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8872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8872A
KR20090038872A KR1020097000676A KR20097000676A KR20090038872A KR 20090038872 A KR20090038872 A KR 20090038872A KR 1020097000676 A KR1020097000676 A KR 1020097000676A KR 20097000676 A KR20097000676 A KR 20097000676A KR 20090038872 A KR20090038872 A KR 20090038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r
absorbent body
absorbent
longitudinal direction
fre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0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쿠도
히로시 하시노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38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8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18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raised crotch region, e.g. hum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0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separable parts, e.g. combination of disposable and reusable parts

Abstract

신체측에 추종 가능한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1)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베이스 흡수체(2)와, 베이스 흡수체(2)의 한쪽 면에 베이스 흡수체(2)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이며 베이스 흡수체(2)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톱 흡수체(3)와, 베이스 흡수체(2)와 톱 흡수체(3)를 톱 흡수체(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가 자유단(31)이 되도록 고정하는 고정부(4)를 구비한다. 그리고 톱 흡수체(3)의 자유단부(32) 근방에는, 흡수성 물품의 적어도 장착 전에 있어서 상기 톱 흡수체(2)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임시 고정부(5)를 더 구비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PTIVE ARTICLE}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경혈 등의 소정의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소정의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층과, 이 흡수층의 피부측 표면을 덮는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층의 착의측 표면을 덮는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를 가지며, 전체적으로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흡수성 물품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대략 시트 형상의 흡수성 물품은, 경혈 등의 소정의 액체에 있어서의 배설구에 접촉한 상태로 사용되며, 이 배설구로부터의 경혈 등의 소정의 액체를 직접 흡수함과 아울러, 신체에 있어서의 소정의 홈부 등을 타고 흐르는 경혈 등이 착의 등에 부착되지 않는 여러 가지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예컨대, 경혈의 누설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흡수성 물품의 양측부에 폭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윙을 형성하고, 이 윙을 속옷측으로 되접어서 흡수성 물품을 고정하거나, 경혈의 배설부 부근의 흡수체를 배설구측으로 융기시켜 흡수체를 배설구에 밀착시킴으로써, 경혈을 흡수시키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들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도, 신체의 움직임이나 움직임에 따르는 신체 표면의 형상의 변화 등에 적합하게 추종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흡수성 물품의 본체 부분에 고정된 하방 흡수체와, 이 하방 흡수체와는 별개로 상방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이 상방 흡수체와 하방 흡수체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탄성 신축성을 갖는 중간 시트가 상방 흡수체를 밀어올려서 신체에 밀착시켜, 배설 부위에 대한 추종성을 높인 흡수성 물품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52957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은, 상방 흡수체가, 생리용 냅킨의 하방 흡수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전체적으로 고정되고 또한 상기 하방 흡수체의 양단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최상면은 장착 시에 폭 방향으로 넓게 평면을 이루고 있다. 이 때문에, 상방 흡수체와 신체에 있어서의 홈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생겨 버리기 때문에, 상방 흡수체가 신체의 홈 안쪽에 있는 배설부에 접촉하여 빈틈없이 밀착할 수 없어, 경혈의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상방 흡수체는, 신체의 가로 방향으로의 다소의 움직임이면 이 상방 흡수체가 변형을 함으로써 신체측에 추종할 수 있으나, 크게 폭 방향으로 어긋나는 신체 또는 속옷의 움직임이나, 세로 방향의 신체 또는 속옷의 움직임에는 추종할 수 없다.
또한, 상방 흡수체는 하방 흡수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전체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생리용 냅킨을 속옷에 부착하여 장착할 때에, 사용자가 보이지 않는 위치에서 장착하게 되어, 상방 흡수체를 항상 신체의 홈에 잘 밀착하도록 장착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상방 흡수체가 신체의 홈에 밀착하도록 장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방 흡수체와 배설구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생기기 때문에 누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신체측에 추종 가능한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1)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제1 흡수체[예컨대, 하기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베이스 흡수체(2)]와, 상기 제1 흡수체의 피부 접촉면측에 상기 제1 흡수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제2 흡수체[예컨대, 하기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톱 흡수체(3)]와, 상기 제1 흡수체와 상기 제2 흡수체를,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흡수체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가 자유단이 되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자유단 사이에 형성되는 임시 고정부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
(2)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가장자리이며 상기 장착 대상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배설부에 접촉하는 제1 위치에 가까운 전방 가장자리와, 상기 제1 위치와는 거리가 먼 후방 가장자리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전방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되는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3) 상기 임시 고정부는, 상기 제2 흡수체에 있어서의 상기 자유단측에 형성되는 (1) 또는 (2)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4) 상기 제2 흡수체에 있어서의 상기 자유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5) 상기 제2 흡수체는, 상기 자유단측에 배치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임시 고정부를 겸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6)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자유단이, 상기 제1 흡수체 및 상기 제2 흡수체를 대략 평면 형상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위치보다도, 상기 제1 흡수체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가장자리측에서 결합되는 (5)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7)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장착 대상과 상기 장착 대상을 덮도록 배치되는 착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착의의 내면측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제2 흡수체가 되접혀서 상기 착의의 외면측에 결합되는 (5)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8) 상기 제2 흡수체는,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상기 제1 흡수체의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에 대하여 40% 내지 90%의 범위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9) 상기 제2 흡수체는,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인 양측부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누설 방지벽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8)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10) 배설부를 갖는 장착 대상에 장착하는 세로로 긴 형상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세로로 긴 형상의 제1 흡수체와, 상기 제1 흡수체에 있어서의 피부 접촉면측에 상기 제1 흡수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제2 흡수체와, 상기 제1 흡수체와 상기 제2 흡수체를 상기 제2 흡수체에 있어서의 한쪽 가장자리가 자유단이 되도록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장착 대상에 상기 흡수성 물품이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배설부에 접촉하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먼 후방 가장자리측에 형성되며, 상기 자유단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가까운 전방 가장자리측에 배치되는 흡수성 물품.
(11) 배설부를 갖는 장착 대상에 장착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세로로 긴 형상의 제1 흡수체와, 상기 제1 흡수체의 피부 접촉면측에 상기 제1 흡수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제2 흡수체와, 상기 제1 흡수체와 상기 제2 흡수체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흡수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각각으로부터 이간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흡수체는, 상기 장착 대상에 상기 흡수성 물품이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배설부에 접촉하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가까운 전방 가장자리측에 배치되는 제1 자유단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먼 후방 가장자리측에 배치되는 제2 자유단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신체측에 추종 가능한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이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도 1의 횡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도 1의 횡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도 1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도 1의 Y-Y 방향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톱 흡수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베이스 흡수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베이스 흡수체의 압축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톱 흡수체의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톱 흡수체의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도 14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톱 흡수체의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도 14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톱 흡수체의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고정부 부근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톱 흡수체에 있어서의 횡단면도이다.
도 18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톱 흡수체에 있어서의 횡단면도이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19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손잡이부 부근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20B는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손잡이부 부근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톱 흡수체에 있어서의 횡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흡수성 물품 2: 베이스 흡수체
3: 톱 흡수체 4: 고정부
5: 임시 고정부 20: 중앙부
21A, 21B: 개더 22: 압축홈
23A, 23B: 윙 29: 이면 시트
30: 톱 흡수부 31: 자유단
32: 자유단부 33: 표면층
35: 흡수체 37: 결합부
40: 손잡이부 220: 전방 가장자리
230: 후방 가장자리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이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도 1의 A-A 방향에 있어서의 횡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도 1의 B-B 방향에 있어서의 횡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도 1의 C-C 방향에 있어서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도 1의 Y-Y 방향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톱 흡수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베이스 흡수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베이스 흡수체의 압축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톱 흡수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톱 흡수체의 (i)의 횡단면도이다. 도 14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톱 흡수체의 (ii)의 횡단면도이다. 도 14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톱 흡수체의 (iii)의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고정부 부근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톱 흡수체에 있어서의 횡단면도이다. 도 18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톱 흡수체에 있어서의 횡단면도이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19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손잡이부 부근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20B는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손잡이부 부근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1. 제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11에 의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에 대해서 설명한다.
1-1. 개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흡수성 물품이다. 흡수성 물품(1)은, 세로로 긴 형상의 베이스 흡수체(2)와, 베이스 흡수체(2)의 한쪽 면에 상기 베이스 흡수체(2)의 길이 방향(LD)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가늘고 긴 형상의 톱 흡수체(3)를 구비한다. 톱 흡수체(3)에 관하여, 그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분은 베이스 흡수체(2)에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단부는 고정된 부분을 기점으로 해서 베이스 흡수체(2)와 이간되어,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한 자유단(31)이 된다.
베이스 흡수체(2)는, 착의측에 배치되어, 톱 흡수체(3)에 의해 흡수하지 못했던 경혈 등의 소정의 액체를 흡수한다. 베이스 흡수체(2)에는, 상기 베이스 흡수체(2)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에 길이 방향(LD)을 따라서 띠 형상의 중앙부(20)가 형성된다. 흡수성 물품(1)에 있어서의 폭 방향(WD)의 양측 각각에는, 윙(23A, 23B)이 형성된다.
여기서, 흡수성 물품(1)은, 신체 배설구 부위가 접촉한다고 상정되는 제1 위치로서의 위치(Z)를 갖는다. 위치(Z)는,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중앙에서 길이 방향(LD)을 따르도록 연장되는 중심선(Y)과, 윙(23A, 23B)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중앙에서 폭 방향(WD)을 따르도록 연장되는 중심선(B-B)의 교점이다. 바꿔 말하면, 윙(23A, 23B)은, 상술한 위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형성된 다. 또한, 베이스 흡수체(2)에 있어서 윙(23A, 23B)이 배치된 영역은 중앙 영역(CA), 상기 윙(23A, 23B)이 배치된 영역보다도 전방의 영역은 전방 영역(FA), 상기 윙(23A, 23B)이 배치된 위치보다도 후방의 영역은 후방 영역(BA)으로 한다.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톱 흡수체(3)는, 베이스 흡수체(2)의 중앙부(20)에 적층 배치된다. 톱 흡수체(3)는, 사용 시에 있어서 신체의 배설구 등에 직접 접촉하여 경혈 등의 소정의 액체를 흡수한다. 톱 흡수체(3)는, 그 길이 방향(LD)의 일부분에 설치된 고정부(4)에 의해 베이스 흡수체(2)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부(4)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 않은 측의 단부가 자유단(31)이 된다. 톱 흡수체(3)에 있어서의 단부 이외의 위치에서 베이스 흡수체(2)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컨대, 고정부(4)로부터 길이 방향(LD)으로 먼 측이 자유단(31)이 된다.
톱 흡수체(3)에 있어서의 자유단(31)측에는, 손잡이부(40)가 배치된다. 그리고, 흡수성 물품(1)의 사용 시에는 손잡이부(40)가 파지되어, 상기 톱 흡수체(3)의 자유단(31)측이 고정부(4)를 기점으로 해서 베이스 흡수체(2)로부터 이간됨으로써, 신체 배설구 부근의 홈인 둔열(臀裂)을 따르도록 톱 흡수체(3)를 배치할 수 있다.
톱 흡수체(3)에는, 임시 고정부(5)가 형성된다. 임시 고정부(5)는, 톱 흡수체(3)를 베이스 흡수체(2)에 소정의 힘에 의해 이간 가능하게 임시 고정한다. 톱 흡수체(3)는, 임시 고정부(5)에 의해 임시 고정된 상태에서는, 그 움직임이 규제되고, 임시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그 움직임이 규제되지 않는다. 톱 흡수체(3)는, 임시 고정부(5)에 의한 임시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고정부(4)를 기점으로 해서 베이스 흡수체(2)로부터 이간된다.
또한, 톱 흡수체(3)는,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자유단(31)의 손잡이부(40)측에 결합부(37)를 구비한다. 결합부(37)는, 톱 흡수체(3)가 베이스 흡수체(2)로부터 이간되어 둔열을 따르도록 그 위치가 조정된 후에, 그 조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베이스 흡수체(2)에 톱 흡수체(3)를 결합한다.
톱 흡수체(3)는, 고정부(4)를 기점으로 해서, 베이스 흡수체(2)로부터 이간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톱 흡수체(3)는, 베이스 흡수체(2)와는 독립적으로 동작(이동이나 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 흡수체(2)가 배치되는 착의의 움직임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흡수체를 신체에 계속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서술한다.
1-2. 톱 흡수체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톱 흡수체(3)는, 베이스 흡수체(2)에 있어서의 신체 접촉면측에 배치되는 대략 가늘고 긴 형상의 흡수체이다. 구체적으로는, 톱 흡수체(3)는, 베이스 흡수체(2)의 중앙부(20)를 따르도록 배치 가능하고, 흡수체(35)를 갖는 톱 흡수부(30)와, 자유단(31)측에 배치되는 대략 판 형상의 손잡이부(40)를 구비한다. 톱 흡수체(3)는, 톱 흡수체(3)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쪽 가장자리가 자유단(31)이 되도록 고정부(4)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톱 흡수부(30)에 있어서의 자유단(31)측의 단부가 자유단부(32)가 된다. 고정부(4)는 톱 흡수체(3)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할 수 있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흡수체(2)에 톱 흡수체(3)를 배치한 경우에, 전방 가장자리(220)측에 배치된 일단측에 고정부(4)가 형성된다. 그리고 후방 가장자리(230)측에 배치된 타단은 자유단(31)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유단(31)은, 베이스 흡수체(2)로부터 이간 가능하다. 톱 흡수체(3)는 베이스 흡수체(2)에 있어서의 중앙부(20)의 폭 방향(WD) 대략 중앙에 배치된 상태로부터, 고정부(4)를 기점으로 해서 자유단(31)이 이간 가능하게 구성된다. 자유단(31)은, 고정부(4)로부터 먼 단부이며, 자유단부(32)로부터 고정부(4)까지의 거리가 길수록 톱 흡수체(3)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자유단(31)은, 고정부(4)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이 자유단(31)측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톱 흡수체(3)의 위치를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다.
톱 흡수체(3)는, 예컨대, 베이스 흡수체(2)의 전방 가장자리(220)로부터 전방으로 5 ㎜, 및 상기 후방 가장자리(230)로부터 후방으로 20 ㎜ 연장된 상태로 배치된다. 전방 가장자리(220)로부터 전방으로 5 ㎜ 연장된 상태로 하는 것은, 제조 시에 있어서의 오차를 고려하여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를 고려하기 때문이다. 또한, 톱 흡수체(3)를 후방 가장자리(230)로부터 후방으로 20 ㎜ 연장시킴으로써, 손잡이부(40)가 파지되어 톱 흡수체(3)의 자유단(31)을 끌어올릴 때에 손잡이부(40)를 파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연장된 부분에 손잡이부(4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톱 흡수부(30)는, 피부 접촉면측에 배치되는 표면층(33)과, 흡수체(35)와, 톱 흡수부(30)의 베이스 흡수 체(2) 접촉면측에 배치되는 누설 방지층이 되는 이면 시트(34)를 구비한다. 톱 흡수부(30)는, 배설구로부터 배설되는 소정의 액체를 흡수하는 주요한 부재이다.
