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3110A -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전송시스템 - Google Patents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전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3110A
KR20090043110A KR1020070108782A KR20070108782A KR20090043110A KR 20090043110 A KR20090043110 A KR 20090043110A KR 1020070108782 A KR1020070108782 A KR 1020070108782A KR 20070108782 A KR20070108782 A KR 20070108782A KR 20090043110 A KR20090043110 A KR 20090043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rtial data
partial
data servic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박준효
곽종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8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3110A/ko
Priority to EP08166575A priority patent/EP2056498A3/en
Publication of KR20090043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1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04H20/33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by plural channels
    • H04H20/34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by plural channels using an out-of-band subcarrier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93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which locates resources of other pieces of information, e.g.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3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radio data system/radio broadcast data system [RDS/RB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3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return channel, e.g. for collecting users' opinions, for returning broadcast space/time information or for requesting data
    • H04H2201/37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return channel, e.g. for collecting users' opinions, for returning broadcast space/time information or for requesting data via a different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정 길이의 데이터를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포맷에 따라 전송되는 패킷들을 이용하여 분할하여 전송한 후, 수신 단말기에서 분할되어 수신된 데이터를 조합하도록 함으로써, 라디오 방송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라디오 방송, RDS, URL, 데이터 전송

Description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전송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BASED ON RADIO DATA SERVICE}
본 발명은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 길이의 데이터를 다수개의 패킷에 분할하여 전송한 후, 수신측에서 분할된 데이터를 조합할 수 있는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옵션기능이 추가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일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는 영상을 수집할 수 있는 카메라 기능,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방송 시청 기능, 음악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MP3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옵션 기능 중 최근에는 라디오를 청취할 수 있는 라디오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의 라디오 기능은 휴대 단말기에 라디오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별도의 라디오 무선 모듈을 실장함으로써 상기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즉, 라디오 무선 모듈은 휴대 단말기의 입력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된다.
한편, 상술한 휴대 단말기의 라디오 기능은 통상적인 라디오 기능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즉, 종래 휴대 단말기의 라디오 기능은 라디오 방송국에서 전송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 후, 출력함으로써, 보통의 라디오 기기의 기능밖에 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라디오 기능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조합한 새로운 기능의 제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 길이의 데이터를 라이도 데이터 서비스 기반으로 전송할 수 있는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전송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완성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부분 데이터들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부분 데이터들을 데이터 서비스 신호들에 할당하며, 상기 데이터 서비스 신호를 라디오 방송 신호에 중첩되게 방송하는 방송국; 및 상기 데이터 서비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신호들로부터 부분 데이터들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부분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완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송신 방법은, 완성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부분 데이터들로 구분하는 과정; 구분된 부분 데이터들을 데이터 서비스 신호들에 할당하는 과정; 및 상기 데이터 서비스 신호를 라디오 방송 신호에 중첩되게 방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수신 방법은, 완성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부분으로 나눈 부분 데이터들을 각각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서비스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신호들로부터 부분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추출된 부분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완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방송국이 완성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부분 데이터들로 구분하는 과정; 상기 방송국이 구분된 부분 데이터들을 데이터 서비스 신호들에 할당하는 과정; 상기 방송국이 상기 데이터 서비스 신호를 라디오 방송 신호에 중첩되게 방송하는 과정; 휴대 단말기가 상기 데이터 서비스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신호들로부터 부분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추출된 부분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완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전송 시스템에 따르면, 일정 길이 데이터 예를 들면, URL, 텍스트 등의 정보를 라디오 서비스 기반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라디오 스펙은 RDS(Radio Data Service) 타입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RDS는 FM 방송 주파수 대역 내에 교통 정보 등 데이터를 중첩하여 방송하는 시스템이다. FM 방송의 주파수은 주 채널인 좌우 합신 호(L+R:0~15kHz), 스테레오(19kHz), 부 채널인 좌우 차신호(L-R:23~53kHz)로 되어 있는데, 이보다 높은 주파수, 즉 57kHz, 67kHz, 92kHz에 보조 채널을 설정하고 서비스할 수 있다.