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1840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1840A
KR20090051840A KR1020070118255A KR20070118255A KR20090051840A KR 20090051840 A KR20090051840 A KR 20090051840A KR 1020070118255 A KR1020070118255 A KR 1020070118255A KR 20070118255 A KR20070118255 A KR 20070118255A KR 20090051840 A KR20090051840 A KR 20090051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tact terminal
connector
conductive wire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운철
마재형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8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1840A/ko
Publication of KR20090051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8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0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king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onnection, coupling, or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단자를 수용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도선(50)과 연결되는 접촉단자(12)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감싸는 금속재(20)와, 도선(50)과 연결되기 위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관통하여 나온 접촉단자(12)가 관통되며 상기 하우징을 밀폐시키는 차단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촉단자가 도선과 연결되는 방향의 하우징 단부(10a) 및 금속재 단부(20a)와, 상기 접촉단자와 도선의 연결부위를 합성수지(40)로 도포하여 밀폐시킬 때, 상기 합성수지(40)가 상기 하우징(10)으로 침투하는 것을 상기 차단부재(30)가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 접촉단자, 합성수지 도포.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타 커넥터와 결합하여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도선(와이어)들 간의 전기적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는 와이어의 전기적인 신호를 와이어 또는 회로기판등에 접속시켜 주는 기능을 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는 전기적인 접속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어와 커넥터가 결합되는 부분을 합성수지(예를 들어 레진)를 도포하여 밀봉하게 된다.
이 때 일반적인 커넥터는 커넥터와 와이어의 결합을 위해서는 커넥터의 단자가 커넥터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와이어와 결합되어야 한다. 또는 와이어가 커넥터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커넥터에 진입하여 단자와 결합되어야 한다.
단자의 통과를 위해 커넥터에 형성된 관통공은 커넥터의 밀폐를 방해한다.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를 밀폐시키기 위해서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이러한 관통공이나 결합부위를 도포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커넥터는 밀폐가 이루어지게 되지만, 밀폐시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특히 커넥터의 결합이 정밀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가 특히 그러하다. 즉, 전기 커넥터를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밀봉하게 될 때 커넥터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커넥터 내부로 레진이 침투할 수 있다.
커넥터 내부로 레진이 침투하게 되면, 커넥터 내부의 단자의 움직임을 침투한 레진이 방해하게 되어, 단자의 미세한 움직임을 저해하여 커넥터간의 결합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 내부로 레진과 같은 합성수지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여, 단자 및 커넥터의 접속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접촉단자를 수용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도선(50)과 연결되는 접촉단자(12)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감싸는 금속재(20)와,
도선(50)과 연결되기 위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관통하여 나온 접촉단자(12)가 관통되며 상기 하우징을 밀폐시키는 차단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촉단자가 도선과 연결되는 방향의 하우징 단부(10a) 및 금속재 단부(20a)와, 상기 접촉단자와 도선의 연결부위를 합성수지(40)로 도포하여 밀폐시킬 때,
상기 합성수지(40)가 상기 하우징(10)으로 침투하는 것을 상기 차단부재(30)가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하우징과 접촉단자의 결합시에 차단부재를 통해 접촉단자가 하우징에 결합하도록 하여, 하우징과 접촉단자의 결합틈을 차단하게 되어, 커넥터를 밀폐시키기 위해서 합성수지를 도포하더라도, 커넥터의 하우징으로 합성수지가 침투하지 못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커넥터의 접속불량 및 결합불량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 사시도를,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커넥터와 결합하여 전기적인 접속을 통해 도선(와이어)들 간의 전기적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커넥터와 마찬가지로 하우징과 접촉단자를 포함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접촉단자를 수용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도선(50)과 연결되는 접촉단자(12)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감싸는 금속재(20)와, 도선(50)과 연결되기 위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관통하여 나온 접촉단자(12)가 관통되며 상기 하우징을 밀폐시키는 차단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접촉단자를 수용하여 고정하며 커넥터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장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은 도 1과 같이 내부에 양방이 개방된 커넥터수용공간을 가지는 박스형의 구성을 가진다. 특히 접촉단자가 수용될 수 있는 다수개의 양향이 개방된 단자수용공간이 상기 커넥터수용공간의 상하측에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접촉단자(12)는 상기 차단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며, 하우징의 단자수용공간에 수용되어 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여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접촉단자는 일자형의 구성으로 커넥터측 단부(12b)는 굴절되어 있어서 하우 징에 걸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선측 단부(12a)는 도선(50)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 금속재(20)는 얇은 판상의 금속 재질이 굴절되어 있는 구성이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을 감싸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금속재(20) 하우징의 전기적인 차폐를 위한 구성이다.
상기 차단부재(30)는 상기 하우징의 도선측 단부(10a)측에 위치하는 구성이며, 하우징의 내부 수용공간(11)으로 레진과 같은 합성수지가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우징의 내부를 밀폐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차단부재는 접촉단자가 관통할 수 있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접촉단자가 도선과 연결되는 방향의 하우징 단부(10a) 및 금속재 단부(20a)와, 상기 접촉단자와 도선의 연결부위를 합성수지(40)로 도포하여 밀폐시키게 된다.
상기 합성수지(40)는 레진(resin)과 같은 밀폐를 위한 소재를 말하며, 상기 하우징과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구성에 도선에 연결된 접촉단자가 결합시에 그 틈을 밀폐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접촉단자가 도선과 연결되는 방향의 하우징 단부(10a) 및 금속재 단부(20a)와, 상기 접촉단자와 도선의 연결부위를 합성수지(40)로 도포하여 밀폐시킬 때, 본 발명은 도 4와 같이 상기 합성수지(40)가 상기 하우징(10)으로 침투하는 것을 상기 차단부재(30)가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즉, 접촉단자가 하우징 및 금속재로 이루어진 구성에 결합시에 발생하는 결 합틈으로 상기 합성수지가 스며들 수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의 침투에 의해 정밀한 결합이 요구되는 커넥터는 결합 불량 및 접속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합성수지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차단부재를 하우징의 도선측 단부(10a)에 배치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은 커넥터를 밀폐시키기 위해서 합성수지를 도포하더라도, 커넥터의 하우징으로 합성수지가 침투하지 못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커넥터의 접속불량 및 결합불량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그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수정 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측면 단면도.

