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1463A - 뽕나무 가지를 이용한 새싹 채소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뽕나무 가지를 이용한 새싹 채소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1463A
KR20090041463A KR1020070106959A KR20070106959A KR20090041463A KR 20090041463 A KR20090041463 A KR 20090041463A KR 1020070106959 A KR1020070106959 A KR 1020070106959A KR 20070106959 A KR20070106959 A KR 20070106959A KR 20090041463 A KR20090041463 A KR 20090041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wigs
mulberry
days
sprout
d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북구
조자용
Original Assignee
허북구
전남도립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북구, 전남도립대학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허북구
Priority to KR1020070106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1463A/ko
Publication of KR20090041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4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10Vegetative propagation by means of cutt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00Plant husbandry
    • Y10S47/03Propagation of plant by cutt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뽕나무 가지를 채취한 후, 4∼6℃ 저온에서 80∼90% 습도조건 하에 1∼4개월간 저장시킨 후, 0.001∼0.1 M의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 0.1∼0.5 ml로 가지를 살균시킨 후, 가지 당 1∼3개씩의 눈을 붙여 싹기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 채소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저온 저장 기간이 증가할수록 새싹을 싹기름하는 일수를 단축시킬 수 있고 싹기름 전에 영양배지(글루코즈 10∼20 g/L, 펩톤 5∼10 g/L 및 무기염류 5∼10 g/L)로 가지를 전처리하여 영양을 공급할수록 싹기름 일수를 단축시킬 수 있다.
Figure 112007075950434-PAT00001
뽕나무 가지, 저온, 습도, 싹기름, 새싹 채소, 재배

Description

뽕나무 가지를 이용한 새싹 채소 재배방법{Cultivation method of sprout vegetables using the twigs of mulberry tree}
본 발명은 뽕나무 가지를 일정 길이로 자른 다음 수분을 처리하여 새싹 채소를 재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는 뽕나무 가지를 잘게 잘라 적층시킨 후 습도 수분 및 온도 조절을 통해 뽕나무 가지에 양분을 제공하여 새싹을 재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공해 유기농 식품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 증대에 힘입어 최근 새싹 채소의 소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2006년 현재, 우리나라 새싹채소 씨앗 사용량은 1000톤 이상이며 이는 무싹 300톤, 적무싹 70톤, 적양배추싹 100톤, 적콜라비싹 150톤 등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중 약 85% 이상이 해외에서 수입되고 있으며 , 새싹의 재배를 위해서는 국내외 모두 무싹, 양배추싹, 유채싹, 클로버 싹 등 초 본성 식물의 종자를 이용하고 있다. 특히 국내와 세계선진국에서 유색 품종에 대한 시장이 늘어나면서 떡잎과 줄기가 붉은 색을 띈 붉은 무싹, 붉은 양배추싹, 붉은 순무싹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한편 국제 새싹채소 생산자협회에서는 기능성 품종 개발에 목표를 두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항산화, 항당sy 및 항암 등의 효과를 갖는 나물류나 새싹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새싹 채소용으로 활용이 가능한 기능성 물질을 갖는 식물의 탐색과 이들 식물을 이용한 새싹채소 생산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새싹 채소용으로 재배되는 것은 초본류 종자에 한정되고 있다. 반면에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두릅나무 싹, 합다리나무싹, 참죽나무, 뽕나무 등의 싹을 채취하여 나물로 이용해 왔는데, 이 중 뽕나무류 잎에는 플라본, 스테로이드, 트리테르펜, 아미노산, 비타민 및 다량의 미네랄 성분이 존재하고 있으며, 특히 칼슘, 칼륨 등의 무기질과 펙틴, 셀룰로즈 등의 식이섬유, 단백질 등이 풍부하고, 항균, 항산화활성 등을 지닌 생리활성물질도 다량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배경에서 뽕나무 가지를 이용하여 새싹 채소의 재배방법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뽕나무 가지를 이용한 새싹 채소 재배 기술을 개발코자 한 것으로, 뽕나무 가지를 절지한 후, 4∼6℃ 상태의 저장고의 습도조건(40∼50% 및 80∼90%)에서 새싹 생장 최적 조건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새싹 채소 재배방법을 개발코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뽕나무 가지를 채취한 후, 4∼6℃ 저온에서 80∼90% 습도조건 하에 1∼4개월간 저장시킨 후, 0.001∼0.1 M의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 0.1∼0.5 ml로 가지를 살균시킨 후, 가지 당 1∼3개씩의 눈을 붙여 싹기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 채소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온 저장 기간이 증가할수록 새싹을 싹기름하는 일수를 단축시킬 수 있고 싹기름 전에 영양배지(글루코즈 10∼20 g/L, 펩톤 5∼10 g/L 및 무기염류 5∼10 g/L)로 가지를 전처리하여 영양을 공급할수록 싹기름 일수를 단축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뽕나무 가지를 이용한 새싹 채소 재배 기술을 개발한 것으로, 뽕나무 가지를 절지한 후, 4∼6℃ 상태의 저장고의 습도조건(40∼50% 및 80∼90%)에서 새싹 생장 최적 조건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새싹 채소 재배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뽕나무 절지를 이용한 싹기름 채소생산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뽕나무 가지를 4월 중순에 절지하여 4∼6℃ 상태에서 저장고의 습도조건(40∼50% 및 80∼90%)에 따른 맹아율을 조사하였다. 동시에 1∼3개씩의 싹을 붙인 가지를 자른 후 싹기름을 했을 때 출고시기에 따른 새싹의 생장 정도를 조사하였다.