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RDS)은 57kHz의 보조 채널을 사용한다. 는 1,187.5bps이며 교통 정보 등 문자 정보 서비스 같은 프로그램의 방송을 하여 수신을 자동화하는 시스템, 페이징 등에 이용될 수 있다. 67kHz나 92kHz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에 의한 음악 방송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상기 휴대 단말기는 라디오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3G 단말기 예를 들면,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PRS(General Packet Radio System)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라디오 모듈을 포함하며 오디오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중첩하여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방송국이 전송하는 신호는 오디오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중첩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되, 그 중 데 이터 신호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방송국(200), 휴대 단말기(100) 및 컨텐츠 제공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송국(200)과 컨텐츠 제공 서버(300)는 동일 구성이 각각 기능별로 구별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방송국(200)이 컨텐츠 제공 서버(300)를 운영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방송국(200)은 전송하는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를 휴대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100)는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로부터 일정 데이터를 추출한 후 조립함으로써 하나의 완전한 데이터 예를 들면 URL 등을 생성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추출 완성된 URL을 기반으로 컨텐츠 제공 서버(300)와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컨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URL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임시 저장 또는 표시한다. 다시 말하여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송신측에서 하나의 완성 데이터를 이루는 부분 데이터들을 다수개의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에 각각 포함시켜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다수개의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로부터 부분 데이터들을 추출하여 하나의 완성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기반으로 대응되는 부가 데이터를 컨텐츠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받아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오디오 신호와 중첩되어 전송되며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 영역이 제한적인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 다수개를 이용하여 원하는 크기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방송국(200)은 휴대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데이터 서비스 신 호(RDS)의 데이터 포맷의 일부를 조정하여 완성 데이터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데이터들을 포함시키도록 한 후 전송한다. 이때, 방송국(200)은 상기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를 오디오 신호 즉, 라디오 방송신호와 함께 중첩되게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국(200)은 일정 길이의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 주기 예를 들면 분 또는 시간 단위로도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데이터 포맷에 대하여 휴대 단말기(100) 설명과 함께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컨텐츠 제공 서버(300)는 완성 데이터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이를 위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300)는 휴대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와 통신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채널은 휴대 단말기(100)의 이동특성에 따라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WAN(Wireless Access Network) 및 WAP(Wireless Access Protocol) 또는 휴대 인터넷인 와이브로 등이 될 수 있으며, 기타 이동 무선 네트웍을 지원하는 다양한 모듈에 의한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300)가 제공하는 컨텐츠는 예를 들면, 라디오 방송 신호를 통하여 전송되는 음악 파일의 앨범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음악 파일 구매에 관한 컨텐츠, 음악 파일에 대응되는 뮤직 비디오 컨텐츠, 음악 파일에 해당하는 가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는 상술한 음악에 관한 컨텐츠뿐만 아니라 라디오 방송을 통하여 전송되는 다양한 정보 예를 들면 광고, 지역, 패션 등과 관련된 다양한 사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방송국(200)으로부터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신하고,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로부터 부분 데이터들을 추출하여 완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완성 데이터를 별도의 저장공간에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함과 아울러, 표시부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100)는 완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컨텐츠 제공 서버(300)에 접속하여 완성 데이터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100)의 컨텐츠 다운로드는 사용자의 지정에 의하여 수행될 수 도 있다. 