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4666A -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등급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등급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4666A
KR20090044666A KR1020070110864A KR20070110864A KR20090044666A KR 20090044666 A KR20090044666 A KR 20090044666A KR 1020070110864 A KR1020070110864 A KR 1020070110864A KR 20070110864 A KR20070110864 A KR 20070110864A KR 20090044666 A KR20090044666 A KR 20090044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ating
rrt
detailed information
detai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0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4666A/ko
Publication of KR20090044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6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7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accumul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 H04H60/42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for identifying broadcast 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RRT(Rating Region Table)를 이용한 등급 관련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PSIP 내에 포함된 RRT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방송신호의 등급을 판단하고, 상기 RRT(Rating Region Table) 정보 내에 포함된 rating_value_text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판단된 등급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공 범위를 등급별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등급별로 상세한 내용에 포함된 불건전한 단어 혹은 불건전한 내용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등급 정보 제공 방법은 등급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가 방송물의 등급을 정확하게 이해하여 효과적인 등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며, 상기 등급별로 상세한 내용의 제공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등급별 상세한 내용에 포함된 불건전한 단어 혹은 불건전한 내용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RRT, 상세정보 제공 범위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등급정보 제공 방법{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rating information provide method}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RRT(Rating Region Table)를 이용한 등급 관련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소정의 압축 알고리즘,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Hybrid) 부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압축 전송하고, 압축 전송되어 오는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하여, 시청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한편,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데이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 부호화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고, 그 외에도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동작을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 데이터가 포함된다.
즉,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는 크게 2가지로 분류되는데, 프로그램 정보와, 그리고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 정보는, 예를 들어 가입자에게 방송될 목적으로 방송사가 제공하는 TV 프로그램을 의미하는 것으로,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그리고 캡션 데이터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PSIP 정보는, 각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의 정상적인 수신을 위해 필요로 하는 각 채널의 변조 방식, 캐리어 주파수, 그리고 반송파 채널에 실려 전송되어 오는 패킷 스트림으로부터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를 역다중화 하기 위한 패킷 ID(IDentification) 정보와, 프로그램 안내 정보(프로그램 제목, 프로그램의 시작시간, 간단한 부가 설명 등을 포함), 캡션 서비스 유무, 프로그램 등급(rating), 현재시간 정보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소정의 디지털 방송 채널이 선택되면, 해당 방송 채널에 동조된 후, 패킷 스트림으로부터 PSIP 정보를 분리하여,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PSIP 정보를 이용하여,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를 역다중화 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PSIP 정보에 포함된 각종 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TV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간단한 부가 정보, 캡션 서비스 유무, 프로그램 등급(rating), 그리고 TV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schedule)을 안내하는 서비스를 수행한다.
특히,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표준안에 따라, 디지털 방송 신호에 삽입되어 전송되는 PSIP 정보 테이블 중에는 RRT(Rating Region Table) 정보가 포함되는데, 상기 RRT 정보에는 RS(Rating System)에서 사용하는 지역 코드, 지역의 이름, 해당지역에서 사용되는 RS 갯수, 각 RS의 이름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RRT는, 다양한 지리적인 위치(multiple geographical regions)에 대응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등급(rating)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테이블이다.
예를 들어, 미국 지역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대하여, 만14세 이상의 사용자만 시청할 수 있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하여, 블록킹(blocking)을 설정할 경우, 만14세 이상의 사용자만 시청할 수 있는 등급의 방송 프로그램은 화면에 출력되지 않는다.
즉, 종래에는 사용자가 등급(Rating)을 설정하면,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에서 RRT(Rating Region Table)의 Rating Resiom, Rating Value 등을 파싱(Parsing) 처리하고, 해당 Rating value에 따라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출력을 제한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등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Rating value의 축약적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정보만을 표시할 뿐, Full name 정보는 별도로 표시해주지 않는다.
