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8708A - 제어시스템 개발을 위한 툴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제어시스템 개발을 위한 툴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8708A
KR20090038708A KR1020070104151A KR20070104151A KR20090038708A KR 20090038708 A KR20090038708 A KR 20090038708A KR 1020070104151 A KR1020070104151 A KR 1020070104151A KR 20070104151 A KR20070104151 A KR 20070104151A KR 20090038708 A KR20090038708 A KR 20090038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control system
module
data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8895B1 (ko
Inventor
김찬봉
김충영
김동환
박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터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터보테크
Priority to KR1020070104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895B1/ko
Publication of KR20090038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3Intelligent edi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4Graphical or visual programming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시스템 개발을 위한 툴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어시스템을 설정하거나 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프로젝트를 통합관리하고 이를 시뮬레이션하는 툴생성부와, 툴생성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며, 각 애플리케이션모듈들이 공통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테그를 할당하여 저장하는 메모리와, 툴생성부와 통신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메모리를 관리하는 데이터관리부; 및 제어시스템의 상위 시스템과의 표준인터페이스를 수행하며 상기 데이터관리부와 인터페이스를 통해 툴생성데이터를 송수신하는 OPC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툴에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시스템 개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툴, 통합,

Description

제어시스템 개발을 위한 툴생성장치{Apparatus for creating tool for developing of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시스템에서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시스템 개발을 위한 툴을 생성하기 위한 툴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가 우리 문화에서 점점 더 보편화됨에 따라, 모든 계층의 사람들은 다양한 작업을 위해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에 익숙해지게 되었다. 예를 들어, 고등학교 학생은 퍼스널 컴퓨터를 사용하여 한 그룹의 음악 파일을 디지털 음악 플레이어로 복사할 수 있는 반면, 조부모는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손녀 또는 손자에게 사진 영상의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회사 간부는 중앙 서버에 네트워크 연결되어 있는 회사 컴퓨터를 사용하여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파일 및 마이크로소프트 엑셀파일 등의 업무 애플리케이션 파일들을 마이크로소프트 아웃룩과 같은 전자 메일 메시징 서비스에 의해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컴퓨터의 용도가 점점 더 다양해지고 복잡해지는 동안,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컴퓨터에 의해 제공되는 툴도 역시 더 다양해지고 복잡하게 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많은 사용자들이 다수의 데이터 파일들에 대해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기를 원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컴퓨터들은 동시에 처리될 데이터 파일들의 컬렉션을 생성하기 위한 편리한 기술을 제공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오퍼레이팅 시스템들은 사용자가 (예를 들어, 포인팅 장치로 각각의 파일을 선택하는 동안 동시적으로 "콘트롤" 키를 누름으로써) 동시 처리를 위해 다수의 파일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그렇지만, 파일들이 일단 선택되었으면, 선택된 파일들의 그룹을 해체하지 않고서는 비선택 데이터 파일에 관하여 어떤 동작도 취할 수 없다.
또한, 그 파일들 모두가 일반적으로 동일 폴더 내로부터와 같이 단일 장소로부터 선택되어야만 하며, 각기 다른 장소로부터 선택될 수 없다.
게다가, 여러가지 전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특정 목적을 위해 파일들을 컬렉션으로 그룹화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데이터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음악 파일들을 재생 목록(playlist)으로 그룹화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그렇지만, 이들 애플리케이션은 일반적으로 한 그룹의 파일들에 대한사용자의 처리를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기능들로 제한한다. 게다가, 이러한 전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그룹화 기능은 일반적으로 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외부에서는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데이터 객체들이 통합된 단위로서 처리될 수 있도록 그 데이터 객 체들의 통합 컬렉션을 생성 및 편집하기 위한 툴을 갖는다면 유용할 것이다. 또한, 다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및 플랫폼들에 걸쳐 확장성 있는 그러한 컬렉션 생성 툴의 필요성 증대되고 있다.