뽕나무 절지의 생존율은 저장기간이 길수록 떨어져 채취 당일에 싹기름을 한 것은 약 97% 정도이었으나 8월 중순에 출고하여 싹기름을 한 것은 40∼50%의 습도조건에서 저장한 것의 경우 약 35%, 80∼90%의 습도조건에서 저장한 것은 약 86%이었다. 절지의 저장기간이 길수록 싹기름시 잎의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싹의 길이가 증가하였으며, 싹의 폭도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뽕나무의 절지를 4∼6℃와 80∼90% 조건에서 저장한 후 1∼3개씩의 싹을 붙인 가지를 잘라 싹기름을 하면 새싹 채소의 생산이 최적화됨을 발명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험 재료)
본 발명에 사용한 뽕나무는 2007년 4월 13일에 전남 광양시에서 전년도에 자란 줄기 선단에서부터 40∼90 cm 되는 부위를 절단하여 이용하였다.
(뽕나무 절지의 저장과 출고)
뽕나무류 절지의 저장은 굵기가 7.0∼10 mm인 것을 채취하여 3시간 이내에 물통에 꽂은 후 절지 부위가 20∼30 cm 정도 잠기도록 물을 부은 후 온도는 4∼6℃, 습도는 80∼90%, 광은 암조건 상태가 유지되는 저온 저장고에 두었다. 저장시의 습도조건에 따른 생장반응 실험에서는 습도를 40∼50%와 80∼90% 조건으로 하였는데, 80∼90% 습도조건은 폴리에테르 수지를 이용해 물통과 절지를 감싸서 수분 증발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절지의 채취 당일(4월 13일)에 사용한 것과 7월 1일 및 9월 1일에 출고하였는데, 저온저장고에서 꺼낸 절지는 상온의 그늘에서 6시간 정도 외부 온도에 적응하도록 보관해 두었다가 이용하였다.
(절지의 제조)
뽕나무의 절지에서 새싹을 생산하기 위해 절지의 굵기(1.0∼2.0 mm, 4.0∼5.0 mm, 7.0∼10 mm)에 따라 구분한 후 1-3개씩의 눈을 두고 잘라 이용하였다. 각각의 처리구는 40반복을 하였다.
(싹기름 방법 및 관리)
뽕나무 절지는 20∼25℃, 습도 70∼90%가 유지되는 그늘지고 반 밀폐된 공간에서 물 집적장치, 물을 살수할 수 있도록 물 집적 장치에 설치된 모터, 배수가 용이한 싹기름 판, 살수를 할 수 있도록 부착된 노즐, 습도유지 및 물의 소실을 막기 위한 뚜껑이 부착된 콩나물 기르는 장치를 이용하여 싹기름을 하였다. 즉, 배수가 될 수 있도록 고안된 싹기름판에 1∼3개씩의 싹을 붙인 뽕나무 가지를 5∼10 cm 두께로 쌓아 놓은 후 3시간 간격으로 5분간 살수하였다.
(조사내용 및 방법)
조사항목은 생존율, 싹기름 일수에 따른 싹의 길이 및 싹의 직경이었는데 생존율은 채취 및 저장한 절지를 출고하여 1∼3개씩의 싹을 붙인 가지를 자른 후 싹 기름을 했을 때 싹이 자라지 않고 죽은 것을 제외한 것으로 싹이 자란 것의 비율로 하였다. 싹의 길이는 싹이 자라는 길이를 매일 조사하였는데, 잎이 펼쳐지기 전에는 싹의 길이를, 잎이 펼쳐진 다음부터는 잎 중에서 제일 긴 것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싹의 폭은 잎이 펼쳐지기 전에는 싹의 횡경을, 잎이 펼쳐진 다음에는 잎이 최대로 펼쳐진 부위의 횡경을 조사하였다. 잎의 수는 싹 1개당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것만을 조사하였다. 이외 조사 항목과 방법은 관행에 준하였다.
