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3025A -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3025A
KR20090043025A KR1020070108633A KR20070108633A KR20090043025A KR 20090043025 A KR20090043025 A KR 20090043025A KR 1020070108633 A KR1020070108633 A KR 1020070108633A KR 20070108633 A KR20070108633 A KR 20070108633A KR 20090043025 A KR20090043025 A KR 20090043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d terminal
multimedia
terminal
support node
ca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5965B1 (ko
Inventor
김정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8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965B1/ko
Publication of KR20090043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17Customized ring-back 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선망(circuit network)과 패킷망(packet network) 간의 상호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망에서의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착신 이벤트 발생시 발신자가 지정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발신단말 측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발신 교환기, 발신 가입자 및 단말과 착신 가입자 및 단말에 관련된 정보들을 검색하는 홈위치등록기, 이동통신 가입자가 업로드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다가 착신단말로 스트리밍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 상기 착신단말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와 세션 설정을 위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로부터 세션 설정에 필요한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에 착신단말의 IP주소를 전달하여 상기 착신단말로 해당 컨텐츠의 스트리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패킷 관문 지원 노드, 착신교환기 및 착신단말 측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착신 이벤트 발생시 발신 가입자가 지정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착신단말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컬러링, 링백, Customized Ringing Tone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allering service}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회선망과 패킷망 간의 상호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망에서 착신단말에서의 착신 이벤트 발생시 발신 가입자가 지정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음성 호를 상기 착신단말에서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동 통신 사업자들은 링백(예컨대, 컬러링, 링투유, 링고 등)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해 왔으며, 이는 음성 통화 서비스 이용의 감소와 함께 상대적으로 높은 ARPU(Average Revenue Per Unit)를 가능하게 하였다. 멀티미디어 링백톤 또는 멀티미디어 CID(Caller ID) 서비스 등이 새로운 수익 창출 모델로서 부상하고 있으며 사업자간 상호연동성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착신자에게 특정한 발신자 정보를 할당하고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인 CRT(Customized Ringing Tone) 서비스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발신자가 전화를 걸 때, 영상명함과 같은 미리 설정한 컨텐츠가 착신자가 응답할 때까지 착신단말에 송출되고, 이때 착신단말에 송출되는 컨텐츠 미디어 타입은 오디오, 비디오 또는 이미지이다. 이와 같이 착신단말에 송출되는 미디어 타입은 단말의 능력에 따라 원 콘텐츠 미디어와의 협상이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 서비스는 발신자의 정보를 착신자에게 전달한다는 점에서, 반대로 착신자의 정보를 발신자에게 전달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와는 반대의 개념을 갖는다.
상기 정의된 CRT 서비스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에 대해 언급하면 우선 SMS(Short Message Service) 방식으로 발신자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방식이 있다. 즉, 발신단말에서 전송된 메시지가 기지국을 통해 BSC(Base Station Controller)를 거쳐서 MSC(Mobile Switching Center)로 보내어지고, SMC(SMS Message Center)에서 경로 배정을 받아 수신 단말로 전달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기존에는 SMS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여러가지 부가서비스들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들이 SMS Server에 올라가게 되었으며, CRT 서비스에 이 방식을 사용하면 SMS Server에 부하가 크게 걸릴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SMS 방식은 이동통신 망에서 음성의 링백톤이 울릴 때 SMS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으나, 호 처리의 실패율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 때문에 기술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종래 제안된 CRT 서비스 기술은 CDMA-2000과 같은 동기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착신단말과 동기 방식의 망간에 음성 및 데이터 동시전송 채널을 할 당하고 전송하여 착신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나,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과 같이 회선망(circuit network)과 패킷망(packet network) 간의 상호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컨텐츠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와 착신단말간의 세션 설정을 통해 착신단말에 음성 호 설정을 통한 착신단말의 페이징 신호와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 방법은 아직까지 제시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회선망과 패킷망 간의 상호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망에서 착신단말의 착신 이벤트 발생시 발신 가입자가 지정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음성 호와 동기화하여 상기 착신단말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제공방법은, 발신단말 측에서 착신단말 측으로 음성 호 설정을 요청하는 제1단계; 상기 발신단말 측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연결된 발신교환기가 홈위치등록기로 상기 발신단말 및 착신단말 정보를 포함한 라우팅 정보 전송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2단계;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상기 라우팅 정보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발신 가입자 정보, 착신 가입자 정보, 상기 착신단말의 패킷 교환 지원 노드 정보 및 패킷 관문 지원 노드 정보를 검색하고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로 전달하는 제3단계;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가 상기 정보들을 전달받아 상기 착신단말의 패킷 교환 지원 노드로 세션 설정과 관련한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착신단말까지 세션을 설정하고 상기 착신단말에 할당된 IP(Internet Protocol) 주소 정보를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로부터 전달받는 제4단계;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가 상기 착신단말의 IP 주소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착신 단말에서 상기 스트리밍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상기 설정된 음성 호를 동기화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가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로 상기 홈위치등록기에서 검색된 패킷 관문 지원 노드의 IP 주소 정보를 포함한 세션 설정을 위한 통지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가 상기 착신단말로 PDP Context(Packet Data Protocol Context) 활성화 요청을 주문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착신단말로부터 PDP Context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로 PDP Context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가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로 상기 착신단말에 할당된 IP 주소 