또한, 현대의 산업은 초정밀 부품산업, 반도체 산업, 광부품산업, 초정밀 공작기계 등의 다양한 분야로 적용을 위해 모션제어, 시퀀스제어, HMI(human machine interface),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교환 등의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시스템에서 지원하며 제어되도록 설계되고 있다. 이러한 제어시스템에서 설계 의도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나 시스템 엔지니어에게 자신의 용도에 적합한 시스템 개발을 위해 원하는 기능을 만들고 부가할수 있는 유연한 개발 툴을 제공하여야만 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나의 개발 툴에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시스템 개발을 위한 툴생성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툴생성장치는 제어시스템 개발을 위한 툴생성장치에 있어서, 제어시스템을 설정하거나 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프로젝트를 통합관리하고 이를 시뮬레이션하는 툴생성부와, 툴생성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각 애플리케이션모듈들이 공통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테그를 할당하여 저장하는 메모리와, 툴생성부와 통신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메모리를 관리하는 데이터관리부; 및 제어시스템의 상위 시스템과의 표준인터페이스를 수행하며 상기 데이터관리부와 인터페이스를 통해 툴생성데이터를 송수신하는 OPC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툴생성부는 제어시스템을 설정하거나 운용하기 위한 각종 애플리케이션모듈부와, 애플리케이션모듈들을 사용해 사용자의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통합관리하기 위한 프로젝트관리부; 및 애플리케이션으로 생성된 프로젝트를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모듈부는 제어시스템의 디바이스설정 및 파라미터 설정 등의 사용환경설정 및 모니터링을 위한 레지스터편집기모듈과 제어시스템이 가지는 각종 내부데이터 및 신호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 측정 모듈인 데이터트레이스모듈과, 제어시스템과 연계된 다양한 모션프로그램작성을 위한 모션프로그램편집기모듈과, PLC프로그램작성을 위한 그래픽기반의 PLC편집기모듈과, 사용자의 시스템에 적합한 조작화면이나 기능을 구성하기 위한 화면편집모듈인 HMI편집기모듈; 및 사용자가 필요한 모듈을 추가할 수 있는 사용자정의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툴 생성장치는 애플리케이션모듈부를 이용하여 시스템 개발을 위한 툴의 프로젝트 폴더 창은 등록된 사용자 프로젝트 리스트를 보여주며 상기 각 애플리케이션모듈들과 관련 파일들을 트리구조로 화면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레지스터편집기모듈은 레지스터설정, 시스템관리, 유틸리티의 항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하나의 툴에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시스템 개발을 할 수 있는 하나의 툴을 생성하여 제어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시간의 단축, 개방성과 유연성의 확보 및 교육비 및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툴 생성장치의 블록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툴 생성장치는 툴생성부(10)와 OPC서버(20)와 데이터관리부(30), 및 메모리(40)를 포함한다. 이러한 툴 생성장치는 윈도우기반의 OS(operate system)상에 설치된다. 여기서, 툴생성부(10)는 애플리케이션모듈부(11)와, 프로젝트관리부(12), 및 시뮬레이션부(13)로 구성되며, 애플리케이션무듈부(11)는 또한, 레지스터편집기모듈(111)과 데이터트레이스모듈(112)과 모션프로그램편집기모듈(113), PLC편집기모듈(114), HMI편집기모듈(115), 및 사용자정의모듈(116)을 포함한다.
도 1에서, 툴생성부(10)는 시스템을 설정하거나 운용하기 위한 각종 애플리케이션모듈부(11)를 가지고 있으며 각종 애플리케이션모듈들(111, 112, 113, 114, 115, 116)을 사용자가 프로젝트(projcet)로 생성하고 통합관리하기 위한 프로젝트관리부(12)를 포함하며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생성된 프로젝트를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부(13)를 가진다. 여기서 프로젝트는 프로젝트관리부(12)에 의해 애플리케이션모듈부(11)의 애플리케이션모듈들에 의해 생성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모듈들은 프로젝트관리부(12)를 통해 각 애플리케이션모듈들 간의 정보를 교환하고 데이터관리부(30)에서 관리하는 메모리(40)로 접근할 수 있다. 메모리(40)는 시스템 개발 툴의 데이터베이스이며, 모든 정보들을 시스템 개발 툴 내의 각 애플리케이션모듈들이 공통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테그를 할당하여 저장한다.
데이터관리부(30)는 툴생성부(10)와 통신모듈(예를 들면, GX-S500)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모리(40)를 관리한다.
