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9710A - 차량의 미등램프 어셈블리 및 램프 점등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미등램프 어셈블리 및 램프 점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9710A
KR20090049710A KR1020070115933A KR20070115933A KR20090049710A KR 20090049710 A KR20090049710 A KR 20090049710A KR 1020070115933 A KR1020070115933 A KR 1020070115933A KR 20070115933 A KR20070115933 A KR 20070115933A KR 20090049710 A KR20090049710 A KR 20090049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vehicle
control module
body control
tail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민
Original Assignee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5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9710A/ko
Publication of KR20090049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97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60Q1/4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with indication of the braking strength or speed changes, e.g. by changing shape or intensity of the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35Brake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펄스 폭 변조 기술을 적용하여 미등(tail lamp) 및 제동등(stop lamp)을 하나의 필라멘트로 구성하여 벌브(bulb) 및 와이어가 절약되고, 고장진단이 용이한 차량의 미등램프 어셈블리 및 램프 점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브레이크 신호를 감지하는 차체 제어모듈(Body Control Module; BCM), 상기 차체 제어모듈 내에 구비된 PWM(Pulse With Modulation) 드라이버 및 상기 PWM 드라이버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PWM 드라이버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밝기가 변하는 램프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차량의 미등램프 어셈블리 및 램프 점등 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차량에 하나의 전구, 하나의 필라멘트 및 하나의 와이어를 적용하여 보다 간단하게 미등램프 어셈블리를 구현할 수 있다.
미등램프, PWM 드라이버, 차체 제어모듈

