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9650A - 편의 서비스 인증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편의 서비스 인증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9650A
KR20090049650A KR1020070115823A KR20070115823A KR20090049650A KR 20090049650 A KR20090049650 A KR 20090049650A KR 1020070115823 A KR1020070115823 A KR 1020070115823A KR 20070115823 A KR20070115823 A KR 20070115823A KR 20090049650 A KR20090049650 A KR 20090049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nience
service
function
information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5573B1 (ko
Inventor
이준호
서태삼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5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573B1/ko
Publication of KR20090049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9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4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dditional secure or trusted devices, e.g. TPM, smartcard, USB or software tok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5Secret sharing or secret splitting, e.g. threshold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14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a plurality of keys or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편의 디바이스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서로 연동하여 하나의 편의 서비스를 제공할 때, 개인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정보를 전달하도록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 서비스 인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편의 서비스 인증 방법은, (a) 편의 서비스 지역(zone)으로 진입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편의 디바이스가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공용키를 상기 편의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공용키를 근거로 상기 편의 디바이스가 세션키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편의 디바이스가 상기 공용키를 이용하여 상기 세션키를 암호화하는 단계; (e) 상기 편의 디바이스가 상기 암호화된 세션키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세션키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편의, 서비스, 모바일 디바이스, 인증, 보안, SFD, FSB, FSP, FP, 플랫폼, 암호화,

Description

편의 서비스 인증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on in facility service}
본 발명은 대중들이 많이 이용하는 기차표 자동 판매기나 ATM 단말기 등의 편의 디바이스(Facility Device)들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연결하고,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를 통해 편의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편의 기술 프레임워크(Facility Technology Framework)를 구성하고,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편의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특정 서비스 공간 내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와 편의 디바이스가 서로 연동하여 편의 서비스를 제공할 때, 편의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인증 및 보안을 수행하도록 하는, 편의 서비스 인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 기술(IT:Information Technology)의 진화로 인해 인간이 생활하는 다양한 공간 속에 존재하는 아날로그 서비스가 디지털화 됨에 따라 공간의 지능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교통카드 시스템이나 IPTV, 움직임 감지 스크린, 버스 도착 안내기, ATM 등의 편의 디바이스(Facility Device, 이하 FD)가 디지털 데이터로 처리되고 있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는 다양한 기능을 융합하는 기능의 컨버전스 현상에 의해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로 진화하고 있으나, 고객들의 생활 영역 내에 존재하는 편의 장치(FD)는 단순 고유한 기능이 특정 장치(Feature Device)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대중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며 다양한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생활에서 늘 접하는 편의 디바이스(FD)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요구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와 편의 디바이스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서로 연동하여 하나의 편의 서비스를 제공할 때, 개인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정보를 전달하도록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 서비스 인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의 서비스 인증 방법은, (a) 편의 서비스 지역(zone)으로 진입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편의 디바이스가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공용키를 상기 편의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공용키를 근거로 상기 편의 디바이스가 세션키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편의 디바이스가 상기 세션키와 상기 공용키를 암호화하여 암호화 키를 생성하는 단계; (e) 상기 편의 디바이스가 상기 암호화 키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키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g)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편의 디바이스가 상기 세션키를 공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공용키와 주소 정보를 함께 상기 편의 디바이스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편의 디바이스가 상기 공용키와 상기 세션키 및 상기 암호화 키를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으로 전송하고, 상기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이 상기 공용키와 상기 세션키 및 상기 암호화 키를 관리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의 서비스 인증 시스템은, 인증을 위한 개인키와 공용키를 가지는 모바일 디바이스; 편의 서비스 지역에 진입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인식하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증을 수행하는 편의 디바이스; 상기 편의 서비스의 등록 및 조회, 상기 편의 서비스의 배포 및 관리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인증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편의 서비스 지역 내에 존재하여 다수의 편의 디바이스 및 상기 편의 서비스들을 조정 및 조합하여 관리하는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 및 상기 편의 디바이스에 대한 하드웨어(H/W) 및 소프트웨어(S/W)를 배포 및 관리하는 편의 제공기(FP);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서비스 발견 프로토콜을 통해 특정 존(zone)에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편의 서비스를 인식하고, 상기 편의 디바이스와 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의 인터랙션(interaction)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편의 서비스를 바인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D)는, 상기 편의 디바이스와의 연동시 데이터의 보안 및 암호화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상세 정보와 디바이스의 상세 정보 를 담고 있는 ID를 상기 편의 디바이스로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편의 디바이스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며, 연결 설정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프라이빗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ID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확인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상기 편의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편의 디바이스로부터 인증 성공, 실패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편의 디바이스는, 사용자 과금 정보 확인 및 집행 시 필요한 인증서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확인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ID를 기반으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편의 디바이스로 공용키를 전송하고, 상기 편의 디바이스로부터 암호화 키를 수신하며, 수신한 상기 암호화 키를 복호화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편의 디바이스는, 수신한 상기 공용키를 근거로 세션키를 생성하고, 상기 공용키와 상기 세션키를 암호화하여 상기 암호화 키를 생성하며, 생성한 상기 암호화 키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편의 디바이스는, 다수의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제공받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 