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7293A -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출력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출력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7293A
KR20090037293A KR1020080082253A KR20080082253A KR20090037293A KR 20090037293 A KR20090037293 A KR 20090037293A KR 1020080082253 A KR1020080082253 A KR 1020080082253A KR 20080082253 A KR20080082253 A KR 20080082253A KR 20090037293 A KR20090037293 A KR 20090037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setting
text message
storage area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상호
Original Assignee
성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상호 filed Critical 성상호
Publication of KR20090037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2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문자메시지를 수신 시 그 수신되는 문자메시지의 내용을 유추할 수 있게 안내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수신문자별 음성출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설정단어가 입력되는 입력부(20)와;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30)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설정단어가 저장되는 설정단어 저장영역, 상기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가 저장되는 단어별 설정소리 저장영역 및 수신된 문자메시지가 저장되는 문자메시지 저장역역을 포함하는 메모리(40)와; 상기 메모리(40)의 문자메시지 저장영역에 저장된 문자메시지의 내용 중에 상기 메모리(40)의 설정단어 저장영역에 저장된 설정단어가 있는지 검색하여 있는 경우 설정단어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문자검출부(50)와; 상기 문자검출부(50)에서 생성된 설정단어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의 단어별 설정소리 저장영역에 저장된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를 상기 스피커(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동통신단말기, 문자메시지, 스팸, 설정단어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출력장치 및 방법{VOICE OUT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 RECEVING SHORT MESSAGE IN THE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용자가 지정한 단어와 매칭되는 소리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하고,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문자메시지를 수신 시 수신된 문자메시지 중에 이용자가 지정한 단어가 검색되면, 그 단어와 매칭되는 소리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이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문자메시지의 내용을 유추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수신문자별 음성출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단말기 사용자들의 욕구도 증대되고 있다. 예컨대, 발신자가 이동통신단말기로 전화를 걸 경우 통화중 연결음에 대한 단조로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다양한 음악을 제공하는 서비스(예를들면, 컬러링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수신측에서는 전화가 왔음을 알리는 표시로서 특정알람신호 또는 음악등을 설정하여 보다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 킨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는 수신측에서의 보다 많은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해 발신자의 번호를 표시하거나 발신자에 따라 지정된 벨소리를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도 서비스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화가 왔을 경우 벨소리를 기저장된 사람의 음성으로 출력(예를들면, "사장님 전화왔습니다")되도록 하여 개인비서를 둔 것 같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이동통신서비스의 개선과 함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문자서비스 역시 다양한 이모티콘과 함께 인터넷을 통하여 웹상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직접적으로 문자를 송신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된다.
그런데 이용자들에게 제공되는 이동통신서비스는 상술한 것처럼 순기능도 있는 반면에, 역기능인 원치 않는 문자메시지(일명 스팸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유한 불특정다수의 사용자에게 발송할 수 있는 서비스도 함께 제공되는 폐해가 있다.