표면층(33)은, 적층 배치된 톱 시트(331)와 세컨드 시트(332)에 개공(開孔) 처리를 행함으로써 형성된다. 표면층(33)은, 상술한 개공 처치에 의해 복수의 개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톱 시트(331)와 세컨드 시트(332)가 일체화되어 형성된다. 세컨드 시트(332)는, 흡수체(35)에 있어서의 피부 접촉면측의 표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톱 시트(331)는, 세컨드 시트(332)의 피부 접촉면측에 배치되며, 세컨드 시트(332), 후술하는 흡수체(35) 및 이면 시트(34) 전체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톱 시트(331)는, 톱 흡수부(30)의 최외면을 구성한다. 그리고 톱 흡수부(30)에 있어서의 베이스 흡수체(2) 접촉면측은, 톱 시트(331)가 2중으로 배치된다. 또한, 톱 시트(331)는, 후술하는 베이스 흡수체(2)의 표면 시트(27)와 동일한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A,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톱 흡수부(30)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전방 영역(FA)측의 단부는, 톱 시트(331)만이 3층으로 적층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 영역(FA)측의 단부에 베이스 흡수체(2)와 고정되는 고정부(4)가 배치된다. 또한, 톱 시트(331)가 3층으로 적층된 부분에 있어서는, 각각의 층이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C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톱 흡수부(30)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후방 영역(BA)측의 단부는, 톱 시트(331) 및 이면 시트(34)가 적층 배치된 상태에서 셋으로 접혀져, 3층으로 적층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 영역(BA)측의 단부에 후술하는 손잡이부(40)가 배치된다. 또한, 후방 영역(BA)측의 단부에 있어서는, 톱 시트(331)와 이면 시트(34)가 적층 배치된 각 층이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세컨드 시트(332)는, 톱 흡수부(30)에 있어서의 피부 접촉면측이며, 후술하는 흡수체(35)의 표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세컨드 시트(332)는, 톱 시트(331)와 후술하는 흡수체(35) 사이에 적층 배치된다.
세컨드 시트(332)는, 흡수체(35)보다도 한 단계 정도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컨드 시트(332)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LD)의 길이는 300 ㎜이고, 폭 방향(WD)의 길이는 45 ㎜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세컨드 시트(332)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을 코어(core)로 하고, 폴리에틸렌을 시스(sheath)로 한 코어시스 구조의 섬유로서, 3.3 dtex, 섬유 길이가 51 ㎜인 섬유로 이루어지는 에어스루 부직포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세컨드 시트(332)의 단위 중량은, 예컨대 20 g/㎡이다. 세컨드 시트(332)는, 톱 시트(331)보다도 밀도가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컨드 시트(332)는, 톱 시트(331)보다 밀도가 높음으로써, 톱 시트(331)로부터의 액 이행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세컨드 시트(332)를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톱 시트(331)를 2층으로 포개서 배치함으로써, 밀도 구배(勾配)를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 3C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톱 흡수부(30)는, 누설 방지층이 되는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34)를 구비한다. 이면 시트(34)는 흡수체(35)에 있 어서의 베이스 흡수체 접촉면측의 적어도 일부분이며, 후방 가장자리(230)측에 배치된다.
이면 시트(34)는, 도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체(35)의 베이스 흡수체 접촉면측으로부터 측면에 배치되며, 피부 접촉면측에는 배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톱 흡수부(30)에 있어서 배설된 소정의 액체가 후방 가장자리(230)측으로 흘러 온 경우에 상기 액체를 흡수체(35)에 흡수시킬 수 있다. 이면 시트(34)에는, 예컨대 단위 중량이 24 g/㎡이며 액체 불투과성 필름이나 소수성 섬유로 형성된 스펀본드, 멜트블로운, 스펀본드의 3층으로 이루어지는 SMS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흡수체(35)는, 주로 배설된 소정의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한다. 흡수체(35)는, 분쇄 펄프와 고흡수 폴리머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분쇄 펄프는 톱 흡수부(30)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단위 중량이 다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4)가 형성되는 영역(353)의 단위 중량은 200 g/㎡이고, 고정부(4)로부터 자유단부(32)까지의 영역(354, 355, 356)의 단위 중량이 500 g/㎡이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톱 흡수부(30)에 있어서의 후방 영역(BA)에는 제거부(351, 352)가 형성된다. 제거부(351)는, 톱 흡수부(30)의 후방 영역(BA)에 있어서의 중앙 영역(CA)측에 폭 방향(WD)을 따라서 형성되고, 제거부(352)는, 톱 흡수부(30)의 후방 영역(BA)에 있어서의 후방 가장자리(230)측에 폭 방향(WD)을 따라서 형성된다.
제거부(351, 352)는, 분쇄 펄프의 단위 중량이 다른 영역에 비해서 저단위 중량인 영역이다. 그리고, 제거부(351, 352)는, 흡수성 물품(1)을 접는 경우의 꺾어짐 기점이 된다. 여기서, 자유단 근방이란, 손잡이부(40)를 포함하는 톱 흡수체(3)의 전체 길이에 있어서의 손잡이부(40)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3분의 1까지의 영역을 말한다.
이에 따라 상기 흡수성 물품(1)이 개별 포장 시 등에 접혀진 경우에, 접는 내측과 외측과의 곡률의 차에 의한 주름의 발생을 억제한다.
또한, 위치(Z)의 약간 자유단부(32)측을 향한 위치로부터 자유단부(32)를 향하여 80 ㎜의 길이의 영역(357)에는, 톱 흡수부(30)의 폭 방향(WD) 대략 중앙에 있어서 세로로 긴 형상으로 단위 중량 200 g/㎡의 영역(357)이 형성된다. 이 영역(357)은, 장착 상태에서의 톱 흡수체(3)에 있어서의 변형을 유도한다.
흡수체(35)는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길이에 관하여, 톱 시트(331)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길이보다 짧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톱 흡수부(30)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양단에는 흡수체(35)가 배치되지 않는다.
톱 흡수체(3)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길이는, 예컨대, 200 ㎜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230 ㎜ 내지 450 ㎜가 바람직하다. 제1 실시형태에서의 톱 흡수체(3)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길이는, 예컨대 335 ㎜를 예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톱 흡수부(30)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길이는, 예컨대 280 ㎜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톱 흡수부(30)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길이는, 베이스 흡수체(2)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길이보다도 짧다. 또한, 톱 흡수부(30)는, 둔열을 따라서 길이 방향(LD)으로 접촉할 수 있는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톱 흡수부(30)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길이는, 15 ㎜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20 ㎜ 내지 4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폭 치수가 15 ㎜ 미만인 경우에는 질구부에 계속 닿기 위한 폭이 모자라, 신체와 냅킨과의 간극이 발생하여 누설되기 쉬워진다. 제1 실시형태에서의 톱 흡수부(30)의 폭 치수는, 예컨대 40 ㎜로 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톱 흡수부(30)는, 길이 방향(LD)에 있어서 대략 등폭(等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톱 흡수부(30)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은, 피부 접촉면과 베이스 흡수체(2) 접촉면이 적어도 대략 평행의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1-3. 고정부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4)는, 톱 흡수체(3)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어, 베이스 흡수체(2)에 톱 흡수체(3)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톱 흡수체(3)는, 고정부(4)에 의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의 영역이 베이스 흡수체(2)에 고정된다. 톱 흡수체(3)에 있어서, 고정부(4)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단부가 자유단이 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4)는, 톱 흡수체(3)를 베이스 흡수체(2)에 얹어 놓은 상태에 있어서의 톱 흡수체(3)의 전방 가장자리(220)측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톱 흡수부(30)에 있어서의 전방 가장자리(220)측의 단부 이며, 톱 시트(331)만으로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흡수체(35)의 단위 중량이 200 g/㎡인 영역(353)까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고정부(4)는, 압착부(46)와 접합부(47)로 구성된다. 접합부(47)는, 톱 흡수체(3)에 있어서의 톱 시트(331)만으로 형성된 영역 및 흡수체(35)가 배치된 영역에, 핫멜트 접착제를 길이 방향(LD)을 따라서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하고, 베이스 흡수체(2)의 전방 영역(FA)의 폭 방향(WD) 대략 중앙에 톱 흡수체(3)를 얹어 놓아 접착함으로써 형성된다. 핫멜트 접착제는, 베이스 흡수체(2)의 전방 영역(FA)에 있어서, 압축홈(22)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대향하도록 도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핫멜트 접착제는, 위치(Z)와 전방 가장자리(220) 사이의 소정 위치로부터 전방 가장자리(220)까지의 영역에 도공된다. 즉, 고정부(4)는 위치(Z)보다도 전방 가장자리(220)측에 형성된다. 또한, 고정부(4)는, 톱 흡수체(3)와 베이스 흡수체(2)를 핫멜트 접착제가 아니라, 압축홈에 의해 일체화시켜 접합해도 좋다. 이 경우, 압축홈에 의해 베이스 흡수체(2)와 톱 흡수체(3)가 고정되는 영역이 고정부(4)가 된다.
압착부(46)는, 베이스 흡수체(2)에 있어서의 전방 가장자리(220)측이며 흡수체(28)가 배치되지 않는 부분에 형성된다. 압착부(46)는, 톱 흡수부(30)의 톱 시트(331)만으로 형성된 영역과 함께 베이스 흡수체(2)의 상기 부분에 형성된다.
고정부(4)는, 톱 흡수체(3)의 표면층(33) 및 흡수체(35)와 베이스 흡수체(2)를 일체화하는 압착 처리에 의해 접합하여 형성된다.
1-4. 임시 고정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톱 흡수체(3)에는, 임시 고정부(5)가 형성된다. 임시 고정부(5)는, 톱 흡수체(3)를 베이스 흡수체(2)에 소정의 힘으로 이간 가능하게 임시 고정한다. 톱 흡수체(3)는, 임시 고정부(5)에 의해 임시 고정된 상태에서는, 그 움직임이 규제되고, 임시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그 움직임이 규제되지 않는다. 톱 흡수체(3)는, 임시 고정부(5)에 의한 임시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고정부(4)를 기점으로 해서 베이스 흡수체(2)로부터 이간된다. 임시 고정부(5)는, 톱 흡수체(3)에 있어서는, 고정부(4)와 자유단부(32)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 흡수체(2)에 있어서는, 중앙부(20)에 있어서의 후방 가장자리(230) 근방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톱 흡수체(3)에 있어서, 임시 고정부(5)는, 자유단(31) 근방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임시 고정부(5)는, 자유단부(32)에 있어서의 폭 방향(WD)의 양측에 형성된다.
임시 고정부(5)는, 톱 흡수체(3)에 있어서의 톱 시트(331) 및 이면 시트(34)만으로 형성되는 영역에 형성된다. 또한, 임시 고정부(5)는, 톱 흡수체(3)에 있어서의 손잡이부(40) 근방에 형성된다. 임시 고정부(5)에는, 손잡이부(40)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외측 방향 또는 도 1에 있어서의 상면 방향으로 가해진 힘이 직접적으로 전달된다. 바꿔 말하면, 손잡이부(40)를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외측 방향 또는 도 1에 있어서의 상면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 임시 고정부(5)에 있어서의 임시 고정 상태는 해제된다.
임시 고정부(5)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톱 흡수체(3)에 있어서의 손잡이 부(40) 근방인 자유단부(32)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양측 각각에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톱 흡수체(3)는, 2개의 임시 고정부(5, 5)에 의해, 포인트로 고정된다.
베이스 흡수체(2)에 있어서, 임시 고정부(5)는, 상기 베이스 흡수체(2)에 있어서의 후방 가장자리(230)측에 형성된다. 임시 고정부(5)는, 베이스 흡수체(2)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27)와 이면 시트(29)만으로 구성되는 영역에 형성된다.
임시 고정부(5)는, 톱 흡수체(3)를 베이스 흡수체(2)에 적층 배치한 상태에서, 톱 흡수체(3)의 상면으로부터 엠보스 처리(압착 처리)를 함으로써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임시 고정부(5)는, 톱 흡수체(3)에 있어서의 톱 시트(331) 및 이면 시트(34)만으로 형성되는 자유단부(32)와, 베이스 흡수체(2)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27)와 이면 시트(29)가 적층 배치된 영역을,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엠보스 부재에 의해 가열하면서 압착 처리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엠보스 처리된 부분인 임시 고정부(5)는, 톱 흡수체(3)와 베이스 흡수체(2)를 가벼운 정도의 열 융착에 의해 고정한다.
여기서, 임시 고정부(5)의 접합력은, 신체에의 장착 과정에 있어서 톱 흡수체(3)의 자유단(31)과 베이스 흡수체(2)가 용이하게 이간되지 않을 정도이다. 또한, 이 접합력은, 사용자가 복잡한 조작을 하지 않고 용이하게 해제 가능한 정도이다.
또한, 결합부(37)가 임시 고정부(5)를 겸해도 좋다. 즉, 신체에의 장착 전에 있어서, 결합부(37)를 베이스 흡수체(2)에 결합시킴으로써, 임시 고정부(5)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즉, 임시 고정부로서의 결합부(37)를 베이스 흡수체(2)에 결합시 킴으로써, 톱 흡수체(3)에 있어서의 자유단(31)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임시 고정부(5)에 더하여, 임시 고정부로서 기능하는 결합부(37)를 더 배치하고, 임시 고정부(5)와 결합부(37)의 양방에 의해 임시 고정을 하도록 해도 좋다.
1-5. 손잡이부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40)는, 톱 흡수부(30)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자유단(31)측에 배치되어 있다. 손잡이부(40)는, 상기 흡수성 물품(1)의 장착 과정에 있어서, 톱 흡수체(3)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잡아서 인장하는 부분이 된다. 손잡이부(40)는, 그 폭 방향(WD) 중앙 부분에 있어서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바깥쪽측으로 가장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손잡이부(40)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은 곡선 형상이다. 구체적으로는, 톱 흡수체(3)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의 연장선과 외측 가장자리의 교점을 정점으로 한 대략 반원 형상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손잡이부(40)는, 자유단(31)측에 배치되고, 톱 흡수부(30)의 자유단(31)측이며, 톱 흡수부(30)에 있어서 흡수체(35)가 없고, 톱 시트(331) 및 이면 시트(34)만이 연장되어 있는 영역에 형성된다.
손잡이부(40)는, 톱 흡수부(30)의 자유단부(32)의 강성을 높임으로써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손잡이부(40)는, 톱 흡수부(30)의 자유단부(32)이며 톱 시트(331) 및 이면 시트(34)만이 연장되어 있는 영역에 대하여 엠보스 처리를 행해서, 강성을 높임으로써 형성된다. 손잡이부(40)에는, 작은 원 형상의 엠보스부가 표주박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측부에는 꽃 형상의 엠보스부가 형성된다. 이 표주박 형상으로 형성된 엠보스부는, 손잡이부(40)를 파지할 때에 있어서의 손가락을 놓는 위치의 안내 요소로서 기능한다. 엠보스부의 형상을 고안함으로써, 손잡이부(40)에 의장성을 부여할 수 있다. 즉, 강성을 부여하기 위한 엠보스 처리에 의해, 손잡이부(40)에 안내 요소나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강성을 부여하는 공정에서, 한번에 소정의 기능의 부여와 의장성의 부여를 할 수 있다.
손잡이부(40)에 덧붙이는 의장(안내 요소)은, 엠보스부의 형상에 따라 임의의 것을 덧붙일 수 있다. 예컨대, 손잡이부(40)를 잡아서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소정 방향으로 인장하는 것을 촉구하는 표시를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손잡이부(40)를 길이 방향(LD)으로 인장하는 것을 시사하는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외측을 향한 화살표나, 잡는 부위를 나타내는 점이나, 소정 색채의 조합이어도 좋다.
또한, 손잡이부(40)에 엠보스 처리를 행함으로써, 손잡이부(40)의 표면에는 요철이 형성된다. 이 요철은, 흡수성 물품(1)의 장착 과정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손잡이부(40)를 찾을 때의 단서가 될 수 있다.
