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8993A - Wdm-pon 광 송신기의 구동 전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Wdm-pon 광 송신기의 구동 전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8993A
KR20090038993A KR1020070104356A KR20070104356A KR20090038993A KR 20090038993 A KR20090038993 A KR 20090038993A KR 1020070104356 A KR1020070104356 A KR 1020070104356A KR 20070104356 A KR20070104356 A KR 20070104356A KR 20090038993 A KR20090038993 A KR 20090038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power
optical signal
transmitter
demultiple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6399B1 (ko
Inventor
변재오
김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럭스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럭스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럭스퍼트
Priority to KR1020070104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399B1/ko
Priority to PCT/KR2008/001652 priority patent/WO2009051313A1/en
Priority to US12/516,920 priority patent/US8073341B2/en
Publication of KR20090038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9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measurements of the data signal
    • H04B10/0799Monitoring line transmitter or line receiver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1Multimod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01Structural aspects
    • H04B10/506Multiwavelength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64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78WDM optical network architectures
    • H04J14/0282WDM tree archite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용(WDM-PON) 광 송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WDM-PON 광 송신기의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WDM-PON 광 송신기의 구동 전류 제어 시스템은 구동 전류에 따라 송신용 광 신호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와 상기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와 각각 연결된 복수의 개별 단자와 하나의 공통 단자를 포함하는 광 다중/역다중화기와 상기 복수의 개별 단자를 통해 광 신호를 수신하여 모니터링 전류를 생성하는 포토 다이오드와 입력된 광 신호의 광 파워를 감쇄시켜 출력하는 가변 광 감쇄기와 상기 가변 광 감쇄기의 감쇄 값을 제어하고, 상기 모니터링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공통 단자로 출력되는 광 신호의 광 파워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광 파워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 신호, 광 파워, WDM-PON, 구동 전류

Description

WDM-PON 광 송신기의 구동 전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RIVING CURRENT OF LASER DIODE I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PASSIVE OPTICAL NETWORK}
본 발명은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용(WDM-PON) 광 송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WDM-PON 광 송신기의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PASSIVE OPTICAL NETWORK: WDM-PON)는 각 가입자에게 부여된 고유의 파장을 이용하여 초고속 광대역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파장의 신호를 해당 가입자만 수신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우수하고, 각 가입자 별로 별도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통신 용량의 확대를 쉽게 수용할 수 있다.
종래에는, DFB-LD(Distributed Feedback-Laser Diode) 소자를 사용하여 중앙 기지국(CO: Central Office)과 가입자 장치(subscriber terminal)들이 서로 다른 파장의 광원을 각각 구비함으로써, WDM-PON을 구현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DFB-LD 소자가 고가이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에서 상용화에 많은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복잡한 온도 제어 기술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저가의 페브리-페롯 레이저 다이오드(FP-LD)에 비간섭성 광원을 주입하여 파장 잠김을 유도하고, 그것에 의해 WDM 광 신호를 구현하는 파장 잠김된 광 신호를 이용하는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더 넓은 전송 대역 폭을 위해서는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RSOA, Reflective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에 주입 광원을 인가하고 RSOA의 전류를 변조시켜, 파장 고정된 광 신호를 얻어 WDM 신호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한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100)의 개략적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100)에서의 양방향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100)는 중앙 기지국(110)과 가입자 장치(130), 중앙 기지국(110)과 각각의 가입자 장치(130)를 연결하는 원격 노드(120) 및 광 케이블(140)을 포함한다.
중앙 기지국(110)은 A 대역 주입 광원(111), B 대역 주입 광원(112), 광원 분배기(113), 제 1 1xN 광 대중/역다중화기(114) 및 송/수신기(115)를 포함한다.
원격 노드(120)는 제2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121)를 포함하고, 광 가입자 장치(130)는 송/수신기(131)를 포함한다.
A 대역 주입 광원(111)은 하향 광 신호로 사용되는 A 대역 광 신호를 위한 주입 광원으로 제공하며, 주로 비간섭성(incoherent) 광원이 사용된다. A 대역 주입 광원(111)은 A 대역 주입 광 신호를 생성하여 광원 분배기(113)로 제공한다.
B 대역 주입 광원(112)은 상향 광 신호로 사용되는 B 대역 광 신호를 위한 주입 광원으로 제공하며, A 대역 주입 광원(111)과 마찬가지로 주로 비간섭성 광원이 사용된다. B 대역 주입 광원(112)은 B 대역 주입 광 신호를 생성하여 광원 분배기(113)로 전달한다.
광원 분배기(113)는 A 대역 주입 광원(111)으로부터 A 대역 주입 광 신호를 수신하여 중앙 기지국(110)의 제1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114)로 전송한다. 또한, 중앙 기지국(110)의 제1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114)로부터 파장 잠김된 A 대역 광 신호를 전달받아 원격 노드(120)와 연결된 광 케이블(140)로 전송한다.
광원 분배기(113)는 B 대역 주입 광원(112)으로부터 B 대역 주입 광 신호를 수신하여 광 케이블(140)을 통해 원격 노드(120)의 제2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121)로 전송한다. 또한, 원격 노드(120)의 제2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121)로부터 파장 잠김된 B 대역 광 신호를 전달받아 중앙 기지국(110)의 제1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114)로 전달한다.
