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1578A -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분골매장 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분골매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1578A
KR20090041578A KR1020070107168A KR20070107168A KR20090041578A KR 20090041578 A KR20090041578 A KR 20090041578A KR 1020070107168 A KR1020070107168 A KR 1020070107168A KR 20070107168 A KR20070107168 A KR 20070107168A KR 20090041578 A KR20090041578 A KR 20090041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settle
guide tube
ground
e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종인
Original Assignee
수원시시설관리공단
문종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원시시설관리공단, 문종인 filed Critical 수원시시설관리공단
Priority to KR1020070107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1578A/ko
Publication of KR20090041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8Memorials for cremation a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분골 매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흙속에 소정 깊이로 매설되어 내부에 분골(1a~1n)이 순차 적층 안치되며, 분골 안치 후 분골만 흙속에 매장 상태로 남기고 흙속에서 지면 밖으로 빼내져 제거되는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는 한 구 이상의 분골이 적층 안치되도록 중앙이 관통된 분골 안치 홀(101)이 형성된 관 형상의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과;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이 흙속에서 지면 밖으로 용이하게 빼내져 제거되게 유동 공간(D)이 확보되도록 중앙에 관통공(201)이 형성되어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 플랜지(200)와; 상기 상부 플랜지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뚜껑(3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분골만 흙속에 매장 상태로 남기고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를 손쉽게 흙속에서 지면 밖으로 용이하게 빼내 제거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최소의 분골 매장 면적에 분골을 매장할 수 있으면서도 오염 발생이 없는 친환경 자연장지를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친환경 자연장, 분골 안치 구조체, 분골 안치 가이드관

Description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분골 매장 방법{STRUCTURE FOR LAYING ASHES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NATURAL FUNERAL AND METHOD FOR BURYING ASH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 구의 분골을 흙속에 소정 깊이로 매설되어 있는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에 순차 적층 안치한 후 분골만 흙속에 매장 상태로 남기고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분골 안치를 위한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를 손쉽게 흙속에서 지면 밖으로 용이하게 빼내 제거할 수 있어 최소의 분골 매장 면적에 친환경 자연장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장묘 방법은 시신을 매장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져 왔고, 최근에는 화장 방법이 매장을 앞질러 화장 문화가 정착되기 시작했다.
그 일환으로 나무가 봉분의 역할을 하는 수목장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나무 1그루에 한 구의 분골만 매장하는 경우가 많아 고가의 나무 비용과 토지가격으 로 장례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법으로 화초, 잔디 등으로 된 지면 땅속에 분골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일정한 깊이로 구덩이를 굴착해 분골을 뿌려 흙을 덮어 매장하는 친환경 자연장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공설 및 사설 자연장지에 별도의 추모관을 설치하여 조문을 하고, 분골은 자연장지에 적소에 구분없이 매장하는 친환경 자연장 방법이 권장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도시 안함)는 한 구의 분골이 안치되는 분골함체가 고분해성분의 물질로 형성되어 소정 깊이의 흙속에 매장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는 수백 제곱미터 이상의 면적을 미리 조성하여 운영하는 공설 및 사설 자연장지에 분골을 매장할 때 고분해성분의 물질로 된 분골함체를 구입해야 하고, 한 구덩이의 땅속에 수 구의 분골을 적층 매장할 수 없어 소요 