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5881A - Lawn mat for greening a slope - Google Patents

Lawn mat for greening a slo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5881A
KR20090045881A KR1020080108642A KR20080108642A KR20090045881A KR 20090045881 A KR20090045881 A KR 20090045881A KR 1020080108642 A KR1020080108642 A KR 1020080108642A KR 20080108642 A KR20080108642 A KR 20080108642A KR 20090045881 A KR20090045881 A KR 20090045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ss
layer
straw
seed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6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85353B1 (en
Inventor
김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티아이조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티아이조경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티아이조경산업
Publication of KR20090045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58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3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Abstract

사면녹화용 잔디매트가 제공된다.A grass mat for slope recording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사면녹화용 잔디매트는 복수 개의 볏짚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지되, 수용성 접착제 및 토양개량제를 포함하는 식생기반재가 하부면에 도포된 볏짚원단층; 상기 볏짚원단층 상에 멀칭되도록 형성된 분해성수지필름층; 및 상기 분해성수지필름층의 상부면에 적층되고, 황마실을 이용하여 망형구조로 제작된 황마매쉬층;을 포함하고, 상기 볏짚원단층의 하부면에는 잔디의 종자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Grass mat for slope gree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plurality of rice straws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the straw straw layer is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vegetation base material containing a water-soluble adhesive and a soil modifier; A decomposable resin film layer formed to be mulched on the straw straw layer; And a jute mash layer lamina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decomposable resin film layer and made of a mesh structure using jute yarn, wherein the seed surface of the grass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raw straw fabric layer.

본 발명에 따르면, 잔디 종자의 지표면 부착률을 향상시켜 잔디 종자의 부패 또는 고사에 의한 유실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토양에 보습력 및 보비력을 부여하기 때문에 발아 속도가 느린 들잔디 종자의 조기 발아까지도 촉진할 수 있어서 우수한 녹화효율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mproving the surface adhesion rate of the grass seed not only prevents the loss of the grass seed due to decay or death, but also imparts moisturizing and stabilizing power to the soil, it is possible to promote early germination of the grass germination seed having a low germination rate. It has the effect of having excellent recording efficiency.

Description

사면녹화용 잔디매트{Lawn mat for greening a slope}Grass mat for greening {Lawn mat for greening a slope}

본 발명은 사면녹화용 잔디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잔디 종자의 지표면 부착률을 향상시켜 잔디 종자의 부패 또는 고사에 의한 유실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토양에 보습력 및 보비력을 부여하기 때문에 발아 속도가 느린 한국 들잔디 종자의 조기 발아까지도 촉진할 수 있어서 우수한 녹화효율을 가지는 사면녹화용 잔디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ss mat for slope greening,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surface adhesion rate of grass seeds to prevent the loss of grass seed due to decay or death, as well as to provide moisturizing and bobbying power to the soil, so the germination rate It is related to a grass mat for slope recording, which can accelerate the early germination of Korean grassgrass seeds.

환경이 인류의 복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부상하면서 오염예방과 정화, 청정기술, 환경복원 등과 관련된 환경산업의 규모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세계 환경시장 규모는 99년에만 4,950억 달러에 이르고 있는데, 이는 세계 자동차 시장규모 1조 370억 달러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것으로 정보통신(8,820억 달러)이나 메모리반도체(1,750억 달러)와 비교해 볼 때 결코 적지 않은 시장이다. As the environment emerges a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human well-being, the size of environmental industries related to pollution prevention and purification, clean technology, and environmental restoration is growing. The global environmental market reached $ 490 billion in 1999 alone, which is about half of the global automotive market of $ 1.37 trillion, compared with telecommunications ($ 888 billion) or memory semiconductor ($ 175 billion). When there is never a small market.

환경 시장 중에서도 최근 전 세계적으로 훼손지의 환경복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환경복원사업 관련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Among the environmental markets, the market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projects is growing rapidly as the interest in environmental restoration of damaged areas is increasing all over the world.

대표적인 환경복원사업으로는, 각종 도로 또는 철도, 하천제방, 터널 입구 등을 시공하는 지역에 존재하는 절토사면(切土斜面)이나 성토사면(盛土斜面)에 대 하여 친환경적인 녹화사업이 실시되고 있다. Representative environmental restoration projects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greening projects for the cut slopes and fill slopes that exist in areas where various roads, railways, river embankments, and tunnel entrances are constructed. .

이러한 사면에 대한 친환경적인 녹화사업은 우수에 의한 침식방지, 지표면 온도변화의 완화, 식물의 뿌리로 표토를 묶어 동상붕락의 억제 및 완화, 미적 효과, 토양오염 방지 등을 목적으로 조경수 또는 잔디 등을 식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Environment-friendly greening projects for these slopes include landscaping water or turf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erosion by rainwater, mitigating surface temperature changes, tying the topsoil with plant roots to suppress and mitigate frostbite collapse, aesthetic effects, and soil pollution. Planting is common.

그 중에서도 잔디는 지표면을 피복하는 지피식물 중에서 잦은 깍기와 답압에도 잘 견디며 재생력이 강한 특성을 지닌 다년생의 초본성 식물이기 때문에 사면 녹화용 식물로 사용상 이점이 있다. Among them, grass is a perennial herbaceous plant that is resistant to frequent mowing and pressing, and has strong regenerative properties.

우리나라의 잔디 식재 방법으로는, 평떼를 이용하는 평떼 식재법과 줄떼를 이용하는 줄떼 식재법 등의 잔디 뗏장 식재공법이 주로 행해지고 있다. 이는 잔디밭의 조성이 필요한 곳에 즉시 옮겨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과정에서 잔디뿌리지대의 생장점이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잔디 뗏장은 뿌리에 토양이 붙어있으므로 필요한 장소로 운반시 적재공간을 많이 점유하고, 무게가 나가는 단점이 있고, 정식하게 되면 뿌리와 토양의 양에 따라 형성된 잔디밭 표면이 고르지 않은 문제가 있다.As a method of planting grass in Korea, grass turf planting methods such as a flat grass planting method using flat grasses and a green grass planting method using grasses are mainly performed.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install and move to the place where the composition of the lawn is necessary, but the disadvantages of damage to the growth point of the grass roots in the process of cutting to a certain size. In addition, the turf turf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occupies a lot of loading space when transported to the necessary place because the soil is attached to the root, and the weight is disadvantageous, and if it is formal, the surface of the lawn form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root and soil is uneven.

이에 따라, 친환경적인 녹화사업을 위하여 실시되고 있는 잔디를 이용한 식생공법 중 시드 스프레이(seed spray)공법이나 네트 또는 매트를 이용한 공법이 개발 및 적용되어 왔다. Accordingly, a seed spray method or a method using a net or a mat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among vegetation methods using grass that are being carried out for an eco-friendly greening business.

우선, 시드스프레이공법은 잔디의 종자 및 배합토를 혼합한 후 직파기를 통해 사면에 살포하여 녹화하는 방법으로 시공이 간편하고, 공사비가 저렴하다. 그러 나, 관수작업 및 강우시에 지표면의 세굴 현상으로 인하여 종자 및 배합토가 쉽게 유실되거나 일부 영역에 집중되기 때문에 건조한 기후에서는 발아율이 저조한 문제가 있다. 또한, 시드스프레이 공법에 의해 파종된 종자 및 사면의 토양의 보온, 보습 및 보비를 위하여 거적이 덮여지기도 하나, 재질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지표면의 세굴과 슬라이딩 발생을 방지하기가 어려워 녹화효율이 극히 저조한 실정이다.First, the seed spraying method is a method of mixing the seeds of the grass and the mixed soil and spraying the slopes through a straightener to green the plant,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low. However, there is a problem of low germination rate in a dry climate because seeds and mixed soils are easily lost or concentrated in some areas due to the scour phenomenon of the surface during watering and rainfall. In addition, although the giants are covered for warming, moisturizing, and keeping the soil of seeds and slopes sown by the seed spraying method, the strength of the material is so low that it is difficult to prevent scouring and sliding of the surface, resulting in extremely low greening efficiency. It is true.