제1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114)는 광원 분배기(113)로부터 수신한 A 대역 광 신호를 파장 별로 분리하여 중앙 기지국의 송/수신기(115)의 송신기에 주입시킨다. 제1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114)는, 예를 들어, 배열 도파로 격자(AWG: Arrayed Waveguide Grating)가 사용될 수 있다.
송/수신기(115)의 송신기는, 예를 들어, 페브리-페롯 레이저 다이오드(FP-LD: Fabry Perot Laser Diode)가 사용되며, 각 가입자들에게 전송할 하향 광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송/수신기(115)의 송신기에 파장 별로 분리된 A 대역 주입 광 신호를 주입하면, 주입된 광 신호의 파장과 다른 주파수 성분들은 억제되고, 주입된 광 신호와 동일한 파장은 고정(잠김)됨으로써, 파장 잠김된 A 대역 하향 광 신호가 출력된다.
송/수신기(115)의 수신기는 가입자 장치(130)로부터 수신한 파장 잠김된 B 대역 상향 광 신호를 전달 받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포토 다이오드(PD: Photo Diod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원격 노드(120)의 제2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121)는 광원 분배기(113)로부터 수신한 B 대역 광 신호를 파장 별로 분리하여 가입자 장치(130)의 송/수신기(131)로 주입시킨다. 제2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121)는, 제1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114)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배열 도파로 격자(AWG)가 사용될 수 있다.
송/수신기(131)의 송신기는, 예를 들어, 페브리-페롯 레이저 다이오드(FP-LD)가 사용되며, 중앙 기지국으로 전송할 상향 광 신호를 생성한다.
자세하게는, 송/수신기(131)의 송신기에 파장 별로 분리된 B 대역 광 신호를 주입하면, 주입된 광 신호의 파장과 다른 주파수 성분들은 억제되고, 주입된 광 신호와 동일한 파장은 고정(잠김)됨으로써, 파장 잠김된 B 대역 상향 광 신호가 출력 된다.
송/수신기(131)의 수신기는 중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파장 잠김된 A 대역 하향 광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포토 다이오드(PD)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송신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를 포함하는 광 신호를 출력한다.
도 2는 광 송신기에 사용되는 레이저 다이오드(LD: Laser Diode)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레이저 다이오드(LD)(200)는 구동 회로(도시 생략)로부터 인가된 전류(I)(201)에 따라 광 파워(optical power)(P)(202)를 갖는 광 신호를 발생시킨다. 레이저 다이오드(LD)(200)는, 예를 들어, 순방향 반도체 접합을 능동 매질로 사용하여 광 신호를 발생시키는 다이오드로서, 갈륨비소(GaAs) 등이 재료로 쓰일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LD)(200)에 의하여 발생되는 광 신호의 광 파워(P)(202)는 인가되는 전류(I)(201)에 대하여 그래프(200a)와 같은 관계를 갖는다. 즉, 전류(I)(201)가 임계치 전류의 값 이하인 경우 광 파워(P)(202)는 0의 값을 갖는다. 전류(I)(201)가 임계치 전류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 광 파워(P)(202)는 전류(I)(201)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그래프(200a)에 도시된 전류(I)(201)와 광 파워(P)(202)의 관계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LD)(200)는 구동 전류(206)를 인가 받아 출력 광 파워(207)를 갖는 광 신호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온도가 T1인 경우, 레이저 다이오드(LD)(200)는 I0를 인가 받아 P0의 출력 광 파워를 갖는 광 신호를 발생시키고, I1을 인가 받아 P1의 출력 광 파워를 갖는 광 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온도가 T1인 경우, 레이저 다이오드(LD)(200)의 바이어스 전류(I_bias1)(204)는 I0이고, 모듈레이션 전류(I_mod1)(205)는 I1-I0 이다.
그러나, 레이저 다이오드(LD)(200)는 주변 환경, 예를 들어 온도의 변화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LD)의 노화 등에 따라 동일한 구동 전류에 대하여 상이한 광 파워를 갖는 광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가 T1인 경우, 레이저 다이오드(LD)(200)는 I0 및 I1을 인가 받아 각각 출력 광 파워 P0 및 P1을 갖는 광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온도가 T2인 경우, 레이저 다이오드(LD)(200)는 출력 광 파워 P0 및 P1을 갖는 광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구동 전류를 I0 및 I1이 아닌 I2 및 I3를 인가하여야 한다.
즉, 온도가 T2인 경우, 레이저 다이오드(LD)(200)의 바이어스 전류(I_bias2)(208)는 I2이고, 모듈레이션 전류(I_mod2)(209)는 I3-I2 이다.
이처럼 레이저 다이오드(LD)(200)는 동일한 출력 광 파워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온도 등의 주변 환경에 따라 다양한 값의 구동 전류를 인가 받아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후면부(back facet)로 출력되는 광 신호를 검출하여 인가할 구동 전류의 값을 계산하는 광 송신기가 사용되었다. 도 3은 종래의 광 송신기의 구성과 모니터링 전류, 구동 전류 및 광 파워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라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광 송신기는 레이저 다이오드(LD)(200), 포토 다이오드(PD)(220) 및 구동 회로(230)를 포함한다.
