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0476A - A cooker - Google Patents

A coo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0476A
KR20090050476A KR1020070116923A KR20070116923A KR20090050476A KR 20090050476 A KR20090050476 A KR 20090050476A KR 1020070116923 A KR1020070116923 A KR 1020070116923A KR 20070116923 A KR20070116923 A KR 20070116923A KR 20090050476 A KR20090050476 A KR 20090050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n
cavity
cooking
microwave oven
cook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9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37407B1 (en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6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407B1/en
Publication of KR20090050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4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4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24C15/168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with telescopic rail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2Aspects relating to the microwave cav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와 오븐의 캐비티가 체결구에 의하여 간단하게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전자레인지의 캐비티를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와 복합적인 조리기기에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vity of the microwave oven and the cavity of the oven are simply and selectively coupled by fasteners.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avity of one microwave oven can be used for both general microwave ovens and complex cooking devices.

조리기기, 제1 및 제2조리부, 마이크로웨이브, 히터 A cooking device, first and second cooking parts, a microwave, a heater

Description

조리기기{A cooker}A cooker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개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조리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cooking parts are detachably coupled so that separate foods can be cooked.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는 히터 또는/및 마그네트론과 같은 가열원에서 발생되는 히터열 또는/및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조리한다. A cooker is a household appliance that cooks food. Such cooking utensils cook food by heating the food using heater heat generated from a heating source such as a heater or / and a magnetron and / or microwave.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조리기기는 하나의 조리공간에서 하나의 종류의 음식물의 조리만 이루어진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의 조리가 불가능해지는 단점이 발생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oking apparatus, only one type of food is cooked in one cooking space. Therefore, it is disadvantageous that various kinds of foods can not be cook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which is capable of cooking various kinds of foods.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제1조리실이 구비되는 제1캐비티; 제2조리실이 구비되는 제2캐비티; 상기 제1 및 제2캐비티 사이에 구비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캐비티를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 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oking cavity comprising: a first cavity having a first cooking chamber; A second cavity having a second cavity; A plate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avities; And a fastening member for fixing the first and second cavities to the plate;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제1조리실이 구비되는 제1조리부; 상기 제1조리부에 고정되고, 제2조리실이 구비되는 제2조리부; 및 상기 제1 및 제2조리부의 적어도 양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 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cooking chamber having a first cooking chamber; A second cooking chamber fixed to the first cooking chamber and having a second cooking cavity; And an outer case forming at least both side surfac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oking parts;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적어도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키는 전장부품을 포함하는 전자레인지; 상기 전자레인지에 결합되고, 적어도 히터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를 포함하는 오븐; 및 상기 오븐을 상기 전자레인지에 체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체결부재; 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icrowave oven comprising: at least a microwave oscillating electrical component; An oven coupled to the microwave oven and including a heater generating at least a heater heat;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for fastening the oven to the microwave oven;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 및 적어도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키는 전장부품을 포함하는 전자레인지; 상기 전자레인지에 결합되고,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 및 적어도 히터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를 포함하는 오븐; 및 상기 전자레인지의 캐비티 및 상기 오븐의 캐비티에 고정되고, 적어도 상기 전자레인지 및 오븐의 양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 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icrowave oven comprising: a microwave oven including a cavity provided with a cooking cavity and at least an electric component for generating microwaves; An oven coupled to the microwave oven, the oven including a cavity having a cooking chamber and a heater generating at least heat of the heater; And an outer case fixed to a cavity of the microwave oven and a cavity of the oven, the outer case forming at least both side surfaces of the microwave oven and the oven;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조리실 및 적어도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키는 전장부품을 포함하는 전자레인지; 상기 전자레인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조리실 및 적어도 히터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히터를 포함하는 오븐; 및 상기 오븐이 상기 전자레인지에 결합되었는지 여부에 따라서 적어도 상기 전자레인지 및 오븐의 양측면 외관을 형성하거나 상기 전자레인지의 양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 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icrowave oven comprising: a microwave oven comprising a microwave oven and at least a microwave oven; An oven selectively coupled to the microwave oven and including a cooking chamber and a heater for generating at least heat of the heater; And an outer case which forms both side surfaces of the microwave oven and ove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oven is coupled to the microwave oven, or both side surfaces of the microwave oven; .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동시 또는 각각 조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oo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various kinds of foods can be cooked simultaneously or individually.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캐비티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요부가 종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트레이안착부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다른 요부가 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cavity constitut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op plan view of the tray seating por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ssential por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전자레인지(100), 상기 전자레인지(1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오븐(200), 및 적어도 상기 전자레인지(100) 의 상면과 상기 전자레인지(100) 또는 상기 전자레인지(100) 및 오븐(200)의 양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300)를 포함한다. 1,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crowave oven 100, an oven 200 selectively coupled to the microwave oven 100, and at least a top surface of the microwave oven 100, And an outer case 300 that forms the outer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microwave oven 100 or the microwave oven 100 and the oven 200.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캐비티(110)(이하에서는 '제1캐비티'라 칭함)의 전후면 테두리에는 각각 제1 및 제2고정플랜지(111)(114)가 구비된다. 상기 제1캐비티(110)의 제1고정플랜지(111)는 각각 상기 제1캐비티(110)의 전면 또는 후면의 상부 및 양측테두리부분이 다른 부분에 대하여 직교되게 후방 또는 전방으로 밴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캐비티(110)의 제1고정플랜지(111)에는 각각 다수개의 제1체결공(113)이 형성된다. 상기 제1캐비티(110)의 제1체결공(113)은 상기 제1캐비티(110)와 아웃케이스(300)의 고정을 위한 제3체결구(S3)가 체결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제1캐비티(110)의 제2고정플랜지(114)는 각각 상기 제1캐비티(110)의 전면 또는 후면의 하부테두리부분이 다른 부분에 대하여 직교되게 후방 또는 전방으로 밴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캐비티(110)의 제2고정플랜지(114)에는 각각 다수개의 제2체결공(115)이 형성된다. 상기 제1캐비티(110)의 제2체결공(115)은 상기 제1캐비티(110)와 아래에서 설명할 베이스플레이트(150)의 고정을 위한 제1체결구(S1)가 체결되는 곳이다. First and second fixing flanges 111 and 114 ar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edges of the cavity 1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cavity') of the microwave oven 100. The first fixing flange 111 of the first cavity 110 is formed by bending the upper or both side edge portions of the front surface or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cavity 110 rearward or frontward orthogonally to the other portions.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holes 113 are formed in the first fixing flange 111 of the first cavity 110. The first fastening hole 113 of the first cavity 110 is where the third fastening hole S3 for fixing the first cavity 110 and the outer case 300 is fastened. The second fixing flange 114 of the first cavity 110 is formed by bending the lower rim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r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cavity 110 rearward or frontward orthogonally with respect to the other portion. 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holes 115 are formed in the second fixing flange 114 of the first cavity 110. The second fastening holes 115 of the first cavity 110 are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s S1 for fastening the first cavity 110 to the base plate 150 described below.

상기 제1캐비티(110)의 내부에는 조리실(120)(이하에서는 '제1조리실'이라 칭함)이 구비된다. 상기 제1조리실(120)은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자레인지(100)에는 상기 제1조리실(120)을 선택 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전자레인지 도어가 구비된다.In the first cavity 110, a cooking chamber 12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cooking chamber') is provided. The first cooking chamber 120 is a place where food is cooked. Although not shown, the microwave oven 100 is provided with a microwave oven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cooking chamber 120.