(실시예 1) 맹아율(싹 트는 비율)
본 실시예에 사용한 뽕나무는 전남 광양시에서 2006년 4월 13일에 채취 후 4∼6℃ 저장고에서 40∼50% 및 80∼90% 습도조건으로 저장한 후 싹기름 시기에 따른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저장습도와 기간에 따른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표 1).
Figure 112007075950434-PAT00002
뽕나무 절지의 생존율은 채취 당일에 싹기름을 한 절지의 경우 97.4%가 맹아율을 나타낸 반면에 전반적으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저장시의 습도조건이 낮을수록 맹아율이 떨어졌다. 특히 습도 조건에 따른 영향이 커서 8월 15일에 저장고에서 꺼내 싹기름한 것의 맹아율은 40∼50%의 습도조건에서 저장한 것은 34.2%로 대조구에 비해 63.2%가 감소된데 비해 80∼90%의 습도조건에서 저장한 것은 11.7%만이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강두릅나무 가지를 3월 20일에 채취하여 4∼6℃ 저장고에서 40∼50% 습도조건으로 저장해 두었다가 8월 1일에 출고하여 수삽한 결과 24.7%만이 생존하였다는 Heo et al(2006b)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그러므로 싹기름용 뽕나무의 수확시기를 억제하기 위해 절지를 저온 저장할 경우에는 80∼90%의 습도조건을 유지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80∼90%의 습도조건에서 저장해 두어도 8월 15일에 꺼내 싹기름을 한 것의 맹아율은 11.7%만이 감소되었다.
한편 맹아율을 증진시키고 저온 저장된 가지의 살균을 위해서 0.001∼0.1 M의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 0.1∼0.5 ml로 가지를 살균시키는 전처리 공정을 실시할 경우 맹아율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전처리 살균 공정을 통해 대조군에 비해 약 2∼5%의 맹아율의 증가를 관측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싹의 수
뽕나무 절지를 4월 13일에 채취하여 4∼6℃와 80∼90% 습도조건에서 저온 저장한 후 1∼3개씩의 눈을 두고 잘라 싹기름 경과 일수에 따른 싹의 수를 조사한 결과 절지의 지름 및 저온 저장 경과 일수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다(표 2).
Figure 112007075950434-PAT00003
채취 당일인 4월 13일에 채취한 절지는 싹기름 3일 후에 절지의 지름이 1.5∼2.0 mm인 것은 2.1개, 7.0∼10.0 mm인 것은 2.6개를 나타내었으며, 5일째에는 각각 2.6개와 3.6개를 나타내었다. 7월 1일에 출고한 것은 출고 당일에도 절지를 채취하여 2일 정도 싹기름 한 것과 같은 수의 잎이 나왔으며, 싹기름 3일 째에는 절지 지름이 1.5∼2.0 mm인 것은 2.8개, 7.0∼10.0 mm인 것은 3.3개를 나타내었으며, 5일째에는 각각 3.4개와 4.0개를 나타내었다. 절지를 8월 15일에 출고한 것은 출고 당일에도 2.2∼3.4개의 잎이 출엽되었으며, 싹기름 3일 째에는 절지 지름이 1.5∼2.0 mm인 것은 2.9개, 7.0∼10.0 mm인 것은 3.9개를 나타내었으며, 5일째에는 각각 3.9개와 4.2개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강두릅나무 절지를 3월 20일에 채취하여 3∼7℃와 80∼90% 습도조건에서 저온저장 한 뒤 8월 1일에 꺼내서 수삽한 결과 채취 즉시 수삽한 것이나 6월 1일에 꺼내서 수삽한 것에 비해 싹이 증가하였다는 Heo et al(2006b)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저온에 의해 식물체내 호르몬의 변화가 생기고 이에 따라 싹이 증가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새싹 채소의 생산량을 증대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싹기름 전에 영양배지(글루코즈 10∼20 g/L, 펩톤 5∼10 g/L 및 무기염류 5∼10 g/L)로 가지를 전처리하여 영양을 공급할수록 싹기름 일수를 단축시킬 수 있었다. 영양배지는 통상의 글루코즈, 펩톤과 같은 영양성분과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황산나트륨, 염화칼슘 등의 무기염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영양배지를 통해 가지를 전처리시키면 싹기름 일수를 단축시킬 수 있었으며 대조군에 비해 통상 0.5∼1일 정도의 성장의 증진이 측정되었다.