정보를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로 상기 IP 주소 정보를 포함한 PDP Context 생성 응답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가 상기 착신단말로 상기 IP 주소 정보를 포함한 PDP Context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6단계에서는, 상기 음성 호 설정 과정에 따른 페이징 후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상기 착신단말로 도착한 경우, 상기 페이징 후 통화 개시 전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도착하지 않으면 먼저 착신교환기로 호 확인을 한 후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도착함과 동시에 상 기 착신단말에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페이징 후 통화 개시 전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도착하면 상기 착신단말로부터 상기 착신교환기로 호 확인을 함과 동시에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착신단말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6단계에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상기 음성 호 설정 과정에 따른 페이징보다 먼저 상기 착신단말로 도착한 경우, 착신교환기로부터 상기 착신단말로 셋업 메시지가 전달되기 전까지 상기 착신단말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버퍼링하고 상기 셋업 메시지가 전달되면 상기 착신교환기로 호 확인을 함과 동시에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착신단말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발신단말과 무선 접속하고 상기 발신단말과 코어망을 연결하는 발신단말 측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착신단말로의 음성 호 설정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발신단말 및 착신단말 정보를 포함한 라우팅 정보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고 음성 호 설정에 필요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발신교환기; 상기 발신교환기로부터 라우팅 정보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음성 호 설정에 필요한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위해 필요한 발신 가입자 정보, 착신 가입자 정보, 상기 착신 단말의 접속 노드 정보를 검색하여 전송하는 홈위치등록기; 상기 홈위치등록기로부터 수신한 정보들을 참조하여 상기 착신단말과의 세션 설정을 요청하고 상기 착신단말의 IP 주소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설정된 세션을 이용해 상기 착신단말로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의 세션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착신단말과의 세션을 설정하고 상기 착신단말의 IP 주소 정보를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로 전송하며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로부터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달하는 패킷 관문 지원 노드;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 및 상기 착신단말과 세션 설정에 필요한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로부터 전달받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착신단말로 전달하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 상기 착신단말과 무선 접속하고 상기 착신단말과 코어망을 연결하는 착신단말 측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상기 발신교환기 및 착신단말 측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음성 호 설정에 필요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착신교환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는,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의 IP 주소를 전달받은 후,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 및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를 거쳐 상기 착신단말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소스 URL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착신단말로부터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로 RTP 또는 RTCP 설정이 이루어지면,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 및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를 통하여 상기 착신단말로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발신단말 측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발신교환기, 홈위치등록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 패킷 교환 지원 노드, 착신교환기 및 착신단말 측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는, 발신단말로부터 전송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멀티미디어 컬러링으로서 제공하기 위해 착신단말의 패킷 교환 지원 노드로 상기 착신단말과의 세션 설정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착신단말의 패킷 관문 지원 노드로부터 해당 착신단말의 IP 주소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설정된 세션을 이용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해당 착신단말로 스트리밍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세션 설정을 위한 메시지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의 IP 주소 정보를 전달받은 후, 상기 착신단말의 패킷 관문 지원 노드 및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를 거쳐 상기 착신단말로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소스 URL 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착신단말로부터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로 RTP 또는 RTCP 설정이 이루어지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내의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송수신부,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 및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를 통하여 상기 착신단말로 스트리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이동국 식별 번호, 컨텐츠 주소, 착신단말 측 세션 설정을 위한 통지 요청 메시지 송신 여부, 착신단말의 IP 주소, RTP/RCTP 설정 여부 및 스트리밍 여부의 정보들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해당 착신단말로 스트리밍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신단말에서 착신 이벤트 발생시 발신 가입자가 지정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음성 호를, 상기 착신단말에서 동기화하여 컬러링으로써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이어지는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는 회선망과 패킷망 간의 상호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망의 하나인 WCDMA망의 장치 명칭 등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WCDMA망 뿐만 아니라 현재 기술 연 구가 진행되고 있거나 앞으로 개발되어 상용화될 수 있는 모든 회선망과 패킷망 간의 상호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망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발신단말(MSo)(110), 발신단말 측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o)(115), 발신교환기(MSCo)(120), 홈위치등록기(HLR)(130),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 패킷 교환 지원 노드(SGSN)(150), 패킷 관문 지원 노드(GGSN)(160), 착신교환기(MSCt)(170), 착신단말 측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t)(175) 및 착신단말(MSt)(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존의 CDMA 방식에서 WCDMA 방식으로 발전함에 따라, 대역폭이 증가함으로써 처리 이득 및 용량이 증가하게 되었고, 전력증폭기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단말기의 소비전력과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되었다. WCDMA 방식의 이런 특징들은 상대적으로 용량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컬러링으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은 WCDMA망과 같은 회선망과 패킷망 간의 상호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망에서 상기 착신단말(MSt)(180)에서의 착신 이벤트 발생시 발신 가입자가 설정한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착신단말(MSt)(180)에서 