그리고 상기 제1캐비티(110)의 일측에는 전장실(130)이 구비된다. 상기 전장실(130)에는 다수개의 전장부품(미도시) 및 냉각팬(140)이 구비된다. 상기 냉각팬(140)은 상기 전자레인지(100) 및 오븐(200)의 내외부를 유동하는 에어플로를 형성한다. 상기 냉각팬(140)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플로는 상기 전장부품, 아래에서 설명할 오븐도어(230)를 냉각시키고, 상기 제1조리실(120)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분과 유분을 포함하는 공기를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An electric field chamber 13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cavity 110. A plurality of electric components (not shown) and a cooling fan 140 are provided in the electric field chamber 130. The cooling fan 140 forms an air flow that flows inside and outside the microwave oven 100 and the oven 200. The air flow formed by the cooling fan 140 cools the electric component, the oven door 230 to be described below, and the moisture and oil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of the food in the first cooking chamber 120 And discharging air containing the air to the outside of the microwave oven 100.

상기 제1캐비티(110)의 후면에는 다수개의 흡입구(116)가 구비된다. 상기 흡입구(116)는 상기 냉각팬(14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외부인 실내의 공기가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장실(130)의 내부로 흡입되는 입구역할을 한다.A plurality of suction ports 116 are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rst cavity 110. The air inlet 116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icrowave oven 100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inside of the electric room 130 by driving the cooling fan 140. [ As shown in FIG.

상기 제1조리실(120)의 양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제1캐비티(110)의 양측면에는 각각 공기유입부(118)와 공기배출부(119)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입부(118)는, 상기 전장실(130)과 마주보는 상기 제1조리실(120)의 일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제1캐비티(110)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입부(118)는, 상기 냉각팬(14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전장실(13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제1조리실(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상기 공기배출부(119)는, 상기 공기유입부(118)의 반대편, 즉 상기 전장실(130)로부터 가장 이격되는 상기 제1조리실(120)의 타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제1캐비티(110)의 타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공 기배출부(119)는 상기 공기유입부(118)를 통하여 상기 제1조리실(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조리실(120)의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한다.Air inlet portions 118 and air outlet portions 119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cavity 110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first cooking chamber 120. The air inlet 118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cavity 110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first cooking cavity 120 facing the electric field chamber 130. The air inlet portion 118 serves as an inlet through which a part of the air sucked into the electric field chamber 130 by the driving of the cooling fan 140 flows into the first cooking chamber 120 . The air discharge unit 119 is connected to the first cavity 110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oking chamber 120 that is the farthest from the air inlet 118, As shown in Fig. The air discharge unit 119 serves as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cooking chamber 120 through the air inlet 118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ooking chamber 120.

상기 제1캐비티(110)의 하부에는 베이스플레이트(150)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저면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에는 고정플랜지(151)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의 고정플랜지(151)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의 양측단부가 다른 부분에 대하여 직교되게 하방으로 밴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의 전후단부에는 각각 다수개의 제1관통공(153)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의 제1관통공(153)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를 상기 제1캐비티(110)에 고정하기 위한 제1체결구(S1)가 관통하는 곳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의 고정플랜지(151)에는 각각 다수개의 제2관통공(155)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의 제2관통공(155)은 아래에서 설명할 제2캐비티(210)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체결구(S2)가 체결되는 곳이다.A base plate 150 is provided under the first cavity 110. The base plate 150 substantially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microwave oven 100. The base plate 150 is provided with a fixing flange 151. The fixing flange 151 of the base plate 150 is formed by bending both ends of the base plate 150 in a downward direction orthogonally to other portions.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153 ar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ase plate 150, respectively. The first through hole 153 of the base plate 150 passes through the first fastener S1 for fixing the base plate 150 to the first cavity 110.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155 are formed in the fixing flange 151 of the base plate 150. The second through hole 155 of the base plate 150 is a place where a second fastener S2 for fastening the second cavity 210 to the base plate 150 is fastened.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에는 다수개의 연통공(157)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의 연통공(157)은 상기 냉각팬(14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공기 및 상기 제1조리실(120)을 순환한 공기가 상기 오븐(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의 연통공(157)은 상기 공기배출부(119)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의 일단부에 형성된다.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157 are formed in the base plate 150. The air hole 157 of the base plate 150 is formed in a shape such that the air that has cooled the electric component by the driving of the cooling fan 140 and the air circulated through the first cooking chamber 120 are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oven 200 As shown in FIG. The communication hole 157 of the base plate 15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ase plate 150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ion 119.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루버(159)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의 루버(159)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의 연통공(157)의 후단부에 인접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의 상면에서 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상향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의 루버(159)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의 연통공(157)을 통하여 상기 오븐(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A plurality of louvers 159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50. The louver 159 of the base plate 150 extends upward at an angl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50 adjacent to the rear end of the communication hole 157 of the base plate 150 at a predetermined angle . The louver 159 of the base plate 150 serves to guid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oven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57 of the base plate 150.

상기 전자레인지(100)에는 제1가열원냉각유로(P1) 및 제1조리실순환유로(P2)가 구비된다. 상기 제1가열원냉각유로(P1)는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전장부품을 냉각시키고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이다. 그리고 상기 제1조리실순환유로(P2)는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제1조리실(120)을 순환하고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이다.The microwave oven 100 is provided with a first heating source cooling channel P1 and a first cooking chamber circulation channel P2. The first heating source cooling channel (P1) is a channel that is sucked into the microwave oven (100) to cool the electric component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icrowave oven (100). The first cooking compartment circulation channel P2 is a channel that is sucked into the microwave oven 100 and circulated through the first cooking chamber 120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icrowave oven 100. [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가열원냉각유로(P1)는 상기 흡입구(116)를 통하여 상기 전장실(130)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전장부품을 냉각시키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의 연통공(157)을 통하여 상기 오븐(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이다. 그리고 상기 제1조리실순환유로(P2)는 상기 공기유입부(118)를 통하여 상기 제1조리실(120)의 내부로 유입되어 수분 및 유분을 포함한 상태로 상기 공기배출부(119)를 통하여 배출되고, 다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의 연통공(157)을 통하여 상기 오븐(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이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heat source cooling channel (P1) is sucked into the electric field chamber (130) through the suction port (116) to cool the electric component, And the air flowing into the oven 200 flows through the through hole 157. The first cooking compartment circulation channel P2 flows into the first cooking chamber 120 through the air inlet 118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119 in a state including moisture and oil And the air flowing into the oven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57 of the base plate 150 flows.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오븐(200)의 캐비티(210)(이하에서는 ' 제2캐비티'라 칭함)에는 조리실(201)(이하에서는 '제2조리실'이라 칭함)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캐비티(210)는 어퍼플레이트(211), 이너패널(212) 및 아웃터패널(215)을 포함한다. 1 and 2, a cooking chamber 20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cooking chamber') is provided in a cavity 2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cavity') of the oven 200 . The second cavity 210 includes an upper plate 211, an inner panel 212, and an outer panel 215.

