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2570A -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 및 그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52570A KR20090052570A KR1020070119149A KR20070119149A KR20090052570A KR 20090052570 A KR20090052570 A KR 20090052570A KR 1020070119149 A KR1020070119149 A KR 1020070119149A KR 20070119149 A KR20070119149 A KR 20070119149A KR 20090052570 A KR20090052570 A KR 200900525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nent
- evaluation
- creation
- question
- typ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9432 framing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0800 human was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0282887 Su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0282461 Canis lup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836 Camelus dromeda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3—Education institution selection, admissions, or financial ai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시스템은, 문제의 유형과, 문제를 작성할 때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는 문제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문제의 유형에 따라서 저장 및 관리하고, 또한 상기 문제틀에 삽입되어 문제를 구성할 복수의 컴포넌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정보 중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는 서로 관련시켜서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 저장시스템; 및 상기 문제의 틀을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고, 문제 출제자에 의해 상기 문제 틀에 하나의 컴포넌트가 삽입되면, 삽입된 컴포넌트와 관련된 다른 컴포넌트에 대한 정보를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는 문제작성 및 평가 서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문제출제자는 소정 횟수의 선택으로 문제를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문제를 출제하는데 사용되는 인적 낭비와 시간적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평가도 자동화됨에 따라, 학습자는 평가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고, 평가의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적, 인적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문제, 평가, 자동화, 문제작성 인터페이스, 이미지, 답안
Description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미리 마련된 DB를 이용하여 문제에 포함되는 이미지, 단어, 문장, 음성을 용이하게 조합하여 문제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평가도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제출제자의 인적, 시간적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확산과 학습방법의 다양화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인터넷 학습사이트가 성행하고 있다. 초창기의 인터넷 학습사이트는, 성인의 영어학습이나 수험생을 위한 온라인강의를 제공하는 학습사이트가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한글이나 영어 등의 유아용 컨텐츠를 제공하는 학습사이트들도 활발하게 생성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학습사이트들은 컨텐츠의 특성상 네트워크를 통해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평가는 과목의 각 단원 또는 단계마다 이루어지고 있으며, 평가를 위해서는 별도의 문제지가 작성되어야 한다. 이렇게 문제지를 작성하기 위해, 학습사이트의 관리업체에서는 별도의 인적, 시간적 경비를 지불해야 한다. 또한, 한번 작성된 문제지는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컨텐츠가 변경될 때마다 수정되어야 하며, 학습자가 원하는 평가를 받지 못하여 여러 번의 평가가 이루어질 경우에 대비하여 각 단원 또는 단계에 대해 복수의 문제지가 작성되어야 한다.
한편, 유아를 위한 한글이나 영어 교육용 컨텐츠의 경우, 한글이나 영어의 읽기 및 쓰기에 익숙하지 않은 유아의 특성상 거의 모든 문제에 그림이나 삽화를 삽입하는데, 이렇게 그림이나 삽화를 삽입하여 문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텐츠의 내용을 문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DB화하고, DB화된 내용으로부터 자동으로 문제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시간적, 인적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자동으로 생성된 문제를 이용하여 학습자가 평가를 수행할 경우, 평가의 결과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평가의 처리에 소모되는 시간 및 인적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을 평가할 수 있는 문제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평가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인적, 시간적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문제의 유형과, 문제를 작성할 때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는 문제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문제의 유형에 따라서 저장 및 관리하고, 또한 상기 문제틀에 삽입되어 문제를 구성할 복수의 컴포넌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정보 중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는 서로 관련시켜서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 저장시스템; 및 상기 문제의 틀을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고, 문제 출제자에 의해 상기 문제 틀에 하나의 컴포넌트가 삽입되면, 삽입된 컴포넌트와 관련된 다른 컴포넌트에 대한 정보를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는 문제작성 및 평가 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콤포넌트는, 텍스트, 사진, 동영상, 음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제작성 및 평가 서버는, 문제 유형 목록을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고, 문제 출제자가 문제 유형 목록에서 문제 유형을 선택하면, 선택한 문제 유형에 관련된 문제의 틀을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문제작성 및 평가 서버는, 문제의 주제 목록을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고 문제 출제자가 문제의 주제 목록에서 문제 주제를 선택하면 선택한 문제 주제와 관련된 컴포넌트들에 대한 정보를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공한 컴포넌트 정보를 참조하여 문제 출제자가 제1컴포넌트를 선택하도록 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제 작성 및 평가 서버는, 문제 출제자가 제1컴포넌트를 선택하면, 선택한 제1컴포넌트와 관련된 제2컴포넌트를 문제 틀에 자동적으로 삽입하여 문제를 완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문제 작성 및 평가 서버는, 문제 출제자가 제1컴포넌트를 선택하면, 선택한 제1컴포넌트와 관련된 제2컴포넌트를 문제 틀에 자동적으로 삽입하여 문제를 완성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 유형, 문제 주제, 제1컴포넌트, 및 제2컴포넌트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답안을 자동적으로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제 작성 및 평가 서버는, 상기 완성한 문제에 기초하여, 학습자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공받는 문제지를 작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문제 작성 및 평가 서버는, 상기 학습자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공받은 문제지를 푼 결과인 답안지와, 상기 자동적으로 완성한 답안과 비교하여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제작성 및 평가 서버는,