즉, 기존에는 고정된 RRT를 이용했기 때문에 각 등급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없었고, 상기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더라도 사용자에 따라(유아, 청소년)에 따라 상기 상세한 정보에 들어있는 불건전한 단어 혹은 내용들을 보여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등급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
하지만, 현재 각 지역별로 새롭게 추가되는 등급 및 변동되는 등급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해당 등급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할 수 없고, 이에 따라 효과적인 등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각 지역별로 신규/변동 등의 원인으로 차이가 있는 등급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생소한 등급 정보를 이해하고, 그에 따라 등급 정보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등급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조건을 설정하여, 사용자에 따라 등급 정보에 포함된 불건전한 단어 혹은 내용들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음성 및 부가정보 데이터로 분리하는 방송 수신부; 상기 방송 수신부를 통해 분리된 부가정보 데이터로부터 RRT(Rating Region Table) 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상기 데이터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RRT(Rating Region Table)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방송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의 RRT(Rating Region Table) 정보가 포함된 정보 화면을 생성하는 정보 화면 생성부; 및, 상기 데이터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RRT(Rating Region Table)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정보 화면상에 상기 방송 신호의 시청 등급 및 상기 시청 등급의 상세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정보 화면 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등급 정보 제공 방법은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로부터 RRT(Rating Region Table)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RRT(Rating Region Table)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의 시청 등급 정보 및 상기 시청 등급의 상세 정보가 포함된 정보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정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등급 정보 제공 방법은 등급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가 방송물의 등급을 정확하게 이해하여 효과적인 등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며, 상기 등급별로 상세한 내용의 제공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등급별 상세한 내용에 포함된 불건전한 단어 혹은 불건전한 내용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수신된 EPG 정보를 포함한 방송 신호 중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방송 신호를 선국하는 튜너(10)와, 상기 튜너(10)를 통해 선국된 방송 신호를 복조하여 오류를 정정하고, 트랜스포트 스트림(TS: Transport Stream)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복조부(20)와, 상기 복조부(20)를 통해 입력되는 시간적으로 다중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비디오, 오디오 및 부가정보 스트림으로 분리하기 위한 역다중화부(30)와, 상기 역다중화부(30)를 통해 분리된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부(40)와,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40)를 통해 신호처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50)와, 사용자로부터 요구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키입력부(60)와, 상기 역다중화부(30)를 통해 분리된 부가정보 데이터로부터 RRT(Rating Region Table) 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70)와, 상기 데이터 추출부(70)를 통해 추출된 RRT(Rating Region Table)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80)와, 상기 튜너(10)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의 RRT(Rating Region Table) 정보가 포함된 정보 화면을 생성하는 정보 화면 생성부(90)와, 상기 데이터 추출부(70)를 통해 추출된 RRT(Rating Region Table)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정보 화면상에 상기 방송 신호의 시청 등급 및 상기 시청 등급의 상세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정보 화면 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추출부(70)는 상기 역다중화부(30)를 통해 분리된 부가정보 데이터로부터 RRT 정보를 추출하는 제 1 데이터 추출부(72)와, 상기 제 1 데이터 추출부(72)를 통해 추출된 RRT 정보로부터 해당 시청 등급의 상세 정보를 추출 하는 제 2 데이터 추출부(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 신호는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신호 및 부가 데이터를 시분할 다중화하여 패킷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형태로 전송된다.
상기 튜너(10)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방송신호를 선국하고, 상기 선국된 방송신호는 상기 복조부(20)를 통해 VSB(Vestigial Sideband) 복조과정 및 오류 정정과정 등을 거쳐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태로 출력된다.
