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8965A - 스크롤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롤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8965A
KR20090048965A KR1020070115099A KR20070115099A KR20090048965A KR 20090048965 A KR20090048965 A KR 20090048965A KR 1020070115099 A KR1020070115099 A KR 1020070115099A KR 20070115099 A KR20070115099 A KR 20070115099A KR 20090048965 A KR20090048965 A KR 20090048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
scroll button
button
case fram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5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8965A/ko
Priority to US12/267,823 priority patent/US20090122031A1/en
Publication of KR20090048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9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기의 케이스 프레임에 일부 돌출되며, 조작에 의해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크롤 버튼과, 상기 스크롤 버튼의 유동을 감지하는 센싱 수단 및 상기 센싱 수단의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기기의 디스플레이 된 화면을 일정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두께가 얇은 슬림(slim) 휴대용 단말기에 마우스 휠의 스크롤과 같은 편리한 스크롤 장치를 장착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인터넷이나 문서편집 등의 사용을 편하게 하여 서비스의 이용을 높이므로 사용자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다.
스크롤, 센서, 입력장치, 휴대폰, 휴대용 단말기

Description

스크롤 장치 및 그 방법{THE METHOD AND SCROLL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스크롤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인터넷이나 문서편집 등의 사용을 편하게 하여 서비스의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스크롤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발전으로 인하여 여러 다양한 기능들이 휴대용 단말기로 집약되면서, 단말기 사용자가 이러한 다양한 기능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최근 출시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하는 기능은 음성통화 등 단순한 정보전달기능에서 벗어나, MMS(Multimedia Messaging System) 데이터 송수신, 디지털카메라, MP3 플레이어, TV수신, 비디오클립 재생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취급할 수 있는 기능으로까지 확대되었다.
휴대용 단말기는 이러한 기능 확대와 더불어 동시에 대용량 mini SD나 Memory Stick Duo 같은 외부 메모리 카드까지 수용할 수 있게 되면서 단말기 내에서 관리해야 할 파일의 수가 많아져 이를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의 성능 향상이 필요하게 되었고, MP3나 비디오 클립을 재생하는 도중에도 파일을 탐색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때, 상기 여러 다양한 멀티미디어 파일 및 검색 파일을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에 출력함에 있어, 한 창에 담을 수 있는 정보의 양이 매우 적을 경우 스크롤해서 그 정보를 읽어야 한다.
상기 스크롤을 위한 장치로써 버튼 방식, 다이얼처럼 돌리는 휠 방식, 터치 입력 방식, 사이드 휠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스크롤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현재 출시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마우스 휠과 같은 역할을 하는 입력기는 단순한 상하버튼, 다이얼처럼 돌리는 방식, 터치입력 방식이거나, 휴대용 단말기의 두께의 한계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 옆면에 휠을 붙여놓는 방식이 있다.
예를 들어, 상하버튼의 스크롤 방식을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버튼을 한 번 누르면 조금씩 위아래로 화면이 스크롤되므로 많은 상하이동을 위해서는 매우 여러 번 버튼을 눌러 줘야 하므로 이동이 느리고 번거롭다.
또한, 다이얼처럼 돌리는 휠의 스크롤 방식을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휠 자체가 커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돌릴 때 손가락이 크게 원을 그려야 하므로 동시에 다른 버튼을 누르기 힘들고 휴대용 단말기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잘 잡아야 한다.
더욱이, 터치 입력의 스크롤 방식을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터치가 매우 매끄러운 LCD 위에서 조절하므로 느낌이 허전하고 오른쪽 구석에 작게 보이는 스크롤 바를 직접 찍어야 하므로 불편하며 터치스크린이 필히 필요하다.