문제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 문제유형 선택창, 문제의 주제를 선택할 문제 주제 선택창, 및 컴포넌트가 삽입될 문제틀 표시창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문제작성 및 평가 서버는, 문제의 유형 목록을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제공한 문제의 유형 목록을 참조하여 문제 출제자가 문제의 유형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제작성 및 평가 서버는, 문제 출제자가 선택한 문제의 유형과 관련된 문제의 주제 목록을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제공한 문제의 주제 목록을 참조하여 문제 출제자가 문제의 주제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문제작성 및 평가 서버는, 문제 출제자가 선택한 문제의 주제와 관련된 컴포넌트 목록을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제공한 컴포넌트 목록을 참조하여 문제 출제자가 제1컴포넌트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제틀 표시창은, 이미지가 배치될 이미지 표시창과 이미지에 대한 설명이 표시될 문자창을 포함하며, 제1컴포넌트는 상기 이미지 표시창에 삽입시키고, 제1컴포넌트와 관련된 제2컴포넌트를 상기 문자창에 자동적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문제작성 및 평가 서버는, 문제 유형 목록을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고, 문제 출제자가 문제 유형 목록에서 문제 유형을 선택하면, 선택한 문제 유형에 관련된 문제의 틀을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는 문제작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제 작성부는, 문제의 주제 목록을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고 문제 출제자가 문제의 주제 목록에서 문제 주제를 선택하면 선택한 문제 주제와 관련된 컴포넌트들에 대한 정보를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공한 컴포넌트 정보를 참조하여 문제 출제자가 제1컴포넌트를 선택하도록 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문제 작성부는, 문제 출제자가 제1컴포넌트를 선택하면, 선택한 제1컴포넌트와 관련된 제2컴포넌트를 문제 틀에 자동적으로 삽입하여 문제를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제 작성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 유형, 문제 주제, 제1컴포넌트, 및 제2컴포넌트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답안을 자동적으로 완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문제 작성 및 평가 서버는, 상기 완성한 문제에 기초하여, 학습자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공받는 문제지를 작성하는 문제지 및 답안지 작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제 작성 및 평가 서버는, 상기 학습자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공받은 문제지를 푼 결과인 답안지와, 상기 자동적으로 완성한 답안과 비교하여 평가하는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상기 목적은, 또한, 문제의 유형과, 문제를 작성할 때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는 문제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문제의 유형에 따라서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상기 문제틀에 삽입되어 문제를 구성할 복수의 컴포넌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정보 중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는 서로 관련시켜서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문제의 틀을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문제 출제자에 의해 상기 문제 틀에 하나의 컴포넌트가 삽입되면, 삽입된 컴포넌트와 관련된 다른 컴포넌트에 대한 정보를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 다.
한편, 상기 방법은, 문제 유형 목록을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고, 문제 출제자가 문제 유형 목록에서 문제 유형을 선택하면, 선택한 문제 유형에 관련된 문제의 틀을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문제의 주제 목록을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고 문제 출제자가 문제의 주제 목록에서 문제 주제를 선택하면 선택한 문제 주제와 관련된 컴포넌트들에 대한 정보를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공한 컴포넌트 정보를 참조하여 문제 출제자가 제1컴포넌트를 선택하도록 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법은, 문제 출제자가 제1컴포넌트를 선택하면, 선택한 제1컴포넌트와 관련된 제2컴포넌트를 문제 틀에 자동적으로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문제 출제자가 제1컴포넌트를 선택하면, 선택한 제1컴포넌트와 관련된 제2컴포넌트를 문제 틀에 자동적으로 삽입하여 문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법은,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 유형, 문제 주제, 제1컴포넌트, 및 제2컴포넌트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답안을 자동적으로 완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완성한 문제에 기초하여, 학습자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공받을 문제지를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법은, 상기 학습자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공받은 문제지를 푼 결과인 답안지와, 상기 자동적으로 완성한 답안과 비교하여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문제출제자는 문제의 유형에 따른 문제틀을 자동적으로 제공받고, 또한 문제의 주제에 따른 이미지 목록등을 자동으로 제공받으므로, 문제를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 문제를 출제하는데 사용되는 인적 낭비와 시간적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자동적으로 문제를 만들고 답안도 자동적으로 생성하므로, 틀리지 않는 정확한 답안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네트워크 상에서 평가를 위한 문제와 답안을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의 블럭구성도이다.
본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1)은, 네트워크를 통해 문제출제자 단말기(3) 및 학습자 단말기(5)와 통신가능하며, 문제작성 및 평가 서버(20)(이하, "서버"라고 함)와 문제를 구성하는 컴포넌트, 문제의 유형, 및 문제의 유형에 따른 문제틀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 저장시스템을 포함 한다.
문제작성 및 평가 서버(20)(이하, "서버"라고 함)는, 문제작성부(25), 문제지 및 답안지 작성부(27), 및 평가부(29)를 포함한다.
DB시스템(30)은, 문제 컴포넌트 DB(33), 문제 및 답안 DB(35), 문제 유형DB(37), 문제지 및 답안지 DB(38), 학습자 DB(39), 및 DB서버(31)를 포함한다.
데이터 저장 시스템은 DB시스템(30), 및 저장부(40)를 포함한다.
문제 컴포넌트 DB(33)에는 문제와 답안을 구성하는 컴포넌트 정보를 저장한다. 문제 컴포넌트 DB(33)는, 예를 들면, 텍스트(단어, 문장), 이미지(사진, 동영상), 및 음성에 대한 정보를 관련어들과 함께 저장한다. 예를 들어, 문제 컴포넌트 DB(33)는, 어린이 동화 '돼지삼형제'에 관련된 단어, 문장, 이미지, 음성에 대한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도 5a는 문제 컴포넌트 DB(33)가 저장하는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예시적 테이블(150)은, 이름, 관련어, 이미지 파일, 음성파일, 문장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테이블(150)에서, "돼지"란 이름의 경우, 관련어로서, 동화, 돼지삼형제, 동물, 가축, 포유류 등의 관련어와 함께, TIF, JPG, 비트맵 등의 형태로 작성된 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가 서로 관련되어 저장되어 있다. 이름에 관련된 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는 본 테이블(150)에서 하나를 포함하고 있지만, 복수개 일 수도 있다. 한편, 본 테이블은 상세하게는, "이미지 파일이 저장된 주소"와 "돼지"를 관련시킨다. 실제 이미지 파일이나 음성 파일은 저장부(40)에 저 장된다.
예를 들어, 관련어는 pig와 같은 영어도 포함할 수 있다. 테이블(150)은, 하나의 이름에 대해 2개 이상의 이미지파일을 관련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하나의 이미지에 대하여 이름이나 관련어를 각각 복수 개 관련시켜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테이블(150)이 포함하는 이름, 관련어, 문장, 주제어인 돼지삼형제 등은 문제주제 선택창(120)을 통해 입력되는 검색어가 될 수 있다.