다시 말하여 완성 데이터를 표시부에 출력한 후, 휴대 단말기의 입력부에 의한 별도의 지정 또는 활성화 관련 신호가 입력될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컨텐츠 제공 서버(300)와 통신채널을 형성한 후,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다운로드 된 컨텐츠를 표시부에 출력하게 된다. 이후, 표시부에 표시된 컨텐츠의 활성화를 위한 입력신호가 발생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컨텐츠 제공 서버(300)와 통신채널을 다시 형성하거나, 이전에 형성된 통신채널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한 컨텐츠 제공 서버(300)의 특정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특정 페이지는 컨텐츠를 구매할 수 있는 페이지,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 등 컨텐츠 제공 서버(300)가 설정하는 다양한 페이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100)는 특정 페이지 출력을 위하여 웹 브라우저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주파수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라디오 모듈(140), 표시부(150), 메모리(160) 및 제어부(170)를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통화 호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 주파수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 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무선 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무선주파수부(110)는 사용자 설정 즉, 라디오 모듈(140)의 활성화에 따라 생성된 완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컨텐츠 제공 서버(300)와의 통신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주파수부(110)는 제어부(170) 제어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완성 데이터에 대응되는 컨텐츠 및 컨텐츠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주파수부(110)는 제어부(170)가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로부터 부분 데이터들을 추출하여 완성 데이터를 생성한 후 제어부(170) 제어에 따라 자동적으로 완성 데이터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도록 통신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주파수부(110)는 제어부(170)가 완성 데이터를 생성한 후, 완성 데이터에 대한 별도의 입력부(120) 입력이 발생하면, 제어부(170) 제어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300)와의 통신채널을 형성할 수 도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 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입력부(120)는 라디오 모듈(140)을 활성화하기 위한 입력신호, 완성 데이터를 활성화하기 위한 입력 신호, 완성 데이터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지시하기 위한 입력 신호, 컨텐츠 상세 보기나 구매 등과 관련한 일련의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무선주파수부(110)를 이용한 통신으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 및 라디오 모듈(140)을 이용한 라디오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오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SPK), 무선주파수부(110)를 이용한 통신에서 오디오 신호 전송을 위하여 사용자의 음성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130)는 상술한 완성 데이터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오디오 파일인 경우, 해당 컨텐츠 재생 시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를 실시간 또는 저장 후, 별도의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라디오 모듈(140)은 라디오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라디오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 모듈이다. 이러한 라디오 모듈(140)은 라디오 방송국이 정하는 방송규격에 따른 수신 모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라디오 방송국이 FM(Frequency Modulation) 방송 규격에 따른 라디오 방송신호 송출을 수행할 경우, 라디오 모듈(140)은 FM 라디오 방송 수신 모듈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라디오 방송국이 AM(Amplitude Modulation) 방송 규격에 따른 방송신호 송출을 수행할 경우, 라디오 모듈(140)은 AM 방송 수신 모듈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라디오 모듈(140)은 AM 및 FM 모두 수신할 수 있는 모듈이 될 수 도 있다. 라디오 모듈(140)은 방송국(200)이 송출하는 라디오 방송 신호 및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를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170)를 거쳐 메모리(160) 및 표시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라디오 모듈(140)은 사용자의 채널 설정 정보에 따른 채널 세팅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특정 채널로 자동으로 세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라디오 모듈(140)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주변 주파수를 스캔하고, 수신 가능한 주파수들을 목록으로 생성한 후, 이를 DB(Data Base)화할 수 있다. 그리고 라디오 모듈(140)은 제어부(170) 제어에 따라 DB화된 주파수 목록을 표시부(15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50)는 휴대 단말기(100) 사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라디오 모듈(140) 활성화 화면, 대기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등에 관련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표시부(1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150)는 LCD 제어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LCD를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50) 화면은 입력부로 동작될 수 도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50)는 상기 라디오 모듈(140)이 활성화 될 때 수신되는 부분 데이터들의 완성형인 완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부(150)는 완성 데이터에 대응되며 컨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50)는 컨텐츠를 구매하거나 상세 정보를 보기 위한 입력 신호 즉, 컨텐츠를 활성화하는 신호가 발생하면, 컨텐츠 제공 서버(300)가 제공하는 특정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50) 화면 인터페이스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웹 브라우저 응용 프로그램, 라디오 방송 수신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라디오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라디오 방송신호를 버퍼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도 있다. 