손잡이부(40) 근방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임시 고정부(5, 5)가 형성된다. 임시 고정부(5, 5)가 손잡이부(40)의 이동에 추종하는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손잡이부(40)를 소정 거리만큼 이동시킴으로써, 임시 고정부(5, 5)의 임시 고정 상태는 해제된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결합부(37)를 다른 위치에 결합시키기 위해서 손잡이부(40)를 이동시킴으로써, 임시 고정부(5, 5)의 임시 고정 상태는 해제된 다.
또한, 손잡이부(40) 근방에는, 후술하는 결합부(37)가 배치된다. 손잡이부(40)의 이동에 추종하여 이동하는 위치에 결합부(37)가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결합부(37)의 이동(위치)을 적합하게 조정할 수 있는 위치에 손잡이부(40)가 배치된다.
또한, 손잡이부(40)는, 베이스 흡수체(2)의 후방 가장자리(23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배치된다. 손잡이부(40)에 있어서의 후방 가장자리(23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부분은, 파지부로서 적합하게 기능한다. 단, 손잡이부(40)에 있어서의 후방 가장자리(230)측의 단부는 베이스 흡수체(2)로부터 돌출하고 있을 필요는 없으며, 베이스 흡수체(2)의 후방 가장자리(230)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손잡이부(40)의 외측 가장자리는, 베이스 흡수체(2)에 있어서의 후방 가장자리(230)로부터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흡수체(2)의 후방 가장자리(230)를 기점으로 해서, 외측으로 100 ㎜ 내지 내측으로 50 ㎜, 바람직하게는 외측으로 60 ㎜ 내지 내측으로 30 ㎜, 더욱 바람직하게는 외측으로 30 ㎜ 내지 내측으로 20 ㎜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손잡이부(40)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이 이 손잡이부(40)가 베이스 흡수체(2)에 있어서의 후방 가장자리(230)로부터 연장되어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잡기 쉬워진다. 예컨대, 흡수성 물품(1)의 장착 시에 사용자가 뒤쪽으로 손잡이부(40)를 찾을 때에, 손잡이부(40)를 판별하기 쉬워진다. 또한, 손잡이부(40)에 있어서의 후방 가장자리(23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부분은, 파지부로서 적합하게 기능한다.
손잡이부(40)의 굽힘 강성(B)은, 0.1 내지 1.2(10-4 N·㎡/m),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10-4 N·㎡/m),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8(10-4 N·㎡/m)이다. 손잡이부(40)의 굽힘 강성(B)이 0.1(10-4 N·㎡/m)보다 작은 경우에는, 예컨대, 상기 손잡이부(40)를 파지하여 톱 흡수체를 신체에 있어서의 소정부에 배치시키는 등의 소정의 조작이 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손잡이부(40)에 있어서의 굽힘 강성(B)이 10보다도 큰 경우에는, 예컨대, 상기 손잡이부(40)가 착용 중에 위화감을 주는 경우가 있다. 손잡이부(40)의 굽힘 강성(B)은,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40)의 굽힘 회복성(2HB)은, 10(10-2 N·m/m) 이하, 바람직하게는 7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10-2 N·m/m) 이하이다. 손잡이부(40)의 굽힘 회복성(2HB)이 10(10-2 N·m/m)보다 큰 경우에는, 도중에 되접었을 때에 주름이 잡히기 쉽고, 주름이 위화감을 주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손잡이부(40)의 굽힘 회복성(2HB)은,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40)의 두께는 0.5 ㎜ 내지 4 ㎜, 바람직하게는 0.7 ㎜ 내지 3.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40)의 두께가 0.5 ㎜보다도 얇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40)를 파지하여 인장할 때에 견디지 못하는 것은 아닐까 라고 하 는 불안감을 사용자에게 주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손잡이부(40)의 두께가 5 ㎜보다도 두꺼운 경우에는, 사용 중에 사용자에게 이물감을 줄 가능성이 있다.
[측정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손잡이부(40)의 굽힘 강성(B) 및 회복성(히스테리시스: 2HB)의 측정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측정 장치는, 가토텍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자동화 순수 굽힘 시험기(상품명, 모델명 「KESFB2-AUTO-A」)를 사용하였다. 샘플 치수는, 100 ㎜×100 ㎜로 조정(폭이 모자라는 경우에는, 10 ㎜ 내지 100 ㎜ 사이에서, 10 ㎜마다 조정)된 것을 이용한다.
샘플을, 척 간격을 1 ㎝로 하고, 한쪽을 항상 원호를 유지하는 순수 굽힘에 의해 최대 곡률 2.5 ㎝-1까지 표면측으로 구부린 후에 원래대로 되돌리고, 다음으로 최대 곡률 -2.5 ㎝-1까지 이면측으로 구부린 후에 원래대로 되돌렸을 때에 있어서의, 곡률과 굽힘 모먼트의 관계를 평가한다.
굽힘 강성(B)은, 소정의 히스테리시스 곡선상의 값으로서 얻어지며, 곡률 0.5 ㎝-1 내지 1.5 ㎝-1 사이에 있어서의 평균 경사로 나타난다.
굽힘 회복성(2HB)은, 곡률 1.0 ㎝-1에 있어서의 굽힘 모먼트(M)의 히스테리시스 폭으로 나타난다. 굽힘 회복성(2HB)이 클수록, 굽힘 회복성이 나쁜(낮은) 것을 의미한다.
1-6. 결합부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흡수성 물품(1)은, 결합 수단으로서의 결합부(37)와 피결합체로서의 베이스 흡수체(2)의 중앙부(20)를 구비한다. 결합부(37)는, 톱 흡수체(3)에 있어서의 자유단(31)측을 소정 위치에 결합한다. 구체적으로는, 결합부(37)는, 장착 대상으로서의 신체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톱 흡수체(3)의 자유단(31)측을 소정의 위치에 결합한다.
결합부(37)는, 톱 흡수체(3)의 자유단(31)측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결합부(37)는, 톱 흡수체(3)의 베이스 흡수체(2)측이며, 후방 영역(BA)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부(37)는, 톱 흡수부(30)에 있어서 길이 방향(LD) 대략 중앙에 배치되는 흡수체(35)의 제거부(351)와 후방 영역(BA)측에 배치되는 제거부(352) 사이에 배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결합부(37)의 후방 가장자리(230)측의 단부는, 제거부(352)에 있어서의 전방 가장자리(220)측의 단부에 가까운 위치가 되도록 배치된다.
결합부(37)는, 대상으로 하는 피결합체에 의해 배치되는 위치가 조정된다. 결합부(37)가 흡수성 물품(1)을 덮도록 배치되는 착의로서의 속옷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자유단(31) 근방 또는 손잡이부(40)에 결합부(37)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에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톱 흡수부(30)의 피부 접촉면측이며, 톱 흡수부(30) 또는 손잡이부(40)의 자유단(31) 근방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37)는, 톱 흡수부(30)측 및 자유단부(32)측의 양방에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 베이스 흡수체(2), 속옷, 신체 중 어디에 결합부(37)를 결합시킬지 에 대해서, 장착 시에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과 같이, 결합부(37)의 배치 위치나 개수는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에 있어서, 결합부(37)가 베이스 흡수체(2)에 결합되는 경우의 구성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 구성의 경우라도 결합부(37)를 속옷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결합부(37)를 형성하는 부재로서는, 상정되는 피결합체에 따라서 적합한 부재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신체에 결합하는 것을 상정하는 경우에는, 사용하는 부재는 점착재가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점착재는, 핫멜트 접착제나 겔 점착제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속옷 또는 베이스 흡수체(2)에 결합하는 것을 상정하는 경우에는, 결합부(37)의 부재(재료)로서 전술한 점착재 외에 훅재를 사용할 수 있다. 결합부(37)의 부재로서 훅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결합부가 결합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피결합 부재나, 속옷, 베이스 흡수체(2)의 표면재의 섬유에 상기 훅재를 걸어맞춰서 결합할 수 있다.
훅재로서는, 면 파스너의 수부재를 예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훅재에 있어서 섬유와 걸어맞춰지는 복수의 핀이 소정의 방향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성을 갖는다고 하는 것은, 훅재의 복수의 핀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훅재의 기재(基材)에 고정된 상태이다.
방향성을 갖는 훅재는, 훅재를 피결합체에 밀어붙여서 걸어맞춘다. 훅재는, 소정의 방향으로 핀이 기우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핀이 기우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은 규제되지 않는다. 즉, 소정 방향으로서의 핀이 기우는 방 향으로 인장한 경우에는 이동되지 않고, 소정의 방향으로서의 핀이 기우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평행 이동했을 때에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이동된다.
결합부(37)로서 방향성을 갖는 훅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핀이 기울어져 있는 방향이 톱 흡수체(3)의 고정부(4)측을 향하도록 훅재를 배치한다. 따라서, 톱 흡수체(3) 및 결합부(37)가 베이스 흡수체(2)에 접촉되면 베이스 흡수체(2)의 만곡에 의해 발생하는 장력에 의해, 결합부(37)가 핀이 기우는 방향으로 인장되기 때문에, 결합되어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톱 흡수체(3)가 바깥쪽측으로 인장되면, 결합부(37)는 핀이 기우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인장되기 때문에, 결합이 해제되어, 이동된다.
또한, 결합부(37)는, 복수 회 착탈해도 결합력이 약해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흡수체(2)에 있어서 결합부(37)가 접촉한다고 상정되는 영역에는, 결합부(37)에 사용되고 있는 부재에 적합한 피결합체를 배치해도 좋다. 이에 따라, 결합부(37)를 복수 회 착탈함에 따른 결합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결합부(37)에 점착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형 필름을 배치할 수 있다. 장착 전에 결합부(37)를 이형 필름에 접촉시켜 둠으로써, 결합부(37)에 섬유 등이 부착되어 점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37)에 훅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신체에 장착되기 전에 결합부(37)가 베이스 흡수체(2)에 있어서 접촉하는 영역에는, 예컨대 훅재의 암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훅재는, 복수 회 착탈해도 결합력이 약해지는 일은 적으나, 결합을 해제할 때에 훅재를 구성하는 핀이 빠지거나, 훅재가 접촉한 부분의 섬유가 상 하는 경우가 있다. 결합부(37)가 흡수성 물품(1)의 장착 전에 접촉하는 영역에 훅재의 암부재를 배치함으로써, 훅재의 핀이 빠지거나, 훅재가 접촉하는 부분의 섬유가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7. 베이스 흡수체
베이스 흡수체(2)는, 도 1 및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27)와,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29)와, 표면 시트(27)와 이면 시트(29) 사이에 배치되는 액체 유지성 흡수체(28)를 구비한다. 베이스 흡수체(2)에는, 상기 베이스 흡수체(2)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에, 상기 베이스 흡수체(2)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에 길이 방향(LD)을 따라서 띠 형상의 중앙부(20)가 형성된다. 중앙부(20)에는, 톱 흡수체(3)가 배치된다. 또한, 중앙부(20)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양측에는, 개더(21A, 21B)가 형성된다. 개더(21A, 21B)는, 서혜부에 접촉하여 톱 흡수체(3)에 의해 흡수되지 않고 신체의 표면을 타고 흐르는 경혈 등의 누설을 억제한다. 또한, 흡수성 물품(1)에 있어서의 폭 방향(WD)의 양측 각각에는, 폭 방향(WD)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윙(23A, 23B)이 형성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흡수체(2)는, 다른쪽 면인 이면측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에는, 어긋남 방지부(26)가 배치된다. 윙(23A, 23B)의 이면측에는, 윙측 어긋남 방지부(25A, 25B)가 배치된다.
중앙부(20)는, 베이스 흡수체(2)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에 길이 방향(LD)을 따라서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중앙부(20)는, 베이스 흡수층을 구성 하는 두께가 얇은 영역이다. 중앙부(20)는, 표면 시트(27)와, 이면 시트(29)와, 흡수체(28)에 의해 구성된다. 표면 시트(27)와 흡수체(28)는, 각각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고, 또한 길이 방향(LD)을 따라서 형성되는 복수의 압축홈(22)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앙부(20)의 표면 시트(27)는, 단위 중량이 30 g/㎡인 에어스루 부직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을 코어로 하고 폴리에틸렌을 시스로 한 2.2 dtex, 섬유 길이가 51 ㎜인 섬유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이 섬유는, 친수성의 유제(油劑)가 섬유 표면에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28)는, 고흡수 폴리머가 혼입된 분쇄 펄프를 적층하고, 티슈(도시하지 않음)로 둘러쌈으로써 형성된다. 티슈는 예컨대 15 g/㎡로 형성된다. 분쇄 펄프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부(20)에 있어서, 장소에 따라 단위 중량이 다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위치(Z)를 포함하는 둘레 가장자리의 영역(201)에 있어서는, 500 g/㎡가 되도록 분쇄 펄프를 적층할 수 있다. 그리고, 영역(201)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양측부의 영역(202)은, 분쇄 펄프가 100 g/㎡가 되도록 적층된다. 또한 영역(201)의 후방 가장자리(230)측이며 길이 방향(LD)을 따라서 형성되는 영역(203)도, 분쇄 펄프가 100 g/㎡가 되도록 적층된다. 또한, 영역(201)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전방 가장자리(220)측에는, 분쇄 펄프가 300 g/㎡인 영역(204)이 형성된다. 그 외의 영역(205)은 분쇄 펄프를 200 g/㎡가 되도록 적층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고흡수 폴리머는 흡수체(28) 전체의 평균 단위 중량이 10 g/㎡가 되도록 혼합되지만, 흡수체(28)의 각 부분에 있어서는, 분쇄 펄프의 단위 중량과 비례하여 분산 배치된다. 이것은, 고흡수 폴리머는 분쇄 펄프와 균일하게 분산되기 때문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부(20)에는 압축홈(22)이 형성된다. 압축홈(22)은 고압축부와 저압축부가 길이 방향(LD)으로 교대로 배치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압축홈(22)은, 중앙부(20)에 있어서의 전방 영역(FA)으로부터 후방 영역(BA)에 걸쳐서 형성된다. 압축홈(22)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길이는 2 ㎜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압축홈(22) 간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간격은 4 ㎜를 예시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 영역(FA)에는, 6개의 압축홈이 형성된다.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외측에는, 후술하는 압축홈(223)이 형성된다. 압축홈(223)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압축홈(223, 223)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내측에는, 압축홈(221, 221)이 형성된다. 압축홈(221, 221)은, 전방 영역(FA)으로부터 후방 영역(BA)에 걸쳐서 형성되며, 후방 영역(BA)에 있어서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압축홈(221, 221)은, 연속해서 후방 가장자리(230)측으로 돌출하는 U자 형상의 압축홈을 형성한다. 압축홈(221, 221)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내측에는, 압축홈(222, 222)이 형성된다. 압축홈(222, 222)은, 전방 영역(FA)으로부터 중앙 영역(CA)에 걸쳐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중앙 영역(CA)에는, 상술한 6개의 압축홈(221, 222, 223)에 더하여, 후술하는 압축홈(224)의 단부가 형성된다. 압축홈(223)은, 전방 영역(FA)으로부터 중앙 영역(CA)에 걸쳐서 형성되며,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완만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압축홈(223, 223)은,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위치(Z)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서로의 간격이 가장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이 위치에 있어서, 상술한 6개의 압축홈(221, 222, 223)은, 폭 방향(WD)에 있어서 대략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압축홈(224)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후방 영역(BA)에는, 상술한 전방 영역(FA)으로부터 연속해서 형성되는 압축홈(221)에 더하여, 압축홈(224)과, 압축홈(226)과, 압축홈(227, 227)이 형성된다.