즉,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유한 이용자는 수신되는 문자메시지가 자신에게 불필요한 문자메시지라 할지라도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열람하기 전까지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이용자는 불필요한 문자메시지를 열람하기 위해 일련의 동작(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각종 키버튼 조작)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문자메시지의 열람 후 스트레스를 받는 등 정신적인 건강 측면에도 나쁜 영향을 주는 폐해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가 지정한 단어와 매칭되는 소리신호를 구비하고, 수신된 문자메시지 중에 이용자가 지정한 단어가 검색되면, 그 단어와 매칭되는 소리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이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문자메시지의 내용을 유추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수신문자별 음성출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출력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문자메세지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문자메세지의 내용을 검색하여 기 설정된 설정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그 확인에 의해 기 설정된 설정단어가 포함된 경우 그 설정단어와 매칭되는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세부구성은, 상기 설정단어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설정단어가 저장되는 설정단어 저장영역, 상기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가 저장되는 단어별 설정소리 저장영역 및 수신된 문자메시지가 저장되는 문자메시지 저장역역을 포함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의 문자메시지 저장영역에 저장된 문자메 시지의 내용 중에 상기 메모리의 설정단어 저장영역에 저장된 설정단어가 있는지 검색하여 있는 경우 설정단어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문자검출부와; 상기 문자검출부에서 생성된 설정단어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의 단어별 설정소리 저장영역에 저장된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전화번호에 매칭되는 설정전화번호별 연결소리신호가 저장되는 전화번호별 설정소리 저장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문자검출부는 상기 메모리의 문자메시지 저장영역에 저장된 문자메시지의 내용 중에 상기 메모리의 설정단어 저장영역에 저장된 설정단어가 있는지 검색하여 없는 경우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에서 발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발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별 설정소리 저장영역과 매칭하여, 매칭되는 설정전화번호별 연결소리신호가 있는 경우 설정전화번호 검출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검출부에서 생성된 설정전화번호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의 전화번호별 설정소리 저장영역에 저장된 설정전화번호별 연결소리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를 음성으로 직접입력할 수 있도록 마이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의 설정소리 저장영역에 저장된 상기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 또는 상기 설정전화번호별 연결소리신호는 통신중계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출력장치를 이용한 수신문자별 음성출력방법은,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온라인을 통해 발신된 문자메시지를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수신하는 문자수신단계와;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중에 설정단어가 있는지 검색하는 설정단어 검색단계와; 상기 설정단어 검색단계에 있어서, 설정단어가 포함되어 있으면, 그 검색된 설정단어에 해당하는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를 검색 및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중에 설정단어가 있는지 검색하는 설정단어 검색단계에 있어서, 설정단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에서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를 검출하는 발신측 전화번호 검출단계와; 기설정된 설정전화번호목록에 상기 검출된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있는지 검색하는 설정전화번호 검색단계와; 상기 설정전화번호 검색단계에 있어서, 설정정화번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그 검색된 설정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설정전화번호별 연결소리신호를 검색 및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문자를 수신하는 이용자가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 일련의 키조작을 통하지 않고서도 수신된 문자메시지가 보험이나 대출같은 스팸문자메시지인 경우 이를 유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추가로, 수신되는 문자메시지의 발신자를 키조작을 통해 문자메시지를 확인하지 않고서도 알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신호 출력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출력장치의 개념설명을 위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신호 출력장치 및 방법은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송신되는 문자메시지를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에서 수신 시 그 수신된 문자메시지 내용 중에서 사용자가 기설정한 설정단어가 포함된 경우 그 설정단어와 매칭되는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를 직접 확인하지 않고서도 수신된 문자메시지의 내용을 유추할 수 있도록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예를 들면, 설정단어로 '사랑'이나 '생일'을 설정하고, 설정단어 중 '사랑'이란 단어에는 사랑을 주제로 하는 유행가 또는 '사랑해~'라는 음성으로 이루어진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가 매칭되도록 제공하고, '생일'이라는 단어에는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로 생일축가가 매칭되도록 제공함으로써,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송신된 문자 중에 설정된 단어가 포함되어 있다면 이를 수신한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에서는 이를 확인하여 매칭되는 해당 단어별 연결소리신호를 출력한다.
이처럼, 설정단어와 매칭되는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벨소리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벨소리 다운로드서버와 같은 통신중계서버(300)를 통해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로 벨소리를 다운로드받고, 그 다운로드된 벨소리를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로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벨소리를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로의 지정은 다운로드된 벨소리의 파일네임(file name)에 설정단어를 추가로 입력하는 등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서 가능할 수 있게 제공한다.
또한, 설정단어와 매칭되는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의 경우, 사람의 음성 또는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소리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100,200)에 직접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100,200)에 직접 저장되는 음성을 포함하는 소리신호도 파일네임에 설정단어를 추가함으로써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로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제공한다.
