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8952A -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8952A
KR20090038952A KR1020070104284A KR20070104284A KR20090038952A KR 20090038952 A KR20090038952 A KR 20090038952A KR 1020070104284 A KR1020070104284 A KR 1020070104284A KR 20070104284 A KR20070104284 A KR 20070104284A KR 20090038952 A KR20090038952 A KR 20090038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teel parts
nitriding
minutes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익수
Original Assignee
정익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익수 filed Critical 정익수
Priority to KR1020070104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8952A/ko
Publication of KR20090038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9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8/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8/06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gases
    • C23C8/08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gases only one element being applied
    • C23C8/24Nitriding
    • C23C8/26Nitriding of ferrous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6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particular articles not mentioned below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8/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8/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8/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8/80After-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olid-Phase Diffusion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 재질을 대체하여 사용되는 강부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재의 표면처리를 통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키고, 그 외관을 개선하여, 스테인리스 부품을 대체 할 수 있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압연강재를 단조가공하여 얻어진 강부품을 제1질화단계와 연마단계로 이루어진 2단계의 표면처리 공정을 거쳐서 스테인리스 대체품으로 만들어낸다. 구체적으로는 제1질화단계에서는 피처리물인 강부품의 장입 및 승온과정(S20), 질화과정(S30), 퍼징과정(S40), 및 냉각과정(S50)이 순차적으로 시행되어 상기 강부품의 표면을 질화처리하여 스테인리스가 갖고 있는 기계적, 화학적 성질인 내식성과 내마모성을 강부품에 부여하여 스테인리스 부품의 기계적 성질을 만족시켜주고, 연마단계에서는 폴리싱을 통하여 스테인리스 부품 고유의 색깔과 질감이 나타나도록 하여서 외관에서도 스테인리스를 대체하는데 부족함이 없도록 하여준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하여 강부품을 생산하면, 강부품의 가공성을 유지하면서 스테인리스부품 특유의 내식성 및 내마모성을 얻을 수 있으며, 제조 비용에 있어서도 스테인리스 부품에 비하여 30% ~ 60%의 원가절감 효과 가 있다.
질화, 스테인리스, 가전제품, 강부품

Description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 {METHOD OF MAKING STEEL PARTS FOR REPLACING STAINLESS}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 재질을 대체하여 사용되는 강부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재의 표면처리를 통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키고, 그 외관을 개선하여, 특히 세탁기, 냉장고, 에어콘 등의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스테인리스 부품을 대체 할 수 있는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테인리스강은 산소의 산화작용이 있는 중성에 가까운 상태에서 부동태(不動態)를 형성하여 불수성을 유지하는 강이며, 통상적으로 금속 내부 조직에 따라 오스테나이트계와 페라이트계 및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으로 구분된다.
스테인리스강은 성질에 있어서, 내식성이 우수하며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가 높고, 내마모성이 좋다. 또한, 외관이 아름다워서 별도의 도장을 할 필요가 없다.
특히 스테인리스 강은 우수한 내식성과 미려한 외관 덕분에, 습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가정용 제품에 많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세탁기, 냉장고 및 각종 위생용기에서 스테인리스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우수한 성질의 이면에는 일반 압연강재에 비하여 가격이 3,4 배에 이르는 고가라는 점과 인성이 풍부하여 가공성이 좋지않은 문제점이 있어서 그 사용에 제약이 있는 실정이다.
