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7922A - Size-adjustable gang form - Google Patents

Size-adjustable gang fo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7922A
KR20090047922A KR1020070114024A KR20070114024A KR20090047922A KR 20090047922 A KR20090047922 A KR 20090047922A KR 1020070114024 A KR1020070114024 A KR 1020070114024A KR 20070114024 A KR20070114024 A KR 20070114024A KR 20090047922 A KR20090047922 A KR 20090047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ll
gangform
adjustable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0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18042B1 (en
Inventor
김상석
Original Assignee
김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석 filed Critical 김상석
Priority to KR1020070114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042B1/en
Publication of KR20090047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9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0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2Workplatforms, railings; Arrangements for pouring concrete, attached to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Abstract

본 발명은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에 관한 것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벽체를 형성하고 프레임을 분리/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형태나 크기에 맞도록 재조립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서로 조립이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의 벽체(10); 벽체(10)를 이용하여 직사각형 형태로 조립된 벽면조립체(17)의 배면에 장착되는 프레임; 스냅핏 및 나사체결 방식으로 프레임의 길이를 연장시켜 주는 길이연장용 브라켓(25); 및 가로프레임(21)과 세로프레임(22)을 각각 스냅핏과 나사체결 방식으로 연결시켜 직교브라켓(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프레임은 벽면조립체(17)의 배면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테두리프레임(28); 벽면조립체(17)의 배면에 등간격으로 장착되는 가로프레임(21) 및; 가로프레임(21)과 격자 형태가 되도록 2열 등간격으로 장착되는 세로프레임(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gangform that can be adjusted in size, by forming a wall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configured to separate / assemble the frame, size adjustment that can be reassembled and recycled to meet the shape or size required at the work site The aim is to provide this possible construction gangform. As a means for solving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stic wall which can be assembled to each other (10); A fram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wall assembly 17 assembled in a rectangular shape using the wall 10; A length extension bracket 25 extending the length of the frame in a snap fit and screwed manner; And orthogonal brackets (27) by connecting the horizontal frame (21) and the vertical frame (22) in a snap fit and screwed manner, respectively, wherein the frame is formed along the back edge of the wall assembly (17). Frame 28; A horizontal frame 21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wall assembly 17 at equal interval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ertical frame 22 is mounted at equal intervals in two rows so that the horizontal frame 21 and the grid form.

플라스틱 벽체, 브라인드 리벳체결, 직교브라켓 Plastic Wall, Blind Rivets, Ortho Brackets

Description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Size-adjustable Gang Form}Size-adjustable Gang Form

본 발명은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라스틱을 벽체로 사용하여 구조물의 벽체 크기에 따라 재활용할 수 있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gangform that can be adjusted in siz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struction gangform tha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wall size of the structure using plastic as a wall.

일반적으로 건축 현장에서 아파트처럼 고층이면서도 그 외형이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건물을 지을 때에 거푸집으로서 갱폼(Gang Form)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In general, Gang Forms are frequently used as formwork when building high-rise buildings with similar appearances.

갱폼이란 평면상에서 상하부가 동일한 단면 구조물에서 외부 벽체의 거푸집을 말하는 것으로,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 작업, 그리고 미장과 치장(견출) 작업 등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일종의 거푸집을 말한다.Gangform refers to the formwork of the external wall in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same top and bottom on the plane, a kind of formwork that can safely install and dismantle formwork, and plastering and dressing (detection) work.

이러한 갱폼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하층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해 주는 작업대(100)와, 이 작업대 위로 연장 형성되는 외부벽체(200)로 이루어져 있다.The gangform, as shown in Figure 1, is largely composed of a work table 100 is formed in the lower floor to form a space for the operator to work safely, and the outer wall 200 extending over the work table.

외부벽체(200)는 벽체판(210)과, 그 테두리부에 형성된 테두리프레임(220)과, 이 테두리프레임(220) 내부에 등간격으로 격자 형태로 설치되는 가로프레 임(230) 및 세로프레임(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세로프레임(230)은 소정의 간격을 갖는 2열로 형성하게 된다.The outer wall 200 has a wall plate 210, a border frame 220 formed on the edge portion thereof, horizontal frame 230 and a vertical frame which are installed in a grid form at equal intervals inside the border frame 220. 230. In particular, the vertical frame 230 is formed in two columns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이와 같이 이루어진 갱폼은 일반적으로 벽체판(210)으로 강판을 이용하고 프레임으로서 강재 파이프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들 벽체판(210)과 각 프레임들은 각각 용접에 의해 조립된다.The gangform made in this way generally uses a steel plate as the wall plate 210 and uses a lot of steel pipes as a frame, these wall plate 210 and each frame is assembled by welding, respectively.

그러나, 종래의 갱폼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gangform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1) 구조물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철판과 철강 프레임으로 제작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한번 사용된 갱폼은 다시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낭비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1) Since the steel plate and steel frame are manufactured and us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structure, the gang form once used cannot be used again, which is a wasteful factor.