상기 복조부(20)를 통해 출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태의 신호는 상기 역다중화부(30)에 의해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로 정의되는 각종 부가데이터로 분리되어 비트 스트림 형태로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역다중화부(30)를 통해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는 영상신호 처리부(40)에 의해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된다. 이때 영상처리부(40)는 MPEG-2 디코더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50)의 출력 규격에 맞는 수직 주파수, 해상도, 화면 비율 등에 맞도록 변환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50)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nel)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제 1 데이터 추출부(72)는 상기 역다중화부(30)를 통해 분리된 부가데이터로부터 RRT 섹션(section)만을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여기에서 상기 부가데이터에 속하는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는 디지털 TV에서 전송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와 TV 수신에 필요한 여러 정보를 기술하기 위해 만든 규격으로써,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위한 모든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내에서 동작하도록 고안된 테이블의 집합이며, 특정 TS에서 전송되는 가상 채널의 필요한 정보를 기술하여 수신기의 수신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의 기본 테이블은 시간 정보를 전달하는 STT(System Time Table), 전송 테이블을 관리하는 MGT(Master Guide Table), 가성 채널 정보를 제공하는 VCT(Virtual Channel Table), 각 지역 및 국가에 적용 가능한 등급 기준을 정의하는 RRT(Rating Gegion Table)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데이터 추출부(74)는 상기 제 1 데이터 추출부(72)를 통해 추출된 RRT 정보로부터 해당 방송신호의 시청 등급에 대한 상세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에서 상기 시청 등급의 상세정보는 상기 RRT(Rating Region Table) 정보 내에 포함된 rating_value_text 정보를 의미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65 PSIP Table의 신택스(syntax)를 살펴보면, 상기 RRT(Rating Region Table) 정보 내에는 해당 프로그램의 장르 정보를 나타내는 dimension_name_text()(200)와, 해당 프로그램의 Brief Description을 나타내는 abbrev_rating_value_ text()(210)와, 해당 프로그램의 Full Text Description을 나타내는 rating_value_ text()(220)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rating_value_ text()(220)는 해당 프로그램의 시청 등급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rating_value_ text()(220)를 이용하여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등급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제 1 데이터 추출부(72) 및 제 2 데이터 추출부(74)를 통해 추출된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80)에 저장된다. 여기에서 상기 메모리부(80)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RRT(Rating Region Table) 정보는 상위항목 데이터인 독립된 하나 이상의 디멘젼(Dimension) 값을 갖고, 상기 상위 항목 데이터에 속하는 하위 항목 데이터 즉, 각각의 디멘젼에 속하는 레이팅(rating) 값들을 갖는다. 상기 디멘젼 값은 최대 41(이론적으로는 255개), 레이팅 값은 최대 15까지 전송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청 등급 제한 설정을 위한 메뉴화면상에는 상기 상위 항목 데이터인 디멘젼 데이터가 표시되는 영역(300)과, 상기 디멘젼 데이터가 표시되는 영역(300)에서 하이라이트 처리된(포커스 된) 디멘젼에 속하는 레이팅 값이 표시되는 영역(310)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각각의 디멘젼 및 그에 따른 레이팅 값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시청 등급에 대한 시청 제한 및 시청 허용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화면상에는 상기 설정 여부에 따른 정보가 표시된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상기 시청 등급에 대한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있어서, 상기 시청 등급별로 상기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상세정보 제공 범위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멘젼 및 그에 따른 레이팅 값을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레이팅 값에 따른 상세정보 제공 범위를 설정하기 메뉴(320)가 표시된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상기 상세 정보 제공 범위를 해당 시청 등급별로 각각 전체 표시(Full Desc)(322), 간략 표시(Brief Desc)(324) 및 무표시(No Desc)(326)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정한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유아, 청소년 등)에 따라 상기 상세 정보에 포함된 정보가 불건전하여 교육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별로 시청할 수 있는 시청 등급에 따라 상기 상세정보 제공 범위를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시청 등급에 따른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이 설정된 시청 등급별 상세정보 제공 범위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상기 메모리부(70)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 1 데이터 추출부(72)를 통해 추출된 RRT 정보를 기준으로 현재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신호의 등급 정보를 확인하고, 상 기 확인된 등급 정보에 따른 상세정보 제공 범위를 상기 메모리부(70)로부터 추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추출한 현재 선택된 방송신호의 등급 정보에 따른 상세정보 제공 범위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데이터 추출부(74)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 2 데이터 추출부(74)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상세정보 제공범위에 따른 상세정보 추출범위를 기준으로 상기 시청 등급의 상세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 2 데이터 추출부(74)는 전체 상세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어부(100)를 통해 상기 설정된 상세 정보 제공 범위에 따른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추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추출된 상기 방송신호에 대한 시청 등급 정보 및 상기 시청 등급의 상세 정보는 상기 정보 화면 생성부(90)에 전달되며, 상기 정보 화면 생성부(90)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달된 시청 등급 정보 및 그의 상세정보를 이용하여 정보화면을 생성하며, 이는 OSD(On Screen Display) 생성 IC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정보 화면 생성부(90)를 통해 생성된 정보 화면은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40)의 스케일링 처리를 거쳐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되는 정보 화면은 디스플레이부(50)의 일부 영역 또는 풀사이즈로 표시될 수 있지만, 현재 튜닝된 채널의 비디오 신호와 합성되어 표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 화면(400)에는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등급 정보를 나타내는 등급 정보(410)와, 상기 등급 정보(410)의 상세 정보를 나타내는 상세 정보(420)가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상세 정보(420)를 확인하여 지역마다 상이한 시청 등급에 대한 상세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등급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가 방송물의 등급을 정확하게 이해하여 효과적인 등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며, 상기 등급별로 상세한 내용의 제공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등급의 상세한 내용에 포함된 불건전한 단어 혹은 불건전한 내용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시청 등급 제한/허용 및 상세정보 제공 범위 설정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시청 등급 제한 설정 또는 상세 정보 제공 범위 설정 명령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
이어서, 상기 판단결과(S10) 상기 시청 등급 제한 설정 또는 상세 정보 제공 범위 설정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시청 등급 제한 또는 상세 정보 제공 범위 설정을 위한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20).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메뉴화면상에서 특정 디멘져를 선택한다(S30).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메뉴화면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멘져 영역(300)에서 특정 디멘져(예를 들어 Humor)를 선택한다.
