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7070A -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7070A
KR20090047070A KR1020070113059A KR20070113059A KR20090047070A KR 20090047070 A KR20090047070 A KR 20090047070A KR 1020070113059 A KR1020070113059 A KR 1020070113059A KR 20070113059 A KR20070113059 A KR 20070113059A KR 20090047070 A KR20090047070 A KR 20090047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layer
unit
light inciden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민
김재훈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13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7070A/ko
Publication of KR20090047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0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6Lenses, e.g. microlenses or Fresne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5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01L27/14627Micro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백라이트 유닛,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액정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포함한다. 액정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는 백라이트 유닛과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외부 전압의 온오프에 따라서 액정층의 배열 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액정층의 배열 방향에 따라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편광 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하여 상기 2D 영상 또는 상기 3D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상용화가 용이하고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2D-3D 영상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액정 폴리머,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Description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2D-3D Convertible Display}
본 발명은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테그럴 포토그래피(Integral Photography) 기술을 사용하여 2D-3D 영상을 변환시키는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3차원(3D) 디스플레이 기술이 관심을 끌고 있으며, 다양한 3D 디스플레이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3차원(3D) 디스플레이 기술 중 하나인 인테그럴 포토그래피(Integral Photography, 이하 ‘IP') 방식은 별도의 관찰용 안경이 필요없이 원하는 위치에서 입체영상을 자동적으로 얻을 수 있는 진보된 방식이다. IP 방식의 디스플레이는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또는 핀홀 어레이등을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며 공학, 의학, 시뮬레이션등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한편, 현재의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는 고화질 2차원(2D)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가 주류를 이루고 있고, 3D 디스플레이 시장은 아직 충분히 성숙되어 있지 않다. 그 결과, 3D-2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는 2D 디스플레이 에서 3D 디스플레이로 넘어가기 위한 디딤돌 역할을 하고 있으며 3D-2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3D-2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의 3D-2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Optics Express에 발표된 논문 (H. Choi, et. al. "A thin 3D-2D convertible integral imaging system using a pinhole array on a polarizer", , Vol.14, No.12, 5183)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3D-2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BLU)(10), 폴라라이제이션 스위처(Polarization Switcher)(20), PAP(Pinhole Array on a Polarizer) 및 디스플레이 패널(40)를 포함한다.
상기 종래의 3D-2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폴라라이제이션 스위처(20)와 PAP(30)를 이용하여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를 구현한다. 즉, 상기 종래의 3D-2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폴라라이제이션 스위처(20)를 이용하여 백라이트(10)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편광 방향을 조절하여 PAP(30)를 통과시킨다. 상기 종래의 3D-2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백라이트(10)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편광 방향을 조절하여 3D 영상용 점광원(point light source)를 만들어 전면에 투과형(transmissive type) 이미지 형성 디스플레이(40)를 통하여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백라이트(10)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그대로 통과시킴으로써 전면에 투과형 이미지 형성 디스플레이(40)를 통하여 2D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각 3D 모드 및 2D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핀홀 어레이(pinhole array)로 투과되는 광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의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각 3D 모드 및 2D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폴라라이제이션 스위처(20)는 백라이트(10)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편광 방향을 90도 조절할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폴라라이제이션 스위처(20)를 통과한 광의 편광 방향이 PAP(30)의 핀홀 어레이의 편광판(polarizer)의 방향과 직교(orthogonal)하거나 평행(parallel)하게 되도록 조절한다. PAP(30)는 편광판(polarizer)에 다수의 구멍을 만들어 제작한다.