레이저 다이오드(LD)(200)의 후면부는 높은 반사율을 갖는 소재로 코팅 처리되어 있다. 따라서, 레이저 다이오드(LD)(200)에 의해 생성된 광 신호의 대부분은 전면부(front facet)를 통해 출력되고, 전면부를 통해 출력된 광 신호에 비례하는 일부의 광 신호가 후면부로 출력된다.
포토 다이오드(PD)(220)는 레이저 다이오드(LD)(200)의 후면부로 출력된 광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모니터링 전류(Im)(203)로 변환한다. 변환된 모니터링 전류(Im)(203)는 포토 다이오드(PD)(220)가 수신한 광 신호의 광 파워의 크기에 비례하며, 포토 다이오드(PD)(220)는 모니터링 전류(Im)를 구동 회로(230)로 전송한다.
구동 회로(230)는 포토 다이오드(PD)(230)로부터 모니터링 전류(Im)(203)를 수신하여, 수신한 모니터링 전류(Im)를 기초로 레이저 다이오드(LD)(200)의 전면부로 출력되는 광 신호의 광 파워를 계산한다. 그리고 구동 회로(230)는 계산된 광 파워를 기초로 레이저 다이오드(LD)(200)로 인가할 구동 전류(I)(201)의 값을 제어한다. 레이저 다이오드(LD)(200)는 이와 같이 제어된 구동 전류(I)(201)에 따라 광 신호를 생성한다.
구동 전류(I)(201)와 광 파워(P)(202)의 관계는 그래프(200a)에 도시되고, 구동 전류(I)(201)와 모니터링 전류(Im)(203)의 관계는 그래프(220a)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WDM-PON)에서도 일반적인 광전송 시스템에서와 마찬가지로 최적의 성능을 위해서 광 수신기에서 수신하는 광 신호의 평균 파워값 및 소광비 (ER, Extinction Ratio=P1/P0) 값을 일정 범위 내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구동 회로(230)는 모니터링 전류(Im)를 기초로 자동 파워 제어(APC: Automatic Power Control) 및 자동 소광비 제어(AEC: Automatic ER Control)를 수행하여, 평균 파워 값 및 ER 값이 목표 값에 도달될 때까지 바이어스 전류 및 모듈레이션 전류를 조정한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라 구동 전류가 제어되는 광 송신기를 사용하여 구현한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WDM-PON)를 도시한 도면이다.
광 송신기(310)는 레이저 다이오드(200) 및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mPD)(220)를 포함한다. 광 송신기(310)는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320)로부터 주입 광을 수신하고, 수신한 주입 광을 이용하여 파장 잠김된 광 신호를 발생시켜 이를 다시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320)로 전송한다.
레이저 다이오드(LD)(200)는 구동 회로(도시 생략)로부터 인가된 구동 전류에 따라 광 신호를 생성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부를 통해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320)로 광 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후면부를 통해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mPD)(220)로 일부의 광 신호를 방출한다.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mPD)(220)는 레이저 다이오드(LD)(200)의 후면부로부터 출력된 광 신호를 수신하여 모니터링 전류(Im)로 변환한 후 이를 구동 회로 (도시 생략)로 전송한다. 구동 회로는 모니터링 전류(Im)에 기초하여 레이저 다이오드(LD)(200)에 인가할 구동 전류를 계산한다.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320)는 광원 분배기(330)로부터 수신한 주입 광을 파장 별로 분리하여 송신기(310)에 주입시킨다. 또한,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320)는 송신기(310)로부터 수신한 파장 별로 분리된 광 신호를 각각의 파장에 대하여 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한 후 광원 분배기(330)로 전송한다.
이처럼 종래의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의 시스템에서는 레이저 다이오드(LD)(200)의 후면부로 출력되는 광 신호를 기초로 레이저 다이오드(LD)(200)에 인가할 구동 전류를 제어하였다.
그러나,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mPD)(220)가 수신하는 광 신호는 스펙트럼(2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가입자를 위한 파장 대역뿐만 아니라 그 이외의 파장을 갖는 광 신호 영역도 포함한다. 이에 반해, 가입자 측의 광 수신기(도시 생략)로 전송되는 광 신호는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320)에 의해 각 대역별로 필터링이 행해지기 때문에 스펙트럼(331)에 도시된 것처럼 각 가입자를 위한 파장 대역만을 갖는다.