압축홈(224)은, 압축홈(221)의 외측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압축홈(221)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압축홈(226)은, 압축홈(221)의 내측에 폭 방향(WD)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압축홈(226)은, 후방 영역(BA)에 있어서의 중앙 영역(CA)측에 있어서, 폭 방향(WD)으로 이간되는 압축홈(221, 221)끼리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이 압축홈(226)은,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후방 가장자리(230)측으로 돌출하는 곡선이 완만한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압축홈(227, 227)은, 압축홈(221)과 압축홈(226)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에 있어서, 길이 방향(LD)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후방 영역(BA)에는, 폭 방향(WD)으로 횡단하도록 형성되는 압축홈이 3개 형성된다. 바꿔 말하면,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중앙에 있어서, 길이 방향(LD)에는 3개의 압축홈이 형성된다.
이들 압축홈(22)은, 흡수체(28)와 표면 시트(27)를 압축하여 일체 형성되기 때문에, 중앙부(20)에 소정의 강성이 부여된다. 그리고, 톱 흡수체(3)의 강성과의 관계로, 상기 흡수성 물품(1)을 속옷에 고정하여 끌어올릴 때에, 톱 흡수체(3)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톱 흡수체(3)의 강성에 대하여 베이스 흡수체(2)의 강성이 지나치게 낮은 경우, 베이스 흡수체(2)가 만곡해 가는 데 톱 흡수체(3)가 추종할 수 없어, 톱 흡수체(3)의 위치가 어긋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A, 도 3B, 도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부(20)의 양측에는 길이 방향(LD)을 따라서 개더(21A, 21B)가 배치된다. 개더(21A, 21B)는 적어도 그 일부분이 두께 방향으로 기립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개더(21A, 21B)는, 중앙부(20)에 있어서의 폭 방향(WD) 중앙으로부터 각각 64 ㎜ 정도 떨어진 위치에 길이 방향(LD)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개더(21A, 21B)는, 그 근원 부분에 있어서 고정됨과 아울러, 두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단부(215A, 215B)를 갖는다. 장착 상태에 있어서는, 이 단부(215A, 215B)가 신체에 있어서의 서혜부에 접촉한다.
개더(21A, 21B)는, 중앙부(20)의 표면 시트(27)보다도 소수성인 소정 크기의 부직포를 접합시키도록 둘로 접은 부분이다. 이 접혀진 부직포들 사이(내측)에는 탄성 신축 부재(213A, 213B)가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탄성 신축 부재(213A, 213B)는, 대략 등간격으로 3개 배치된다. 탄성 신축 부재(213A, 213B)는, 예컨대 470 dtex의 실고무로 형성되어 있고, 약 1.3배 신장시킨 상태로 고정된다. 탄성 신축 부재(213A, 213B)가 신축하 는 힘에 의해 개더(21A, 21B)를 기립시킬 수 있다.
개더(21A, 21B)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양단부는, 폭 방향(WD) 외측으로 되접혀서 핫멜트 접착제(214A, 214B, 214C, 214D)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각 핫멜트 접착제(214A, 214B, 214C, 214D)의 길이 방향(LD) 안쪽측의 단부가 상기 개더(21A, 21B)의 기립점이 되고, 기립점 사이의 영역이 사용 시에 있어서 기립 상태가 되는 부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개더(21A, 21B)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을 코어로 하고, 폴리에틸렌을 시스로 한 섬유에 의해 형성되며, 단위 중량이 22 g/㎡인 스펀본드 부직포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개더(21A, 21B)의 치수는 베이스 흡수체(2)의 크기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탄성 신축 부재(213A, 213B)의 응력은, 사용하는 실고무의 굵기나 개수, 신장 배율에 의해 결정할 수 있으나 베이스 흡수체(2)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개더(21A, 21B)가 피부에 접촉한 경우에 촉감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개더(21A, 21B)의 폭 방향(WD) 단면의 형상은, 제1 실시형태에서는,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흡수체(2)의 폭 방향(WD) 외측을 향하도록 개더(21A, 21B)의 자유단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개더(21A, 21B)에 있어서의 고정된 근원 부분을 폭 방향(WD)의 내측으로 절곡시킴과 아울러, 개더(21A, 21B)의 길이(높이)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에서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절곡시킴으로써, 단부는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더(21A, 21B)는, 1회 되접혀서 구성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개더(21A, 21B)를 3회 되접음으로써, 자유단을 베이스 흡수체(2)의 폭 방향(WD) 외측으로 향하게 한 대략 Σ형상의 단면 형상이 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자유단을 베이스 흡수체(2)의 폭 방향(WD) 내측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개더(21A, 21B)를 배치해도 좋다.
또한, 전방 영역(FA)에 있어서의 개더(21A, 21B)의 기립 개시점과, 고정부(4)의 후방 가장자리측 단부는 길이 방향(LD)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정부(4)의 후방 가장자리(230)측 단부는, 개더(21A, 21B)의 기립 개시점보다도 후방 가장자리(230)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개더(21A, 21B)의 기립 개시점이 탄성 신축 부재(213A, 213B)를 신축시키는 힘이 가해지는 부분이 되고, 고정부(4)의 후방 가장자리(230)측의 단부는 톱 흡수체(3)를 베이스 흡수체(2)로부터 이간시킬 때에 힘이 가해지는 부분이 되기 때문에, 이들 2개의 힘이 가해지는 위치가 동일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베이스 흡수체(2)에 있어서의 톱 흡수체(3)가 배치되는 측의 반대측 면에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인 이면 시트(29)를 배치할 수 있다. 액체 불투과성 시트인 이면 시트(29)를 배치함으로써, 베이스 흡수체(2)에서도 흡수하지 못했던 소정의 액체가 속옷에 부착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흡수성 물품(1)에 있어서의 폭 방향(WD)의 양측 각각에는, 폭 방향(WD)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윙(23A, 23B)이 형성된다. 윙(23A, 23B)은, 액체 불투과성 시트인 이면 시트(29) 및 개더(21A, 21B)를 형성하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며, 베이스 흡수체(2)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형성된다. 이들 이면 시트(29) 및 부직포는, 서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윙(23A, 23B)에 있어서의 속옷측의 면에 윙측 어긋남 방지부(25A, 25B)를 갖는다. 그리고, 윙(23A, 23B)을 속옷측으로 되접어 윙측 어긋남 방지부(25A, 25B)를 속옷에 부착함으로써, 흡수성 물품(1) 전체를 속옷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Z)로부터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가장자리부인 전방 가장자리(220)까지의 거리는, 예컨대, 110 ㎜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위치(Z)로부터 후방 가장자리(230)까지의 거리는, 220 ㎜를 예시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흡수체(2)에 있어서의 중앙부(20)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길이는, 예컨대, 윙(23A, 23B)을 제외하고 70 ㎜ 내지 120 ㎜, 바람직하게는 80 ㎜ 내지 110 ㎜이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110 ㎜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흡수체(2)의 윙(23A, 23B)을 포함하는 폭 방향(WD)의 길이는, 120 ㎜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140 ㎜ 내지 180 ㎜가 바람직하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윙(23A, 23B)을 포함하는 폭 방향(WD)의 길이는, 예컨대 160 ㎜를 예시할 수 있다. 베이스 흡수체(2)에 있어서의 폭 방향(WD)의 길이는, 톱 흡수부(30)의 폭의 1.5배 내지 7배인 경우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2배 내지 5배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베이스 흡수체(2)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길이는, 예컨대, 250 ㎜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270 ㎜ 내지 450 ㎜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LD)의 길이는, 예컨대 330 ㎜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흡수체(2)의 윙(23A, 23B)을 제외하는 폭 방향(WD)의 길이는, 예컨대 70 ㎜ 내지 120 ㎜, 바람직하게는 80 ㎜ 내지 110 ㎜가 바람직하다.
흡수성 물품(1)은, 예컨대, 이하와 같은 순서를 포함하도록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우선, 베이스 흡수체(2)는, 표면 시트(27)나 흡수체(28)를 적층 배치하고 그 흡수체(28)측으로부터 소정 패턴의 엠보스롤로 압착 처리함으로써, 압축홈(22)을 형성함과 아울러 서로를 압착시킨다. 또한, 흡수체(28)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27)와는 반대측 면에 액체 투과성 이면 시트(29)를 적층 배치하고,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베이스 흡수체(2)가 형성된다.
또한, 톱 흡수체(3)는, 우선 가늘고 긴 형상의 흡수체(35) 및 세컨드 시트(332), 이면 시트(34)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시키고, 톱 시트(331)에 의해 둘러싸도록 하여 톱 흡수부(30)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길이 방향(LD) 양단부의 일단에 있어서 흡수체(35)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엠보스 가공하여, 손잡이부(40)를 형성한다. 또한 타단측에는 핫멜트 접착제를 도공해서 베이스 흡수체(2)의 전방 영역(FA)에 붙이도록 하여 접합시킨다. 이에 따라 톱 흡수체(3)와 베이스 흡수체(2)가 접합되어 있는 영역[접합부(47)]과 후술하는 압착부(46)가 고정부(4)가 되고, 톱 흡수체(3)에 있어서 손잡이부(40)가 형성된 측이 자유단(31)이 된다.
또한, 톱 흡수체(3)의 자유단(31)측이며 톱 시트(331) 및 이면 시트(34)만으로 형성된 영역과, 베이스 흡수체(2)에 있어서의 후방 가장자리(230)측이며 표면 시트(27) 및 이면 시트(29)만으로 형성된 영역이 겹쳐지는 영역에 엠보스에 의한 열 처리를 행하여, 임시 고정부(5)를 형성한다. 또한, 동시에, 베이스 흡수체(2)의 전방 가장자리(220)측이며 표면 시트(27) 및 이면 시트(29)만으로 형성된 영역과, 톱 흡수체(3)가 겹쳐지는 영역에 있어서도 엠보스에 의한 열 처리를 행하여, 톱 흡수체(3)를 베이스 흡수체(2)에 고정시킨다.
1-8. 사용 형태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흡수성 물품(1)에 있어서의 사용 형태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흡수성 물품(1)은, 베이스 흡수체(2)의 상면에 톱 흡수체(3)가 얹어 놓여진 상태이다. 이 톱 흡수체(3)는, 베이스 흡수체(2)의 중앙부(20)에 길이 방향(LD)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톱 흡수체(3)는, 임시 고정부(5, 5)에 의해, 베이스 흡수체(2)에 임시 고정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흡수성 물품(1) 전체는, 신체의 배설구 부근의 만곡을 따르도록, 전체적으로 완만한 U자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다.
계속해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흡수성 물품(1)을 속옷의 크로치(crotch) 부분에 배치한다. 그리고, 통상의 흡수성 물품과 마찬가지로, 배치된 부위의 속옷을 감싸도록 윙(23A, 23B)을 되접는다. 윙(23A, 23B)의 이면에 배치된 윙측 어긋남 방지부(25A, 25B)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이 속옷에 고정된다. 그리고, 톱 흡수체(3)가 베이스 흡수체(2)의 상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속옷과 함께 상기 흡수성 물품(1)이 신체측으로 끌어올려진다. 여기서, 톱 흡수체(3)는, 임시 고정부(5)에 의해 임시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장착 과정에 있어서 임시 고정이 해제될 때까지 톱 흡수체(3)가 베이스 흡수체(2)로부터 이간되지 않는다.
계속해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신체의 뒤쪽으로부터 신체와 속옷 사이에 손을 집어 넣어, 손잡이부(40)를 파지하여 톱 흡수체(3)를 화살표 R 방향으로 끌어올린다.
이에 따라, 임시 고정부(5)에 의해 임시 고정이 해제되기 때문에, 톱 흡수체(3)는, 베이스 흡수체(2)로부터 이간된다. 베이스 흡수체(2)로부터 이간된 톱 흡수체(3)는, 고정부(4)를 기점으로 둔열에 들어가도록 이동된다. 즉, 톱 흡수체(3)는, 사용자에게 파지된 손잡이부(40)가 끌어올려짐으로써 베이스 흡수체(2)로부터 이간된다. 그리고, 톱 흡수체(3)는, 배설구에 접촉함과 아울러, 둔열에 들어가도록 이동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둔열에 들어가도록 배치된 톱 흡수체(3)는, 자유단측에 배치되는 결합부(37)에 의해 베이스 흡수체(2)의 표면에 결합된다. 또는, 톱 흡수체(3)가 되접혀서 착의가 되는 속옷의 외면측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톱 흡수체(3)는, 사용자가 조정한 위치 상태로 유지된다. 구체적으로는, 톱 흡수체(3)가 고정부(4)와 결합부(37)에 의해 소정의 장력을 가진 상태로 신체에 접촉되기 때문에, 톱 흡수체(3)에는, 신체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항상 소정의 힘이 작용하고 있다. 즉, 톱 흡수체(3)는, 신체에 접촉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된다.
결합부(37)에 방향성을 갖는 훅재를 사용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톱 흡수체(3)가 결합된 후라도, 그 위치를 재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신체의 뒤쪽으로부터 손잡이부(40)를 파지하여, 베이스 흡수체(2)의 후방 가장자리(230)측으로 인장하는 것만으로 결합부(37)에 의한 결합이 해제되어, 이동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톱 흡수체(3)의 위치를 조정한 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재결합할 수 있다.
또한 톱 흡수체(3)에 있어서의 베이스 흡수체측 접촉면측에 배치된 이면 시트(34)는, 톱 흡수체(3)가 흡수한 경혈의 누설을 방지한다. 톱 흡수체(3)를 결합시키면, 톱 흡수부(30)의 자유단부(32)측이 베이스 흡수체(2)의 후방 가장자리(230)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돌출된 영역에 이면 시트(34)가 배치되기 때문에, 경혈 등이 톱 흡수체(3)의 자유단부(32)측까지 타고 왔다고 해도, 속옷에 경혈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배설구에 접촉하여 둔열에 들어가도록 배치되는 톱 흡수체(3)는, 배설구나 둔열의 형상을 따르도록 변형한다.
구체적으로는, 톱 흡수체(3)의 흡수체(35)는, 배치되는 장소에 따라 단위 중량이 다르기 때문에, 주위보다 단위 중량이 낮은 부분이 꺾어짐 기점이 되어, 배설구나 둔열의 형상을 따르도록 변형한다. 상세하게는, 톱 흡수부(30)의 폭 방향(WD) 대략 중앙에 형성되는 영역(357)이 그 주위보다 흡수체(35)의 단위 중량이 낮아지도록 배치된다. 이 때문에, 영역(357) 부분이 꺾어짐 기점이 되어, 톱 흡수체(3)가 둔열에 들어가도록 배치됨에 따라서 영역(357)을 정점으로 하여 산 형상으로 변형된다.