Description

차량의 미등램프 어셈블리 및 램프 점등 방법{Tail lamp assembly for a vehicle and method of lighting a lamp}
본 발명은 차량의 미등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펄스 폭 변조 기술을 적용하여 미등(tail lamp) 및 제동등(stop lamp)을 하나의 필라멘트로 구성하여 벌브(bulb) 및 와이어가 절약되고, 고장진단이 용이한 차량의 미등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후면에 미등램프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있으며, 두개의 벌브(bulb)가 설치되어 각각 미등램프 및 제동램프로 작용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는 달리, 하나의 벌브 내부에 두개의 필라멘트가 설치되어 필라멘트에 의하여 기능이 구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도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종래의 차량 미등 장치를 보여주는 배선도들이다.
도 1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미등램프 어셈블리(1)는 차체 제어모듈(3)을 포함한다. 상기 차체 제어모듈(3)은 엔진 장치, 브레이크 장치 및 와이퍼 장치 등을 각각 제어하는 전자 제어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ECU)을 구비하여 차량을 제어한다. 또, 차체 제어모듈(3) 내에는 미등램프(7) 및 제동램프(9)와 전기적 으로 연결된 HSD(5, High Side Driver)가 구비된다. 상기 HSD(5)는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는 동안 미등램프(7)를 구동하고, 운전자가 차량을 제동하는 동안 제동램프(9)를 구동한다. 이 경우, 상기 제동램프(9)는 미등램프(7) 보다 큰 출력을 갖는다.
또한 도 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미등램프 어셈블리(11)는 내부에 HSD(15)가 마련된 차체 제어모듈(13)을 포함한다. HSD(15)는 내부에 두 개의 필라멘트들(19a, 19b)이 형성된 벌브(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벌브(17)는 필라멘트들(19a, 19b)을 선택하여 미등램프 또는 제동램프로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도 1a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는 두 개의 벌브들을 사용하고, 상기 두 개의 벌브들을 각각의 HSD가 제어하므로, 회로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고장진단에 대한 각각 드라이버(driver)를 체크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 상기 도 1b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는 하나의 벌브 내에 두 개의 필라멘트를 사용하고, 이를 HSD가 제어하므로 출력전압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필라멘트를 갖는 램프를 펄스 폭 변조기술을 사용하여 미등 또는 제동등으로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등램프 어셈블리의 회로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고장진단 및 수리가 용이하게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의 특징은 차량을 운행하는 동안 브레이크 신호를 감지하는 차체 제어모듈(Body Control Module; BCM), 상기 차체 제어모듈 내에 구비되어 상기 감지된 신호를 펄스 폭 변조기술로 변조하여 출력하는 PWM(Pulse With Modulation) 드라이버 및 상기 PWM 드라이버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PWM 드라이버의 제어에 따라 미등(tail lamp) 또는 제동등(stop lamp)으로 작동하도록 선택적으로 밝기가 변하는 램프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의 특징은 제 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하나의 필라 멘트(filament)를 갖는 램프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의 특징은 제 2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상기 차량의 주행시 보다 제동시 더 큰 출력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의 특징은 차량을 운행하는 동안 브레이크 장치로부터 신호를 차체 제어모듈로 감지하는 단계, 차체 제어모듈 내에 구비된 PWM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신호를 폴스 폭 변조 기술로 변조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PWM 드라이버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미등(tail lamp) 또는 제동등(stop)으로 작동하도록 하나의 필라멘트를 갖는 램프의 밝기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미등램프 어셈블리 및 램프 점등 방법에 의하면, 하나의 전구, 하나의 필라멘트 및 하나의 와이어를 차량에 적용하여 보다 간단하게 미등램프를 구현할 수 있으며 차체 제어모듈의 구조 역시 단순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미등램프 어셈블리 및 램프 점등 방법에 의하면, 차량의 미등램프에 대한 고장진단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고장에 대한 수리가 용이하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본 발명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본 발명은 차량을 운행하는 동안 브레이크 신호를 감지하는 차체 제어모듈(Body Control Module; BCM), 상기 차체 제어 모듈 내에 구비되어 상기 감지된 신호를 펄스 폭 변조 기술로 변조하여 출력하는 PWM(Pulse With Modulation) 드라이버 및 상기 PWM 드라이버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PWM 드라이버의 제어에 따라 미등 또는 제동등으로 작동하도록 선택적으로 밝기가 변하는 램프부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 램프 장치를 도시한 배선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 램프 장치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미등램프 어셈블리(20)는 차체 제어모듈(21, Body Ccontrol Mldule; BCM), PWM 드라이버(23) 및 램프부(25)를 포함한다. 상기 차체 제어모듈(21)은 와이퍼 장치, 엔진 장치 및 에어컨 장치 등을 각각 제어하는 전자 제어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ECU)을 구비하여 차량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차체 제어모듈(21)은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는 동안 브레이크 신호를 감지하여 PWM 드라이버(23)로 전송한다.
상기 PWM 드라이버(23)는 차체 제어모듈(21) 내에 마련되어 상기 차체 제어모듈(21)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된 신호를 펄스 폭 변조기술을 사용하여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신호에 따른 출력을 램프부(25)로 전달한다. 상기 PWM 드라이버(23)는 차량을 제동하는 경우에 주행하는 경우보다 더 큰 출력을 발생시킨다. 다시 말해, 상기 PWM 드라이버(23)는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 형태에 따라 전기에너지를 선택적 으로 램프부(25)에 전달한다.
상기 램프부(25)는 PWM 드라이버(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필라멘트를 갖는 하나의 램프(lamp)로 구성되어, 차량의 미등(tail lamp) 또는 제동등(stop lamp)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램프부(25)는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하지 않고 차량을 운행하는 동안 일정한 밝기로 점등된다. 한편, 상기 램프부(25)는 차량을 운행하는 도중에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하는 경우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하지 않을 경우보다 더 밝은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램프부(25)는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하지 않는 동안에는 차량의 미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하는 동안에는 제동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등램프 어셈블리의 램프 점등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미등램프 어셈블리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는 동안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킨다(ST100). 이 경우, 상기 차량의 미등램프는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하지 않는 동안 PWM 드라이버(23)의 출력에 의하여 일정한 밝기로 점등되어 미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브레이크 장치와 연결된 차체 제어모듈(21)에서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을 감지한다(ST110). 상기 차체 제어모듈(21)에서 감지된 신호는 펄스 폭 변조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감지된 신호를 출력신호로 변환하는 PWM 드라이버(23)로 전송되어 브레이크 장치의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에너지를 램프부로 전송한다(ST120). 상기 램프부(25)는 PWM 드라이버(23)로부터 전송된 전기에너지를 받아 운전자가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운행하는 동안의 밝기보다 더 밝아져 제동등의 역할을 수행한다(ST130). 그 결과, 상기 미등램프 어셈블리는 펄스 폭 변조기술을 사용하여 출력을 변조하면 램프 내부에 하나의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미등 또는 제동등의 역할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종래의 차량 미등 장치를 보여주는 배선도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 램프 장치를 도시한 배선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미등램프 어셈블리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