(실시예 3) 싹의 길이
뽕나무 절지를 4월 13일에 채취하여 4∼6℃ 및 80∼90% 습도조건에서 저온저장한 후 1∼3개씩의 눈을 두고 잘라 싹기름 경과 일수에 따른 싹의 길이를 조사한 결과 절지의 지름 및 저온저장 경과 일수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다(표 3).
Figure 112007075950434-PAT00004
채취 당일인 4월 13일에 채취한 절지는 싹기름 3일 후에 절지의 지름이 1.5∼2.0 mm인 것은 1.4cm, 7.0∼10.0 mm인 것은 2.4 cm를 나타내었으며, 5일째에는 각각 2.1 cm와 3.0 cm를 나타내었다(도 1). 7월 1일에 출고한 것은 출고 당일에도 절지를 채취하여 2일 정도 싹기름 한 것과 같은 길이의 새싹이 자라 있었으며, 싹기름 3일 째에는 절지 지름이 1.5∼2.0 mm인 것은 2.1 cm, 7.0∼10.0 mm인 것은 3.0 cm 길이로 자랐으며, 5일째에는 각각 2.8 cm와 3.8 cm를 나타내었다. 절지를 8월 15일에 출고한 것은 출고 당일에도 절지의 지름이 1.5∼2.0 mm인 것은 1.6 cm, 3.0∼5.0 mm인 것은 1.9 cm, 7.0∼10.0 mm인 것은 2.2 cm 길이로 자랐으며, 싹기름 3일 째에는 절지 지름이 1.5∼2.0 mm인 것은 2.7 cm, 7.0∼10.0 mm인 것은 3.4 cm 정도 자랐으며, 5일째에는 각각 3.3 cm와 4.1 cm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저온저장고에서 절지를 저장하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싹의 길이가 긴 것은 새싹을 기르는 일수를 단축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었다. 동시에 8월 15일에 출고한 뽕나무 절지를 싹기름 한지 4일째에 3 cm 이상이 되어 5일 이내에 수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싹의 폭
뽕나무 절지를 4월 13일에 채취하여 4∼6℃ 및 80∼90% 습도조건에서 저온저장한 후 1-3개씩의 눈을 두고 잘라 싹기름 경과 일수에 따른 싹의 폭을 조사한 결과 절지의 지름 및 저온저장 경과 일수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다(표 4).
Figure 112007075950434-PAT00005
채취 당일인 4월 13일에 채취한 절지는 싹기름 3일 후에 절지의 지름이 1.5∼2.0 mm인 것은 폭이 0.6 cm, 7.0∼10.0 mm인 것은 1.3 cm를 나타내었으며, 5일째에는 각각 1.3 cm와 2.1 cm를 나타내었다. 7월 1일에 출고한 것은 싹기름 3일 째에 절지 지름이 1.5∼2.0 mm인 것은 폭이 1.3 cm, 7.0∼10.0 mm인 것은 2.0 cm이었으며, 5일째에는 각각 1.9 cm와 3.1 cm를 나타내었다. 절지를 8월 15일에 출고한 것은 절지의 지름이 1.5∼2.0 mm인 것은 싹의 폭이 0.6 cm, 3.0∼5.0 mm인 것은 0.9 cm, 지름이 7.0∼10.0 mm인 것은 싹의 폭이 1.1 cm 절지 채취 당일에 싹기름을 한 것이나 7월 1일에 출고하여 싹기름을 한 것의 폭 보다도 큰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 8월 15일에 출고한 후 싹기름 3일 째의 싹의 폭은 절지 지름이 1.5∼2.0 mm인 것은 1.6 cm, 7.0∼10.0 mm인 것은 2.2 cm이었으며, 5일째에는 각각 2.4 cm와 3.3 cm를 나타내었다. 이렇게 출고 시기가 늦을수록 출고시 싹의 폭이 큰 것은 저온저장고 내에서도 가지 내의 양분에 의해 생리활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뽕나무 가지뿐만 아니라 목본류의 가지를 채취하여 4∼6℃ 및 80∼90% 습도조건에서 저온 저장한 후 1∼3개씩의 눈을 붙여 자른 다음 싹기름을 하면 종자를 이용하여 싹기름을 한 것처럼 싹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기능성을 갖는 목본류의 싹 채소 생산의 가능성 및 먹거리 다양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 1은 4월 13일에 절단되고 3일간 싹튼 싹을 나타낸 것이다. 싹 길이는 절지 지름에 따라 증가되었다.