영역(357)은, 톱 흡수체(3)를 둔열에 댄 경우에, 신체에 있어서의 회음부로부터 항문까지의 영역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톱 흡수체(3)가 둔열의 가장 깊은 부분에 들어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톱 흡수체(3)가 상술한 바 와 같이 배설구 등의 형상에 따른 변형을 하기 때문에, 톱 흡수체(3)는, 배설구 등에 밀착하도록 배치된다. 톱 흡수체(3)는, 신체와 빈틈없이 배치된다. 즉, 톱 흡수체(3)는, 배설구에 접촉하여 직접적으로 경혈 등을 흡수함과 아울러, 신체의 표면을 타고 경혈 등이 흘러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또한, 베이스 흡수체(2)는, 톱 흡수체(3)만으로는 흡수하지 못하는 소정의 액체를 흡수한다. 톱 흡수체(3)로는 흡수하지 못하는 액체는, 톱 흡수체(3)와 베이스 흡수체(2)가 접하는 부분을 통하여 베이스 흡수체(2)의 흡수체(28)에 흡수된다. 베이스 흡수체(2)에 흡수된 소정의 액체는,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29)에 의해 속옷으로 스며 들어가는 것이 저해되며, 베이스 흡수체(2)의 흡수체(28)에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에 있어서, 톱 흡수체(3)를 베이스 흡수체(2)로부터 이간하여 사용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흡수성 물품(1)은, 톱 흡수체(3)를 베이스 흡수체(2)로부터 이간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임시 고정부(5)에 의한 임시 고정을 해제하지 않고, 종래의 생리용 냅킨과 동일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장착 시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을 어떠한 형태로 사용할지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톱 흡수체(3)는 베이스 흡수체(2)로부터 고정부(4)를 기점으로 해서 이간되기 때문에, 베이스 흡수체(2)와는 독립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톱 흡수체(3)가 움직일 수 있는 자유도가 높아져, 베이스 흡수체(2)가 배치되는 착의의 움직임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흡수체를 신체에 계속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톱 흡수체(3)와 베이스 흡수체(2)는 고정부(4)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톱 흡수체(3)와 베이스 흡수체(2)가 완전히 이간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상기 흡수성 물품(1)을 신체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는, 베이스 흡수체(2)가 고정된 속옷을 신체로부터 끌어내리는 것만으로 톱 흡수체(3)의 장착이 해제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톱 흡수체(3)는, 장착 시에 있어서 결합부(37)를 베이스 흡수체(2), 속옷 또는 신체에 결합함으로써, 장착 시에 조절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톱 흡수체(3)가 신체에 밀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설구로부터 배설되는 경혈 등의 액체를 적합하게 흡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액체가 신체를 타고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톱 흡수체(3)는, 흡수체(35)의 단위 중량차가 있음으로써, 단위 중량차를 기점으로 해서 변형된다. 구체적으로는, 톱 흡수체(3)는, 배설구나 둔열의 형상을 따라서 변형할 수 있다. 톱 흡수체(3)는, 질구 등의 배설구에 밀착하도록 변형시킬 수 있다. 특히, 톱 흡수부(30)의 폭 방향(WD) 대략 중앙에 저단위 중량의 부분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톱 흡수체(3)가 폭 방향(WD)의 중심이 아닌 위치를 기점으로 절곡하는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단위 중량의 부분은, 길이 방향(LD)에 있어서 회음부로부터 항문에 걸쳐서 적어도 형성되기 때문에, 가장 밀착시키고 싶은 부분인 둔열의 안쪽에 상기 톱 흡수체(3)를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임시 고정부(5)는, 상기 임시 고정부(5)에 의한 임시 고정이 해제될 때까지 톱 흡수체(3)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톱 흡수체(3)의 위치를 조정할 때에 톱 흡수체(3)가 특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톱 흡수체(3)의 단부에 배치되는 손잡이부(40)의 위치를 파악하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임시 고정부(5)는 톱 흡수체(3)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이 때문에, 상기 흡수성 물품(1)은 2가지의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즉, 제1 사용 방법은, 임시 고정부(5)에 의한 임시 고정을 해제하여 톱 흡수체(3)의 자유단(31)을 베이스 흡수체(2)로부터 이간시키고, 톱 흡수체(3)를 둔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제2 사용 방법으로서는, 임시 고정부(5)에 의한 임시 고정을 해제하지 않고, 톱 흡수체(3)를 베이스 흡수체(2)에 임시 고정한 채로 상기 흡수성 물품(1)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은, 사용자가 적절하게 사용 방법을 그 자리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종류의 흡수성 물품을 구별해서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주택재고를 적게 할 수 있다.
[2] 다른 실시형태
도 12 내지 도 16에 의해, 제2 실시형태 내지 제5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 및 제3 실시형태는, 임시 고정부(5)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형태이고, 제4 실시형태는, 톱 흡수부(30)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형태이며, 제5 실시형태는, 톱 흡수체(3) 및 고정부(4)의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형태이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부분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도면에 붙인 번호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경우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있다.
2-1. 제2 실시형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A)은, 임시 고정의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흡수성 물품(1A)은, 톱 흡수체(3)가 베이스 흡수체(2)의 중앙부(20)에 길이 방향(LD)을 따라서 얹어 놓아져 있다. 그리고, 톱 흡수부(30)는, 상기 톱 흡수부(30)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양측부를 그 길이 방향(LD)을 따라서 엠보스 처리됨으로써 베이스 흡수체(2)에 임시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컨대, 톱 흡수부(30)의 길이 방향(LD)을 따르도록, 그 양측을 표면층(33)만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도트 형상의 엠보스에 의한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임시 고정부(5A)를 형성한다.
흡수성 물품(1A)은 2가지의 사용 형태를 갖는다. 제1 사용 형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톱 흡수체(3)가 임시 고정부(5A)에 의해 베이스 흡수체(2)에 임시 고정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흡수성 물품(1A)은 임시 고정된 상태인 채로, 신체에 장착하여 사용해도 좋다. 또한, 제2 사용 형태로서는, 도트 형상의 엠보스 처리에 의해 임시 고정된 톱 흡수체(3)를 두께 방향으로 끌어올려, 임시 고정을 해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임시 고정된 톱 흡수체(3)의 손잡이부(40)를 파지하여, 두께 방향으로 끌어올림으로써, 임시 고정을 해제한다. 임시 고정을 해제한 경우에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과 동일한 형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흡수성 물품(1A)의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사용 상태를 선택 가능해진다.
2-2. 제3 실시형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B)은, 임시 고정의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흡수성 물품(1B)은 베이스 흡수체(2)의 중앙부(20)에, 톱 흡수체(3)를 길이 방향(LD)을 따라서 배치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톱 흡수체(3)는, 전체적으로 도트 형상의 엠보스 처리 등의 압착 처리에 의해 베이스 흡수체(2)에 박리 가능하게 융착 접합된다. 상세하게는, 톱 흡수체(3)는, 도시하지 않은 흡수체(35) 및 표면층(33)을 함께 압축 일체화하도록, 전체적으로 압착 처리를 행한다. 이 압착 처리된 영역이 임시 고정부(5B)가 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형태는, 중앙부(20)에 흡수체를 갖는 경우에 적합하다. 전체적으로 압착 처리가 됨으로써, 톱 흡수체(3)를 베이스 흡수체(2)로부터 이간시키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에, 톱 흡수부(30)와 베이스 흡수체(2)가 길이 방향으로 서로 밀착하기 때문에, 톱 흡수부(30)에서 흡수한 소정의 액체를 베이스 흡수체(2)의 중앙부(20)로 이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체적으로 압착 처리를 함으로써, 흡수성 물품(1B)의 전체적인 두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중앙부(20)에 배치되는 흡수체는, 에어레이드 펄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레이드 펄프와 같은 밀도가 높은 흡수체를 배치함으로써, 톱 흡수부(30B)로부터의 액 이행성을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흡수성 물품(1B)은 2가지의 사용 형태를 갖는다. 제1 사용 형태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톱 흡수체(3)가 압착 처리에 의해 베이스 흡수체(2)에 고정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흡수성 물품(1B)은 고정된 상태인 채로, 신체에 장착하여 사용되어도 좋다. 또한, 제2 사용 형태로서는, 압착 처리에 의해 고정된 톱 흡수체(3B)를 임시 고정부(5B)에 의한 임시 고정을 해제하여 베이스 흡수체(2)로부터 이간시켜 사용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임시 고정된 톱 흡수체(3)의 손잡이부(40)가 파지되어, 두께 방향으로 끌어올려짐으로써, 임시 고정부(5B)가 해제된다. 임시 고정부(5B)에 의한 임시 고정이 해제된 경우에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과 동일한 형태가 된다.
2-3. 제4 실시형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C)은, 톱 흡수체(3C)의 톱 흡수부(30C)의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 14A는 톱 흡수체(3C)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이고, 도 14B는 도 14A의 (i)에 있어서의 횡단면도이며, 도 14C는 도 14A의 (ii)에 있어서의 횡단면도이고, 도 14D는 도 14A의 (iii)에 있어서의 횡단면도이다.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톱 흡수체(3C)의 형태는, 도 1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톱 시트(331C)가 톱 흡수체(3C)에 있어서의 베이스 흡수체(2) 접촉면측에 있어서, 흡수체(35)와 이면 시트(34C)에 있어서의 폭 방향(WD)의 양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이면 시트(34C)가 톱 흡수체(3)에 있어서의 베이스 흡수체 접촉면측 전체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톱 시트(331C)가 흡수체(35)와 함께 베이스 흡수체(2) 접촉면측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34C)의 폭 방향(WD) 양측부까지를 둘 러싸고 있다. 톱 흡수체(3C)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톱 흡수부(30C)의 길이 방향(LD) 양단도 마찬가지로, 톱 시트(331C)가 이면 시트(34C)의 베이스 흡수체(2) 접촉면측의 양측부까지 둘러싼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톱 시트(331C)와 이면 시트(34C)가 겹쳐지는 영역은 예컨대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접착 처리된다.
이면 시트(34C)는, 톱 흡수체(3)가 흡수하지 못하는 경혈 등을 베이스 흡수체(2)측으로 투과시키기 위해서, SMS 부직포로 형성된다.
또한, 손잡이부(40C)는, 자유단부(32)측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자유단부(32)에 있어서의 톱 시트(331C) 및 이면 시트(34C)만으로 형성된 영역에 있어서, 손잡이부 표면 시트(42C)가 상기 영역과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또한, 결합부(37)는, 상기 손잡이부(40C)에 있어서의 베이스 흡수체(2) 접촉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영역과 손잡이부 표면 시트(42C)와 함께, 예컨대 압착 처리에 의해 융착 일체화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37)는, 자유단(31) 근방이며 톱 흡수부(30C)에 있어서의 베이스 흡수체(2) 접촉면측에 배치해도 좋다.
손잡이부 표면 시트(42C)는, 액체 불투과성의 요철을 가진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손잡이부 표면 시트(42C)에 있어서 요철을 갖지 않는 필름 등의 평활한 시트를 사용하면, 장착 시에 땀이 차서 후끈거려 불쾌감을 줄 가능성이 있다. 시트재로서는, 소수성 섬유로 구성된, 예컨대, 스펀레이스, 스펀본드, 멜트블로운, 니들펀치, 에어스루 등의 부직포를 예시할 수 있다. 손잡이부(40)에 강성을 부여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SMS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톱 흡수체(3C)에 있어서의 자유단부(32)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톱 시 트(331C) 및 이면 시트(34C)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상기 단부는, 베이스 흡수체(2)와 톱 흡수체(3C)를 고정하는 고정부(4)가 형성되는 영역이 된다.
2-4. 제5 실시형태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D)은, 톱 흡수체(3D)의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톱 흡수체(3D)는, 예컨대 톱 흡수부(30)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전방 가장자리(220)측의 단부(321D)에 있어서, 고정부(4D)와 상기 단부(321D) 사이에 탄성 부재(36D)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부(321D)에 있어서의 톱 시트(331) 및 이면 시트(34)만으로 형성된 영역에 있어서, 톱 시트(331)와 이면 시트(34)와 탄성 부재(36D)를 적층 배치하여, 압착 처리를 행한다. 또한, 고정부(4D)측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톱 흡수부(30)에 있어서 사용되는 톱 시트(331D), 이면 시트(34D) 및 탄성 부재(36D)를 적층 배치하여, 압착 처리를 행한다.
탄성 부재(36D)를 형성하는 부재로서는 예컨대, 고정부(4D)로부터 결합부(37)까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에 대하여 3% 내지 5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의 범위에 있어서 신축성을 갖는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료를 배치함으로써, 신체에의 압박감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정부(4D)측에 있어서 톱 시트(331D), 이면 시트(34D) 및 탄성 부재(36D)를 적층 배치하여 압착 처리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톱 시트(331D)만으로 탄성 부재(36D)와 압착 처리해 도 좋고,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손잡이부 표면 시트(42C)와 같은 소정의 강성을 부여한 부재와 탄성 부재(36C)를 압착 처리하도록 해도 좋다.
2-5. 제6 실시형태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E)은, 톱 흡수체(3E)가 베이스 흡수체(2)에 있어서의 폭 방향(WD)의 길이의 40% 내지 90%의 범위의 폭을 갖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즉, 톱 흡수체(3E)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톱 흡수체(3)보다도 폭 방향(WD)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톱 흡수부(30E)에 있어서, 흡수체(35E)의 단위 중량이 부분적으로 다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1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체(35E)를 길이 방향(LD)을 따라서, 폭 방향(WD)에서 3개의 영역(BW2/BW1/BW3)으로 나눈다. 여기서, 단위 중량의 대소 관계는 BW2<BW1, BW3<BW1, BW2=BW3이고, 게다가, BW2와 BW3 각각은, 가장자리부를 향할수록 저단위 중량으로 되어 있다. 또한, 영역(BW1)에 있어서의 중앙선상의 이면측의 영역(BW11)에 노치나 홈 등을 형성하거나, 혹은 또한 영역(BW1과 BW2)의 경계 부근 및 영역(BW1과 BW3)의 경계 부근에 있어서 이면측에 노치나 홈 등을 형성하는 것과 같은 방책을 취한다. 이에 따라, 자유단(31)측의 위치를 조정하여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톱 흡수체(3E)의 위치를 신체에 밀착시키도록 조절했을 때에, 영역(BW1)은, 보다 음순 사이에 밀착하는 형상으로 변형하기 쉬워진다. 또한, 영역(BW2, BW3) 각각에 있어서도 가장자리부의 두께가 서서히 작아짐으로써 서혜부를 향하여 변형하기 쉬워지며, 음순을 넘어 서 혜부에 무리없이 피트한다. 이에 따라,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톱 흡수체(3E)의 피트감을 향상시킨다.
그 외에, 도 1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을 적용해도 좋다. 예컨대, 흡수체(35E)를 길이 방향(LD)을 따라서, 폭 방향(WD)에서 5개의 영역(BW22/BW21/BW1/BW31/BW32)으로 나눈다. 여기서, 단위 중량의 대소 관계는, BW21<BW22<BW1, BW31<BW32<BW1, BW21=BW31, BW22=BW32이고, 게다가, BW21과 BW31 각각은, 가장자리부를 향할수록 저단위 중량으로 되어 있다. 또한, 영역(BW1)에 있어서의 중앙선상의 이면측의 영역(BW11)에 노치나 홈 등을 형성하거나, 혹은 또한 영역(BW1과 BW21)의 경계 부근 및 영역(BW1과 BW31)의 경계 부근에 있어서 이면측에 노치나 홈 등을 형성하는 것과 같은 방책을 취한다. 이에 따라, 자유단(31)측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톱 흡수체(3E)의 위치를 신체에 밀착시키도록 조절했을 때에, 영역(BW1)은, 보다 음순 사이에 밀착하는 형상으로 변형하기 쉬워진다. 또한, 영역(BW21, BW31) 각각에 있어서도 외측 쪽으로 두께가 작고, 음순을 넘어 서혜부를 향하여 변형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서혜부에는 영역(BW22, BW32)에 있어서의 약간 고단위 중량의 영역이 접촉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톱 흡수체(3E)의 피트감의 향상과 함께, BW22, BW32의 존재에 의해, 도 18A에 비해서 옆으로 누설되는 불안을 해소하는 안심감의 향상에 기여한다.