면적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설 및 사설 자연장지에 거의 매일 수 구의 분골이 도착할 때마다 분골 매장을 위해 작업자가 굴착기로 자연장지의 지면을 소정 깊이로 굴착해 구덩이를 파야하기 때문에 주변에 조성된 잔디가 훼손되고, 조문을 위해 방문한 조문객들에게 곳곳의 분골 매장 작업을 위한 파헤쳐진 구덩이가 보여져 차분한 조문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이 잔디 등으로 조성된 자연장지의 소정 간격으로 이격 구획된 분골 매장 적소에 미리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과 상부 플랜지(200)와 뚜껑(300)으로 구성된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를 매설함으로써, 분골이 도착할 때마다 용이하게 수 구의 분골(1a~1n)을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에 순차 적층 안치한 후 분골만 흙속에 매장 상태로 남기고 손쉽게 지면 밖으로 빼내져 제거되어 최소의 분골 매장 면적에 친환경 자연장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 구 이상의 분골이 적층 안치되는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을 몸체 외측면이 하방으로 좁아지게 경사진 상광하협 형상으로 형성하고,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의 상부에 상부 플랜지(200)를 장착한 후 흙속에 매설된 상태에서 탈거되어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의 상부가 흙속에 매설되지 않고 노출된 상태의 유동 공간(D)이 확보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흙속에 매설된 상태에 있으면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분골 안치를 위한 구조체를 손쉽게 흙속에서 지면 밖으로 용이하게 빼내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흙속에 소정 깊이로 매설되어 내부에 분골(1a~1n)이 순차 적층 안치되며, 분골 안치 후 분골만 흙속에 매장 상태로 남기고 흙속에서 지면 밖으로 빼내져 제거되는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로, 한 구 이상의 분골이 적층 안치되도록 중앙이 관통된 분골 안치 홀(101)이 형성된 관 형상의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과;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이 흙속에서 지면 밖으로 용이하게 빼내져 제거되게 유동 공간(D)이 확보되도록 중앙에 관통공(201)이 형성되어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 플랜지(200)와; 상기 상부 플랜지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뚜껑(300)을 포함하여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는 자연장지에 분골이 도착할 때마다 각각의 수 구의 분골을 용이하게 흙속에 소정 깊이로 매설되어 있는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에 순차 적층 안치한 후 분골만 흙속에 매장 상태로 남기고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합성수지재 및 금속재 등으로 이루어져 분골 안치를 위한 구조체를 손쉽게 흙속에서 지면 밖으로 용이하게 빼내 제거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최소의 분골 매장 면적에 수 구의 분골을 매장할 수 있으면서도 오염 발생이 없는 친환경 자연장지를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분골 매장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가 매설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는 합성수지재 및 금속재 등으로 형성된 흙속에 매설된 상태에 있으면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분골 안치를 위한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과, 상부 플랜지(200)와, 뚜껑(300)으로 구성된 구조체이다.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은 일례로 길이(깊이) 1m 기준으로 열 구의 분골이 안치될 수 있으며, 중앙에는 분골 안치 홀(101)(공간)이 형성되고, 몸체 내측면 상부에는 결합 가이드홈(102)이, 몸체 외측 상부에는 걸림턱(103)이, 몸체 상면에는 볼트 체결홈(108)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플랜지(200)는 탈거가 용이하게 지면으로부터 낮은 깊이에 위치되 며, 중앙에 관통공(201)이, 상면에는 오목한 뚜껑 안착부(203)가, 테두리 내측에는 수 개의 손잡이 홈(205)이 형성된다.
상기 뚜껑(300)은 상면이 지면에 노출되며, 상면에는 오목한 잔디 식재부(301)가,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결합 헤더(302)가 결합 헤더(302)의 외측면 일측에는 수 개의 결합턱(303)이, 테두리 일측에는 고정 볼트(346)가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의 몸체 상면의 볼트 체결홈(108)에 볼트 고정되게 삽입 통과되도록 고정 볼트 삽입공(340)이 형성된다. 그리고, 테두리 일측에는 수 개의 뚜껑 손잡이 슬라이드 홈(350)이 형성되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뚜껑 손잡이(352)가 삽입된 후 양단 하부에 형성된 볼트부(353)에 너트(356)가 체결되어 뚜껑 손잡이(352)가 지면 상부 및 원위치로 슬라이드 돌출 및 하강 이동된다.