문제 컴포넌트 DB(33)가 저장하는 테이블(이하, "컴포넌트 테이블"이라고 함)은, 예를 들면 동화책에 있는 모든 동물의 명칭, 그 동물에 대한 사진에 대한 정보(ex)사진이 저장된 물리적 주소), 동화책의 내용을 특징적으로 설명하는 문장, 동물을 설명하는 음성에 대한 정보(ex)음성 파일이 저장된 물리적 주소), 동화책의 내용과 관련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정보(ex) 동영상 파일이 저장된 물리적 주소)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문제 컴포넌트 DB(33)가 저장하는 컴포넌트 테이블은, 이름과 관련어를 서로 연관시키고, 또한 음성파일과 이미지 파일을 관련시켜서 저장한다. 예를 들면 문제에 이미지가 삽입될 때 그와 관련된 음성이 문제지에 자동적으로 삽입되도록 관련시켜서 저장한다. 즉, 문제 컴포넌트 DB(33)는, 문제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관련시켜서 저장함으로써, 서로 관련된 내용들은 상호 검색이 용이하도록 저장한다.
문제 및 답안 DB(35)는, 문제 작성부(25)에 의해 작성된 문제와 답안이 저장된다. 본원 명세서에서, "문제"와 "문제지"는 서로 구별되는 의미로 사용한다. 즉, "문제지"는 학습자에 제시될 설문지를 구성하는 데 필요한 거의 모든 정보(설문지에 나타나는 문제들간의 간격이라던지, 여백, 글자체, 그림의 구체적 위치, 이미지 파일, 음성 파일,...등)를 포함하며, "문제"는 "문제지"를 생성하는 데 필수적 정보(질문, 예문, 이미지파일의 주소, 음성 파일의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문제 및 답안 DB(35)에서 저장하는 문제는, 이미지 파일 또는 음성 파일이 포함되는 경우, 그러한 이미지 파일의 저장주소나 음성 파일의 저장주소를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답안"과 "답안지"는 서로 구별되는 의미로 사용한다. 즉, "답안지"는 학습자에게 제시될 최종 형태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거의 모든 정보(답안의 간격, 여백, 글자체, 이미지 파일, 음성 파일, 등등)를 포함한 것을 의미하고, "답안"은 "답안지"를 생성하는데 필수적인 정보(질문, 답, 이미지 파일의 주소, 음성 파일의 주소,.. 등)를 의미한다.
문제 및 답안 DB(35)는, 문제를 저장함에 있어서, 그 문제를 작성한 날짜, 그 문제의 출제자, 그 문제의 유형 등과 같은 부수정보를 같이 저장할 수 있다.
문제 유형 DB(37)는, 문제의 유형의 종류와 각 문제의 유형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는, 문제의 유형이 정해지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달라진다. 구체적으로는, 문제틀이 달라진다. 이를 위해서, 문제 유형 DB(37)는, 문제의 유형의 종류에 대한 목록(이하, "문제 유형 목록"이라고 함)을 저장하고, 각각의 문제 유형에 대응되는 문제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문제틀에 대한 정보는 i) 문제틀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 또는 ii) 문제틀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주소를 의미한다.
문제 유형 DB(37)는, 서버(20)로부터 문제 유형에 대한 문제틀의 문의가 있으면, 문제 유형에 대응되는 문제틀에 대한 정보를 서버(20)로 전달한다. 서버(20)는 문제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문제틀을 표시한다.
문제 유형 DB(37)가 저장하는 문제의 유형은 학습하는 과목이나, 학습자의 연령 또는 학령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것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아원이나 유치원 학령기의 아동은 읽기나 쓰기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국어나 영어의 학습 후 평가를 위해, 간단한 단어나 문장과 함께 그림이나 사진을 이용한 문제의 유형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를 통한 학습의 경우, 단순 그림이나 사진뿐만 아니라 동영상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동영상, 사진, 그림 등을 통칭하는 의미로 "이미지"란 용어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동에게 국어나 영어의 학습평가를 위해 자동적으로 문제를 작성하는 유형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작성되는 문제의 유형으로는, 예를 들면, 동화구성하기, 동화의 다음 상황 예측하기, 길찾기, 관계없는 그림 버리기, 선긋기, 틀린 그림 찾기, 문제에서 설명하는 그림찾기, 퍼즐조각 맞추기, 순서대로 그림 옮겨놓기, 동화 속 상황에 맞는 문장찾기, 숨음 그림 찾기, 분류하기, OX문제, 및 단어완성하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문제 유형 DB(37)는, 문제 유형별로 미리 설정된 문제지 조건이나 답안지 조건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문제 유형별로 미리 설정된 문제지 조건이나 답안지 조건을, 문제 유형 DB(37)가 아닌 별도로 마련된 DB(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문제지 조건이나 답안지 조건에 대한 정보는, 후술할 문제지 및 답안지 작성부(27)로 제공된다.
학습자 DB(39)는 온라인 학습자의 신상정보 및/또는 학습정보를 저장한다. 신상정보로는 이름, ID, 패스워드, 나이, 주소 등을 포함하며, 학습정보로는 학습단계, 진도정보, 평가결과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평가결과에 대한 정보는, 학습자의 답안지, 채점결과를 포함한다.
DB서버(31)는, 서버(2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문제 컴포넌트 DB(35), 문제 및 답안 DB(35), 문제 유형 DB(37), 문제지 및 답안지 DB(38), 및 학습자 DB(39)로부터 정보를 전달한다.
저장부(40)는 문제지, 답안지, 또는 문제 작성시나 문제지 작성시에 사용자에게 제공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 이미지 파일, 또는 음성 파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문제작성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도 3a, 3b, 4a, 4b, 및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문제작성 인터페이스는 도 3a와 같이 문제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 창(110)을 제공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인터페이스는 미리 "동화 구성하기", "길찾기", "동화의 다음 상황 예측하기", 또는 "관계없는 그림 버리기" 처럼 목록을 제공하여 문제출제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여기서, 구체적인 목록은 예시적인것임은 당연하다. 문제작성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문제 유형 목록은, 문제 유형 DB(37)에 저장될 수 있다. 후술하는 문제 작성부(25)는 문제 유형 DB(37)에 저장된 문제 유형 목록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도 3a와 같이 문제 출제자가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문제출제자가 문제 유형을 선택하도록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은 도 3과는 다른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a는 주어진 문제 유형 목록에서 문제 유형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지만, 이와 달리 문제 유형을 검색하는 검색어를 110 창에 쓰면, 그 검색어가 포함되는 문제 유형 목록을 제공하는 방식으로도 가능하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제 유형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3a와 달리 도 3b의 인터페이스는, 문제 유형 목록을 선택할 수 있는 창(110)과 함께, 문제의 주제를 선택할 수 있는 문제주제 선택창(120), 및 문제유형에 대응하는 문제의 틀이 표시되는 문제틀 표시창(130)을 같이 제공한다.