또한 표면에는 산화크롬으로 이루어진 부동태 피막이 있어서 외장 표면처리 기술이 제한적으로 적용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스테인리스와 같은 내식성과 내마모성을 보유하면서 소요비용은 저렴하고, 가공성은 스테인리스보다 우수한 부품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식성, 외관특성 등이 스테인리스와 유사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부품을 표면처리 하여 스테인리스부품을 대체하는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강부품이 장입된 열처리로에 암모니아(NH3) 가스를 주입하면서 내부온도가 520 ~ 540℃ 범위가 되도록 40 ~ 80 분 동안 승온하는 장입 및 승온과정, 상기 장입 및 승온과정의 최종 온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암모니아(NH3), 질소(N2), 이산화탄소(CO2) 및 아산화질소(N2O)로 이루어진 혼합가스를 일정 조성 비율로 주입하여 60 ~ 120 분 동안 질화처리하는 질화과정, 상기 열처리로의 내부에 질소(N2) 가스를 주입하면서 10 ~ 30 분 동안 잔류가스를 배출, 제거하고 내부 온도를 505 ~ 525℃ 범위로 냉각시키는 퍼징과정, 및 상기 퍼징과정을 마친 강부품을 열처리로에서 취출하여 대기중에서 상온까지 냉각시키는 냉각과정을 포함하는 제1질화단계; 및 상기 제1질화단계에 의해 열처리된 강부품 표면의 화합물층의 두께가 적어도 10 ㎛이 되도록 표면을 폴리싱하는 연마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질화단계에서 적용되는 혼합가스의 조성비는 암모니아(NH3) 50 ~ 80부피%, 질소(N2) 10 ~ 30부피%, 이산화탄소(CO2) 5 ~ 20 부피%, 및 아산화질소(N2O) 5 ~ 20부피%이고, 열처리로 내부 압력이 50 ~ 300 mbar가 되도록 혼합가스를 주입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질화단계에서 얻어지는 강부품의 화합물층의 두께는 적어도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마단계에 의해 표면처리된 강부품에 인산염계 코팅제를 도포하고 350 ~ 400℃에서 20 ~ 30분간 건조하는 코팅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코팅단계 대신에 상기 연마단계에 의해 표면처리된 강부품을 200℃ 까지 가열한 후에 공냉시키는 템퍼링단계를 추가할 수도 있다.
강제품의 성능을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연마단계에 의해 표면처리된 강부품을 상기 제1질화단계와 동일한 조건으로 질화처리하는 제2질화단계를 더 포함시킬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제2질화단계에 의해 표면처리된 강부품에 인산염계 코팅제를 도포하고 350 ~ 400℃에서 20 ~ 30분간 건조하는 코팅단계를 다시 한 번더 추가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별도의 산화과정을 추가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은 강부품을 표면처리하여 스테인리스부품을 대체하는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 기 강부품이 장입된 열처리로에 암모니아(NH3) 가스를 주입하면서 내부온도가 520 ~ 540℃ 범위가 되도록 40 ~ 80 분 동안 승온하는 장입 및 승온과정, 상기 장입 및 승온과정의 최종 온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암모니아(NH3), 질소(N2), 이산화탄소(CO2), 및 아산화질소(N2O) 가스를 일정 조성 비율로 주입하여 60 ~ 120 분 동안 질화처리하는 질화과정, 상기 열처리로의 내부에 질소(N2) 가스를 주입하면서 10 ~ 30 분 동안 잔류가스를 배출, 제거하고 내부 온도를 505 ~ 525℃ 범위로 냉각시키는 퍼징과정, 상기 퍼징과정의 최종 온도를 10 ~ 50분 동안 유지하고 질소(N2) 가스를 주입하면서 50 ~ 300 mbar의 압력으로 스팀을 분사하여 산화처리를 시행하는 산화과정, 및 상기 산화과정을 마친 강부품을 열처리로에서 취출하여 대기중에서 상온까지 냉각시키는 냉각과정을 포함하는 산질화단계; 및 상기 산질화단계에 의해 표면처리된 강부품에 인산염계 코팅제를 도포하고 350 ~ 400℃에서 20 ~ 30분간 건조하는 코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코팅단계 대신에 산질화단계에 의해 표면처리된 강부품에 도장용 도료를 도포하고 130 ~ 170℃에서 20 ~ 40분간 건조하는 도장단계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산질화단계에서 혼합가스의 조성비는 암모니아(NH3) 50 ~ 80부피%, 질소(N2) 10 ~ 30부피%, 이산화탄소(CO2) 5 ~ 20부피%, 및 아산화질소(N2O) 5 ~ 20부피%이고, 열처리로 내부 압력이 50 ~ 300 mbar가 되도록 상기 혼합가스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강부품을 생산하면, 강부품의 가공성을 유지하면서 스테인리스부품 특유의 내식성 및 내마모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기계적, 화학적 특성 이외에도 색깔 및 질감에서도 스테인리스와 비슷한 성질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어서, 외관적인 측면에서도 스테인리스 부품의 대체가 가능하다.