도 2b는 도 2a의 뚜껑 대신 지면 다짐시 평판 블록형 뚜껑이 임시로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즉,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 다짐 롤러(도시 안함)로 지면을 평탄하게 다질 때(지면 다짐 공정) 도 2a의 뚜껑(300) 상면이 파손되지 않도록 상면이 평탄한 지면 다짐용 평판 블록형 뚜껑(390)이 임시로 상기 상부 플랜지(200) 상부의 뚜껑 안착부(203)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평판 블록형 뚜껑(390)의 상면에는 손잡이 홈(391)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의 뚜껑이 탈거된 상태에서 분골 안치 가이드관 내부의 분골 안치 홀에 분골이 순차 적층 안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의 상부 플랜지가 탈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의 분골 안치 가이드관이 흙속 매설 상태에서 지면 밖으로 제거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는 흙속에 소정 깊이로 매설되어 내부에 분골(1a~1n)이 순차 적층 안치되며 분골 안치 후 분골만 흙속에 매장 상태로 남기고 흙속에서 지면 밖으로 빼내져 제거(탈거)되는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로, 한 구 이상의 분골이 적층 안치되도록 중앙이 관통된 분골 안치 홀(101)이 형성된 관 형상의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과;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이 흙속에서 지면 밖으로 용이하게 빼내져 제거되게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의 상부가 흙속에 매설되지 않고 노출된 상태의 유동 공간(D)이 확보되도록 중앙에 관통공(201)이 형성되어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 플랜지(200)와; 상기 상부 플랜지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뚜껑(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은 몸체 외측면이 하방으로 좁아지게 경사져 흙속에서 지면 밖으로 용이하게 빼내져 제거되도록 상광하협 형상으로 형성되고, 몸체 외측면의 상부 일측에 상기 상부 플랜지(200)의 중앙 관통공(201) 둘레의 저면이 걸려 지지되는 걸림턱(103)이 형성되고, 몸체 상면에는 수 개의 볼트 체결 홈(108)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플랜지(200)는 상기 뚜껑(300)이 삽입 장착되도록 상면이 오목한 뚜껑 안착부(203)가 형성되고, 뚜껑 안착부(203)의 테두리의 상면은 상기 뚜껑(300)의 상면에 대응되는 높이로 연장 형성되어 뚜껑(300)의 상면과 함께 지면에 노출된다.
상기 뚜껑(300)은 상면에는 잔디가 식재되도록 오목한 잔디 식재부(301)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상부 플랜지(200)의 관통공(201)을 통과하여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의 분골 안치 홀(101)의 상부에 삽입 결합되도록 돌출된 결합 헤더(30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의 수 개의 볼트 체결홈(108)에는 별도의 당김 핸들(190)을 볼트 고정하여 당김 핸들(190)을 회전시키며 흔들어 지면 밖으로 당겨 빼낸다.
이때,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의 분골 안치 홀(101)의 분골(1a~1n) 및 황토 마사토(2a~2n)(또는 일반 토사)를 누름 다짐구(400)로 누르면서, 상기 당김 핸들(190)을 회전시키며 흔들어 당겨 빼면 보다 용이하게 분골(1a~1n) 및 황토 마사토(2a~2n)는 흙속에 매장 상태로 남기고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만 흙속에서 지면 밖으로 빼내 제거된다.