2) 특히, 벽체판은 구조물의 구조와 외부 형상에 따라 창틀 개구부라든가 출입구용 개구부 등을 제작하기 때문에, 다른 구조물에는 이용할 수 없어 한번 사용한 갱폼은 고철로서 폐기하게 되어 경제적으로도 큰 손실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2) In particular, wall boards are used to make window frame openings and entrance openings, etc., depending on the structure and external shape of the structure. Therefore, they cannot be used for other structures, so once used gang forms are discarded as scrap, causing economic losses. It is becoming.

3) 또한, 이는 건축비의 상승으로 이어진다.3) This also leads to an increase in construction costs.

4) 종래의 갱폼은 콘크리트의 양생 후 갱폼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방청제(이형제)를 많이 이용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환경 오염을 일으키게 된다.4) Since the conventional gangform uses a lot of rust inhibitors (release agents) in order to be easily separated after curing of concrete, this causes environmental pollution.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벽체를 형성하고 프레임을 분리/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형태나 크기에 맞도록 재조립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is point, by forming a wall made of plastic material and configured to separate / assemble the frame, the size control that can be reassembled and recycled to fit the shape or size required at the work site is Its purpose is to provide possible construction gangforms.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to solve this problem,

서로 조립이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의 벽체(10);Walls 10 of plastic material that can be assembled to each other;

벽체(10)를 이용하여 직사각형 형태로 조립된 벽면조립체(17)의 배면에 장착되는 프레임;A fram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wall assembly 17 assembled in a rectangular shape using the wall 10;

스냅핏 및 나사체결 방식으로 프레임의 길이를 연장시켜 주는 길이연장용 브라켓(25); 및A length extension bracket 25 extending the length of the frame in a snap fit and screwed manner; And

가로프레임(21)과 세로프레임(22)을 각각 스냅핏과 나사체결 방식으로 연결시켜 직교브라켓(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It comprises a orthogonal bracket (27) by connecting the horizontal frame (21) and the vertical frame (22) in a snap-fit and screwed manner, respectively,

프레임은 벽면조립체(17)의 배면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테두리프레임(28);The frame is a frame frame 28 is installed along the rear edge of the wall assembly 17;

벽면조립체(17)의 배면에 등간격으로 장착되는 가로프레임(21) 및;A horizontal frame 21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wall assembly 17 at equal intervals;

가로프레임(21)과 격자 형태가 되도록 2열 등간격으로 장착되는 세로프레임(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ertical frame 22 is mounted at equal intervals in two rows so that the horizontal frame 21 and the grid form.

또한, 벽체(10)는 이웃한 양측 테두리에 요부(11)가 형성되고, 나머지 양측 테두리에는 철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도브테일 방식으로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요부(11)와 철부(12)를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ll 10 has recesses 11 formed at both edges adjacent to each other, and convex portions 12 are formed at the remaining edges, and particularly, the recesses 11 and the convex portions 12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in a dovetail manner.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form.

또한, 벽체(10)는 벽면조립체(17)의 밑단에 설치되는 경우, 콘크리트 타설로 인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고무패킹(13)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고무패킹(13)의 위쪽으로 위치설정용 리브(14)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wall 10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wall assembly 17, a rubber packing 13 is provided to prevent leakage due to concrete pouring, and for positioning above the rubber packing 13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ib 14 is further formed.

또한, 벽체(10)는 벽면조립체(17)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경우,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벽면 조립체(17)의 바깥쪽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에 브라켓(15)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브라켓(15)은 상부가 바깥쪽으로 경사진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는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wall 10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wall assembly 17,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cket 15 is provided on the top to prevent the concrete to be poured out of the wall assembly 17. . Bracket 15 is made of a '┏┛' shape in which the top is inclined outward, the botto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rking position of the concrete.

또한, 벽체(10)는 알루미늄 재질의 브라인드 리벳으로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ll 1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luminum is mounted to the frame with a blind rivet.

또한, 가로프레임(21)과 세로프레임(22)은 양쪽면에 각각 슬라이드면(23)이 절곡 성형되고, 이 슬라이드면(23)에는 등간격으로 위치조절용 설치구멍(24)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이브리드 포밍가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가로프레임(21) 및 세로프레임(22)은 일면에 볼트로 장착되는 보강판(29)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frame 21 and the vertical frame 22 are formed by bending the slide surface 23 on both sides, and the slide surface 23 is provided with a position adjusting installation hole 24 at equal interval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 hybrid forming process. In particular, the horizontal frame 21 and the vertical frame 22 further includes a reinforcement plate 29 that is bolted to one surface.

