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4516A - 물리적 분리ㆍ선별에 의한 자연 발생적 중금속 오염토양의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물리적 분리ㆍ선별에 의한 자연 발생적 중금속 오염토양의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4516A
KR20090044516A KR1020070110646A KR20070110646A KR20090044516A KR 20090044516 A KR20090044516 A KR 20090044516A KR 1020070110646 A KR1020070110646 A KR 1020070110646A KR 20070110646 A KR20070110646 A KR 20070110646A KR 20090044516 A KR20090044516 A KR 20090044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vy metal
minerals
screening
magnetic
specific gr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8060B1 (ko
Inventor
정수복
채영배
김형석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10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060B1/ko
Publication of KR20090044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2Extraction using liquids, e.g. washing, leaching,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8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weight

Abstract

본 발명은 광산 지역이나 토목ㆍ건축 공사장 또는 자연 재해 등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중금속 오염 토양의 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부유선별 공정(S20); 비중선별 공정(S30); 자력선별 공정(S40);를 포함하는 분리ㆍ선별 방법을 이용하여 중금속 함유광물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자연 발생적 중금속 오염 토양을 효율적으로 정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공정이 매우 간단하고 단순한 분리ㆍ선별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오염 토양의 정화에 있어서 대량처리가 가능하고 친환경적이며 경제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고 있으므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 된다.
중금속 오염토양, 분리ㆍ선별, 부유선별, 비중선별, 자력선별

Description

물리적 분리ㆍ선별에 의한 자연 발생적 중금속 오염토양의 정화 방법{METHOD OF PURIFYING NATURAL HEAVY METAL CONTAINING SOIL BY PHYSICAL SEPARATION AND SORTING PROCESS}
본 발명은 광산지역이나 토목ㆍ건축 공사장 또는 자연재해 등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중금속 오염토양을 대상으로 오염 원인물질인 중금속 함유 금속광물을 물리적으로 분리ㆍ선별하여 중금속 오염 토양을 정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연 발생적 중금속 오염 토양의 경우 중금속을 포함하고 있는 금속 광물이 주요 오염원인 물질로 작용한다. 상기 중금속 함유 광물들은 지하 매장상태에서는 비교적 안정된 물질이나 지표에 노출될 경우 각종 화화반응에 의하여 산성배수의 발생과 각종 중금속 성분이 용출되어 산림의 황폐화, 지표수 및 지하수 오염, 토양오염 등 많은 환경 문제를 발생시킨다. 중금속을 함유하고 있는 금속광물에 의하여 오염된 토양의 처리는 주로 차단 매립과 같은 격리 방법이 시행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은 방법은 오염물의 원천적인 처리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재처리가 필요하고, 또한 침출수를 장기간 관리해야 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 다. 또한 자연 발생적 중금속 오염 토양의 정화방법으로 토양세척, 산세척, 미생물처리, 전기적 처리방법 등이 시도 되고 있지만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광산지역, 토목ㆍ건축 공사장 또는 자연재해 등에 의해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중금속 오염 토양의 정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연 발생적 중금속 오염토양을 대상으로 오염원인 중금속 함유 금속광물과 환경적으로 무해한 비금속 광물의 특성차이를 이용하는 비중선별, 부유선별, 자력선별과 같은 물리적 방법으로 중금속이 함유되어 있는 금속 광물만을 선택적으로 분리ㆍ선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방법에 있어서, 중금속 함유 황화광물 분리를 위한 부유선별 공정(S20); 중금속 함유 고비중 금속광물 분리를 위한 비중선별 공정(S30); 및 중금속 함유 자성광물 분리를 위한 자력선별 공정(S40);을 포함하여 토양속의 중금속을 정화하는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자연 발생적 중금속 오염토양을 중금속 함유 황화광물과 일반토양의 습윤도(wettability)차이를 이용하는 부유선별 공정(S20)으로 중금속 함유 황화광물을 분리ㆍ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 방법을 제공한다. 비금속 광물은 표면특성이 친수성이지만, 중금속이 함유된 황화 광물들은 소수성이므로 부유선별에 의하여 이들 중금속 광물들을 비금속 광물과 선택적으로 분리ㆍ선별할 수 있다.