상기 어퍼플레이트(211)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2조리실(201)의 천정면을 형성한다. 상기 어퍼플레이트(211)에는 각각 고정플랜지(211F)가 구비된다. 상기 어퍼플레이트(211)의 고정플랜지(211F)는 상기 어퍼플레이트(211)의 전후단부가 다른 부분에 대하여 직교되게 상방으로 밴딩되어 형성된다. 상기 어퍼플레이트(211)의 고정플랜지(211F)는 상기 어퍼플레이트(211)와 상기 아웃터패널(215)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The upper plate 211 substantially forms a ceiling surface of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1. The upper plate 211 is provided with a fixing flange 211F. The fixing flange 211F of the upper plate 211 is formed by bending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upper plate 211 upwards at right angles to the other portions. The fixing flange 211F of the upper plate 211 is for fixing the upper plate 211 and the outer panel 215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이너패널(212)은 전체적으로 전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U자형상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사이드플레이트(213) 및 리어플레이트(214)를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213)는 상기 제2조리실(201)의 양측면을 형성한다. 상기 리어플레이트(214)는 상기 제2조리실(201)의 후면을 형성한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213)에는 각각 제1 내지 제3고정플랜지(213F1)(213F2)(213F3)가 구비된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213)의 제1고정플랜지(213F1)는 각각 상기 사이드플레이트(213)의 전단부가 다른 부분에 대하여 직교되게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밴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213)의 제2고정플랜지(213F2)는 각각 상기 사이드플레이트(213)의 상단부가 다른 부분에 대하여 직교되게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밴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213)의 제3고정플랜지(213F3)는 각각 상기 사이드플레이트(213)의 하단부가 다른 부분에 대하여 직교되게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밴딩되어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213)의 제1 내지 제3고정플랜지(213F1)(213F2)(213F3)는 상기 어퍼플레이트(211)와 이너패널(212) 또는 상기 이너패널(212)과 아웃터패널(215)의 고정을 위한 것이다. The inner panel 212 includes a pair of side plates 213 and a rear plate 214 which are formed in a U-shape and open frontward as a whole. The side plate 213 forms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1. The rear plate 214 forms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1. The side plates 213 are provided with first to third fixing flanges 213F1, 213F2, and 213F3, respectively. The first fixing flange 213F1 of the side plate 213 is formed by bending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side plates 213 in directions away from each other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The second fixing flange 213F2 of the side plate 213 is formed by bending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213 in a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ends of the side plates 213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third fixing flange 213F3 of the side plate 213 is formed by bending a lower end portion of the side plate 213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ther portion. The first to third fixing flanges 213F1, 213F2 and 213F3 of the side plate 213 are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211 and the inner panel 212 or between the inner panel 212 and the outer panel 215 It is for fixing.

상기 아웃터패널(215)은 전체적으로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U자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론트플레이트(216), 백플레이트(217) 및 바텀플레이트(219)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에는 입출개구(216O)가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의 입출개구(216O)는 아래에서 설명할 트레이(250)가 입출되는 곳이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의 입출개구(216O)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의 일부가 대략 장방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와 백플레이트(217)에는 지지플랜지(216F1)(217F1)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와 백플레이트(217)의 지지플랜지(216F1)(217F1)는 상기 어퍼플레이트(21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와 백플레이트(217)의 지지플랜지(216F1)(217F1)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와 백플레이트(217)의 상단부가 각각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와 백플레이트(217)의 다른 부분에 대하여 직교되게 후방 또는 전방으로 밴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와 백플레이트(217)에는 각각 고정플랜지(216F2)(217F2)가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와 백플레이트(217)의 고정플랜지(216F2)(217F2)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와 백플레이트(217)의 양측단부가 각각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와 백플레이트(217)의 다른 부분에 대하여 직교되게 후방 또는 전방으로 밴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와 백플레이트(217)의 고정 플랜지(216F2)(217F2)의 상단부에는 각각 제1체결공(216H1)(217H1)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와 백플레이트(217)의 제1체결공(216H1)(217H1)은 상기 제2캐비티(210)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에 고정하기 위한 제2체결구(S2)가 체결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와 백플레이트(217)의 고정플랜지(216F2)(217F2)의 하단부에는 각각 제2체결공(216H2)(217H2)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와 백플레이트(217)의 제2체결공(216H2)(217H2)은 상기 아웃케이스(300)를 상기 제2캐비티(210)에 고정하기 위한 제3체결구(S3)가 관통하는 곳이다. 상기 바텀플레이트(219)는 상기 제2조리실(201)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상기 바텀플레이트(219)에는 지지플랜지(219F)가 구비된다. 상기 바텀플레이트(219)의 지지플랜지(219F)는 상기 아웃케이스(3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바텀플레이트(219)의 지지플랜지(219F)에는 상기 제2캐비티(210)와 아웃케이스(300)의 고정을 위한 다수개의 체결공(219H)이 형성된다.The outer panel 215 includes a U-shaped front plate 216, a back plate 217, and a bottom plate 219 which are opened upward as a whole. The front plate 216 is formed with an entrance / exit opening 216O. The entrance / exit opening 216O of the front plate 216 is a place where the tray 250 to be described below is inputted / An entrance / exit opening 216O of the front plate 216 is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front plate 216 into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On the other hand, the front plate 216 and the back plate 217 are provided with support flanges 216F1 and 217F1, respectively. The support flanges 216F1 and 217F1 of the front plate 216 and the back plate 217 support the upper plate 211. [ The front flange 216 and the back flange 217F1 of the back plate 217 are formed such that the upper ends of the front plate 216 and the back plate 217 are connected to the front plate 216 and the back plate 217, And is bent at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other portions of the frame. The front plate 216 and the back plate 217 are provided with fixing flanges 216F2 and 217F2, respectively. The fixing flanges 216F2 and 217F2 of the front plate 216 and the back plate 217 are formed such that both ends of the front plate 216 and the back plate 217 are connected to the front plate 216 and the back plate 217 And is bent at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oth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The first fastening holes 216H1 and 217H1 are formed at the upper ends of the fixing flanges 216F2 and 217F2 of the front plate 216 and the back plate 217, respectively. The first fastening holes 216H1 and 217H1 of the front plate 216 and the back plate 217 have a second fastening hole S2 for fastening the second cavity 210 to the base plate 150 It is a place to conclude. Second fixing holes 216H2 and 217H2 are formed at the lower ends of the fixing flanges 216F2 and 217F2 of the front plate 216 and the back plate 217, respectively. The second fastening holes 216H2 and 217H2 of the front plate 216 and the back plate 217 have a third fastening hole S3 for fixing the outer case 300 to the second cavity 210 It is a place to penetrate. The bottom plate 219 forms a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1. The bottom plate 219 is provided with a support flange 219F. The support flange 219F of the bottom plate 219 is for supporting the outer case 300.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19H for fixing the second cavity 210 and the outer case 300 are formed in the support flange 219F of the bottom plate 219. [

한편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에는 연통공(217O)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의 연통공(217O)은 상기 오븐(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아래에서 설명할 프론트패널(2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의 연통공(217O)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의 연통공(157)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의 일단부에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a communication hole 2170 is formed in the front plate 216. The communication hole 217O of the front plate 216 serves as an inlet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into the oven 200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front panel 220 to be described below. The communication hole 217O of the front plate 216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ront plate 216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communication hole 157 of the base plate 150.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루버(217L)가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의 루버(217L)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의 연통공(217O)을 통하여 프론트패널(2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 기 프론트플레이트(216)의 루버(217L)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의 연통공(217O)의 상단부에 해당하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의 전면에서 하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A plurality of louvers 217L ar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late 216. The louver 217L of the front plate 216 serves to guid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ront panel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2170 of the front plate 216. [ The louver 217L of the front plate 216 extends down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late 216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communication hole 2170 of the front plate 216 at an angle.