도 3b의 인터페이스는, 문제 유형을 선택함과 동시에 이미지를 선택하는 문제틀 표시창(130)이 바로 문제 유형에 맞도록 셋팅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문제 유형을 선택하고, 문제의 주제를 선택하면, 문제 유형에 맞도록 문제틀 표시창(130)이 셋팅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3a의 화면에서, 예를 들어 "관계없는 그림 버리기"란 문제 유형이 선택되면, 문제 작성부(25)에서는 문제 유형 DB(37)에 문의하여 "관계없는 그림 버리기"란 문제 유형에 대응되는 문제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그 정보를 이용하여 문제출제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도 4a는 "관계없는 그림 버리기" 문제 유형이 선택된 경우, 그 유형에 대한 문제틀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 타낸 것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관계없는 그림 버리기" 문제 유형의 문제틀은, 문제의 주제를 선택할 수 있는 문제주제 선택창(120), 선택된 문제유형에 해당하는 문제의 틀이 표시되는 문제틀 표시창(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문제틀 표시창(130)은, 이미지가 배치되는 복수개의 이미지 창(135)과, 각 이미지에 대한 명칭, 설명, 학습내용이 표시되는 복수개의 문자창(140)을 표시한다.
문제주제 선택창(120)에 사용자가 문제의 주제에 관련된 단어를 입력한 후, 이후에 이미지 창(135)에 이미지를 입력하고자 할 때 입력한 단어와 관련된 이미지파일의 목록을 제공한다. 이때, 이미지 파일의 목록은 사용자에게 팝업(미도시)의 형태로 제공되거나, 또는 문제유형 선택창(110)처럼 펼쳐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b는, 문제의 주제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b에 따른 인터페이스는, 문제의 주제를 선택할 수 있는 목록(이하, "문제의 주제 목록"이라 함)을 제공하고 있다.
문제 주제 목록은, 문제 컴포넌트 DB(33)에서 저장하는 콤퍼넌트 테이블로부터 제공된다.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문제 작성부(25)는, 문제 컴포넌트 DB(33)에 주제 목록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며, 문제 컴포넌트 DB(33)는 돼지삼형제, 흥부와 놀부, 백설공주, 아라비안 나이트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 목록을 문제 작성부(25)로 제공하면, 문제 작성부(25)는, 도 4b와 같은 화면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문제 작성부(25)가 제공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문제의 주 제 목록은, 문제의 유형에 따라서 달리 제공될 수 있다. 도 5a의 테이블에는 미도시 되어 있지만, 각각의 데이터 레코드마다 관련된 문제의 유형이 지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름이 "돼지", "늑대", 및 "나무" 데이터 레코드들은 모두 "관계없는 그림 버리기"의 문제 유형과 지정되고, 이름이 "제비", "박씨", "흥부" 데이터 레코드들은 모두 "관계없는 그림 버리기' 의 문제 유형과, "동화 구성하기"의 문제 유형으로 지정되고, 이름이 "사과", "난쟁이", "낙타"인 데이터 레코드들은 모두 "길찾기"와 "관계없는 그림 버리기"의 문제 유형으로 지정될 수 있다. 이렇게 지정되는 경우, 문제의 유형에서 "관계없는 그림 버리기"를 선택된 경우, 문제의 주제 목록은 돼지삼형제, 흥부와 놀부, 백설공주, 아라비안 나이트를 포함할 것이고, 만약 문제의 유형이 "길찾기"로 선택된 경우 문제의 주제 목록은 "백설공주"와 "아라비안 나이트"를 포함할 것이다. 즉, 문제 작성부(25)는, 문제의 유형별로 서로 다른 주제 목록을 문제출제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문제작성부(25)는, 문제출제자에게 문제를 작성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제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서 문제를 작성하며, 작성한 문제를 문제 및 답안 DB(35)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제작성부(25)는, 문제의 유형 목록을 문제출제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출제자가 문제 유형을 선택한 경우, 문제작성부(25)는, 문제의 주제 목록을 문제출제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문제작성부(25)는, 문제의 주제 목록으로부터 문제 출제자가 주제를 선택한 경우, 그 선택한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파일이나 음성 파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제작성부(25)에서 도 3a나 도 3b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한 경우, 문제출제자가 문제작성 인터페이스(100)에서 문제유형 선택창(110)을 통해 '단어완성하기' 문제유형을 선택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제틀 표시창(130)에 이미지가 삽입될 이미지창(235), 이미지에 대한 단어가 표시될 단어창(237), 단어창(237)의 빈칸에 들어갈 단어 또는 알파벳이 표시되는 답안창(239)이 표시된다. 계속해서, 문제주제 선택창에 돼지삼형제를 선택한 경우, 문제 작성부(25)는 선택한 주제 "돼지삼형제"와 관련된 다른 정보를 문제컴포넌트 DB(33)에 문의한다.
예를 들어, 문제출제자가 문제주제 선택창(120)에서 돼지삼형제를 선택한 후, 이미지창(235)에 삽입할 이미지를 선택하고자 할 때, 문제 작성부(25)는 이미지 목록을 문제출제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제공하는 이미지 목록은, 돼지삼형제와 관련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5b의 컴포넌트 테이블을 참조하면, 돼지삼형제와 관련된 이미지 목록은, "돼지. tif", "늑대.jpg", 및 "나무집.bmp"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할 것이다. 이로써, 문제출제자는 돼지삼형제와 관련된 이미지들에 대한 정보만을 볼 수 있어서, 혼란 없이 문제를 작성하기에 용이하게 된다.