그리고, 각종 네트 또는 매트를 이용한 식생공법의 경우, 종자 및 식생기반재로 이루어진 식생층 및 황마(jute), 코이어(coir) 등의 천연섬유재를 사용하여 그물망(mesh net) 형태로 제작하여 인장강도를 부여한 네트(net)를 포함하여 사면에 피복함으로써, 사면의 표피 세굴 또는 슬라이딩을 방지하고 토사를 억류시킴으로써 사면의 안정화에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네트 또는 매트 내에 종자와 이를 발아시킬 수 있는 양분을 포함하는 식생기반재를 함유하고 있는 네트 또는 매트를 제공함으로써, 절개지 또는 절·성토 사면뿐만 아니라 암반지역의 녹지조성에도 유용하여 식생공법으로서 널리 적용되고 있다. In the case of the vegetation method using various nets or mats, the vegetation layer made of seeds and vegetation base materials, and fabricated in the form of a mesh net using natural fiber materials such as jute and coir By covering the slope including a net to which tensile strength is imparted, it has an excellent advantage in stabilizing the slope by preventing skin scour or sliding of the slope and detaining the soil. In addition, by providing a net or mat containing a vegetation base material containing seeds and nutrients capable of germinating seeds in the net or mat, it is useful not only for incisions or cut and fill slopes, but also for greening of rock areas. It is widely applied.

도 1은 통상의 식생매트(100)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식생매트를 포설하여 시공한 사면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1 illustrate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vegetation mat 100, and FIG. 2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lope in which the vegetation mat of FIG. 1 is installed.

도 1을 참조하면, 통상의 식생매트(100)는 인장강도를 부여하도록 식생매트의 최하단을 이루는 네트(110), 상기 네트(110) 상에 식생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제 1 식생지층(120)이 접착되어 있고, 상기 제 1 식생지층(120) 표면에 종자가 산포되어 점착제 중에 매립되어 있는 종자발아층(130), 상기 종자발아층(130) 표면에 점 착제에 의해 적층되어 있는 제 2 식생지층(140)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다.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vegetation mat 100 includes a net 110 forming a bottom end of a vegetation mat to impart tensile strength, and a first vegetation layer 120 for providing a vegetation environment on the net 110. Is adhered, and the seed germination layer 130 in which seeds are scatter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vegetation layer 120 and embedded in an adhesive, and a second vegetation layer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seed germination layer 130 by an adhesive agent. It has a structure consisting of the ground layer 140.

이러한 통상의 식생매트(100)가 시공되는 사면의 지표면(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하지 않고 불균일한데 반하여 종자가 점착되어 있는 상기 제 1 식생지층(120)은 평평하기 때문에 종자의 지표면 부착률이 낮아서 종자는 발아 및 생육과정에서 시공되는 토사에 뿌리가 토착하지 못하고 유실되어 고사하거나 식생지층 사이에서 부패하기 때문에 다량의 종자를 사용하여도 발아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The surface 200 of the slope on which the conventional vegetation mat 100 is constructed is not flat and non-uniform, as shown in FIG. 2, whereas the first vegetation layer 120 having the seeds adhered to the seeds is flat. Due to the low surface adhesion rate of the seeds, the seed germination efficiency was low even when a large amount of seeds was used because the seed was lost due to indigenous roots lost and lost or decayed between the vegetation layers.

또한, 식생매트(100)와 지표면(200) 사이에 상당량의 공간(60)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 공간 속으로 통풍이 행해지면서 식생매트가 쉽게 건조해지는 문제가 있다. 잔디매트(100)가 건조되면 수분이 증발되기 때문에 식물종자가 발아하지 못하고 고사하게 된다. In addition, since a considerable amount of space 60 exists between the vegetation mat 100 and the ground surface 20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egetation mat is easily dried while ventilation is performed in the space. When the grass mat 100 is dried, the moisture is evaporated, so that the plant seeds do not germinate and die.

한편, 종래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0977 호에서는 코코넛섬유 네트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용 식생매트가 개시되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0977 discloses a vegetation mat for slope recording using a coconut fiber net.

도 3은 상기 종래의 식생매트(300)를 도시한 것이다.3 illustrates the conventional vegetation mat 300.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식생매트(300)는 시공시 표층으로 되는 코코넛섬유네트(310)와 상기 코코넛섬유 네트(310)의 이면에 접착제로 부착되는 종자부착시트(320)로 구성되며, 상기 종자부착시트(320)는 생분해성 종이(321)의 이면에 종자(322)를 접착제로 접착한 것이다. 상기 고안에 따르면, 종자(322)가 부착된 면이 시공 대상면을 향하도록 시공됨에 따라 기존 다량으로 사용되던 종자(322)의 양을 줄일 수 있으며 종자(322)의 발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3, the vegetation mat 300 is composed of a seed fiber attached sheet 320 i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coconut fiber net 310 and the coconut fiber net 310 as an adhesive during construction, the The seed attachment sheet 320 is a seed 322 attached to the back of the biodegradable paper 321 by an adhesive. According to the above design, as the surface to which the seed 322 is attached is constructed to face the construction target surface, the amount of the seed 322 that has been used in a large amount can be reduced, and the germination efficiency of the seed 322 can be increased.

그러나, 상기 식생매트(300)는 코코넛 섬유 네트(310)를 피복함에 따라 시공대상 토양의 토양수분을 보존하기 어렵고, 시공대상 토양에 대한 보온 또는 보비력이 낮기 때문에 종자(322)가 조기 발아하지 못하여 사면의 녹화 속도가 느린 문제가 있다. However, since the vegetation mat 300 covers the coconut fiber net 310, it is difficult to preserve the soil moisture of the soil to be constructed, and the seed 322 does not germinate early due to the low thermal insulation or bobbin power of the soil to be construc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cording speed of the slope is slow.

한편, 국내에서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잔디는 대부분 외국 도입종인데, 국내의 기후 특성에 적응된 종류가 아니기 때문에 잔디 조성후의 세심한 관리가 뒤따르지 못할 경우, 생육이 급속히 쇠퇴하고, 주위 환경과의 부조화를 초래하고 있는 등 여러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grasses commercially used in Korea are foreign introduced species, and since they are not adapted to the domestic climate characteristics, if the careful management after the grass is not followed, the growth rapidly declines, and the environment is inconsistent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re are several problems, such as causing a problem.

이에 반하여, 한국 잔디류는 한국에서 자생하여 자라기 때문에 주위 환경과 조화로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난지형 잔디이나 생태적 적응지가 온대에서 열대에 걸쳐 분포되어 다른 한지형 양잔디 및 다른 난지형 잔디보다도 환경 적응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국내의 기후에 가장 적합한 잔디이다.In contrast, Korean grasses grow naturally in Korea, creating a harmonious environment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warmer turf or ecological adaptation is distributed from temperate to tropical, making it more environmentally compatible than other cold grass and other warm grass. It is the best lawn for the domestic climate.