상기 부유선별 공정(S20) 전에 전처리 과정으로, 0.5mm의 체망을 가지는 진동 스크린을 이용하여 0.5mm이상 입자와 0.5mm이하 입자를 분리ㆍ선별하는 스크린 공정(S10)을 실시한다. 자연 발생적 중금속 오염토양은 중금속 오염 원인물질인 다양한 종류의 금속광물과 환경적으로 무해한 석영, 장석, 운모, 점토 광물 등과 같은 비금속 물로 구성된다. 토양 오염의 원인물질이 되는 금속광물로는 비소가 함유된 유비철석(FeAsS)과 계관석(AsS), 납이 함유된 방연석(PbS), 구리가 함유된 황동석(CuFeS2)과 적동석(Cu2O), 카드뮴이 함유된 그리노카이트(CdS), 니켈이 함유된 침니켈석(NiS), 아연이 함유된 섬아연석(ZnS), 철이 함유된 황철석(FeS2)과 갈철석(Fe2O33H2O) 등이 있다. 이들 대부분의 금속 광물들은 벽개성을 가지고 있어 쉽게 미립화가 되는 특징이 있으므로, 자연 발생적 중금속 오염토양에 대하여 입자의 크기가 0.5mm 이하의 중금속 광물 함유 토양을 0.5mm 이상의 이물질을 포함하는 일반토양과 분리한다. 상기에서 체망에 의해 걸러지는 0.5mm 이상인 물질들은 일반적인 흙, 자갈, 나뭇가지 등의 이물질을 의미하므로, 스크린 공정을 통해서 걸러진 0.5mm 이상의 물질은 중금속이 포함되지 않은 일반 토양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진동 스크린에 의하여 분리된 중금속 광물을 함유하고 있는 토양은 금속광물과 비금속광물로 구성되어 있는데, 비금속 광물은 표면 특성이 친수성인 반면 유비철석, 계관석, 방연석, 황동석, 그리노카이트, 침니켈석, 섬아연석, 황철석 등의 황화광물은 표면 특성이 소수성임으로 부유선별 공정(S2O)에 의하여 이들 황화광물만을 효율적이고 선택적으로 분리ㆍ선별 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부유선별 공정(S20)은 덴버 서브-A형(Denver Sub-A형)의 실험실용 부유선별기를 사용하며, 진동 스크린공정(S10)에서 분리되는 중금속 오염토양 시료 1kg에 대하여 광액 농도를 10 ~ 30wt.%로 조절하여 10 ~ 30분 동안 부유선별을 실시하여 비황화광물과 황화광물을 분리ㆍ선별한다. 또한, 부유선별의 효율향상을 위하여 적절한 포수제나 기포제 등과 같은 부선시약을 첨가한다. 상기의 부유선별 공정에서 사용되는 포수제는 소듐 아밀 잔세이트(Sodium amyl xanthate), 포타슘 에틸 잔세이트(Potassium ethyl xanthate), 소듐 에틸 잔세이트(Sodium ethyl xanthate), 소듐 이소프로필 잔세이트(Sodium isopropyl xanthate),소듐 이소부틸 잔세이트(Sodium isobutyl xanthate), 포타슘 아밀 잔세이트(Potassium amyl xanthate) 등이 포함되고, 기포제는 메틸이소카르비놀(MIBC, 4-메틸-2-펜탄올), pine oil,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등이 포함되는데, 상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포수제는 소듐 아밀 잔세이트(Sodium Amyl Xanthate)를 100 ~ 1,000그램/톤, 기포제는 메틸이소카르비놀(MIBC, 4-메틸-2-펜탄올)을 40 ~ 200그램/톤 첨가하여 중금속 함유 황화광물을 비황화광물과 분리ㆍ선별한다.