또한, 길이연장용 브라켓(25)은 가로프레임(21)에 스냅핏 방식으로 감압가능하며, 양측면에는 위치조절용 설치구멍(24)과 겹침가능한 위치에 적어도 4개의 체결구멍(2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ngth extension bracket 25 is capable of depressurizing the snap frame in the horizontal frame 21, and at least four fastening holes 26 are formed at positions overlapping the position adjusting installation holes 24 on both sides.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직교브라켓(27)은 길이연장용 브라켓(25) 형상의 하부브라켓(27a)과, 그 상면에 수직으로 2개가 설치되며 길이연장용 브라켓(25)과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브라켓(27b)으로 구성되며, 하이브리드 포밍 가공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rthogonal bracket 27 is provided with a lower bracket (27a) of the length extension bracket 25, and two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upper bracket (27b) made the same shape as the length extension bracket (25) Consisting of,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the hybrid forming proces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건축용 갱폼은 프레임의 하부에 구성되는 작업대(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uilding gangform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ork table 30 configur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1) 갱폼의 벽체로서 플라스틱을 압축하여 성형한 벽체를 이용하기 때문에 재활용이 가능하여 반영구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1) As the wall of the gang form, the wall formed by compressing the plastic is used, so it can be recycled and used semi-permanently.

2) 조립과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떠한 작업 현장에서라도 요구되는 형상과 크기에 맞게 쉽게 조립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2) It is easy to assemble and dismantle, so it can be easily assembled and recycled according to the required shape and size at any work site.

3) 가로프레임의 길이 연장 및 세로프레임의 장착 위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갱폼의 폭과 길이를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3) The width and length of the gang form can be freely adjusted as desired because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vertical frame can be adjusted.

4) 갱폼의 재활용으로 건축비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4) Reduction of construction costs can be achieved by recycling gangforms.

5) 벽체와 프레임을 알루미늄 재질의 브라인드 리벳으로 장착하기 때문에 프레임으로부터 벽체를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특히 콘크리트에 의해 벽체가 부식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5) Since the wall and frame are mounted with aluminum blind rivets, the wall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rame. In particular, the wall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rroded or damaged by concrete.

6) 프레임 및 프레임 체결용 브라켓을 하이브리드 포밍가공하여 제조함으로써 프레임 및 브라켓의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강도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6) By manufacturing the frame and the frame fastening bracket by hybrid forming process, not only the frame and the bracket can be easily manufactured but also the strength and safety can be improved.

7) 콘크리트의 양생후 본 발명의 갱폼을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해 방청제(이형제)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인 갱폼을 얻을 수 있다.7) Since curing of concrete does not use a rust preventive agent (releasing agent) in order to easily separate the gang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gangform can be obtained.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exploded to explain the construction gang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플라스틱을 압축하여 성형한 벽체(10)와, 이 벽체(10)의 배면에 장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벽체(10)의 하부로 연장된 프레임 단부에 작업대(30)를 더 구성하여 갱폼의 설치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all (10) formed by compressing a plastic and a fram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wall (10). In addition, the worktable 30 may be further configured at the frame end exten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ll 10 to ensure the safety of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gangform.

이를 각 구성요소별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each component as follows.

벽체(10)는 소정의 두께 및 크기를 갖는 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벽체(10)에는 테두리부에 다른 벽체와의 결합을 위한 장착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구조는 도 3a와 같이, 서로 이웃한 테두리면에 형성된 요부(11)와, 나머지 테두리면에 형성된 철부(12)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요부(11)와 철부(12)는,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는 도브테일 방식으로 벽체(10,10')간의 조립/분리가 가능하다.The wall 10 has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size. In particular, the wall 10 is formed with a mounting structure for coupling with other walls in the rim. As shown in Fig. 3A, the mounting structure includes concave portions 11 formed on adjacent edge surfaces and convex portions 12 formed on the remaining edge surfaces. In particular, the recess 11 and the convex portion 12, as shown in Figure 3b, can be assembled / separated between the walls (10, 10 ') in a dovetail manner formed inclined respectively.

이와 같이 이루어진 벽체(1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제 건축 현 장에서 여러 장의 벽체를 결합하여 시공 현장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크기의 벽면조립체(17) 형태로 조립하여 이용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 the wall 10 made as described above is used to assemble in the form of a wall assembly 17 having various sizes required at a construction site by combining several walls in an actual building site.

여기서, 상기 벽체(10)는 여러 개의 벽체가 상술한 장착구조에 의해 벽면조립체(17)로 이용하게 되는데, 이 조립체(17)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벽체(10)에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고무패킹(13)을 더 구성한다. 도 4에서 점선은 여러 개의 벽체(10)가 장착구조에 의해 서로 결합된 부분을 나타내며, 가장 하부의 벽체(10)에 고무패킹(13)이 형성된 예를 보여준다. 이때의 고무패킹(13)은 미리 타설되어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300)의 측면에 밀착되어 새로 타설하는 콘크리트의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Here, the wall 10 is used as the wall assembly 17 by a plurality of the above-described mounting structure, the wall 10 is installed in the lower end of the assembly 17, as shown in FIG. The rubber packing 13 is further configur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FIG. 4, a dotted line indicates a portion where a plurality of walls 1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mounting structure, and shows an example in which a rubber packing 13 is formed on the bottom wall 10. At this time, the rubber packing 1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concrete structure 300 formed by placing in advance to prevent leakage of the newly poured concrete.