이후, 문제출제자가 이미지 목록에서 "돼지. tif"를 선택하면, 이미지창(235)에는 돼지의 이미지가 삽입되어 표시돤다. 이후, 문제 작성부(25)는 단어창(237)에 'Pi?'가 자동적으로 표시하고, '?' 위치에 해당하는 알파벳을 묻는 문제를 작성한다. 그리고, 답안창(239)에는 정답인 'g'를 포함하여 임의의 알파벳 'a', 'f', 'b'를 선택하여 표시한다.
이제, 도 5b를 참조하여, 단어창에 'Pi?'를 자동적으로 표시하는 문제 작성부(22)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b와 같은 경우, 문제 작성부(22)는, 문제 출제자가, 문제의 유형을 '단어완성하기', 주제어를 '돼지삼형제', 이미지 창에 삽입할 이미지 파일을 "돼지.tif"로 선택하였다면, 자동적으로 이름이 "돼지"란 데이터 레코드에서 텍스트('Pig') 를 읽어와서 단어창(237)에 자동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표시할 때, 마지막 'g'는 빼고 표시한다. 그리고, 추후, 맨 마지막 글자 'g'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답안창이나 답안을 만드는데 사용한다.
이제, 문제 작성부(22)가, 답안창(239)에 정답인 'g'를 포함하여 임의의 알파벳 'a', 'f', 'b'가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제 작성부(22)는, 문제 컴포넌트 DB(33)로부터 "Pig"란 텍스트를 받았을 때, 마지막 텍스트 g는 따로 저장하여 둔다(예를 들면, 저장부(40)나 아니면 별도로 마련한 저장매체(미도시)에 저장). 그리고, 답안창(239)에 넣을 알파벳으로서, 따로 저장한 'g'를 선택하고, 그리고 'g'가 아닌 임의의 다른 알파벳들 무작위로 선택하여 표시한다.
이상과 같은 동작들을 통해서, 문제 작성부(22)는 단어창(237), 및 답안창(239)에 삽입될 데이터들을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고, 추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답안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문제 유형을 토대로, 문제 작성부(22)의 동작을 설명한다.
문제출제자가 '동화의 다음 상황 예측하기' 문제유형을 선택하고, 문제주제 선택창(120)을 통해 '돼지삼형제'를 입력하면, 문제 작성부(22)는 돼지삼형제 동화의 각 장면들과 그 장면들에 대한 설명을 목록으로서 제공한다. 문제출제자가 현재 상황에 대한 삽화나 문장을 선택하면, 문제작성부(25)는, 현재 상황의 다음 상황에 해당하는 삽화와, 이와 무관한 다른 장면의 삽화를 선택하여 문제틀 표시창(130)에 나타난 각각의 창에 삽입한다. 이러한 예의 경우, 문제 컴포넌트 DB(33)는 돼지삼형제 동화의 각 장면의 이미지(정확하게는 각 장면 이미지(파일)가 저장된 주소)를 저장하고, 각 이미지간의 순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이제, 답안창에 삽화들을 자동적으로 표시하는 문제 작성부(22)의 동작을 설명한다.
컴포넌트 테이블이, 돼지삼형제 동화의 각 장면의 이미지를 모두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각 장면에 대한 순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문제 작성부(22)는, 문제의 유형이 '동화의 다음 상황 예측하기'이고, 주제어가 '돼지삼형제'이라면, 문제출제자에게 우선 돼지삼형제 동화의 각 장면의 이미지 목록이나 아니면 썸이미지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목록을 출제자가 보고,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면, 문제 작성부(22)는, 선택한 이미지의 바로 다음 순서에 대한 이미지 정보(이미지가 저장된 주소)와 다른 이미지 정보를 문제 컴포넌트 DB(33)에 문의하여 획득한다. 여기서, 다른 이미지 정보는 순서가 무작위로 섞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획득한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문제 작성부(22)는 답안창(239)에 이미지들을 자동적으로 삽입한다. 이 과정에서 정답이 되는 이미지 정보는 답안 작성을 위해서 별도로 저장(예를 들면, 문제 및 답안지 DB)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문제 작성부(25)는, 생성한 문제에 대하여 정답을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단어완성하기'의 문제유형에서, 주제어가 '돼지삼형제'이고, 이미지 창에 삽입되는 이미지 파일의 이름이 "돼지.tif"인 경우, 그 답안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본 예의 경우 상술하였지만, 문제 작성부(25)는 'g'라는 정답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고 문제 및 답안 DB(35)에 저장할 수 있다. 문제 작성부(25)는 'g'라는 정답에 대한 정보(도 7를 참조하면, "1번"이라는 정보)와, 문제 번호와 같은 문제 식별정보를 서로 연관시켜서 저장시킨다. 문제 작성부(25)는, 문제마다 'g' 라는 정답과 함께 문제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서로 연관시켜서 저장시킨다.
문제지 및 답안지 작성부(27)는, 문제작성부(25)에 의해 작성된 문제 및 답안을 학습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형태로 편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서 문제지와 답안지를 작성한다.
문제지 및 답안지 작성부(27)는 학습자 단말기의 화면에 알맞는 크기나 레이아웃을 갖도록 문제지를 편집하고, 물음, 부가적인 이미지 등을 삽입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제지 및 답안지 작성부(27)는 문제의 유형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방식대로 문제지나 답안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문 제지 및 답안지 작성부(27)는 문제 및 답안 DB(35)에 저장된 문제와 답안 정보를 획득하여, 문제 유형별로 미리 설정된 조건(예를 들면, 단어 완성하기의 문제는, 도 7과 같이 그림이 좌측 상단에 배치되고, 그 그림 밑에 지문이 배치되고, 예문은 오른쪽으로 가로형태로 제시되는 조건)에 문제지나 답안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문제 유형별로 미리 설정된 문제지 조건이나 답안지 조건에 대한 것은, 문제유형 DB(37)에 저장될 수 있다.