관리, 등록, 조회하는 기능과, 다른 편의 디바이스와 정보 및 서비스를 공유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연합하는 페더레이션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을 인가된 사용자에게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편의 디바이스는, 디바이스들 간의 협업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제공하고, 근접한 디바이스를 인식하며, 자신의 디바이스 상세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데이터 및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편의 디바이스와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한 데이터 및 응용 프로그램의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D)는, 상기 편의 디바이스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과, 다운로드 받은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런타임 환경 제공 및 등록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은, 상기 편의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별 인증 확인과 인증 정보를 공유하는 기능과, 상기 편의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트러스트 관리 및 토큰 발행 기능 및 데이터의 암호화와 인증서 관리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은, 어플리케이션의 등록, 배포를 위한 공통 포맷 확인, 설치, 확장, 제거에 관한 관리 기능과, 상기 편의 디바이스에게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는 기능,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의 무결성 확인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별 접근 권한 관리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은, 상기 편의 디바이스의 검색과 등록을 위한 초기 연결 설정 및 등록 기능과, 상기 편의 디바이스의 플랫폼 속성 정보 확인, 저장, 호출 정보의 확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은, 상기 편의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로 그인, 알람 정보 확인 및 관리 기능과, 상기 편의 디바이스의 추가 디바이스 이벤트 및 각종 드라이버 관리 기능 및 상기 편의 디바이스의 응용 프로그램의 생명 주기 관리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은, 관리용 사용자의 생성, 추가, 변경, 등록 관리 기능과, 상기 관리용 사용자의 권한 관리와 제어 기능, 시스템 관리를 위한 관리자용 관리 콘솔 기능, 사용자 권한별 최적화된 포털 구성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은, 상기 편의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요청한 부가 메타 데이터에 대한 처리 기능, 상기 편의 디바이스에서 수집한 상황 정보 데이터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의 디바이스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연결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디바이스 위치 확인부;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확인하고, 인증의 성공, 실패 여부를 알리며, 편의 서비스 플랫폼과의 연동 및 데이터 전달시 암호화를 통한 보안 기능을 실행하는 인증/보안부; 사용자의 프라이빗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ID를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확인하는 정보 조회부; 관리 서버와의 초기 연동을 위한 초기 설정 기능과, 원격 관리 정보를 배포받아 관리하는 에이전트 기능을 제공하는 원격 관리부; 디바이스들 간의 협업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제공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한된 입력으로 제어되는 기능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협업부; 이동 통신망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다양한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기능과, 근접한 디바이스를 인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커뮤니케이션부; 및 자신의 디바이스 상세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주변의 상황(Context) 정보를 수집하여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로 전송하는 개인화 정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증/보안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공용키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공용키를 이용하여 세션키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인증/보안부는, 상기 공용키와 상기 세션키를 암호화하여 암호화 키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인증/보안부는, 상기 공용키와 상기 세션키를 암호화하여 암호화 키를 생성하고, 상기 공용키와 상기 세션키 및 상기 암호화 키를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정보 조회부는, 사용자 과금 정보 확인 및 집행 시 필요한 인증서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확인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ID를 기반으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서비스 발견 프로토콜을 통해 특정 존(zone)에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편의 서비스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편의 디바이스로 전달하여 인증의 성공 및 실패 여부를 확인하며, 편의 서비스에 속한 상대 디바이스와의 트러스트를 확인하며, 편의 디바이스와의 연동시 데이터의 보안 및 암호화 기능을 수행하는 편의 서 비스부; 상기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편의 장치(SFD)와 근거리 통신으로 정보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부; 디바이스들 간의 협업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협업부; 및 다운로드 받은 응용 프로그램의 저장하여 관리하는 실행 환경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편의 서비스부는, 상기 편의 디바이스로 공용키를 전송하고, 상기 편의 디바이스로부터 암호화 키를 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편의 서비스부는,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키를 복호화하고, 복호화한 상기 암호화 키로부터 자신이 전송한 상기 공용키와 상기 편의 디바이스가 가지고 있는 세션키를 획득하여, 상기 세션키를 상기 편의 디바이스와 함께 공유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의 서비스 플랫폼은, 편의 디바이스와 모바일 디바이스별 인증 확인과 인증 정보를 공유하는 인증/보안부; 어플리케이션의 등록, 배포를 위한 공통 포맷 확인, 설치, 확장, 제거 기능을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 상기 편의 디바이스의 등록과 속성 관리, 상기 편의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이벤트 수집을 담당하는 원격 관리부; 기 구축된 통신망과의 연동을 통한 이미 확보된 정보를 활용하는 통신망 연동부; 및 상기 편의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요청한 부가 메타 데이터에 대한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개인화 정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증/보안부는, 상기 편의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 의 트러스트 관리 및 토큰 발행 기능 및 데이터의 암호화와 인증서 관리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인증/보안부는, 상기 편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공용키와 세션키 및 암호화 키를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원격 관리부는, 상기 편의 디바이스의 검색과 등록을 위한 초기 연결 설정 및 등록 기능과, 상기 편의 디바이스의 플랫폼 속성 정보 확인, 저장, 호출 정보의 확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원격 관리부는, 상기 편의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로그인, 알람 정보 확인 및 관리 기능과, 상기 편의 디바이스의 추가 디바이스 이벤트 및 각종 드라이버 관리 기능 및 상기 편의 디바이스의 응용 프로그램의 생명 주기(life cycle) 관리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원격 관리부는, 관리용 사용자의 생성, 추가, 변경, 등록 관리 기능과, 상기 관리용 사용자의 권한 관리와 제어 기능, 시스템 관리를 위한 관리자용 관리 콘솔 기능, 사용자 권한별 최적화된 포털 구성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는, 상기 편의 디바이스에게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는 기능,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의 무결성 확인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별 접근 권한 관리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실생활 공간에 서 편의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편의 서비스를 이용할 때, 개인 정보의 유출이나 잘못된 정보의 전달 및 처리로 인한 서비스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교통카드 시스템이나 버스 도착 안내기, IPTV, ATM 장치 등의 편의 장치에서 제공하는 편의 서비스를 안심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의 서비스 인증 방법이 적용된 편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편의 서비스 시스템은, 모바일 디바이스(Thin Mobile Device, 이하 TMD)(110), 편의 디바이스(Smart Facility Device, 이하 SFD)(120), 통신 네트워크(130), 편의 서비스 브로커(Facility Service Broker, 이하 FSB)(140), 편의 서비스 플랫폼(Facility Service Platform, 이하 FSP)(150) 및 편의 제공기(Facility Provider, 이하 FP)(160)를 포함한다.