Claims (2)

  1. 뽕나무 가지를 채취한 후, 4∼6℃ 저온에서 80∼90% 습도조건 하에 1∼4개월간 저장시킨 후, 0.001∼0.1 M의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 0.1∼0.5 ml로 가지를 살균시킨 후, 가지 당 1∼3개씩의 눈을 붙여 싹기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 채소의 재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저장 기간이 증가할수록 새싹을 싹기름하는 일수를 단축시킬 수 있고 싹기름 전에 영양배지(글루코즈 10∼20 g/L, 펩톤 5∼10 g/L 및 무기염류 5∼10 g/L)로 가지를 전처리하여 영양을 공급할수록 싹기름 일수를 단축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 채소의 재배방법
KR1020070106959A 2007-10-24 2007-10-24 뽕나무 가지를 이용한 새싹 채소 재배방법 KR200900414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959A KR20090041463A (ko) 2007-10-24 2007-10-24 뽕나무 가지를 이용한 새싹 채소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959A KR20090041463A (ko) 2007-10-24 2007-10-24 뽕나무 가지를 이용한 새싹 채소 재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463A true KR20090041463A (ko) 2009-04-29

Family

ID=40764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959A KR20090041463A (ko) 2007-10-24 2007-10-24 뽕나무 가지를 이용한 새싹 채소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146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77803A (zh) * 2012-02-24 2012-07-18 安徽源牌实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利用桑树剪梢废枝快速繁育良种桑苗的方法
CN104186176A (zh) * 2014-09-04 2014-12-10 四川省农业科学院蚕业研究所 一种桑芽茶原料的大量生产和快速收集方法
CN112088670A (zh) * 2020-09-29 2020-12-18 黄昌源 蔬菜桑树品种的培育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77803A (zh) * 2012-02-24 2012-07-18 安徽源牌实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利用桑树剪梢废枝快速繁育良种桑苗的方法
CN102577803B (zh) * 2012-02-24 2013-06-26 安徽源牌实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利用桑树剪梢废枝快速繁育良种桑苗的方法
CN104186176A (zh) * 2014-09-04 2014-12-10 四川省农业科学院蚕业研究所 一种桑芽茶原料的大量生产和快速收集方法
CN112088670A (zh) * 2020-09-29 2020-12-18 黄昌源 蔬菜桑树品种的培育方法
CN112088670B (zh) * 2020-09-29 2022-02-08 黄昌源 蔬菜桑树品种的培育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39278B (zh) 油茶绿枝带叶苗砧嫁接方法
CN102742458A (zh) 澳洲坚果绿枝嫁接方法
CN104322290A (zh) 一种荔枝树嫁接方法
CN104041392A (zh) 刨花楠轻基质营养袋扦插育苗高成苗率培育方法
CN103609295A (zh) 一种规模化培育麻疯树种苗的方法
CN105594551A (zh) 一种葡萄无土栽培的方法
CN104322284A (zh) 一种番石榴树嫁接方法
JPWO2015093607A1 (ja) ウコギ科薬用植物の栽培方法
JP4518542B2 (ja) 植物発芽抑制剤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5192534A (ja) 植物のストレス緩和剤および生長促進剤
CN105519392A (zh) 一种培育耐盐桃苗的方法
JPWO2019225606A1 (ja) 種子の発芽方法、植物の栽培方法、種子及び種子の製造方法、並びに米
CN104381076A (zh) 一种在安徽东部的水蜜桃的种植方法
CN103340086A (zh) 一种西瓜的种植方法
KR20090041463A (ko) 뽕나무 가지를 이용한 새싹 채소 재배방법
CN102119614B (zh) 一种观瞻食用的生姜栽培方法
CN107211740A (zh) 一种高产的枣树种植方法
JP5254281B2 (ja) 植物のストレス緩和剤および生長促進剤
CN103733864A (zh) 一种用甘薯茎蔓繁殖甘薯苗的方法
Chaudhuri et al. Studies on planting density in banana cv.‘Jahaji’(AAA)
CN102715003A (zh) 在盐碱地获得高含量高产量青蒿的种植方法
Kumar Propagating shrubs, vines, and trees from stem cuttings
Kamondo et al. Growing of East African Sandalwood
Bodolan et al. Heat and light requirements of vegetable plants
Gordanić et al. Influence of water stress prior to harvest on yield and essential oil content of pot grown lemon ba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