상기와 같이 부유선별 공정(S20) 후, 비황화광물을 비중선별 하여 고비중의 중금속 광물을 분리ㆍ선별하는 비중선별 공정(S30)을 실시한다. 부유선별 공정(S20)에 의하여 분리된 비황화광물중에 함유된 비금속 광물은 비중이 3.0 이하이 지만, 유비철석, 방연석, 적동석, 황철석 등의 중금속 함유 금속광물들은 비중이 6.0 이상이므로, 비중이 3.0 초과이고 10.0 미만인 고비중 금속광물을 분리ㆍ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선별 공정(S3O)에 의하여 이들 중금속 함유 금속광물만을 선택적으로 분리ㆍ선별한다. 비중선별 공정(S3O)에서 채택가능한 장치로는 테이블(Table)형, 나선(Spiral)형 및 지그(Jig)형 비중선별기 등이 있고, 이들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상기의 비중선별기에 의해 고비중 금속광물을 분리ㆍ선별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테이블형 비중선별기(Wilfley No.13, Humprey. Co, USA)를 선택하여 고비중 금속광물을 분리ㆍ선별하며, 이 때 운전조건은 테이블의 요동수 140 ~ 180회/분, 광액농도 10 ~ 30wt.%, 광액의 급광속도 5 ~ 20리터/분의 조건으로 고비중 금속광물을 분리ㆍ선별한다.
비중선별 공정(S30)에 의하여 분리된 저비중 광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비금속광물은 자력에 감응되지 않는 비 자성 광물인 반면, 일부 혼입되어 있는 황동석, 침니켈석, 크롬철석, 섬아연석 등과 같은 중금속 함유 금속광물은 자력에 감응력을 갖는 상 자성 광물이므로 자력선별 공정(S4O)에 의하여 이들 중금속 함유 금속광물만을 선택적으로 분리ㆍ선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중선별 공정(S30) 후, 자력선별 공정(S40)에서는 비중선별 공정(S30)에서 분리된 저 비중광물을 대상으로 비 자성광물과 중금속 함유 자성광물을 분리ㆍ선별한다. 자력선별 공정(S4O)에서 채택가능한 장치로는 전자석을 이용하는 롤형 및 벨트형 자력선별기, 고자력의 영구자석을 이용하는 롤형 및 벨트형 자력선별기 등이 있고, 이들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상기의 자력 선별기에 의해 중금속 함유 자성광물을 분리ㆍ선별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5,000 ~ 20,000가우스의 자석밀도를 갖는 벨트형 영구자석 선별기를 이용하여 중금속을 함유하고 있는 상 자성광물과 비 자성광물을 분리ㆍ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선별 공정(S40)으로 중금속을 함유한 자성 광물을 분리ㆍ선별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자연 발생적 중금속 오염토양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다공정 물리적 분리ㆍ선별을 실시하면, 부유선별에 의한 황화광물, 비중선별에 의한 고비중 금속광물, 자력선별에 의한 자성광물 등 오염원인인 중금속 함유 금속광물을 분리ㆍ선별할 수 있다. 또한, 진동 스크린에서 분리되는 0.5mm이상의 일반토양과 자력선별에서 분리되는 비 자성광물 등 중금속이 오염되지 않은 정화토양을 회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정단계를 채택한 이유로는, 자연 발생적 중금속 오염토양에서 오염물질원을 분리ㆍ선별하는데 있어서, 진동 스크린 공정(S10)으로 1차적인 구별이 된 토양은 부유선별 공정(S20)과 비중선별 공정(S30) 및 자력선별 공정(S40)의 단계로 오염물질원을 분리ㆍ선별할 때에 분리되는 효율이 가장 높았으며, 비용도 적게 들어 상기와 같은 각 공정단계로 실시하였을 때가 가장 합리적이었음을 분명히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연 발생적 중금속 오염 토양을 정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최종 단계인 자력선별 공정(S40)을 함으로써 분리ㆍ선별되는 비 자성광물에서는 더 이상 중금속 물질이 분리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오염된 토양을 구성하고 있는 무해한 비금속광물과 오염 원인물질인 금속광물의 광물학적, 물리적 특성차이를 이용하여 금속광물만을 손쉽게 선택적으로 분리ㆍ선별하여 중금속 오염 토양을 정화시키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차단 매립 방법 이외에는 별다른 처리 방안이 없는 자연 발생적 중금속 오염토양의 효율적인 처리방법의 일환으로, 공정이 매우 간단하고 단순한 분리ㆍ선별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오염 토양의 정화에 있어서 대량처리가 가능하고 친환경적이며 경제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고 있으므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 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또는 수정할 수 있음은 이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실시 예1]
금은 광산 지역에서 중금속 오염 토양을 채취하여 하기 도 1의 방법으로 처리한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상기 시료에 대하여 ICP(JY-38, Jobin-Yvon, France) 및 XRF(XRF-1700, Shimadzu. Japan)를 이용하여 화학 성분 조성을 조사하였다.