문제지 및 답안지 작성부(27)는, 예를 들면, 도 6에 의해 작성된 '단어완성하기' 문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문제지로 작성하고, '동화 다음 상황 예측하기' 문제유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문제지로 작성하고, '관계없는 그림 버리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문제지로 작성할 수 있다. 이처럼 도 7, 도 8, 또 도 8과 같은 문제지 조건들은 문제유형 DB(37)에 저장되어 있고, 그 조건을 문제지 및 답안지 작성부(27)가 이용하여 문제유형별로 문제지나 답안지를 작성한다.
한편, 문제지 및 답안지 작성부(27)는 문제지나 답안지를 생성함에 있어서, 문제지 작성 조건과 답안지 작성 조건을 문제출제자가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미도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성할 문제지가 몇 년도 시험문제인지, 예를 들면, 2007년도인지 아니면 2008년도 인지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문제지 및 답안지 DB(38)는, 문제지 및 답안지 작성부(27)가 작성한 문제지나 답안지를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된 문제지나 답안지는 평가부(29)에 의해 학습자의 단말기로 제공된다.
평가부(29)는, 문제지 및 답안지 DB(38)에 저장된 문제지를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자의에 의해 혹은 시기가 도래하여 평가를 받아야 하는 경우, 평가부(29)는 문제지를 학습자 단말기(5)로 제공한다. 학습자가 문제지를 풀 때, 학습자 단말기(5)로 문제가 표시됨은 물론이고 문제에 포함된 단어나 문장은 음성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이는 학습자가 쓰기나 읽기에 익숙하지 아니한 경우에도 학습자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평가부(29)는, 학습자가 답안을 선택할 때, 답안의 번호나 이미지를 클릭하면 선택한 번호나 이미지에 동그라미, 'V', 이미지의 색상을 변경시키거나 이미지의 테두리 생성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답안의 선택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평가부(29)는, 학습자가 그 문제지를 풀면, 학습자가 선택한 답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학습자의 답안지를 별도로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자의 답안지는 학습자 DB(39)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학습자의 답안지는 별도로 구비되는 저장매체(미도시)에 저장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따른 평가부(29)는, 추가적으로, 답안과 학습자의 답안지를 비교하여 채점을 하고, 채점 결과를 학습자 DB(39)에 저장할 수 있다. 평가부(29)는 문제 및 답안 DB(35)에 저장된 답안과, 학습자 DB(39)에 저장된 학습자 답안지를 비교하여 자동적으로 채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의 블럭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네트워크가 인터넷인 경우에는 웹서버 를 추가적으로 구비한 것으로서, 인터넷을 하기 위해서 웹서버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것은 널리 알려진 구성이므로, 웹서버 자체의 구성에 대하여는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겠다.
본 실시예에서, 웹서버(10)는 도 1의 실시예를 웹서비스로 제공하며, 학습자 단말기(5)나 문제출제자 단말기(3)도 웹서버(10)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웹 클라인언트를 내장한다. 문제지 및 답안지 DB(38)에 저장된 문제지는 웹서버(10)에 의해 소정의 형식으로 바뀌어서 학습자 단말기(5)로 전송되게 된다.
도 1과 도2의 실시예는 집중형 시스템을 상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분산형 시스템으로도 구현가능하다. 즉, 각각의 기능블록들이 네트워크를 통해서 작용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평가부(29)는 문제지를 학습자에게 출제하고, 학습자의 답안을 수신하고, 학습자의 답안지를 평가하는 동작을 수행하였지만, 이와 달리, 문제지를 학습자에게 출제하고, 학습지의 답안을 수신하는 기능블록을 별도로 두고, 평가부는 평가하는 동작만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성으로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문제, 답안, 문제지, 답안지, 문제 유형, 학습자 정보등을 별도의 DB로 구축한 구성을 채택하였지만, 이와 달리 하나의 DB 또는 두개의 DB 로 구축(즉, 더 적은 개수의 DB로 구축)하거나 또는 더 많은 개수의 DB로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DB들은, 웹을 통하여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문제 컴포넌트를 업데이트 하기 위한 단말기(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하고, 그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제 컴포넌트 DB의 문제 컴포넌트를 추가, 변경, 삭제 등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는 물론, 인터넷을 통하여 문제 컴포넌트 DB에 접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 기능별로 문제작성부, 문제지 및 답안지 작성부, 평가부, 및 DB들과 같은 기능블록으로 구별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들이 가지는 기능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하나의 기능블록 또는 두개의 기능블록처럼 더 적은 개수의 기능블록으로 통합하여 구축할 수도 있고, 또는 더 많은 기능블록으로 분할하여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문제지를 작성하기 위한 별도의 단말기(미도시)를 구비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문제지를 작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예를 들면, 모니터나 키보드와 같은 장치)를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러한 장치 역시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히 설명하지 않았을 뿐, 본 발명이 구비할 수 있는 장치들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2)에서 문제 및 답안을 작성하는 과정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문제출제자가 문제 출제를 선택하면(S901), 서버(20)는 저장부(40)에 저장된 문제작성 인터페이스(100) 정보를 인출하여 문제출제자 단말기(3)로 전달한다(S902). 문제출제자가 문제작성 인터페이스(100)의 문제유형 선택창(110)에서 문제유형을 선택하면(S903), 서버(20)는 DB서버(31)로 선택된 문제유형에 대한 문제틀을 요청하고, DB서버(31)는 문제 유형 DB(37)로부터 문제유형에 해당하는 문제틀을 인출하여 서버(20)로 전달하고, 서버(20)는 문제틀 표시창(130)에 문제틀을 표시한다(S904).
문제틀이 표시되면, 문제출제자는 문제주제 선택창(120)을 통해 주제어 등의 단어를 입력하는 등의 방법으로 원하는 자료를 검색한다(S905). 예를 들어'돼지삼형제'라는 검색어를 입력하면, 검색어와 관련된 이미지 목록이 표시되고(S906), 문제출제자는 그 중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한다(S907). 이제, 문제작성부(25)는 선택된 이미지에 따라서 문제를 구성하여(S908), 문제출제자 단말기(3)로 제공하도록 한다. 문제출제자가 작성된 문제에 만족하여 '확인'버튼을 클릭하면, 문제작성부(25)는 해당 문제를 작성하여(S909), 문제 및 답안 DB(35)에 저장한다(S910).
