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1736A - Sliding apparatus and handy terminal including the slid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Sliding apparatus and handy terminal including the slid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1736A
KR20090041736A KR1020070107392A KR20070107392A KR20090041736A KR 20090041736 A KR20090041736 A KR 20090041736A KR 1020070107392 A KR1020070107392 A KR 1020070107392A KR 20070107392 A KR20070107392 A KR 20070107392A KR 20090041736 A KR20090041736 A KR 20090041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urface
fixed body
fixture
sliding
movab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3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상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아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to KR1020070107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1736A/en
Priority to PCT/KR2008/006289 priority patent/WO2009054692A2/en
Publication of KR20090041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73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 slide device including a guide plate an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to slide the moving body of the mobile terminal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fixture. A fixed body(40) includes guide surfaces. A moving body(20) is connected in fixture. The moving body slides according to one-way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xture. One end of a resilient unit(60) is connected to the fixture. The other end of the resilient unit is connected to the moving body. The resilient unit provides the elastic force. The moving body moves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fixture. The other end of the resilient unit slides according to the guide plate.

Description

미끄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sliding apparatus and handy terminal including the sliding apparatus}Sliding apparatus and handy terminal including the sliding apparatus}

본 발명은 미끄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내면을 가지는 미끄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ing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ding device having a guide surface an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플립형 휴대 단말기 이후 폴더형 휴대 단말기들이 휴대 단말기 시장을 장악한 후로 휴대 단말기 시장에서 폴더형을 제외하고 다른 형태의 휴대 단말기를 찾아보기 힘든 상황에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는 최근 휴대 단말기 시장에서 새로운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Since the folding portable devices dominated the portable device market and it is difficult to find other types of portable devices except the folding type in the portable device market, the slide portable device has recently been given a new blast in the mobile device market. It's happening.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부나 액정화면 등이 서브본체에 서랍형식으로 결합된 것으로, 사용되지 않을 때는 닫힌 상태가 되고, 사용될 때에는 서브바디가 슬라이드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높인 것이다.In the slide-type portable terminal, a key input unit, a liquid crystal screen, or the lik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ombined with a sub-body in the form of a drawer, and when not in use, the slide-type portable terminal is closed, and when used, the sub-body slides to increase convenience of use.

이러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는 무선으로 문자메시지와 음악, 영상 등 각종데이터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게 해주는 블루투스(Bluetooth)의 기술도입으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가 완전 분리된 상태에서도 연동되어 화상통화 등이 가능하 도록 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의 활용범위를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2004-0056974호는 이와 같은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The slide-type portable terminal is a Bluetooth (Bluetooth) technology that allows to exchange various messages such as text messages, music, video, etc. wirelessly, and video calls, etc. are possible even when the slide-type portable terminal is completely separated. By doing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dramatically change the application range of the slide-type portable terminal.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56974 describes such a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in detail.

본 발명의 목적은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는 미끄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 device that can operate smoothly an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하로 미끄럼 운동할 수 있는 미끄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 device capable of sliding up and down an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Still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의하면, 안내면을 가지는 고정체; 상기 고정체에 체결되어 일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체의 일단 및 타단을 향해 미끄럼이동하는 이동체; 그리고 상기 고정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이동체에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이동체가 상기 고정체의 일단 및 타단을 향해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유닛의 타단은 상기 안내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xed body having a guide surface; A movable body fastened to the fixed body and sliding towar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xed body along one direction; And an elastic uni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xed bod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movable body, the elastic unit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move toward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xed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unit has the guide surface. To slide along.

상기 안내면은 상기 일방향과 대체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 안내면; 그리고 상기 제1 안내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안내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안내면은 상기 고정체의 내측을 향해 상향경사진 상승부와 상기 상승부로부터 하향경사지도록 연장된 하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surface is a first guide surface dispos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one direction; And a second guide surface extending from the first guide surface, wherein the second guide surface may include an upwardly inclined upward por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fixture and a downwardly extended portion downwardly inclined from the elevated portion.

상기 이동체는 상기 탄성유닛의 타단이 상기 이동체의 내측을 향해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가질 수 있다.The movable body may have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unit to move toward the inside of the movable body.