통신중계서버(300)는 자체 데이타베이스를 통해 다수의 소리신호, 예를 들면, 생일, 축하, 위급 등의 단어와 스팸관련 단어에 대한 소리신호나 비방이나 욕설, 음악, 효과음 등의 소리신호를 저장하며, 해당 소리신호의 검색 및 다운 요청신호가 이동통신단말기(100,200)로부터 수신되면 해당 음성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벨소리의 다운로드는 이동통신단말기(100,200)가 통신중계서버(300)에 직접 접속하여 다운로드를 요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PC)이 통신중계서버(300)에 접속한 후 벨소리와 같은 소리신호를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0,200)로 중계전송시키거나 또는,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PC)로 다운로드한 후 해당 단말(PC)에 이동통신단말기(100,200)를 연결하여 다운로드 하는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다운로드할 수 있게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100,200)에 여러 단어별로 설정단어 별 연결소리신호를 지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사용자가 스팸단어라고 생각하는 '보험'이나 '대출', '미팅'을 "스팸입니다"라는 소리신호가 출력되게 설정하도록 하거나, 또는 약속이나 만남이란 단어에 "기다리던 문자입니다"라는 소리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출력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출력장치는 크게 무선처리부(10), 입력부(20), 스피커(30), 메모리(40), 문자검출부(50), 디스플레이(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무선처리부(10)는 외부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송신된 무선신호, 예를들면, CDMA방식의 무선신호를 상기 제어부(50)에서 인식가능한 0과 1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무선신호가 음성통신일 경우에는 해당 음성신호를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스피커(3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무선처리부(10)에 수신된 무선신호가 문자메시지인 경우 제어부(70)는 그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메모리(40)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입력부(20)는 사용자의 키입력신호 또는 소리신호가 입력되는 인터페이스로서, 키패드 및 마이크로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키패드에 구비된 각종 키버튼의 조작을 통해 설정단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람의 음성을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 또는 설정전화번호별 연결소리신호를 마이크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40)는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되는 설정단어가 저장되는 설정단어 저장영역,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가 저장되는 단어별 설정소리 저장영역 및 수신된 문자메시지가 저장되는 문자메시지 저장역역을 포함하는 저장매체이다.
상기 문자검출부(50)는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메모리(40)의 문자메시지 저장영역에 저장된 문자메시지의 내용 중에 메모리(40)의 설정단어 저장영역에 저장된 설정단어가 있는지 검색하여 있는 경우 설정단어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생성된 설정단어 검출신호는 제어부(70)로 입력된다.
상기 제어부(70)는 문자검출부(50)로부터 입력되는 설정단어 검출신호를 메모리(40)의 단어별 설정소리 저장영역과 매칭하여, 매칭되는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를 스피커(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출력장치는 상술한, 수신되는 문자메시지에 사용자가 지정한 설정단어가 있는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소리신호가 출력되도록 함과 더불어 수신된 문자메시지의 발신자를 소리신호를 통해 유추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출력장치를 구성하는 메모리(40)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전화번호에 매칭되는 설정전화번호별 연결소리신호가 저장되는 전화번호별 설정소리 저장영역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전화번 호별 설정소리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설정전화 번호별 연결소리신호의 데이터는 크게 전화번호 및 소리신호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문자검출부(50)는 메모리(40)의 문자메시지 저장영역에 저장된 문자메시지의 내용 중에 메모리(40)의 설정단어 저장영역에 저장된 설정단어가 있는지 검색하여 없는 경우 그 수신된 문자메시지에서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화번호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별 설정소리 저장영역과 매칭하여, 매칭되는 설정전화번호별 연결소리신호가 있는 경우 설정전화번호 검출신호를 생성한다.
이후, 제어부(70)는 문자검출부(50)에서 생성된 설정전화번호 검출신호에 따라 메모리(40)의 전화번호별 설정소리 저장영역에 저장된 설정전화번호별 연결소리신호를 스피커(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문자메시지를 발신하는 발신측 전화의 종류는 앞에서 언급한 이동통신단말기(100)와 더불어 유선전화도 포함된다.