폴라라이제이션 스위처(20)와 PAP(30)의 편광 방향이 직교할 경우 도 2의 3D 모드처럼 광이 핀홀(pinhole) 영역에서만 통과하며 상기 통과된 광을 3D 영상용 점광원으로 사용한다. 반면에, 폴라라이제이션 스위처(20)와 PAP(30)의 편광방향이 일치할 경우는 도 3의 2D 모드처럼 PAP(30)가 투명 필름(transparent film) 역할을 수행하여 PAP(30) 전면에 걸쳐 광이 골고루 투과함으로 2D 영상용 광원으로 사용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모드의 경우 광이 핀홀(pinhole) 영역에서만 통과하며 형성된 3D 영상용 점광원이 전면의 투과형 액정표시장치(40)에 3D 영상을 표시하여 IP(Integral Photography)에 의한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D 모드의 경우 백라이트(10)의 광이 그대로 PAP(30) 전면에 걸쳐 골고루 투과됨으로써 핀홀 어레이의 작용이 없어지므로 일반 LCD와 같은 2D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기술에 따르면, 백라이트(10)로 부터 입사되는 광의 편광을 컨트롤하는 폴라라이제이션 스위처(20)를 수동으로 돌려서 스위칭을 시키도록 동작시킬 경우 상용화가 어렵고, 폴라라이제이션 스위처(20)를 전기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회로를 구비하여 상용화할 경우 상당한 제작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상용화가 용이하고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2D-3D 영상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 2D-3D 영상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2D-3D 영상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백라이트 유닛과, 2D 영상 또는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외부 전압의 온오프에 따라서 액정층의 배열 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액정층의 배열 방향에 따라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편광 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하여 상기 2D 영상 또는 상기 3D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액정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는 상기 외부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 된 광의 편광 방향을 실질적으로 90도 만큼 회전시켜 상기 2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부 전압이 인가된 경우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편광 방향을 그대로 유지하여 상기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액정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외부 전압의 온오프에 따라서 상기 액정층의 배열 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편광 방향을 제어하는 편광 방향 제어부와, 다수의 단위 렌즈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액정층을 통과하여 입사된 광의 편광 방향에 따라 상기 액정층을 통과하여 입사된 광을 상기 다수의 단위 렌즈를 그대로 직진시켜 통과시키거나 상기 다수의 단위 렌즈에서 굴절되도록 하여 통과시키는 초점부와, 상기 편광 방향 제어부와 상기 초점부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 방향 제어부는 상기 외부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액정층을 제1 방향으로 배열시켜 상기 백라이트 유닛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편광 방향을 실질적으로 90˚만큼 회전시켜 상기 초점부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편광 방향 제어부는 상기 외부 전압의 제1 전극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제1 투명 전극층과, 상기 제1 투명 전극층 상에 형성된 제1 배향막과, 상기 외부 전극의 온오프에 따라서 배열 방향이 변경되는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점부는 상기 액정층을 통과하여 입사된 광을 제공받는 다수의 단위 렌즈 구조를 가지는 액정 폴리머와, 상기 액정 폴리머 상에 배치된 제2 배향막과, 상기 제2 배향막상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단위 렌즈의 형상에 상응하는 구조를 가지는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액정 폴리머와 상기 마이크로 렌즈 는 상기 액정층을 통과하여 입사된 광의 편광 방향에 따라 상기 액정층을 통과하여 입사된 광을 굴절없이 그대로 통과시키거나 또는 상기 액정층을 통과하여 입사된 광을 굴절시켜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외부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액정 폴리머에서 느끼는 유효 굴절율이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굴절율과 동일하고, 상기 외부 전압이 인가된 경우 상기 액정 폴리머에서 느끼는 유효 굴절율이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굴절율과 다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가지는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방법은 외부 전압의 인가 여부에 따라서 액정층의 배열 방향을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배열 방향이 조절된 액정층을 통과시키는 단계와, 상기 액정층을 통과한 광의 편광 방향에 따라서 상기 액정층을 통과한 광을 다수의 단위 렌즈를 그대로 직진시켜 통과시켜 2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단위 렌즈에서 굴절되도록 하여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전압의 인가 여부에 따라서 액정층의 배열 방향을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편광 방향을 실질적으로 90도 만큼 회전시켜 상기 제2 방향으로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전압이 인가된 경우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편광 방향을 그대로 유지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층을 통과한 광의 편광 방향에 따라서 상기 액정층을 통과한 광을 다수의 단위 렌즈를 그대로 직진시켜 통과시켜 2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단위 렌즈에서 굴절되도록 하여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액정층을 통과한 광을 상기 다수의 단위 렌즈로 그대로 직진시켜 통과시켜 상기 2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전압이 인가된 경우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액정층을 통과한 광을 상기 다수의 단위 렌즈에서 굴절되도록 하여 상기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스위칭이 가능한 액정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이용하여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를 수행함으로써 상용화가 용이하고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2D-3D 영상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 있다거나 "하부"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7은 3D 모드로 동작시 도 6의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2D 모드로 동작시 도 6의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3D 모드로 동작할 경우 3D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백라이트 유닛(100), 액정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00) 및 디스플레이 패널(30)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100)은 디스플레이 패널(30)의 후면에서 액정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00)를 거쳐서 디스플레이 패널(30)로 광을 조사한다.