상기 고정체는 미끄럼홈을 가지며, 상기 안내면은 상기 미끄럼홈 상에 제공될 수 있다.The fixture has a sliding groove, and the guide surface may be provided on the sliding groove.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는 제1 몸체 상에 실장되며, 안내면이 형성되는 고정체; 제2 몸체 상에 실장되며, 상기 고정체에 체결되어 일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체의 일단 및 타단을 향해 미끄럼이동하는 이동체; 그리고 상기 고정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이동체에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이동체가 상기 고정체의 일단 및 타단을 향해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면은 상기 일방향과 대체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 안내면; 그리고 상기 제1 안내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안내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안내면은 상기 고정체의 내측을 향해 상향경사진 상승부와 상기 상승부로부터 하향경사지도록 연장된 하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체는 상기 탄성유닛의 타단이 상기 이동체의 내측을 향해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가진다. 상기 고정체는 미끄럼홈을 가지며, 상기 안내면은 상기 미끄럼홈 상에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a first body and has a guide surface formed thereon; A movable body mounted on a second body and fastened to the fixed body and sliding towar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xed body along one direction; And an elastic uni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xed bod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movable body, the elastic unit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move toward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xed body, and the guide surface is substantially parallel with the one direction. A first guide surface disposed; And a second guide surface extending from the first guide surface, wherein the second guide surface includes an upwardly inclined upward portion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fixture and a downwardly extended portion downwardly inclined from the elevated portion. It has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unit to move toward the inside of the moving body. The fixture has a sliding groove, and the guide surface may be provided on the sliding groove.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체는 고정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미끄럼이동할 수 있다. 또한, 고정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미끄럼이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body can slide smooth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body. Moreover, it can slide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fixtur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 of each elemen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more clear description.

한편, 이하에서는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미끄럼 장치를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미끄럼 장치를 사용하는 다양한 제품에 응용될 수 있다.Meanwhile, hereinafter, a sliding device will be described using a portable terminal as an example, but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products using the slid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이동체(20) 및 고정체(4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ight side view of FIG. 3 to 5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body 20 and the fixed body 40.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2)는 키패드(도시안됨)가 마련되는 제1 몸체(14)와, 디스플레이(도시안됨)가 마련되는 제2 몸체(16)를 구비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몸체(16)에도 필요한 버튼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몸체(14)와 제2 몸체(16)는 미끄럼 장치(10)에 의해 포개져서 결합되어 이동축선(100)을 따라 서로 상대적으로 미끄럼 운동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portable terminal 12 includes a first body 14 provided with a keypad (not shown) and a second body 16 provided with a display (not shown). As shown, the required button may also be provided to the second body 16. The first body 14 and the second body 16 are folded and coupled by the sliding device 10 so as to slide relative to each other along the movement axis 100.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장치(10)는 휴대 단말기(12)의 제1 몸체(14)에 연결되는 이동체(20)와, 휴대 단말기(12)의 제2 몸체(16)에 연결되는 고정체(40)와, 탄성부재(60)를 구비한다. 고정체(40)는 대체로 직사각형의 판상이며, 고정체(40) 상에는 이동체(20)가 결합된다. 이동체(20)는 대체로 'ㄷ'자 형상 의 판상이며, 고정체(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축선(100)을 따라 미끄럼이동한다.2 and 3,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 includes a movable body 20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4 of the portable terminal 12, and a second body 16 of the portable terminal 12. It is provided with a fixed body 40 and an elastic member 60 connected to. The stationary body 40 is generally rectangular in plate shape, and the movable body 20 is coupled to the stationary body 40. The movable body 20 is generally 'c' shaped plate-like, and slides along the moving axis 100 in a state coupled to the fixed body (40).

한편, 고정체(40)는 제1 및 제2 안내면(144,146)을 가진다. 고정체(40)는 함몰되어 대체로 사각 형상을 가지는 중앙부와, 중앙부의 둘레에 배치되어 중앙부보다 융기된 가장자리부를 가진다. 따라서, 중앙부와 가장자리부는 단차지며, 단차진 부분(특히, 후술하는 힌지(64a)가 위치하는 부분)의 측벽에 제1 및 제2 안내면(144,146)이 제공된다. 제1 안내면(144)은 이동축선(100)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 형상이며, 제2 안내면(146)은 제1 안내면(144)으로부터 연장되는 원호(arc) 형상이다. 제2 안내면(146)은 이동축선(100)의 방향에 대해 상승하는 상승부와 하강하는 하강부를 가진다. 또한, 고정체(40)와 이동체(20)는 탄성유닛(60)을 통해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xed body 40 has first and second guide surfaces 144 and 146. The fixture 40 is recessed and has a central portion having a generally rectangular shape and an edge portion disposed around the central portion and raised from the central portion. Accordingly, the center portion and the edge portion are stepped, and the first and second guide surfaces 144 and 146 are provided on the side walls of the stepped portion (particularly, the portion where the hinge 64a described later is located). The first guide surface 144 has a linear shape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axis 100, and the second guide surface 146 has an arc shape extending from the first guide surface 144. The second guide surface 146 has a rising portion and a falling portion that ris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axis 100. In addition, the fixed body 40 and the movable body 20 are connected through the elastic unit 60.