따라서, 종래의 구동 전류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가입자 측의 수신기(도시 생략)가 수신하는 광 신호의 스펙트럼(331)과 구동 전류 제어의 기준이 되는 광 신호의 스펙트럼(221)이 불일치함으로 인해 정확한 구동 전류의 제어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불일치는 온도, 주입 광원의 세기 및 LD의 특성에 따라 각각 매우 상이하게 나타나며 정확히 예측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광전송 시스템에서 얻을 수 있었던 APC기능이나 AEC기능의 구현을 완벽히 이룰 수가 없게 되어 시스템 성능의 저하를 야기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 수신기가 실제로 수신하는 광 신호의 스펙트럼을 기준으로 광 송신기의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용 구동 전류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a) 가변 광 감쇄기의 감쇄 값을 X로 설정하는 단계와 (b) 광 송신기의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가 수신하는 광 파워(Px)를 검출하는 단계와 (c) 상기 가변 광 감쇄기의 감쇄 값을 Y로 설정하는 단계와 (d) 상기 광 송신기의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가 수신하는 광 파워(Py)를 검출하는 단계와 (e) 상기 검출된 광 파워(Px 및 Py)를 이용하여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의 공통 단자로 출력되는 광 신호의 광 파워(Pout)를 산출하는 단계 및 (f) 상기 산출한 광 파워(Pout)를 기초로 상기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WDM-PON)용 광 송신기의 구동 전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구동 전류에 따라 송신용 광 신호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와 상기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와 각각 연결된 복수의 개별 단자와 하나의 공통 단자를 포함하는 광 다중/역다중화기와 상기 복수 의 개별 단자를 통해 광 신호를 수신하여 모니터링 전류를 생성하는 포토 다이오드와 입력된 광 신호의 광 파워를 감쇄시켜 출력하는 가변 광 감쇄기와 상기 가변 광 감쇄기의 감쇄 값을 제어하고, 상기 모니터링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공통 단자로 출력되는 광 신호의 광 파워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광 파워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WDM-PON)용 광 송신기의 구동 전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쇄 값을 X로 설정하고 상기 모니터링 전류에 기초하여 광 파워(Px)를 검출하고, 상기 감쇄 값을 Y로 설정하고 상기 모니터링 전류에 기초하여 광 파워(Py)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광 파워(Px 및 Py)를 이용하여 상기 공통 단자로 출력되는 광 신호의 광 파워(Pout)를 계산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레이저 다이오드의 후면부로 출력되는 광 신호가 아닌, 광 수신기가 실제로 수신하는 광 신호의 스펙트럼을 기준으로 광 송신기의 구동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주위 환경 변화에 관계없이 정확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 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WDM-PON)에서 광 송신기의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특히 광 송신기로 주입 광이 전송되는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의 광 송신기의 구동 전류 제어 시스템은 광 송신기(410),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 파워 스플리터(power splitter)(430), 가변 광 감쇄기(VOA: variable optical attenuator)(440), 반사 미러(450), 광원 분배기(460) 및 주입 광원(470)을 포함한다.
주입 광원(470)은 주입 광(1-1)을 생성하여 광원 분배기(460)로 전송한다. 주입 광원(470)은 주로 비간섭성(incoherent) 광원이 사용된다.
광원 분배기(460)는 주입 광원(470)으로부터 주입 광(1-1)을 수신하고, 수신한 주입 광(1-1)을 파워 스플리터(430)를 거쳐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로 전송한다.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는 광원 분배기(460)로부터 주입 광(1-1)을 수신한다.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는 N개의 광 송신기(410)와 각각 연결되는 개별 단자와, 파워 스플리터(430)와 연결되는 공통 단자를 포함한다.
따라서,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는 수신한 주입 광(1-1)을 파장 별로 분리하여 개별 단자를 통해 광 송신기(410)로 전송한다.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는, 예를 들어, 배열 도파로 격자(AWG: Arrayed Waveguide Grating)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송신기(410)는 레이저 다이오드(LD: Laser Diode)(413),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mPD: monitoring Photo Diode)(412) 및 송신기용 파워 스플리터(413)를 포함한다.
송신기용 파워 스플리터(413)는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의 개별 단자로부터 주입 광(1-1)을 수신하여, 수신한 주입 광 중 일부(1-2)는 레이저 다이오드(LD)(411)로 전송하고, 나머지 광 신호(1-2')는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mPD)(412)로 전송한다.
레이저 다이오드(LD)(411)는 송신기용 파워 스플리터(413)로부터 주입 광(1-2)을 수신하여 구동 전류에 따른 파장 잠김된 광 신호를 생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 광 네트워 크(WDM-PON)에서 광 송신기의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특히 구동 전류의 제어를 위한 모니터링 광 신호의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광 송신기(410)는 파장 잠김된 송신용 광 신호(2-1)를 생성하여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레이저 다이오드(LD)(411)는 주입 광원(470)로부터 주입 광을 수신하여 구동 전류에 따른 파장 잠김된 광 신호(2-1)를 생성하고, 이를 다시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로 전송한다.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는 레이저 다이오드(LD)(411)로부터 개별 단자를 통해 각 파장 별로 주입 잠김된 광 신호(2-1)를 수신한다. 그 후, 각각의 파장에 대하여 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한 후 필터링된 광 신호를 공통 단자를 통해 파워 스플리터(430)로 전송한다.
이처럼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의 공통 단자로 출력되는 광 신호는,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에 의해 각 파장 별로 대역 통과 필터링이 되기 때문에, 스펙트럼(461)과 같이 각 가입자를 위한 파장 대역만을 갖는다.
