포함하는 멀티 통신망의 이동 단말기 접속을 관리하는 시스템에서의 통신망 접속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한 제1망 접속단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타 망의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제1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망을 선택하도록 상기 제1 데이터에 대한 형식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망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망 접속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기 제2망 접속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제1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망 접속 관리 방법.
  6. 적어도 둘 이상의 망을 포함하는 멀티 통신망의 접속을 관리하는 액세스 게이트웨이로 접속하는 이동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관리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망에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인터페이스 중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망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제1망을 통해 상기 액세스 게이트웨이로부터 형식 정보-여기서, 형식 정보는 상기 액세스 게이트웨이가 타 망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형식을 포함함.-가 포함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형식 정보를 기초로 제2망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제2망의 제2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2망으로 접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망 접속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망으로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제2망의 접속단으로 서비스 개시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게이트웨이와 연결 설정을 맺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를 상기 제2망의 접속단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망 접속 관리 방법.
KR1020070119913A 2007-11-22 2007-11-22 통신망 접속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50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913A KR100950767B1 (ko) 2007-11-22 2007-11-22 통신망 접속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913A KR100950767B1 (ko) 2007-11-22 2007-11-22 통신망 접속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207A true KR20090053207A (ko) 2009-05-27
KR100950767B1 KR100950767B1 (ko) 2010-04-05

Family

ID=40860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9913A KR100950767B1 (ko) 2007-11-22 2007-11-22 통신망 접속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7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7219A3 (en) * 2017-03-15 2018-10-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handling a ue that is in the idle stat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264B1 (ko) * 2003-08-29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양한 억세스망들이 중첩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음성 및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754648B1 (ko) * 2004-02-11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이동통신 시스템 사이의 핸드 오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95234B1 (ko) * 2005-05-31 2007-03-14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ev-do 액티브 데이터 세션에서1x 트래픽 채널 상태로 스위칭하는 방법
KR100678522B1 (ko) * 2005-09-23 2007-02-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7219A3 (en) * 2017-03-15 2018-10-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handling a ue that is in the idle state
EP3817502A3 (en) * 2017-03-15 2021-08-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handling a ue that is in the idle state
US11202249B2 (en) 2017-03-15 2021-12-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ling a UE that is in the idle state
US20220095210A1 (en) * 2017-03-15 2022-03-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ling a ue that is in the idle state
US11889405B2 (en) 2017-03-15 2024-01-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ling a UE that is in the idle st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0767B1 (ko) 2010-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9970B2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community wireless local area network for voice and high speed data communication
KR100544249B1 (ko) 이동 무선 라우터
US10264140B2 (en) Billing engine and method of use
CN101040463B (zh) 用于连接移动通信网络和无线网络的双模式移动终端的切换系统和方法
US75618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ering wireless terminals with access point through wireless network
US10637997B2 (en) Billing engine and method of use
US20030139180A1 (en) Private cellular network with a public network interface and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extension
US20050059396A1 (en) Communications protocol between a gateway and an access point
US8300578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seamless roaming through the use of routing update messages
US20100208694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method, core network, user equipment, and program
CN108055691A (zh) 发现经由无线网络可用的网络信息
CN104335637A (zh) 接入点检测
US963512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10126359A (ko)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테더링 서비스 수행 방법
KR20060063618A (ko) 인터워킹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방법
KR100726852B1 (ko) 다중 모드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신 경로 제어 방법
WO2008080769A1 (en) Mobile access
CN104871567A (zh) 将全局运营商设备id扩展至被聚合设备
CN113949994A (zh) 临近服务通信方法、管理网元、终端设备和通信系统
CN109905298B (zh) 家庭基站、系统及家庭基站接入网络的方法
KR100950767B1 (ko) 통신망 접속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3063404A2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community wireless local area network for voice and high speed data communication
TWI390933B (zh) 傳遞媒體獨立交接能力資訊之無線通信方法及系統
KR100670795B1 (ko) 이종망에서 사용 가능한 통합 핸드셋 구성 관리자 및 이를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접근 방법
JP2004356950A (ja) 無線端末及び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