도 18A, 도 18B에 따르면, 톱 흡수체(3E)를 둔열에 댄 경우에, 영역(BW1)의 중앙 영역 부근이 신체에 있어서의 회음부로부터 항문까지의 영역에 대응하도록 형 성되며, 둔열의 깊은 부분에 들어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톱 흡수체(3E)가 상술한 바와 같이 배설구 등의 형상에 따른 변형을 하기 때문에, 톱 흡수체(3E)는, 배설구 등에 밀착하도록 배치된다. 톱 흡수체(3E)는, 배설구에 접촉함과 아울러 서혜부에 이르기까지 커버하여, 직접적으로 경혈 등을 흡수함과 아울러, 신체의 표면을 타고 경혈 등이 흘러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베이스 흡수체(2)에 있어서의 중앙부(20)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길이(L1)가 110 ㎜ 정도인 경우, 이 톱 흡수부(30E)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길이(L2)는, 70 ㎜ 내지 80 ㎜의 어떠한 소정의 길이로 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톱 흡수체(3)는, 길이 방향(LD)에 직교하는 폭 방향(WD)에 있어서, 베이스 흡수체(2)의 한쪽 면의 40% 내지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의 범위의 소정 폭을 갖도록 하면, 질구부 및 그 주위의 음순을 서혜부에 이르러 커버하는 폭이 넓은 흡수체(35E)의 이점을 충분히 살릴 수 있다.
2-6. 제7 실시형태
도 1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7 실시형태는, 손잡이부(40G)의 형상에 있어서 제6 실시형태와 다르다. 손잡이부(40G)는, 임시 고정부(5G)를 수반하는 자유단(31G)을 통해 톱 흡수체(3G)에 있어서의 톱 흡수부(30G)와 결합되어 있다. 손잡이부(40G)는, 폭 방향(WD) 중앙에 손잡이 영역(40G1)을 갖는다. 손잡이 영역(40G1)은,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길이(폭)가, 톱 흡수부(30G)의 그것보다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40G)가 배치되는 위치는, 손잡이부(40G)의 손잡이 영역(40G1)이, 톱 흡수부(30G)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과 겹쳐지는 위치이다. 바 꿔 말하면, 손잡이 영역(40G1)이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손잡이부(40G)가 배치된다. 그리고, 손잡이 영역(40G1)이, 손잡이부(40G)의 폭 방향 중앙에서 길이 방향(LD)을 따라서 가장 외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손잡이 영역(40G1)을 잡음으로써, 폭이 넓은 손잡이부(40G)의 중앙부를 용이하게 찾아 낼 수 있으며, 톱 흡수체(3G)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9B는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손잡이부(40G)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손잡이부(40H)는, 임시 고정부(5H)를 수반하는 자유단(31H)을 통해 톱 흡수체(3H)에 있어서의 톱 흡수부(30H)와 결합되어 있다. 손잡이부(40H)에 있어서는, 폭 방향(WD) 중앙에 개구 영역(40H1)을 갖는다. 개구 영역(40H1)은, 손잡이부(40H)의 폭 방향(WD)에 있어서, 양측의 파지폭(HW1, HW2)이 균등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40H)가 배치되는 위치는, 손잡이부(40H)의 개구 영역(40H1)이, 톱 흡수부(30H)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과 겹쳐지는 위치이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예컨대 1개의 손가락을 개구 영역(40H1)에 거는 것에 의해서도, 폭이 넓은 손잡이부(40H)의 중앙부를 용이하게 찾아 낼 수 있으며, 톱 흡수체(3H)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40H)의 조작에 있어서는, 폭이 넓은 톱 흡수부(30H)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인장되도록 되기 때문에, 톱 흡수부(30H)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서혜부를 따라서 보다 깊이 들어가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2-7. 제8 실시형태
도 20A는 톱 흡수체(3J)에 누설 방지벽 부재가 설치되는 점에서 제6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 2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된 톱 흡수체(3J)에 있어서의 표면층(33)에 있어서, 톱 흡수체(3J)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양단부에서 길이 방향(LD)을 따르는 측부에 누설 방지벽(501)을 설치하고 있다. 누설 방지벽(501)은, 부직포(511)의 되접음 구조를 톱 시트(331)의 측부 가장자리에 접착한 것이다. 그리고, 되접은 부분의 내부에 폴리우레탄의 탄성사(521, 522)가 설치되고, 사이드 개더로서의 기립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톱 흡수체에 있어서의 사이드 누설 방지 성능의 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2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톱 흡수체(3J)에 있어서의 표면층(33)에 있어서, 톱 흡수체(3J)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양단부에서 길이 방향(LD)을 따르는 측부에 누설 방지벽(502)을 설치해도 좋다. 누설 방지벽(502)은, 흡수층(531)을 내포하는 부직포(512)의 되접음 구조를 톱 시트(331)의 측부 가장자리에 접착한 것이며, 서혜부에의 확실한 접촉을 상정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톱 흡수체(3J) 사이드에 있어서의 누설 방지 성능의 강화를 도모할 수 있다.
2-8. 제9 실시형태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0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K)은, 베이스 흡수체(2)의 폭 방향 대략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 흡수체로서의 제1 흡수체(3AK)와, 제1 측방 흡수체로서의 제2 흡수체(3BK)와, 제2 측방 흡수체로서의 제3 흡수체(3CK)에 의해 구성되는 톱 흡수체군(3K)을 구비하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톱 흡수체군(3K)을 구성하는 제1 흡수체(3AK)는, 베이스 흡수체(2)의 중앙 부(20)에 적층 배치된다. 제1 흡수체(3AK)는, 사용 시에 있어서 신체의 배설구 등에 직접 접촉하여 경혈 등의 소정의 액체를 흡수한다. 제2 흡수체(3BK) 및 제3 흡수체(3CK) 각각은, 제1 흡수체(3AK)의 양측을 따르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서혜부에 접촉하여 신체의 표면을 타고 흐르는 경혈 등의 누설을 억제한다.
톱 흡수체군(3K) 각각은, 그 길이 방향(LD)의 일부분에 설치된 고정부에 의해 베이스 흡수체(2)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 않은 단부가 자유단이 된다. 제1 흡수체(3AK)는, 전방 가장자리(220)측의 단부가 제1 고정부(4AK)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제1 흡수체(3AK)에 있어서의 후방 가장자리(230)측의 단부가 제1 자유단(31AK)이 된다. 제2 흡수체(3BK)는, 후방 가장자리(230)측의 단부가 제2 고정부(4BK)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제2 흡수체(3BK)에 있어서의 전방 가장자리(220)측의 단부가 제2 자유단(31BK)이 된다. 제3 흡수체(3CK)는, 후방 가장자리(230)측의 단부가 제3 고정부(4CK)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제3 흡수체(3CK)에 있어서의 전방 가장자리(220)측의 단부가 제3 자유단(31CK)이 된다.
제1 흡수체(3AK)의 제1 자유단(31AK)측에 제1 손잡이부(41AK)가 배치된다. 또한, 제2 흡수체(3BK)의 제2 자유단(31BK)측에 제2 손잡이부(41BK)가 배치된다. 또한, 제3 흡수체(3CK)의 제3 자유단(31CK)측에 제3 손잡이부(41CK)가 배치된다. 제1 흡수체(3AK)를 신체의 배설부에 접촉함과 아울러 둔열을 따르도록 배치하는 조작은 신체의 후면에서 행해진다. 제2 흡수체(3BK) 및 제3 흡수체(3CK) 각각이 서혜부를 따르도록 배치하는 조작은 신체의 전면측에서 행해진다.
제1 흡수체(3AK)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톱 흡수체(3)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고, 제2 흡수체(3BK) 및 제3 흡수체(3CK)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 흡수체(3BK) 및 제3 흡수체(3CK) 각각은, 베이스 흡수체(2)의 전방 가장자리(220)로부터 전방으로 5 ㎜ 연장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 흡수체(3BK) 및 제3 흡수체(3CK) 각각의 자유단을 끌어올릴 때에 파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연장 부분에 각각 손잡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흡수체(3BK) 및 제3 흡수체(3CK) 각각은, 제1 흡수체(3AK)와는 길이 방향(LD)에 있어서 반대측에서 고정됨과 아울러, 길이 방향(LD)에 있어서 반대에 자유단을 갖는다. 즉, 제2 고정부(4BK) 및 제3 고정부(4CK) 각각은,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후방 가장자리(230)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자유단(31BK) 및 제3 자유단(31CK) 각각은,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전방 가장자리(220)측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 흡수체(3BK) 및 제3 흡수체(3CK) 각각에 있어서의 장착 조작은, 신체의 전면측에 있어서 행해진다.
제2 흡수체(3BK) 및 제3 흡수체(3CK) 각각은, 제1 흡수체(3AK)보다도 폭이 가늘어지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흡수체(3BK) 및 제3 흡수체(3CK) 각각의 폭은, 제1 흡수체(3AK)의 폭에 대하여, 10 ㎜ 내지 30 ㎜이다.
제2 흡수체(3BK) 및 제3 흡수체(3CK) 각각은, 제1 흡수체(3AK)보다도 흡수체(35)의 단위 중량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제2 흡수체(3BK) 및 제3 흡수체(3CK) 각각은, 제1 흡수체(3AK)의 보조적인 흡수체인 것, 및 서혜부를 따라서 밀착시키는 흡수체인 것이 이유이다. 구체적으로는, 제2 흡수체(3BK) 및 제3 흡수체(3CK) 각각 의 단위 중량은, 50 ㎜ 내지 400 g/㎟이다.
또한, 제2 흡수체(3BK) 및 제3 흡수체(3CK) 각각에 있어서의 단위 중량은, 제1 흡수체(3AK)와 마찬가지로 부분적으로 다르도록 배치할 수 있다. 제2 흡수체(3BK) 및 제3 흡수체(3CK)에 있어서는, 주로 길이 방향(LD)에 있어서 신체의 형상을 따르도록 변형하는 꺾어짐 기점을 갖도록 단위 중량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흡수체(3BK) 및 제3 흡수체(3CK) 각각은, 장착 상태에 있어서, 각각 서혜부를 따르도록 배치되며, 신체를 타고 흐르는 경혈 등의 액체를 흡수한다. 이에 따라, 흡수성 물품(1K)에 있어서의 경혈 등의 액체의 누설을 억제한다.
제2 고정부(4BK)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후방 가장자리(230)이며 후방 영역(BAK)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제2 고정부(4BK)를 구성하는 압착부(48aK, 48bK)는, 길이 방향(LD)으로 서로 평행해지도록 형성된다. 압착부(48aK, 48bK) 각각은,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후방 가장자리(230)측으로 돌출하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3 고정부(4CK)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후방 가장자리(230)이며 후방 영역(BA)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제3 고정부(4CK)를 구성하는 압착부(49aK, 49bK)는, 길이 방향(LD)으로 서로 평행해지도록 형성된다. 압착부(49aK, 49bK) 각각은,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후방 가장자리(230)측으로 돌출하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톱 흡수체군(3K)에 있어서, 임시 고정부로서, 제1 흡수체(3AK)를 임시 고정 하는 제1 임시 고정부(5AK, 5AK)와, 제2 흡수체(3BK)를 임시 고정하는 제2 임시 고정부(5BK)와, 제3 흡수체(3CK)를 임시 고정하는 제3 임시 고정부(5CK)를 갖는다.
또한, 제2 임시 고정부(5BK)는, 제2 흡수체(3BK)에 있어서, 제2 자유단(31BK) 근방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임시 고정부(5BK)는, 자유단부(32BK)에 형성된다. 제2 임시 고정부(5BK)는, 제2 흡수체(3BK)에 있어서의 톱 시트(331) 및 이면 시트(34)만으로 형성되는 영역에 형성된다. 또한, 제2 임시 고정부(5BK)는, 제2 흡수체(3BK)에 있어서의 제2 손잡이부(40BK) 근방에 형성된다. 제2 임시 고정부(5BK)에는, 제2 손잡이부(40BK)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외측 방향 또는 도 21에 있어서의 상면 방향으로 가해진 힘이 직접적으로 전달된다. 바꿔 말하면, 제2 손잡이부(40BK)를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외측 방향 또는 도 21에 있어서의 상면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 제2 임시 고정부(5BK)에 있어서의 임시 고정 상태는 해제된다. 제2 임시 고정부(5BK)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흡수체(3BK)에 있어서의 제2 손잡이부(40BK) 근방인 자유단부(32BK)의 폭 방향(WD)의 중앙에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흡수체(3BK)는, 하나의 제2 임시 고정부(5BK)에 의해 포인트로 고정된다. 여기서, 제3 임시 고정부(5CK)는 제3 흡수체(3CK)에 있어서 제2 임시 고정부(5BK)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흡수성 물품(1K)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속옷의 크로치 부분에 흡수성 물품(1K)을 배치하고, 윙(23A, 23B)을 되접어서 고정한다. 그리고 그대로 속옷을 흡수성 물품(1K)과 함께 신체측으로 끌어올린 후,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톱 흡수체(3)와 마찬가지로, 제1 흡수체(3AK)의 위치가 조정되어, 베이스 흡수체(2)의 표 면에 결합된다. 또한, 제2 흡수체(3BK) 및 제3 흡수체(3CK) 각각의 제2 손잡이부(40BK) 및 제3 손잡이부(40CK)가 각각 파지되고, 제2 흡수체(3BK) 및 제3 흡수체(3CK)가 각각 베이스 흡수체(2)로부터 이간되어, 서혜부를 따르도록 배치된다.
서혜부를 따르도록 배치된 제2 흡수체(3BK) 및 제3 흡수체(3CK)는, 자유단측에 배치되는 제2 결합부(37BK) 및 제3 결합부(37CK)에 의해 베이스 흡수체(2)의 표면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2 흡수체(3BK) 및 제3 흡수체(3CK) 각각은, 사용자가 조정한 위치 상태로 유지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흡수체(3BK) 및 제3 흡수체(3CK) 각각이, 제2 고정부(4BK) 및 제3 고정부(4CK) 각각과 제2 결합부(37BK) 및 제3 결합부(37CK) 각각에 의해 소정의 장력을 가진 상태로 신체에 접촉되기 때문에, 제2 흡수체(3BK) 및 제3 흡수체(3CK) 각각에는, 신체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항상 소정의 힘이 작용하고 있다. 즉, 제2 흡수체(3BK) 및 제3 흡수체(3CK) 각각은, 서혜부에 접촉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된다. 여기서, 이 조작은 신체의 전면측에서 행해진다.
제10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흡수체(3AK)가 배설부에 밀착한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제2 흡수체(3BK) 및 제3 흡수체(3CK)가 서혜부에 밀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흡수체(3AK)가 배설부로부터 배출되는 경혈 등의 액체를 직접 흡수함과 아울러, 제2 흡수체(3BK) 및 제3 흡수체(3CK)가 신체를 타고 서혜부로 흐르는 경혈 등의 액체를 적합하게 흡수할 수 있다.