액정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00)는 소정의 외부 전압 V를 인가받아 상기 외부 전압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상기 백라이트 유닛(100)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편광 방향을 조절하여 그대로 직진시켜 2D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단위 렌즈별로 굴절이 일어나도록하여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30)은 백라이트 유닛(100)으로부터 제공되어 액정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00)를 통과한 광을 2D 모드 또는 3D 모드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패널(3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패널(30)은 예를 들어 투과형(transmissive type) 액정 표시 패널이 될 수 있으나, 액정 표시 패널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백라이트를 사용하는 수동 표시 소자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라면 다른 디스플레이 패널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00)의 구체적인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액정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00)는 편광 방향 제어부(200a) 및 초점부(200b)를 포함한다.
편광 방향 제어부(200a)는 제1 투명 전극층(223), 제1 배향막(221) 및 액정층(210)을 포함한다. 편광 방향 제어부(200a)는 백라이트 유닛(100)으로부터 광을 제공받아 외부 전압 V의 인가 유무에 따라 액정층(210)의 배열 방향을 제어하여 초점부(200b)로 입사되는 광의 편광 방향을 제어한다. 상기 외부 전압 V은 예를 들어 20 볼트 내지 150 볼트가 될 수 있다. 외부 전압의 크기가 작을 수록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저전력으로 구동이 가능하다.
제1 투명 전극층(223)은 백라이트 유닛(100)으로부터 제공된 광을 투과시키며, 제1 투명 전극층(223)은 상기 외부 전압 V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3D 모드로 동작할 경우 상기 외부 전압 V가 인가된다. 제1 투명 전극층(223)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제1 투명 전극층(223)은 예를 들어 ITO(Indium-Tin-Oxide)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투명한 도전성 물질이라면 반드시 ITO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물질도 가능하다.
제1 배향막(221)은 액정층(210)의 분자들을 정렬시키기 위하여 제1 투명 전극층(223) 상에 형성된다.
액정층(210)은 외부 전압 V의 인가 유무에 따라 배열 방향이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변경된다. 액정층(210)은 예를 들어 TN(Twisted Nematic) 액정 또는 강유전성 액정(Ferro-electric Liquid Crystal; FL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강유전성 액정(FLC)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이스테이블 모드(bistable mode) 또는 엘렉트로클리닉 모드(electroclinic mode)등으로 사용 가능하다. 액정층(210)은 외부 전압 V의 인가 유무에 따라 액정 배열 방향이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변경되는 그 외의 다른 액정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액정층(210)으로 TN 액정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 어 설명한다.
초점부(200b)는 액정 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 LCP)(207), 제2 배향막(205), 마이크로 렌즈(203) 및 제2 투명 전극층(201)를 포함한다.
초점부(200b)는 상기 액정층(210)을 통과하여 입사된 광의 편광 방향에 따라 액정 폴리머(LCP, 207)의 이상광 굴절율(extra-ordinary refractive index) ne, 정상광 굴절율(ordinary refractive index) no의 영향으로 렌즈 역할을 하여 상기 액정층(210)을 통과하여 입사된 광의 초점을 모으기도 하고 퍼지도록 하기도 한다. 초점부(200b)는 상기 액정층(210)을 통과하여 입사된 광의 편광 방향에 따라 액정 폴리머(LCP, 207)의 굴절율과 마이크로 렌즈의 굴절율의 차이를 제어한다.
제2 투명 전극층(201)은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며, 제2 투명 전극층(201)은 상기 외부 전압 V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3D 모드로 동작할 경우 상기 외부 전압 V가 인가된다. 제2 투명 전극층(201)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제2 투명 전극층(201)은 예를 들어 ITO(Indium-Tin-Oxide)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투명한 도전성 물질이라면 반드시 ITO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물질도 가능하다.
마이크로 렌즈(203)는 제2 투명 전극층(201)상에 형성된다. 마이크로 렌즈(203)는 UV(Ultra Violet) 경화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배향막(205)은 액정 폴리머(207) 분자들을 정렬시키기 위하여 마이크로 렌즈(203)상에 형성된다.