하기 도 1과 같이 중금속 함유 토양 분리를 위한 진동 스크린 공정(S1O), 중금속 함유 황화광물 분리를 위한 부유선별 공정(S2O), 중금속 함유 고비중 금속광물 분리를 위한 비중선별 공정(S3O), 중금속 함유 자성광물 분리를 위한 자력선별 공정(S4O)을 실시하였다.
진동 스크린 공정(S10)에서는 0.5mm의 체망을 가지는 편심축을 사용하는 진동 스크린을 채택하였다. 부유선별 공정(S20)에서는 덴버 서브-A형(Denver Sub-A형)의 실험실용 부유선별기를 사용하였는데, 진동 스크린공정(S10)에서 분리되는 중금속 오염토양 시료 1kg에 대하여 광액 농도를 20wt.% 로 조절하고, 일차로 산화된 금속광물의 표면에 황화물이 피막을 형성하여 포수제와의 반응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황화나트륨(Na2S)을 부유선별 대상시료 대비 1,000그램/톤을 첨가하여 교반시킨 후, 포수제로 소듐 아밀 잔세이트(Sodium amyl xanthate) 800그램/톤, 기포제로 메틸이소카르비놀(MIBC, 4-메틸-2-펜탄올) 80그램/톤을 첨가하여 20분 동안 부유선별을 실시하여 비 황화광물과 황화광물을 분리ㆍ선별하였다.
비중선별 공정(S30)에서는 부유선별공정(S20)에서 분리ㆍ선별된 비황화광물에 대하여 테이블형 비중선별기(Wilfley No.13, Humprey. Co, USA)에서 저 비중광물과 중금속 함유 고비중광물을 분리ㆍ선별하였는데, 이 때 운전조건은 테이블의 요동수 160회/분, 광액농도 20wt.%, 광액의 급광속도 10리터/분이었다.
자력선별 공정(S40)에서는 비중선별 공정(S30)에서 분리된 저 비중광물을 대상으로 희토류 합금(Nd-Fe-B)으로 제조된 10,000가우스의 자석밀도를 갖는 영구 자석 선별기(International Process System. Co, USA)를 사용하여 비 자성광물과 중금속 함유 자성광물을 분리ㆍ선별하였다.
상기 단계를 실시한 결과, 황화광물 4.74wt.%, 고비중 금속광물 2.37wt.%, 자성광물 5.89wt.% 등 중금속 함유 광물로 13.00wt.%가 산출되었는데, 비소가 1,530ppm, 카드뮴이 58ppm, 크롬이 130ppm, 구리가 200ppm, 니켈이 1,140ppm, 아연이 2,850ppm, 납이 1,400ppm으로 중금속이 산출되었다. 정화토양으로는 진동 스크린에서 분리되는 0.5mm 이상의 일반토양 10.24wt.%, 자력선별에서 분리되는 비 자성 광물 76.76wt.%등 총 87.00wt%가 산출 되었는데, 중금속 함유량은 비소 36ppm, 카드뮴 5ppm, 크롬 11ppm, 구리 10ppm, 니켈 26ppm, 아연 220ppm, 납 80ppm으로 중금속이 산출되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해 자연 발생적 중금속 오염토양으로부터 분리ㆍ선별된 중금속 함유 광물은 중금속 함유량이 매우 높은 반면, 정화토양은 매우 낮은 중금속 함유량을 나타내어 정화 효율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1]
Figure 112007078511205-PAT00001
[실시 예2]
일반 금속광산 지역에서 중금속 오염 토양을 채취하여 [실시 예1]과 동일하 게 하기 도 1의 방법으로 오염 토양을 정화한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중금속 함유 광물로 21.87wt.%가 산출되었는데, 비소가 159ppm, 크롬이 133ppm, 구리가 205ppm, 니켈이 53ppm, 아연이 372ppm, 납이 122ppm 등 중금속 함유량이 정화 공정 처리 전 오염토양보다 매우 높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분리ㆍ선별된 정화토양은 진동 스크린에서 분리되는 0.5mm 이상의 일반토양 4.34wt.%, 자력선별에서 분리되는 비 자성 광물 73.79wt.%등 총 73.13wt%가 산출 되었는데, 중금속 함유량은 비소 11ppm, 크롬 13ppm, 구리 18ppm, 니켈 10ppm, 아연 70ppm, 납 8ppm 등으로 정화 공정 처리 전 오염토양보다 현저히 낮은 특성을 보여 매우 효율적으로 중금속 함유 금속광물이 분리ㆍ선별됨을 알 수 있다.