파워 스플리터(430)는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의 공통 단자로부터 광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한 광 신호 중 일부(2-2)는 가변 광 감쇄기(440)로 전송하고 나머지 광 신호는 광원 분배기(460)로 전송한다.
가변 광 감쇄기(440)는 파워 스플리터(430)로부터 광 신호(2-2)를 수신하고, 수신한 광 신호(2-2)의 광 파워를 감쇄시킨다. 다시 말해, 가변 광 감쇄기(VOA)(440)는 수신한 광 신호(2-2)의 광 파워를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감쇄시킨 다. 이 경우 감쇄되는 광 파워의 크기는 데시벨(decibel, dB) 단위로 표현될 수 있다. 이 경우 -10×log10(X)[dB]로 표현된다. 즉, 1/10의 감쇄인 경우 -10×log10(1/10) = 10dB 감쇄로 표현된다. 가변 광 감쇄기(VOA)(440)는 수신한 광 신호(2-2)의 광 파워를 감쇄시킨 후 반사 미러(450)로 전송한다.
반사 미러(450)는 가변 광 감쇄기(VOA)(440)로부터 전송된 광 신호(2-3)를 반사한다. 반사 미러(450)가 반사한 광 신호(2-3)는 가변 광 감쇄기(440), 파워 스플리터(430) 및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를 거쳐 다시 광 송신기(410)로 전송된다.
송신기용 파워 스플리터(413)는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의 개별 단자로부터 광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한 광 신호 중 일부(2-5)는 레이저 다이오드(LD)(411)로 전송하고, 나머지 광 신호(2-5')는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mPD)(412)로 전송한다.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mPD)(412)는 송신기용 파워 스플리터(413)로부터 광 신호(2-5')를 수신한 후 이를 모니터링 전류(Im)로 변환하여 구동 회로(도시 생략)로 전송한다. 구동 회로(도시 생략)는 모니터링 전류(Im)에 기초하여, 레이저 다이오드(LD)(412)로 인가할 구동 전류를 계산한다.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mPD)(412)가 송신기용 파워 스플리터(413)로부터 수신한 광 신호(2-5')의 스펙트럼(41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의 공통 단자로 출력되는 광 신호의 스펙트럼(461)과 유사하다.
따라서, 레이저 다이오드(LD)(411)의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모니터링 광 신호의 광 경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레이저 다이오드(LD)(411)에서 발생된 송신용 광 신호는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로 전송된다.
(2)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로 전송된 광 신호는 각각의 파장에 대하여 대역 통과 필터링이 수행된 후 파워 스플리터(430)로 전송된다.
(3) 파워 스플리터(430)로 전송된 광 신호는 분리되어, 일부의 광 신호가 가변 광 감쇄기(VOA)(440)로 전송된다.
(4) 가변 광 감쇄기(VOA)로 전송된 광 신호는 광 파워가 감쇄되어, 반사 미러(450)로 전송된다.
(5) 반사 미러(450)로 전송된 광 신호는 반사 미러(450)에 의해 반사된다.
(6) 반사 미러(450)에 의해 반사된 광 신호는 가변 광 감쇄기(VOA)(440) 및 파워 스플리터(430)를 거쳐 다시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로 전송된다.
(6)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로 전송된 신호는 각각의 파장에 대하여 대역 통과 필터링이 수행된 후 송신기용 파워 스플리터(413)로 전송된다.
(7) 송신기용 파워 스플리터(413)로 전송된 광 신호는 분리되어, 일부의 광 신호가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mPD)(412)로 전송된다.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mPD)(412)로 전송된 광 신호는 레이저 다이오드(411)의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기준이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 크에서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의 공통 단자로 출력되는 광 신호의 광 파워를 산출하고, 산출된 광 파워를 기초로 광 송신기의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의 공통 단자로 출력되는 광 신호의 광 파워를 계산하고, 계산된 광 파워를 기초로 레이저 다이오드(LD)(411)의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S110)에서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의 공통 단자로 출력되는 광 신호의 광 파워(Pout)의 크기를 X 만큼 감쇄시킨다. 단계(S110)은 가변 광 감쇄기(440)가 감쇄시키는 광 파워의 값이 X가 되도록 가변 광 감쇄기(44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단계(S120)에서는,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mPD)(412)로 전송되는 광 신호(1-2', 2-5')의 광 파워(Px)를 검출한다. 광 파워(Px)의 검출은 전송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켜 수행될 수 있다.
단계(S120)에서 검출되는 광 파워(Px)는 주입 광원에 의한 광 신호(1-2')의 광 파워(Pinj)와 반사 미러(450)에 의해 반사되어 돌아온 광 신호(2-5')의 광 파워의 합이다.
이 경우 아래와 같은 관계가 성립된다.