제10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2 손잡이부(40BK) 및 제3 손잡이부(40CK) 각각이 전방 가장자리(220)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2 흡수체(3BK) 및 제3 흡수체(3CK) 각 각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작을 신체의 전면측에서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체의 후면측에서 제2 흡수체(3BK) 및 제3 흡수체(3CK) 각각의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에 비하여, 조작성은 대폭으로 양호하다. 베이스 흡수체(2)의 소정 위치에 결합되어 있는 각 결합부의 결합 위치를 재차 조정하는 등의 미묘한 힘 가감으로의 조정 작업을 신체의 전면측에서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조정 작업을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작업을 신체의 전면측에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시인 가능한 상태에서 상술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2-9. 제10 실시형태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0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L)은, 고정부(4)가 후방 가장자리(230)측에 형성되며, 톱 흡수체(3)를 베이스 흡수체(2)에 얹어 놓은 경우에 있어서의, 톱 흡수체(3)에 있어서의 한쪽 가장자리가 되는 전방 가장자리(220)측이 자유단(31)이 되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고정부(4)가 형성되는 위치는, 구체적으로는, 톱 흡수부(30)에 있어서의 후방 가장자리(230)측의 단부이며, 톱 시트(331)만으로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흡수체(35)의 단위 중량이 200 g/㎡인 영역(353)까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임시 고정부(5, 5)는, 톱 흡수체(3)에 있어서, 자유단(31) 근방에 형성된다. 즉, 임시 고정부(5, 5)는, 위치(Z)로부터 자유단(31)과의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임시 고정부(5, 5)는, 베이스 흡수체(2)에 있어서는, 중앙부(20)에 있어서의 전방 가장자리(220) 근방에 형성된다.
사용 형태로서는, 흡수성 물품(1)을 속옷의 크로치 부분에 고정한 후, 흡수 성 물품(1L)이 신체측으로 끌어올려진다. 그리고 사용자는, 신체의 전체면측으로부터 신체와 속옷 사이에 손을 집어 넣고, 손잡이부(40)를 파지하여 임시 고정부(5)에 의한 임시 고정을 해제하여, 톱 흡수체(3)가 신체에 접촉되는 위치가 조정된다. 톱 흡수체(3)가 접촉되는 위치가 조정되면, 결합부(37)에 의해 속옷 또는 베이스 흡수체(2)의 임의의 위치에 결합된다.
2-10. 제11 실시형태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M)은, 톱 흡수체(3M)가 장착 대상이 되는 신체측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제1 위치가 되는 위치(Z)로부터 길이 방향(LD)에 있어서 가까운 전방 가장자리(220)측에 배치되는 제2 자유단(31BM)과, 위치(Z)로부터 길이 방향(LD)에 있어서 먼 후방 가장자리(230)측에 배치되는 제1 자유단(31AM)을 갖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즉, 톱 흡수체(3M)는, 그 길이 방향(LD)의 일부분에 설치된 고정부(4M)를 구성하는 제1 고정부(4AM) 및 제2 고정부(4BM)에 의해 베이스 흡수체(2)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부(4M)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 않은 톱 흡수체(3M)의 양단부 각각은, 제1 자유단(31AM) 및 제2 자유단(31BM)이 된다. 후방 가장자리(230)측에 배치되는 단부가 제1 자유단(31AM)이고, 전방 가장자리(220)측에 배치되는 단부가 제2 자유단(31BM)이다.
톱 흡수체(3)는, 제1부(3AM)와, 제2부(3BM)와, 제3부(3CM)를 갖는다. 제1부(3AM)는 제1 고정부(4AM)와 제1 자유단(31AM) 사이의 부분이다. 제2부(3BM)는 제2 고정부(4BM)와 제2 자유단(31BM) 사이의 부분이다. 제3부(3CM)는 제1 고정 부(4AM)와 제2 고정부(4BM) 사이의 부분이다.
제1 자유단(31AM) 및 제2 자유단(31BM) 각각은, 베이스 흡수체(2)로부터 이간 가능하다. 톱 흡수체(3)는 베이스 흡수체(2)에 있어서의 중앙부(20)의 폭 방향(WD) 대략 중앙에 배치된 상태로부터, 고정부(4)를 기점으로 해서 제1 자유단(31AM) 및 제2 자유단(31BM) 각각이 이간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1부(3AM)의 제1 자유단(31AM)측에는 제1 손잡이부(40AM)가 배치되고, 제2부(3B)의 제2 자유단(31BM)측에는 제2 손잡이부(40BM)가 배치된다. 제1 손잡이부(40AM)에 의해 제1부(3AM)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고, 제2 손잡이부(40BM)에 의해 제2부(3BM)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다.
이 제1 자유단(31AM)측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제1부(3AM)의 위치를 적합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제1부(3AM)에 있어서의 위치의 조정은 신체의 후면측에서 행한다. 또한, 제2 자유단(31BM)측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제2부(3BM)의 위치를 적합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제2부(3BM)에 있어서의 위치의 조정은, 신체의 전면측에서 행할 수 있다.
제3부(3CM)는 제1 고정부(4AM)와 제2 고정부(4BM) 사이에 형성되는 부분이고, 베이스 흡수체(2)로부터 이간되지 않는 부분이다. 또한, 제3부(3CM)는 위치(Z)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제3부(3CM)는 베이스 흡수체(2)와 일체적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배설부에 접촉하는 영역이다.
톱 흡수체(3M)는 베이스 흡수체(2)의 전방 가장자리(220)로부터 전방으로 20 ㎜, 및 상기 후방 가장자리(230)로부터 후방으로 20 ㎜ 연장된 상태로 배치된다. 톱 흡수체(3M)를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외측 가장자리 각각으로부터 연장시킴으로써, 제1 자유단(31AM) 및 제2 자유단(31BM) 각각을 파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 연장 아래 부분에는, 제1 손잡이부(40AM) 및 제2 손잡이부(40BM) 각각이 형성된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4M)는 제1 고정부(4AM)와 제2 고정부(4BM)에 의해 구성된다. 제1 고정부(4AM)는 위치(Z)의 후방 가장자리(230)측에 형성되고, 제2 고정부(4BM)는 위치(Z)의 전방 가장자리(220)측에 형성된다. 제1 고정부(4AM)와 제2 고정부(4BM)는 길이 방향(LD)에 있어서 위치(Z)를 사이에 두고 형성된다.
제1 고정부(4AM) 및 제2 고정부(4BM) 각각은, 압착 처리에 의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톱 흡수체(3M)를 베이스 흡수체(2)의 중앙부(20)에 배치한 상태에서 톱 흡수체(3)의 표면측으로부터 압착 처리함으로써, 제1 고정부(4AM) 및 제2 고정부(4BM)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고정부(4AM)는 후방 가장자리(230)측에 형성되어 제1부(3AM)의 기점이 되는 고정부이다. 제2 고정부(4BM)는 전방 가장자리(220)측에 형성되어 제2부(3BM)의 기점이 되는 고정부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4AM)와 제2 고정부(4BM)에 의해, 베이스 흡수체(2)에 고정된 제3부(3CM)가 형성된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톱 흡수체(3M)에는, 제1 임시 고정부(5AM, 5AM) 및 제2 임시 고정부(5BM, 5BM)가 형성된다. 제1 임시 고정부(5AM, 5AM)는 제1 부(3AM)에 있어서의 제1 고정부(4AM)와 제1 자유단(31AM)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제2 임시 고정부(5BM, 5BM)는 제2부(3BM)에 있어서의 제2 고정부(4BM)와 제2 자유단(31BM) 사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임시 고정부(5AM, 5AM)는 제1 자유단(31AM) 근방에 형성된다. 또한, 제2 임시 고정부(5BM, 5BM)는 제2 자유단(31BM) 근방에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 임시 고정부(5AM, 5AM)는 제1부(3AM)의 제1 자유단부(32AM)에 있어서의 폭 방향(WD)의 양측에 형성된다. 또한, 제2 임시 고정부(5BM, 5BM)는 제2부(3BM)의 제2 자유단부(32BM)에 있어서의 폭 방향(WD)의 양측에 형성된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흡수성 물품(1M)은, 결합 수단으로서의 제1 결합부(37AM) 및 제2 결합부(37BM)와, 피결합체로서의 베이스 흡수체(2)의 중앙부(20)를 구비한다. 제1 결합부(37AM) 및 제2 결합부(37BM) 각각은, 톱 흡수체(3M)에 있어서의 제1 자유단(31AM) 및 제2 자유단(31BM) 각각을 소정 위치에 결합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결합부(37AM) 및 제2 결합부(37BM) 각각은, 장착 대상으로서의 신체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톱 흡수체(3)의 제1 자유단(31AM) 및 제2 자유단(31BM) 각각을 소정 위치에 결합한다. 상세하게는, 제1 결합부(37AM)는 신체에 장착된 제1부(3AM)를 소정 위치에 결합한다. 또한, 제2 결합부(37BM)는 신체에 장착된 제2부(3BM)를 소정 위치에 결합한다.
제1 결합부(37AM) 및 제2 결합부(37BM) 각각은, 톱 흡수체(3)의 제1 자유단(31AM) 및 제2 자유단(31BM) 각각의 옆에 배치된다. 제1 결합부(37AM)는 톱 흡수체(3M)의 베이스 흡수체(2)측이며 후방 영역(BA)에 배치된다. 또한, 제2 결합 부(37BM)는 톱 흡수체(3M)의 베이스 흡수체(2M)측이며 전방 영역(FA)에 배치된다.
제1 결합부(37AM) 및 제2 결합부(37BM) 각각은, 대상으로 하는 피결합체에 의해 배치되는 위치가 조정된다. 제1 결합부(37AM) 및 제2 결합부(37BM) 각각이 흡수성 물품(1)을 덮도록 배치되는 착의로서의 속옷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1 자유단부(32AM), 제2 자유단부(BM) 근방 또는 제1 손잡이부(40AM), 제2 손잡이부(40BM)에 제1 결합부(37AM) 및 제2 결합부(37BM) 각각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에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톱 흡수부(30M)의 신체 접촉면측이며, 톱 흡수부(30M) 또는 제1 손잡이부(40AM), 제2 손잡이부(40BM)에 있어서의 자유단부(32AM, 32BM) 근방에 제1 결합부(37AM) 및 제2 결합부(37BM) 각각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37M)는 톱 흡수부(30M)의 흡수체(35M)가 배치되는 영역측과, 자유단부(32AM, 32BM)측과의 양방에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 베이스 흡수체(2), 속옷, 신체 중 어디에 제1 결합부(37AM) 및 제2 결합부(37BM) 각각을 결합시킬지는 장착 시에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과 같이, 제1 결합부(37AM) 및 제2 결합부(37BM) 각각의 배치 위치나 개수는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에 있어서, 제1 결합부(37AM) 및 제2 결합부(37BM)가 베이스 흡수체(2)에 결합되는 경우의 구성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 구성의 경우라도 제1 결합부(37AM) 및 제2 결합부(37BM) 각각을 속옷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톱 흡수체(3M)는 신체의 후면측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제1부(3AM)와, 신체의 전면측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제2부(3BM)를 갖기 때문에, 보다 신체의 형상에 대응하여 배치 가능한 흡수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신체의 움직임에 보다 대응하여 추종 가능한 흡수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톱 흡수체(3M)에 있어서의 제2부(3BM)의 제2 자유단(31BM)이 신체의 전면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신체의 앞측에 있어서 장착 조작의 일부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미묘한 힘 가감이 필요한 조작을 신체의 전면측에서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시인성이 양호한 위치에서 상술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신체의 후면측에서만 톱 흡수체(3M)의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에 비하여, 조작성은 대폭으로 양호하다.
2-11. 제12 실시형태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F)은, 낮에 사용되는 흡수성 물품(1F)을 상정하고 있으며, 베이스 흡수체(2F)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및 톱 흡수체(3E)에 있어서, 제6 실시형태와 다르다.
베이스 흡수체(2F)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길이는, 예컨대 26 ㎝로 형성된다. 또한, 윙(23A, 23B)을 제외한 베이스 흡수체(2F)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폭은, 예컨대 105 ㎜로 형성되며, 도시하지 않은 중앙부(20) 및 측부(21A, 21B)의 합계의 폭은, 예컨대 80 ㎜로 할 수 있다. 고정부(4F)는, 신체 배설구 부위가 접촉한다고 상정되는 위치로서의 위치(Z)로부터 전방 가장자리(220F)측 및 후방 가장자리(230F)측을 향하여 각각 30 ㎜까지의 영역이 되도록 형성된다. 고정부(4F)는 복수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톱 흡수체(3F)는 위치(Z)를 포함하는 고정부(4F) 사이에 끼워진 톱 흡수부(30F)의 중앙 파선 영역을 고단위 중량 영역으로 하여, 톱 흡 수체(3F)의 평균적인 평면보다 융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신체 배설구 부위에의 밀착성 및 흡수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톱 흡수체(3F)는 그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길이는 80 ㎜이며,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길이는, 베이스 흡수체(2E)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 4 ㎝ 길게, 베이스 흡수체(2F)의 전방 가장자리(220F) 및 후방 가장자리(230F)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각각 2 ㎝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고정부(4F)가 베이스 흡수체(2F)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 부근에 위치하기 때문에, 톱 흡수체(3F)는 톱 흡수체(3F)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자유단(31F, 31f)을 구비한다. 또한, 자유단부(32F, 32f)로부터 길이 방향의 바깥쪽측으로 연장되도록 손잡이부(40F, 40f)가 각각 형성된다. 손잡이부(40F, 40f)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폭)는, 톱 흡수부(30F, 30f)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폭)와 대략 동일한 길이(폭)로 형성된다. 그리고, 자유단부(32F, 32f)는 압착부(51F, 51f)에 의해 임시 고정되어 움직임이 규제되어 있다. 각 손잡이부(40F, 40f)의 이면인 속옷과 대향하는 면에는 결합부(37F, 37f)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4F)가 톱 흡수체(3F)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고, 양측부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결합부(37F, 37f)가 조작되어 톱 흡수체(3F)가 베이스 흡수체(2F)로부터 떨어질 때에, 톱 흡수체(3F)의 양측부 전체도 추종하기 쉬워, 자연스러운 변형으로 서혜부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옆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기여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임시 고정부(5)는 제1 실시형태에서는 도트 형상(원 형 형상)의 엠보스 처리에 의해, 손잡이부(40) 근방인 자유단부 근방에 형성되고, 제2 실시형태에서는 톱 흡수부(30)의 길이 방향(LD)의 양측부에, 제3 실시형태에서는, 톱 흡수부(30)의 전체면에 걸쳐서 형성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톱 흡수부(30)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양측에, 길이 방향(LD)을 따라서 직선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엠보스의 형상은 도트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형상이어도 좋고,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손잡이부(40)에 있어서의 엠보스 처리와 같이, 꽃 형상 등의 무늬와 같은 의장을 형성해도 좋다.