이어서, 상기 선택된 디멘져에 따른 레이팅 값을 선택한다(S40).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뉴화면상에서 상기 선택된 특정 디멘져에 따른 레이팅 값(DH, H, VH) 중 어느 하나의 레이팅 값(예를 들어 H)를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선택된 레이팅 값에 따른 시청 제한 혹은 시청 허용을 설정한다(S50).
이어서, 상기 선택된 레이팅 값에 따른 상세 정보 제공 범위를 설정한다(S60).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레이팅 값에 따른 상세 정보 제공 범위를 전체 표시(Full Desc)(322), 간략 표시(Brief Desc)(324) 및 무표시(No Desc)(326)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정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정된 시청 등급별 시청 제한 혹은 시청 허용정보 및 상기 상세정보 제공 범위 정보를 메모리부(70)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상기와 같이 상세 정보 제공 범위가 설정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등급 정보 제공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로부터 정보 화면 디스플레이 명령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0).
이어서, 상기 판단결과(S100) 정보 화면 디스플레이 명령이 수신되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로부터 PSIP 정보를 추출한다(S110).
그리고, 상기 추출된 PSIP 내에 포함된 RRT 정보를 추출한다(S120).
이어서, 상기 추출한 RRT 정보 내에 포함된 해당 시청 등급의 상세 정보를 추출한다(S130). 즉, 상기 RRT(Rating Region Table) 정보 내에 포함된 rating_value_text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시청 등급에 따른 상세 정보 제공 범위를 추출한다(S140).
이어서, 상기 추출된 상세정보 제공범위가 전체표시(Full Desc)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50).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S150) 상기 상세정보 제공 범위가 전체표시(Full Desc)이면, 상기 시청 등급의 전체 상세정보가 포함된 정보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S160).
또한, 상기 판단결과(S150) 상기 상세 정보 제공범위가 전체표시(Full Desc)가 아니면, 상기 상세정보 제공범위가 간략 표시(Brief Desc)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70).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S150) 상기 상세정보 제공범위가 간략표시(Brief Desc)이면, 상기 시청 등급의 간략적인 상세정보가 포함된 정보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S180).