제조 비용에 있어서도 스테인리스 부품에 비하여 30% ~ 60%의 원가절감 효과 가 있다.
뿐만 아니라, 질화공정이 저온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과도한 에너지 사용 및 배출가스의 유해물질 저감이 가능하여, 에너지 절약 및 환경보호에 이바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 부품의 제조방법은, 압연강재를 단조가공하여 얻어진 강부품을 제1질화단계(P100)와 연마단계(P200)로 이루어진 2단계의 표면처리 공정을 거쳐서 스테인리스 대체품으로 만들어낸다.
즉, 제1질화단계(P100)를 통하여 스테인리스가 갖고 있는 기계적, 화학적 성질인 내식성과 내마모성을 강부품에 부여하여 스테인리스 부품의 기계적 성질을 만족시켜주고, 연마단계(P200)에서는 폴리싱을 통하여 스테인리스 부품 고유의 색깔과 질감이 나타나도록 하여서 외관에서도 스테인리스를 대체하는데 부족함이 없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질화단계(P100)에서는 피처리물인 강부품의 장입 및 승온과정(S20), 질화과정(S30), 퍼징과정(S40), 및 냉각과정(S50)이 순차적으로 시행되어 상기 강부품의 표면을 질화처리하게 된다.
장입 및 승온과정(S20)의 경우, 세척과정(S10)을 통하여 세척된 강부품이 장입된 열처리로에 암모니아(NH3) 가스를 주입하면서 내부온도가 520 ~ 540℃ 범위가 되도록 40 ~ 80 분 동안 승온하는 것이고, 질화과정(S30)은 상기 장입 및 승온과정(S20)의 최종 온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암모니아(NH3), 질소(N2), 이산화탄소(CO2), 및 아산화질소(N2O) 가스를 일정 조성 비율로 주입하여 60 ~ 120 분 동안 질화처리 하는 것이다.
이때, 혼합가스의 조성비는 암모니아(NH3) 50 ~ 80부피%, 질소(N2) 10 ~ 30 부피%, 이산화탄소(CO2) 5 ~ 20부피%, 및 아산화질소(N2O) 5 ~ 20부피%이고, 열처리로 내부 압력이 50 ~ 300 mbar가 되도록 상기 혼합가스를 주입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질화단계(P100)에 적용되는 질화처리 방법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580℃ 이상의 고온에서 수행되는 종래의 질화처리 방법에 비하여 저온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강부품은 특히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스테인리스 부품을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압연강재를 가공하여 제조하게 되는데, 그 중에서도 단조가공된 강부품을 기존의 질화처리 방법에 의하여 질화처리 하면 오히려 내부경도가 저하되는 부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즉, 단조가공된 강부품은 고온에서의 질화처리를 통하여 내부경도가 약해지고 따라서 일정한 기계적 강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데 반하여 본 발명의 질화과정(S30)을 적용하면, 경도의 저하현상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기계적 강도가 유지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저온 질화과정(S30)은 표면의 화합물층의 두께가 적정하게 형성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바, 본 발명의 질화처리에서는 기존의 질화과정에서 사용되는 촉매제인 이산화탄소와 병행하여 아산화질소(N2O) 가스를 사용함으로써 화합물층의 두께를 적정두께 이상으로 형성시켜준다. 이때, 이산화탄소를 배제시키고 아산화질소만을 촉매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온의 환경에서 질화과정(S30)이 이루어짐에 따라, 에너지 소비가 절약되는 부수적인 효과가 있으며, 동시에 크랙 및 박리량을 엄격히 줄일 수 있고 조직의 치밀화로 인하여 고온질화에 비하여 내식성 측면에서 유리하고 배출가스의 유해물질이 저감되는 친환경적인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질화과정(S30)을 거친 강부품에 대하여는 상기 열처리로의 내부에 질소(N2) 가스를 주입하면서 10 ~ 30 분 동안 잔류가스를 배출, 제거하고 내부 온도를 소정 온도범위로 냉각시키는 퍼징과정(S40), 및 상기 퍼징과정(S40)을 마친 강부품을 열처리로에서 취출하여 대기 중에서 상온까지 냉각시키는 냉각과정(S50)을 거치게 된다.