또한, 설정전화번호별 연결소리신호는 앞에서 언급한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와 같이 통신중계서버(300)를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직접 제작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출력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작용설명을 하기의 도 3의 순서도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신호출력방법을 나 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신호출력방법은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온라인을 통해 발신된 문자메시지를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수신하는 문자수신단계(S11)와;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중에 설정단어가 있는지 검색하는 설정단어 검색단계(S12)와; 상기 설정단어 검색단계(S12)에 있어서, 설정단어가 포함되어 있으면, 그 검색된 설정단어에 해당하는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를 검색 및 출력하는 단계(S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중에 설정단어가 있는지 검색하는 설정단어 검색단계(S12)에 있어서, 설정단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에서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를 검출하는 발신측 전화번호 검출단계(S14)와; 기설정된 설정전화번호목록에 상기 검출된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있는지 검색하는 설정전화번호 검색단계(S15)와; 상기 설정전화번호 검색단계에 있어서, 설정정화번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그 검색된 설정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설정전화번호별 연결소리신호를 검색 및 출력하는 단계(S16);를 더 포함한다.
상기 문자수신단계(S11)는 무선처리부(10)가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무선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킨다. 이후, 제어부(70)는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무선신호가 음성통신신호인 경우 스피커를 통해 통화연결음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무선신호가 문자메시지이면 메모리(40)의 문자메시지 저장역역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설정단어 검색단계(S12)는 제어부(70)가 메모리(40)의 문자메시지 저장 역역에 문자메시지를 저장함과 동시에 그 문자메시지 저장역역에 저장된 문자메시지의 내용 중에 설정단어가 포함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문자검출부(50)를 실행제어한다.
즉, 제어부(70)에 의해 실행제어되는 문자검출부(50)는 메모리(40)의 설정단어 저장영역에 저장된 설정단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설정단어를 문자메시지 저장영역에 저장된 수신된 문자메시지와 매칭하여 동일한 단어가 있는지 검색하여 동일한 단어가 있는 경우 설정단어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를 검색 및 출력하는 단계(S13)는 문자검출부(50)에서 생성된 설정단어 검출신호를 제어부(70)가 인지하여 해당 설정단어 검출신호와 매칭되는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를 메모리(40)의 단어별 설정소리 저장영역에서 추출하고, 이를 스피커(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기존에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 일련의 키조작을 통하지 않고서도 사용자가 수신된 문자메시지의 내용을 유추할 수 있게 제공한다.
그리고 발신측 전화번호 검출단계(S14)는 상기 설정단어 검색단계(S12)에 있어서, 설정단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70)에 의해 실행제어되는 문자검출부(50)는 문자메시지 저장영역에 저장된 수신된 문자메시지에서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화번호를 검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설정전화번호 검색단계(S15)는 제어부(70)에 의해 실행제어되는 문자검출부(50)에서 그 검출된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화번호를 메모리(40)의 전화번호별 설정소리 저장영역과 매칭하여, 매칭되는 설정전화번호별 연결소리신호 가 있는 경우 설정전화번호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설정전화번호별 연결소리신호를 검색 및 출력하는 단계(S16)는 문자검출부(50)에서 생성된 설정전화번호 검출신호를 제어부(70)가 인지하여 해당 설정전화번호 검출신호와 매칭되는 설정전화번호별 연결소리신호를 메모리(40)의 전화번호별 설정소리 저장영역에서 추출하고, 이를 스피커(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수신되는 문자메시지의 발신자를 키조작을 통해 문자메시지를 확인하지 않고서도 이를 알 수 있게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출력장치의 개념설명을 위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출력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신호출력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무선처리부 20 : 입력부
30 : 스피커 40 : 메모리
50 : 문자검출부 60 : 디스플레이
70 : 제어부 100 :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
200 :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 300 : 통신중계서버

Claims (7)

  1.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문자메세지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문자메세지의 내용을 검색하여 기 설정된 설정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그 확인에 의해 기 설정된 설정단어가 포함된 경우 그 설정단어와 매칭되는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출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설정단어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설정단어가 저장되는 설정단어 저장영역, 상기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가 저장되는 단어별 설정소리 저장영역 및 수신된 문자메시지가 저장되는 문자메시지 저장역역을 포함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의 문자메시지 저장영역에 저장된 문자메시지의 내용 중에 상기 메모리의 설정단어 저장영역에 저장된 설정단어가 있는지 검색하여 있는 경우 설정단어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문자검출부와;
    상기 문자검출부에서 생성된 설정단어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의 단어별 설정소리 저장영역에 저장된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 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출력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전화번호에 매칭되는 설정전화번호별 연결소리신호가 저장되는 전화번호별 설정소리 저장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문자검출부는 상기 메모리의 문자메시지 저장영역에 저장된 문자메시지의 내용 중에 상기 메모리의 설정단어 저장영역에 저장된 설정단어가 있는지 검색하여 없는 경우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에서 발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발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별 설정소리 저장영역과 매칭하여, 매칭되는 설정전화번호별 연결소리신호가 있는 경우 설정전화번호 검출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검출부에서 생성된 설정전화번호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의 전화번호별 설정소리 저장영역에 저장된 설정전화번호별 연결소리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출력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를 음성으로 직접입력할 수 있도록 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출력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의 설정소리 저장영역에 저장된 상기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 또는 상기 설정전화번호별 연결소리신호는 통신중계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신호 출력장치.