탄성유닛(60)은 하우징(62)과 제1 및 제2 탄성바(64,66)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탄성바(64,66)의 일단은 하우징(62) 내에 삽입설치되며, 제1 및 제2 탄성바(64,66)의 일단에는 탄성체(도시안됨)가 각각 설치된다. 제1 탄성바(64)의 일단은 고정체(40) 상에 형성된 제1 및 제2 안내면(144,146)과 이동체(20) 상에 형성된 가이드홈(22)에 힌지(64a)를 통해 연결된다. 가이드홈(22)은 제1 안내면(144)과 대체로 수직하도록 배치된다. 힌지(64a)는 제1 및 제2 안내면(144,146)을 따라 미끄럼이동하며, 가이드홈(22)을 따라 이동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 탄성바(66)의 일단은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체(40) 상에 힌지연결된다.The elastic unit 60 includes a housing 62 and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64 and 66.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64 and 66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62, and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64 and 66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not shown).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bar 64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guide surfaces 144 and 146 formed on the fixed body 40 and the guide groove 22 formed on the movable body 20 through the hinge 64a. The guide groove 22 is disposed to be gener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guide surface 144. The hinge 64a slides along the first and second guide surfaces 144 and 146 and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22. Details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One end of the second elastic bar 66 is hinged on the fixture 40 to be rotatable.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미끄럼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고정체(40)가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체(20)가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동체(20)의 이동은 고정체(40)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이므로, 고정체(40)의 고정 및 이동체(20)의 이동은 이동체(20)의 고정 및 고정체(40)의 이동으로 바꾸어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liding device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Hereinafter, the movable body 20 is moved while the fixed body 40 is fixed. However, since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ody 20 is relative to the fixed body 40, the fixed body 40 is fixed and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ody 20 can be understood by changing the fixation of the movable body 20 and the movement of the fixed body 40. Such details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몸체(14)와 제2 몸체(16)가 나란하게 포개진 경우를 설명한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64a)는 제2 안내면(146)과 만나는 제1 안내면(144)의 일단에 위치함과 동시에, 가이드홈(22) 상에 위치한다.First, as shown in FIG. 2, a case in which the first body 14 and the second body 16 are stacked side by side will be describe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the hinge 64a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first guide surface 144 that meets the second guide surface 146 and is positioned on the guide groove 22.

다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몸체(14)가 이동축선(100)을 따라 제2 몸체(16)로부터 하강한 경우를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몸체(14)가 하강할 경우, 제1 몸체(14)에 연결된 이동체(20)는 제2 몸체(16)에 연결된 고정체(40)를 따라 하부로 이동하며, 힌지(64a)는 제1 안내면(144)을 따라 하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하우징(62)과 제1 및 제2 탄성바(64,66)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몸체(14)와 제2 몸체(16)가 나란하게 포개지는 경우, 이동체(20) 및 힌지(64a)는 도 3에 도시한 위치로 복귀한다. 특히, 힌 지(64a)가 제2 안내면(146)과 만나는 제1 안내면(144)의 일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힌지(64a)는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다. 힌지(64a)가 제2 안내면(146)을 통해 이동하기 위해서는 제2 안내면(146)의 상승부를 따라 상승하는 과정과, 힌지(64a)가 가이드홈(22)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Next, as shown in FIG. 1, the case where the first body 14 descends from the second body 16 along the moving axis 10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4, when the first body 14 descends, the movable body 20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4 moves downward along the fixture 40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16. The hinge 64a moves downward along the first guide surface 144. Thus, the housing 62 and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64, 66 rotate clockwise. Again, when the first body 14 and the second body 16 are stacked side by side as shown in FIG. 2, the movable body 20 and the hinge 64a return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In particular, with the hinge 64a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first guide surface 144 that meets the second guide surface 146, the hinge 64a can no longer move. In order for the hinge 64a to move through the second guide surface 146, a process of ascending along the elevation of the second guide surface 146 and a process of moving the hinge 64a along the guide groove 22 are additionally required. .