더 더욱이 사이드 휠의 스크롤 방식을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휠이 옆에 붙어 있으므로 앞부분의 버튼을 누르기위해 올려져 있는 손가락의 위치를 크게 바꿔야 하므로 앞부분 버튼과 동시에 구동하기에 불편하다. 만약 휠을 앞부분에 장착하면 휴대용 단말기의 두께가 매우 두꺼워지므로 슬림 휴대용 단말기에는 장착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빠른 검색을 할 수 있는 스크롤 장치를 이용한 기능 수행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기능 수행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스크롤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는 스크롤 장치를 이용한 기능 수행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기능 수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스크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기의 케이스 프레임에 일부 돌출되며, 조작에 의해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크롤 버튼과, 상기 스크롤 버튼의 유동을 감지하는 센싱 수단 및 상기 센싱 수단의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기기의 디스플레이 된 화면을 일정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장치 및 그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두께가 얇은 슬림(slim) 휴대용 단말기에 마우스 휠의 스크롤과 같은 편리한 스크롤 장치를 장착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인터넷이나 문서편집 등의 사용을 편하게 하여 서비스의 이용을 높이므로 사용자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타입(slide type)의 휴대용 단말기에 본 발명의 구성을 적용하여 하기에 설명할 것이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바 타입(bar type), 폴더 타입(folder type) 등의 휴대용 단말기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1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전면에 각종 메뉴버튼 및 다이얼버튼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키버튼(103)이 부착되는 하부바디(110)가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바디(110)의 상부에 위치하다가 상기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운동을 하여 상기 키버튼(103)이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상부바디(12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바디(110)는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는 다수의 키버튼(103)이 있고, 사용자가 음성을 전달하도록 마이크로 구성된 송신부(104)가 있다.
또한, 통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바디(110)의 상단에 구성된 안테나(미도시)와, 각종 제어를 담당하는 메인 기판(미도시)이 있다. 더욱이, 상기 메인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하부바디(110) 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된 배터리(미도시)와, 상기 메인 기판을 감싸도록 형성된 케이스 프레임(111)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바디(120)는 다양한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1)와, 통화시 음성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그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스피커로 구성된 수화부(102)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1)와 수화부(102)를 감싸도록 형성된 케이스 프레임(21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바디(120)의 소정 위치에는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장치(200)가 구성되며, 상기 스크롤 장치(200) 주변에 각종 기능 버튼(221)이 갖춰져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터치 패널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1)는 음성통화 뿐만 아니라 데이터 통신을 통한 인터넷, 문서 편집 등의 다양한 기능에서 발생한 정보(이미지, 텍스트 등)가 클 경우, 그 크기의 제한에 의하여 한 창에 출력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적어 일반적으 로 스크롤하여 정보를 읽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크롤 장치(200)를 이용하면, 보다 쉬운 스크롤을 할 수 있어, 그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① 방향(이하 '위(上)'라 칭함) 또는 ② 방향(이하 '아래(下)'라 칭함)으로 스크롤 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장치(200)의 스크롤 버튼을 위(아래)로 이동 시킨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1)에 표시되는 정보 또한 위(아래)로 스크롤되어 표시될 것이다.
더욱이, 상기 위(아래)로 이동 시 상기 스크롤 버튼의 이동 위치에 따라 그 스크롤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스크롤 버튼의 이동된 위치에 소정의 센서를 구성하여 상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특정 스크롤 모듈이 작동되어 상기 스크롤의 실행 및 스크롤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크롤 버튼을 위로 최대한 올릴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1)에 표시되는 정보가 위로 스크롤 되는 속도가 가장 빠르게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도, 상기 스크롤 장치(200)는 소정의 복귀 수단을 갖고 있어 스크롤을 위하여 사용자가 스크롤 버튼의 조작 후, 상기 스크롤을 멈추기 위해 손을 떼면 상기 스크롤 버튼은 원래의 위치로 자동 복귀되도록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위아래 스크롤을 할 경우에는 상기 스크롤 장치(200)를 이용하며, 좌우 스크롤을 할 경우에는 일반적인 기능 버튼(221)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스크롤 장치(200)를 사용자가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구성하여 좌우 스크롤로도 이용할 수 있 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장치의 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크롤 장치(200)는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 프레임(210), 버튼 패드(220), 스크롤 버튼(230), 센서부(240) 및 기판(25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프레임(210)에는 상기 버튼 패드(220)의 버튼(221), 상기 스크롤 버튼(230)의 조작부(231) 및 상기 기판(250)의 디스플레이 장치(101)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관통구멍(211, 212 및 215)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조작부(231)가 돌출되는 상기 케이스 프레임(210)의 관통구멍(212)은 상기 스크롤 버튼(230)이 유동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갖도록 형성한다.