  6.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온라인을 통해 발신된 문자메시지를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수신하는 문자수신단계와;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중에 설정단어가 있는지 검색하는 설정단어 검색단계와;
    상기 설정단어 검색단계에 있어서, 설정단어가 포함되어 있으면, 그 검색된 설정단어에 해당하는 설정단어별 연결소리신호를 검색 및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신호 출력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중에 설정단어가 있는지 검색하는 설정단어 검색단계에 있어서, 설정단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에서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를 검출하는 발신측 전화번호 검출단계와;
    기설정된 설정전화번호목록에 상기 검출된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있는지 검색하는 설정전화번호 검색단계와;
    상기 설정전화번호 검색단계에 있어서, 설정정화번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그 검색된 설정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설정전화번호별 연결소리신호를 검색 및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신호 출력방법.
KR1020080082253A 2007-10-10 2008-08-22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출력장치 및 방법 KR200900372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847A KR20080006505A (ko) 2007-10-10 2007-10-10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출력장치 및 방법.
KR1020070101847 2007-10-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293A true KR20090037293A (ko) 2009-04-15

Family

ID=392202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847A KR20080006505A (ko) 2007-10-10 2007-10-10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출력장치 및 방법.
KR1020080082253A KR20090037293A (ko) 2007-10-10 2008-08-22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출력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847A KR20080006505A (ko) 2007-10-10 2007-10-10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출력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80006505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505A (ko) 200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0497B2 (en) Programming multiple ringing tones of a terminal
CN1765136B (zh) 一种移动通信设备及其操作移动通信设备的方法
US20060145944A1 (en) Avatar control using a communication device
US20020085698A1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privacy mode
US20080096587A1 (en) Telephone for Sending Voice and Text Messages
KR101154997B1 (ko) 단말기 및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발신 방법
KR20100081022A (ko) 전화번호부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WO2002098115A1 (fr) Appareil de communication
JP2009171336A (ja) 携帯通信端末
KR20090037293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문자별 음성출력장치 및 방법
WO2008071939A1 (en) Improved text handling for mobile devices
KR20010099454A (ko) 텍스트(사용자입력)와 발신자번호 및 주소록을 이용한휴대폰음성벨소리.
US20050233775A1 (en) Mobile phone providing religious prayers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10050483A (ko) 통신 방법, 통신 관련 시스템 및 관련 변환부
US7848775B2 (en) Cell phone with selective transmission of a slam or other sound
KR20030045245A (ko) 휴대용 단말기의 비상시 콜 방법 및 장치
WO2006033809A1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term analysis capability, associated function triggering and related method
KR20070089480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메시지 답장 모드 진입 방법.
KR100712925B1 (ko) 음성의 특징에 따른 벨소리 변경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JP2000216875A (ja) 電話装置と音声応答方法
KR20040029810A (ko) 발신자 정보 음성 출력 장치 및 방법
KR2002002176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벨소리 선택 방법
KR100587956B1 (ko) 문자 및 음성입력을 통한 이동통신단말기용 맞춤형 벨소리제작방법 및 시스템
KR100689464B1 (ko) 벨소리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6174111A (ja) 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