이렇게 고무패킹(13)이 형성된 벽체(10)에는 그 하부에,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설정용 리브(14)를 더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위치설정용 리브(14)는 벽체(10)에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가로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위치설정용 리브(14)는 본 발명의 갱폼을 콘크리트 구조물(300) 상에 거치할 때 기준 위치로 삼아 갱폼의 설치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갱폼은 이 리브(14)가 콘크리트 구조물(300) 상에 안치된 상태에서 장착하게 된다.Thus, as shown in FIG. 4, the positioning rib 14 can be further formed and used in the wall 10 in which the rubber packing 13 was formed. The positioning ribs 14 may be formed on the wall 10 at equal intervals or may be formed over the entire leng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is positioning rib 14 is used as a reference position when mounting the gang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concrete structure 300 to determin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gangform. That is, the gang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 a state in which the rib 14 is placed on the concrete structure 300.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에 장착되는 벽체(10)에는 타설된 콘크리트가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브라켓(15)이 상부에 장착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wall 10 to be mounted on the top is mounted on the top bracket (15) to prevent the pour concrete to splash out.

브라켓(15)은 상부가 바깥쪽으로 경사진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 부는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표시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층을 이루는 내부벽체(10a)와 외벽을 이루는 외부벽체(10b)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시, 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까지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그 위치를 표시하게 된다.The bracket 15 is formed in a '┏┛' shape in which the upper portion is inclined outwardly, and the lower portion is formed with a display portion 16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display the placing position of the concrete. When the concrete is poured between the inner wall 10a forming the layer and the outer wall 10b forming the outer wall, the position is indicated so that the concrete is poured to the portion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the draw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브라켓(15)은 가로변이 벽체(10) 위에 놓여지게 하여 알루미늄 리벳으로 고정함으로써, 콘크리트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15 is preferably placed on the wall 10 to be fixed with aluminum rivets, thereby preventing corrosion by concrete.

이와 같이 이루어진 벽체(10)의 배면에는 프레임이 장착된다. 이때, 프레임과 벽체(10)는 알루미늄 재질의 브라인드 리벳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콘크리트와 맞닿더라도 고정수단인 리벳에 의한 부식이 생기지 않는다.The frame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wall 10 thus constructed. At this time, the frame and the wall 10 are fixed with a blind rivet made of aluminum, so that even when contacted with concrete, corrosion by the rivet as a fixing means does not occur.

프레임은 가로프레임(21)과 세로프레임(22) 그리고 테두리프레임(2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로프레임(21)과 세로프레임(22)은 그 형상은 동일하기 때문에, 첨부도면에서는 표기되지 않은 동일부호 20을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frame includes a horizontal frame 21, a vertical frame 22, and a border frame 28. Here, since the horizontal frame 21 and the vertical frame 22 have the same shape, the horizontal frame 21 and the vertical frame 22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 20, which is no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중공의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양측면에는 중앙 부분에 슬라이드면(23)이 절곡성형되어 있다. 또한, 마주보는 1쌍의 슬라이드면(23)에는 등간격으로 위치조절용 설치구멍(24)이 관통성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frame has a hollow rectangular pil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n particular, the slide surface 23 is bent at the center portion on both side surfaces thereof. In addition, the pair of slide surfaces 23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with through holes 24 for position adjustment at equal interval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프레임은 하이브리드 포밍가공을 통해 슬라 이드면(23)을 제외한 부분이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강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is preferably formed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except the slide surface 23 through the hybrid forming process to ensure rigidity and safety.

또한, 프레임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 보강판(29)을 더 추가하여 강성을 보완할 수도 있다. 이때의 보강판(29)은 일면이 각 프레임의 측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볼트 체결을 통해 각 프레임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강판(29)은 후술할 브라켓(25,27)에 의해 각각의 프레임이 연결된 상태에서 설치구멍(24)을 통해 각 프레임에 볼트체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rame may supplement the rigidity by further adding a reinforcing plate 29 to the side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plate 29 has one surfac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side of each frame, it is mounted to each frame through the bolt fastening.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plate 29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bolted to each frame through the mounting hole 24 in the state that each frame is connected by the brackets (25, 27) to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보강판(29)은 별도의 부재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벽체(10) 성형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보강판(29)을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체결 방식에 의해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reinforcing plate 29 may be used as a separate member as described above, and the reinforcing plate 29 is integral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when the wall 10 is formed, and then mounted by the fasten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use.

마지막으로, 프레임에는 여러장의 벽체(10)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벽체(10)를 조립한 벽면조립체(17)의 배면 테두리에 장착되는 테두리프레임(2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테두리프레임(28) 또한 다른 프레임과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nally, the frame includes a border frame 28 that is mounted to the rear edge of the wall assembly 17, the wall 10 is assembled, when us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walls (10). Here, it is preferable to form and use the border frame 28 in the same way as other frames.