냉각과정(S50)은 대기 중에서 이루어지므로, 단순한 냉각현상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대기 중의 산소와 강부품이 서로 반응하여 표면에서 산화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별도의 산화공정을 거치지 않아도 자연적으로 산화하면서 표면에 산화층이 형성된다.
제1질화단계(P100)를 거친 강부품의 표면을 폴리싱하여 원하는 색깔과 질감을 얻게 되는데, 연마단계(P200)에서 강부품 표면에 남아있는 화합물층의 두께는 적어도 10 ㎛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스테인리스와 동일한 내식성을 확보하기위해 요구되는 화합물층의 두께인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강부품의 제조방법은 제1질화단계(P100)에서 얻어지는 강부품의 화합물층의 두께는 2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연마단계(P200)에 의해 표면처리된 강부품에 인산염계 코팅제를 도포하는 코팅단계(P300)를 통하여 내스크래치성과 내식성을 개선하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인산염계 코팅제는 무기계 코팅제로서 수용성이며, 내식성, 내열성, 내약품성이 우수하다. 코팅은 딥핑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건조는 초기 80 ~ 100℃를 거쳐 350 ~ 400℃에서 최종적으로 20 ~ 30분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벤딩시에도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우수한 코팅면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1질화단계(P100)와 연마단계(P200)를 통하여 표면처리된 강부품을 200 ~ 500℃ 까지 가열한 후에 공냉시키는 템퍼링단계(P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연마단계(P200)를 거친 강부품은 금속 특유의 색깔과 광택을 유지하여 스테인리스 질감을 나타내는데, 템퍼링을 통하여 단순한 금속질감이 아닌 특별한 색깔을 발하도록 하여서 더욱 미려한 외관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템퍼링에 의하여 나타나는 색깔은 템퍼링 온도와 관련이 있는바, 200℃ 까지 가열한 후에 공냉하는 경우에 강부품은 금색을 띄게 되고, 250℃ 부근에서는 구리색, 350℃ 부근에서는 파란색, 그리고 500℃부근에서는 자주색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은 주로 세탁기,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에 사용되는바, 200℃에서 템퍼링하여 금색의 미려한 외관을 얻는 경우에 소비자들에게 스테인리스의 질감에 금빛의 우아함이 더하여져서 고급스러운 제품이라는 이미지를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은 연마단계(P200)에 의해 표면처리된 강부품을 제1질화단계(P100)와 동일한 조건으로 반복하여 질화처리하는 제2질화단계(P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질화단계(P110)를 반복함으로써 강부품 표면의 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더욱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더욱 개선된 표면을 얻기 위하여, 제2질화단계(P110)에 의해 표면처리된 강부품에 인산염계 코팅제를 도포하고 350 ~ 400℃에서 20 ~ 30분간 건조하는 코팅단계(P31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스테인리스 부품의 경도는 비커스경도 값으로 약 Hv 175 정도인데, 본 발명의 실시예인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강부품은 경도가 비커스경도 값으로 약 Hv400 이상이 되어, 2배 이상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염수분무시험을 실시한 결과, 내식성의 향상으로 적녹 발생이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은, 압연강재를 단조가공하여 얻어진 강부품을 산질화단계(P120)와 코팅단계(P320)의 2단계로 이루어진 표면처리 공정을 거쳐서 스테인리스 대체품으로 만들어낸다.
