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2703A -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2703A
KR20090042703A KR1020080039574A KR20080039574A KR20090042703A KR 20090042703 A KR20090042703 A KR 20090042703A KR 1020080039574 A KR1020080039574 A KR 1020080039574A KR 20080039574 A KR20080039574 A KR 20080039574A KR 20090042703 A KR20090042703 A KR 20090042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ng
light
lamp
lens
lam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상
배우선
Original Assignee
엘이디라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이디라이텍(주) filed Critical 엘이디라이텍(주)
Publication of KR20090042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7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4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reflectors and ref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mounted in the vicinity, e.g. in the middle, of a rea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20Direction indicator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부를 가지는 반사부재와, 상기 반사부재 또는 반사부재가 설치되는 커버부재와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투광부를 가지는 렌즈부재와, 상기 렌즈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반사부로 광을 조사하여 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이 상기 투광부를 통하여 조사되도록 하는 램프 유니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에 발광부의 시각적인 인지력을 높일 수 있고, 표시부분에 대한 광량 분포의 편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자동차, 조명, 간접조명

Description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lamp structure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간접발광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등화장치 즉,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는 야간에 대상 물체에 대한 선명한 육안 식별을 목적으로 하는 조명기능과, 다른 차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의 주행상태를 알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신호기능을 가진다.
상기 램프 조립체 중 전조등이나 안개등은 조명에 주목적이 있으며, 방향지시등, 후미등, 제동등은 신호에 그 주목적이 있다.
이러한 자동차의 램프 조립체 중 전방에 위치되는 프론트 콤비네이션 램프는 야간운전 시에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전방을 조명하는 헤드램프와 전방 및 측방의 차량에게 앞으로 진행할 방향을 사전에 알려주는 방향지시등으로 이루어지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는 차선의 변경 시나 좌, 우회전 시 진행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방향지시등과, 자동차의 후진 시 뒤쪽의 장애물을 확인하고 또 후방에 대해 차가 후진하는 것을 알리기 위한 후진등과, 야간에 주행하거나 정지하고 있을 때 차의 존재를 뒤차에 알리는 등으로서 제동등과 겸용으로 된 적색의 후미등을 포함 한다.
상기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 중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일 실시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8-038924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는 반사경과 램프 및 램프보호렌즈를 구비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041351호에는 자동차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리플렉터가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특허 제0700203호에는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용 램프가 개시되어 있으며, 실용신안등록 제0329134호에는 동심원 패턴의 하이브리드형 차량용 램프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공개 제2002-0056534호에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자동차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램프 조립체는 발광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직접 조사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조도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어렵다. 즉, 램프와 대응되는 측에 코어부가 발생되어 발광 영역에서 균일한 조도를 유지하기 어렵다.
특히, 종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에 있어서, 야간주행 시 상시로 점등되는 미등의 경우, 원거리에서의 식별성도 높이면서 다양한 장식적 효과가 나타나도록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패턴을 기존 형식에서 탈피하여 변화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는 다양한 형상의 발광 패턴의 구현이 어렵다.
최근에는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를 이용한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 구조체가 있으나 발광다이오드에서 방사되는 광이 직접 외부로 출사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외 부에서 발광다이오드가 육안으로 식별되어 심미적으로 수려하지 못하고, 광축을 중심으로 광량 분포의 편차가 심해 시각적으로 균일한 패턴의 광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미국 특허등록 제6,851,843호에는 램프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으며, 미국 공개특허 제2002/145370호에는 자동차용 램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램프장치는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경로 상에 라이트 가이드를 설치하여 광을 집속 및 발산시키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발광조도의 균일성이나 다양한 패턴의 구현이 어렵고 이에 따른 설계의 자유도를 높이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부재를 이용하여 간접 조명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패턴의 구현이 가능하고 램프의 균일한 조도 구현이 가능한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콤비네이션 램프의 설계에 따른 자유도를 높일 수 있으며, 시각적인 인지력을 높일 수 있는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부를 가지는 반사부재와, 상기 반사부재 또는 반사부재가 설치되는 커버부재와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투광부를 가지는 렌즈부재와, 상기 렌즈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반사부로 광을 조사하여 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이 상기 투광부를 통하여 조사되도록 하는 램프 유니트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재는 상기 반사부재 또는 커버부재와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렌즈부재에는 상기 반사부로 광을 조사하는 램프 유니트가 설치되는 차광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반사부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반사부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램프 유니트가 설치되는 고정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램프 유니트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반사부재와 고정부를 통하여 외부로 방열 및 전달하기 위한 방열휜이 더 구비된다.