상기 버튼 패드(220)는 다수의 버튼(221)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크롤 버튼(230)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멍(22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스크롤 버튼(230)의 이동시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사용자가 상기 버튼(221)을 가압하면, 상기 기판(250)에 구성되어 있는 입력수단(메탈돔)(251)이 가압되어 해당 입력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입력 받게 된다.
특히,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술하였듯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장치(101)에 표시되는 정보의 위 또는 아래로의 스크롤은 상기 스크롤 버튼(230)에서 조작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1)에 표시되는 정보의 좌우 스크롤 은 상기 버튼 패드(220)의 버튼(221)에서 조작할 것이다.
상기 스크롤 버튼(230)은 상부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 프레임(210)의 관통구멍(212)를 일부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조작부(2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231)는 사용자가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돌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231)의 하부에는 상기 케이스 프레임(210)의 관통구멍(21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소정의 플레이트(2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크롤 버튼(230)은 전술하였듯이, 사용자가 스크롤을 위한 상기 스크롤 버튼(230)의 이동 후, 손을 떼면 다시 원래대로 자동 복귀(self-centering)하도록 소정의 복귀 수단을 가지고 있다. 상기 복귀 수단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스프링(235)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자동 복귀, 즉 셀프 센터링 기능은 사용자가 스크롤을 위하여 상기 스크롤 버튼(230)을 상하로 이동 시킨 후 상기 스크롤 버튼(230)에서 손을 떼면 원래의 초기 위치로 되돌아 오는 기능이다. 상기 셀프 센터링 기능을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귀 수단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플레이트(232)의 상부면에는 도시된 4개의 탄성 스프링(235)이 일부 장착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스프링 홈(233)이 4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프레임(210)에도 상기 탄성 스프링(235)이 일부 장착 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미도시된 스프링 홈(도 4b의 21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롤 버튼(230)이 케이스 프레임(210)에 결속될 때, 상기 탄성 스프링(235)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232) 및 상기 케이스 프레임(210)의 스프링 홈(233, 도 4b의 213)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탄성 스프링(235)의 일단은 상기 플레이트(232)의 스프링 홈(233)의 일단면(도 4b의 235')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210)의 스프링 홈(도 4b의 213)의 일단면(도 4b의 213')에 고정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도 4b).
예를 들어, 스크롤 버튼(230)의 이동시 상기 고정 플레이트(232)에 형성된 스프링 홈(233)의 일단면(235')이 상기 케이스 프레임(210)에서 상기 이동방향에 위치한 스프링 홈(도 4b의 213)의 타단면(213')으로 상기 탄성 스프링을 탄성 압축한다. 이때, 이동방향의 반대에 위치한 탄성 스프링은 인장될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1)에 표시되는 정보의 스크롤을 정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롤 버튼(230)에서 손을 뗀다면, 상기 탄성 스프링(235)의 탄성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크롤 버튼(230)은 상기 탄성 스프링(235)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 프레임(210) 상에서 항상 같은 위치로 자동 복귀(self-centering)하려 할 것이다.