TMD(110)는 SFD(120)로부터 편의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즉, TMD(110)는 서비스 발견 프로토콜을 통해 특정 존(zone)에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SFD(120)를 인식하고, SFD(120)와 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의 인터랙션(interaction)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편의 서비스를 바인딩(binding)하게 된다.
또한, TMD(110)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SFD(120)로 전달하고, SFD(120)로부터 인증의 성공 및 실패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TMD(110)는 SFD(120)와의 연동시 데이터의 보안 및 암호화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상세 정보와 디바이스의 상세 정보를 담고 있는 ID 정보를 SFD(120)로 전송한다.
또한, TMD(110)는 데이터 및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SFD(120)와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한 데이터 및 응용 프로그램의 상태를 확인한다.
그리고, TMD(110)는 SFD(12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과, 다운로드 받은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런타임 환경 제공 및 등록 기능을 수행한다.
SFD(120)는 TMD(110)와 유기적으로 연동하고, 다른 디바이스와 연동하며, 편의 서비스를 디지털 정보로 처리하여 TMD(110)를 통해 제공한다.
또한, SFD(120)는 TMD(11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며, 연결 설정된 TMD(11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프라이빗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ID를 TMD(110)와 연동하여 확인한다.
또한, SFD(120)는 사용자 과금 정보 확인 및 집행 시 필요한 인증서를 TMD(110)와 연동하여 확인하고, TMD(110)의 ID를 기반으로 TMD(110)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또한, SFD(120)는 컴포넌트 간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한 스마트 레벨 기능을 수행하고, 컴포넌트 간의 안정적인 데이터 공유를 위한 패키지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SFD(120)는 디바이스들 간의 협업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제공하고, 근접한 디바이스를 인식하며, 자신의 디바이스 상세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SFD(120)는 다수의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제공받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 관리, 등록, 조회하는 기능과, 다른 스마트 편의 장치와 정보 및 서비스를 공유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연합하는 페더레이션(federation)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을 인가된 사용자에게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SFD(120)는 주변의 상황(Context) 정보를 수집하여 FSB(140)로 전송한다.
통신 네트워크(130)는 SFD(120)와 FSB(14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로서, 예컨대, LAN(Local Area Network)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서 통신 네트워크(130)를 LAN(130)으로 표시하였다.
FSB(140)는 하나의 서비스 영역(Business Zone) 내에 존재하여 다수의 SFD(120) 및 편의 서비스들을 조정 및 조합하여 관리한다.
또한, FSB(140)는 존(zone) 내에 존재하는 서비스들 목록을 관리하는 서비스 디렉토리 기능과, 새로운 서비스를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 기능,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서비스를 검색하는 서비스 쿼리 기능, 서비스의 접근을 관리하는 서비스 상태 조회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FSB(140)는 복수 개의 SFD(120)와 TMD(110)의 연결 상태 및 사용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한 세션 기능과, 복수 개의 TMD(110)와 SFD(120) 간에 사용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저장 기능 및 복수 개의 TMD(110)와 SFD(120) 간에 사용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복구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FSB(140)는 존(zone) 내에 존재하는 서비스들을 조합하는 기능과, 다수의 SFD(120)가 제공하는 서비스와 이벤트를 서비스 제공자의 요구에 맞게 모델링하는 기능, TMD(110)의 위치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 및 특정 위치에 반응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FSP(150)는 편의 서비스의 등록 및 조회, 편의 서비스의 배포 및 관리 기능을 제공하며, 중앙 집중적인 관리를 통해 협업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FSP(150)는 어플리케이션의 등록, 배포를 위한 공통 포맷 확인, 설치, 확장, 제거에 관한 관리 기능과, SFD(120)에게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는 기능,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의 무결성 확인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별 접근 권한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FSP(150)는 SFD(120)와 TMD(110)별 인증 확인과 인증 정보를 공유하는 기능과, SFD(120)와 TMD(110) 간의 트러스트 관리 및 토큰 발행 기능 및 데이터의 암호화와 인증서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FSP(150)는 SFD(120)의 검색과 등록을 위한 초기 연결 설정 및 등록 기능과, SFD(120)의 플랫폼 속성 정보 확인, 저장, 호출 정보의 확인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FSP(150)는 SFD(120)의 모니터링, 로그인, 알람 정보 확인 및 관리 기능과, SFD(120)의 추가 디바이스 이벤트 및 각종 드라이버 관리 기능 및 SFD(120)의 응용 프로그램의 생명 주기(life cycle)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FSP(150)는 관리용 사용자의 생성, 추가, 변경, 등록 관리 기능과, 상기 관리용 사용자의 권한 관리와 제어 기능, 시스템 관리를 위한 관리자용 관리 콘솔 기능, 사용자 권한별 최적화된 포털 구성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FSP(150)는 SFD(120)와 TMD(110)에서 요청한 부가 메타 데이터에 대한 처리 기능, SFD(120)에서 수집한 상황(context) 정보 데이터의 저장 기능을 수행한다.
FP(160)는 SFD(120)의 컨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의 역할로 하드웨어(H/W) 및 소프트웨어(S/W)를 배포하고 관리한다.