컬러링으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발신 가입자가 상기 발신단말(MSo)(110)의 통화 버튼을 누르면 상기 발신단말 측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o)(115)와 연결된 상기 발신교환기(MSCo)(120)가 상기 홈위치등록기(HLR)(130)에서 착신 가입자의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착신교환기(MSCt)(170), 상기 착신단말 측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t)(175) 및 상기 착신단말(MSt)(180)로 음성 호 설정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홈위치등록기(HLR)(130)는 상기 발신 가입자가 기존에 업로드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로 상기 발신 가입자와 상기 발신단말(MSo)(110) 및 착신 가입자와 상기 착신단말(MSt)(180)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하여,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로부터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GGSN)(160) 및 패킷 교환 지원 노드(SGSN)(150)를 거쳐 상기 착신단말(MSt)(180)까지 세션 설정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설정된 세션을 통해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로부터 상기 착신단말(MSt)(180)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스트리밍하게 되며, 음성 호 처리 과정에 따른 페이징 신호와 상기 세션을 통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상기 착신단말(MSt)(180)로 도착하는 순서를 고려하여, 상기 착신단말(MSt)(180)에서의 착신 이벤트 발생시 음성호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컬러링으로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요소 각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발신단말(MSo: Mobile Station origin)(110) 및 착신단말(MSt: Mobile Station target)(180)은 휴대폰, PDA 등의 이동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이다. 상기 발신단말(110) 및 착신단말(180)은 음성 통화뿐만이 아니라 패킷 업로드 및 다운로 드가 가능한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o: Radio Access Network origin)(115)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t: Radio Access Network target)(175)는 단말기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NodeB(NodeBo: NodeB origin, NodeBt: NodeB target) 및 무선망 제어부(RNCo: Radio Network Controller origin, RNCt: Radio Network Controller target)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발신교환기(MSCo: Mobile Switching Center origin)(120) 및 착신교환기(MSCt: Mobile Switching Center target)(170)는 일반적인 이동 전화 교환기로서 다른 교환기와 사용자 트래픽을 위한 접속점을 구성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발신교환기(120)는 홈위치등록기(130)에서의 단말 정보, 가입 서비스 정보 등의 검색을 위해 전송하는 라우팅 정보 전송(SRI: Send Routing Information) 메시지에 착신단말 및 가입자의 정보뿐만 아니라 발신단말 및 가입자의 정보까지 포함하여 전달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이동 전화 교환기와는 차이가 있다. 다만, 상기 발신교환기(120)가 상기 홈위치등록기(130)로부터 상기 발신단말(180)의 정보를 건네받아 상기 착신 교환기(170)로 음성 호 설정을 하고, 그 결과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는 것은 교환기의 본래 기능과 동일하다.
상기 홈위치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130)는 가입자의 단말기 정보, 가입 정보, 위치 정보 및 인증 기능 등을 지닌 이동 통신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이다. 상기 홈위치등록기(130)는 상기 발신단말(110) 및 착신단말(180)의 부가서비스 정보 및 패킷 교환 지원 노드(150) 정보 등을 갖고 있으며, 상기 발신교환 기(120)로부터 SRI 메시지를 전달받아 상기 발신단말(110)의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가입 여부, 상기 착신단말(180)의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 가능 여부 및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150)의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부(14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홈위치등록기(130)는 음성 신호의 처리를 위해 상기 착신교환기(175)로 PRN(Provide Roaming Number)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착신교환기(175)로부터 이동 전화가입자 로밍 번호(MSRN: Mobile Subscriber Roaming Number)를 포함한 확인 응답 메시지(PRN ack(MSRN))를 받아, 상기 발신교환기(120)로 상기 이동 전화가입자 로밍 번호를 포함한 SRI 확인 응답 메시지(SRI ack(MSRN))를 전달한다. 상기 이동 전화 가입자 로밍 번호는 착신단말(180)에 대응되는 동적 번호로서, 이 과정을 통하여 발신교환기(120)에서 착신교환기(170)로 음성호를 설정할 수 있는 번호를 할당받게 된다.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TAMC: Termination And Multimedia Controller)(140)는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가입자가 업로드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발신단말(110)로부터 상기 착신단말(180)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컬러링의 제공 요청이 있을 경우 이를 상기 착신단말(180) 쪽으로 스트리밍 하는 과정을 제어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는 상기 홈위치등록기(130)로부터 발신 가입자 정보, 착신 가입자 정보 및 상기 착신단말(180)의 패킷 교환 지원 노드(150) 정보 등을 전송받아,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150)로 상기 패킷 관 문 지원 노드(160) 정보를 포함한 세션 설정을 위한 통지 요청 메시지(Notification Request)를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패킷 지원 노드(150)와 착신단말(180) 간에 세션 설정을 위한 메시지 송수신 과정을 거친 결과 상기 패킷 지원 노드(150)로 전달된 메시지가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160)로 전달되면,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160)는 상기 착신단말(180)의 IP 주소를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로 전달하고 상기 착신단말(180)과 세션을 설정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세션이 설정되면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는 발신 가입자가 착신단말(180)로 보내고자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소스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160) 및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150)를 통하여 상기 착신단말(180)로 전달하고, 상기 착신단말(180)로부터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150) 및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160)를 통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위하여 인터넷을 통한 영상이나 음성의 스트리밍용 프로토콜(RTP: Real-time Transport Protocol / RTCP: RTP Control Protocol)의 설정 과정을 거쳐,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에 저장된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160) 및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150)를 통하여 상기 착신단말(180)로 전달하여 멀티미디어 컬러링으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이후에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150)는 데이터 패킷 전달을 담당하는 노드로서 패킷 라우팅 및 전송, 이동성 관리, 논리적 링크 관리, 인증 및 요금 부과 등의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150)는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로부터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160)의 IP 주소를 포함한 세션 설정을 위한 통지 요청 메시지를 받으면, 상기 착신단말(180)로 PDP Context(Packet Data Protocol Context) 활성화 요청을 주문하는 메시지(Request PDP context activation)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착신단말(180)로부터 PDP Context 활성화 요청 메시지(Activate PDP context Request)가 수신되면,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160)로 PDP Context 생성 요청 메시지(Create PDP Context Request)를 전달한다.