OPC서버(20)는 외부 사용자프로그램이나, SCADA, MES, ERP 등과 같은 상위의 정보통합시스템과의 표준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며 데이터관리부(30)와 인터페이스를 통해 툴생성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툴생성부(10)의 애플리케이션모듈부(11)의 애플리케이션모듈(111, 112, 113, 114, 115, 116)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애플리케이션모듈부(11)는 디바이스설정 및 파라미터 설정 등의 제어시스템의 사용환경설정 및 모니터링을 위한 레지스터편집기모듈(111)과, 제어시스템이 가지는 각종 내부데이터 및 신호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해 오실로스코프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데이터 측정 모듈인 데이터트레이스모듈(112)과 직선이나 원호 보간을 비롯한 다양한 모션프로그램작성을 위한 모션프로그램편집기모듈(113)과 래더(ladder)방식의 PLC프로그램작성을 위한 그래픽기반의 PLC편집기모듈(114)과 사용자의 시스템에 적합한 조작화면이나 기능을 구성하기 위한 화면편집모듈인 HMI편집기모듈(115), 및 사용자가 필요한 모듈을 추가할 수 있는 사용자정의모듈(116)을 포함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모듈부(11)를 이용하여 시스템 개발을 위한 툴의 프로 젝트 폴더 창은 등록된 사용자 프로젝트 리스트를 보여주며 각 애플리케이션 모듈들(111, 112, 113, 114, 115, 116)과 관련 파일들을 트리구조로 표시한다. 이는 도 2에 도시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도 1의 툴생성장치에 의해 개발될 툴의 샘플화면으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모듈들과 관련한 파일들의 트리구조가 왼쪽에 보여진다.
이하, 도 3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애플리케이션모듈들의 툴 생성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툴의 메인화면상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시스템 개발 툴의 메인화면은 프로젝트관리부(12)에 의해 화면출력되며 트리구조를 가지는 프로젝트 관리 트리를 통해 프로젝트를 관리한다. 메인화면의 좌측에 프로젝트관리 트리를 도시하며 그 하단에 모듈선택탭이 도시된다. 모듈선택탭에는 각종 애플리케이션모듈을 선택할수 있는 아이콘을 보여준다. 애플리케이션모듈들은 레지스터편집기모듈(111, Register Editor)과 데이터트레이스모듈(112, Data Trace)과 모션프로그램편집기모듈(113, Motion Editor)과 PLC편집기모듈(114, PLC Editor)와 HMI편집기모듈(115, HMI Editor)을 포함하며,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모듈들은 프로젝트관리부(12)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간의 정보교환 을 수행한다. 프로젝트관리부(12)는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은 프로젝트관리트리를 메인화면에 구성하여 선택적으로 애플리케이션모듈들을 이용하여 툴을 생성하도록 하고 각 애플리케이션모듈들 간의 연계, 기능 구현 등과 같은 시스템의 전반적인 관리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프로젝트관리부(12)는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삭제 하는 등의 프로젝트 관리작업을 수행하며 도 4에 프로젝트 관리트리는 사용자가 정의한 프로젝트 명에 따라 분류되어 있으며 각 프로젝트에는 애플리케이션 모듈들(Data Trace, HMI Editor, 등)이 폴더 형태로 나타난다. 도4에 도시된 프로젝트관리부(12)는 프로젝트관리트리의 각 애플리케이션모듈을 선택하거나 하단의 모듈 선택탭에서 애플리케이션모듈을 선택하면 위도우의 메뉴와 도구모음의 아이콘, 프로젝트 관리 트리의 화면 등이 선택한 애플리케이션모듈로 변경되도록 한다.
이러한 프로젝트관리트리에서 선택한 애플리케이션모듈별 화면상태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툴 생성장치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지스터편집기모듈의 화면상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레지스터편집기모듈(111)은 제어시스템의 디바이스를 설정하거나 파라미터 및 각종 레지스터를 설정한다. 또한, 실시간 축 정보보기, 공구경로보기 등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유틸리티형식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레지스터편집기모듈(11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지스터설정, 시스템관리, 유틸리티의 3가지 항목으로 구성된다.