Figure 112007074193342-PAT00001
수학식 1에서, Px는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mPD)(412)가 수신하는 모든 광 신호(1-2') 2-5')의 광 파워이고, Pinj는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mPD)(412)가 수신하는 주입 광원에 의한 주입 광(1-2')의 광 파워이다. 또한, Pout은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의 공통 단자로 출력되는 광 신호의 광 파워이고, loss는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의 공통 단자로 출력된 광 신호가 파워 스플리터(430), 반사미러(450), 파워 스플리터(430),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 및 송신기용 파워 스플리터(413) 등을 거치면서 발생하는 광 경로상의 광 파워 손실로서 고정된 값이다. X는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의 공통 단자로 출력된 광 신호가 가변 광 감쇄기(440)에 의해 감쇄된 광 파워이다. 따라서, Pout × loss × X는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mPD)(412)가 수신하는 반사 미러(450)에 의해 반사되어 돌아온 광 신호(2-5')의 광 파워를 의미한다.
단계(S130)에서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의 공통 단자로 출력되는 광 신호의 광 파워(Pout)의 크기를 Y 만큼 감쇄시킨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단계(S130)은 가변 광 감쇄기(440)가 감쇄시키는 광 파워의 값이 Y가 되도록 가변 광 감쇄기(44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단계(S140)에서는, 송신기로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mPD)(412)로 전송되는 광 신호(1-2', 2-5')의 광 파워(Py)를 다시 검출한다. 광 파워(Py)의 검출은 전송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켜 수행될 수 있다.
단계(S140)에서 검출되는 광 파워(Py)는 주입 광원에 의한 광 신호(1-2')의 광 파워(Pinj)와 반사 미러(450)에 의해 반사되어 돌아온 광 신호(2-5')의 광 파워의 합이다.
이 경우 아래와 같은 관계가 성립된다.
Figure 112007074193342-PAT00002
수학식 2에서 Y는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의 공통 단자로 출력된 광 신호가 가변 광 감쇄기(440)에 의해 감쇄된 광 파워이고, 나머지 인자는 수학식 1에서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S150)에서는, 단계(S120) 및 단계(S130)에서 검출한 광 파워(Px, Py)를 이용하여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의 공통 단자로 출력되는 광 신호의 광 파워(Pout)를 산출한다. 광 파워(Pout)는 아래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07074193342-PAT00003
수학식 3에서 X 및 Y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 가능한 값이고, Px 및 Py는 단계(S120) 및 단계(S140)에서 검출되는 값이며, loss는 광 경로상의 광 손실로서 미리 결정된 값이다. 따라서, 수학식 3을 이용하여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의 공통 단자로 출력되는 광 신호의 광 파워(Pout)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S160)에서는, 단계(S150)에서 산출한 광 파워(Pout)를 기준으로 레이저 다이오드(LD: laser diode)의 구동 전류를 제어한다.
지금까지는, 도 5 내지 도 7에서 가변 광 감쇄기(440)가 파워 스플리터(430) 와 반사 미러(450)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변 광 감쇄기(440)는 주입 광원(470)과 광원 분배기(460)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가변 광 감쇄기(440)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은 변경되지만, 수학식 1 내지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2원 1차 연립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형태로 표현 가능하다면, 가변 광 감쇄기(440)가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의 공통 단자로 출력되는 광 신호의 광 파워(Pout)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함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전류 제어 시스템은 가변 광 감쇄기(VOA)(440)를 이용하여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420)에 의해 각 파장별로 필터링된 광 신호의 광 파워를 계산하고 이를 기초로 광 송신기의 구동 전류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각 파장별로 필터링된 광 신호는 수신기(도시 생략)로 전송되는 광 신호와 동일한 스펙트럼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전류 제어 시스템은 각 가입자에게 실제로 전송되는 광 신호의 스펙트럼과 동일한 스펙트럼을 기초로 광 송신기의 구동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송신기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송신기는 파워 스플리터(power splitter)(610), 포토 다이오드(PD)(620), 제어부(630), 전류원(640) 및 레이저 다이오드(LD)(650)를 포함한다.
파워 스플리터(610)는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도시 생략)로부터 광 신호를 수신한다. 파워 스플리터(610)는 수신한 광 신호를 분리하여 일부의 광 신호를 레이저 다이오드(LD)(650)로 전송하고, 나머지 광 신호를 포토 다이오드(PD)(620)로 전송한다.
포토 다이오드(PD)(620)는 파워 스플리터(610)로부터 광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킨다. 포토 다이오드(PD)(620)는 변환시킨 전기 신호를 제어부(630)로 전송한다.
제어부(630)는 가변 광 감쇄기(도시 생략)의 감쇄 값을 X로 설정한 후, 포토 다이오드(PD)(620)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다시 가변 광 감쇄기의 감쇄 값을 Y로 설정한 후, 포토 다이오드(PD)(620)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두 번의 과정을 통해 포토 다이오드(PD)(620)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한 전기 신호를 기초로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도시 생략)의 공통 단자로부터 출력된 광 신호의 광 파워를 계산하고, 계산된 광 파워를 기초로 전류원(640)을 제어한다.
제어부(630)는 측정한 광 파워의 평균 파워 값 및 소광비(ER, Extinction Ratio) 값이 목표 범위 내에 도달할 때까지 구동 전류, 즉, 바이어스 전류 및 모듈레이션 전류를 조정하여, 자동 파워 제어(APC: Automatic Power Control) 및 자동 소광비 제어(AEC: Automatic ER Control)를 수행한다.