그 후,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160)로부터 착신단말(180) IP 주소 정보를 포함한 PDP Context 생성 응답 메시지(Create PDP Context Response)를 전달받아, 상기 착신단말(180)로 해당 IP 주소 정보를 포함한 PDP Context 활성화 응답 메시지(Activate PDP Context Response)를 전달한다.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160)는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기간망과 외부 패킷 데이터 망간의 접속 기능을 담당하는 노드로서, 착신 GPRS 패킷을 IP 또는 X.25와 같은 적당한 PDP 형식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160)가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150)로부터 PDP Context 생성 요청 메시지(Create PDP Context Request)를 받으면,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로 상기 착신단말(180)에 할당된 IP 주소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150)로 해당 착신단말(180)의 IP 주소 정보를 포함한 PDP Context 생성 응답 메시지(Create PDP Context Response)를 전 달하여, 상기 착신단말(180)로부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까지 세션이 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 후,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착신단말(180)로 스트리밍 되는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제공과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의 기능 순서를 표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발신 가입자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컬러링을 제공하기 위하여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발신단말(110),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115) 및 패킷 교환 지원 노드(150)를 통하여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로 전송하고,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에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게 된다(S210).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서비스에서 착신단말(180)로 제공되는 컨텐츠는 서비스 가입자가 직접 제공한 멀티미디어(음성, 이미지, 동영상 등)가 될 수 있으나, 단말기 제조사 또는 이동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가입자에게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컨텐츠가 존재하고, 특정 서비스 가입자가 업로드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또는 서비스될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기본 컨텐츠가 컬러링으로 제공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그 후, 상기 발신단말(110)로부터의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의 제공 요청 이 있으면(S220),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로부터 해당 착신단말(180)의 패킷 교환 지원 노드(150)로 패킷 관문 지원 노드(160)의 IP 주소 정보를 포함하여 세션 설정을 위한 통지 요청 메시지(Notification Request)를 전송한다(S230). 상기 단계(S220)에서 컬러링 서비스의 제공 요청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홈위치등록기(130)로부터 착신 가입자 정보뿐만 아니라 발신 가입자의 정보까지 보내오는지를 확인하거나 상기 홈위치등록기(130)로부터 해당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보내주는 방식이 될 수 있다. 상기 단계(S230)에서의 세션 설정을 위한 통지 요청 메시지의 전송 및 이후의 과정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단계(S230)에서 세션 설정을 위한 통지 요청 메시지를 상기 착신단말(180)의 패킷 교환 지원 노드(150)로 전송하고 나면 상기 패킷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는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160)로부터 상기 착신단말(180)에 할당된 IP 주소 정보를 전달받기 전까지 대기한다. 만일 상기 착신단말(180)의 IP 주소 정보가 전달되면(S240),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로부터 상기 착신단말(180)까지 세션이 설정된 것으로 보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소스 URL 정보를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160) 및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150)를 통하여 상기 착신단말(180)로 전달한다(S250). 이때, 예를 들어,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로부터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로 PDP Context 생성 응답 메시지(Create PDP Context Response)가 전달되고,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로부터 상기 착신단말로 PDP Context 활성화 응답 메시지(Activate PDP Context Response)가 전달되는 시간 을 고려하여,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로부터의 URL 정보 전달은 상기 착신단말의 IP 주소 정보가 전달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이 경우에 음성 착신 신호가 멀티미디어 패킷보다 먼저 도착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상기 일정시간을 너무 길게 설정해서는 안 된다.
이 후,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전송을 위해 인터넷을 통한 영상이나 음성의 스트리밍용 프로토콜인 RTP/RTCP의 설정을 하며(S260), 이는 실시간으로 음성이나 패킷을 송수신하기 위한 트랜스포트층의 통신 규약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로부터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 및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를 통하여 착신단말로 스트리밍되고(S270), 착신단말에서의 착신 이벤트 발생시 디스플레이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의 대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는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및 데이터베이스(330)로 구성된다.
상기 송수신부(310)는 홈위치등록기(130), 패킷 관문 지원 노드(160) 및 패킷 교환 지원 노드(150)와의 패킷 및 상기 패킷 전송을 위한 제어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상기 데이터베이스(330)는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가입자가 업로드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또는 서비스 사업자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을 저장하는 곳이다.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송수신부(310)를 통하여 상기 홈위치등록기(130)로부터 발신 가입자 정보, 착신 가입자 정보 등을 전달받으면,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로부터 착신단말(180)까지의 세션 설정을 위한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310)를 통하여 패킷 교환 지원 노드(150)로 전달한다. 이후, 상기 착신단말(180)과의 세션 설정이 확인되면 상기 발신 가입자가 상기 착신단말(180)로 전달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330)로부터 검색하여 소스 URL 정보를 상기 송수신부(310)를 통해 상기 착신단말(180)로 전달하고, 이후 RTP/RTCP의 설정이 이루어지면,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송수신부(310),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160) 및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150)를 통하여 상기 착신단말(180)로 스트리밍한다. 상기 제어부(320) 내부에는 상기 제어부(320)가 본 발명의 컬러링 서비스 제공 과정을 제어하기 위해 참조하는 테이블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한 제어 과정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 테이블(400)의 구성도이다.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 테이블(400)은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의 제어부(320)에서 본 발명의 컬러링 서비스의 제공과정을 제어하기 위해 참조하는 테이블의 한가지 예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 테이블(400)의 각 열(column)은 번호(NO.), 이동국 식별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컨텐츠 주소, 착신단말 측 세션 설정을 위한 통지 요청 메시지 송신 여부(Notification Request), 착신단말의 IP 주소, RTP/RCTP 설 정 여부, 스트리밍(Streaming) 여부의 항목을 포함한다.