상술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어퍼플레이트(211), 이너패널(212) 및 아웃터패널(215)이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2조리실(201)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아래에서 설명할 오븐히터(270)의 히터열을 음식물로 반사시키는 상기 어퍼플레이트(211) 및 이너패널(212)은 고가의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을 사용하고, 실질적으로 상기 제2조리실(201)에서의 음식물의 조리효율과는 무관은 상기 아웃터패널(215)은 상대적으로 저가의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upper plate 211, the inner panel 212, and the outer panel 215 may be formed of material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detail, the upper plate 211 and the inner panel 212, which reflect the heater heat of the oven heater 270 as food,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course of cooking food in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1, The outer panel 215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ow thermal conductivity with a high degree of thermal conductivity regardless of the cooking efficiency of the food in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1. [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 1에는 상기 어퍼플레이트(211)와 이너패널(212) 및 아웃터패널(215), 및 상기 이너패널(212)과 아웃터패널(25)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가 관통 또는 체결되는 다수개의 관통공 또는 체결공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특징과는 무관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1 for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a fastener for fixing the upper plate 211, the inner panel 212 and the outer panel 215, and the inner panel 212 and the outer panel 25 is inserted Or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r fastening holes to be fastened are shown, but this is not related to the features of this embodimen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의 전면에는 프론트패널(220)이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패널(220)은 실질적으로 상기 오븐(2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프론트패널(220)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에 대응하는 납작한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의 전면에 밀착되는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이면은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패널(220)에 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의 입출개구(216O)에 대응하는 입출개구(221)가 형성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패널(220)에는 배출구(223)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구(223)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의 연통공(217O)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저면 일측에 구비된다. Referring back to FIG. 1, a front panel 220 is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ront plate 216. The front panel 220 substantially forms the front surface of the oven 200. The front panel 220 is formed in a flat hexahedron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ont plate 216. The back surface of the front panel 22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late 216, is opened. The front panel 220 is formed with an entrance / exit opening 221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 exit opening 216O of the front plate 216. Referring to FIG. 3, the front panel 22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223. The discharge port 223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panel 220, which is opposite to the communication hole 2170 of the front plate 216.

그리고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와 프론트패널(220) 사이에는 제2도어냉각유로(P3)가 구비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2도어냉각유로(P3)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 및 프론트패널(220)의 입출개구(216O)(221)을 둘러싸도록 위치된다. 상기 제2도어냉각유로(P3)는 아래에서 설명할 오븐도어(230)를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의 연통공(217O)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2도어냉각유로(P3)를 유동하면서 오븐도어(230)를 냉각시키고, 상기 배출구(223)를 통하여 외부, 즉 실내로 배출된다.A second door cooling passage P3 is provided between the front plate 216 and the front panel 220. [ The second door cooling passage P3 is positioned so as to surround the front plate 216 and the entrance / exit openings 216O and 221 of the front panel 220 substantially. The second door cooling passage P3 i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flows to cool the oven door 23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More specifically,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217O of the front plate 216 flows through the second door cooling channel P3 to cool the oven door 230, and the outlet 223 To the outside, that is, to the room.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오븐(200)에는 상기 제2조리실(20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오븐도어(230)가 구비된다. 상기 오븐도어(230)를 서랍식으로 상기 제2조리실(201)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상기 오븐도어(230)의 전면에는 상기 오븐도어(230)를 여닫기 위하여 사용자가 파지하는 도어핸들(231)이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오븐도어(230)가 각각 상기 제1조리실(120) 또는 제2조리실(201)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전자레인지 도어의 전면과 상기 오븐도어(230)의 전면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상기 전자레인지 도어의 전면과 상기 오븐도어(230)의 전면은 동일한 재질 및 색상으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 again, the oven 200 is provided with an oven door 230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1. And selectively opens / closes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1 by pulling out the oven door 230. A door handle 231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ven door 230 for the user to open and close the oven door 230. The front surface of the microwave oven door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oven door 230 are flush with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first and the oven doors 230 shield the first cooking chamber 120 or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1, As shown in Fig. More preferably, at least the front surface of the microwave oven door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oven door 230 ar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color.

상기 오븐도어(230)의 이면에는 트레이안착부(240)가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안착부(240)에는 상기 오븐도어(230)의 여닫힘에 연동하여 상기 제2조리실(201)의 내외부로 출납되는 트레이(250)가 안착된다. The tray mounting part 240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oven door 230. The tray seating part 240 is seated with a tray 250 interlocked with the opening of the oven door 230 and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1.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안착부(240)는 상면이 개구되는 납작한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안착부(240)의 저면에는 장방형의 개구부(241)가 구비된다. 상기 개구부(241)는 아래에서 설명할 오븐히터(270)의 히터열을 트레이(250)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트레이안착부(240)의 저면에는 안착단(243)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단(243)은, 상기 개구부(241)에 인접하는 상기 트레이안착부(240)의 저면 일부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단차짐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243)은 트레이(250)의 형상에 대응하여 전체적으로 장방형으로 형성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4, the tray seating part 240 is formed into a flat hexahedron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A rectangular opening 241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seating part 240. The opening 241 is for transmitting the heater row of the oven heater 270 to the tray 25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lso, a seating end 243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seating part 240. The seating end 243 is formed by lowering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seating part 240 adjacent to the opening part 241 relative to other parts. The seating end 243 is formed in a generally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ray 250.

한편 상기 제2조리실(201)에는 트레이(250)가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트레이(250)는 상기 트레이안착부(240), 상세하게는 상기 안착단(243)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오븐도어(230)의 여닫힘에 연동하여 상기 제2조리실(201)의 내외부로 출납된다. 상기 트레이(250)는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250)의 상면에는 음식물이 안착된다. 상기 트레이(250)의 상면에 안착되는 음식물, 즉 상기 제2조리실(201)에서 조리되는 음식물로는 피자를 예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자는 원형의 납작한 빵의 상면에 치즈 및 토마토나 버섯, 소시지와 같은 각종 토핑을 뿌린 상태에서 상기 치즈가 녹을 때까지 가열하여 조리된다. On the other hand, a tray 250 is installed in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1 in a detachable manner. The tray 250 is substantially in contact with the tray seating portion 240 and more specifically the seating end 243 so as to interlock with the opening of the oven door 230, It is delivered inside and outside. The tray 25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food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250. The food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250, that is, food to be cooked in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1 may be pizza. Generally, the pizza is cooked by heating until the cheese is melted, with various toppings such as cheese, tomatoes, mushrooms, and sausages scattered on the top of a round flat bread.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오븐(200)에는 각각 레일어셈블리가 구비된다. 상기 레일어셈블리는 상기 오븐도어(230)의 여닫힘 및 상기 트레이의 출납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레일어셈블리는 고정레일(261) 및 이동레일(263)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레일(261)은 상기 제2조리실(201)의 양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사이드플레이트(213)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이동레일(263)은 상기 고정레일(261)을 따라서 상기 고정레일(26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레일(263)의 전단은 상기 오븐도어(230)의 이면 양측단부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263)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는 상기 트레이안착부(240)가 고정된다. Referring again to FIG. 1, the oven 200 is provided with a rail assembly. The rail assembly is for guiding the closing of the oven door 230 and the insertion / removal of the tray. The rail assembly includes a fixed rail 261 and a movable rail 263. The fixing rails 261 are fixed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side plates 213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side surfaces of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1, respectively. The movable rail 263 is slidably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rail 261 along the fixed rail 261. The front ends of the moving rails 263 are fixed to opposite ends of the rear surface of the oven door 230, respectively. The tray seating part 240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moving rails 263 facing each other.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오븐(200)에는 연동레버(280) 및 스위치(290)가 구비된다. 상기 연동레버(280) 및 스위치(290)는 상기 오븐도어(230)의 여닫힘, 즉 상기 제2조리실(201)의 개폐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5, the oven 200 includes an interlocking lever 280 and a switch 290. The interlocking lever 280 and the switch 290 are for sensing whether the oven door 230 is opened or closed, that is, whether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1 is opened or closed.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동레버(280)는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연동레버(280)는 회동축(281), 구동돌기(283) 및 연동돌기(285)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축(281)은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돌기(283)는 상기 회동축(28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스위치(290)를 온/오프시킨다. 상기 구동돌기(283)는 상기 회동축(281)의 외주면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연동돌기(285)는 상기 구동돌기(283)의 선단에서 상기 구동돌기(283)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연장된다. 상기 연동돌기(285)는 적어도 그 선단부가 상기 제2조리실(20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여닫히 는 상기 오븐도어(230)가 형성하는 궤적상에 위치된다. 상기 연동돌기(285)는 상기 오븐도어(230)의 여닫힘에 연동하여 상기 구동돌기(283)를 상기 회동축(281)을 중심으로 회동시킨다.More specifically, the interlocking lever 28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ont panel 220. The interlocking lever 280 includes a rotary shaft 281, a drive projection 283, and an interlocking projection 285. The pivot shaft 28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ont panel 220 in a vertical direction. The driving projection 283 rotates about the pivot shaft 281 to turn the switch 290 on and off. The driving projection 283 extends horizontally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281. The interlocking projection 285 extends from the distal end of the driving projection 283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driving projection 283. The interlocking protrusion 285 is located on a locus formed by the oven door 230 at least at its distal end which is opened and clos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1. The interlocking protrusion 285 rotates the driving projection 283 about the pivot shaft 281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of the oven door 230.