지금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한국 잔디류에는 한국 들잔디( Zoysia japonica Steud. ), 금잔디( Zoysia matrella ), 비로드잔디( Zoysia tenufolia ), 갯잔디( Zoysia sinica ), 왕잔디( Zoysia macrostachya ) 등 5∼6 종의 잔디가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So far, research has shown that Korean turf contains Korean grass ( Zoysia). japonica Steud. ), Gold grass ( Zoysia matrella , Non-road grass ( Zoysia tenufolia ), Conger grass (Zoysia sinica), wangjandi (Zoysia macrostachya It is reported that 5 to 6 kinds of grasses are distributed.

특히, 국내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잔디인 한국 들잔디( Zoysia japonica Steud. )는 중국 동부, 한국 및 일본이 그 원산지로서, 한지형 잔디에 접근하는 내한성과 타 난지형 잔디가 가지고 있는 내서성을 동시에 가진 유일한 잔디이다. Especially, Korean grass, Zoysia , is the most common grass in Korea. japonica Steud. ) Is originated from eastern China, Korea and Japan, and is the only grass that has both the cold resistance approaching cold grass and the resistance of other Nanji grass.

그리고,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며 병충해에도 잘 견딜 뿐만 아니라 장기 적인 기후 안전성, 자생력 및 내마모성이 적기 때문에 한국의 기후에 가장 적절한 잔디로 알려져 있다. In addition, it grows well in poor soil and withstands pests, and is known as the most suitable lawn for Korea's climate because it has long-term climate safety, self-sustainability, and low wear resistance.

이러한, 한국 들잔디는 국내에서 그 이용 범위가 매우 넓어 주로 절토사면 또는 성토사면, 하천제방, 도로주변, 묘지 등의 피복용으로 사용되고 또한 주택과 공원의 조경용 식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 축구장, 골프장, 야구장 등의 운동장에도 점차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These grasses in Korea have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in Korea, and are mainly used for covering cut slopes, fill slopes, river embankments, roads, graveyards, etc., and are widely used as landscaping plants for houses and parks. In the field of golf, baseball field, etc., the range of use is gradually increasing.

그러나, 한국 들잔디는 느린 발아속도 및 녹화효율이 낮아서 빠른 식생이 요구되는 지역에는 사용이 제한된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Korean grass has a low germination rate and low greening efficiency, so its use is limited in areas where fast vegetation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자의 지표면 부착률을 향상시켜 종자의 유실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토양의 보습력 및 보비력을 향상시켜 종자의 조기 발아를 촉진시킴에 따라 우수한 녹화 효율을 갖는 사면녹화용 잔디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urface adhesion rate of seeds to minimize the loss of seeds, as well as to improve the moisturizing power and preservation of the soil to promote early germination of seeds, so as to have a good greening efficiency To provide a grass mat fo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복수 개의 볏짚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지되, 수용성 접착제 및 토양개량제를 포함하는 식생기반재가 하부면에 도포된 볏짚원단층; 상기 볏짚원단층 상에 멀칭되도록 형성된 분해성수지필름층; 및 상기 분해성수지필름층의 상부면에 적층되고, 황마실을 이용하여 망형구조로 제작된 황마매쉬층;을 포함하고, 상기 볏짚원단층의 하부면에는 잔디의 종자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용 잔디매트를 제공한다. A straw straw layer is made of a plurality of rice straws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the vegetation base material comprising a water-soluble adhesive and a soil improving agent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A decomposable resin film layer formed to be mulched on the straw straw layer; And a jute mesh layer lamin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ecomposable resin film layer and made of a mesh structure using jute yarn, wherein the seed surface of the grass is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traw straw layer. Provide grass mats for greening.

또한, 상기 토양개량제는 목초액, 활성탄, 숯, 근권 미생물제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oil improving agen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ood vinegar, activated carbon, charcoal, rhizosphere microbial agent and mixtures thereof.

그리고, 상기 수용성 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 PVA),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우즈 소디움(carboxymethyl cellulose sodium ; CMC), 폴리비닐 피롤리디논(polyvinyl pyrrolidinone ; PVP),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우즈(hydroxyethyl-cellulose medium ; HEC), 테라콘트롤 또는 산화전분 수용액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soluble adhesive is polyvinyl alcohol (PVA), carboxymethyl cellulose sodium (CMC), polyvinyl pyrrolidinone (PVP), hydroxyethyl cellulose (hydroxyethyl -cellulose medium (HEC), teracontrol or starch oxide aqueous solu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잔디의 종자는 켄터키 블루그래스, 톨 훼스큐, 벤트그라스, 한국 잔디, 버뮤다그래스, 카펫그래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종자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ed of grass may be any one see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Kentucky Bluegrass, Tall Fescue, Ventgrass, Korean Grass, Bermudagrass, Carpetgrass and mixtures thereof.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잔디의 종자는 한국 들잔디일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ed of grass may be Korean grass.

또한, 상기 분해성수지필름층은 생분해성비닐 또는 광분해성비닐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degradable resin film layer may be made of biodegradable vinyl or photodegradable vinyl.

아울러, 상기 분해성수지필름층에는 복수 개의 타공이 형성되되, 상기 분해성수지시트층의 타공율은 20∼35%일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perforations are formed in the degradable resin film layer, the porosity of the degradable resin sheet layer may be 20 to 35%.

한편, 상기 분해성수지필름층에는 복수 개의 타공이 형성되되, 상기 타공의 직경은 5∼7 mm이고, 타공 간의 피치는 20∼40 mm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perforations are formed in the decomposable resin film layer, the diameter of the perforations may be 5 to 7 mm, the pitch between the perforations may be 20 to 40 mm.

더불어, 상기 황마매쉬층은 가로방향으로 사행하고, 상부로부터 하부로 동일한 향사축을 갖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패턴형성줄, 상기 패턴형성줄의 향사부, 배사부 및 길이방향의 중심부를 고정하며 가로방향으로 직행하는 고정줄로 이루어지되, 상기 패턴형성줄의 길이방향의 중심부에는 하부 패턴형성줄의 향사부가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jute mesh layer meander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pattern forming lines arranged to have the same fragrance axis from the top to the bottom, fixing the fragrance portion of the pattern forming line, the sanding portion and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consists of a straight line fixed,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ttern forming line may be a fragrance portion of the lower pattern forming line.

또한,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황마매쉬층의 상부에는 황마로프 화이버를 가로 및 세로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네트 형태로 배치하고 니들 펀칭에 의해 상기 황마로프 화이버가 하부의 볏짚원단층과 결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좋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mor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jute rope fibers on the top of the jute mesh layer horizontally and vertically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rranged in a net form by the needle punching the jute rope fibers of the bottom straw straw layer It is good to be bound with.

본 발명에 따른 사면녹화용 잔디매트는 잔디 종자의 지표면 부착률을 향상시켜 잔디 종자의 부패 또는 고사에 의한 유실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토양에 보습력 및 보비력을 부여하기 때문에 발아 속도가 느린 한국 들잔디 종자의 조기 발아까지도 촉진할 수 있어서 우수한 녹화효율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The grass mat for slope gree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urface adhesion rate of the grass seed, thereby preventing the loss of the grass seed due to decay or death, as well as imparting moisturizing and stabilizing power to the soil. Even germination can be promoted, which has an effect of having excellent greening efficiency.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면녹화용 잔디매트(400)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4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rass mat 400 for slope recor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잔디매트(400)는 볏짚원단층(410), 분해성수지필름층(420), 황마매쉬층(430) 및 잔디의 종자(4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grass ma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aw straw fabric layer 410, a decomposable resin film layer 420, a jute mash layer 430, and a seed 440 of grass.