이와 같이, 본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1, 2)에 따르면, 문제유형의 DB화, 문제 및 답안으로 작성가능한 자료들의 DB화에 따라, 문제출제자는 단순한 몇 번의 선택으로 문제를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이미지를 하나만 선택하면, 문제 유형에 따라 문제나 답안에 임의로 이미지와 단어 등이 삽입되므로, 기존에 문제를 출제하는데 사용되는 인적 낭비와 시간적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평가도 자동화됨에 따라, 학습자는 평가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고, 평가자의 경우에는 학습자의 평가를 직접 수행하지 아니하여도 되므로 편리하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의 블럭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의 블럭구성도,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제 유형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구성도,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제 유형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구성도,
도 4a는 문제틀이 형성된 상태의 문제작성 인터페이스의 구성도,
도 4b는 문제의 주제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도,
도 5a는 문제 컴포넌트 DB(33)가 저장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테이블,
도 5b는 문제 컴포넌트 DB(33)가 저장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테이블,
도 6은 도 3의 문제틀 표시창에 '단어완성하기' 문제유형에 따른 문제틀이 형성된 상태의 문제작성 인터페이스의 구성도,
도 7은 도 6의 '단어완성하기' 문제가 완성된 상태의 화면도,
도 8은 '동화의 다음 상황 예측하기' 문제가 완성된 상태의 화면도,
도 9는 '관계없는 그림 버리기' 문제가 완성된 상태의 화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에서 문제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28)
- 문제의 유형과, 문제를 작성할 때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는 문제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문제의 유형에 따라서 저장 및 관리하고, 또한 상기 문제틀에 삽입되어 문제를 구성할 복수의 컴포넌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정보 중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는 서로 관련시켜서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 저장시스템; 및상기 문제의 틀을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고, 문제 출제자에 의해 상기 문제 틀에 하나의 컴포넌트가 삽입되면, 삽입된 컴포넌트와 관련된 다른 컴포넌트에 대한 정보를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는 문제작성 및 평가 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콤포넌트는,텍스트, 사진, 동영상, 음성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문제작성 및 평가 서버는, 또한,문제 유형 목록을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고, 문제 출제자가 문제 유형 목록에서 문제 유형을 선택하면, 선택한 문제 유형에 관련된 문제의 틀을 문제 출제자 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상기 문제작성 및 평가 서버는, 또한,문제의 주제 목록을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고 문제 출제자가 문제의 주제 목록에서 문제 주제를 선택하면 선택한 문제 주제와 관련된 컴포넌트들에 대한 정보를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공한 컴포넌트 정보를 참조하여 문제 출제자가 제1컴포넌트를 선택하도록 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작성 및 평가 서버는,문제 출제자가 제1컴포넌트를 선택하면, 선택한 제1컴포넌트와 관련된 제2컴포넌트를 문제 틀에 자동적으로 삽입하여 문제를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작성 및 평가 서버는,문제 출제자가 제1컴포넌트를 선택하면, 선택한 제1컴포넌트와 관련된 제2컴포넌트를 문제 틀에 자동적으로 삽입하여 문제를 완성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 유형, 문제 주제, 제1컴포넌트, 및 제2컴포넌트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답안을 자 동적으로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상기 문제 작성 및 평가 서버는, 또한,상기 완성한 문제에 기초하여, 학습자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공받는 문제지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상기 문제 작성 및 평가 서버는, 또한,상기 학습자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공받은 문제지를 푼 결과인 답안지와, 상기 자동적으로 완성한 답안과 비교하여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문제작성 및 평가 서버는,문제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 문제유형 선택창, 문제의 주제를 선택할 문제 주제 선택창, 및 컴포넌트가 삽입될 문제틀 표시창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 가 자동화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상기 문제작성 및 평가 서버는,문제의 유형 목록을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제공한 문제의 유형 목록을 참조하여 문제 출제자가 문제의 유형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문제작성 및 평가 서버는,문제 출제자가 선택한 문제의 유형과 관련된 문제의 주제 목록을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제공한 문제의 주제 목록을 참조하여 문제 출제자가 문제의 주제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문제작성 및 평가 서버는,문제 출제자가 선택한 문제의 주제와 관련된 컴포넌트 목록을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제공한 컴포넌트 목록을 참조하여 문제 출제자가 제1컴포넌트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 스템.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문제틀 표시창은, 이미지가 배치될 이미지 표시창과 이미지에 대한 설명이 표시될 문자창을 포함하며,제1컴포넌트는 상기 이미지 표시창에 삽입시키고, 제1컴포넌트와 관련된 제2컴포넌트를 상기 문자창에 자동적으로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문제작성 및 평가 서버는,문제 유형 목록을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고, 문제 출제자가 문제 유형 목록에서 문제 유형을 선택하면, 선택한 문제 유형에 관련된 문제의 틀을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는 문제작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문제 작성부는, 또한,문제의 주제 목록을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고 문제 출제자가 문제의 주제 목록에서 문제 주제를 선택하면 선택한 문제 주제와 관련된 컴포넌트들에 대한 정 보를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공한 컴포넌트 정보를 참조하여 문제 출제자가 제1컴포넌트를 선택하도록 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문제 작성부는, 또한,문제 출제자가 제1컴포넌트를 선택하면, 선택한 제1컴포넌트와 관련된 제2컴포넌트를 문제 틀에 자동적으로 삽입하여 문제를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작성부는,사용자가 선택한 문제 유형, 문제 주제, 제1컴포넌트, 및 제2컴포넌트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답안을 자동적으로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문제 작성 및 평가 서버는, 또한,상기 완성한 문제에 기초하여, 학습자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공받는 문제지를 작성하는 문제지 및 답안지 작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문제 작성 및 평가 서버는, 또한,상기 학습자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공받은 문제지를 푼 결과인 답안지와, 상기 자동적으로 완성한 답안과 비교하여 평가하는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
- 문제의 유형과, 문제를 작성할 때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는 문제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문제의 유형에 따라서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상기 문제틀에 삽입되어 문제를 구성할 복수의 컴포넌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정보 중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는 서로 관련시켜서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및상기 문제의 틀을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문제 출제자에 의해 상기 문제 틀에 하나의 컴포넌트가 삽입되면, 삽입된 컴포넌트와 관련된 다른 컴포넌트에 대한 정보를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콤포넌트는,텍스트, 사진, 동영상, 음성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방법.