길이연장용 브라켓(25)은, 도 5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하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길이연장용 브라켓(25)는 측면에 위치조절용 설치구멍(24)과 겹침 가능하도록 적어도 4개의 체결구멍(26)이 관통성형되어 있다. 도 5a에서는 6개의 체결구 멍(26)이 형성된 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4개 이상 짝수개로 형성하여 양단이 맞닿는 2개 프레임에 각각 그 절반의 갯수만큼 겹쳐 볼트체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5A, the length extension bracket 25 has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frame, and in particular, has a shape in which the lower surface is opened. In particular, the length extension bracket 25 has at least four fastening holes 26 formed therethrough so as to overlap the position adjusting installation holes 24 on the side surfaces thereof. 5A shows an example in which six fastener yokes 26 are formed, and preferably, four or more even dogs are formed in an even number, and more preferably, two bolts overlapping each other and overlapping each other by half the bolts. .

이와 같이 이루어진 길이연장용 브라켓(25)은 가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 또는 세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길이방향으로 맞대어 놓고 스냅핏 형식으로 감압설치하게 된다. 이때, 체결구멍(26)과 위치조절용 설치구멍(24)이 일치하게 하고, 이들 구멍(26,24)을 통해 볼트 체결하여 가로프레임(21)간 또는 세로프레임(22)간의 길이를 연장시키는데 이용한다.The length extension bracket 25 made in this way is installed horizontally and horizontal frame, or vertical frame and vertical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installed in a depressurized snap-fit type. At this time, the fastening hole 26 and the position adjusting installation hole 24 are made to coincide, and it is used to extend the length between the horizontal frames 21 or the vertical frames 22 by bolting through these holes 26 and 24. .

직교브라켓(27)은 상술한 길이연장용 브라켓(25)이 3개가 조합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직교브라켓(27)은 길이연장용 브라켓(25)과 동일한 형상의 하부브라켓(27a)와, 길이연장용 브라켓(25)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하부브라켓(27a)의 상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2개의 상부브라켓(27b)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5b에서는 상부브라켓(27b)의 체결구멍(26)이 2개가 형성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적어도 4개 또는 6개를 형성하여 끝단부가 맞닿게 놓인 2개의 세로프레임(22)에 각각 2개 또는 3개씩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rthogonal bracket 27 is made of a combination of three of the length extension bracket 25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5B, the orthogonal bracket 27 has a lower bracket 27a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length extension bracket 25 and a lower bracket 27a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length extension bracket 25. It consists of two upper brackets (27b) formed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G. 5B shows an example in which two fastening holes 26 of the upper bracket 27b are formed. However, at least four or six fastening holes 26 are formed on two vertical frames 22 each having an end portion abutting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so that it can tighten by three.

이와 같이 이루어진 직교브라켓(27)은 하부브라켓(27a)에 가로프레임(21)이 장착되고, 2개의 상부브라켓(27b)에 각각 세로프레임(22)이 장착된다.The orthogonal bracket 27 made in this way is mounted to the horizontal frame 21 on the lower bracket (27a), the vertical frame (22) is mounted on each of the two upper brackets (27b).

한편, 본 발명의 갱폼은 세로프레임(22)의 하단부를 벽체(10)의 아랫쪽으로 연장하고, 여기에 수평으로 발판(31)을 형성하여 작업대(30)를 구성한다. 이러한 작업대(30)의 구조는 종래 갱폼의 작업대(30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gang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22 to the lower side of the wall 10, to form a footrest 31 horizontally to form a work bench 30. Since the structure of the work table 30 is made of the same structure as the work table 300 of the conventional gangform, its description is omitted here.

이하, 도 2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us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4.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조립은 먼저, 건축물의 벽체 길이와 폭에 따라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벽체(10)를 건축물의 외벽보다 작을 경우, 벽체(10)를 연결하여 벽면조립체(17)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각 벽체(10)는 요철부(11,12)에 의한 도브테일 방식으로 조립된다. 여기서, 벽체(10)의 연결 갯수는 외벽보다 같거나 이보다 클 때까지 연결하게 된다.Assembly of the gangform for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assembly is made according to the length and width of the wall of the building. For example, when the wall 10 is smaller tha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wall 10 is connected to form the wall assembly 17. At this time, each wall 10 is assembled in a dovetail method by the uneven parts (11, 12). Here, the connection number of the wall 10 is connected until the same or greater than the outer wall.

이와 같이 벽면조립체(17)를 조립하고 나면, 먼저 테두리프레임(28)을 벽면조립체(17)의 배면에 알루미늄 재질의 브라인드 리벳으로 체결한다. 이어, 테두리프레임(28) 내부에 등간격으로 가로프레임(21)을 설치한다.After assembling the wall assembly 17 as described above, the frame frame 28 is first fasten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wall assembly 17 with a blind rivet made of aluminum. Subsequently, horizontal frames 21 are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in the frame 28.