먼저, 레지스터설정은 도 6에 도시된 화면상태도를 일예로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지스터편집기모듈의 디바이스 파라미터 설정기능의 화면상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레지스터설정은 드래그 앤드 드롭(drag & drop)방식에 의해 제어시스템의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설정하므로써 하드웨어모듈을 파라미터로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6에 보면 하드웨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설정으로 속 도형 서보제어모듈이 선택된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레지스터설정은 제어시스템의 운용을 위한 시스템 파라미터를 설정하거나 제어시스템과의 데이터교환을 위한 다양한 통신방법(RS232, 이더넷, USB 등)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 각종 레지스터(S, Q, G/F, X/Y, R)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시스템관리는 제어시스템을 운용하면서 특별히 관리해야 할 시스템의 이력이나 개발 이력을 기록하거나 알람, 경보 등과 같이 시스템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유틸리티는 시스템개발툴에서 쉽고 간단하게 사용가능한 유용한 여러 기능들을 모아놓은 것으로 축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위치 표시기능, 실시간으로 공구 이송경로를 3차원 직교좌표계 공간에서 보여주는 기계이동 궤적기능 등을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트레이스모듈의 화면상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데이터트레이스모듈은 제어시스템 내부의 상태정보를 다양한 그래프형태로 관측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기반의 오실로스코프이다. 여러 용도에 응용 가능한 다양한 그래프 화면을 제공하며 그래프의 분석에 필요한 조작 및 연산기능을 갖는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시스템 내부의 상태정보인 레니스터값의 실시간 변동 추이를 데이터테이블이나 그래프 등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데이터들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한 Y Grid 값을 자동으로 화면에 적용하는 자동스케일 기능, 그래프가 지나갈 때 설정된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면 그래프가 일시정지되는트리거기능, 줌기능, 그래프데이터의 파일저장기능, 및 그래프 화면의 저장기능을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트레이스모듈의 그래프형식을 보여주는 화면상태도이다.
도 8a는 서버그래프모드로 작동할때의 데이터트레이스모듈의 그래프형식을 보여주며 도 8b는 PLC타이밍모드로 작동할때의 데이터트레이스모듈의 그래프형식을 보여준다. 여기서 서버그래프모드는 축 이송속도, 각 축의 기계위치 등의 기계관련정보와 시스템 내부의 접점상태 등의 정보를 그래프로 보고자할 때 사용된다. 또한, PLC타이밍모드는 PLC시퀀스의 온/오프나 시스템내부의 접점의 변화타이밍을 보고자할 때 사용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프로그램 편집기모듈의 화면상태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모션프로그램 편집기모듈은 제어시스템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사용자 프로그램인 모션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RS-232, USB, 이더넷 등과 같은 통신으로 제어시스템과 연결된 경우 작성된 프로그램의 업/다운로드 기능과 함께 제어시스템에서 동작중인 모션 프로그램의 진행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블록 디스플레이기능을 제공한다.
도 9에서, 좌측에 보이는 트리구조는 시스템 개발 툴과 제어시스템에 저장된 모션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있으며 모션 프로그램의 삭제, 편집 다운로드, 업로드 등 모션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트리구조 아래에 나타나는 창은 제어시스템에 저장된 모션 프로그램 파일의 내용중 앞부분을 미리 볼 수 있게 해주는 미리보기창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프로그램 편집기모듈의 모션명령어 리스트를 보여주는 화면상태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모션프로그램은 다양한 모션 명령어 리스트를 화면 제공하여 보여준다. 즉, 예를 들어 기존 CNC사용자에 친숙한 G코드형태로 모션 명령어를 작성할 수 있고 두 가지 형태의 혼합사용도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PLC편집기모듈의 화면상태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PLC편집기모듈은 제어시스템에서 동작하는 PLC 래더파일을 작성하는 모듈이다. PLC편집기모듈에서 작성, 컴파일, 다운로드한 PLC래더 파일은 PLC로더(loader)를 통해 PLC 이그제큐터(Executor)에서 실행하게 된다. PLC편집기모듈은 프로젝트단위의 구성이 가능하여 파일단위가 아니 프젝트단위로 작성편집하며 시스템에 맞게 다양한 설정으로 프로젝트단위로 관리가능하다. 또한, 레지스터에 변수를 할당하면 래더를 쉽게작성할 수 있는 기능과 제어시스템에 연결하여 레지스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능과 작성한 래더를 시뮬레이션할수 있는 기능과 온라인 패치기능 및 편리한 인터페이스기능 등을 갖는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HMI편집기모듈의 화면상태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HMI편집기모듈은 사용자의 시스템에 적합한 운영화면이나 기능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디바이스내부의 상태를 읽어서 화면에 표시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변경할 수 있도록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HMI편집기모듈은 HMI(human machine interface)구동을 위한 화면데이터파일을 생성하고 편집 할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 프로그램을 가진다.