이때, 상기 누름 다짐구(400)는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 내주면에서 분골(1a~1n) 및 황토 마사토(2a~2n)가 쉽게 떨어져 분리 제거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가 땅속 매설 상태에서 지면 밖으로 완전 제거된 후 황토 마사토로 채워져 분골만 순차 적층 매장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과, 상부 플랜지(200)와, 뚜껑(300)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가 빼내져 제거된 빈 공간에는 황토 마사토(또는 일반 토사)로 채워 흙속에는 분골(1a~1n)만이 순차 적층되어 매장되고, 흙속에 매장된 분골(1a~1n) 상부의 지면에는 표시석(500)이 안착되거나 잔디를 식재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를 이용한 분골 매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를 이용한 분골 매장 방법은 수백 제곱미터 이상의 면적으로 조성된 자연장지(도시 안함)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 구획된 흙속에 소정 깊이로 매설되어 내부에 분골(1a~1n)이 순차 적층 안치되며, 분골 안치 후 분골만 흙속에 매장 상태로 남기고 흙속에서 지면 밖으로 빼내져 제거되는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를 이용한 분골 매장 방법으로서, 우선, 자연장지의 적소에 소정 깊이로 굴착된 분골 매장용 구덩이(도시 안함)에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과 상부 플랜지(200)와 뚜껑(300)으로 구성된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를 매설하여 분골 안치를 위한 사전 준비를 하는 단계(S110)와, 상기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의 뚜껑(300)을 분골(1a~1n) 안치시에 탈거(분리)하는 단계(S120)와,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의 분골 안치 홀(101)에 첫번째 구의 분골(1a)을 뿌려 안치한 후 그 상부에 황토 마사토(2a)를 덮는 과정을 반복하여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의 깊이에 대응되는 소정 구의 분골(1a~1n) 및 황토 마사토(2a~2n)를 순차 적층하는 단계(S130)와,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의 상부가 흙속에 매설되지 않은 유동 공간에 노출상태가 되도록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 상부에 장착되어 지면으로부터 낮은 깊이로 매설된 상태의 상부 플랜지(200)를 탈거하는 단계(S140)와,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의 분골 안치 홀(101)의 분골(1a~1n) 및 황토 마사토(2a~2n)를 흙속에 매장 상태로 남기고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만 흙속에서 지면 밖으로 빼내 제거하는 단계(S150)와,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과, 상부 플랜지(200)와, 뚜껑(300)으로 구성된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가 빼내져 제거된 빈 공간에 황토 마사토(또는 일반 흙)로 채워 분골(1a~1n)만이 순차 적층되어 매장되는 단계(S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분골(1a~1n)만이 순차 적층되어 매장되는 단계(S160)에서 흙속에 매장된 분골 상부의 지면에는 표시석(500) 안착을 하거나 잔디를 식재하여 지면을 조성한다.
그리고, 상기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를 매설하여 분골 안치를 위한 사전 준비를 하는 단계(S110)에서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의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은 지면으로부터 30cm 내지 1m 40cm의 깊이로 매설하고, 상기 상부 플랜지(200) 및 뚜껑(300)은 지면으로부터 15cm 내지 25cm의 깊이로 매설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의 분골 안치 홀(101)에 분골을 순차 적층하는 단계(S130)에서는 누름 다짐구(400)를 사용하여 분골 안치 홀(101)에 안치되는 분골(1a~1n) 및 황토마사토(2a~2n)를 눌러 다지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만 흙속에서 지면 밖으로 빼내 제거하는 단계(S150)에서는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에 별도의 당김 핸들(190)을 고정하여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의 분골 안치 홀(101)의 분골(1a~1n) 및 황토 마사토(2a~2n)를 누름 다짐구(400)로 누르며 당김 핸들(190)을 회전시키며 흔들어 당겨 빼서 분골(1a~1n) 및 황토 마사토(2a~2n)는 흙속에 매장 상태로 남기고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만 흙속에서 지면 밖으로 빼내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가 매설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뚜껑 대신 지면 다짐시 평판 블록형 뚜껑이 임시로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의 뚜껑이 탈거된 상태에서 분골 안치 가이드관 내부의 분골 안치 홀에 분골이 순차 적층 안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의 상부 플랜지가 탈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의 분골 안치 가이드관이 흙속 매설 상태에서 지면 밖으로 제거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가 땅속 매설 상태에서 지면 밖으로 완전 제거된 후 황토 마사토로 채워져 분골만 순차 적층 매장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를 이용한 분골 매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1n. 분골 2a~2n. 황토 마사토
D. 유동 공간
100. 분골 안치 가이드관 101. 분골 안치 홀
103. 걸림턱 108. 볼트 체결홈
190. 당김 핸들 200. 상부 플랜지
201. 관통공 203. 뚜껑 안착부
300. 뚜껑 301. 잔디 식재부
302. 결합 헤더 390. 평판 블록형 뚜껑
400. 누름 다짐구 500. 표시석

Claims (11)