한편 상기 스위치(290)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6)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290)에는 고정단자(미도시)와 이동단자(291)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290)는 상기 고정단자와 이동단자(291)가 서로 접촉하거나 이격됨으로써 온/오프된다. 상기 이동단자(291)는 그 일부가 상기 스위치(29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290)의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이동단자(29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오븐도어(230)의 여닫힘에 연동하는 상기 연동돌기(285)에 의하여 상기 회동축(281)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상기 구동돌기(283)가 형성하는 궤적상에 위치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이동단자(291)는 상기 구동돌기(283)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눌러짐으로써 상기 고정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290)의 내부에는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고정단자와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상기 이동단자(291)에 부여한다. 이는 상기 오븐도어(230)가 열려서 상기 제2조리실(201)이 개방된 상태, 즉 상기 오븐도어(230)의 닫힘에 연동하여 상기 연동레버(280)가 상기 스위치(290)를 온시키는 방향으로 연동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단자(291)와 고정단자가 접촉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상기 오븐도어(23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이동단자(291)와 고정단자가 임의로 접촉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동레버(28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별도의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 고, 2개의 탄성부재가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switch 290 is installed through the front plate 216. The switch 290 is provided with a fixed terminal (not shown) and a movable terminal 291. The switch 290 is turned on / off by the contact and separation of the fixed terminal and the movable terminal 291. The movable terminal 291 is horizontally movably installed in a state where a part of the movable terminal 291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switch 290. At least a part of the movable terminal 291 protruding out of the switch 290 is pivotally moved about the pivot shaft 281 by the interlocking projection 285 interlocked with the opening of the oven door 230 And is located on the trajectory formed by the driving projection 283 that rotates. In other words, the movable terminal 291 is selectively pressed by the driving projection 283 to selectively contact the fixed terminal. An elastic member (not shown) is provided inside the switch 290. The elastic member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movable terminal 291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xed terminal.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oven door 230 is opened and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1 is opened, that is, the oven door 230 is closed, the interlocking lever 280 turns on the switch 290 The movable terminal 291 and the fixed terminal are prevented from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not interlocked with each other. Of course, a separate elastic member may be provided to apply elastic force to the interlocking lever 280 to prevent the movable terminal 291 from contacting the fixed terminal arbitrarily when the oven door 230 is opened And both of the elastic members may be provided.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오븐(200)에는 오븐히터(270)가 구비된다. 상기 오븐히터(270)는 상기 바텀플레이트(219)의 상면에 인접하는 상기 제2조리실(201)의 하부에 위치된다. 상기 오븐히터(270)는 상기 트레이(25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조리실(201)의 내부에 위치되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열을 발생시킨다. 상기 오븐히터(270)는 상기 연동레버(280) 및 스위치(290)에 의하여 상기 제2조리실(201)이 차폐된 상태, 즉 상기 오븐도어(230)가 닫힌 상태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동작하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오븐히터(270)로 전체적으로 사형을 이루도록 다수회 밴딩되는 시즈히터가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오븐히터(270)의 종류 및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Referring again to FIG. 1, the oven 200 is provided with an oven heater 270. The oven heater 270 is positioned below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1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219. The oven heater 270 generates a heater row for heating the food placed inside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1 while being seated on the tray 250. The oven heater 270 operates only when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1 is shielded by the interlocking lever 280 and the switch 290, that is, when the oven door 230 is closed .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sieve heater is used which is bent a plurality of times so as to form a tubular shape as a whole by the oven heater 270. However, the type and shape of the oven heater 270 are not limited thereto.

상기 아웃케이스(300)는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상면과 양측면 및 상기 오븐(200)의 양측면을 형성한다. 상기 아웃케이스(300)의 상면 및 양측면에는 각각 다수개의 관통공(301)이 형성된다.The outer case 300 forms an upper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microwave oven 100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oven 200.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0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outer case 300.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한다.First,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1체결구(S1)를 베이스플레이트(150)의 제1관통공(153)을 관통시켜서 제1캐비티(110)의 제2체결공(115)에 체결한다. 즉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는 수직방향으로 체결되는 상기 제1체결구(S1)에 의하여 상기 제1캐비티(110)에 고정된다. The first fastener S1 passe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53 of the base plate 150 and is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hole 115 of the first cavity 110. [ That is, the base plate 150 is fixed to the first cavity 110 by the first fastener S 1 fast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가 상기 제1캐비티(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체결구(S2)를 각각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의 제2관통공(155)을 관통시켜서 제2캐 비티(210)의 제1체결공(216H1)(218H1)에 체결한다. 따라서 상기 제2캐비티(210)는 수평방향으로 체결되는 상기 제2체결구(S2)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에 고정된다.The second fastening member S2 is passed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155 of the base plate 150 in a state where the base plate 150 is fixed to the first cavity 110, (218H1) of the first fastening hole (216). Accordingly, the second cavity 210 is fixed to the base plate 150 by the second fastener S2 faste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캐비티(2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아웃케이스(300)를 상기 제1 및 제2캐비티(210)에 고정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아웃케이스(300)의 관통공(301)을 관통시킨 제3체결구(S3)를 상기 제1캐비티(110)의 제1체결공(113) 또는 상기 제2캐비티(210)의 제2체결공(216H1)(218H2)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아웃케이스(300)가 상기 제1 및 제2캐비티(210)에 고정되는 것이다.The outer case 300 is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cavities 210 in a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cavities 210 are coupled. The third fastener S3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301 of the outer case 3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113 or the second cavity 210 of the first cavity 110, The outer case 300 is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cavities 210 by being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holes 216H1 and 218H2.