볏짚원단층(410)은 사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잔디매트(400)의 최하층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볏짚원단층(410)의 하부면에는 식생기반재(미도시)가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식생기반재가 도포된 볏짚원단층(410)의 하부면에는 종자(440)가 부착되어 있다. 이는 잔디매트(400)를 사면에 시공시, 상기 볏짚원단층(410)이 사면의 토양을 향하도록 시공함으로써 볏짚(411)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종자(440)의 토양에의 밀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함이다. The straw straw layer 410 constitutes the lowest layer of the grass mat 400 so as to contact the slope. A vegetation base material (not shown) is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ice straw fabric layer 410, and a seed 440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ice straw fabric layer 410 to which the vegetation base material is applied. This is to strengthen the adhesion of the seed 440 to the soil by using the flexibility of the straw straw 411 by constructing the grass mat 400 on the slope, the straw straw fabric 410 is directed toward the soil of the slope. to be.

따라서, 볏짚(411)의 유연성으로 인하여 사면의 토양과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기 때문에 볏짚원단층(410)의 하부면에 부착된 종자(440)는 사면의 토양에 매립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seed 440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raw straw layer 410 can be buried in the soil of the slope because it can be easily in close contact with the soil of the slope due to the flexibility of the straw (411).

복수 개의 볏짚(411)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볏짚원단층(4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볏짚(411) 및 황마실(412)을 이용하여 직조되되, 상기 볏짚(411)은 상호 평행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되고, 상기 황마실(412)은 상기 복수 개의 볏짚(411)을 교차하도록 직조되어 자리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볏짚원단층(410)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종자(440)의 발아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함이다. A straw straw layer 410 in which a plurality of straws 411 ar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s woven using a straw straw 411 and a jute yarn 412, as shown in FIG. A plurality of dogs may be arrang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jute yarn 412 may be woven to intersect the plurality of rice straws 411 to have a seat shape. This is to ensure sufficient germination space of the seed 440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raw straw layer 410.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면녹화용 잔디매트(400)를 사면에 시공하였을 때, 종자(440)의 지표면 부착률을 향상시켜 착근 효율을 높이게 되므로 종자(440)의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종자의 발아 공간이 충분히 확보됨에 따라 종자(440) 발아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slope greening grass ma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slope, the ground surface adhesion rate of the seed 440 is improved to increase the working efficiency, thereby minimizing the loss of the seed 440, and the seed. As the germination space is sufficiently secured, the seed 440 will improve the germination efficiency.

또한, 볏짚(411)이 갖는 보습 및 보온성으로 종자(440)의 발아를 촉진하고 성장을 도모하며, 사면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여 가뭄을 극복할 수 있다. 그리고, 볏짚원단층(410)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효되어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각종 유기물과 수분을 함유하게 되고, 알칼리성을 갖게 되어 산성화된 토양을 중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토양 내에서 자연스럽게 분해되므로 미관상으로나 환경적으로 무해하다.In addition, the moisturizing and warmth of the straw 411 promotes the germination and growth of the seed 440, and can overcome the drought by suppressing the water evaporation of the slope. And, the straw straw layer 410 is fermented over time to contain various organic matter and moisture necessary for the growth of plants, and have a role of neutralizing the acidified soil, which has a certain period of time, This is naturally harmless in the soil, so it is aesthetically and environmentally harmless.

이러한, 볏짚원단층(410)의 하부면에는 식생기반재(미도시)가 도포되어 있다. 상기 식생기반재는 상기 볏짚원단층(410)의 유연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상기 볏짚원단층(410)의 하부면에만 도포된다. 따라서, 볏짚원단층(410)의 하부면에 존재 하는 공극을 메울 수 있게 되어 상기 볏짚원단층(410)의 하부면에 종자(440)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A vegetation base material (not shown) is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raw straw layer 410. The vegetation base material is applied only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ice straw fabric 410 so as not to impair the flexibility of the rice straw fabric 41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ill the voids presen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raw straw layer 410 can increase the adhesion of the seed 44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traw straw layer 410.

상기 식생기반재는 관수 시 사면에 녹아 내려 사면을 이루는 토양에 흡취될 수 있어 상기 토양을 개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종자(440)의 조기 발아를 촉진하고, 종자(440)가 발아하여 형성된 잔디의 생육에 장기적으로 양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The vegetation base material can be absorbed in the soil forming the slope when watering melts on the slope to serve to improve the soil.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mote early germination of the seed 440, and to supply nutrients to the growth of the grass formed by the seed 440 in the long term.

상기 식생기반재는 사면에 식생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종자(440)의 발아와 생육에 필요한 양분을 공급하는 양분공급원으로서, 수용성 접착체 및 토양개량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사면을 이루는 절, 성토 토양은 산성 토양인데, 산성 토양을 중화시킬 수 있도록 토양개량제를 포함하고, 토양개량제를 상기 볏짚원단층(410)에 부착할 수 있도록 수용성 접착제를 포함한다. The vegetation base material is a nutrient supply source for supplying nutrients necessary for germination and growth of seeds 440 to create a vegetation environment on a slope, and includes a water-soluble adhesive and a soil improving agent. Generally, the section and fill soil forming the slope is an acidic soil, and includes a soil modifier to neutralize the acidic soil, and a water-soluble adhesive to attach the soil modifier to the straw straw layer 410.

수용성 접착제는 안정적으로 상기 볏짚원단층(410)의 공극을 메우고, 관수 시 녹아 내려 토양에 흡취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식생기반재에 포함된다. A water-soluble adhesive is included in the vegetation base material to reliably fill the pores of the straw straw layer 410, and to be absorbed in the soil to melt down during watering.

상기 수용성 접착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 PVA),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우즈 소디움(carboxymethyl cellulose sodium ; CMC), 폴리비닐 피롤리디논(polyvinyl pyrrolidinone ; PVP),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우즈 미디움(hydroxyethyl-cellulose medium ; HEC), 테라콘트롤, 산화전분 수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친환경 및 발아력 개선을 위하여 산화전분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ater-soluble adhesive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commonly used. For example, polyvinyl alcohol (PVA), carboxymethyl cellulose sodium (CMC), polyvinyl pyrrolidinone (PVP), hydroxyethyl cellulose medium (hydroxyethyl- cellulose medium (HEC), terra control, starch oxide aqueous solution, and the like. In order to improve the environment and germina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n aqueous starch oxide.

이러한 수용성 접착제는 상기 식생매트(400)에 관수 시 용이하게 녹아서 토 양에 흡취되어 토양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고, 종자(440)의 발아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Such a water-soluble adhesive may easily melt when watering the vegetation mat 400 to be absorbed by the soil an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bearing capacity of the soil, it may serve to promote the germination of the seed 440.

토양개량제는 산성토양을 중화시키기 위하여 활성탄, 목초액 또는 숯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잔디의 생육 및 유용 토양 미생물의 생육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토양의 부패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병충해 방제에 기여할 수 있다. Soil modifiers may include activated carbon, wood vinegar or charcoal to neutralize acidic soils. This not only promotes the growth of grass and the growth of useful soil microorganisms, but also prevents the decay of the soil and contributes to controlling pests.

또한, 토양개량제는 근권 미생물로 이루어진 미생물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근권 미생물은 잔디의 생장기간 내에 근권에서 안정적으로 정착 및 증식하는 미생물로서, 종자(440)의 표면 또는 토양 내에서 생존하면서 탄수화물과 아미노산이 풍부한 종자(440) 분비물을 이용하여 증식하고, 뿌리 표면에서 생장하는 뿌리를 따라 계속 이동하고 증식하면서 근권의 유해 세균 및 곰팡이의 밀도를 저하시켜 병해를 줄여줌으로써 잔디의 생육을 촉진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soil improving agent may include a microbial agent consisting of rhizosphere microorganisms. The rhizosphere microorganism is a microorganism which stably setstles and proliferates in the rhizosphere within the growth period of grass, and grows on the surface of the seed 440 or in the soil and grows using the secretion of the seed 440 rich in carbohydrates and amino acids and at the root surface. Continued movement and proliferation along the growing roots can reduce the density of harmful bacteria and fungi in the rhizosphere, thereby reducing the disease and thus promoting the growth of grass.