다음, 도 1에 도시한 것과 반대로, 제1 몸체(14)가 이동축선(100)을 따라 제2 몸체(16)로부터 승강한 경우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몸체(14)가 승강할 경우, 힌지(64a)는 가이드홈(22)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며, 제2 안내면(146)의 상승부를 따라 이동한다. 이후, 다시 가이드홈(22)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며, 제2 안내면(146)의 하강부를 따라 이동한다.Next, a case where the first body 14 is lifted from the second body 16 along the moving axis 100 will be described as opposed to that shown in FIG. 1. As shown in FIG. 5, when the first body 14 moves up and down, the hinge 64a moves to the left along the guide groove 22 and moves along the rising portion of the second guide surface 146. Thereafter, the guide plate 22 moves to the right along the guide groove 22 and moves along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guide surface 146.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20) 및 고정체(4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내용과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6 to 8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body 20 and the fixed body 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only portions that differ from the cont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will be described.

앞서 설명한 바와 달리, 고정체(40)는 평판 형상이며, 고정체(40) 상에는 제1 및 제2 미끄럼홈(44,46)이 형성된다. 제1 미끄럼홈(44)은 이동축선(100)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 형상이며, 제2 미끄럼홈(46)은 제1 미끄럼홈(44)으로부터 연장되는 원호(arc) 형상이다. 제2 미끄럼홈(46)은 이동축선(100)의 방향에 대해 상승하는 상승부와 하강하는 하강부를 가진다.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제1 안내면(144)은 제1 미끄럼홈(44)의 양측벽에 제공되며, 제2 안내면(146)은 제2 미 끄럼홈(46)의 양측벽에 제공된다. 힌지(64a)는 제1 및 제2 미끄럼홈(44,46) 내에 삽입설치되며, 제1 미끄럼홈(44) 내의 제1 안내면(144) 및 제2 미끄럼홈(46) 내의 제2 안내면(146)을 따라 미끄럼이동한다. 힌지(64a)의 이동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5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대체한다.Unlike the above description, the fixture 40 has a flat plate shape, and first and second sliding grooves 44 and 46 are formed on the fixture 40. The first sliding groove 44 has a linear shape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axis 100, and the second sliding groove 46 has an arc shape extending from the first sliding groove 44. The second sliding groove 46 has a rising portion and a falling portion that ris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axis 100. The first guide surface 144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is provided on both side walls of the first sliding groove 44, and the second guide surface 146 is provided on both side walls of the second sliding groove 46. . The hinge 64a is inserted into and installed i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grooves 44 and 46, and the first guide surface 144 in the first sliding groove 44 and the second guide surface 146 in the second sliding groove 46. Slid along). The movement of the hinge 64a is shown in FIGS. 6 to 8, which are replaced b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FIGS. 3 to 5.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ther forms of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spirit and scope of the claims set forth below are not limited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2 is a right side view of FIG. 1.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및 고정체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to 5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body and the fixe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및 고정체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to 8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body and the fixed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 미끄럼 장치10: sliding device

12 : 휴대 단말기12: mobile terminal

14 : 제1 몸체14: first body

16 : 제2 몸체16: second body

20 : 이동체20: moving object

40 : 고정체40: fixed body

60 : 탄성유닛60: elastic unit

Claims (6)