상기 번호(No.) 열은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의 데이터베이스(330) 내에 저장된 각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번호이다. 이동국 식별 번호 정보를 담은 열은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가입자의 이동국 식별 번호 정보를 담고 있는 항목으로서 각 전화번호를 디지털로 표시하는 34비트(bit)이상의 숫자로 되어 있다.
상기 컨텐츠 주소 정보를 담은 열은 상기 데이터베이스(330) 내의 특정 컨텐츠 주소 정보를 담고 있으며, 착신단말로 해당 컨텐츠를 스트리밍할 때 상기 제어부(320)가 참조하게 된다. 다만, 7번 행(row)(No.7)을 보면 해당 컨텐츠 주소의 항목이 N(Negative)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가입자이지만 상기 데이터베이스(330) 내에 해당 서비스 가입자가 업로드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서비스 사업자가 설정한 기본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대신 서비스 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착신단말 측 세션 설정을 위한 통지 요청 메시지 송신 여부 정보를 담은 열은 상기 착신단말(180)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스트리밍하기 위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항목으로서, P(Positive)는 해당 메시지를 송신한 것을 N(Negative)는 그렇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착신단말(180) IP 주소를 담은 열에서 P는 패킷 호 처리를 위해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가 패킷 관문 지원 노드(160)로부터 상기 착신단말(180)의 IP 주소를 전달받았음을 나타내고, N은 그렇지 않음을 나타낸다. 이는 RTP/RTCP 설정 여부 를 나타내는 열과 스트리밍 여부를 나타내는 열에서도 동일하다.
1번 행(No.1)을 보면 011-222-3333의 전화번호를 갖는 서비스 가입자가 업로드한 멀티미디어가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의 데이터베이스(330) 내에 저장되어 있고 그 주소는 00‥‥0001임을 나타낸다. 그리고 해당 행에서 착신단말 측 세션 연결을 위한 통지 요청 메시지 송신 여부의 항목부터 스트리밍 여부의 항목까지 N으로 되어 있으므로 현재 멀티미디어 컬러링의 제공 요청이 있었거나 서비스의 제공중이 아님을 알 수 있다.
3번 행(No.3)을 보면, 착신단말 측 세션 연결을 위한 통지 요청 메시지가 송신되었고(P), 패킷 관문 지원 노드(160)로부터 해당 발신단말(110)의 IP 주소 정보를 전달받아 제공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소스 URL 정보를 착신단말(180) 쪽으로 전달하였음을 나타낸다(P). 그리고 RTP/RTCP의 설정이 아직 이루어 지지않았고(N),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착신단말(180)로 스트리밍하지 않고 있음(N)을 나타낸다.
5번 행을 보면(No.5), 보든 항목이 P(Positive)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현재 착신단말(180)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스트리밍 하여 본 발명의 컬러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리고 착신 가입자가 통화 버튼을 누르는 등의 행동을 하여 통화가 개시되면,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중지하고 해당 서비스 가입자의 이동국 식별 번호 및 컨텐츠 주소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을 N(Negative)으로 설정하여 다음 서비스 제공에 대비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와 도 6에서 점선은 음성 호 처리 과정을 나타내고, 실선은 패킷 호 처리 과정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 5는 음성 호 처리에 따른 페이징이 멀티미디어 컨텐츠보다 먼저 착신단말(MSt)(180)로 도착한 경우를 나타내고, 도 6은 반대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음성 호 처리에 따른 페이징보다 먼저 상기 착신단말(180)에 도착한 경우를 나타낸다.
두 경우에 공통되는 음성 호 처리 과정 및 패킷 호 처리 과정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발신 가입자가 발신단말(MSo)(110)로부터 상기 착신단말(180)로의 음성 통화를 시도하면, 발신단말 측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o)를 통하여 발신교환기(MSCo)(120)로 셋업(Setup)한다(S500). 이후 상기 발신 교환기(120)는 발신 가입자 정보 및 착신 가입자 정보를 포함한 SRI 메시지를 홈위치등록기(HLR)(130)로 전달한다(S501).