- 제20항에 있어서,문제 유형 목록을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고, 문제 출제자가 문제 유형 목록에서 문제 유형을 선택하면, 선택한 문제 유형에 관련된 문제의 틀을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방법.
- 제22항에 있어서,문제의 주제 목록을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고 문제 출제자가 문제의 주제 목록에서 문제 주제를 선택하면 선택한 문제 주제와 관련된 컴포넌트들에 대한 정보를 문제 출제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공한 컴포넌트 정보를 참조하여 문제 출제자가 제1컴포넌트를 선택하도록 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방법.
- 제23항에 있어서, ,문제 출제자가 제1컴포넌트를 선택하면, 선택한 제1컴포넌트와 관련된 제2컴포넌트를 문제 틀에 자동적으로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방법.
- 제23항에 있어서,문제 출제자가 제1컴포넌트를 선택하면, 선택한 제1컴포넌트와 관련된 제2컴포넌트를 문제 틀에 자동적으로 삽입하여 문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방법.
- 제25항에 있어서,사용자가 선택한 문제 유형, 문제 주제, 제1컴포넌트, 및 제2컴포넌트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답안을 자동적으로 완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방법.
- 제26항에 있어서,상기 완성한 문제에 기초하여, 학습자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공받을 문제지를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방법.
- 제27항에 있어서상기 학습자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공받은 문제지를 푼 결과인 답안지와, 상기 자동적으로 완성한 답안과 비교하여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9149A KR20090052570A (ko) | 2007-11-21 | 2007-11-21 |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 및 그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9149A KR20090052570A (ko) | 2007-11-21 | 2007-11-21 |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 및 그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2570A true KR20090052570A (ko) | 2009-05-26 |
Family
ID=40860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19149A KR20090052570A (ko) | 2007-11-21 | 2007-11-21 |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 및 그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52570A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9771B1 (ko) * | 2017-12-29 | 2019-04-11 | 최보연 | 문제 출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90082099A (ko) * | 2018-12-19 | 2019-07-09 | 최보연 | 문제 출제 방법 |
KR20190093782A (ko) * | 2018-01-16 | 2019-08-12 | 최보연 | 문제 출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90093808A (ko) * | 2018-01-19 | 2019-08-12 | 최보연 | 문제 출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90093783A (ko) * | 2018-01-16 | 2019-08-12 | 최보연 | 문제 출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90093809A (ko) * | 2018-01-19 | 2019-08-12 | 최보연 | 문제 출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200133451A (ko) | 2019-05-20 | 2020-11-30 | 최보연 | 문제출제, 공유 및 활용 시스템 및 그 방법 |
CN118297051A (zh) * | 2024-03-01 | 2024-07-05 | 北京深安未来科技有限公司 | 生成测试题库方法及装置、电子设备、可读存储介质 |
-
2007
- 2007-11-21 KR KR1020070119149A patent/KR2009005257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9771B1 (ko) * | 2017-12-29 | 2019-04-11 | 최보연 | 문제 출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90093782A (ko) * | 2018-01-16 | 2019-08-12 | 최보연 | 문제 출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90093783A (ko) * | 2018-01-16 | 2019-08-12 | 최보연 | 문제 출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90093808A (ko) * | 2018-01-19 | 2019-08-12 | 최보연 | 문제 출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90093809A (ko) * | 2018-01-19 | 2019-08-12 | 최보연 | 문제 출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90082099A (ko) * | 2018-12-19 | 2019-07-09 | 최보연 | 문제 출제 방법 |
KR20200133451A (ko) | 2019-05-20 | 2020-11-30 | 최보연 | 문제출제, 공유 및 활용 시스템 및 그 방법 |
CN118297051A (zh) * | 2024-03-01 | 2024-07-05 | 北京深安未来科技有限公司 | 生成测试题库方法及装置、电子设备、可读存储介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Yildirim | Infographics for educational purposes: Their structure, properties and reader approaches. | |
Wynn | Digital sociology: emergent technologies in the field and the classroom | |
Cameron et al. | Researching practice in mission and ministry: A companion | |
Huang et al. | Measuring transactional distance in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s: An initial instrument development | |
KR20090052570A (ko) |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작성 및 평가 자동화 시스템 및 그방법 | |
Noy | Participatory media new and old: Semiotics and affordances of museum media | |
Grizioti et al. | Computer-based learning, computational thinking, and constructionist approaches | |
Sorrentino et al. | Post-it notes: supporting teachers in authoring vocabulary game contents | |
Rodrigues et al. | Expanding the mosaic of transmedia learning experiences: Application of a transmedia storyworld in ESL formal learning environments | |
Crawford | Novice head teachers in Scotland: Competing expectations | |
Ferdig | Exploring multimodal composition and digital writing | |
DeWitt et al. | Computers in Edu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Managerial Issues | |
De Bruyckere et al. | Computer-assisted learning | |
Kawachi | The TIPS quality assurance framework for creating open educational resources: Validation | |
Chounta | Collaborative learning and patterns of practice | |
Cameron | Researching Practice in Mission and Ministry: A Companion | |
Cook et al. | Acculturation in context: knowledge sharing through ubiquitous technologies | |
Graham et al. | Google Tools Meets Middle School | |
Compiegne | Study abroad in the age of social media | |
Pim | 100 Ideas for Primary Teachers: Supporting EAL Learners | |
Allbon | Seeing is believing: we are all converging | |
KR102259027B1 (ko) | 문제출제, 공유 및 활용 시스템 및 그 방법 | |
Maldonado Cesteros | “Lights, Camera, Action!” Integrating ICT in the Communicative Approach to Create a Trailer | |
Pouseiro et al. | Book of Abstracts 3rd Klaara-3rd to the 7th July 2023 | |
Judge | Computer-Based Training and School ICT Adoption: A Sociocultural Perspectiv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