이러한 상기 메모리(16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휴대 단말기(100)의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특히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라디오 방송 신호 순시 등에 필요한 라디오 방송 수신 응용 프로그램 및 컨텐츠 수신을 위한 웹 브라우저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여 상술한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이용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상술한 라디오 방송 신호 수신 중 버퍼링되는 라디오 방송 신호 및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 등을 저장한다. 그리고 데이터 영역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옵션 기능과 관련한 사용자 데이터들 예컨대, 폰 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해당 컨텐츠 또는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정보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들로부터 추출된 부분 데이터들을 저장하며, 부분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생성된 완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데이터 영역은 완성 데이터들이 다수개인 경우,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완성 데이터들은 제어부(170) 요청에 따라 표시부(15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을 제어하고, 구성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입력부(120)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라디오 방송 수신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 라디오 모듈(140)이 사용자가 원하는 해당 채널 주파수를 갖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특정 채널을 통하여 수신되는 라디오 방송 신호 및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를 수신하도록 무선주파수부(110)를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170)는 라디오 방송 신호는 오디오 처리부(130)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70)는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에 포함된 부분 데이터들을 추출하고, 부분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완성된 완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어부(170)는 완성 데이터 예를 들면 URL 정보를 메모리(160)에 저장함과 아울러, 다수개의 완성 데이터들이 존재하는 경우 URL DB에 데 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완성 데이터가 생성된 경우, 이를 표시부(150)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완성 데이터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다운로드 받도록 무선주파수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성 데이터가 특정 앨범 정보에 해당하는 URL 주소인 경우, 제어부(170)는 완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컨텐츠 제공 서버(300)와 무선주파수부(110) 간에 통신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컨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완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컨텐츠 즉, 앨범 정보를 다운로드 받도록 제어한다. 다운로드 받은 앨범 정보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150)에 출력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오디오 처리부(130)를 통하여 라디오 방송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완성 데이터 또는 완성 데이터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표시부(15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부(120)의 입력신호 중 컨텐츠를 활성화하기 위한 입력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즉, 앨범 정보에 포함된 상세 정보를 보기 위한 특정 웹 페이지 접속 또는 앨범 정보에 포함된 오디오 파일을 구매하기 위한 특정 웹 페이지 접속이 발생하면, 컨텐츠 제공 서버(300)와 통신 채널이 형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웹 브라우저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300)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표시부(15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라디오 방송 신호 및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를 수신함과 아울러,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 에 포함된 부분 데이터들로부터 완성된 완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컨텐츠 정보 표시 기능 및 컨텐츠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로의 전환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부분 데이터 삽입을 위한 데이터 포맷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라디오 방송 규격에 해당하는 RDS 구조 중 베이스밴드 코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RDS 구조 중 메시지 포맷 및 주소값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RDS 구조 중 그룹 타입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RDS 베이스 밴드 코딩 구조는 크게 하나의 그룹이 4개의 블록 즉, 블록 1, 블록 2, 블록 3, 블록 4 등으로 나뉘어 지며, 하나의 그룹에는 104개의 비트가 할당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하나의 블록에는 26개의 비트가 할당된다. 또한 하나의 블록은 크게 정보 값(Information Word) 영역과 체크 영역(Check word and offset word)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정보 값 영역은 16개의 비트(m0, m1, m2 ... m14, m15)가 할당되며, 체크 영역은 10개의 비트(C0, c1, ... c8, c9)가 할당된다. 요약하면, RDS 베이스 밴드 코딩 구조는 16비트의 정보 값 영역과 10비트의 체크 영역을 가지는 블록이 4개가 모여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이하, 메시지 포맷 및 주소값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RDS 구조의 첫 번째 블록의 메시지 포맷은 PI 코드와 체크 영역으로 할당된다. PI 코드는 프로그램 식별부호(PIC : Program Identification Code)로서,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RDS) 시스템에서 방송국의 국적, 송신 지역, 방송국명 등에 관한 식별 부호를 나타내는 값이다.