한편, 본 발명은 편의 기술 구조(Facility Technology Framework, 이하 FTF)를 이용한다. 따라서, TMD(110)와 SFD(120), LAN(130), FSB(140)가 하나의 FTF 존(Zone) 내에 위치한다. 또한, 하나의 FTF Zone은 LAN(130)을 통해 다른 FTF Zone과 연결된다.
FT(Facility Technology) 환경은 실생활(Real Life) 속에 존재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SFD(120)를 통해서 디지털화되어 사용자들이 TMD(110)와 SFD(120)를 통 해서 지능화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가상 생활(Virtual Life) 환경일 수 있다.
따라서, FT 환경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휴대하는 TMD(110), 특정 지역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 속의 장치 SFD(120), 동일 지역의 SFD(120)들에 대해서 서비스 제공과 관리를 담당하는 FSB(140), 기존 이동통신 서비스 인프라와의 연계와 전체 구성 요소 간의 상호 협업(collaboration)을 담당하는 FSP(150)로 구성된다.
여기서, TMD(110)와 SFD(120) 간의 통신 네트워크와, TMD(110)와 TMD(110) 간의 통신 네트워크는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RFID, IrDA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FP(160)에 의해 제공, 개발된 FTF 응용 서비스가 FTF 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기까지 요구되는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번째는 서비스 영역(Zone)을 발견하고, 서비스를 발견하며, 서비스 상태 확인 및 실내 위치를 감지하는 동적 서비스 발견 기능이다.
두번째는 협업을 탐지하고, 협업을 서비스하며, 세션의 관리와 협업 코어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협업(Collaboration) 기능이다.
세번째는 서비스의 등록, 배포, 원격 관리, 모니터링, 생명 주기 관리, 정보 공유, 번들(Bundle) 저장소를 제공하는 동적 모듈 시스템(Dynamic Module system) 기능이다.
네번째는 프로세스 모델링, 태스크 선택, 서비스 구동, 티엠디(TMD) 인터랙션(interation) 및 스마트 편의 디바이스(SFD)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서비스 코리어 그라피(Service Choreography) 기능이다.
다섯번째는 디바이스간 트러스트 관계, 모바일 유저의 프라이버시, 디알엠(DRM) 호환의 스마트 편의 디바이스(SFD) 연계를 제공하는 트러스트/프라이버시(Trust & Privacy) 기능이다.
여섯번째는 정보 수집과, 정보 필터링, 전체 정보 수집, 정보 저장 등을 제공하는 개인화 서비스(Facade for Personalization Service) 기능이다.
여기서, 개인화 서비스에서 Facade는 시스템과의 연동을 위한 간단(simple)하고 일관적인 데이터 포맷(data format) 및 인터페이스 제공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TMD)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TMD(110)는 편의 서비스부(210), 커뮤니케이션부(220), 디바이스 협업부(230) 및 실행 환경부(240)를 포함한다.
편의 서비스부(210)는 서비스 발견 프로토콜을 통해 특정 존(zone)에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편의 서비스를 인식하고, SFD(120)와 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의 인터랙션(interaction)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편의 서비스를 바인딩(binding)하게 된다.
또한, 편의 서비스부(210)는 인증 및 보안 기능을 담당하며,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SFD(120)로 전달하고 인증의 성공 및 실패 여부를 확인하며, FTF에 속한 상대 디바이스와의 트러스트를 확인하며, SFD(120)와의 연동시 데이터의 보안 및 암 호화 기능을 수행한다.
커뮤니케이션부(220)는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SFD(120)와 근거리 통신으로 정보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디바이스 협업부(230)는 디바이스들 간의 협업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디바이스 협업부(230)는, 사용자로부터의 제한된 입력에 따른 SFD(120)의 제어 데이터를 송출하게 된다. 그리고, 디바이스 협업부(230)는, 디바이스의 자동 감지와 필요에 따라 해당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접근 관리 기능과, 디바이스의 상세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상태 보고 기능을 수행한다.
실행 환경부(240)는 다운로드 받은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즉, 실행 환경부(240)는 편의 서비스에 관한 응용 프로그램을 단말기에 설치하여 편의 서비스에 관한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도록 환경을 설정한다.
한편, TMD(11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등을 포함하나, 이에 대한 구성은 통상적인 기술에 해당하므로 그에 대한 도면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의 디바이스(SFD)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SFD(120)는 디바이스 위치 확인부(310), 인증/보안부(320), 정보 조회부(330), 원격 관리부(340), 디바이스 협업부(350), 커뮤니케이션부(360), 개인화 정보부(370)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위치 확인부(310)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연결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인증/보안부(320)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확인하고, 인증의 성공, 실패 여부를 알리며,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과의 연동 및 데이터 전달시 암호화를 통한 보안 기능을 실행한다.
정보 조회부(330)는 사용자의 프라이빗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ID를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확인한다. 또한, 정보 조회부(330)는 사용자 과금 정보 확인 및 집행 시 필요한 인증서를 TMD(110)와 연동하여 확인하고, TMD(110)의 ID를 기반으로 TMD(110)의 상세 정보를 확인한다.
원격 관리부(340)는 관리 서버와의 초기 연동을 위한 초기 설정 기능과, 원격 관리 정보를 배포받아 관리하는 에이전트(agent)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원격 관리부(340)는 컴포넌트 간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한 스마트 레벨 기능과, 컴포넌트 간의 안정적인 데이터 공유를 위한 패키지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원격 관리부(340)는 디바이스의 자동 감지와 필요에 따라 해당 드라이버를 제공하며, 디바이스의 상세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원격 관리부(340)는 다수의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제공받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 관리, 등록, 조회하는 기능과, 다른 스마트 편의 장치와 정보 및 서비스를 공유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연합하는 페더레이션(federation)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을 인가된 사용자에게만 제공한다.