또한, 상기 판단결과(S170) 상기 상세정보 제공범위가 간략표시(Brief Desc)가 아니면, 해당 상세정보 제공범위가 무표시(No Desc)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90).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S190) 상기 상세정보 제공범위가 무표시(No Desc)이면, 상기 방송신호의 시청 등급 정보만이 포함된 정보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S20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등급 정보 제공 방법은 현 재 사용자가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등급 정보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가 방송물의 등급을 정확하게 이해하여 효과적인 등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며, 시청 등급별로 상세한 정보의 제공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등급별 상세한 내용에 포함된 불건전한 단어 혹은 불건전한 내용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PSIP Table의 신택스(syntax)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청 등급별 상세정보 제공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정보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청 등급 제한/허용 및 상세정보 제공 범위 설정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등급 정보 제공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튜너 20: 복조부
30: 역다중화부 40: 영상신호 처리부
50: 디스플레이부 60: 키입력부
70: 데이터 추출부 80: 메모리부
90: 정보화면 생성부 100: 제어부

Claims (10)

  1.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음성 및 부가정보 데이터로 분리하는 방송 수신부;
    상기 방송 수신부를 통해 분리된 부가정보 데이터로부터 RRT(Rating Region Table) 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상기 데이터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RRT(Rating Region Table)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방송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의 RRT(Rating Region Table) 정보가 포함된 정보 화면을 생성하는 정보 화면 생성부; 및,
    상기 데이터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RRT(Rating Region Table)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정보 화면상에 상기 방송 신호의 시청 등급 및 상기 시청 등급의 상세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정보 화면 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방송 수신부를 통해 분리된 부가정보 데이터로부터 RRT 정보를 추출하는 제 1 데이터 추출부와, 상기 제 1 데이터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RRT 정보로부터 해당 시청 등급의 상세 정보를 추출하는 제 2 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RRT(Rating Region Table) 정보 내에 포함된 rating_value_text 정보를 추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사용자가 기 설정한 시청 등급별 상세 정보의 제공 범위를 더 포함하여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범위에는 전체 표시(Full Desc), 간략 표시(Brief Desc) 및 무 표시(No Desc)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시청 등급별로 기 설정된 상세 정보의 제공 범위를 기준으로 상기 제공 범위에 해당하는 상세 정보만을 추출하여 상기 정보 화면 생성부에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7.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로부터 RRT(Rating Region Table)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RRT(Rating Region Table)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의 시청 등급 정보 및 상기 시청 등급의 상세 정보가 포함된 정보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정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급 정보 제공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RRT(Rating Region Table)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로부터 RRT(Rating Region Table)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RRT(Rating Region Table) 정보 내에 포함된 rating_value_text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급 정보 제공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시청 등급에 따른 상세 정보 제공 범위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등급 정보 제공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시청 등급에 따른 상세 정보 제공 범위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상세 정보 제공 범위에 따라 추출된 시청 등급 정보의 상세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정보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등급 정보 제공 방법.
KR1020070110864A 2007-11-01 2007-11-01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등급정보 제공 방법 KR200900446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864A KR20090044666A (ko) 2007-11-01 2007-11-01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등급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864A KR20090044666A (ko) 2007-11-01 2007-11-01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등급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666A true KR20090044666A (ko) 2009-05-07

Family

ID=40855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864A KR20090044666A (ko) 2007-11-01 2007-11-01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등급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46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0339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819738B1 (ko) 방송신호 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64012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출력언어 표시방법
KR100507808B1 (ko) 디지털 티브이용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화면에서이티티정보 존재여부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US8839335B2 (en) Method of processing multi-mode service broadcast signal and digital television receiver using the same
KR20070015744A (ko) 방송신호 수신장치 및 채널 정보 표시방법
EP1837825A2 (en)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selecting a rating system thereof
KR20080046462A (ko)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19021B1 (ko) 케이블방송 수신장치 및 그 채널 맵 구성방법
KR100747500B1 (ko) 신호처리장치 및 신호처리방법
KR20070013788A (ko) 시청률 정보를 이용한 채널 정보 정렬 방법
CN1972425B (zh) 广播节目信息显示方法和广播接收器
US8325277B2 (en) Display apparatus and data display method for displaying a format mismatch message
KR20070014333A (ko) 방송 에이전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80054181A (ko)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방법
KR20090044666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등급정보 제공 방법
KR20090127560A (ko) 영상표시기기 및 채널 탐색 방법
KR100793757B1 (ko) 다양한 epg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 및 그제어방법
KR101341454B1 (ko) 디지털 티브이 수신기의 자동 채널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1025212B1 (ko) 프로그램 가이드 제공시 선호 채널 팝업창 표시 시스템 및방법
KR20070069282A (ko) 방송 프로그램 정보 가이드 장치 및 방법
KR100896277B1 (ko) Tv의 프로그램 항목에 의한 시청 제한 방법
EP2312836A2 (en) Broadcast receiver and multi-screen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KR100617190B1 (ko) 디지털 티브이에서 프로그램 방송 예정시간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
KR101491850B1 (ko) 문자 입력을 위한 osd표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