이와 같이 상기 제2캐비티(21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캐비티(110)의 저면을 형성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를 매개로 상기 제2체결구(S2)에 의하여 고정되므로, 동일한 규격의 상기 제1캐비티(110)를 본 발명과 같은 조리기기 또는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에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제1캐비티(110)가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아웃케이스(300)도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아웃케이스가 사용될 것이다.Since the second cavity 210 is substantially fixed by the second fastener S2 through the base plate 150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avity 110, The first cavity 110 can be used for both the cooking apparatus such as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l microwave oven. Of course, when the first cavity 110 is used in a general microwave oven, the out-case 300 may also be a general microwave oven case.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에서 제2조리실을 개폐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cooking chamber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에서 제2조리실이 차폐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6 shows a state where the second cooking chamber is shield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제2조리실(201)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연동레버(280)의 구동돌기(283)가 스위치(290)의 이동단자(291)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단자(291)가 상기 스위치(290)의 고정단자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스위치(290)는 오프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290)의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이동단자(291)는 상기 고정단자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받음으로써, 상기 스위치(290)가 오동작, 즉 상기 제2조리실(201)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290)가 온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290)가 오프된 상태, 즉 상기 제2조리실(201)이 상기 오븐도어(230)에 의하여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조리실(201)에서의 음식물의 조리를 위하여 오븐히터(270)가 동작되지 않게 된다.5, the driving projection 283 of the interlocking lever 280 is separated from the moving terminal 291 of the switch 290 when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1 is opened. Therefore, the movable terminal 291 is spaced apart from the fixed terminal of the switch 290 so that the switch 290 is maintained in the off state. At this time, the movable terminal 291 is given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xed terminal by the elastic member of the switch 290, so that the switch 290 malfunctions, that is,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1 is opened The switch 290 is prevented from being turned on. When the switch 290 is turned off, that is, when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1 is opened by the oven door 230, an oven heater (not shown) for cooking food in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1 270 will not operate.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조리실(201)이 차폐된 상태, 즉 상기 오븐도어(23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오븐도어(230)의 닫힘에 연동하여 상기 연동레버(280)의 연동돌기(285)가 상기 구동돌기(283)를 상기 연동레버(280)의 회동축(281)을 중심으로 회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구동돌기(283)가 상기 이동단자(291)를 눌러서 상기 고정단자와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스위치(290)가 온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2조리실(201)에서의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오븐히터(270)가 구동하여 상기 제2조리실(201)에서의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진다.6, when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1 is closed, that is, when the oven door 230 is closed, the interlocking lever 280 is interlocked with the closing of the oven door 230, The projection 285 rotates the driving projection 283 about the rotation axis 281 of the interlocking lever 280. [ Therefore, the drive projection 283 pushes the movable terminal 291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xed terminal, thereby turning on the switch 290. [ In this state, when the user inputs an operation signal for cooking food in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1, the oven heater 270 is driven to cook the food in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1 .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기유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Finally, the air flow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기유동상태가 도시되어 있다.7 shows the state of air flow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오븐(200)을 동작시키면, 냉각팬(140)(도 1참조)이 구동한다. 상기 냉각팬(140)이 구동하면, 흡기구(116)(도 1참조)를 통하여 전자레인지(100)(도 1참조)의 내부, 즉 전장실(130)(도 1참조)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전장실(13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제1가열원냉각유로(P1) 또는 제1조리실순환유로(P2)를 유동한다. 즉 상기 전장실(13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전장실(130)의 전장부품을 냉각시키고, 베이스플레이트(150)의 연통공(157)을 통하여 상기 오븐(20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13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나머지는 공기유입부(118)(도 1참조)를 통하여 제1조리실(120)(도 1참조)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제1조리실(120)의 내부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분과 유분을 포함한 상태에서 공기배출부(119)(도 1참조)를 통하여 배출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의 연통공(157)을 통하여 상기 오븐(200)의 내부로 유입된다.Referring to this, when the user operates the oven 200, the cooling fan 140 (see FIG. 1) is driven. When the cooling fan 140 is driven, the cooling fan 140 is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microwave oven 100 (see FIG. 1), that is, the interior of the electric room 130 (see FIG. 1) through the inlet port 116 . The air sucked into the electric field chamber 130 flows through the first heating source cooling channel P1 or the first cooking chamber circulation channel P2. That is, a part of the air sucked into the electric field chamber 130 cools the electric components of the electric field chamber 130 and flows into the oven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57 of the base plate 150 ≪ / RTI > The rest of the air sucked into the electric room 130 flows into the first cooking chamber 120 (see FIG. 1) through the air inlet 118 (see FIG. 1) (See FIG. 1) in a state including moisture and oil generated in the course of cooking food in the inside of the base plate 150 and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57 of the base plate 150 And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oven (200).

그리고 상기 오븐(2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프론트플레이트(216)의 연통공(217O)을 통하여 제2도어냉각유로(P3)로 유입된다. 상기 제2도어냉각유로(P3)로 유입된 공기는 제2도어냉각유로(P3)를 유동하면서 오븐도어(230)를 냉각시킨 상태에서, 배출구(223)를 통하여 상기 오븐(200)의 외부, 즉 실내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오븐도어(230)가 제2조리실(201)(도 1참조)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히터열에 의하여 가열되어 상기 오븐도어(230)를 여닫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현상이 방지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oven 200 flows into the second door cooling passage P3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217O of the front plate 216. [ The air flowing into the second door cooling passage P3 flows through the second door cooling passage P3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oven 200 through the outlet 223 while the oven door 230 is cooled, That is, discharged into the room. Therefore, when the oven door 230 is heated by the heater hea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oking food in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1 (see FIG. 1), the user is injured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ven door 230 .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의 요부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의 도면부호를 원용하여 설명한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reference numerals of Figs. 1 to 5.

이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트레이(650)의 출납을 가이드하기 위한 레일어셈블리가 고정레일(661), 이동레일(663) 및 중간레일(665)을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의 레일어셈블리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레일어셈블리와 비교하여, 중간레일(665)이 추가된 것이다.Referring to this, in this embodiment, the rail assembly for guiding the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tray 650 includes a fixed rail 661, a movable rail 663, and a middle rail 665. That is, the rail assembly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rail assembly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that the intermediate rail 665 is added.

상기 중간레일(665)은 실질적으로 상기 트레이(650)의 인출거리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하면, 제2조리실(201)의 양측면에 고정레일(661)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이동레일(663)의 전단은 오븐도어(630)의 이면 양측단부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663)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는 상기 트레이(650)가 안착되는 트레이안착부(640)가 고정된다. The intermediate rail 665 serves to substantially increase the pull-out distance of the tray 650. In other words, the fixing rails 661 are fix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1, and the front ends of the moving rails 663 are fixed to both ends of the rear surface of the oven door 630, respectively. Further,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moving rails 663 facing each other, a tray seating portion 640 on which the tray 650 is mounted is fixed.

그리고 상기 중간레일(665)은 각각 상기 고정레일(661)을 따라서 상기 고정레일(66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레일(663)은 각각 상기 중간레일(665)을 따라서 상기 중간레일(665)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레일(665)의 길이만큼 상기 트레이(250)의 인출거리가 실질적으로 증가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상기 트레이(250)를 상기 제2조리실(201)의 내외부로 출납할 수 있게 된다.The intermediate rail 665 is slidably installed along the fixed rail 66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rail 661. Each of the moving rails 663 is slidably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rail 665 along the intermediate rail 665. Therefore, the pull-out distance of the tray 250 is substantially increased by the length of the intermediate rail 665,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insert the tray 250 into and out of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1 .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3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third embodiment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3실시예의 요부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의 도면부호를 원용하여 설명한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third embodiment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reference numerals of Figs. 1 to 5.

이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트레이안착부(740)가 장방형 또는 원형 트레이를 선택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트레이안착부(740)의 저면에 장방형의 개구부(74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안착부(740)의 저면에는 제1 및 제2안착단(743)(745)이 구비된다.In this embodiment, the tray seating portion 74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seat a rectangular or circular tray. More specifically, a rectangular opening 741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seating portion 740. First and second seating ends 743 and 745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seating portion 740.

상기 제1안착단(743)은 장방형 트레이를 안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안착단(743)은 상기 개구부(741)에 인접하는 상기 트레이안착부(740)의 저면 일부가 다른 부분에 대하여 하방으로 단차짐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제1안착단(743)은 전체적으로 장방형 트레이가 안착될 수 있도록 장방형으로 형성된다.The first seating end 743 is for seating the rectangular tray. The first seating end 743 is formed by the bottom portion of the tray seating portion 740 adjacent to the opening 741 being stepp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other portion. The first seating end 743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so that the rectangular tray as a whole can be seated.