상기 탄성 스프링(23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플레이트(232)에는 상기 케이스 프레임(210)에 결속된 상태로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소정의 후크(hook)(234)를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 프레임(210)에는 상기 후크(234)에 상응하는 미도시된 소정의 후크홈(도 4c의 2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232)가 상기 케이스 프레임(210)에서 상방향으로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라면, 상기 후크(234) 및 후크홈(214)의 후킹(hooking) 조립 구조는 상방향 뿐만 아니라 하방향으로 이탈을 방지하며, 더욱이 상기 스크롤 버튼(230)이 안정적인 위아래 이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센서부(2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하는 스크롤 버튼(230)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하는 피감지물(241)을 가진다. 더욱이, 상기 피감지물(241)에 상응하는 감지수단(242)을 포함한다. 여기서는 상기 감지수단(242)을 휴대용 단말기(100)의 기판(250)상에 형성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피감지물(241)의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감지수단(242)이 이를 감지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의 후술할 스크롤 모듈(도 6의 14)에게 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스크롤 모듈(도 6의 14)은 상기 센서부(24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1)에 출력되는 정보의 스크롤 실행 및 그 스크롤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242)에는 상기 피감지물(241)이 위치 이동할 때, 약간의 걸리는 느낌이 들도록 그 형상을 굴곡으로 제작할 수 있다. 특히, 특정 굴곡 부분에서 상기 피감지물(241)의 감지신호를 받아 해당 스크롤 모듈이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스크롤을 위한 동작의 작동감을 줄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 스프링(235)에 의한 전술한 상기 스크롤 버튼(230)의 자동 복귀를 방해하지 않도록 그 형상을 형성하여야 함이 바람직하겠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수단(242)으로서 홀센서(hall sensor)를 사용한다면, 자력 감지 센서의 일환으로 상기 스크롤 버튼(230)의 저부에는 피감지물(241)로서 마그네트가 설치되고, 상기 기판(250)에는 다수의 홀센서가 실장될 것이다.
더욱이, 상기 센싱 동작을 위한 수단으로서 포토 센서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크롤 동작에 관한 설명은 후술될 도면에서 자세히 설명하겠다.
기판(250)에는 전술하였듯이, 상기 버튼 패드(220)의 버튼(221)이 가압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에게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메탈돔(251)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장치(101)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전술하였듯이, 상기 센서부(240)의 감지수단(242)을 상기 기판(250)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장치(200)의 스크롤 버튼(23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후술할 도 4a 내지 도 4c에서 설명될 것이며, 도 2에서 이미 설명된 내용은 생략하겠다.
도 4a는 도 3의 E 방향에서 바라본 선 A-A'의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스크롤 버튼(230)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210)에 형성된 관통구멍(212)에서 일정 거리로 위아래 이동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케이스 프레임(210)의 관통구멍(212)에서 상방향 이탈이 되지 않도록 미도시된 플레이트(도 4b의 232)가 형성되어 있다.
도 4b는 도 3의 E 방향에서 바라본 선 B-B'의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 프레임(210) 및 상기 스크롤 버튼(230)의 플레이트(232)에는 소정의 스프링 홈(213, 23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홈(213, 233)에 상기 탄성 스프링(235)이 장착된다.
상기 스크롤 버튼(230)이 위 또는 아래 이동에 따라 상기 스크롤 버튼(230)의 스프링 홈(233)의 일단면(235')은 상기 탄성 스프링(234)을 상기 케이스 프레임(210)의 스프링 홈(213)의 타단면(213') 방향으로 압축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인장되도록 할 것이다. 상기 스크롤 버튼(230)은 사용자 조작이 없을시 상기 탄성 스프링(235)의 복원력에 의해 항상 원래 위치에 있을 것이다.
도 4c는 도 3의 S 방향에서 바라본 선 C-C'의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전술하였듯이 상기 스크롤 버튼(230)이 상기 케이스 프레임(210)에 결속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후킹 조립 구조(234 및 214)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스크롤 버튼(230)의 고정 플레이트(232)의 일단에 소정의 후크(2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 프레임(210)에는 이에 상응하는 후크홈(214)이 구성된다.
상기 상기 스크롤 버튼(230)의 조작부(231)는 상기 케이스 프레임(210)에 형성된 관통구멍(212)에서 방해되어 위아래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 후킹 조립 구조(234, 214)는 상기 위아래 이동의 제한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스 프레임(210)에서 하방향으로 상기 스크롤 버튼(230)이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장치에서 센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a)는 스크롤 준비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감지수단(242)는 도면상 우측의 ②에 위치한 제 1 감지수단, ③에 위치한 제 2 감지수단, 좌측의 ②'에 위치한 제 1' 감지수단, ③'에 위치한 제 2' 감지수단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위치(①, ②, ③, ②', ③')에서 입력받은 감지신호에 따라 특정 속도로 스크롤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각각의 스크롤 모듈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에 포함되어 있다. 이하 자세한 설명은 하기하겠다.