즉, 산질화단계(P120)와 코팅단계(P320)를 거치면서 강부품을 스테인리스 이상의 내식성과 내마모성을 갖는 부품으로 만들어 주는 것이다. 동시에 강부품 특유의 가공성 및 기계적 강도를 유지함으로써 스테인리스와 압연강재가 갖는 2가지 장점을 모두 보유한 부품으로 만드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산질화단계(P120)에서는 피처리물인 강부품의 장입 및 승온과정(S20), 질화과정(S30), 퍼징과정(S40), 산화과정(S45), 및 냉각과정(S50)이 순차적으로 시행되어 상기 강부품의 표면을 산질화처리하게 된다.
전체적인 공정은 순서 및 방법은 제1질화단계(P100)와 동일하고, 단지 퍼징과정(S40)과 냉각과정(S50) 사이에 산화과정(S45)이 추가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다.
산화과정(S45)은 질화처리된 강부품의 표면에 산화층을 형성하여 내식성, 내마모성 및 윤활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505 ~ 525℃에 해당하는 퍼징과정(S40)의 최종 온도를 10 ~ 50분 동안 유지하고 질소(N2) 가스를 주입하면서 50 ~ 300 mbar의 압력으로 스팀을 분사하여 산화처리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산질화단계(P120)와 코팅단계(P320)를 거친 강부품은 스테인리스 부품보다 우수한 내식성과 내마모성을 보유하면서도 비용면에 있어서 32 ~ 60%의 비용절감효과를 거둘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미려한 외관구현을 위하여 코팅단계(P320) 대신에 도장단계(P500)를 실시하여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장단계(P500)는 산질화단계(P120)에 의해 표면처리된 강부품에 도장용 도료를 도포하고 130 ~ 170℃에서 20 ~ 40분간 건조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데, 산질화단계를 거친 강부품은 표면에 기공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도장단계에서 형성된 도장피막이 강부품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혹독한 마모조건에서도 색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도료의 색상만큼 다양한 색상의 칼라를 자유자재로 구현하게 되므로, 원하는 색상의 알루미늄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의 공정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S10: 세척과정 S20: 장입 및 승온과정
S30: 질화과정 S40: 퍼징과정
S45: 산화과정 S50: 냉각과정
P100: 제1질화단계 P110: 제2질화단계
P120: 산질화단계 P200: 연마단계
P300, P310, P320 :코팅단계 P400: 템퍼링단계
P500: 도장단계

Claims (10)

  1. 강부품을 표면처리 하여 스테인리스부품을 대체하는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강부품이 장입된 열처리로에 암모니아(NH3) 가스를 주입하면서 내부온도가 520 ~ 540℃ 범위가 되도록 40 ~ 80 분 동안 승온하는 장입 및 승온과정, 상기 장입 및 승온과정의 최종 온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암모니아(NH3), 질소(N2), 이산화탄소(CO2) 및 아산화질소(N2O)로 이루어진 혼합가스를 일정 조성 비율로 주입하여 60 ~ 120 분 동안 질화처리하는 질화과정, 상기 열처리로의 내부에 질소(N2) 가스를 주입하면서 10 ~ 30 분 동안 잔류가스를 배출, 제거하고 내부 온도를 505 ~ 525℃ 범위로 냉각시키는 퍼징과정, 및 상기 퍼징과정을 마친 강부품을 열처리로에서 취출하여 대기 중에서 상온까지 냉각시키는 냉각과정을 포함하는 제1질화단계; 및