상기 제2안착단(743)은 원형 트레이를 안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안착단(743)은 상기 제1안착단(743)에 인접하는 상기 트레이안착부(740)의 저면 일부가, 소정의 중심각을 가지는 부채꼴형상으로, 다른 부분에 대하여 하방으로 단차짐으로써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안착단(743)은, 실질적으로, 상기 원형 트레이와 상기 제1안착단(743)과 중첩되는 부분을 제외한 상기 원형 트레이의 나머지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트레이안착부(740)의 저면 일부가 다른 부분에 대하여 하방으로 단차짐으로써 형성된다. The second seating end 743 is for seating the circular tray. The second seating end 743 has a bottom portion of the tray seating portion 740 adjacent to the first seating end 743 and has a fan shape with a predetermined central angle and is stepp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other portion . That is, the second seating end 743 is substantially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tray seating portion 740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circular tray except for the portion overlapping the circular tray and the first seating end 743 And a part of which is stepp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other part.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3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 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0 및 도 1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3실시예에 의하여 상이한 종류의 트레이를 안착시킨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Figs. 10 and 11 show a state in which different types of trays are seate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트레이안착부(740)에는 장방형 트레이(750)가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방형 트레이(751)는 상기 트레이안착부(740)의 제1안착단(743)에 안착된다. 즉 상기 트레이안착부(740)의 제2안착단(743)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장방형 트레이(751)가 안착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2안착단(743)을 이용하여 상기 장방형 트레이(751)를 상기 제1안착단(743)에 안착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탈거시킬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11, a rectangular tray 750 may be seated in the tray seating portion 740. At this time, the rectangular tray 751 is seated on the first seating end 743 of the tray seating portion 740. That is, the rectangular tray 751 is not substantially seated in the second seating end 743 of the tray seating portion 740.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rectangular tray 751 from the first seating end 743 using the second seating end 743.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안착부(740)에는 원형 트레이(753)가 안착될 수도 있다. 상기 원형 트레이(753)는 상기 제2안착단(743)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원형 트레이(753)와 중첩되는 부분을 제외한 상기 개구부(741)의 나머지 부분은 실질적으로 상하로 연통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와 같은, 상기 원형 트레이(753)와 중첩되는 부분을 제외한 상기 개구부(741)의 나머지 부분을 통하여 상기 원형 트레이(753)를 상기 제2안착단(745)에 안착된 상태에서 보다 용이하게 탈거시킬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12, a circular tray 753 may be mounted on the tray seating part 740. The circular tray 753 is seated on the second seating end 743. At this time,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opening 741 except the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circular tray 753 is communicated substantially vertically.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move the circular tray 753 in a state where the circular tray 753 is seated on the second seating end 745 through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opening 741 except the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circular tray 753 It can be remov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자레인지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장부품이 구비되고, 상기 오븐에는 히터가 구비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전자레인지에 히터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별도의 히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icrowave oven is provided with electric parts for generating microwaves, and the oven is provided with a heat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microwave oven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heater for generating the heater heat.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자레인지와 오븐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으나,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을 가지는 2개의 조리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는 당연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ame of the microwave oven and the oven are us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e cooking appliance including the two cooking parts having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naturally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coo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먼저 본 발명에서는, 전자레인지와 오븐이 스크류에 의하여 간단하게 결합되고, 하나의 아웃케이스가 양자의 외관을 형성한다. 따라서 하나의 전자레인지의 캐비티를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와 복합적인 조리기기에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wave oven and the oven are simply coupled by screws, and one out case forms the appearance of both. Therefore, the cavity of one microwave oven can be used for both general microwave ovens and complex cooking devices.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레인지와 오븐과 같은, 2개의 조리부에서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음식물을 보다 신속하게 조리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ok different types of foods in two cooking zones, such as a microwave oven and an oven.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cook more various foods more rapidly.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오븐의 조리실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트레이가 레일어셈블리에 의하여 안내되고, 실질적으로 그 인출거리가 증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조리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y that is fed into and out of the cooking chamber of the oven is guided by the rail assembly, and the pull-out distance is substantially increased. Therefore, the user can use the cooking apparatus more easily.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오븐의 오븐도어가 상기 전자레인지의 전장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플로에 의하여 냉각된다. 따라서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상기 오븐도어를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n door of the oven is cooled by the air flow formed by the cooling fan for cooling the electric parts of the microwave oven. Therefore, the oven door can be cooled with a simpler configuration.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오븐의 트레이안착부에 장방형 트레이와 원형 트레이를 선택적으로 안착시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ctangular tray and a circular tray can be selectively seated in the tray seating portion of the oven. Thus, the user can use the product more conveniently.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오븐도어가 상기 오븐의 조리실을 차폐한 상태에서만 오븐히터가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오븐의 조리실의 외부로 상기 오븐히터의 히터열이 누설되어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현상이 방지되는 동시에 음식물의 조리효율이 증진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n heater is operated only when the oven door shields the cooking chamber of the oven. Accordingly, the heat of the heater of the oven heater leaks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chamber of the oven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injured, and the cooking efficiency of the food is improv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오븐의 캐비티가 음식물의 조리효율을 고려하여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는 어퍼플레이트, 이너패널 및 아웃터패널을 포함한다. 따라서 음식물의 조리효율을 유지하면서 조리기기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vity of the oven includes an upper plate, an inner panel, and an outer panel, which are formed of material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consideration of the cooking efficiency of the foo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ooking appliance while maintaining the cooking efficiency of the foo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캐비티를 보인 분해사시도.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cavity constitut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트레이안착부를 보인 평면도.4 is a plan view showing a tray seating portion constitut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다른 요부를 보인 횡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ssential par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에서 제2조리실이 차폐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FIG. 6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second cooking chamber is shield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기유동상태를 보인 공기흐름도.FIG. 7 is an air flow chart showing the air flowing st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second embodiment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3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3실시예에 의하여 상이한 종류의 트레이를 안착시킨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FIG. 10 and FIG. 11 are operation states showing a state in which different kinds of trays are seate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7)