상기 램프 유니트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부 측으로 집속 또는 확산시키기 위한 광학렌즈 수단을 더 구비하게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렌즈부재의 투광부에는 재귀반사부 또는 광확산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램프 유니트와 대응되는 반사부재에는 광을 반사부 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유도광 반사부를 더 구비한다.
대안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부를 가지는 반사부재와, 상기 반사부재의 내면 측에 설치되는 램 프 유니트와 상기 반사부재 또는 반사부재가 설치된 커버부재와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투광부를 가지는 렌즈부재와, 상기 렌즈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 유니트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상기 반사부로 반사시켜 상기 렌즈부재의 투광부를 통하여 조사되도록 하는 내부 반사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부 반사부재는 상기 렌즈부재의 차광부와 대응되는 측에 설치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1반사부를 가지는 제1반사부재와, 상기 제1반사부재에 설치되는 램프들을 구비하여 된 스탑램프 수단과,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반사부를 가지는 제2반사부재와, 상기 제2반사부재 또는 이와 대응되는 설치되어 상기 제2반사부 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램프 유니트와, 상기 제2반사부재 또는 이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반사부를 통하여 반사되는 광이 투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광부를 가지는 렌즈부재를 포함하는 간접발광 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대안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1반사부를 가지는 제1반사부재와, 상기 제1반사부재와 결합되며 투광부를 가지는 보조렌즈부재와, 상기 보조렌즈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1반사부 측으로 광을 조사하여 상기 투광부를 통하여 광이 조사되도록 하는 램프들을 구비한 스탑램프 수단과,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반사부를 가지는 제2반사부재와, 상기 제2반사부재 또는 이와 대응되는 설치되어 상기 제2반사부 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램프 유니트와, 상기 제2반사부재 또는 이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반사부를 통하여 반사되는 광이 투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광부를 가지는 렌즈부재를 포함하는 간접발광 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는 램프 유니트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간접 조사함으로서 램프 유니트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조도를 각 발광영역에서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발광패턴의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는 전방에 위치되는 프론트 콤비네이션 램프,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자동차의 실내등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 보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조립체를 자동차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것이며, 도 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조립체를 이 실시 예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10)는 자동차(200)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반사부(21)를 가지는 반사부재(20)와, 상기 반사부재 또는 커버부재(100)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투광부(41)를 가지는 렌즈부재(40)와, 상기 반사부재(20) 또는 렌즈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반사부(21)로 광을 조사하 여 반사부(21)에 의해 반사된 광이 상기 투광부(41)를 통하여 조사되도록 하는 램프 유니트(50)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부재(100)에 설치되는 반사부재(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사 방향에 따라 복합 곡률반경 또는 복합반사면을 가지는 반사부(21)를 구비하는데, 상기 반사부재(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반사부(21)를 가지거나 상호 인접되어 연속되는 복수 개의 반사부(21)(22)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반사부재(20)는 상기 렌즈부재(40)에 형성된 투광부(41)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즉, 반사부재(20)의 반사면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찬넬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링형, 반구형, 원형, 다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반사부재(20)에 형성된 반사부(21)는 상기 램프 유니트(50)로부터 렌즈부재(40)의 투광부(41)의 각 영역으로 균일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복합 곡률을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반사부재(20)가 연속되는 두 개 이상의 반사부(21)(22)를 가지는 경우 이들의 경계부에는 램프 유니트(50)의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반사부(21)(22)나 투광부 측으로 광을 조사하기 위한 유도광 반사부(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유도광 반사부(2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의 형상 또는 볼록 반사부의 형상을 가지거나 램프 유니트(5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오목 반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의 형상은 상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간접조명을 위하여 램프 유니트(40)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간접조명을 위하여 상기 렌즈부 재(40)의 투광부(41)로 반사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렌즈부재(40)는 커버부재(100) 또는 반사부재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투광부(41)를 구비하는데, 이 투광부(51)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에 재귀반사부(42)가 더 구비된다. 