디바이스 협업부(350)는 디바이스들 간의 협업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제공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한된 입력으로 제어되는 기능을 제공한다.
커뮤니케이션부(360)는 이동 통신망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다양한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기능과, 근접한 디바이스를 인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개인화 정보부(370)는 자신의 디바이스 상세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주변의 상황(Context) 정보를 수집하여 FSB(140)로 전송한다. 또한, 개인화 정보부(370)는 사용자 ID를 기반으로 사용자 상세 정보 및 개인화 정보를 호출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FSB(140)는 서비스 브로커링부(410), 세션 관리부(420), 서비스 조합부(430) 및 센싱정보 처리부(440)를 포함한다.
서비스 브로커링부(410)는 서비스의 등록과 검색, 서비스 목록을 관리한다.
또한, 서비스 브로커링부(410)는 존(zone) 내에 존재하는 서비스들 목록을 관리하는 서비스 디렉토리 기능과, 새로운 서비스를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 기능,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서비스를 검색하는 서비스 쿼리 기능, 서비스의 접근을 관리하는 서비스 상태 조회 기능을 제공한다.
세션 관리부(420)는 복수 개의 SFD(120)와 TMD(110)의 연결 상태 및 사용 어 플리케이션 정보에 대한 세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세션 관리부(420)는 복수 개의 TMD(110)와 SFD(120) 간에 사용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저장 기능 및 복수 개의 TMD(110)와 SFD(120) 간에 사용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복구 기능을 제공한다.
서비스 조합부(430)는 존(zone) 내에 존재하는 서비스들을 조합한다.
또한, 서비스 조합부(430)는 기능과, 다수의 SFD(120)가 제공하는 서비스와 이벤트를 서비스 제공자의 요구에 맞게 모델링하게 된다.
센싱 정보 처리부(440)는 모바일 디바이스(MD)의 위치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집하여 처리한다.
또한, 센싱정보 처리부(440)는 가비지 값에 대한 센서의 필터링 기능과, 특정 위치에 반응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FSP(150)는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10), 인증/보안부(520), 원격 관리부(530), 통신망 연동부(540) 및 개인화 정보부(550)를 포함한다.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10)는 어플리케이션의 등록, 배포를 위한 공통 포맷 확인, 설치, 확장, 제거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01)는 SFD(120)에게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는 기능,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의 무결성 확인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별 접근 권한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인증/보안부(520)는 SFD(120)와 TMD(110)별 인증 확인과 인증 정보를 공유한다. 또한, 인증/보안부(520)는 SFD(120)와 TMD(110) 간의 트러스트 관리 및 토큰 발행 기능 및 데이터의 암호화와 인증서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인증/보안부(520)는 기존의 망(network)과 연계하여 과금 처리 및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관리를 수행한다.
원격 관리부(530)는 SFD(120)의 등록과 속성 관리, SFD(120)의 모니터링, 이벤트 수집을 담당한다. 또한, 원격 관리부(530)는 SFD(120)의 검색과 등록을 위한 초기 연결 설정 및 등록 기능과, SFD(120)의 플랫폼 속성 정보 확인, 저장, 호출 정보의 확인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원격 관리부(530)는 SFD(120)의 모니터링, 로그인, 알람 정보 확인 및 관리 기능과, SFD(120)의 추가 디바이스 이벤트 및 각종 드라이버 관리 기능 및 SFD(120)의 응용 프로그램의 라이프 사이클(life cycle)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원격 관리부(530)는 관리용 사용자의 생성, 추가, 변경, 등록 관리 기능과, 관리용 사용자의 권한 관리와 제어 기능, 시스템 관리를 위한 관리자용 관리 콘솔 기능, 사용자 권한별 최적화된 포털 구성 기능을 제공한다.
통신망 연동부(540)는 기 구축된 통신망과의 연동을 통한 이미 확보된 정보를 활용한다.
개인화 정보부(550)는 SFD(120)와 TMD(110)에서 요청한 부가 메타 데이터에 대한 처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개인화 정보부(550)는 SFD(120)에서 수집한 상황(context) 정보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의 서비스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TMD(110)가 SFD(120)가 관할하는 편의 서비스 지역(zone)에 진입하는 경우에, TMD(110)와 SFD(120)는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간에 장치를 인식한다(S602).
즉, SFD(120)는 TMD(110)가 서비스 발견 프로토콜을 통해 편의 서비스 지역에 진입할 때 송출하는 액션 이벤트를 PAN이나 적외선,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으로 수신하여 TMD(110)가 서비스 지역에 있음을 인식한다.
이때, TMD(110)는 인증을 위한 공용키(PTMD:Public key)와 개인키(STMD:Secret key)를 가지고 있다.
서비스 지역에서 SFD(120)를 인식한 TMD(110)는 자신의 공용키(PTMD)와 주소(adress) 정보를 SFD(120)로 전송한다(S604).
SFD(120)는 수신한 TMD의 공용키(PTMD)를 근거로 세션키(K1:Session key)를 생성한다(S606).
이어, SFD(120)는 생성한 세션키(K1)에 대해 수신한 공용키(PTMD)를 이용하여 암호화한다(S608).
SFD(120)는 자체적으로 생성한 세션키(K1)와 TMD(110)로부터 수신한 공용키(PTMD) 및 암호화된 세션키(E{PTMD,K1})를 FSP(150)로 전송한다(S610).