두 번째 블록의 메시지 포맷은 그룹 타입 코드 영역, 버전 정보 영역, 트래픽 프로그램 코드 영역 및 PTY영역 및 체크 영역을 포함하도록 할당된다. 그룹 타입 코드 영역은 4개의 비트가 할당되어 전체 값이 현재 전송되는 그룹의 타입이 어떠한 타입인지를 나타낸다. 버전 정보 영역은 전송되는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의 버전을 나타내는 것으로, A타입과 B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트래픽 프로그램 코드 영역은 트래픽 프로그램 식별 코드를 구분하는 영역이다. PTY 영역은 프로그램 타입(PTY) 코드 값을 지정하는 영역으로서, 뉴스, 스포츠, 음악 등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의 종류를 표시한 것이다.
세 번째 블록 및 네 번째 블록의 메시지 포맷은 두 번째 블록에서 정의하는 그룹 타입 코드의 특성에 따라 해당 정보가 입력되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그룹 타입이 0인 경우, 세 번째 블록의 정보 값 영역에는 두개의 교체 주파수 값이 기재될 수 있으며, 네 번째 정보 값 영역에는 프로그램 서비스 네임 세그먼트(Program Service Name Segment)가 기재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그룹 타입이 1인 경우, 세 번째 블록의 정보 값 영역에는 방송국이 지정하는 PI 코드가 기재될 수 있으며, 네 번째 정보 값 영역에는 해당 프로그램 서비스 네임 세그먼트가 기재될 수 있다. 네 번째 블록의 체크 영역의 마지막에는 해당 그룹의 마지막 전송 비트가 기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그룹 타입 코드 중 3B, 4B, 7B, 8B, 9B, 10B, 11A...에 해당하는 그룹 타입은 설명에서 "Open Data Applications"로 정의되는 영역이다. 즉, 상술한 그룹 타입은 사용자 또는 사업자에 의하여 별도로 지정이 가 능한 타입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그룹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을 선택하여, 세 번째 블록과 네 번째 블록에 본 발명에서 보내고자 하는 부분 데이터들을 기재하여 전송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완성 데이터로부터 파생된 다수개의 부분 데이터들을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에 나누어 기재하여 전송한 후, 수신측에서, 해당 부분 데이터들을 추출하여 완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제 적용 예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6은 본 발명의 부분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설명에서 부분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들은 4개의 블록이 하나의 그룹으로 형성되며, 하나의 그룹은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다. 즉,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는 1개의 그룹에 대응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그리고 부분 데이터들은 전체 6개의 그룹에 각각 구분되어 전송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각 부분 데이터들은 각 그룹에서 세 번째 및 네 번째에 위치하는 블록의 정보 값 영역에 기재되는 것으로 별도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블록에 해당하는 값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첫 번째 및 두 번째 블록에는 상술한 도 5의 그룹 타입 중 "Open Data Applications"에 해당하는 그룹 타입 값을 포함하는 정보들이 기재될 수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부분 데이터 들은 첫 번째 그룹의 세 번째 및 네 번째 블록에 기재된 "#5 ", 두 번째 그룹의 세 번째 및 네 번째 블록에 기재된 "WWW.", 세 번째 그룹의 세 번째 및 네 번째 블록에 기재된 "SAMS", 네 번째 그룹의 세 번째 및 네 번째 블록에 기재된 "UNG.", 다섯 번째 그룹의 세 번째 및 네 번 째 블록에 기재된 "CO.K" 및 여섯 번째 그룹의 세 번째 및 네 번째 블록에 기재된 "r#E"에 해당한다. 이러한 부분 데이터들을 조합한 완성 데이터는 "#5 "에 해당하는 값이 된다. 여기서, #5 및 #E는 부분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들을 정의하는 문법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즉, "#5"는 현재 그룹 이후의 5개의 그룹이 하나의 완성 데이터를 이루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E"는 5개의 완성 데이터의 끝을 알리는 부분임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5 에 해당하는 부분 데이터들의 조합을 수신한 경우, 앞부분과 뒷부분의 #5 및 #E를 제거하고 ""의 값만을 추출하여 완성 데이터로 인식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하나의 블록에 2개의 문자를 기재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문자의 특성 즉, 영어 또는 한국어 등의 비트 매핑에 대한 특성에 따라 더 많은 수의 문자를 기재하거나 더 적은 수의 문자를 기재할 수 도 잇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16비트 영역을 가지는 정보 영역 값에 두개의 문자를 기재하기 위하여 1개의 문자에 1byte가 대응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방송국(200)이 전송한 부분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들을 수신한 후, 해당 부분 데이터들을 추출하여 완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70)는 완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컨텐츠 제공 서버(300)에 접속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표시부(15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라디오 청취 중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150) 의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50)의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부(150)는 라디오 모듈(140) 활성화에 따른 주파수 목록을 출력한 후, 입력부(120)의 입력에 따라 특정 주파수가 선택되면, 해당 주파수에 대응되는 현재 방송 중인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에 따른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에 따른 화면은 휴대 단말기(100) 내에 기 저장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이 될 수 있다.