[표 2]
Figure 112007078511205-PAT00002
도 1은 자연 발생적 중금속 오염토양의 처리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1O : 진동 스크린 공정
S2O : 부유선별 공정
S3O : 비중선별 공정
S4O : 자력선별 공정

Claims (4)

  1.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방법에 있어서,
    중금속 함유 황화광물 분리를 위한 부유선별 공정(S20); 중금속 함유 고비중 금속광물 분리를 위한 비중선별 공정(S30); 및 중금속 함유 자성광물 분리를 위한 자력선별 공정(S40);을 포함하여 토양속의 중금속을 정화하는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부유선별 공정(S20)에서 중금속 함유 황화광물과 일반토양의 습윤도(wettability)차이를 이용하는 부유선별 방법으로 중금속 함유 황화광물을 분리ㆍ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비중선별 공정(S30)에서 테이블(Table)형, 나선(Spiral)형 및 지그(Jig)형 비중선별 기로부터 선택된 것을 이용하여 채택되는 고비중 금속광물을 분리ㆍ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자력선별 공정(S40)에서 영구 자석 선별기를 이용하여 중금속을 함유하고 있는 상 자성광물과 비 자성광물을 분리ㆍ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 방법.
KR1020070110646A 2007-10-31 2007-10-31 물리적 분리ㆍ선별에 의한 자연 발생적 중금속 오염토양의정화 방법 KR100928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646A KR100928060B1 (ko) 2007-10-31 2007-10-31 물리적 분리ㆍ선별에 의한 자연 발생적 중금속 오염토양의정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646A KR100928060B1 (ko) 2007-10-31 2007-10-31 물리적 분리ㆍ선별에 의한 자연 발생적 중금속 오염토양의정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516A true KR20090044516A (ko) 2009-05-07
KR100928060B1 KR100928060B1 (ko) 2009-11-23

Family

ID=40855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646A KR100928060B1 (ko) 2007-10-31 2007-10-31 물리적 분리ㆍ선별에 의한 자연 발생적 중금속 오염토양의정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06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527B1 (ko) * 2009-08-07 2010-08-23 (주)큐엔솔루션 자기장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 미세토양 슬러리 정화 방법
KR101033023B1 (ko) * 2010-09-01 2011-05-09 한라건설주식회사 준설토 재활용 확대를 위한 오염 퇴적토 처리 방법 및 처리 시스템
KR101041607B1 (ko) * 2010-01-27 2011-06-15 시원해양 주식회사 오염된 토양 및 수환경 퇴적물 정화용 생물복원제
KR101053216B1 (ko) * 2010-11-17 2011-08-01 한국광해관리공단 폐광미 무해화 물리적 처리 장치
KR101129876B1 (ko) * 2011-07-04 2012-03-23 한국농어촌공사 고농도 중금속 오염 토양의 복합적 정화방법
CN103002998A (zh) * 2010-07-15 2013-03-27 同和环保再生事业有限公司 土壤的净化方法
KR101651375B1 (ko) * 2015-11-13 2016-08-26 한국광해관리공단 중금속 오염 토양용 정화장치
KR20160116840A (ko) * 2015-03-31 2016-10-10 한국광해관리공단 중금속 오염 토양용 자력선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선별방법
CN108971207A (zh) * 2017-06-01 2018-12-11 Jiu株式会社 污染土壤的修复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568B1 (ko) * 2010-02-22 2012-04-1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중금속 오염토양 복원방법
KR101398526B1 (ko) * 2013-06-03 2014-05-27 지우이앤이(주) 중금속 오염토양의 정화방법
KR101709716B1 (ko) * 2016-10-19 2017-03-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중금속으로 오염된 입자들의 재활용 방법
KR102241009B1 (ko) 2020-11-10 2021-04-19 주식회사 대일이앤씨 불소 오염토양 부유선별 방법 및 시스템
KR102300117B1 (ko) 2021-04-26 2021-09-09 주식회사 대일이앤씨 판상광물 부유 기능을 갖는 오염토양 선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125B1 (ko) * 2000-06-28 2001-12-12 장동식 금속광산 폐기물의 재활용 방법
KR100489930B1 (ko) * 2002-05-16 2005-05-1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산폐기물을 고도선별처리하여 요업원료로 이용하는 방법
KR20060102756A (ko) * 2005-03-24 2006-09-28 지오콘머테리얼 주식회사 폐광미를 활용한 콘크리트 혼화재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527B1 (ko) * 2009-08-07 2010-08-23 (주)큐엔솔루션 자기장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 미세토양 슬러리 정화 방법