또한, 근권 미생물은 식물 생장을 촉진시키는 물질, 즉,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함으로써, 뿌리에 의한 양분 흡수를 촉진시켜 뿌리털 발육증진, 뿌리 및 줄기의 생장을 촉진하게 된다. 즉, 근권 미생물은 병해 방제에 의한 생육촉진 효과 외에 특수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하여 잔디의 생리를 변화시킴으로써, 병균 침입에 의한 식물체 자기 방어능력을 배가시켜 병해방지 및 생장촉진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rhizosphere microorganisms produce a substance that promotes plant growth, that is, a bioactive substance, thereby promoting nutrient absorption by the roots, thereby promoting root hair growth, root and stem growth. That is, the rhizosphere microorganisms produce special bioactive substances and change the physiology of the grass in addition to the growth promoting effect by controlling the disease, thereby doubling the plant's self-defense ability by invading germs, thereby exerting the disease prevention and growth promoting effect.

근권 미생물로는 슈도모나스, 아조토박터, 바실러스, 라이조푸스 올리고스포러스 등을 들 수 있는데, 상기 근권 미생물들은 근권에서 증식속도가 빠르고 운동성이 있으며 뿌리 분비물을 선호함과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잔디 생장을 촉진시 킬 수 있게 된다. Examples of rhizosphere microorganisms include Pseudomonas, Azotobacter, Bacillus, and Lysopus oligosporus. The rhizosphere microorganisms have a fast growth rate and mobility in the rhizosphere, preferring root secretions, and at the same time,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accelerated.

상기 식생기반재는 유기물, 비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토니, 하수오니, 제지슬러지, 미생물증식촉진제 및 왕겨, 나무껍질 등의 유기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식생의 생장에 장기적으로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The vegetation base material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fertilizers and mixtures thereof. That is, Tony, sewage sludge, paper sludge, microbial growth promoting agent and organic matter such as chaff, bark may be further includ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ly nutrients to the growth of vegetation in the long term.

상술한 바와 같은 식생기반재를 상기 볏짚원단층(410)에 도포함에 따라, 종자의 조기 발아를 유도하고, 생육 시간을 단축시키게 되므로, 사면에 잔디 초지를 신속하게 조성할 수 있게 된다. By applying the vegetation base material as described above to the straw straw layer 410, inducing early germination of seeds and shortening the growth time, it is possible to quickly create grass grass on the slope.

또한, 상기 식생기반재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400)가 사면에 시공되기 전에 종자(440)의 조기 발아를 도모할 수 있어서 종자(440)의 발아 후 형성된 뿌리가 지표면에 원활하게 활착할 수 있기 때문에 종자(440)가 고사하거나 부패하는 것을 차단하여 종자(440)의 손실율을 줄이고, 종자(440)의 발아율을 향상시키게 된다.In addition, due to the vegetation base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omote early germination of the seed 440 before the vegetation ma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slope, so that the root formed after the germination of the seed 440 smoothly sticks to the ground surface. Since the seed 440 is prevented from being killed or decayed, the loss rate of the seed 440 may be reduced, and the germination rate of the seed 440 may be improved.

분해성수지필름층(420)은 상기 볏짚원단층(410)의 상부면을 피복하도록 밀착형성되어 멀칭(mulching)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토양침식방지, 토양수분유지, 지온조절, 잡초 억제, 토양전염성병균방지, 토양오염방지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The decomposable resin film layer 420 is form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straw straw fabric layer 410 to serve as a mulching material. In other words, it prevents soil erosion, soil water retention, geothermal control, weed control, soil infectious germ prevention, soil pollution prevention.

이러한 분해성수지필름층(420)은 광분해성비닐 또는 생분해성비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수분유지와 지온조절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햇빛 또는 토양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하여 물과 이산화탄소 또는 메탄가스로 완전히 분해되는 자재로 서, 환경친화적이기 때문이다. The degradable resin film layer 420 may be made of photodegradable vinyl or biodegradable vinyl. This is because it is not only suitable for maintaining water and controlling temperature but also being environmentally friendly as it is completely decomposed into water and carbon dioxide or methane by microorganisms in sunlight or soil.

상기 분해성비닐필름층(420)에는 종자(440)의 발아공간에 통기성을 부여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타공(4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종자(340)가 발아하고 생육하기 위한 적절한 온도 및 수분을 유지함으로써, 종자(340)의 안정된 발아와 초기 육묘의 안정적인 성장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perforations 421 may be formed in the degradable vinyl film layer 420 to impart breathability to the germination space of the seed 440. This is to ensure stable germination of seed 340 and stable growth of early seedling by maintaining proper temperature and moisture for seed 340 to germinate and grow.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분해성수지필름층(420)은 20∼35%의 타공율을 갖도록 복수 개의 타공(4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해성수지필름층(420)의 타공율이 20% 미만일 경우, 종자(440)의 발아 공간에 과도한 온도 및 수분이 존재하게 되어 종자(440)의 부패를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자(440)가 발아하였을 때, 초기 육모가 길며 연약하게 성장될 수 있고, 35%를 초과할 경우, 풍수해에 대한 저항성이 낮아 분해성수지필름층(420)의 파손을 일으킬 수 있고 발아공간의 함수율이 낮아질 수 있어서, 종자(440)의 발아를 늦출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decomposable resin film layer 420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perforations 421 to have a porosity of 20 to 35%. When the porosity of the decomposable resin film layer 420 is less than 20%, excessive temperature and moisture are present in the germination space of the seed 440, which may cause decay of the seed 440, as well as the seed 440. When germination is long, the initial hair growth can be long and weakly growing, and if it exceeds 35%, the resistance to wind and water damage is low, which may cause breakage of the degradable resin film layer 420 an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germination space may be lowered. , The germination of the seed 440 may be delayed.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타공(421)이 형성된 분해성수지필름층(420)은, 상기 타공(421)의 직경은 5∼7 mm이고, 상기 상호 인접한 타공(421) 간의 피치(pitch)는 20∼40 mm일 수 있다. 상기 분해성수지필름층(420)이 상기 범위의 타공(421)의 직경과 타공(421) 간의 피치를 가질 경우, 토양의 수분증발을 차단함과 아울러 통기성이 향상되어 종자(440)의 부패를 막고, 종자(440) 발아 공간의 온도와 습도를 적정하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풍수해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 분해성수지필름층(420)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으며, 종자(440)의 발아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In the degradable resin film layer 420 having the plurality of perforations 421, the diameter of the perforations 421 is 5 to 7 mm, and the pitch between the adjacent perforations 421 is 20 to 40. may be mm. When the decomposable resin film layer 420 has a pitch between the diameter of the perforated 421 and the perforated 421 in the above range, the moisture is prevented from evaporating in the soil and the air permeability is improved to prevent the rot of the seed 440. In addition, the seed 440 germinate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germination space appropriately, and has high resistance to wind and water damage to suppress breakage of the degradable resin film layer 420, and the germination space of the seed 440 may be sufficiently secured. have.