상기 재귀반사부(42)는 상기 랜즈부재(40)의 내면에 난반사면을 가지는 돌기(43)들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렌즈 부재(40)의 내, 외주면에는 반사부(21)(22)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판(4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렌즈부재(40)에는 상기와 같이 반사부재(20)의 반사부(21)(22)로부터 반사되어 투과되는 투광부(41)와 램프 유니트(50)가 설치되는 차광부(45)를 구비하는데, 상기 투광부(41)는 상기 반사부의 형상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 가능하며, 상기 차광부(45)는 램프 유니트 또는 투광부(41)의 한정 영역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상기 램프 유니트(50)는 기판(51)에 설치되는 발광다이오드(52)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전구가 이용될 수 있다. 특히 투광부(41)가 상기 스트립상으로 형성된 경우, 기판이 스트립 상으로 형성되고 이에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52)가 지지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램프 유니트(50)를 이루는 발광다이오드(52)의 전면에는 광을 집속 또는 확산하기 위한 렌즈 유니트(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램프 유니트(20)는 상기 반사부(21)(22)와 대응되는 렌즈부재(40)의 차광부(45)에 설치된다. 상기 램프 유니트(20)의 설치는 상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반사부재(20)의 가장자리에 고정부를 설치하고 이 고정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는 반사부재가 금속으로 이루어진 경우 램프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도록 방열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램프 유니트(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재(40)의 내면에 별도의 고정 브라켓(55)이 설치되거나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 보였다. 여기에서 상기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는 커버부재(100)와 커버부재에 설치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반사부(21)를 가지는 반사부재(20)와, 상기 반사부재(20)의 내면측에 설치되는 램프 유니트(50)와, 상기 반사부재(20) 또는 커버부재(100)와 결합되며 투광부를 가지는 렌즈부재(40)와, 상기 렌즈부재(40)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 유니트로(50)부터 조사되는 광을 상기 반사부(21)로 반사시켜 상기 렌즈부재(40)의 투광부(41)를 통하여 조사되도록 하는 내부반사부재(60)를 구비한다.
상기 반사부재(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반사부(21)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각 반사부(21)에 각각 램프 유니트(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부재(30)는 복수 개의 투광부(35)(36)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 투광부(35)(36)는 단면이 곡면으로 형성되거나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부(35)(36)의 차광부(37)에 위 치되는 내부반사부재(60)는 투광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반사부(21)에 형성된 램프 유니트(5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상기 반사부(21)를 통하여 반사시킨 후 투광부(35)(36)로 투사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내부반사부재(60)의 내부반사면(61)은 상기 반사부재(20)의 반사부(21)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보조 반사면(61)을 구비하는데, 상기 보조 반사면(61)은 복수의 반사면을 구비하거나 복수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반사면이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시 예들에 있어서, 렌즈부재(50)에 형성된 투광부(35)(36)와 차광부는 착색시트와 차광시트가 각각 부착되거나 상기 렌즈부재(50)가 착색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 예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들을 나타내 보였다. 여기에서 상기 실시 예와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는 커버부재(100)와, 상기 커버부재(100)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1반사부를 가지는 제1반사부재(71)와, 상기 제1 반사부재(71)들이 형성된 제1반사부의 전면에 설치되는 램프(72)를 구비한 스탑램프 수단(70)과, 상기 커버부재(100)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반사부(81)를 가지는 제2반사부재(82)와, 상기 제2반사부재(82) 또는 이와 대응되는 설치되어 상기 반사부 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램프 유니트(50)와, 상기 제2반사부재 또는 이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반사부(81)를 통하여 반사되는 광이 투과하는, 적어 도 하나의 투광부(83)과 차광부(84)를 가지는 렌즈부재(85)를 포함하는 간접발광 수단(80)을 구비한다.