액정 폴리머(207)는 제2 배향막(205) 상에 형성되며, 액정층(210)을 통과하여 입사된 광의 편광 방향에 따라 렌즈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수의 렌즈 형상 의 표면을 가진다. 액정 폴리머(207)는 용융 상태에서 결정 상태를 유지하고 성형이 가능한 플라스틱 물질인 액정 폴리머로 이루어진다. 마이크로 렌즈(203)는 액정 폴리머(207)의 렌즈 형상의 표면을 덮는 구조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편광 방향 제어부(200a)는 제1 투명 전극층(223), 제1 배향막(221) 및 액정층(210)을 포함한다. 편광 방향 제어부(200a)는 백라이트 유닛(100)으로부터 광을 제공받아 외부 전압 V의 인가 유무에 따라 액정층(210)의 배열 방향을 제어하여 초점부(200b)로 입사되는 광의 편광 방향을 제어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외부 전압이 제1 투명 전극층(223) 및 제2 투명 전극층(201)에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2D 모드로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외부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편광 방향 제어부(200a)의 액정층(210)의 TN(Twisted Nematic) 액정이 제1 방향으로 배열하여 백라이트 유닛(100)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편광 방향을 90˚만큼 회전시켜 초점부(200b)로 입사시키고, 초점부(200b)는 상기 편광 방향에 대해 액정 폴리머(207)에서 느끼는 유효 굴절율이 UV 경화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렌즈(203)과 같은 굴절율과 동일하게 되어 백라이트 유닛(100)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그대로 직진하여 초점부(200b)를 투과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의 디스플레이 패널(300)를 통하여 영상을 2D 이미지로 볼 수 있다.
반면에, 외부 전압이 제1 투명 전극층(223) 및 제2 투명 전극층(201)에 인가 된 상태에서는 3D 모드로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외부 전압이 인가되면 액정층(210)의 배열 방향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변하여 액정층(210)을 통과한 광의 편광 방향은 백라이트 유닛(100)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편광 방향을 그대로 유지하며 편광 방향 제어부(200a)를 통과하여 초점부(200b)로 입사된다. 이때, 액정 폴리머(207)에서 느끼는 유효 굴절율이 UV 경화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렌즈(203)과 다른 굴절율을 갖게 되어 렌즈 역할을 하게 되어 초점부(200b)를 통과하면서 백라이트 유닛(100)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방향이 바뀌게 되어 단위 렌즈별로 굴절 현상이 생긴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의 디스플레이 패널(300)를 통하여 영상을 3D 이미지로 볼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는 초점부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먼저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투명 전극층(201)이 준비된 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V 경화성 폴리머 물질(202)이 제2 투명 전극층(201) 상에 소정 속도로 소정 시간 동안 스핀 코팅되어 소정 두께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UV 경화성 폴리머 물질(202)이 ITO 전극층 상에 1000 rpm의 속도로 10 초 동안 스핀 코팅되어 UV 경화성 폴리머 물질(202)이 약 18u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파장의 자외선(Ultra Violet)을 소 정 패턴이 형성된 포토 마스크(10)를 통과시켜 소정 시간동안 UV 경화성 폴리머 물질(202)로 조사시킨다. 예를 들어, 자외선의 파장은 365nm가 될 수 있고, 자외선의 소스로 300 와트(W)의 제논 램프파워를 사용할 수 있다. UV 경화성 폴리머 물질(202) 표면을 경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포토 마스크를 제거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5분 동안 추가적으로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폴리머(LCP) 분자들을 정열시키기 위하여 균질(homogeneous) 배향막(205)을 스핀 코팅한 후 롤러(20)를 이용하여 균질(homogeneous) 배향막을 역평행(anti-parallel) 방향으로 러빙하여 균질(homogeneous) 배향막(205)을 형성한다. 그 다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폴리머 물질이 상기 균질 배향막(205) 상에 소정 속도로 소정 시간 동안 스핀 코팅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액정 폴리머 물질이 상기 균질 배향막(205) 상에 3000 rpm의 속도로 30초동안 스핀 코팅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폴리머층(207)이 소정 시간-예를 들어 5분- 동안 소정 온도-예를 들어 섭씨 60도-에서 오븐에서 경화되고 소정 시간 동안 자외선이 조사된다.