전류원(640)은 제어부(630)에 의하여 제어된 구동 전류를 레이저 다이오드(LD)(650)로 인가한다. 전류원(640)이 인가하는 구동 전류의 크기는, 전술한 바 와 같이, 제어부(630)가 계산한 광 파워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레이저 다이오드(LD)(650)는 인가된 구동 전류에 따라 송신용 광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광 신호를 파워 스플리터(610)를 거쳐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도시 생략)로 전송한다. 레이저 다이오드(LD)(650)가 생성하는 광 신호의 광 파워는 전류원(640)이 레이저 다이오드(LD)(650)로 인가하는 구동 전류의 크기에 비례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송신기의 제어부(630)는, 결과적으로,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도시 생략)의 공통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광 신호를 기초로 레이저 다이오드(LD)(650)에 인가할 구동 전류의 크기를 제어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송신기의 구동 전류 제어 시스템은, 종래의 구동 전류 제어 시스템과는 달리 레이저 다이오드(LD)(650)의 후면부로 출력되는 광 신호가 아닌,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도시 생략)에 의해 필터링되어 공통 단자로 출력되는 광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전류를 제어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광 신호를 전송하는 구성 요소를 위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이러한 광 신호의 전송을 위한 구성은 중앙 기지국이 가입자로 하향 광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가입자가 중앙 기지국으로 상향 광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 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에서의 양방향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광 송신기에 사용되는 레이저 다이오드(LD: Laser Diode)의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광 송신기의 구성과 모니터링 전류, 구동 전류 및 광 파워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라 구동 전류가 제어되는 광 송신기를 사용하여 구현한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WDM-PON)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WDM-PON)에서 광 송신기의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WDM-PON)에서 광 송신기의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에서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의 공통 단자로 출력되는 광 신호의 광 파워를 산출하고, 산출된 광 파워를 기초로 광 송신기의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송신기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Claims (8)

  1.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WDM-PON)용 광 송신기의 구동 전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가변 광 감쇄기의 감쇄 값을 X로 설정하는 단계와,
    (b) 광 송신기의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가 수신하는 광 파워(Px)를 검출하는 단계와,
    (c) 상기 가변 광 감쇄기의 감쇄 값을 Y로 설정하는 단계와,
    (d) 상기 광 송신기의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가 수신하는 광 파워(Py)를 검출하는 단계와,
    (e) 상기 검출된 광 파워(Px 및 Py)를 이용하여 1xN 광 다중/역다중화기의 공통 단자로 출력되는 광 신호의 광 파워(Pout)를 산출하는 단계 및
    (f) 상기 산출한 광 파워(Pout)를 기초로 상기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구동 전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파워(Pout)는 수학식
    Figure 112007074193342-PAT00004
    에 의해 계산되고, loss는 광 경로상의 광 손실인 구동 전류 제어 방법.
  3.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WDM-PON)용 광 송신기의 구동 전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구동 전류에 따라 송신용 광 신호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와,
    상기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와 각각 연결된 복수의 개별 단자와 하나의 공통 단자를 포함하는 광 다중/역다중화기와,
    상기 복수의 개별 단자를 통해 광 신호를 수신하여 모니터링 전류를 생성하는 포토 다이오드와,
    입력된 광 신호의 광 파워를 감쇄시켜 출력하는 가변 광 감쇄기 및
    상기 가변 광 감쇄기의 감쇄 값을 제어하고, 상기 모니터링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공통 단자로 출력되는 광 신호의 광 파워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광 파워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구동 전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쇄 값을 X로 설정하고 상기 모니터링 전류에 기초하여 광 파워(Px)를 검출하고, 상기 감쇄 값을 Y로 설정하고 상기 모니터링 전류에 기초 하여 광 파워(Py)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광 파워(Px 및 Py)를 이용하여 상기 공통 단자로 출력되는 광 신호의 광 파워(Pout)를 계산하는 것인 구동 전류 제어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통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광 신호의 평균 파워 값 및 소광비(ER, Extinction Ratio) 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구동 전류를 조정하는 것인 구동 전류 제어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단자로부터 광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광 신호를 미리 설정된 비율로 분리시키는 파워 스플리터(power splitter) 및
    상기 파워 스플리터에 의해 분리된 광 신호를 반사하여 상기 파워 스플리터 를 통해 상기 광 다중/역다중화기로 전송하는 반사 미러
    를 더 포함하는 구동 전류 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 다중/역다중화기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반사 미러에 의해 반사된 광 신호의 일부를 상기 포토 다이오드로 전송하는 송신기용 파워 스플리터를 더 포함하는 구동 전류 제어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광 감쇄기는 상기 파워 스플리터와 상기 반사 미러 사이에 위치하는 것인 구동 전류 제어 시스템.