    상기 제1질화단계에 의해 열처리된 강부품 표면의 화합물층의 두께가 적어도 10 ㎛이 되도록 표면을 폴리싱하는 연마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질화단계에서 혼합가스의 조성비는 암모니아(NH3) 50 ~ 80부피%, 질소(N2) 10 ~ 30부피%, 이산화탄소(CO2) 5 ~ 20 부피%, 및 아산화질소(N2O) 5 ~ 20부피%이고, 열처리로 내부 압력이 50 ~ 300 mbar가 되도록 상기 혼합가스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질화단계에서 얻어지는 강부품의 화합물층의 두께는 적어도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단계에 의해 표면처리된 강부품에 인산염계 코팅제를 도포하고 350 ~ 400℃에서 20 ~ 30분간 건조하는 코팅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단계에 의해 표면처리된 강부품을 200 ~ 500℃ 까지 가열한 후에 공냉시키는 템퍼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단계에 의해 표면처리된 강부품을 상기 제1질화단계와 동일한 조건으로 질화처리하는 제2질화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질화단계에 의해 표면처리된 강부품에 인산염계 코팅제를 도포하고 350 ~ 400℃에서 20 ~ 30분간 건조하는 코팅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
  8. 강부품을 표면처리하여 스테인리스부품을 대체하는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강부품이 장입된 열처리로에 암모니아(NH3) 가스를 주입하면서 내부온 도가 520 ~ 540℃ 범위가 되도록 40 ~ 80 분 동안 승온하는 장입 및 승온과정, 상기 장입 및 승온과정의 최종 온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암모니아(NH3), 질소(N2), 이산화탄소(CO2) 및 아산화질소(N2O) 가스를 일정 조성 비율로 주입하여 60 ~ 120 분 동안 질화처리하는 질화과정, 상기 열처리로의 내부에 질소(N2) 가스를 주입하면서 10 ~ 30 분 동안 잔류가스를 배출, 제거하고 내부 온도를 505 ~ 525℃ 범위로 냉각시키는 퍼징과정, 상기 퍼징과정의 최종 온도를 10 ~ 50분 동안 유지하고 질소(N2) 가스를 주입하면서 50 ~ 300 mbar의 압력으로 스팀을 분사하여 산화처리를 시행하는 산화과정, 및 상기 산화과정을 마친 강부품을 열처리로에서 취출하여 대기중에서 상온까지 냉각시키는 냉각과정을 포함하는 산질화단계; 및
    상기 산질화단계에 의해 표면처리된 강부품에 인산염계 코팅제를 도포하고 350 ~ 400℃에서 20 ~ 30분간 건조하는 코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
  9. 강부품을 표면처리하여 스테인리스부품을 대체하는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강부품이 장입된 열처리로에 암모니아(NH3) 가스를 주입하면서 내부온도가 520 ~ 540℃ 범위가 되도록 40 ~ 80 분 동안 승온하는 장입 및 승온과정, 상 기 장입 및 승온과정의 최종 온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암모니아(NH3), 질소(N2), 이산화탄소(CO2) 및 아산화질소(N2O) 가스를 일정 조성 비율로 주입하여 60 ~ 120 분 동안 질화처리하는 질화과정, 상기 열처리로의 내부에 질소(N2) 가스를 주입하면서 10 ~ 30 분 동안 잔류가스를 배출, 제거하고 내부 온도를 505 ~ 525℃ 범위로 냉각시키는 퍼징과정, 상기 퍼징과정의 최종 온도를 10 ~ 50분 동안 유지하고 질소(N2) 가스를 주입하면서 50 ~ 300 mbar의 압력으로 스팀을 분사하여 산화처리를 시행하는 산화과정, 및 상기 산화과정을 마친 강부품을 열처리로에서 취출하여 대기중에서 상온까지 냉각시키는 냉각과정을 포함하는 산질화단계; 및
    상기 산질화단계에 의해 표면처리된 강부품에 도장용 도료를 도포하고 130 ~ 170℃에서 20 ~ 40분간 건조하는 도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산질화단계에서 혼합가스의 조성비는 암모니아(NH3) 50 ~ 80부피%, 질소(N2) 10 ~ 30부피%, 이산화탄소(CO2) 5 ~ 20 부피%, 및 아산화질소(N2O) 5 ~ 20부피%이고, 열처리로 내부 압력이 50 ~ 300 mbar가 되도록 상기 혼합가스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
KR1020070104284A 2007-10-17 2007-10-17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 KR200900389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284A KR20090038952A (ko) 2007-10-17 2007-10-17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284A KR20090038952A (ko) 2007-10-17 2007-10-17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952A true KR20090038952A (ko) 2009-04-22