FSP(150)는 SFD(120)로부터 수신한 TMD(110)에 대한 공용키(PTMD)와 SFD(120)에 대한 세션키(K1) 및 암호화된 세션키(E{PTMD,K1})를 저장하여 관리한다(S612).
한편, SFD(120)는 공용키(PTMD)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세션키(E{PTMD,K1})를 TMD(110)로 전송한다(S614).
SFD(120)로부터 암호화된 세션키(E{PTMD,K1})를 수신한 TMD(110)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개인키(STMD)로 암호화된 세션키(E{PTMD,K1})를 복호화한다(S616).
따라서, TMD(110)는 암호화된 세션키(E{PTMD,K1})를 복호화하여 SFD(120)가 가지고 있는 세션키(K1)를 얻게 되고, 이에 따라 TMD(110)와 SFD(120)는 세션키(K1)를 공유하게 된다(S618).
이러한 과정을 통해 TMD(110)와 SFD(120) 간에 토큰을 통한 상호 인증이 이루어지고, 신뢰 관계를 획득하게 되며, 해킹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인 정보를 위한 데이터 포맷을 제공하여 TMD(110)의 프라이버시(Privacy)를 관리할 수 있으며, SFD(120)를 통하여 TMD(110)에게 제공하게 될 여러 형식의 컨텐츠에 대한 DRM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트러스트 관리(Trust Management) 면에서 WPAN에 맞는 암호화를 수행하게 되며, P2P용 인증 관계를 정립할 수 있으며, 토큰을 통 한 트러스트를 관리하며, 장기간(Long term) 트러스트를 관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TMD(110)와 SFD(120) 간에 인증이 이루어진 이후에, SFD(120)는 자신의 서비스 영역에 있는 TMD(110)에게 단말기 정보, 예컨대, 이동 식별자 번호(MIN) 정보를 요청한다.
이에 대해, TMD(110)는 자신의 MIN 정보를 SFD(120)로 전송해 준다.
SFD(120)는 TMD(110)로부터 수신한 MIN 정보를 근거로 FSP(150)에게 사용자 정보를 요청한다.
FSP(150)는 SFD(120)로부터 수신한 MIN 정보에 대응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자 정보를 SFD(120)로 제공해 준다.
SFD(120)는 FSP(15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 예컨대, 서비스 ID, 위치 정보, 단말기 정보에 근거하여, TMD(110)가 이용 가능한 편의 서비스를 조성한다. SFD(120)는 TMD(110)에게 제공 가능한 편의 서비스에 대한 메뉴와, 디바이스 협업부(350)를 통해 협업이 가능한 편의 서비스에 대한 메뉴를 조성하게 된다.
이어, SFD(120)는 이용 가능한 편의 서비스에 대한 메뉴를 TMD(110)에게 제공한다.
이에 따라, TMD(110)는 SFD(120)로부터 수신한 편의 서비스에 대한 메뉴를 편의 서비스부(210)를 통해 화면 상으로 표시해 준다.
따라서, 사용자는 TMD(110)를 이용하여 교통카드 시스템이나 버스 도착 안내기, IPTV, ATM 장치 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디바이스와 편의 디바이스가 근 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서로 연동하여 하나의 편의 서비스를 제공할 때, 개인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정보를 전달하도록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 서비스 인증 방법 및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블루투스나 PAN, 적외선 통신 등의 근거리 통신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와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며, 대중들에게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편의 디바이스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의 서비스 인증 방법이 적용된 편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TMD)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의 디바이스(SFD)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의 서비스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모바일 디바이스(TMD) 120 : 편의 디바이스(SFD)
130 : 통신 네트워크(LAN) 140 :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
150 :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 160 : 편의 제공기(FP)
210 : 편의 서비스부 220 : 커뮤니케이션부
230 : 디바이스 협업부 240 : 실행 환경부
310 : 디바이스 위치 확인부 320 : 인증/보안부
330 : 정보 조회부 340 : 원격 관리부
350 : 디바이스 협업부 360 : 커뮤니케이션부
370 : 개인화 정보부 410 : 서비스 브로커링부
420 : 세션 관리부 430 : 서비스 조합부
440 : 센싱정보 처리부 510 :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
520 : 인증/보안부 530 : 원격 관리부
540 : 통신망 연동부 550 : 개인화 정보부

Claims (39)

  1. (a) 편의 서비스 지역(zone)으로 진입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편의 디바이스가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공용키를 상기 편의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공용키를 근거로 상기 편의 디바이스가 세션키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편의 디바이스가 상기 공용키를 이용하여 상기 세션키를 암호화하는 단계;
    (e) 상기 편의 디바이스가 상기 암호화된 세션키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세션키를 복호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편의 서비스 인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편의 디바이스가 상기 공용키와 상기 세션키 및 상기 암호화된 세션키를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으로 전송하고, 상기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이 상기 공용키와 상기 세션키 및 상기 암호화된 세션키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인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공용키와 주소 정보를 함께 상기 편의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인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g)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편의 디바이스가 상기 세션키를 공유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인증 방법.