도 12에서, 메뉴는 화면편집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를 보여주며, 도구모음은 화면편집기의 기능에 관련된 도구모음이다. 그리고 그리기도구모음은 화면편집기의 그리기기능에 관련된 도구모음이며, 스크린트리는 현재 프로젝트에 포함된 스크린을 나열하고 이를 통하여 스크린을 열어서 편집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스크린윈도우는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윈도우이며, 콤포넌트갤러리는 사용자에 의해 추가구성이 가능한 콤포넌트모음을 말한다. 여기서 스크린은 HMI편집기에서 작성하는 파일의 단위이며, HMI개체도 일부가 되며 한 개의 스크린파일은 하나의 화면을 의미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HMI편집기모듈의 HMI개체의 속성편집을 위한 화면상태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그래픽기반환경에서 드래그 앤 드롭방식에 의해 스크린에 각종 개체와 OAX 들을 배치 및 조합하고 각 개체들의 형태, 색상, 행동 등의 개체 속성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만의 화면을 구성한다. 속성편집버튼을 이용하면 오른쪽화면으로 버튼속성편집이 가능하다. HMI편집기모듈은 드래그 앤 드롭기능과 정렬기능 프로젝트 시뮬레이션기능 및 이벤트, 프로시져, 액션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가능하다. 여기서 액션은 이벤트에 의해서 실제로 행해지는 동작으로 정의되며, 프로시져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 처리해야 하는 명령으로 한번에 행하게 되는 액션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이렇게 HMI편집기모듈을 이용한 기능들은 사용자로 하여금 제어시스템의 화면구성이나 기능구현 시뮬레이션에 의한 검증과 같은 작 업들을 마치 파워포인트를 이용한 자료작성처럼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툴 생성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툴의 화면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툴의 메인화면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관리트리를 보여주는 화면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지스터편집기모듈의 화면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지스터편집기모듈의 디바이스 파라미터 설정기능의 화면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트레이스모듈의 화면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트레이스모듈의 그래프형식을 보여주는 화면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프로그램 편집기모듈의 화면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프로그램 편집기모듈의 모션명령어 리스트를 보여주는 화면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PLC편집기모듈의 화면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HMI편집기모듈의 화면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HMI편집기모듈의 HMI개체의 속성편집을 위한 화면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툴생성부 20 : OPC서버
30 : 데이터관리부 40 : 메모리
11 : 애플리케이션모듈부 12 : 프로젝트관리부
13 : 시뮬레이션부 111 : 레지스터편집기모듈
112 : 데이터트레이스모듈 113 : 모션프로그램편집기모듈
114 : PLC편집기모듈 115 : HMI편집기모듈
116 : 사용자정의모듈

Claims (5)

  1. 제어시스템 개발을 위한 툴생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시스템을 설정하거나 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프로젝트를 통합관리하고 이를 시뮬레이션하는 툴생성부;
    상기 툴생성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각 애플리케이션모듈들이 공통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테그를 할당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툴생성부와 통신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메모리를 관리하는 데이터관리부; 및
    상기 제어시스템의 상위 시스템과의 표준인터페이스를 수행하며 상기 데이터관리부와 인터페이스를 통해 툴생성데이터를 송수신하는 OPC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시스템 개발을 위한 툴생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툴생성부는
    상기 제어시스템을 설정하거나 운용하기 위한 각종 애플리케이션모듈부;
    상기 애플리케이션모듈들을 사용해 사용자의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통합관리하기 위한 프로젝트관리부;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 생성된 프로젝트를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시스템 개발을 위한 툴생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모듈부는
    상기 제어시스템의 디바이스설정 및 파라미터 설정 등의 사용환경설정 및 모니터링을 위한 레지스터편집기모듈;
    상기 제어시스템이 가지는 각종 내부데이터 및 신호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 측정 모듈인 데이터트레이스모듈;
    상기 제어시스템과 연계된 다양한 모션프로그램작성을 위한 모션프로그램편집기모듈;
    PLC프로그램작성을 위한 그래픽기반의 PLC편집기모듈;
    사용자의 시스템에 적합한 조작화면이나 기능을 구성하기 위한 화면편집모듈인 HMI편집기모듈; 및
    사용자가 필요한 모듈을 추가할 수 있는 사용자정의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시스템 개발을 위한 툴생성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툴 생성장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모듈부를 이용하여 시스템 개발을 위한 툴의 프로젝트 폴더 창은 등록된 사용자 프로젝트 리스트를 보여주며 상기 각 애플리케이션모듈들과 관련 파일들을 트리구조로 화면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시스템 개발을 위한 툴생성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편집기모듈은
    레지스터설정, 시스템관리, 유틸리티의 항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시스템 개발을 위한 툴생성장치.