제1조리실이 구비되는 제1캐비티; A first cavity having a first compartment; 제2조리실이 구비되는 제2캐비티; A second cavity having a second cavity; 상기 제1 및 제2캐비티 사이에 구비되는 플레이트; 및 A plate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avities; And 상기 제1 및 제2캐비티를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A fastening member for fixing the first and second cavities to the plate; .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및 제2캐비티는 상하로 적층되고, The first and second cavities are stacked vertically,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캐비티의 하부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인 조리기기.Wherein the plate is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cavity. 제 2 항에 있어서, 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캐비티는 수직으로 체결되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고, Wherein the first cavity is fixed to the base plate by the fastening member vertically fastened, 상기 제2캐비티는 수평으로 체결되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조리기기.And the second cavity is fixed to the base plate by the fastening member fastened horizontally.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또는 제2캐비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플랜지가 구비되는 조리기기.Wherein the plate is provided with a fixing flange for fixing the first or second cavity. 제 4 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고정플랜지는 상기 플레이트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가 밴딩되어 형성되고, Wherein the fixing flange is formed by bending opposing end portions of the plate, 상기 고정플랜지에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2캐비티가 고정되는 조리기기.And the second cavity is fixed to the fixing flange by the fastening member. 제1조리실이 구비되는 제1조리부; A first cooking unit having a first cooking chamber; 상기 제1조리부에 고정되고, 제2조리실이 구비되는 제2조리부; 및 A second cooking chamber fixed to the first cooking chamber and having a second cooking cavity; And 상기 제1 및 제2조리부의 적어도 양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An outer case forming at least both side surfac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oking parts; .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제1조리부는, Wherein the first cooking portion includes: 상기 제1조리실이 구비되는 제1캐비티; A first cavity having the first cooking cavity; 상기 제1조리실에서의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제1가열원; A first heating source for cooking food in the first cooking chamber; 상기 제1캐비티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베이스플레이트; 및 A first base plate provided below the first cavity; And 상기 제1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도어;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A first do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cooking chamber; . 제 7 항에 있어서, 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수직방향으로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1캐비티에 고정되는 조리기기.Wherein the base plate is fixed to the first cavity by a fastening member fastened in a vertical direction. 제 7 항에 있어서, 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상기 제2조리부를 상기 제1조리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고정플랜지가 구비되는 조리기기.Wherein the base plate is provided with a fixing flange to which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he second cooking part to the first cooking part is fastened. 제 10 항에 있어서, 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고정플랜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단부가 밴딩되어 형성되는 조리기기.Wherein the fixing flange is formed by bending both ends of the base plate. 제 7 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제1가열원은 적어도 마그네트론을 포함하는 조리기기.Wherein the first heating source includes at least a magnetron.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제2조리부는, The second cooking portion includes: 상기 제2조리실이 구비되는 제2캐비티; A second cavity having the second cooking cavity; 상기 제2조리실에서의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제2가열원; 및 A second heating source for cooking food in the second cooking chamber; And 상기 제2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도어;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A second do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cooking chamber; . 제 12 항에 있어서, 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2캐비티는 수평방향으로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조리기기.And the second cavity is fixed to the base plate by a fastening member fastened in a horizontal direction. 제 12 항에 있어서, 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2가열원은 적어도 히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And the second heating source includes at least a heater.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아웃케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조리부의 양측면 외관 및 상기 제1조리부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조리기기.Wherein the outer case forms outer side surfaces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oking parts and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oking part.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제1 및 제2조리부는 각각 상기 제1 또는 제2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또는 제2도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oking portions each include a first or second door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first or second cooking chamber. 제 16 항에 있어서,17.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제1 및 제2도어의 전면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는 조리기기.Wherein the front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doors ar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제 16 항에 있어서, 17.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제1도어는 그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전후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1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The first door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about the one end thereof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first cooking chamber, 상기 제2도어는 서랍식으로 상기 제2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조리기기.And the second door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second cooking chamber by a drawer. 적어도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키는 전장부품을 포함하는 전자레인지; A microwave oven comprising at least electrical components for generating microwaves; 상기 전자레인지에 결합되고, 적어도 히터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를 포함하는 오븐; 및 An oven coupled to the microwave oven and including a heater generating at least a heater heat; And 상기 오븐을 상기 전자레인지에 결합시키는 다수개의 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A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for coupling the oven to the microwave oven; . 제 19 항에 있어서, 20. 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오븐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전자레인지의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조리기기.Wherein the oven is fixed to the base plate which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microwave oven by the fastening member. 제 20 항에 있어서, 21. 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오븐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단부에 구비되는 고정플랜지에 상기 체결부재에 의하여 고정되는 조리기기.Wherein the oven is fixed to the fixing flange provided at both side ends of the base plate by the fastening member.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 및 적어도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키는 전장부품을 포함하는 전자레인지; A microwave oven including a cavity provided with a cooking chamber and at least electrical parts for generating a microwave; 상기 전자레인지에 결합되고,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 및 적어도 히터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를 포함하는 오븐; 및An oven coupled to the microwave oven, the oven including a cavity having a cooking chamber and a heater generating at least heat of the heater; And 상기 전자레인지의 캐비티 및 상기 오븐의 캐비티에 고정되고, 적어도 상기 전자레인지 및 오븐의 양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An outer case fixed to a cavity of the microwave oven and a cavity of the oven, the outer case forming at least both side surfaces of the microwave oven and the oven; . 제 22 항에 있어서, 23. 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전자레인지는 그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Wherein the microwave oven further includes a base plate forming a bottom surface thereof, 상기 오븐은 수평방향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전자레인지에 결합되는 조리기기.Wherein the oven is coupled to the microwave oven by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base pl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제 22 항에 있어서, 23. 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전자레인지는 상기 전자레인지의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전자레인지 도어를 더 포함하고, Wherein the microwave oven further includes a microwave oven door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cooking chamber of the microwave oven, 상기 오븐은 상기 오븐의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오븐 도어를 더 포함하며, The oven further includes an oven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ooking chamber of the oven, 상기 전자레인지 도어와 오븐 도어의 전면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는 조리기기.Wherein the front of the microwave oven door and the oven door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조리실 및 적어도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키는 전장부품을 포함하는 전자레인지; A microwave oven comprising a cooking chamber and at least electrical components for oscillating microwaves; 상기 전자레인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조리실 및 적어도 히터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히터를 포함하는 오븐; 및 An oven selectively coupled to the microwave oven and including a cooking chamber and a heater for generating at least heat of the heater; And 상기 오븐이 상기 전자레인지에 결합되었는지 여부에 따라서 적어도 상기 전자레인지 및 오븐의 양측면 외관을 형성하거나 상기 전자레인지의 양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An outer case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both sides of the microwave oven and oven at leas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oven is coupled to the microwave oven, or forming both side outer surfaces of the microwave oven; . 제 25 항에 있어서, 26. 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오븐은 상기 전자레인지의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에 체결부재에 의하여 고정되는 조리기기.Wherein the oven is fixed to the base plate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microwave oven by a fastening member. 제 26 항에 있어서, 27. 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체결부재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오븐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조리기기.Wherein the fastening member passes through the ove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fastened to the base plate.
KR1020070116923A 2007-11-15 2007-11-15 A cooker KR1015374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923A KR101537407B1 (en) 2007-11-15 2007-11-15 A coo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923A KR101537407B1 (en) 2007-11-15 2007-11-15 A coo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476A true KR20090050476A (en) 2009-05-20
KR101537407B1 KR101537407B1 (en) 2015-07-16

Family

ID=40858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923A KR101537407B1 (en) 2007-11-15 2007-11-15 A coo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40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6369B1 (en) * 2022-03-21 2022-12-09 허민석 Assembly type convection oven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3473B2 (en) 2016-04-12 2022-12-06 Whirlpool Corporation Combination microwave and hood system
KR20220094673A (en) * 2020-12-29 2022-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Oven
DE102021201944A1 (en) * 2021-03-01 2022-09-01 BSH Hausgeräte GmbH Steam treatment drawer for a household cooking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3438B2 (en) * 1991-08-13 1999-06-07 三菱電機ホーム機器株式会社 Cooker
KR19990084890A (en) * 1998-05-12 1999-12-06 윤종용 Compound Microwave
KR20040068681A (en) * 2003-01-27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Microwave oven
KR20060127690A (en) * 2005-06-08 2006-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ic oven ran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6369B1 (en) * 2022-03-21 2022-12-09 허민석 Assembly type convection oven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7407B1 (en) 2015-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5763B2 (en) Cooking appliance including combination heating system
KR101207304B1 (en) Cooking Apparatus with divider
EP1748255B1 (en) Electric oven
KR20180080062A (en) Cooking Appliance
US7041949B2 (en) Microwave oven having a toasting cavity
EP3853529B1 (en) Oven
KR101537407B1 (en) A cooker
KR20180028691A (en) Cooking Appliance
KR102401514B1 (en) Oven
KR101445873B1 (en) A cooker
US20040074901A1 (en) Microwave oven with toaster
KR101460357B1 (en) A cooker
JP6694583B2 (en) Toaster oven
KR101411156B1 (en) A cooker
US20110006056A1 (en) Microwave oven
KR101545745B1 (en) Cooker
EP3702671B1 (en) Cooking apparatus
KR20090050479A (en) A cooker
KR20090050483A (en) A cooker
KR100986480B1 (en) A cooker
KR20090099946A (en) A cooker
JP6697671B2 (en) Toaster oven
KR20190037993A (en) Cooking apparatus
KR200158622Y1 (en) Microwave oven
KR101760942B1 (en) Cooking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