황마매쉬(mesh)층(430)은 본 발명에 따른 잔디매트(400)의 최상층, 즉, 표층 을 이룬다. The jute mesh layer 430 forms the top layer, that is, the surface layer of the grass ma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황마매쉬층(330)이 잔디매트(400)의 표층을 이룸에 따라 사면의 토양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분해성수지필름층(420)의 분해 시에도 풍수해에 의한 날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s the jute mesh layer 330 forms the surface layer of the grass mat 400, it is possible to stably fix the soil of the slope,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flying by the wind and water damage during decomposition of the degradable resin film layer 420. It becomes possible.

황마매쉬층(430)을 이루는 황마매쉬층은 황마실을 이용하여 제작된 망형구조를 가지는 네트(net)이다. 상기 황마매쉬층(430)을 이루는 네트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황마실을 이용하여 제작한 네트이면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다. 즉, 상기 황마매쉬층(430)의 구조 또는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하게 황마매쉬층(430)의 구조 또는 형상을 변형할 수 있다. The jute mesh layer constituting the jute mesh layer 430 is a net having a mesh structure fabricated using the jute thread. The net constituting the jute mesh layer 430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e net is manufactured using a jute yarn that is commonly used. That i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tructure or shape of the jute mash layer 430, the structure or shape of the jute mash layer 430 may be variously modifi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마매쉬층(430)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상기 도 5의 고정줄(435)의 다른 형상을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상기 도 5의 고정줄(436)의 또 다른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5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the jute mash layer 4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llustrates another shape of the fixing string 435 of FIG. 5, and FIG. 7 is the FIG. 5. Figure 4 shows another shape of the fixing line 436.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황마매쉬층(430)은 가로방향으로 사행형상을 가지는 패턴형성줄(431∼433)과 상기 패턴형성줄(431∼433)의 향사부, 배사부 및 길이방향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측부를 고정하며 직행하는 형태의 고정줄(434∼436)로 이루어진다. 상기 패턴형성줄(431∼433)과 상기 고정줄(434∼436)이 직조됨에 따라 망형구조를 가질 수 있다. 5, 6, and 7, the jute mash layer 430 includes a pattern forming line 431 to 433 having a meandering shap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fragrance portion and an injecting portion of the pattern forming line 431 to 433. And fixed strings 434 to 436 that straighten the sid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the pattern forming lines 431 to 433 and the fixing lines 434 to 436 are woven, they may have a mesh structure.

구체적으로, 상기 패턴형성줄(431∼433)은 가로방향으로 사행형상을 가지고 진행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사부, 배사부 및 측부를 가지고,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동일한 향사축을 가지고 복수 개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부 패턴형성 줄(431)의 길이방향의 중심부에는 하부 패턴형성줄(432)의 향사부가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측부는 2개의 황마실이 겹쳐지게 되므로 황마매쉬층(430)의 인장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since the pattern forming lines 431 to 433 have a meandering shap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illustrated in FIG. 5, the plurality of pattern forming lines 431 to 433 have the same fragrance axi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s placed. The fragrance part of the lower pattern forming line 432 is position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pattern forming line 4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fore, since the two jute yarns overlap, the tensile strength of the jute mash layer 430 may be increased.

상기 고정줄(43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턴형성(431∼433)줄의 향사부, 배사부및 길이방향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측부를 각각 교번하면서 가로방향으로 직행하여 상기 패턴형성줄(431∼433)을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fixing line 434 alternates the sid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fragrance portion, the radiating portion, and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ttern forming lines 431 to 433, and then goes straigh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may be formed to fix the forming lines (431 ~ 433).

그러나, 상기 고정줄(434∼436)의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줄(435)은 상기 패턴형성줄(431∼433)의 향사부, 배사부 및 길이방향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측부를 한 단위로 하여 묶음 다음 가로방향으로 직행하여 다음 단위를 연결하여 묶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줄(435)은 도 6에 도시된 패턴형성줄(431∼433) 중에서 중심 패턴형성줄(432)의 길이방향의 중심부를 직행하도록 진행되되, 최상부 패턴형성줄(431)의 배사부, 상기 최하부 패턴형성줄(433)의 향사부가 한 단위로 묶여지게 되고, 가로방향으로 직행하며 다음 단위를 연결하게 된다. 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hape of the fixing strings 434 to 436, as shown in FIG. 6, the fixing string 435 is a fragrance portion of the pattern forming strings 431 to 433. The sid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ear end may be formed to be bundled by connecting the next unit by going straigh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fixing line 435 proceeds to go straight through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pattern forming line 432 among the pattern forming lines 431 to 433 illustrated in FIG. The yarn portion, the fragrance portion of the lowermost pattern forming line 433 is bundled in one unit, go straigh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connect the next unit.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줄(435, 436)은 황마실의 결속력을 강화시켜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고정줄(435)을 기본으로 하고, 상기 고정줄을 교번하여 통과시키는 고정줄(436)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fixing cords 435 and 436 are based on the fixing string 435 shown in FIG. 6 so as to be firmly fixed by strengthening the binding force of the jute yarn. Of course, i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fixing line 436 to alternately pass.

이러한 황마매쉬층(430)이 잔디매트(400)에 구비됨에 따라, 천연소재인 황마를 재료로 하였기 때문에 분해가 용이하고, 자체의 색이 조경에 적합하여 환경친화 적이고 미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종자(440)의 균일한 발아공간을 확보하고, 잔디매트의 인장강도를 높여주어 토양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풍수해로부터의 토양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토양의 세굴 또는 침식을 차단하게 된다. As the jute mesh layer 430 is provided on the grass mat 400, since the jute is made of natural material, it is easy to decompose, and its color is suitable for landscaping, thereby being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generating aesthetic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uniform germination space of the seed 440, increase the tensile strength of the grass mat to increase the soil support.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soil from the feng shui sea to block the scour or erosion of the soil.

따라서, 종자(440)가 발아하여 성장하는 기간 동안은 시공대상 토양의 토심이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단시간 내에 지반의 안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견고하고 밀도 높은 잔디 초지를 조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soil depth of the construction target soil is maintained as it is during the germination and growth of the seed 440, it is possible to implement stability of the ground within a short time, and contribute to forming a firm and dense grass grassland.

상기 종자(440)는 상기 식생기반재가 도포된 볏짚원단층(410)의 하부면에 부착된다. The seed 440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raw straw layer 410 to which the vegetation base material is applied.

상기 종자(440)는 켄터키 블루그래스, 톨 훼스큐, 벤트그라스, 한국 잔디, 버뮤다그래스, 카펫그래스 등과 같은 잔디류의 종자를 이용할 수 있다. The seed 440 may be a seed of turf, such as Kentucky Bluegrass, Tall Fescue, Ventgrass, Korean grass, Bermuda grass, Carpetgrass, and the like.

바람직하게는, 생태학적 및 미적으로 조화롭고 시공비의 절감을 위하여 한국 잔디 중에서 한국에서 자생종으로 분포율이 높은 한국 들잔디( Zoysia japonica Steud. )를 이용한다. 상기 한국 들잔디는 느린 발아 속도와 낮은 녹화 효율의 단점이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잔디매트(400)로 인하여 한국 들잔디 종자(440)의 조기 발아를 도모하므로 우수한 녹화 효율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Preferably, the Korean grass turf ( Zoysia) has a high distribution rate among native grasses in Korea in order to reduce ecology and aesthetics and to reduce construction costs. japonica Steud. ). The Korean grass has disadvantages of slow germination speed and low greening efficiency, but as described above, the grass ma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motes early germination of the Korean grassgrass seed 440 so as to implement excellent greening efficiency. do.

상기 종자(440)의 부착은 상기 식생기반재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수용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친환경 및 발아력 개선을 위하여 산화전분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종자(440)의 부착을 위한 접착제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ed 440 may be attached using a water-soluble adhesive as described above in the vegetation base material,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n aqueous starch oxide solution for improving the environment and germination, but for the attachment of the seed 44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dhesive.