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이 출력되는 동안 표시부(150)는 일측에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의 제목 예를 들면 "Power FM" 과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주파수 예를 들면 "107.7mhz"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50)는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들에서 추출된 부분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생성된 완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50)는 완성 데이터에 대응되는 컨텐츠 예를 들면 앨범 재킷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컨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표시된 컨텐츠는 입력부(120)에 의해 지시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컨텐츠 활성화에 따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링크가 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활성화에 따른 정보는 예를 들면, 컨텐츠 상세 정보, 컨텐츠 구매 정보, 컨텐츠 부가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시부(150)는 라디오 방송 청취 기간 중에 제어부(170)에 의해 생성된 완성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완성 데이터에 대응되는 컨텐 츠를 컨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별도의 채널 생성 없이 정해진 규격의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완성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각 구성 및 구성의 역할과 구성의 기능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설명에 앞서, 방송국(200)은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를 전송할 때, 완성 데이터를 부분으로 분할한 부분 데이터들을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의 코딩 구조에 그룹별로 기재한다. 완성 데이터는 특정 컨텐츠 예를 들면 앨범 재킷, 컨텐츠 구매 정보, 컨텐츠 상세 정보 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컨텐츠 제공 서버(300)의 인터넷 주소(URL : 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완성 데이터는 인터넷 주소뿐만 아니라 일정 길이를 가지는 문장이 될 수 도 있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먼저 방송국(200)이 S101 단계에서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들을 휴대 단말기(100)에 전송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S103 단계에서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들로부터 부분 데이터들을 추출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S101 단계에서 방송국(200)은 4개의 블록을 포함하는 하나의 그룹에 해당하는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에 있어서, 두 번째 블록 에서 정의할 수 있는 그룹 타입을 "Open Data Applications"에 해당하는 그룹 타입으로 정의하여, 세 번째 블록 및 네 번째 블록의 정보 값 영역에 미리 마련된 부분 데이터를 기재한다. 방송국(200)은 상술한 방법을 기반으로 완성 데이터를 이루는 부분 데이터들을 각각의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에 모두 기재할 수 있다. 이때, 방송국(200)은 첫 번째 그룹에서 이후 완성 데이터를 이루는 부분 데이터들을 모두 받기 위하여 몇 개의 그룹을 받아야 하는지를 알릴 수 있는 식별부호를 기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송국(200)은 부분 데이터들을 기재할 때, 마지막 부분에 부분 데이터들의 마지막임을 알 수 있는 식별부호를 기재할 수 도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는 S103 단계에서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들의 세 번째 네 번째 블록으로부터 부분 데이터들을 추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추출된 부분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완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완성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URL 정보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100)는 S103 단계에서 생성된 완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S105 단계에서 해당 컨텐츠 제공 서버(300)에 접속하고, S107 단계에서 완성 데이터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요청한다. 이에 대응하여 해당 컨텐츠 제공 서버(300)는 S109 단계에서 요청된 컨텐츠를 휴대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100)는 S105 단계에서 무선주파수부(110)를 활성화하여 해당 컨텐츠 제공 서버(300)와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 채널은 WAN, WAP 및 휴대 인터넷인 와이브로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무 선주파수부(110) 활성 및 컨텐츠 제공 서버(300)와 무선 통신 채널 형성은 라디오 모듈(140) 활성화에 관계없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싱(Background Processing)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S107 단계에서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컨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완성 데이터는 컨텐츠 제공 서버(300)에서 특정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휴대 단말기(100)는 컨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 경우, 별도의 저장 및 확인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100)는 S111 단계에서 수신된 컨텐츠를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100)는 완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라디오 표시부 일측에 표시함과 아울러, 라디오 모듈(140)로부터 수신되는 라디오 방송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라디오 방송 신호와 중첩되게 전송되는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들에 완성 데이터를 부분으로 나눈 부분 데이터들을 기재하여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데이터 서비스 신호(RDS)들로부터 부분 데이터들을 추출하여 완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완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컨텐츠 제공 서버(300)에 자동 접속하여 완성 데이터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 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RDS 구조 설명을 위한 베이스밴드 코딩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RDS 구조 설명을 위한 메시지 포맷 및 어드레싱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RDS 구조 설명 중 그룹 타입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RDS 구조 적용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표시부의 일예를 나타낸 화면 인터페이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