안내면을 가지는 고정체;A fixture having a guide surface; 상기 고정체에 체결되어 일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체의 일단 및 타단을 향해 미끄럼이동하는 이동체; 및A movable body fastened to the fixed body and sliding towar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xed body along one direction; And 상기 고정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이동체에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이동체가 상기 고정체의 일단 및 타단을 향해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유닛을 포함하며,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xed body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movable body, and the elastic unit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move toward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xed body, 상기 탄성유닛의 타단은 상기 안내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장치.The other end of the elastic unit is sli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sliding along the guide surfa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안내면은,The guide surface, 상기 일방향과 대체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 안내면; 및A first guide surface dispos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one direction; And 상기 제1 안내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안내면을 포함하며,A second guide surface extending from the first guide surface, 상기 제2 안내면은 상기 고정체의 내측을 향해 상향경사진 상승부와 상기 상승부로부터 하향경사지도록 연장된 하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장치.The second guide surface is a sli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ising portion inclined up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fixture and a lower portion extending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ris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이동체는 상기 탄성유닛의 타단이 상기 이동체의 내측을 향해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장치.And the movable body has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unit to move toward the inside of the movable body.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고정체는 미끄럼홈을 가지며, 상기 안내면은 상기 미끄럼홈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장치.And the fixed body has a sliding groove, and the guide surface is provided on the sliding groove. 제1 몸체 상에 실장되며, 안내면이 형성되는 고정체;A fixture mounted on the first body and having a guide surface formed thereon; 제2 몸체 상에 실장되며, 상기 고정체에 체결되어 일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체의 일단 및 타단을 향해 미끄럼이동하는 이동체; 및A movable body mounted on a second body and fastened to the fixed body and sliding towar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xed body along one direction; And 상기 고정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이동체에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이동체가 상기 고정체의 일단 및 타단을 향해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유닛을 포함하고,An elastic uni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xed bod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movable body, the elastic unit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move toward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xed body, 상기 안내면은,The guide surface, 상기 일방향과 대체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 안내면; 및A first guide surface dispos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one direction; And 상기 제1 안내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안내면을 포함하며,A second guide surface extending from the first guide surface, 상기 제2 안내면은 상기 고정체의 내측을 향해 상향경사진 상승부와 상기 상승부로부터 하향경사지도록 연장된 하강부를 포함하며,The second guide surface includes an upwardly inclined upward por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fixture and a downwardly extended portion downwardly inclined from the elevated portion, 상기 이동체는 상기 탄성유닛의 타단이 상기 이동체의 내측을 향해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mobile terminal has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unit to move toward the inside of the mobile unit.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고정체는 미끄럼홈을 가지며, 상기 안내면은 상기 미끄럼홈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fixed body has a sliding groove, and the guide surface is provided on the sliding groove.
KR1020070107392A 2007-10-24 2007-10-24 Sliding apparatus and handy terminal including the sliding apparatus KR20090041736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392A KR20090041736A (en) 2007-10-24 2007-10-24 Sliding apparatus and handy terminal including the sliding apparatus
PCT/KR2008/006289 WO2009054692A2 (en) 2007-10-24 2008-10-24 Sliding apparatus and handy terminal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392A KR20090041736A (en) 2007-10-24 2007-10-24 Sliding apparatus and handy terminal including the slid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736A true KR20090041736A (en) 2009-04-29

Family

ID=40580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392A KR20090041736A (en) 2007-10-24 2007-10-24 Sliding apparatus and handy terminal including the sliding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041736A (en)
WO (1) WO2009054692A2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2428B2 (en) * 2003-11-25 2009-04-08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0661572B1 (en) * 2004-12-24 2006-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Sliding module of slide typ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100698250B1 (en) * 2005-03-08 2007-03-21 (주)하이텍파츠 Slider assembly for sliding-type moblie phone
WO2006098590A1 (en) * 2005-03-16 2006-09-21 Jong Chul Choo Slid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54692A2 (en) 2009-04-30
WO2009054692A3 (en)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2520Y1 (en) Sliding typ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use in portable telephone
KR100751939B1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RE47957E1 (en) Keyswitch, keyboard and keyswitch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262202A1 (en) Slidable-turnable attachment unit
KR20150135731A (en) Hing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it
KR100761527B1 (en) Apparatus sliding of cellular phone
KR101207203B1 (en) Hing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KR20090041736A (en) Sliding apparatus and handy terminal including the sliding apparatus
KR101029809B1 (en) A Slide Type Mobile Phone
US20080259535A1 (en) Sliding open/closed device
KR100692715B1 (en) Slide module and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721178B1 (en) Slid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KR100945481B1 (en) Pad pop-up device and using portable terminal
KR100967382B1 (en) Hinge Module
KR100761274B1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20136616A (en) Personal portable device capable of multiple opening and closing
US20110299230A1 (en) Relative movement urg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relative movement urging device
KR200375908Y1 (en) A hand slide module of slide type mobile terminal
KR101008701B1 (en) Sliding apparatus for potable device
KR20100103965A (en) Sliding apparatus for potable device
KR101062689B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1264732B1 (en) Personal portable device capable of multiple opening and closing
KR101103021B1 (en) A slide open-close device for mobile phone
KR20090071849A (en) Slide hinge apparatus for cellular phone
KR100987405B1 (en) sliding hinge apparatus and handy terminal including the sliding hing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819

Effective date: 2010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