Claims (2)

  1. 접촉단자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도선과 연결되는 접촉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감싸는 금속재와,
    도선과 연결되기 위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관통하여 나온 접촉단자가 관통되며 상기 하우징을 밀폐시키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전기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가 도선과 연결되는 방향의 하우징 단부 및 금속재 단부와, 상기 접촉단자와 도선의 연결부위를 합성수지로 도포하여 밀폐시킬 때,
    상기 합성수지가 상기 하우징으로 침투하는 것을 상기 차단부재가 차단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70118255A 2007-11-20 2007-11-20 전기 커넥터 KR200900518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255A KR20090051840A (ko) 2007-11-20 2007-11-20 전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255A KR20090051840A (ko) 2007-11-20 2007-11-20 전기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840A true KR20090051840A (ko) 2009-05-25

Family

ID=40859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255A KR20090051840A (ko) 2007-11-20 2007-11-20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18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0845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terminating insulated conductors
US8758044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with soldering holes interconnected to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a flat flexible cable
US7303429B2 (en)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US10090625B2 (en) Method of making an electrical terminal
KR101288689B1 (ko) 커넥터 하우징의 방수구조
US11024984B2 (en) Contact carrier, electrical contact unit and a method of producing a cable assembly
KR101958063B1 (ko) 전기 커넥터
TW202135383A (zh) 連接器及連接器組件
TW202118166A (zh) 電連接器
TW201640751A (zh) 插頭連接器
JP2006054101A (ja) 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保持部材
KR20160101520A (ko) 리셉터클 커넥터
TWI547044B (zh) 纜線連接方法
US20070254513A1 (en) Connector assembly
KR101285675B1 (ko) 전자 장치용 하우징 구조 및 이러한 하우징 구조를형성하는 방법
CZ290382B6 (cs) Plochý kabel, zástrčkové spojovací zařízení a elektromagneticky slučitelné pouzdro
JP2009158327A (ja) コネクタ
KR100929594B1 (ko) 전기 커넥터
JP2007234490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20090051840A (ko) 전기 커넥터
KR20180054117A (ko) 커넥터 어셈블리
JP2011060426A (ja) コネクタ
JP2010092740A (ja) 基板用電線接続構造体
KR101723041B1 (ko) 방수형 티피에이를 구비한 커넥터
TWM518418U (zh) 具扁平纜線的電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