상기 종자(440)는 상기 수용성 접착제와 혼합되어 상기 볏짚원단층(410)의 하부면에 도포될 수 있다. The seed 440 may be mixed with the water-soluble adhesive and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ice straw fabric layer 41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면녹화용 잔디매트(400)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여 시공성이 우수하다. 일체로 형성된 잔디매트(400)는 상기 볏짚원단층(410), 분해성수지필름층(420) 및 황마매쉬층(430)이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여 결합되는 것을 기반으로 상술하였지만, 구현자의 실시 형태 및 생산 공정 등에 따라 니들 펀칭에 의해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황마매쉬층(430)의 최상부에 황마로프 화이버(미도시)를 가로 및 세로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하고 니들펀칭에 의해 상기 황마로프 화이버가 최하부의 볏짚원단층과 결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종자가 발아할 때에, 상기 접착제에 의해 발아공간이 폐색될 수 있는데 비해, 이처럼 니들 펀칭에 의해 결착시키는 경우에는 이러한 단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좀 더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상기 황마로프 화이버란 황마사를 겹겹이 쪼개어 가느다란 실형태로 만든 실다발을 의미하며, 내구성 및 니들펀칭에 의한 결착력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grass mat 400 for slope reco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formed, and thus easy to transport and install, and thus excellent construction property. The grass mat 400 formed integrally has been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straw straw fabric layer 410, the decomposable resin film layer 420, and the jute mesh layer 430 bonded to each other by an adhesive as described above. Needless to say, it may be combined by needle punch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implementer and production process. That is, jute rope fibers (not shown) are arranged on the top of the jute mesh layer 43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part from each other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o allow the jute rope fibers to be bound to the bottom straw straw layer by needle punching. This is because when using the adhesive, the germination space can be occluded by the adhesive when the seeds germinate, whereas in the case of binding by needle punching, this disadvantage can be avoided and it is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There is this. The jute rope fiber refers to a yarn bundle made of a thin thread by splitting jute yarn in layers, and has an advantage of excellent durability and binding force due to needle punching.

한편, 이처럼 니들펀칭에 의해 결착시키는 경우에는 볏짚원단층의 최하부에만 종자를 부착시키기 위한 수용성 접착제를 사용하면 되고 나머지 층들은 최상부의 황마로프 화이버에 의해 결착되며, 종자는 상기 니들펀칭 공정 이후에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binding by needle punching, water-soluble adhesive for attaching seeds to only the bottom of the straw straw layer may be used, and the remaining layers are bound by the top jute rope fiber, and the seed is attached after the needle punching process. It is preferable to make it.

녹화공사 시, 상기 잔디매트(400) 중에서 종자(440)가 부착된 볏짚원단 층(310)의 하부면이 시공대상 사면을 향하도록 한 다음, 앵커핀 또는 철판팩 등의 결속지지대를 이용하여 사면에 부착시키게 된다. During the greening work, the lower surface of the straw straw fabric layer 310 to which the seed 440 is attached from the grass mat 400 is directed toward the slope to be constructed, and then sloped using a binding support such as an anchor pin or an iron plate pack. Will be attached to the

그러면, 볏짚원단층(410)과 황마매쉬층(430)에 의해 형상유지 강도가 강화되므로 잔디 초지가 형성되기까지 사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Then, since the shape retaining strength is enhanced by the straw straw layer 410 and the jute mesh layer 430,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slope until the grass paper is formed.

그리고, 녹화를 위해 볏짚원단층(410)의 하부면에 부착된 잔디의 종자(440)가 시공 대상 사면에 효과적으로 매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잔디매트(400)의 우수한 보수력 및 보비력에 의하여 종자(440)의 조기 발아를 도모하여 시공 대상 사면에 착근 효율을 높이기 때문에 뿌리의 활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In addition, not only the seed 440 of the gras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traw straw layer 410 for greening can be effectively buried in the construction target slope, but also by the excellent water retention and bobbin power of the grass mat 400. Promotes early germination of 440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rooting on the slope to be constructed, thereby smoothly rooting.

또한, 잔디매트(400)를 구성하고 있는 재료가 갖는 보습력, 보비력 및 토양개량력으로 인하여 종자(440)의 발아 기간을 단축시키고, 지속적으로 토양에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우수한 잔디 초지의 조성 효율, 즉, 녹화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moisturizing power, the auxiliary power and the soil improvement power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grass mat 400 shortens the germination period of the seed 440,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supply nutrients to the soil, the composition of excellent grass grass Efficiency, that is, recording efficiency can be obtained.

도 8에는 한국잔디를 이용한 종래의 잔디매트(좌측 및 우측)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잔디매트(가운데)를 사면에 설치하고 2개월이 경과된 이후의 비교사진을 도시하였다. 종래의 잔디매트의 경우에는 종자가 토양과 직접 접촉하지 못하고 보습력 및 보온력이 떨어지므로 생육상태가 좋지 않음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잔디매트를 시공한 경우에는 생육상태가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8 shows a comparison picture of a conventional grass mat (left and right) using Korean grass and a grass mat (middl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a slope after two months.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grass mat, the seed does not com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oil, and the moisture retention and heat retention are low, whereas the growth state is not good, when the grass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the growth state is very excellent.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 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통상의 식생매트의 분해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vegetation mat.

도 2는 상기 도 1의 식생매트를 포설하여 시공한 사면의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lope in which the vegetation mat of FIG. 1 is installed.

도 3은 종래의 식생매트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3 shows a conventional vegetation ma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잔디매트의 분해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rass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상기 도 4의 황마매쉬층을 도시한 것이다.FIG. 5 illustrates the jute mash layer of FIG. 4.

도 6은 상기 도 5의 고정줄의 다른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FIG. 6 illustrates another shape of the fixing string of FIG. 5.

도 7은 상기 도 5의 고정줄의 또 다른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FIG. 7 illustrates another shape of the fixing string of FIG. 5.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60 : 공간 100 : 통상의 식생매트60: space 100: normal vegetation mat

110 : 네트 120 : 제 1 식생지층110: net 120: first vegetation layer

130 ; 종자발아층 140 : 제 2 식생지층130; Seed germination layer 140: Second vegetation layer

200 : 사면 300 : 종래의 식생매트200: slope 300: conventional vegetation mat

310 : 코코넛 섬유 네트 320 : 종자부착시트310: coconut fiber net 320: seed attachment sheet

321 : 생분해성 종이 322 : 종자321 biodegradable paper 322 seed

400 : 잔디매트 410 : 볏짚원단층400: grass mat 410: straw straw fabric

411 : 볏짚 412 : 황마실411: straw 412: jute yarn

420 : 분해성수지필름층 421 : 타공420: degradable resin film layer 421: perforated

430 : 황마매쉬층 431∼433 : 패턴형성줄430: jute mash layer 431 to 433: pattern forming line

434∼436 : 고정줄 440 : 잔디의 종자434-436: Fixed line 440: Grass seed

Claims (10)