상기 홈위치등록기(130)는 상기 발신교환기(120)로부터 전화 번호 및 단말기 번호 등의 정보를 전달받아 발신 가입자의 부가서비스 정보, 상기 착신단말(180)의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수신 가능 여부, 착신교환기(MSCt)(170) 정보, 패킷 교환 지원 노드(SGSN)(150) 정보 및 패킷 관문 지원 노드(GGSN)(160) 정보 등을 검색하여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로 전송한다(S503). 만일 검색 결과 상기 착신단말(180)에서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를 지원할 수 없는 것으로 밝혀지면 패킷 호 처리 과정을 종료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홈위치등록기(130)는 상기 발신교환기(120)로부터 SRI 메시지를 전송받은 후 음성 호 처리를 위해 상기 검색된 착신교환기(170)로 PRN(Provide Roaming Number) 메시지를 전송한다(S521). 이후 상기 착신교환기(170)로부터 상기 홈위치등록기(130)로 이동 전화가입자 로밍 번호(MSRN) 정보를 포함한 PRN 확인 응답 메시지(PRN ack(MSRN))가 도착하면(S523), 상기 발신교환기(120)로 상기 이동 전화가입자 로밍 번호 정보를 포함한 SRI 메시지(SRI ack(MSRN))를 전송한다(S525). 상기 이동 전화가입자 로밍 번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착신단말과 매핑되는 동적 번호로서, 이를 통해 상기 발신교환기(120)로부터 상기 착신교환기(170)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홈위치등록기(130)에서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로 검색된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S503)이나, 상기 착신교환기(170)로 PRN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S521)은 설정에 따라 순서를 정할 수 있을 것이나, 패킷 호 처리 과정이 음성 호 처리 과정보다 더 많은 시간을 요구하는 경우, 상기 착신단말(180)에서의 착신 이벤트 발생과 동시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 전자(S503)의 과정이 먼저 이루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홈위치등록기(130)로부터 검색된 정보를 전달받은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는 착신단말 측 세션 설정을 위한 통지 요청 메시지(Notification Request)에 상기 홈위치등록기(130)에서 검색된 패킷 관문 지원 노드(160)의 IP 주소 정보를 첨부하여 상기 검색된 패킷 교환 지원 노드(150)로 전송한다(S505). 이후,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150)는 상기 착신단말(180)로 PDP Context 활성화 요청을 주문하는 메시지(Request PDP context activation)를 전송하고(S507),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착신단말(180)로부터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150)로 PDP Context 활성화 요청 메시지(Activate PDP context Request)가 수신되면(S509),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160)로 PDP Context 생성 요청 메시지(Create PDP Context Request)를 전달한다(S511).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160)가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150)로부터 PDP Context 생성 요청 메시지(Create PDP Context Request)를 받으면(S511),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로 상기 착신단말(180)에 할당된 IP 주소 정보를 전달하고(S513),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150)로 해당 IP 주소 정보를 포함한 PDP Context 생성 응답 메시지(Create PDP Context Response)를 전달하며(S515),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150)는 상기 착신단말(180)로 해당 IP 주소 정보를 포함한 PDP Context 활성화 응답 메시지(Activate PDP Context Response)를 전달(S517)하는 방식으로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로부터 상기 착신단말(180)까지 세션이 설정된다.
이때,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160)로부터 상기 착신단말(180)의 IP 주소를 전달받은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소스 URL 정보를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 및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를 통하여 상기 착신단말(180)로 전달한다(S519). 이때,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160)로부터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150)로 PDP Context 생성 응답 메시지(Create PDP Context Response)가 전달되고,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150)로부터 상기 착신단말(180)로 PDP Context 활성화 응답 메시지(Activate PDP Context Response)가 전 달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로부터의 URL 정보 전달은 상기 착신단말(180)의 IP 주소 정보가 전달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지금까지의 음성 호 처리 과정 및 패킷 호 처리 과정은 서로 동일하나, 이후의 과정은 상이하므로 도 5의 경우와 도 6의 경우를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 호 처리에 따른 페이징이 멀티미디어 컨텐츠보다 먼저 도착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소스 URL 정보 전달이 있은 후, 상기 발신교환기(120)로부터 상기 착신교환기(170)로 호 접속을 시도하기 위해 초기 주소 메시지(IAM: Initial Address Message)가 전달되고(S527), 상기 착신교환기(170)는 상기 착신단말(180)로 페이징을 하며(S529), 이에 따른 페이징 응답(Paging Response)이 있으면(S531), 셋업(Setup)을 하는(S533) 음성 호 처리 과정이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착신단말(180)로부터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로 RTP/RTCP 설정이 되면(S535)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착신단말(180)로 스트리밍하는 패킷 호 처리 과정(S537)이 진행된다.
이때 상기 스트리밍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음성 호를 동기화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착신단말(180)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상기 페이징 후 셋업이 되기까지 또는 셋업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상기 착신단말(180)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도착하면 상기 착신단말(180)로부터 상기 착신교환 기(170)로 호 확인(Call confirmed)을 함(S539)과 동시에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착신단말(180)에서 디스플레이하고, 반대로 상기 페이징 후 통화 개시 전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도착하지 않으면 먼저 상기 착신교환기(170)로 호 확인을 한 후(S539)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도착함과 동시에 상기 착신단말(180)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호 확인 과정(S539) 이후에 상기 착신단말(180)에서 상기 착신교환기(170)로 경고(Alert) 메시지가 전달되며(S541), 상기 착신교환기(170)는 상기 발신교환기(120)로 주소 완성 메시지(ACM: Address Complete Message)를 전달하고(S543), 상기 발신교환기(120)로부터 상기 발신단말(110)로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S545). 이후, 상기 착신단말(180)에서 상기 착신교환기(170)로 연결(Connect) 메시지가 전달되고(S547), 상기 착신교환기(170)는 상기 발신교환기(120)로 착신 접속을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ANM: Answer Message)가 전달하며(S549), 상기 발신교환기(120)로부터 상기 발신단말(110)로 연결 메시지가 전달되면(S551), 음성 통화가 시작됨과 동시에 멀티미디어 컬러링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다. 상기 경고 메시지, 주소 완성 메시지, 연결 메시지 및 응답 메시지 전송을 통한 음성 호 처리 과정은 종래의 음성 호 처리 과정과 동일하다.