  5. 인증을 위한 개인키와 공용키를 가지는 모바일 디바이스;
    편의 서비스 지역에 진입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인식하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증을 수행하는 편의 디바이스;
    상기 편의 서비스의 등록 및 조회, 상기 편의 서비스의 배포 및 관리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인증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
    을 포함하는 편의 서비스 인증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서비스 지역(Business Zone) 내에 존재하여 다수의 편의 디바이스 및 상기 편의 서비스들을 조정 및 조합하여 관리하는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 및
    상기 편의 디바이스에 대한 하드웨어(H/W) 및 소프트웨어(S/W)를 배포 및 관리하는 편의 제공기(FP);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인증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서비스 발견 프로토콜을 통해 특정 존(zone)에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편의 서비스를 인식하고, 상기 편의 디바이스와 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의 인터랙션(interaction)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편의 서비스를 바인딩(bind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인증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D)는, 상기 편의 디바이스와의 연동시 데이터의 보안 및 암호화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상세 정보와 디바이스의 상세 정보를 담고 있는 ID를 상기 편의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인증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디바이스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며, 연결 설정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프라이빗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ID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인증 시스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상기 편의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편의 디바이스로부터 인증 성공, 실패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인증 시스템.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디바이스는, 사용자 과금 정보 확인 및 집행 시 필요한 인증서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확인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ID를 기반으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인증 시스템.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편의 디바이스로 공용키를 전송하고, 상기 편의 디바이스로부터 암호화 키를 수신하며, 수신한 상기 암호화 키를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인증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디바이스는, 수신한 상기 공용키를 근거로 세션키를 생성하고, 상기 공용키와 상기 세션키를 암호화하여 상기 암호화 키를 생성하며, 생성한 상기 암호화 키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인증 시스템.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디바이스는, 다수의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제공받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 관리, 등록, 조회하는 기능과, 다른 편의 디바이스와 정보 및 서비스를 공유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연합하는 페더레이션(federation)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을 인가된 사용자에게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인증 시스템.
  1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디바이스는, 디바이스들 간의 협업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제공하고, 근접한 디바이스를 인식하며, 자신의 디바이스 상세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인증 시스템.
  1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데이터 및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편의 디바이스와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한 데이터 및 응용 프로그램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인증 시스템.
  1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D)는, 상기 편의 디바이스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과, 다운로드 받은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런타임 환경 제공 및 등록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인증 시스템.
  1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은, 상기 편의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별 인증 확인과 인증 정보를 공유하는 기능과, 상기 편의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트러스트 관리 및 토큰 발행 기능 및 데이터의 암호화와 인증서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인증 시스템.
  1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은, 어플리케이션의 등록, 배포를 위한 공통 포맷 확인, 설치, 확장, 제거에 관한 관리 기능과, 상기 편의 디바이스에게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는 기능,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의 무결성 확인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별 접근 권한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인증 시스템.
  2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은, 상기 편의 디바이스의 검색과 등록을 위한 초기 연결 설정 및 등록 기능과, 상기 편의 디바이스의 플랫폼 속성 정보 확인, 저장, 호출 정보의 확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인증 시스템.
  2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은, 상기 편의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로그인, 알람 정보 확인 및 관리 기능과, 상기 편의 디바이스의 추가 디바이스 이벤트 및 각종 드라이버 관리 기능 및 상기 편의 디바이스의 응용 프로그램의 생명 주기(life cycle)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인증 시스템.
  2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은, 관리용 사용자의 생성, 추가, 변경, 등록 관리 기능과, 상기 관리용 사용자의 권한 관리와 제어 기능, 시스템 관리를 위한 관리자용 관리 콘솔 기능, 사용자 권한별 최적화된 포털 구성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인증 시스템.
  2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은, 상기 편의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요청한 부가 메타 데이터에 대한 처리 기능, 상기 편의 디바이스에서 수집한 상황(context) 정보 데이터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인증 시스템.
  2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는, 존(zone) 내에 존재하는 서비스들 목록을 관리하는 서비스 디렉토리 기능과, 새로운 서비스를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 기능,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서비스를 검색하는 서비스 쿼리 기능, 서비스의 접근을 관리하는 서비스 상태 조회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인증 시스템.
  25.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연결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디바이스 위치 확인부;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확인하고, 인증의 성공, 실패 여부를 알리며, 편의 서비스 플랫폼과의 연동 및 데이터 전달시 암호화를 통한 보안 기능을 실행하는 인증/보안부;
    사용자의 프라이빗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ID를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확인하는 정보 조회부;
    관리 서버와의 초기 연동을 위한 초기 설정 기능과, 원격 관리 정보를 배포받아 관리하는 에이전트 기능을 제공하는 원격 관리부;
    디바이스들 간의 협업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제공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한된 입력으로 제어되는 기능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협업부;
    이동 통신망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다양한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기능과, 근접한 디바이스를 인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커뮤니케이션부; 및
    자신의 디바이스 상세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주변의 상황(Context) 정보를 수집하여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로 전송하는 개인화 정보부;
    를 포함하는 편의 디바이스.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보안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공용키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공용키를 이용하여 세션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디바이스.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보안부는, 상기 공용키와 상기 세션키를 암호화하여 암호화 키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디바이스.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보안부는, 상기 공용키와 상기 세션키를 암호화하여 암호화 키를 생성하고, 상기 공용키와 상기 세션키 및 상기 암호화 키를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디바이스.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조회부는, 사용자 과금 정보 확인 및 집행 시 필요한 인증서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확인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ID를 기반으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디바이스.