복수 개의 볏짚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지되, 수용성 접착제 및 토양개량제를 포함하는 식생기반재가 하부면에 도포된 볏짚원단층;A straw straw layer is made of a plurality of rice straws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the vegetation base material comprising a water-soluble adhesive and a soil improving agent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상기 볏짚원단층 상에 멀칭되도록 형성된 분해성수지필름층; 및 A decomposable resin film layer formed to be mulched on the straw straw layer; And 상기 분해성수지필름층의 상부면에 적층되고, 황마실을 이용하여 망형구조로 제작된 황마매쉬층;을 포함하고, And a jute mesh layer lamin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ecomposable resin film layer and manufactured in a mesh structure using jute yarn. 상기 볏짚원단층의 하부면에는 잔디의 종자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용 잔디매트. Slope greening grass ma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ed of the grass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traw straw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토양개량제는 목초액, 활성탄, 숯, 근권 미생물제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용 잔디매트.The soil improving agent is a grass mat for slope greening,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ood vinegar, activated carbon, charcoal, rhizosphere microbial agent and mixtures thereof.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용성 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 PVA),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우즈 소디움(carboxymethyl cellulose sodium ; CMC), 폴리비닐 피롤리디논(polyvinyl pyrrolidinone ; PVP),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우즈(hydroxyethyl-cellulose medium ; HEC), 테라콘트롤 또는 산화전분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용 잔디매트.The water-soluble adhesive may be polyvinyl alcohol (PVA), carboxymethyl cellulose sodium (CMC), polyvinyl pyrrolidinone (PVP), hydroxyethyl cellulose (hydroxyethyl-cellulose medium; HEC), terra control or grass mat for slope gree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aqueous solution of starch oxi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잔디의 종자는 켄터키 블루그래스, 톨 훼스큐, 벤트그라스, 한국 잔디, 버뮤다그래스, 카펫그래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용 잔디매트.The grass seed is a grass mat for slope recording,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Kentucky Bluegrass, Tall Fescue, Ventgrass, Korean grass, Bermuda grass, carpet grass and mixtures thereof.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잔디의 종자는 한국 들잔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용 잔디매트.The grass seed is a grass mat for slope recor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grass of Kore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분해성수지필름층은 생분해성비닐 또는 광분해성비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용 잔디매트.The degradable resin film layer is a grass mat for slope recording,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biodegradable vinyl or photodegradable viny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분해성수지필름층에는 복수 개의 타공이 형성되되, 상기 분해성수지시트층의 타공율은 20∼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용 잔디매트.A plurality of perforations are formed in the decomposable resin film layer, the porosity of the decomposable resin sheet layer is 20 to 35%, the grass mat for slope recording.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분해성수지필름층에는 복수 개의 타공이 형성되되, 상기 타공의 직경은 5∼7 mm이고, 타공 간의 피치는 20∼4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용 잔디매트.A plurality of perforations are formed in the decomposable resin film layer, wherein the perforations have a diameter of 5 to 7 mm, and a pitch between the perforations is 20 to 40 m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황마매쉬층은 가로방향으로 사행하고, 상부로부터 하부로 동일한 향사축을 갖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패턴형성줄, 상기 패턴형성줄의 향사부, 배사부 및 길이방향의 중심부를 고정하며 가로방향으로 직행하는 고정줄로 이루어지되, 상기 패턴형성줄의 길이방향의 중심부에는 하부 패턴형성줄의 향사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용 잔디매트. The jute mesh layer meander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ixes the plurality of pattern forming lines arranged to have the same fragrance axis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fragrance portions of the pattern forming lines, the insulator and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go straigh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made of a fixed line, the grass mat for slope recor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grance portion of the lower pattern forming line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ttern forming lin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황마매쉬층의 상부에는 황마로프 화이버를 가로 및 세로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네트 형태로 배치하고 니들 펀칭에 의해 상기 황마로프 화이버가 하부의 볏짚원단층과 결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용 잔디매트.Jute rope fibers are spac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t the top of the jute mesh layer, and are arranged in a net shape, and the jute rope fibers are bound to the straw straw fabric layer by needle punching. Grass mat.
KR1020080108642A 2007-11-02 2008-11-03 Lawn mat for greening a slope KR10108535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11801 2007-11-02
KR1020070111801 2007-1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881A true KR20090045881A (en) 2009-05-08
KR101085353B1 KR101085353B1 (en) 2011-11-22

Family

ID=40855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642A KR101085353B1 (en) 2007-11-02 2008-11-03 Lawn mat for greening a slo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35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661B1 (en) * 2011-01-12 2011-06-30 주식회사 에코탑 Polylactic acid(pla) using vegetation matrix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465B1 (en) * 2012-09-28 2013-04-16 남해군 A method for growing roll lawm of treasure island using garlic by-product
CN103340072B (en) * 2013-06-20 2015-05-20 四川新荷花中药饮片股份有限公司 Fritillaria cirrhosa cultivating method free of weeding
CN104542220B (en) * 2015-01-21 2017-08-18 深圳市铁汉生态环境股份有限公司 A kind of side slope reparation stereo plant carpet and side slope restorative procedure
KR101670009B1 (en) 2015-12-24 2016-10-27 김병구 Vegitation Mat for Preventing Overgrowth with Weed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1870137B1 (en) * 2017-10-25 2018-07-19 영원산업개발 주식회사 A Method For Slope Reinforcement and Vegetation Using Eco-friendly Soil Bag
KR101870138B1 (en) * 2017-10-25 2018-06-25 영원산업개발 주식회사 Vegetation Mat Containing Spore-forming Soil Microorganism Coated Seed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125B1 (en) 1998-07-07 2000-12-15 김홍근 A method of preventing loss of cutting the ground used by cotton hair net work
KR100618279B1 (en) 2004-01-28 2006-09-01 주식회사현우그린 Plants Mat for Botanical Environment on Slope
KR200382114Y1 (en) * 2005-01-21 2005-04-18 김연술 mat for landscape architecture
KR200426588Y1 (en) 2006-07-03 2006-09-13 나성엽 Seed net for germination of lawn gras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661B1 (en) * 2011-01-12 2011-06-30 주식회사 에코탑 Polylactic acid(pla) using vegetation matri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5353B1 (en) 201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353B1 (en) Lawn mat for greening a slope
US6658790B2 (en) Method of propagation and product produced thereby
KR100714674B1 (en) String, rope and mats containing seeds
KR101263091B1 (en) Coconut vegetation Mat
CN101692769A (en) Grass blanket with soil
CN104542220A (en) Plant-growing meshwork carpet for slope restoration and slope restoration method
CN1926945A (en) Method for saline-alkali land vegetation recovery by using apocynum root segment for breeding
CN110485441A (en) It repairs with leaching net formula ecological slope protec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of sowing grass seeds by duster in mine
CN202396194U (en) Vegetation blanket
KR100876008B1 (en) Roof recording equipment by carpet type natural skin plants
CN104429734A (en) Anti-freezing and heat preserving method for greening trees in northeast China
CN102177799A (en) Method for culturing soil-free lawn in substrate-free mode
CA3023825A1 (en) Soil-covering film, the use of a soil-covering film to protect crops against weeds, and a method for the protection of crops against weeds
KR101961569B1 (en) Lawn sprouting mat and greening work using the same
KR100717545B1 (en) A soilless lawn for growth fabric
JP4096121B2 (en) Seedling piece for greening
JP4965172B2 (en) Seedling production method of the genus Ryunoge or Yablan and ground cover planting method using the method
KR200457593Y1 (en) Environmentally-friendly type vegetation-mat with bio-degradable
KR20090084105A (en) The mold soil mixture&#39;s seed line fixing sheet and that manufacturing method
KR100580927B1 (en) Method manufacturing vegetation mat using of porous film
CN114128556A (en) Growth be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lope repairing method
JP2004201632A (en) Soil for roof greening, facility for roof greening and roof greening method
KR200386677Y1 (en) Environmental mat for plant
KR102361652B1 (en) Vegetation mats for areas affected by snow remover
CN103583104A (en) Method for fast building biology movable sand-protecting b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