도 6은 도 5와는 달리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음성 호 처리에 따른 페이징보다 먼저 도착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소스 URL 정보 전달이 있은 후(S519), 상기 착신단말(180)로부터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140)로 RTP/RTCP 설정을 하고(S627)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착신단말(180)로 스트리밍하는 패킷 호 처리 과정이 진행된다(S629). 그리고, 상기 발신교환기(120)로부터 상기 착신교환기(170)로 초기 주소 메시지(IAM: Initial Address Message)가 전달되고(S661), 상기 착신교환기(170)는 상기 착신단말(180)로 페이징을 하며(S633), 이에 따른 페이징 응답(Paging Response)이 있으면(S635) 셋업을 하는(S637) 음성 호 처리 과정이 진행된다.
이때, 예를 들어, 상기 착신교환기(170)로부터 상기 착신단말(180)로 셋업 메시지가 전달되기 전까지는 상기 착신단말(180)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버퍼링하고, 상기 셋업 메시지가 전달되면 상기 착신단말(180)로부터 상기 착신교환기(170)로 호 확인(S539)을 함과 동시에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착신단말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방법을 통해 상기 착신단말(180)에서의 착신 이벤트 발생과 동시에 멀티미디어 컬러링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상기 호 확인 과정(S539) 이후, 상기 경고 메시지, 주소 완성 메시지, 연결 메시지 및 응답 메시지 전송을 통한 음성 호 처리 과정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회선망과 패킷망 간의 상호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망에서의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가입자가 자신이 직접 제작한 음성, 이미지, 동영상 등을 착신 가입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착신 이벤트 발생시 컬러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자신의 명함이나 광고형 동영상 또는 개인적인 멀티미디어 컨텐 츠를 컬러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착신 이벤트 발생과 동시에 컬러링이 제공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의 기능 순서를 표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 테이블의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발신단말 115 : 발신단말 측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120 : 발신교환기 130 : 홈위치등록기
140 :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 150 : 패킷 교환 지원 노드
160 : 패킷 관문 지원 노드 170 : 착신교환기
175 : 착신단말 측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180 : 착신단말
310 : 송수신부 320 : 제어부
330 : 데이터베이스 400 :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 테이블

Claims (9)

  1. 발신단말 측에서 착신단말 측으로 음성 호 설정을 요청하는 제1단계;
    상기 발신단말 측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연결된 발신교환기가 홈위치등록기로 상기 발신단말 및 착신단말 정보를 포함한 라우팅 정보 전송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2단계;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상기 라우팅 정보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발신 가입자 정보, 착신 가입자 정보, 상기 착신단말의 패킷 교환 지원 노드 정보 및 패킷 관문 지원 노드 정보를 검색하고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로 전달하는 제3단계;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가 상기 정보들을 전달받아 상기 착신단말의 패킷 교환 지원 노드로 세션 설정과 관련한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착신단말까지 세션을 설정하고 상기 착신단말에 할당된 IP(Internet Protocol) 주소 정보를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로부터 전달받는 제4단계;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가 상기 착신단말의 IP 주소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착신 단말에서 상기 스트리밍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상기 설정된 음성 호를 동기화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컬러링 컨텐츠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가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로 상기 홈위치등록기에서 검색된 패킷 관문 지원 노드의 IP 주소 정보를 포함한 세션 설정을 위한 통지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가 상기 착신단말로 PDP Context(Packet Data Protocol Context) 활성화 요청을 주문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착신단말로부터 PDP Context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로 PDP Context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가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로 상기 착신단말에 할당된 IP 주소 정보를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로 상기 IP 주소 정보를 포함한 PDP Context 생성 응답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가 상기 착신단말로 상기 IP 주소 정보를 포함한 PDP Context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음성 호 설정 과정에 따른 페이징 후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상기 착신단말로 도착한 경우,
    상기 페이징 후 통화 개시 전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도착하지 않으면 먼저 착신교환기로 호 확인을 한 후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도착함과 동시에 상기 착신단말에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페이징 후 통화 개시 전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도착하면 상기 착신단말로부터 상기 착신교환기로 호 확인을 함과 동시에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착신단말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상기 음성 호 설정 과정에 따른 페이징보다 먼저 상기 착신단말로 도착한 경우,
    착신교환기로부터 상기 착신단말로 셋업 메시지가 전달되기 전까지 상기 착신단말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버퍼링하고 상기 셋업 메시지가 전달되면 상기 착신교환기로 호 확인을 함과 동시에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착신단말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제공방법.