상기와 같은 제조 공정으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폴리머(207)의 폭 및 UV 경화성 물질인 마이크로 렌즈(203)의 폭은 각각 6um 및 14um가 될 수 있고,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203)의 직경 및 내부 깊이는 각각 200um 및 4 um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폴리머(207)의 정상광 굴절율(ordinary refractive index) No는 1.529, 이상광 굴절율(extra-ordinary refractive index)은 1.684, UV 경화성 물질인 마이크로 렌즈(203)의 굴절율은 1.56이 될 수 있다.
입사광의 편광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편광 방향 제어부(200a)를 제조하기 위해서 먼저 상기 도 10 내지 도 15와 같은 공정에 의해 제조된 평평한 초점부(200a)상에 드랍 방식(dropping method)에 의해서 등방성 상(isotropic phase)(>섭씨 98 도)에서 강유전성 액정(Ferro-electric Liquid Crystal; FLC) 물질을 채운다. 상기 강유전성(FLC) 물질은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기판과 투명 전극(223)이 코팅된 기판 사이에 갭 스페이서(gap spacer)를 이용하여 끼워넣는다.
상기 편광 방향 제어부(200a) 제조 과정에 대한 설명에서는 액정층(210)으로 강유전성 액정(FLC)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액정층(210)은 TN(Twisted Nematic) 액정 또는 외부 전압 V의 인가 유무에 따라 액정 배열 방향이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변경되는 그 외의 다른 액정도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3D-2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3D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핀홀 어레이(pinhole array)로 투과되는 광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2D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핀홀 어레이(pinhole array)로 투과되는 광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3D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의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2D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3D 모드로 동작시 도 6의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2D 모드로 동작시 도 6의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3D 모드로 동작할 경우 3D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백라이트 유닛 200: 액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200a: 편광 방향 제어부 200b: 초점부
203: 마이크로 렌즈 207: 액정 폴리머
210: 액정층

Claims (10)

  1. 백라이트 유닛;
    2D 영상 또는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외부 전압의 온오프에 따라서 액정층의 배열 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액정층의 배열 방향에 따라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편광 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하여 상기 2D 영상 또는 상기 3D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액정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는
    상기 외부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편광 방향을 실질적으로 90도 만큼 회전시켜 상기 2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부 전압이 인가된 경우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편광 방향을 그대로 유지하여 상기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외부 전압의 온오프에 따라서 상기 액정층의 배열 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편 광 방향을 제어하는 편광 방향 제어부;
    다수의 단위 렌즈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액정층을 통과하여 입사된 광의 편광 방향에 따라 상기 액정층을 통과하여 입사된 광을 상기 다수의 단위 렌즈를 그대로 직진시켜 통과시키거나 상기 다수의 단위 렌즈에서 굴절되도록 하여 통과시키는 초점부; 및
    상기 편광 방향 제어부와 상기 초점부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방향 제어부는
    상기 외부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액정층을 제1 방향으로 배열시켜 상기 백라이트 유닛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편광 방향을 실질적으로 90˚만큼 회전시켜 상기 초점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방향 제어부는
    상기 외부 전압의 제1 전극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제1 투명 전극층;
    상기 제1 투명 전극층 상에 형성된 제1 배향막; 및
    상기 외부 전극의 온오프에 따라서 배열 방향이 변경되는 액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부는
    상기 액정층을 통과하여 입사된 광을 제공받는 다수의 단위 렌즈 구조를 가지는 액정 폴리머;
    상기 액정 폴리머 상에 배치된 제2 배향막;
    상기 제2 배향막상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단위 렌즈의 형상에 상응하는 구조를 가지는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액정 폴리머와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상기 액정층을 통과하여 입사된 광의 편광 방향에 따라 상기 액정층을 통과하여 입사된 광을 굴절없이 그대로 통과시키거나 또는 상기 액정층을 통과하여 입사된 광을 굴절시켜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액정 폴리머에서 느끼는 유효 굴절율이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굴절율과 동일하고, 상기 외부 전압이 인가된 경우 상기 액정 폴리머에서 느끼는 유효 굴절율이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굴절율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
  8.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가지는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방법은,