  1. 흙속에 소정 깊이로 매설되어 내부에 분골(1a~1n)이 순차 적층 안치되며, 분골 안치 후 분골만 흙속에 매장 상태로 남기고 흙속에서 지면 밖으로 빼내져 제거되는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는
    한 구 이상의 분골이 적층 안치되도록 중앙이 관통된 분골 안치 홀(101)이 형성된 관 형상의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과;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이 흙속에서 지면 밖으로 용이하게 빼내져 제거되게 유동 공간(D)이 확보되도록 중앙에 관통공(201)이 형성되어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 플랜지(200)와;
    상기 상부 플랜지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뚜껑(3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은 몸체 외측면이 하방으로 좁아지게 경사져 흙속에서 지면 밖으로 용이하게 빼내져 제거되도록 상광하협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은 몸체 외측면의 상부 일측에 상기 상부 플랜지(200)의 중앙 관통공(201) 둘레의 저면이 걸려 지지되는 걸림턱(103)이 형성되고, 몸체 상면에는 수 개의 볼트 체결홈(10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200)는 상기 뚜껑(300)이 삽입 장착되도록 상면이 오목한 뚜껑 안착부(203)가 형성되고, 뚜껑 안착부(203)의 테두리 상면은 상기 뚜껑(300)의 상면에 대응되는 높이로 연장 형성되어 지면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300)은 상면에는 잔디가 식재되도록 오목한 잔디 식재부(301)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상부 플랜지(200)의 관통공(201)을 통과하여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의 분골 안치 홀(101)의 상부에 삽입 결합되도록 돌출된 결합 헤더(30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300)은 지면을 평탄하게 다질 때 뚜껑 상면이 파 손되지 않도록 상면이 평탄한 평판 블록형 뚜껑(390)이 상기 상부 플랜지(200)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
  7. 자연장지의 소정 간격으로 이격 구획된 흙속에 소정 깊이로 매설되어 내부에 분골(1a~1n)이 순차 적층 안치되며, 분골 안치 후 분골만 흙속에 매장 상태로 남기고 흙속에서 지면 밖으로 빼내져 제거되는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를 이용한 분골 매장 방법에 있어서,
    자연장지의 적소에 소정 깊이로 굴착된 분골 매장용 구덩이(도시 안함)에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과, 상부 플랜지(200)와, 뚜껑(300)으로 구성된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를 매설하여 분골 안치를 위한 사전 준비를 하는 단계(S110)와,
    상기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의 뚜껑(300)을 분골(1a~1n) 안치시에 탈거(분리)하는 단계(S120)와,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의 분골 안치 홀(101)에 첫번째 구의 분골(1a)을 뿌려 안치한 후 그 상부에 황토 마사토(2a)를 덮는 과정을 반복하여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의 깊이에 대응되는 소정 구의 분골(1a~1n) 및 황토 마사토(2a~2n)를 순차 적층하는 단계(S130)와,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의 상부가 흙속에 매설되지 않은 유동 공간에 노출상태가 되도록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 상부에 장착되어 지면으로부터 낮은 깊이로 매설된 상태의 상부 플랜지(200)를 탈거하는 단계(S140)와,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의 분골 안치 홀(101)의 분골(1a~1n) 및 황토 마사토(2a~2n)를 흙속에 매장 상태로 남기고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만 흙속에서 지면 밖으로 빼내 제거하는 단계(S150)와,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과, 상부 플랜지(200)와, 뚜껑(300)으로 구성된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가 빼내져 제거된 빈 공간에 황토 마사토로 채워 분골(1a~1n)만이 순차 적층되어 매장되는 단계(S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를 이용한 분골 매장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를 매설하여 분골 안치를 위한 사전 준비를 하는 단계(S110)에서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의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은 지면으로부터 30cm 내지 1m 40cm의 깊이로 매설하고, 상기 상부 플랜지(200) 및 뚜껑(300)은 지면으로부터 15cm 내지 25cm의 깊이로 매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를 이용한 분골 매장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의 분골 안치 홀(101)에 분골 을 순차 적층하는 단계(S130)에서는 누름 다짐구(400)를 사용하여 분골 안치 홀(101)에 안치되는 분골(1a~1n) 및 황토마사토(2a~2n)를 눌러 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를 이용한 분골 매장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만 흙속에서 지면 밖으로 빼내 제거하는 단계(S150)에서는 상기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에 별도의 당김 핸들(190)을 고정하여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의 분골 안치 홀(101)의 분골(1a~1n) 및 황토 마사토(2a~2n)를 누름 다짐구(400)로 누르며 당김 핸들(190)을 회전시키며 흔들어 분골(1a~1n) 및 황토 마사토(2a~2n)는 흙속에 매장 상태로 남기고 분골 안치 가이드관(100)만 흙속에서 지면 밖으로 빼내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를 이용한 분골 매장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골(1a~1n)만이 순차 적층되어 매장되는 단계(S160)에서 흙속에 매장된 분골의 상부의 지면에는 표시석(500)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를 이용한 분골 매장 방법.