Claims (22)

  1. 완성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부분 데이터들로 구분하는 과정;
    구분된 부분 데이터들을 데이터 서비스 신호들에 할당하는 과정; 및
    상기 데이터 서비스 신호를 라디오 방송 신호에 중첩되게 방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과정은
    네 개의 블록을 포함하는 그룹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 신호들의 두 번째 블록에 부분 데이터들을 전송하기 위한 그룹 타입을 정의하는 과정; 및
    상기 각 그룹들에 세 번째 블록 및 네 번째 블록의 정보 값 영역에 상기 부분 데이터들을 기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송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전체 그룹들 중 첫 번째 그룹에 부분 데이터들이 기재된 전체 그룹의 개수를 기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송신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전체 그룹들 중 마지막 그룹에 상기 완성 데이터에 해당하는 부분 데이터들의 마지막을 나타내는 색인 값을 기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송신 방법.
  5. 완성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부분으로 나눈 부분 데이터들을 각각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서비스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신호들로부터 부분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추출된 부분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완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수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은
    라디오 방송 신호와 상기 데이터 서비스 신호를 중첩되게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수신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완성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완성 데이터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 아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수신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과정은
    네 개의 블록을 포함하며 하나의 데이터 서비스 신호에 대응되는 각 그룹들의 그룹 타입을 읽는 과정;
    상기 그룹 타입이 오픈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타입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 및
    상기 그룹 타입 검사 결과에 따라 상기 부분 데이터들을 상기 그룹들로부터 읽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수신 방법.
  9. 방송국이 완성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부분 데이터들로 구분하는 과정;
    상기 방송국이 구분된 부분 데이터들을 데이터 서비스 신호들에 할당하는 과정;
    상기 방송국이 상기 데이터 서비스 신호를 라디오 방송 신호에 중첩되게 방송하는 과정;
    휴대 단말기가 상기 데이터 서비스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신호들로부터 부분 데이터들 을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추출된 부분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완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과정은
    네 개의 블록을 포함하며 하나의 데이터 서비스 신호에 대응하는 각 그룹들의 두 번째 블록에 부분 데이터들을 전송하기 위한 그룹 타입을 정의하는 과정; 및
    상기 각 그룹들에 세 번째 블록 및 네 번째 블록의 정보 값 영역에 상기 부분 데이터들을 기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전체 그룹들 중 첫 번째 그룹에 부분 데이터들이 기재된 전체 그룹의 개수를 기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전체 그룹들 중 마지막 그룹에 상기 완성 데 이터에 해당하는 부분 데이터들의 마지막을 나타내는 색인 값을 기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완성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완성 데이터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과정은
    네 개의 블록을 포함하며 하나의 데이터 서비스 신호에 대응되는 각 그룹들의 그룹 타입이 오픈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타입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 및
    상기 그룹 타입에 따라, 상기 그룹들로부터 부분 데이터들을 읽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5. 완성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부분 데이터들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부분 데이터들을 데이터 서비스 신호들에 할당하며, 상기 데이터 서비스 신호를 라디오 방송 신호에 중첩되게 방송하는 방송국; 및
    상기 데이터 서비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신호들로부터 부분 데이터들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부분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완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국은
    네 개의 블록을 포함하는 그룹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 신호들의 두 번째 블록에 부분 데이터들을 전송하기 위한 그룹 타입을 정의하며, 상기 각 그룹들에 세 번째 블록 및 네 번째 블록의 정보 값 영역에 상기 부분 데이터들을 기재하여 데이터 서비스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국은
    상기 부분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전체 그룹들 중 첫 번째 그룹에 부분 데이터들이 기재된 전체 그룹의 개수를 기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국은