  30. 서비스 발견 프로토콜을 통해 특정 존(zone)에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편의 서비스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편의 디바이스로 전달하여 인증의 성공 및 실패 여부를 확인하며, 편의 서비스에 속한 상대 디바이스와의 트러스트를 확인하며, 편의 디바이스와의 연동시 데이터의 보안 및 암호화 기능을 수행하는 편의 서비스부;
    상기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편의 장치(SFD)와 근거리 통신으로 정보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부;
    디바이스들 간의 협업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협업부; 및
    다운로드 받은 응용 프로그램의 저장하여 관리하는 실행 환경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서비스부는, 상기 편의 디바이스로 공용키를 전송하고, 상기 편의 디바이스로부터 암호화 키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서비스부는,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키를 복호화하고, 복호화한 상기 암호화 키로부터 자신이 전송한 상기 공용키와 상기 편의 디바이스가 가지고 있는 세션키를 획득하여, 상기 세션키를 상기 편의 디바이스와 함께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33. 어플리케이션의 등록, 배포를 위한 공통 포맷 확인, 설치, 확장, 제거 기능을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
    편의 디바이스와 모바일 디바이스별 인증 확인과 인증 정보를 공유하는 인증/보안부;
    상기 편의 디바이스의 등록과 속성 관리, 상기 편의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이벤트 수집을 담당하는 원격 관리부;
    기 구축된 통신망과의 연동을 통한 이미 확보된 정보를 활용하는 통신망 연동부; 및
    상기 편의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요청한 부가 메타 데이터에 대한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개인화 정보부;
    를 포함하는 편의 서비스 플랫폼.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보안부는, 상기 편의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트러스트 관리 및 토큰 발행 기능 및 데이터의 암호화와 인증서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플랫폼.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보안부는, 상기 편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공용키와 세션키 및 암호화 키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플랫폼.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리부는, 상기 편의 디바이스의 검색과 등록을 위한 초기 연결 설정 및 등록 기능과, 상기 편의 디바이스의 플랫폼 속성 정보 확인, 저장, 호출 정보의 확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플랫폼.
  3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리부는, 상기 편의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로그인, 알람 정보 확인 및 관리 기능과, 상기 편의 디바이스의 추가 디바이스 이벤트 및 각종 드라이버 관리 기능 및 상기 편의 디바이스의 응용 프로그램의 생명 주기(life cycle)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플랫폼.
  38.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리부는, 관리용 사용자의 생성, 추가, 변경, 등록 관리 기능과, 상기 관리용 사용자의 권한 관리와 제어 기능, 시스템 관리를 위한 관리자용 관리 콘솔 기능, 사용자 권한별 최적화된 포털 구성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플랫폼.
  39.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는, 상기 편의 디바이스에게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는 기능,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의 무결성 확인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별 접근 권한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플랫폼.
KR1020070115823A 2007-11-14 2007-11-14 편의 서비스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0955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823A KR100955573B1 (ko) 2007-11-14 2007-11-14 편의 서비스 인증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823A KR100955573B1 (ko) 2007-11-14 2007-11-14 편의 서비스 인증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650A true KR20090049650A (ko) 2009-05-19
KR100955573B1 KR100955573B1 (ko) 2010-04-30

Family

ID=40858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823A KR100955573B1 (ko) 2007-11-14 2007-11-14 편의 서비스 인증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5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017B1 (ko) * 2009-08-17 2011-07-1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에 따라 서비스 제공을 제한하는 방법
US8612636B2 (en) 2009-08-21 2013-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or using interaction activity information
KR20140085504A (ko) * 2011-10-10 2014-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기반 p2p(peer to peer)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514395B2 (en) 2009-08-21 2016-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or using interaction activity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301B1 (ko) * 1999-11-22 2006-12-14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공개키 기반 상호 인증 방법
CN1215386C (zh) 2002-04-26 2005-08-17 St微电子公司 根据量子软计算控制过程或处理数据的方法和硬件体系结构
KR100553792B1 (ko) * 2003-05-30 2006-02-20 주식회사 팬택 단말 대 단말간의 인증기능을 구비한 통신장치 및 방법
KR20070029864A (ko) * 2005-09-09 2007-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일 대 일로 데이터를 안전하게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017B1 (ko) * 2009-08-17 2011-07-1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에 따라 서비스 제공을 제한하는 방법
US8612636B2 (en) 2009-08-21 2013-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or using interaction activity information
US9514395B2 (en) 2009-08-21 2016-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or using interaction activity information
US9857963B2 (en) 2009-08-21 2018-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or using interaction activity information
US10353561B2 (en) 2009-08-21 2019-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or using interaction activity information
KR20140085504A (ko) * 2011-10-10 2014-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기반 p2p(peer to peer)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5573B1 (ko) 201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93166C (zh) 便携式计算环境
US201003186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service
CN113328861B (zh) 权限的验证方法、装置和系统
JP6440571B2 (ja) SaaS間データ連携支援システムおよびSaaS間データ連携支援方法
CN104520836A (zh) 用于促进应用之间的服务提供的系统和方法
CA3214734A1 (en) Secure sensor data distribution
KR100955573B1 (ko) 편의 서비스 인증 방법 및 시스템
CN111582876A (zh) 操作认证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US20090150979A1 (en) Network system, network method, and terminal and program therefor
KR100864076B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편의 서비스 동적 발견 방법 및편의 서비스 운영 시스템
CN103067398A (zh) 一种用于实现第三方应用访问用户数据的方法和设备
KR100913052B1 (ko) 편의 서비스 개인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44093A (ko) 디바이스 협업 방법 및 시스템
KR20120124329A (ko)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drm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사용자 단말에서 drm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
CA3214737A1 (en) Blockchain key generation
KR100932056B1 (ko) 편의 서비스를 위한 동적 모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046679A (ja) インターネット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可搬性記憶媒体及び通信端末
KR100864913B1 (ko) 편의 서비스 연동 방법 및 시스템
WO2017159067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エージェントシステム
JP4863711B2 (ja) 電子機器の認証についての識別管理システム
US10235678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istributed offerings
CN117808580A (zh) 一种资源领取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6800444A (zh) 账号认证方法、数字资源的兑换方法、装置、设备及介质
CA3214742A1 (en) Sim cryptographic key storage
CA3214741A1 (en) Blockchain key gen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