상기 스크롤 버튼(230)에 고정된 상기 센서부(240)의 피감지물(241)은 스크롤 준비상태에서 센서부(240)의 감지수단(242)의 ① 위치에 있다. 상기 ① 위치에서는 상기 감지수단(242)은 피감지물(241)의 아무런 감지를 하지 않는다.
도 5의 (b) 및 (c)는 도면상에서 우측으로 상기 스크롤 버튼(230)이 이동한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b)의 ② 위치에서 감지수단(242)의 제 1 감지수단은 ① 위치의 준비상태에서 ② 위치로 이동한 피감지물(241)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수단(242)의 제 1 감지수단은 이때의 감지신호를 특정 스크롤 모듈(여기서는, '제 1 스크롤 모듈'이라 함)로 입력한다. 상기 ② 위치에서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제 1 스크롤 모듈은 본 발 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해당 속도로 스크롤 동작하도록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에 제어신호를 보낼 것이다. 만약, 상기 ② 위치에 상기 피감지물(241)이 계속 위치한다면 상기 제 1 스크롤 모듈로 인해 일정 속도로 계속 스크롤 동작할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스크롤 버튼(230)에서 손을 뗀다면, 상기 전술하였듯이, 상기 탄성 스프링(235)에 의해 상기 피감지물(241)이 ① 위치로 다시 복귀되어 상기 스크롤 동작이 멈출 것이다.
도 (c)의 ③ 위치에서 감지수단(242)의 제 2 감지수단은 ① 또는 ② 위치에서 이동한 피감지물(241)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수단(242)의 제 2 감지수단은 이때의 감지신호를 특정 스크롤 모듈(여기서는, '제 2 스크롤 모듈'이라 함)로 입력한다. 상기 ③ 위치에서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제 2 스크롤 모듈은 해당 속도로 스크롤 동작하도록 상긴 휴대용 단말기(100)에 제어신호를 보낼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 2 스크롤 모듈은 상기 도 (b)에서의 제 1 스크롤 모듈보다 더 빠른 속도로 스크롤 동작을 하도록 할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스크롤 버튼(230)에서 손을 뗀다면, 상기 전술하였듯이, 상기 탄성 스프링(235)에 의해 상기 피감지물(241)이 ① 위치로 다시 복귀되어 상기 스크롤 동작이 멈출 것이다.
도 (d) 및 도 (e)에서의 동작은 전술한 도 (b) 및 도 (c)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동작하되, 도 (b) 및 도 (c)의 반대 방향으로 스크롤 동작을 수행할 것이므로 이하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감지수단(242)은 좌우 2개씩의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형성하고, 이에서 상기 피감지물(241)의 위치 이동에 따른 스크롤 동작을 살펴보았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좌측 및 우측에 3개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수단을 구성하여 스크롤 속도의 단계를 세분화할 수도 있다.
도 6은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 메모리부(11), 표시부(12), 입력부(13), 스크롤 모듈부(14) 및 통신부(1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어부(MPU : Micro-Processer Unit)(1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스크롤 모듈부부(14)에서 발생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표시부(12)에 해당 정보를 스크롤한다.
이하 설명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11), 표시부(12), 입력부(13) 및 통신부(15)의 통상적인 처리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상기 표시부(12)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12)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표시부(12)는 상기 스크롤 모듈(14)에서 발생된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10)의 처리에 따라 해당 정보가 스크롤되어 출력된다.
상기 입력부(13)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버튼들 및 문자 입력 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로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스크롤 버튼(도 2의 230)이 위치 이동함으로써, 상기 센서부(도 2의 240)는 상기 이동된 스크롤 버튼(230)의 위치 신호를 감지하고, 이의 정보를 상기 스크롤 모듈(14)로 제공한다.
상기 스크롤 모듈부(14)는 도 1a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스크롤 장치(200)에 서 발생한 감지신호를 센서부(240)에서 입력 받아 특정한 스크롤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10)에 입력한다.