만일, 벽면조립체(17)의 폭이 가로프레임(21)보다 길 경우, 2개의 가로프레임(21)을 동일선상에 놓고 길이연장용 브라켓(25)을 스냅핏 방식으로 설치하여 체결구멍(26)을 통해 볼트로 체결하여 그 길이를 연장시킨다. 또한, 가로프레임(21)은 벽체(10)가 연결되는 부위에도 놓여지도록 하여 벽체(10)의 연결 부위에서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width of the wall assembly 17 is longer than the horizontal frame 21, the two horizontal frames 21 are placed on the same line, and the length extension brackets 25 are installed in a snap fit manner to fasten the holes 26. Bolt through and extend its length. In addition, the horizontal frame 21 is preferably placed on the site where the wall 10 is connected to ensure the rigidity at the connection site of the wall 10.

여기서, 가로프레임(21)의 강성을 보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길 이가 연장되게 조립된 가로프레임(21)의 일면에 보강판(29)을 덧대어서 볼트 체결하여 이용하게 된다.He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igidity of the horizontal frame 21 needs to be compensated for, the reinforcing plate 29 is padded on one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21 assembled to extend its length, and then used by bolting.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가로프레임(21)을 테두리프레임(28)의 내부에 등간격으로 설치하고 나면, 그 다음 단계로 세로프레임(22)을 설치하게 된다.After the horizontal frame 21 is installed in the same way as the inside of the frame 28 in the same manner, the vertical frame 22 is installed in the next step.

세로프레임(22)을 설치하기 위한 사전작업으로서, 세로프레임(22)이 장착 위치에 직교브라켓(27), 바람직하기로는 하부브라켓(27a)을 가로프레임(22)에 스냅핏방식으로 장착하여 볼트로 체결한다. 이때, 체결 위치는 콘크리트의 하중 등을 고려하여 가로프레임(21)을 따라 움직이면서 적당한 위치에 체결한다.As a preliminary operation for installing the vertical frame 22, the vertical frame 22 is bolted by snap-fitting the orthogonal bracket 27, preferably the lower bracket 27a, to the horizontal frame 22 at the mounting position. Fasten with At this time, the fastening position is fastened to a suitable position while moving along the horizontal frame 21 in consideration of the load of the concrete.

이어, 각각의 상부브라켓(27b)에 각각 세로프레임(22)을 스냅핏 방식으로 장착하여 볼트로 체결하게 된다. 세로프레임(22)의 길이는 상술한 가로프레임(2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길이를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의 세로프레임(22)은 건축물의 외벽 길이보다 조금 길게 형성하고, 그 하부에 돌출된 세로프레임(22) 상에 작업대(30)를 장착한다.Subsequently, the vertical frames 22 are mounted on the upper brackets 27b in a snap-fit manner to be fastened with bolts. The length of the vertical frame 22 can be extended in the same way as the horizontal frame 21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vertical frame 22 is formed a little longer than the outer wall length of the building, and mounts the work table 30 on the vertical frame 22 protruding below.

여기서도 가로프레임(21)과 마찬가지로 강성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보강판(29)을 덧대어서 볼트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세로프레임(22)은 2쌍이 설치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벽면조립체(17)의 크기와, 세로프레임(22)의 설치 간격에 따라 그 설치 갯수는 달라진다.In this case, as in the horizontal frame 2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iffness complement is necessary, the reinforcing plate 29 may be padded and used as a bolt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n Figure 2, the vertical frame 22 shows an example in which two pairs are installed, the number of the installation depends on the size of the wall assembly 17 and the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vertical frame 22.

이와 같이 완성된 갱폼은 건축물의 외벽을 구성하게 되며, 외벽이 완성되게 되면 상술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내벽을 형성하여 거푸집으로서 이용하게 된다. 물론, 이때의 내벽의 경우는 작업대를 빼고 내벽을 형성하게 된다.The completed gangform forms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when the outer wall is completed, the inner wall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o be used as a formwork. Of course, in the case of the inner wall at this time to form the inner wall with the work table removed.

상술한 바와 같이 어느 한 건축 현장에서 사용된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은, 콘크리트의 양생이 끝나면, 그 역순으로 분리하여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이렇게 분리된 갱폼은 또 다른 건축 현장에 맞도록 그 크기에 따라 재조립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gang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d at any one construction site, after curing of concrete, can be stored separately in the reverse order. Of course, the separated gangform can be reassembled and used according to the size to fit another building site.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appended claims will cover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spirit of the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갱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ront view for demonstrating the conventional structure of a cann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exploded in part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gang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결합 부분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단면도.3b is a partial cross sectional view for showing the engaging portion of the wall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construction gang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르는 길이연장용 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5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ngth extension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세로프레임 장착용 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5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rtical frame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프레임에 보강판이 더 구비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further provided with a reinforcing plate in the horizontal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10', 10a, 10b : 벽체10, 10 ', 10a, 10b: wall