  5. 발신단말과 무선 접속하고 상기 발신단말과 코어망을 연결하는 발신단말 측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착신단말로의 음성 호 설정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발신단말 및 착신단말 정보를 포함한 라우팅 정보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고 음성 호 설정에 필요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발신교환기;
    상기 발신교환기로부터 라우팅 정보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음성 호 설정에 필요한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위해 필요한 발신 가입자 정보, 착신 가입자 정보, 상기 착신 단말의 접속 노드 정보를 검색하여 전송하는 홈위치등록기;
    상기 홈위치등록기로부터 수신한 정보들을 참조하여 상기 착신단말과의 세션 설정을 요청하고 상기 착신단말의 IP 주소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설정된 세션을 이용해 상기 착신단말로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의 세션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착신단말과의 세션을 설정하고 상기 착신단말의 IP 주소 정보를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로 전송하며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로부터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달하는 패킷 관문 지원 노드;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 및 상기 착신단말과 세션 설정에 필요한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로부터 전달받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착신단말로 전달하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
    상기 착신단말과 무선 접속하고 상기 착신단말과 코어망을 연결하는 착신단말 측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상기 발신교환기 및 착신단말 측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음성 호 설정에 필요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착신교환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는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의 IP 주소를 전달받은 후,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 및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를 거쳐 상기 착신단말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소스 URL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착신단말로부터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로 RTP 또는 RTCP 설정이 이루어지면,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 및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를 통하여 상기 착신단말로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7. 발신단말 측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발신교환기, 홈위치등록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 패킷 교환 지원 노드, 착신교환기 및 착신단말 측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는,
    발신단말로부터 전송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멀티미디어 컬러링으로서 제공하기 위해 착신단말의 패킷 교환 지원 노드로 상기 착신단말과의 세션 설정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 고, 상기 착신단말의 패킷 관문 지원 노드로부터 해당 착신단말의 IP 주소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설정된 세션을 이용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해당 착신단말로 스트리밍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세션 설정을 위한 메시지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의 IP 주소 정보를 전달받은 후, 상기 착신단말의 패킷 관문 지원 노드 및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를 거쳐 상기 착신단말로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소스 URL 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착신단말로부터 상기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로 RTP 또는 RTCP 설정이 이루어지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내의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송수신부, 상기 패킷 관문 지원 노드 및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를 통하여 상기 착신단말로 스트리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동국 식별 번호, 컨텐츠 주소, 착신단말 측 세션 설정을 위한 통지 요청 메시지 송신 여부, 착신단말의 IP 주소, RTP/RCTP 설정 여부 및 스트리밍 여부의 정보들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해당 착신단말로 스트리밍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및 멀티미디어 제어기.
KR1020070108633A 2007-10-29 2007-10-29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1465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633A KR101465965B1 (ko) 2007-10-29 2007-10-29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633A KR101465965B1 (ko) 2007-10-29 2007-10-29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025A true KR20090043025A (ko) 2009-05-06
KR101465965B1 KR101465965B1 (ko) 2014-11-28

Family

ID=40853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633A KR101465965B1 (ko) 2007-10-29 2007-10-29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9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8065A1 (ko) * 2011-04-26 2012-11-01 Ku Kyopil 영상 콜러링 또는 광고 콘텐츠를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관리서버 제어방법
KR20160050147A (ko) * 2014-10-28 2016-05-1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발신 및 착신 컨텐츠 제공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발신 컨텐츠 전송방법 및 착신 컨텐츠 전송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724B1 (ko) * 2003-08-18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 시스템의 망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
KR20050075830A (ko) * 2004-01-17 2005-07-22 (주)디노밴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공 시스템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8065A1 (ko) * 2011-04-26 2012-11-01 Ku Kyopil 영상 콜러링 또는 광고 콘텐츠를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관리서버 제어방법
WO2012148011A1 (ko) * 2011-04-26 2012-11-01 Ku Kyopil 착신 단말에 광고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50147A (ko) * 2014-10-28 2016-05-1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발신 및 착신 컨텐츠 제공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발신 컨텐츠 전송방법 및 착신 컨텐츠 전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5965B1 (ko) 2014-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931B1 (ko) 무선 네트워크간의 음성 및 단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망연동 시스템 및 방법
US20090203365A1 (en) Method for providing a receiver's terminal with multimedia contents before a call is connected
KR20050035049A (ko)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푸쉬 투 토크 서비스를 위한호 설정 방법
EP3057280B1 (en) Multiparty call method and apparatus
KR101465965B1 (ko)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JP4463313B2 (ja) 通信制御システム、移動通信交換装置、加入者情報管理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CN100562183C (zh) 在承载网络上用于低等待业务的信令传输方法和无线通信网络
KR2005003629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중의 음성통화 요청에 대한음성통신 전환 방법 및 그 서비스 관리 시스템
EP1720324A1 (en) Data transmission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708363B1 (ko) 패킷서비스통지기능이 구비된 더불유씨디엠에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79676B1 (ko)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0923390B1 (ko) VoIP망과 WCDMA망 사이의 연동 방법
KR101104630B1 (ko)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위치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87805B1 (ko) 이동통신 데이터망을 이용한 양방향 음성통화 및음성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65091B1 (ko) 미착신 유선전화 호의 발신정보 제공 방법
KR100608285B1 (ko) 화상전화 시도시 발신 그룹별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서비스 방법
JP3922545B2 (ja) 携帯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制御方法
KR100865003B1 (ko) Volp 가입자를 위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538552B1 (ko) 착신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착신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KR101105815B1 (ko)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측 단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917927B1 (ko) Ip망의 발신 호에 대한 착신 호 전환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CN101494842A (zh) 一种2g与3g网络间彩铃互通的方法及通信装置
KR100598971B1 (ko) 패킷 구성 타입 테이블을 이용한 영상 통화 협상 방법 및그 장치
KR20050074765A (ko) 통화채널을 이용한 수신자 정보 데이터 전달 방법
KR100865380B1 (ko) 이종망 간 영상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