후술되겠지만, 상기 스크롤 모듈(14)은 상기 스크롤 장치(200)의 스크롤 버튼(도 2의 23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된 피감지물(도 2의 241)를 감지수단(도 2의 242)이 특정 위치에서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특정 위치에서의 감지신호는 상기 스크롤 모듈(14) 중 상기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스크롤 모듈(제 1 스크롤 모듈, 제 2 스크롤 모듈 등)로 입력된다.
상기 센서부(240)에서 감지된 특정 위치에서의 감지신호는 특정 스크롤 모듈(제 1 스크롤 모듈, 제 2 스크롤 모듈 등)로 입력된 후, 특정 속도로 스크롤 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스크롤 모듈부(14)는 상기 제어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0)는 401 단계에서 스크롤 버튼이 이동한 특정 위치에서의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확인한다.
상기 특정 위치라 함은 전술하였듯이 센서부(240)의 감지수단(242)이 피감지물(241)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라 하겠다.
이후, 상기 감지신호가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10)는 402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특정 스크롤 모듈을 실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특정 스크롤 모듈은 상기 특정 위치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스크롤 동작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10)로 보낸다.
상기 제어부(10)는 403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스크롤 모듈에서 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정보를 해당 속도로 스크롤하도록 제어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 모듈에서 스크롤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크롤 동작의 예를 들면, 만약 상기 피가감지물(241)의 위치이동으로 상기 감지수단(242)에서 출력된 감지신호가 1초당 9번의 신호 사이클을 갖는다 하자.
또한, 상기 제 1 스크롤 모듈은 상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3번 신호가 연달 아 올 때 버튼을 1번 누르는 것처럼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제 2 스크롤 모듈은 상기 감지신호를 입력받을 때마다 버튼을 1번씩 누르는 것처럼 상기 감지신호를 처리한다 하자.
이때, 본 발명의 스크롤 버튼을 ②로 위치시킨다면, 감지수단(242)의 제 1 감지수단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 1 스크롤 모듈로 감지신호를 보낸다. 감지 신호를 받은 제 1 스크롤 모듈은 초당 3번 씩 스크롤하도록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에게 제어신호를 보낼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크롤 버튼을 ③으로 위치시킨다면, 감지수단(242)의 제 2 감지수단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 2 스크롤 모듈로 감지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 2 스크롤 모듈은 상기 제 1 스크롤 모듈보다 3배 빠르게 스크롤하도록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에게 제어신호를 보낼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장치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장치의 스크롤 버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는 도 3의 E 방향에서 바라본 선 A-A'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도 3의 E 방향에서 바라본 선 B-B'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c는 도 3의 S 방향에서 바라본 선 C-C'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장치에서 센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시스템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 모듈에서 스크롤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23)

  1. 스크롤 장치에 있어서,
    기기의 케이스 프레임에 일부 돌출되며, 조작에 의해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크롤 버튼;
    상기 스크롤 버튼의 유동을 감지하는 센싱 수단;
    상기 센싱 수단의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기기의 디스플레이 된 화면을 일정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버튼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에서 유동하도록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버튼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에 일부가 돌출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 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하여 상기 케이스 프레임에서 상기 스크롤 버튼이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 프레임은 후크 형상의 후킹(hooking) 조립 구 조를 갖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버튼은 셀프 센터링(self-centering) 기능을 위한 버튼 복귀 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수단은,
    상기 스크롤 버튼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조작부의 양측에는 동일한 탄성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이 설치되되,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스크롤 버튼을 지지하며, 타단은 케이스 프레임에 의해 지지받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수단은,
    상기 조작부의 하부 케이스 프레임의 접하는 면상에 각각 스프링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각 스프링 홈에 안착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인장 코일 스프링 또는 압축 코일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스크롤 버튼 저부에 설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스크롤 버튼의 유동 범위내에 설치되되, 기기의 기판상에 일정 간격으로 실장되는 다수의 홀 센서(hall sensor)를 포함하는 자력 감지 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각의 홀 센서의 감지에 따라 스크롤 속도를 달리 제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수단은,
    상기 스크롤 버튼의 유동을 감지하는 포토 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장치.