KR1020070104356A 2007-10-17 2007-10-17 Wdm-pon 광 송신기의 구동 전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0906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356A KR100906399B1 (ko) 2007-10-17 2007-10-17 Wdm-pon 광 송신기의 구동 전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CT/KR2008/001652 WO2009051313A1 (en) 2007-10-17 2008-03-24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riving current of wdm-pon optical transmitter
US12/516,920 US8073341B2 (en) 2007-10-17 2008-03-24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riving current of WDM-PON optical transmit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356A KR100906399B1 (ko) 2007-10-17 2007-10-17 Wdm-pon 광 송신기의 구동 전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993A true KR20090038993A (ko) 2009-04-22
KR100906399B1 KR100906399B1 (ko) 2009-07-07

Family

ID=4056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356A KR100906399B1 (ko) 2007-10-17 2007-10-17 Wdm-pon 광 송신기의 구동 전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73341B2 (ko)
KR (1) KR100906399B1 (ko)
WO (1) WO20090513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3859A3 (ko) * 2009-06-11 2011-02-24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파장분할 다중방식 수동형 광 가입자망에서 광원을 제어하기 위한 기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46443B1 (en) * 2008-07-17 2014-01-22 Ericsson-LG Co., Ltd. Colorless optical transceiver an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KR20120070260A (ko) * 2010-12-21 2012-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 광 모듈 및 그 구동 방법
JP5999179B2 (ja) * 2012-06-07 2016-09-28 富士通株式会社 光検出装置、光検出方法および光送信装置
US9640943B2 (en) * 2012-07-30 2017-05-02 Oplink Communications, Llc External cavity fabry-perot laser
WO2015135171A1 (zh) * 2014-03-13 2015-09-17 华为技术有限公司 Wdm-pon中调整激光器发射参数的方法、装置及系统
CN108604932B (zh) * 2016-01-28 2020-08-07 华为技术有限公司 波长可调谐的光发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259B1 (ko) * 2002-05-03 2005-09-15 한국과학기술원 파장 가변 광원 구현 방법 및 장치와 이 광원을 이용한 파장분할 다중방식 광전송 장치
KR100469736B1 (ko) 2002-11-21 2005-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파장 레이징 광원에 파장 잠김된 페브리-페롯 레이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 전송장치
KR100532309B1 (ko) * 2003-04-21 2005-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온도변화와 무관하게 페브리-페롯 레이저의파장잠김을 유지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파장분할다중방식 광원
KR100605925B1 (ko) * 2004-01-27 2006-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 가입자망
KR100703388B1 (ko) * 2004-12-29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송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수동형 광가입자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3859A3 (ko) * 2009-06-11 2011-02-24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파장분할 다중방식 수동형 광 가입자망에서 광원을 제어하기 위한 기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73341B2 (en) 2011-12-06
US20100067921A1 (en) 2010-03-18
KR100906399B1 (ko) 2009-07-07
WO2009051313A1 (en) 200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6151B2 (en) Low-cost WDM source with an incoherent light injected Fabry-Perot laser diode
US9083469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sing wavelength of tunable laser, and a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passive optical network having the same
KR100575953B1 (ko) 반사형 이득고정 반도체 광증폭기를 포함하는 광신호전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통신 시스템
JP4885175B2 (ja) ファブリー・ペロ・レーザーダイオードを基礎とするレーザー装置及びその注入方法
KR100906399B1 (ko) Wdm-pon 광 송신기의 구동 전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7843629B2 (en) Periodically filtered broadband light source
WO2007140033A2 (en) Optical injection locking of vcsels for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passive optical networks (wdm-pons)
US7539416B2 (en) Optical network terminal and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based optical network having the same
Xiong et al. Characterization of directly modulated self-seeded reflective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s utilized as colorless transmitters in WDM-PONs
US9106050B2 (en) Self-characterization tunable optical network unit
KR20120132430A (ko) 파장분할 다중화 광통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출력신호의 광 성능 측정 방법
KR100972650B1 (ko)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용 광 송신기의구동 전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Wong et al. Directly-modulated self-seeding reflective SOAs as colorless transmitters for WDM passive optical networks
KR100947345B1 (ko) Wdm-pon 광 송신기의 구동 전류 제어 시스템
KR101195255B1 (ko) 무편광 광원을 이용하여 광신호의 고속 전송이 가능한 파장분할 다중방식 광통신용 광원 및 이를 구비한 파장분할 다중방식 수동형 광 가입자망
KR100860548B1 (ko) 자체 잠김을 이용한 파장 추적 시스템, 이를 포함하는파장분할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통신 시스템 및 파장 추적방법
KR100895482B1 (ko) 저가격 파장분할다중방식 수동형 광가입자망
US10419153B2 (en) Optical transmitter and optical transmitting method
KR100924572B1 (ko) 자체 잠김 광원을 포함하는 광 선로 감시 장치 및 방법그리고 이를 이용한 광 통신망 시스템
KR20130085559A (ko) 광송신기 조정 장치 및 방법
Kwon et al. WDM-PON downstream optical link using wavelength-locked FP-LD by spectrally-sliced FP-LD
JP4451317B2 (ja) ポイント−マルチポイント光通信システムおよび加入者側装置
KR101219167B1 (ko)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 제어방법 및 그 제어장치
KR101243109B1 (ko)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가입자망의 신호 전송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