Claims (4)

  1. 차량을 운행하는 동안 브레이크 신호를 감지하는 차체 제어모듈(Body Control Module; BCM);
    상기 차체 제어모듈 내에 구비되어 상기 감지된 신호를 펄스 폭 변조기술로 변조하여 출력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드라이버; 및
    상기 PWM 드라이버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PWM 드라이버의 제어에 따라 미등(tail lamp) 또는 제동등(stop lamp)으로 작동하도록 선택적으로 밝기가 변하는 램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미등램프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하나의 필라멘트(filament)를 갖는 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미등램프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상기 차량의 주행시보다 제동시 더 큰 출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미등램프 어셈블리.
  4. 차량을 운행하는 동안 브레이크 장치로부터 신호를 차체 제어모듈로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체 제어모듈 내에 구비된 PWM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신호를 펄스폭 변조 기술로 변조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PWM 드라이버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미등(tail lamp) 또는 제동등(stop lamp)으로 작동하도록 하나의 필라멘트를 갖는 램프의 밝기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는 상기 차량의 주행시보다 제동시 더 큰 출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미등램프 점등 방법.
KR1020070115933A 2007-11-14 2007-11-14 차량의 미등램프 어셈블리 및 램프 점등 방법 KR200900497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933A KR20090049710A (ko) 2007-11-14 2007-11-14 차량의 미등램프 어셈블리 및 램프 점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933A KR20090049710A (ko) 2007-11-14 2007-11-14 차량의 미등램프 어셈블리 및 램프 점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710A true KR20090049710A (ko) 2009-05-19

Family

ID=40858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933A KR20090049710A (ko) 2007-11-14 2007-11-14 차량의 미등램프 어셈블리 및 램프 점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971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3258A (zh) * 2012-05-04 2012-09-05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可分级点亮或分级闪烁的高位制动灯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101508346B1 (ko) * 2014-01-29 2015-04-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후방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90009200A (ko) * 2017-07-18 2019-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3258A (zh) * 2012-05-04 2012-09-05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可分级点亮或分级闪烁的高位制动灯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2653258B (zh) * 2012-05-04 2015-06-03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可分级点亮或分级闪烁的高位制动灯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101508346B1 (ko) * 2014-01-29 2015-04-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후방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90009200A (ko) * 2017-07-18 2019-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8875B2 (ja) 車両用ランプの点灯制御システム
US8598735B2 (e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illumin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as well as an illumin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with such a control unit
US20090154146A1 (en) Streetlight system
US8970112B2 (en) Actuation device for a lighting device of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JP2012508962A (ja) 複数のledを備えた照明システム
US7482763B2 (en) Non-PWM vehicle lamp dimming arrangement
US9096173B2 (en) Control circuit for a dual-function signaling or lighting device and corresponding control method
RU2573008C2 (ru) Система освещения
KR20090049710A (ko) 차량의 미등램프 어셈블리 및 램프 점등 방법
CN105371203A (zh) 二轮机动车用led车灯系统
WO2017057605A1 (ja) 車両用ワイヤハーネス
CN112714536B (zh) 机动车led照明模块
KR20210111699A (ko) 모듈식 프론트 라이트 led 드라이버 메시징 시스템
EP2147824B1 (en) Circuit for controlling the presence of a trailer connected to a towing truck, via the control of the electric current flow in the rear led lamps of the trailer
KR102629648B1 (ko) 강도 변조식 간섭성 광원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
KR101006577B1 (ko) 브레이크등 표시제어장치
US10272821B2 (en) Control of at least one lighting means of a vehicle headlight depending on an electrical quantity providable on a vehicle headlight connection of a vehicle
US6417623B1 (en) Single wire automotive external lighting system
WO2022265082A1 (ja) 車両制御システム、電装品、ecu
KR20090001105A (ko) 자동차의 제동등 및 후미등 겸용 일체형 발광 다이오드램프
KR20170060807A (ko) 클러스터 조명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20109968A (ko) 차량의 램프 구동 장치
KR20190078743A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리어 램프 제어 방법
CN112124189A (zh) 一种辅助远光控制系统
KR20210048219A (ko) 차량의 램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