엠보스 가공을 행하기 위해서는, 도트 형상의 엠보스 부재에 의해, 톱 흡수부(30)와 베이스 흡수체(2)에 있어서의 해당 부위의 섬유를 가볍게 열융착하도록 처리하지만, 처리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엠보스 가공을 행하는 해당 부위에 대해서, 톱 흡수부(30)의 흡수체(35)나 베이스 흡수체(2)의 흡수체(28)를 관통하도록 핀 엠보스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 흡수체(2)와 톱 흡수체(3)를 결합하는 결합 수단으로서 톱 흡수체(3)에 배치되는 결합부(37)와 피결합부로서의 베이스 흡수체(2)의 표면 시트(27)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톱 흡수체(3)측에 피결합부가 배치되고, 베이스 흡수체(2)측에 결합부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피결합부는, 베이스 흡수체(2)의 표면에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 흡수체(2)의 표면에 배치한 시트 형상 부재여도 좋다. 또한, 이 시트 형상 부재는 신축성을 갖고 있어도 좋다. 피결합부가 신축성을 갖는 시트 형상 부재인 경우, 신체 또는 속옷이 움직인 경우에 이 피결합부가 늘려져, 결합부(37)가 피결합부로부터 떨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 영역이 된다. 또한, 결합부(37)의 설명으로서 방향성을 갖는 훅재의 설명을 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버섯형 형상의 복수의 핀이 배열되어 있는 훅재 등을 이용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장착 상태에서는 결합부(37)는 베이스 흡수체(2)에 결합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흡수성 물품(1)의 외측에 배치되는 착의로서의 속옷의 내측 뿐만 아니라 외측에도 결합 가능하게 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성 물품(1)이 장착 대상으로서의 신체와 신체를 덮도록 배치되는 착의로서의 속옷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결합부(37)는 속옷의 내측 뿐만 아니라 외측면에도 결합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결합부(37)는, 상술한 베이스 흡수체(2)에 결합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배치 위치보다도 자유단(31)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톱 흡수체(3)는, 그 베이스 흡수체(2)측의 면에 결합부(37)를 구비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톱 흡수체(3)는 결합부(37)를 구비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톱 흡수체(3)를 둔열을 따르도록 조정한 후, 둔열에 끼워 넣도록 하여 톱 흡수체(3)가 고정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흡수체(2)는, 개더(21A, 21B)나 압축홈(22)을 갖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개더(21A, 21B)나 압축홈(22)을 갖지 않아도 좋다. 또한, 베이스 흡수체(2)는, 중앙부(20)에 있어서 폭 방향(WD)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6개의 압축홈(22)을 갖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베이스 흡수체(2)는, 길이 방향(LD)으로 연장되는 환형의 압축홈이며, 위치(Z)의 폭 방향(WD)에 대응하는 부분이 폭 방향(WD) 내측으로 움푹 들어가도록 형성되는 압축홈과, 이 압축홈에 있어서의 폭 방향(WD) 내측으로 움푹 들어가도록 형성되는 부분의 외측에 형성되는 완만한 곡선 형상의 압축홈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흡수체(2)에 있어서의 흡수체(28)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거부(351, 352)나, 단위 중량이 다른 영역(353, 354, 355, 356, 357)을 갖지만 그 형성되는 위치나 단위 중량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위치에 형성되거나, 다른 단위 중량이어도 좋다. 또한, 흡수체(28)는 모든 영역에 있어서 단위 중량이 균일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임시 고정부(5)는 엠보스 처리에 의해 베이스 흡수체(2)에 압착되어 형성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임시 고정부(5)는 올레핀계 등의 저택(low tack)의 핫멜트 접착제나, 소닉 시일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베이스 흡수체(2)는, 상술한 베이스 흡수체(2)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생리용 냅킨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베이스 흡수체(2)는, 상술한 베이스 흡수체(2)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생리용 냅킨을 사용해도 좋다. 베이스 흡수체(2) 전체의 형상으로서도, 대략 직사각형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타원 형상 등의 세로로 긴 형상이면 된다.
4. 실시예
하기 표와 같은 구성으로 손잡이부(40)를 제작하고, 각각 경도(굽힘 강성), 굽힘 회복성, 손으로 잡았을 때의 느낌에 대한 관능 평가를 행하였다.
경도(굽힘 강성), 굽힘 회복성 및 손으로 잡았을 때의 느낌에 대해서 10명의 여성에 의한 관능 시험을 행하여 평가하였다. 시험은, 각 샘플에 대해서 순서를 랜덤하게 해서 시험을 행하였다. 평가는, 각 항목에 대한 평가를 10점 만점으로 한 점수의 평균이다. 평균점이 8 이상을 이중 동그라미, 8 미만 내지 6 이상을 동그라미, 6 미만 내지 4 이상을 삼각, 그 이하를 엑스로 하였다.
<평가 방법>
경도의 평가 방법은, 샘플이 되는 손잡이부(40)를 잡았을 때에 바람직한 경도를 점수화하였다.
굽힘 회복성에 대해서는, 샘플이 되는 손잡이부(40)에 대해서 둘로 접어서 갠 상태로 하고, 20 g/㎡의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20℃, 60%의 습윤하에서 1시간 방치하였다. 그 후, 하중을 해방하고 또한 상기와 동일한 습윤하에서 1시간 방치한 후, 접어서 갠 접은 금의 단부가 위화감을 생기게 하지 않는 경도인지를 점수화하였다.
손잡이부(40)를 손으로 잡았을 때의 느낌은, 손잡이부(40)의 두께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손잡이부(40)를 손으로 잡았을 때의 느낌이 바람직한 두께인지에 대해서 점수화하였다. 하기의 표 1에 기재된 「HMA」란, 핫멜트 접착제의 약자이다.
경도 회복성 두께: 손으로 잡았을 때의 느낌
샘플 B 관능 2HB 관능 두께 관능 구성
1 0.049 × 0.0961 0.912 35단위 중량의 에어스루 부직포
2 0.1943 0.439 1.78 35단위 중량의 에어스루 부직포 2장을 HMA로 접합시킨 것
3 0.3321 0.765 3.56 35단위 중량의 에어스루 부직포 4장을 HMA로 접합시킨 것
4 0.3565 1.0248 1.75 35단위 중량의 에어스루 부직포와 23 단위 중량의 필름을 HMA로 접합시킨 것을 셋으로 접은 것
5 0.4507 0.5643 0.487 35단위 중량의 SMS 부직포 2장을 HMA로 접합시킨 것
6 0.5685 1.0863 0.741 35단위 중량의 SMS 부직포 3장을 HMA로 접합시킨 것
7 0.7795 2.914 0.906 35단위 중량의 SMS 부직포 4장을 HMA로 접합시킨 것
8 1.0865 6.3762 1.367 35단위 중량의 SMS 부직포 6장을 HMA로 접합시킨 것
9 1.2719 10.7168 × 1.567 35단위 중량의 SMS 부직포 7장을 HMA로 접합시킨 것
손잡이부(40)의 경도는, 0.1 내지 1.2(10-4 N·㎡/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고 하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손잡이부(40)의 굽힘 회복성은, 10(10-2 N·m/m) 이하가 바람직하다고 하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손잡이부(40)의 두께는, 0.5 ㎜ 내지 4 ㎜의 범위의 두께인 경우가 바람직하다고 하는 결과가 나왔다.

Claims (11)

  1. 직사각형 형상의 제1 흡수체와,
    상기 제1 흡수체의 피부 접촉면측에 상기 제1 흡수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제2 흡수체와,
    상기 제1 흡수체와 상기 제2 흡수체를,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흡수체의 한쪽 또는 양쪽의 단부가 자유단이 되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자유단 사이에 형성되는 임시 고정부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가장자리로서, 상기 장착 대상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배설부에 접촉하는 제1 위치에 가까운 전방 가장자리와, 상기 제1 위치와는 거리가 먼 후방 가장자리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전방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되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고정부는 상기 제2 흡수체에 있어서의 상기 자유단측에 형성되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수체에 있어서의 상기 자유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수체는 상기 자유단측에 배치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임시 고정부를 겸하는 흡수성 물품.
  6. 제5항에 있어서,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자유단이 상기 제1 흡수체 및 상기 제2 흡수체를 평면 형상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위치보다도, 상기 제1 흡수체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가장자리측에서 결합되는 흡수성 물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장착 대상과 상기 장착 대상을 덮도록 배치되는 착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착의의 내면측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제2 흡수체가 되접혀서 상기 착의의 외면측에 결합되는 흡수성 물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수체는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상기 제1 흡수체의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에 대하여 40% 내지 90%의 범위인 흡수성 물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수체는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인 양측부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누설 방지벽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0. 배설부를 갖는 장착 대상에 장착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직사각형 형상의 제1 흡수체와,
    상기 제1 흡수체에 있어서의 피부 접촉면측에 상기 제1 흡수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제2 흡수체와,
    상기 제1 흡수체와 상기 제2 흡수체를 상기 제2 흡수체에 있어서의 한쪽 가장자리가 자유단이 되도록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장착 대상에 상기 흡수성 물품이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배설부에 접촉하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먼 후방 가장자리측에 형성되며,
    상기 자유단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가까운 전방 가장자리측에 배치되는 흡수성 물품.
  11. 배설부를 갖는 장착 대상에 장착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직사각형 형상의 제1 흡수체와,
    상기 제1 흡수체의 피부 접촉면측에 상기 제1 흡수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 록 배치되는 제2 흡수체와,
    상기 제1 흡수체와 상기 제2 흡수체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흡수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각각으로부터 이간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흡수체는 상기 장착 대상에 상기 흡수성 물품이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배설부에 접촉하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가까운 전방 가장자리측에 배치되는 제1 자유단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먼 후방 가장자리측에 배치되는 제2 자유단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097000676A 2006-07-05 2007-07-05 흡수성 물품 KR200900388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86142 2006-07-05
JPJP-P-2006-186142 2006-07-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872A true KR20090038872A (ko) 2009-04-21

Family

ID=38894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676A KR20090038872A (ko) 2006-07-05 2007-07-05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251966B2 (ko)
EP (1) EP2044914A1 (ko)
JP (1) JP5210157B2 (ko)
KR (1) KR20090038872A (ko)
CN (1) CN101484110A (ko)
MY (1) MY149311A (ko)
TW (1) TW200806265A (ko)
WO (1) WO20080046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137A (ko) * 2013-05-28 2016-02-03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생리용 냅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33747B2 (en) * 2006-07-05 2012-12-18 Uni-Charm Corporation Absorptive article
JP5060816B2 (ja) * 2007-03-30 2012-10-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060818B2 (ja) * 2007-03-30 2012-10-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5210565B2 (ja) * 2007-07-30 2013-06-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091001B2 (ja) * 2008-04-30 2012-12-05 王子ネピア株式会社 仮止め止着テープの製造方法、仮止め止着テープ及びこれを用いた使い捨ておむつ
JP5749907B2 (ja) * 2010-08-31 2015-07-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生理用ナプキン
US10016318B2 (en) 2012-06-13 2018-07-10 Jane Speak Absorbent article with a bacterial isolation pad and hygienic gripping tabs
AU2012397333B2 (en) * 2012-12-20 2016-05-05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t least two stacked individual absorbent pads
KR101470249B1 (ko) * 2013-12-16 2014-12-05 채주석 생리대
CA2995117A1 (en) * 2015-08-21 2017-03-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eminine pad with barrier cuffs
US10376424B2 (en) 2016-02-29 2019-08-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flat-back protection feature
MX2018009277A (es) 2016-02-29 2018-08-28 Kimberly Clark Co Articulo absorbente con elemento de proteccion trasero plano.
US10052241B2 (en) * 2016-03-17 2018-08-21 Irene Richardson Detachabl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USD963846S1 (en) * 2019-10-11 2022-09-13 Zhuhai Jianlang Daily Necessities Co., Ltd. Anti-leakage sanitary napkin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2210A (en) * 1975-08-11 1977-05-10 Glassman Jacob A Disposable diaper with a supplemental insert
US4770657A (en) * 1986-05-28 1988-09-13 Kimberly-Clark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shaped feminine pad with absorbent in the elasticized edges
CA2029129C (en) * 1989-11-03 2001-01-23 Shmuel Dabi Absorbent products having flexible, hydrophilic wick means
US6231556B1 (en) * 1990-10-29 2001-05-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Generally thin, flexible sanitary napkin with stiffened center
US5853403A (en) * 1994-10-25 1998-12-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body contacting liquid control member
CA2228285A1 (en) * 1995-08-07 1997-02-20 Jennifer Lynn Davi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fit and fluid transfer capabilities
JP2983184B2 (ja) 1997-04-11 1999-11-29 英子 小田 生理用品
SE509536C2 (sv) * 1997-06-24 1999-02-08 Moelnlycke Ab Absorberande alster med förbättrad vätskemottagningsförmåga
JP3707915B2 (ja) * 1997-09-30 2005-10-1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6475199B1 (en) * 1998-04-27 2002-1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individually packaging a three dimensionally-shaped absorbent article
JP3705943B2 (ja) 1998-11-19 2005-10-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6423883B1 (en) * 1999-07-13 2002-07-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iquid reception medium with liquid activated mechanical mass transport means
US6395956B1 (en) * 1999-11-08 2002-05-28 Mcneil-Ppc, Inc. Compound sanitary napkin
JP3933839B2 (ja) * 2000-03-07 2007-06-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859418B2 (ja) * 2000-03-07 2006-12-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6595972B1 (en) * 2000-05-26 2003-07-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a spacer maintaining a void space
CA2413099C (en) * 2000-06-29 2009-06-02 Japan Absorbent Technology Institute Absorbent product
JP3689326B2 (ja) * 2000-11-27 2005-08-31 友江 樋口 生理用品
US20020143309A1 (en) * 2001-03-30 2002-10-03 Tara Glasgow Dynamic fitting compound sanitary napkin
US6997915B2 (en) 2001-06-12 2006-02-14 Mcneil-Ppc, Inc. Sanitary napkin with adjustable length intergluteal strip
US7591810B2 (en) * 2002-12-19 2009-09-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garment having a body conforming absorbent composite
EP1614408B1 (en) * 2003-03-31 2009-09-30 Daio Paper Corporation Humor absorbent article
JP4554276B2 (ja) * 2004-05-27 2010-09-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7090666B2 (en) * 2004-06-04 2006-08-15 Mark Miskie Moisture management incontinence device
JP4712374B2 (ja) * 2004-12-28 2011-06-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648698B2 (ja) * 2004-12-28 2011-03-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599227B2 (ja) * 2005-05-27 2010-12-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599235B2 (ja) * 2005-06-10 2010-12-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790528B2 (ja) 2006-07-25 2011-10-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補助パッド及び補助パッド付き吸収性物品
US7629501B2 (en) * 2006-09-08 2009-12-08 Jennifer Lynn Labit Reusable diapers
US20080172019A1 (en) * 2007-01-11 2008-07-17 Chien Yuan-Cheng Pa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137A (ko) * 2013-05-28 2016-02-03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생리용 냅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04637A1 (fr) 2008-01-10
MY149311A (en) 2013-08-30
TW200806265A (en) 2008-02-01
US8251966B2 (en) 2012-08-28
JP5210157B2 (ja) 2013-06-12
CN101484110A (zh) 2009-07-15
EP2044914A1 (en) 2009-04-08
JPWO2008004637A1 (ja) 2009-12-03
US20100145296A1 (en) 2010-06-10
TWI347838B (ko) 201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8872A (ko) 흡수성 물품
KR20090042241A (ko) 흡수성 물품
US7465297B2 (en) Sanitary napkin
KR101543051B1 (ko) 개선된 신체 접촉을 갖는 복합 흡수 용품
US7857797B2 (en) Sanitary napkin having a low stiffness region and incisions
US7597690B2 (en) Sanitary napkin having a protuberance and compressed portions
JP5755856B2 (ja) 吸収性物品
US7549981B2 (en) Sanitary napkin
ES2202656T3 (es) Compresa higienica compuesta, con alas y con zona extensible.
KR101013481B1 (ko) 흡수성 물품
KR20090035564A (ko) 보조 패드 및 보조 패드가 있는 흡수성 물품
KR101832539B1 (ko) 조절된 변형을 하도록 구성된 흡수 용품
AU2013308146B2 (en) Absorbent article with highlighted active barrier
JP2004181085A (ja) 縦長の吸収性物品
EP1132068A2 (en) Absorbent article
KR20050009736A (ko) 흡수성 물품
AU2017225676A1 (en) Absorbent article with flat-back protection feature
KR20090032107A (ko) 흡수성 물품
JP2007029188A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CN219461691U (zh) 吸收性物品组以及生理用辅助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