11 : 요부11: main part

12 : 철부12: iron

13 : 고무패킹13: rubber packing

14 : 위치설정용 리브14: rib for position setting

15 : 브라켓15: Bracket

16 : 표시부16 display unit

17 : 벽면조립체17: wall assembly

21 : 가로프레임21: horizontal frame

22 : 세로프레임22: vertical frame

23 : 슬라이드면23: slide surface

24 : 위치조절용 설치구멍24: mounting hole for position adjustment

25 : 길이연장용 브라켓25: length extension bracket

26 : 체결구멍26: fastening hole

27 : 장착브라켓27: mounting bracket

27a : 하부브라켓27a: Lower bracket

27b : 상부브라켓27b: upper bracket

28 : 테두리프레임28: border frame

29 : 보강판29: reinforcement plate

30 : 작업대30: work table

31 : 발판31: scaffolding

32 : 지지대32: support

300 : 콘크리트 구조물300: concrete structure

Claims (15)

서로 조립이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의 벽체(10);Walls 10 of plastic material that can be assembled to each other; 상기 벽체(10)를 이용하여 직사각형 형태로 조립된 벽면조립체(17)의 배면에 장착되는 프레임;A frame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wall assembly 17 assembled in a rectangular shape using the wall 10; 스냅핏 및 나사체결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의 길이를 연장시켜 주는 길이연장용 브라켓(25); 및A length extension bracket 25 extending the length of the frame in a snap fit and screwed manner; And 가로프레임(21)과 세로프레임(22)을 각각 스냅핏과 나사체결 방식으로 연결시켜 직교브라켓(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It comprises a orthogonal bracket (27) by connecting the horizontal frame (21) and the vertical frame (22) in a snap-fit and screwed manner, respectively, 상기 프레임은 상기 벽면조립체(17)의 배면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테두리프레임(28);The frame is a border frame 28 is installed along the rear edge of the wall assembly (17); 상기 벽면조립체(17)의 배면에 등간격으로 장착되는 가로프레임(21) 및;A horizontal frame 21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wall assembly 17 at equal intervals; 상기 가로프레임(21)과 격자 형태가 되도록 2열 등간격으로 장착되는 세로프레임(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The construction gangform is adjustable in siz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ertical frame (22) mounted at equal intervals in two rows so that the horizontal frame (21) and the grid for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벽체(10)는 이웃한 양측 테두리에 요부(11)가 형성되고, 나머지 양측 테두리에는 철부(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The wall 10 is a gangform for adjustable siz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ed portion (11)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neighboring edge, the convex portion (12) is formed on the remaining both sides of the borde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요부(11) 및 철부(12)는 도브테일 방식으로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The recess portion 11 and the iron portion 12 is adjustable in size for the construction gangfor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clined to be removable in a dovetail manne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벽체(10)는 벽면조립체(17)의 밑단에 설치되는 경우, 콘크리트 타설로 인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고무패킹(13)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When the wall 10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wall assembly (17), the size of the building gang foam is adjus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ubber packing 13 is provided to prevent leakage due to concrete pouring.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벽체(10)는 고무패킹(13)의 위쪽에 위치설정용 리브(14)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The wall (10) is adjustable size building gangform,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ing rib 14 is further formed above the rubber packing (13).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벽체(10)는 벽면조립체(17)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경우,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벽면 조립체(17)의 바깥쪽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에 브라켓(15)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When the wall 10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wall assembly 17, the siz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cket 15 is provided at the top to prevent the concrete to be poured out of the wall assembly 17 Adjustable construction gang form.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브라켓(15)은 상부가 바깥쪽으로 경사진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는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The bracket 15 is made of a '┏┛' shape of the top is inclined outward, the bottom is adjustable size construction gangform, characterized in that the marking position of the concrete.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벽체(10)는 알루미늄 재질의 브라인드 리벳으로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The wall (10) is adjustable size building gangform,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to the frame with a blind rivet of aluminum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로프레임(21)과 세로프레임(22)은 양쪽면에 각각 슬라이드면(23)이 절곡 성형되고, 이 슬라이드면(23)에는 등간격으로 위치조절용 설치구멍(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Each of the horizontal frame 21 and the vertical frame 22 is formed by bending the slide surface 23 on both sides, and the slide surface 23 is provided with a position adjusting installation hole 24 at equal intervals. Adjustable construction gang form.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가로프레임(21)과 세로프레임(22)은 하이브리드 포밍가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The horizontal frame 21 and the vertical frame 22 is adjustable size building gangfor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 hybrid forming process. 제 1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가로프레임(21) 및 세로프레임(22)은 일면에 볼트로 장착되는 보강판(29)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 폼.The horizontal frame (21) and the vertical frame (22) is adjustable size building gang for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inforcing plate (29) mounted on one si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길이연장용 브라켓(25)은 상기 가로프레임(21)에 스냅핏 방식으로 감압가능하며, 양측면에는 상기 위치조절용 설치구멍(24)과 겹침가능한 위치에 적어도 4개의 체결구멍(2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The length extension bracket 25 is capable of depressurizing in a snap fit manner to the horizontal frame 21, and at least four fastening holes 26 are formed at positions overlapping the position adjusting installation holes 24 on both sides. Adjustable construction gang form,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직교브라켓(27)은 상기 길이연장용 브라켓(25) 형상의 하부브라켓(27a)과, 그 상면에 수직으로 2개가 설치되며 길이연장용 브라켓(25)과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브라켓(27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The orthogonal brackets 27 are provided with two lower brackets 27a having the shape of the length extension bracket 25, and two vertical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the upper brackets 27b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length extension brackets 25. Adjustable size gangfoa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직교브라켓(27)은 하이브리드 포밍 가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The orthogonal bracket 27 is a gangform for building size adjustab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 hybrid forming process. 제 1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상기 건축용 갱폼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구성되는 작업대(30)를 더 포함하 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The building gangform is adjustable size building gangform,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workbench (30) configur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KR1020070114024A 2007-11-09 2007-11-09 Size-adjustable Gang Form KR1009180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024A KR100918042B1 (en) 2007-11-09 2007-11-09 Size-adjustable Gang 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024A KR100918042B1 (en) 2007-11-09 2007-11-09 Size-adjustable Gang Fo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922A true KR20090047922A (en) 2009-05-13
KR100918042B1 KR100918042B1 (en) 2009-09-18