Family

ID=40762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284A KR20090038952A (ko) 2007-10-17 2007-10-17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895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830B1 (ko) * 2011-06-20 2013-07-23 정한우 브레이크 디스크의 제조방법
KR20170014838A (ko) * 2015-07-31 2017-02-08 주식회사 지에스엠 표면경도 및 내식성이 향상된 도금처리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
KR101858239B1 (ko) * 2018-02-22 2018-06-28 정성훈 주방용 조리기구의 표면에 논스틱층을 형성시키기 위한 열처리방법
CN115896680A (zh) * 2022-12-12 2023-04-04 长沙理工检测咨询有限责任公司 一种柴油发动机喷油嘴的多阶段渗氮热处理工艺及柴油发动机喷油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830B1 (ko) * 2011-06-20 2013-07-23 정한우 브레이크 디스크의 제조방법
KR20170014838A (ko) * 2015-07-31 2017-02-08 주식회사 지에스엠 표면경도 및 내식성이 향상된 도금처리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
KR101858239B1 (ko) * 2018-02-22 2018-06-28 정성훈 주방용 조리기구의 표면에 논스틱층을 형성시키기 위한 열처리방법
CN115896680A (zh) * 2022-12-12 2023-04-04 长沙理工检测咨询有限责任公司 一种柴油发动机喷油嘴的多阶段渗氮热处理工艺及柴油发动机喷油嘴
CN115896680B (zh) * 2022-12-12 2023-07-14 长沙理工检测咨询有限责任公司 一种柴油发动机喷油嘴的多阶段渗氮热处理工艺及柴油发动机喷油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903B1 (ko) 고내식성 컬러강재의 제조방법
CN102037159B (zh) 表层部淬火的钢铁材料及其制造方法以及淬火零件
JP5865924B2 (ja) 窒化又は浸炭窒化された鋼製部材の耐蝕性表面の製造方法
JP2011195947A (ja) 耐食性及び高硬度のカラー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506762A5 (ko)
KR20090038952A (ko) 스테인리스 대체용 강부품의 제조방법
JPH05195194A (ja) 鉄金属部品の耐蝕性及び摩擦特性を同時に向上させるための処理方法
WO2011013360A1 (ja) 窒素化合物層を有する鉄鋼部材の保護膜形成処理液、および化合物層保護膜
WO2012035900A1 (ja) 窒素化合物層を有する鉄鋼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15380B1 (ko) 가스질화법을 이용한 강재 표면 개질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강재
JP3388510B2 (ja) 耐食、耐摩耗鋼及びその製造方法
US4249964A (en) Process for the chemical and thermal treatment of steel parts to improve the strength properties thereof
KR20200097020A (ko) 조리 용기의 표면 처리 방법 및 그에 의한 조리 용기
CN112095073B (zh) 一种强韧性的qpq处理工艺
US11584997B2 (en) Method of colorizing stainless steel using strip anneal processing
CN112708734A (zh) 一种具有提高耐磨性的热处理工艺
KR100998103B1 (ko) 고내식성 및 내오염성 철강 소재의 제조방법
CN107109665A (zh) 钟表螺钉及其制造方法
KR101119498B1 (ko) 고내식 컬러 철강소재 또는 부품의 제조방법
CN110724902A (zh) 一种无污染的钢铁气体发黑工艺
KR101004926B1 (ko) 내식성이 우수한 철강재의 표면처리방법
Abdalla et al. Fatigue life changing in rolled carbon steel after plasma termochemical treatments
KR101350156B1 (ko) 컬러 강재의 제조방법
US9127343B2 (en) Surface treating method for a golf club head
KR102395899B1 (ko) 조리 용기의 표면 처리 방법 및 그에 의한 조리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