KR1020070107168A 2007-10-24 2007-10-24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분골매장 방법 KR20090041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168A KR20090041578A (ko) 2007-10-24 2007-10-24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분골매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168A KR20090041578A (ko) 2007-10-24 2007-10-24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분골매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578A true KR20090041578A (ko) 2009-04-29

Family

ID=4076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168A KR20090041578A (ko) 2007-10-24 2007-10-24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분골매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15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6791A1 (ko) * 2016-07-18 2018-01-25 홍만식 자연장과 평장의 운영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20220396966A1 (en) * 2021-06-11 2022-12-15 Stephen J. Sabo Urn Pedest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6791A1 (ko) * 2016-07-18 2018-01-25 홍만식 자연장과 평장의 운영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20220396966A1 (en) * 2021-06-11 2022-12-15 Stephen J. Sabo Urn Pedest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4153B2 (en) Non-horizontal burial methods
EP2981648B1 (en) A modular cell and matrix for supporting a load bearing feature
CA2797478A1 (en) Structure for creating housings for setting trees into the ground, and method for setting trees into the ground
KR20090041578A (ko) 친환경 자연장용 분골 안치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분골매장 방법
EP1783303A1 (en) A grave lining system
Wolf The SARS Anglo-German expedition at the Fourth Cataract of the Nile: the 2003/04 season
US11434655B2 (en) Headstone marker foundation support with removable insert
JP3208837U (ja) 樹木葬用墓素体及びこれを用いた樹木葬用墓構造
KR101700177B1 (ko) 자연장과 평장의 운영 장치, 시스템 및 방법
Augustinová et al. Archaeological survey of the oases of Zarabag, Karabag and Kampyrtepa in the piedmont of the Kugitang mountains, South Uzbekistan–Preliminary report for the season 2016
JP4295405B2 (ja) 環境共生型緑化用擁壁ブロック及びそのブロックに使用されるブロック本体
KR101472362B1 (ko) 식생자루 및 식생자루를 이용한 광산지역 사면 녹화공법
Chevalier et al. The Bronze and Iron Age funerary landscape in central Arabia
TSETSKHLADZE et al. PESSINUS 2010
KR101041683B1 (ko) 옹벽용 식생 축조블록
Altamura et al. Observations on Buildings Made of Perishable Materials: Archaeological Traces of Demolition and Restoration of Tukuls at the Archaeological Field Camp at Melka Kunture, Ethiopia
Schöne et al. Haluza, The Extra-Urban Survey
Paz et al. Ahihud (North)
Pfeiffer et al. Fujairah, United Arab Emirates.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at the site of Dibba 76: Late Bronze Age–Iron Age multiple tombs and their buried individuals. Season 2017
KR102537825B1 (ko) 흙과 재이용 플라스틱을 이용한 식생 및 인조잔디 개비온 옹벽구조물 및 이를 위한 드레인보드패널
KR100663257B1 (ko) 옹벽용 블록
KR100589328B1 (ko) 도로의 녹화용 옹벽 구조물
KR100609610B1 (ko) 파일 결속형 식생대
Reichmuth et al. iDAI. publications
KR200340916Y1 (ko) 파일 결속형 식생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