  11.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 적소에 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스크롤하기 위한 스크롤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롤 장치는,
    본체의 케이스 프레임에 일부 돌출되며, 조작에 의해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크롤 버튼;
    상기 스크롤 버튼의 유동을 감지하는 센싱 수단;
    상기 센싱 수단의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기기의 디스플레이 된 화면을 일정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버튼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에서 유동하도록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스크롤 버튼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에 일부가 돌출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 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하여 상기 케이스 프레임에서 상기 스크롤 버튼이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 프레임은 후크 형상의 후킹(hooking) 조립 구조를 갖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버튼은 셀프 센터링(self-centering) 기능을 위한 버튼 복귀 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수단은,
    상기 스크롤 버튼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조작부의 양측에는 동일한 탄성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이 설치되되,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스크롤 버튼을 지지하며, 타단은 케이스 프레임에 의해 지지받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수단은,
    상기 조작부의 하부 케이스 프레임의 접하는 면상에 각각 스프링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각 스프링 홈에 안착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인장 코일 스프링 또는 압축 코일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스크롤 버튼 저부에 설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스크롤 버튼의 유동 범위내에 설치되되, 기기의 기판상에 일정 간격으로 실장되는 다수의 홀 센서(hall sensor)를 포함하는 자력 감지 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각의 홀 센서의 감지에 따라 스크롤 속도를 달리 제어 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수단은,
    상기 스크롤 버튼의 유동을 감지하는 포토 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1. 기기의 케이스 프레임에 일부 돌출되며, 조작에 의해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크롤 버튼과, 상기 스크롤 버튼의 유동을 감지하는 센싱 수단 및 상기 센싱 수단의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기기의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일정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의 스크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버튼의 유동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 수단의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기기의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일정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스크롤 버튼의 유동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력 감지 센서 또는 포 토 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센싱 수단의 감지에 따라 스크롤 속도를 달리 제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방법.
KR1020070115099A 2007-11-12 2007-11-12 스크롤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4896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099A KR20090048965A (ko) 2007-11-12 2007-11-12 스크롤 장치 및 그 방법
US12/267,823 US20090122031A1 (en) 2007-11-12 2008-11-10 Scroll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099A KR20090048965A (ko) 2007-11-12 2007-11-12 스크롤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965A true KR20090048965A (ko) 2009-05-15

Family

ID=40623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099A KR20090048965A (ko) 2007-11-12 2007-11-12 스크롤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122031A1 (ko)
KR (1) KR2009004896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3078B2 (ja) * 2008-07-11 2012-11-28 ソニー株式会社 キーボード及びキーボード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19702B1 (it) * 2000-12-21 2003-11-03 Abb Ricerca Spa Dispositivo di interblocco per interruttori
US7996050B2 (en) * 2006-02-28 2011-08-09 Lg Electronics Inc.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20070247446A1 (en) * 2006-04-25 2007-10-25 Timothy James Orsley Linear positioning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22031A1 (en) 2009-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87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display control of a video image in mobile terminal
US9400522B2 (en) Multiple display portable terminal apparatus with position-based display modes
TWI397302B (zh) 可攜式電子裝置與行動通訊裝置的組合
KR10201591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80176604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O201314444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ce sensing
KR10119675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N104932815A (zh) 移动终端及其操作方法
US20100130132A1 (en)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and mobile terminal,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15620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중 데이터 입력/검색 방법
KR20160098030A (ko) 터치스크린과 지문인식 기능을 구현하는 장치 및 단말기기
KR20130025979A (ko) 광학식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KR20120074648A (ko) 전자기기의 터치 입력 방법 및 장치
US20080125182A1 (en) Input device for mobile terminal using scroll key
US20160077551A1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apparatus
US20080012822A1 (en) Motion Browser
CN106550129A (zh) 省电模式下的通信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20140089868A (ko) 하이브리드 위젯을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48965A (ko) 스크롤 장치 및 그 방법
KR100756027B1 (ko) 휴대폰 무선 발신 기능을 갖는 개인용 단말기
KR2010010778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01210962A (ja) 携帯端末及び移動電話装置
KR101737951B1 (ko)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0241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695399B1 (ko) 휴대 단말기에서 키패드를 이용한 마우스 포인터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