KR101041607B1 (ko) * 2010-01-27 2011-06-15 시원해양 주식회사 오염된 토양 및 수환경 퇴적물 정화용 생물복원제
CN103002998A (zh) * 2010-07-15 2013-03-27 同和环保再生事业有限公司 土壤的净化方法
CN103002998B (zh) * 2010-07-15 2015-12-16 同和环保再生事业有限公司 土壤的净化方法
KR101033023B1 (ko) * 2010-09-01 2011-05-09 한라건설주식회사 준설토 재활용 확대를 위한 오염 퇴적토 처리 방법 및 처리 시스템
KR101053216B1 (ko) * 2010-11-17 2011-08-01 한국광해관리공단 폐광미 무해화 물리적 처리 장치
KR101129876B1 (ko) * 2011-07-04 2012-03-23 한국농어촌공사 고농도 중금속 오염 토양의 복합적 정화방법
KR20160116840A (ko) * 2015-03-31 2016-10-10 한국광해관리공단 중금속 오염 토양용 자력선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선별방법
KR101651375B1 (ko) * 2015-11-13 2016-08-26 한국광해관리공단 중금속 오염 토양용 정화장치
CN108971207A (zh) * 2017-06-01 2018-12-11 Jiu株式会社 污染土壤的修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8060B1 (ko) 2009-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060B1 (ko) 물리적 분리ㆍ선별에 의한 자연 발생적 중금속 오염토양의정화 방법
Rao Resource recovery and recycling from metallurgical wastes
Rodríguez et al. Heavy metal distribution and chemical speciation in tailings and soils around a Pb–Zn mine in Spain
Dermont et al. Soil washing for metal removal: a review of physical/chemical technologies and field applications
Fernandes Heavy metal distribution in sediments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the role of diagenetic processes in reducing metal toxicity in bottom sediments
Fanfani et al. Heavy metals speciation analysis as a tool for studying mine tailings weathering
Horowitz et al. Effect of mining and related activities on the sediment trace element geochemistry of lake Coeur d'Alene, Idaho, USA. Part I: Surface sediments
Dermont et al. Remediation of metal-contaminated urban soil using flotation technique
Choi et al. Arsenic removal from contaminated soils for recycling via oil agglomerate flotation
Vanthuyne et al. The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contaminated soil by a combination of sulfidisation and flotation
Vanthuyne et al. The use of flotation techniques in the remedi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ed sediments and soils: an overview of controlling factors
Skandrani et al. Desulfurization of aged gold-bearing mine tailings
Marino et al. Heavy metal soil remediation: The effects of attrition scrubbing on a wet gravity concentration process
Owor et al. Impact of tailings from the Kilembe copper mining district on Lake George, Uganda
Fanfani Geochemical studies in an area contaminated by abandoned mine tailings
US6036025A (en) Mineral flotation separation by deoxygenating slurries and mineral surfaces
Williford et al. Physical separation of metal-contaminated soils
US5772776A (en) Process for the recovery of heavy metals such as lead from metal contaminated soil
Schintu et al. Heavy metal distribution and mobilization in sediments from a drinking water reservoir near a mining area
US6915908B2 (en) Method of decontaminating soil
Feris et al. Advances in the adsorptive particulate flotation process
Palakkeel Veetil et al. Simultaneous removal of Cu and PAHs from dredged sediments using flotation
KR100928062B1 (ko) 인위적 중금속 오염토양의 정화를 위한 고도 선별처리 방법
WO2013163678A1 (en) Recovering mineral from ore
Wang et al. Speciation and risk assessment of Cd, Zn, Pb, Cu and Ni in surface sediments of Dongdagou stream, Baiyin, Chi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