Family

ID=40857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024A KR100918042B1 (en) 2007-11-09 2007-11-09 Size-adjustable Gang Fo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042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6974A (en) * 2013-12-20 2014-06-18 中国建筑股份有限公司 Two-dimensional size adjustable plastic frame for building template and application method for plastic frame
CN110593562A (en) * 2019-10-18 2019-12-20 天津市东鑫新材料科技有限公司 Steel frame shaping building template system
KR20210131797A (en) * 2020-04-24 2021-11-03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Connecting bracket to connect the climbing system for the lifting of the mould with a gang-form mould
KR20230018147A (en) * 2021-07-29 2023-02-07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Climbing type gangform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704Y1 (en) * 2018-04-27 2021-12-02 한석원 Frame structure capable of rotational move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2617A (en) 1982-01-15 1983-12-27 Harsco Corporation Edge joist
JPH0759845B2 (en) * 1988-01-27 1995-06-28 鹿島建設株式会社 Scaffold connection device for concrete column forming device
DE10358886B4 (en) 2003-12-16 2012-06-06 Peri Gmbh Concrete formwork
KR20060029265A (en) * 2006-03-13 2006-04-05 변오환 Gang for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6974A (en) * 2013-12-20 2014-06-18 中国建筑股份有限公司 Two-dimensional size adjustable plastic frame for building template and application method for plastic frame
CN103866974B (en) * 2013-12-20 2015-12-09 中国建筑股份有限公司 The construction formwork plastic frame that a kind of two-dimensional is adjustable and application process thereof
CN110593562A (en) * 2019-10-18 2019-12-20 天津市东鑫新材料科技有限公司 Steel frame shaping building template system
CN110593562B (en) * 2019-10-18 2024-03-22 天津市东鑫新材料科技有限公司 Steel frame shaping building template system
KR20210131797A (en) * 2020-04-24 2021-11-03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Connecting bracket to connect the climbing system for the lifting of the mould with a gang-form mould
KR20230018147A (en) * 2021-07-29 2023-02-07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Climbing type gangform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8042B1 (en) 200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042B1 (en) Size-adjustable Gang Form
KR101030320B1 (en) Constructing apparatus for structure reinforced exterior and interior panels
KR100824062B1 (en) Panel structure of gang form system for construction
US2007005186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concrete panels
JPWO2006129801A1 (en) Formwork method for interior / exterior material foundation formwork panel and concrete structure
KR100806221B1 (en) Panel form and concrete form assembly using the same
KR101712848B1 (en)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building panel fasteners
KR100788742B1 (en) Coupling structure of dek in narrow space
KR20080001874U (en) A pillar mold
JP6271399B2 (en) Exterior wall panel mounting structure
KR102236827B1 (en) Prefabricated steel assembly for steel composite concrete column with permanent concrete form
KR102007937B1 (en) Prefabricated steel frame assembly with permanent form panel
JP2009144387A (en) Attachment for concrete form
KR200408443Y1 (en) Aluminum panel for constructing concrete wall
EP3249146B1 (en) An installation comprising a fastening device and method
KR100939122B1 (en) A mold for constructing in-corner of concrete building
KR20160003959U (en) T type Fix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Wall Mold using it
KR20110006970U (en) Mould comprising wood plate and steel plate
KR20140130808A (en) The outer wall for easy construction
KR101063630B1 (en) The ceiling closing equipment using a ceiling panel and a frame,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467098B1 (en) A mold for construction
KR200198986Y1 (en) A form for concrete work
KR200441943Y1 (en) A slab form panal
KR200307607Y1 (en) Temporang construction sfuctare for culvating slad
KR200362854Y1 (en) Clamp for supporting a sheeting using in build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