    상기 부분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전체 그룹들 중 마지막 그룹에 상기 완성 데이터에 해당하는 부분 데이터들의 마지막을 나타내는 색인 값을 기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완성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완성 데이터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다운로드 된 컨텐츠를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네 개의 블록을 포함하며 하나의 데이터 서비스 신호에 대응되는 각 그룹들의 두 번째 블록을 검사하여 그룹 타입이 오픈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타입인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그룹 타입이 오픈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타입인 경우, 각 그룹들의 세 번째 및 네 번째 블록에서 부분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KR1020070108782A 2007-10-29 2007-10-29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전송시스템 KR2009004311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782A KR20090043110A (ko) 2007-10-29 2007-10-29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전송시스템
EP08166575A EP2056498A3 (en) 2007-10-29 2008-10-14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radio data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782A KR20090043110A (ko) 2007-10-29 2007-10-29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전송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110A true KR20090043110A (ko) 2009-05-06

Family

ID=40352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782A KR20090043110A (ko) 2007-10-29 2007-10-29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전송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2056498A3 (ko)
KR (1) KR2009004311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60160B (zh) * 2012-05-07 2016-09-21 中国交通通信信息中心 基于卫星通信业务的rdss用户认证方法
EP3029864B1 (en) * 2014-12-01 2020-11-18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Fast representation of station information in a fm receiver using a single tuner
CN105162717B (zh) * 2015-09-21 2018-11-09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学技术大学 一种用于rdss卫星通信系统入站流量的控制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31981A1 (de) * 2000-06-30 2002-01-10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Informationen durch einen Rundfunksender, Verfahren zum Empfang von durch einen Rundfunksender ausgestrahlten Informationen,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Rundfunkempfängers und Rundfunkempfänger
KR100790121B1 (ko) 2006-05-08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 프로젝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56498A3 (en) 2012-06-20
EP2056498A2 (en) 200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7332B2 (en) Audio playlist system and method
EP2025083B1 (en) Dynamic radio data system options
CA24211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ordering and delivering media content
EP1742397A2 (en) Providing identification of broadcast transmission pieces
US8583177B2 (en) Receiver for audio player
EP1815676A1 (en) Enhancing use of media device
EP1811773A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brief information on data broadcasting service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ing terminal
US8473005B2 (en) FM transmitter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O2006097579A1 (en) Media device and method of enhancing use of media device
JP6864811B2 (ja) 放送コンテンツ再生装置
US20160381102A1 (en) Media device and method of enhancing use of media device
KR20090043110A (ko) 라디오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전송시스템
US20040014461A1 (en) Method for accessing information
US20060067260A1 (en) Updating associating data in a media device
US20060143683A1 (en) System comprising a 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JPH09238112A (ja) 情報送受信システム、その装置及び方法
US8588946B2 (en) Portable devices for providing acoustic source information, apparatuses for providing acoustic source information, and methods of providing acoustic source information
KR100818347B1 (ko) 디지털 방송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디지털방송 수신기
US20060166617A1 (en) Broadcast data processing
KR100603507B1 (ko) 부가 데이터 출력기능을 갖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기
WO2006056662A1 (en) Updating associating data in a media device
KR200334049Y1 (ko) 부가 데이터 출력기능을 갖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기
KR20040100170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GB2391754A (en)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related to a broadcast item
KR20080026672A (ko) 컨텐츠 처리를 위한 단말장치 및 그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