상기 스탑램프 수단(7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재(71)와 대응되도록 결합되며 다수의 투광부(73)와 차광부(74)를 가지는 보조 렌즈부재(75)와, 상기 보조렌즈부재(75)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반사부재의 반사부 측으로 광을 조사하여 반사된 광이 상기 투광부(73)를 통하여 투사되도록 램프들(72)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간접발광수단(80)은 상기 실시 예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반사부재의 가장자리에 경사진 고정부가 설치되고 이 고정부에 램프 유니트(5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반사부재(82)의 제2반사부(81) 가장자리의 내측과 대응되는 측의 렌즈부재에 차광부(85)를 설치하고 이의 내부에 램프 유니트(5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2반사부재는 단일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렌즈부재는 상기 커너부재(100)와 결합되어 스탑램프 수단(70)과 간접발광수단(80)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간접발광수단(80)의 제2반사부재와 대응되는 측의 렌즈부재에는 다양한 차광부를 형성하여 발광패턴을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유니트는 램프 유니트(5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직접 조사하지 않고 반사부재의 반사부에 반사시킨 후 이를 렌즈부재의 투광부를 통하여 조사시킬 수 있으므로 투광부를 통하여 조사되는 광의 조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발광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코어가 발생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자동차의 프론트 콤비네이션 램프 또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에 적용 시 투광부의 패턴을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램프 패턴의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는 자동차의 각종 램프에 적용이 가능하며, 자동차뿐만 아니라 중장비, 건설장비, 각종 투광등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가 장착된 자동차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동차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일부 절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 보인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6은 렌즈부재에 형성된 재귀반사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렌즈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렌즈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자동차용 렌즈 조립체의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Claims (11)

  1. 적어도 하나의 반사부를 가지는 반사부재와, 상기 반사부재 또는 반사부재가 설치되는 커버부재와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투광부를 가지는 렌즈부재와, 상기 렌즈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반사부로 광을 조사하여 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이 상기 투광부를 통하여 조사되도록 하는 램프 유니트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재는 상기 반사부재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재에는 상기 반사부로 광을 조사하는 램프 유니트가 설치되는 차광부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반사부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램프 유니트가 설치되는 고정부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유니트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광을 반사부측으로 집속 또는 확산시키기 위한광학렌즈수단을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
  6. 제 1항 내지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재의 투광부에는 재귀반사부 또는 광확산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유니트와 대응되는 반사부재에는 광을 반사부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유도광 반사부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
  8. 적어도 하나의 반사부를 가지는 반사부재와, 상기 반사부재의 내면 측에 설치되는 램프 유니트와 상기 반사부재 또는 반사부재가 설치된 커버부재와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투광부를 가지는 렌즈부재와, 상기 렌즈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 유니트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상기 반사부로 반사시켜 상기 렌즈부재의 투광부를 통하여 조사되도록 하는 내부 반사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
  9. 제 8항에 있어서,
    내부 반사부재에는 상기 반사부로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복수의 반사면 또는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
  10.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1반사부를 가지는 제1반사부재와, 상기 제1반사부재에 설치되는 램프들을 구비하여 된 스탑램프 수단과,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반사부를 가지는 제2반사부재와, 상기 제2반사부재 또는 이와 대응되는 설치되어 상기 제2반사부 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램프 유니트와, 상기 제2반사부재 또는 이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반사부를 통하여 반사되는 광이 투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광부를 가지는 렌즈부재를 포함하는 간접발광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
  11.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1반사부를 가지는 제1반사부재와, 상기 제1반사부재와 결합되며 투광부를 가지는 보조렌즈부재와, 상기 보조렌즈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1반사부 측으로 광을 조사하여 상기 투광부를 통하여 광이 조사되도록 하는 램프들을 구비한 스탑램프 수단과,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반사부를 가지는 제2반사부재와, 상기 제2반사부재 또는 이와 대응되는 설치되어 상기 제2반사부 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램프 유니트와, 상기 제2반사부재 또는 이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반사부를 통하여 반사되는 광이 투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광부를 가지는 렌즈부재를 포함하는 간접발광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
KR1020080039574A 2007-10-26 2008-04-28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 KR200900427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08514 2007-10-26
KR1020070108514 2007-10-2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502A Division KR20090042750A (ko) 2008-12-31 2008-12-31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703A true KR20090042703A (ko) 2009-04-30

Family

ID=40765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574A KR20090042703A (ko) 2007-10-26 2008-04-28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27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2152A2 (ko) * 2008-11-28 2010-06-03 엘이디라이텍(주)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2152A2 (ko) * 2008-11-28 2010-06-03 엘이디라이텍(주)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
WO2010062152A3 (ko) * 2008-11-28 2010-09-10 엘이디라이텍(주)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65539B (zh) 车辆用前照灯
JP2006236588A (ja) 光照明装置及び車両用灯具
US11168860B1 (en) Automotive lamp
KR101381862B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WO2021172134A1 (ja) 車両用灯具
KR20170001109U (ko) 차량용 램프
KR101342060B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20150004646U (ko) 차량용 램프
KR20090042703A (ko)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
KR20140133063A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101500387B1 (ko) 헤드 라이트 모듈
KR101074156B1 (ko)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
KR101011819B1 (ko) 차량용 엘이디등의 렌즈
KR20090042750A (ko)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
KR200481980Y1 (ko) 차량용 램프
KR101416469B1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KR101987295B1 (ko) 차량용 램프
KR20160115388A (ko) 차량용 램프
KR100747025B1 (ko) 헤드램프용 비구면 렌즈
KR101807120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1735637B1 (ko) 차량용 램프
CN220338283U (zh) 车辆用灯具
KR20150068143A (ko) 차량용 헤드 램프
EP3620329B1 (en) Vehicle lamp assembly
CN216591515U (zh) 车灯和代步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204

Effective date: 2009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