    외부 전압의 인가 여부에 따라서 액정층의 배열 방향을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조절하는 단계;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배열 방향이 조절된 액정층을 통과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액정층을 통과한 광의 편광 방향에 따라서 상기 액정층을 통과한 광을 다수의 단위 렌즈를 그대로 직진시켜 통과시켜 2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단위 렌즈에서 굴절되도록 하여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압의 인가 여부에 따라서 액정층의 배열 방향을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편광 방향을 실질적으로 90도 만큼 회전시켜 상기 제2 방향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전압이 인가된 경우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편광 방향을 그대로 유지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을 통과한 광의 편광 방향에 따라서 상기 액정층을 통과한 광을 다수의 단위 렌즈를 그대로 직진시켜 통과시켜 2D 영상을 디스플 레이하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단위 렌즈에서 굴절되도록 하여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액정층을 통과한 광을 상기 다수의 단위 렌즈로 그대로 직진시켜 통과시켜 상기 2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전압이 인가된 경우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액정층을 통과한 광을 상기 다수의 단위 렌즈에서 굴절되도록 하여 상기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070113059A 2007-11-07 2007-11-07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090047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059A KR20090047070A (ko) 2007-11-07 2007-11-07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059A KR20090047070A (ko) 2007-11-07 2007-11-07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070A true KR20090047070A (ko) 2009-05-12

Family

ID=40856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059A KR20090047070A (ko) 2007-11-07 2007-11-07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707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54918A (zh) * 2016-07-11 2016-09-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WO2018159922A1 (ko) * 2017-02-28 2018-09-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야각 제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9782496A (zh) * 2017-11-13 2019-05-21 黑芝麻国际控股有限公司 电可调谐的偏振无关的液晶微透镜阵列
CN110275312A (zh) * 2019-07-28 2019-09-24 成都工业学院 基于矩形偏振阵列的集成成像3d显示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54918A (zh) * 2016-07-11 2016-09-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CN105954918B (zh) * 2016-07-11 2019-06-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WO2018159922A1 (ko) * 2017-02-28 2018-09-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야각 제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9782496A (zh) * 2017-11-13 2019-05-21 黑芝麻国际控股有限公司 电可调谐的偏振无关的液晶微透镜阵列
CN109782496B (zh) * 2017-11-13 2022-02-22 黑芝麻智能科技有限公司 电可调谐的偏振无关的液晶微透镜阵列
CN110275312A (zh) * 2019-07-28 2019-09-24 成都工业学院 基于矩形偏振阵列的集成成像3d显示装置
CN110275312B (zh) * 2019-07-28 2024-03-26 成都航空职业技术学院 基于矩形偏振阵列的集成成像3d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0099B2 (ja) 自動立体視表示装置
KR20090047933A (ko) 2d-3d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 2d-3d컨버터블디스플레이 방법 및 2d-3d컨버터블 디스플레이를 위한액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제조 방법
CN109328312B (zh) 主动式透镜结构体及其制造方
TW201239411A (en) Liquid crystal optical element and method of making liquid crystal optical element
KR20140140661A (ko) 편광 의존형 렌즈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Kwon et al. A gradient index liquid crystal microlens array for light-field camera applications
CN103748502B (zh) 滤光片
US11644698B2 (en) Electrically controllable optical element, in particular thin-film cell having an optically active surface profil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TWI481907B (zh) 作為主動式偏光膜的面板,該面板的製造方法,以及具有該面板的三維立體影像可顯示系統
US9091816B2 (en) Method of fabricating patterned retarder
JP6991153B2 (ja) 光学的に等方性の液体からなる電気制御可能な光学素子、ことにレンズ、および液状複合材料を基礎とするその製造方法
KR20090047070A (ko) 2d-3d 컨버터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Zhang et al. Dual-layer electrode-driven liquid crystal lens with electrically tunable focal length and focal plane
KR20080001172A (ko) 렌티큘라 렌즈와 그 액정 배향방법
Ren et al. Flat polymeric microlens array
Kim et al. Fabrication of electrically controllable microlens array using liquid crystals
KR102080488B1 (ko) 액티브 리타더 역할을 하는 패널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입체 영상 구현 시스템
CN103792754B (zh) 基于紫外光扫描光电导材料形成透镜像素的液晶透镜阵列
KR101866193B1 (ko) 이중 초점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Kim et al. Fast switchable and bistable microlens array using ferroelectric liquid crystals
TWI442132B (zh) 相位調變元件、可切換2d/3d的顯示裝置、微透鏡陣列、3d顯示裝置與背光模組
KR101701403B1 (ko) 액정 표시 장치
JP2014056201A (ja) 画像表示装置
Wang et al. Flexible liquid crystal micro-lens arrays for curved integral imaging 2D/3D convertible display
KR101851780B1 (ko) 패턴드 리타더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