KR1020070104151A 2007-10-16 2007-10-16 제어시스템 개발을 위한 툴생성장치 KR100928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151A KR100928895B1 (ko) 2007-10-16 2007-10-16 제어시스템 개발을 위한 툴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151A KR100928895B1 (ko) 2007-10-16 2007-10-16 제어시스템 개발을 위한 툴생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708A true KR20090038708A (ko) 2009-04-21
KR100928895B1 KR100928895B1 (ko) 2009-11-30

Family

ID=40762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151A KR100928895B1 (ko) 2007-10-16 2007-10-16 제어시스템 개발을 위한 툴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8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830B1 (ko) 2016-05-11 2016-12-08 박형기 테이프 디스펜서가 적용된 디지털 커팅시스템
WO2017023085A1 (ko) * 2015-08-04 2017-02-09 한국전력공사 패턴 기반 서비스 조합 방법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생성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8926A (ja) * 2003-02-25 2004-09-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プログラムの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及び方法
US7707566B2 (en) * 2003-06-26 2010-04-27 Microsoft Corporation Software development infra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3085A1 (ko) * 2015-08-04 2017-02-09 한국전력공사 패턴 기반 서비스 조합 방법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684830B1 (ko) 2016-05-11 2016-12-08 박형기 테이프 디스펜서가 적용된 디지털 커팅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8895B1 (ko) 2009-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zil et al. Utilizing python for agent-based modeling: The mesa framework
Bitter et al. LabVIEW: Advanced programming techniques
EP2169541B1 (en)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 simulator to simulate a plurality of devices
CN105122257B (zh) 用于动态显示跟踪器数据的转换函数插入
Balci Requirements for model development environments
CN102640112B (zh) 程序制作支援装置
JP2012523644A (ja) Cpi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のフローシートを有するスプレッドシート・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の利用
US200901060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veloping and deploying sensor and actuator applications over distributed computing infrastructure
CN101872280A (zh) 在过程控制系统中为操作员界面显示配置动画和事件
US11113439B2 (en) Trigger-action-circuits: leveraging generative design to enable novices to design and build circuitry
US200600209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mplex processes
CN108763085A (zh) 测试案例的在线调试装置、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Ghani et al. Integration approach to virtual-driven discrete event simulation for manufacturing systems
RU2678717C9 (ru) Комплекс автоматизации и визуализации тестирования встроенного программн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электронных устройств
JP2023070148A (ja) ロボティックプロセスオートメーション(rpa)ロボットをリソースへ動的にバインド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De Boeck et al. High-level modeling of multimodal interaction techniques using nimmit
US8260601B2 (en) Generating and delaying function calls in a discrete event modeling environment
US5272767A (en) Interactive data analysis with crossbar control
CN104903806A (zh) 过程控制体系中的改变管理系统
KR100928895B1 (ko) 제어시스템 개발을 위한 툴생성장치
KR102213815B1 (ko) 앤서블을 위한 gui 시스템
CN101976196B (zh) 一种面向“服务质量”的代码自动生成方法
WO2011153352A2 (en) Logic table
CN106462139A (zh) 可编程显示器以及绘图软件
Gnatz et al. The living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