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7131A -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 및 그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 및 그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7131A
KR20090037131A KR1020070102602A KR20070102602A KR20090037131A KR 20090037131 A KR20090037131 A KR 20090037131A KR 1020070102602 A KR1020070102602 A KR 1020070102602A KR 20070102602 A KR20070102602 A KR 20070102602A KR 20090037131 A KR20090037131 A KR 20090037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sink
vertical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8319B1 (ko
Inventor
강희창
Original Assignee
강희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희창 filed Critical 강희창
Priority to KR1020070102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319B1/ko
Publication of KR20090037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47B2200/0085Supplementary support fixed on the edge of a desk or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4Keyplates; Ornaments or the like
    • A47B95/043Protecting rims, buff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1Edge feature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개시된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은, 상호 일단부가 수직되게 접한 상태로 이음붙임되는 일자형의 베이스상판과 수직상판을 가지는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에 있어서, 베이스상판의 상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안착홈을 형성하고, 수직상판의 길이방향 일단부에는 안착홈에 대응 안착되는 안착돌출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싱크대, 상판, 붙임, 접합, 모서리, 코너

Description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 및 그의 시공방법{Top plate of sink and establishment method}
본 발명은 싱크대 상판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싱크대를 시공시 시공공간과 상판의 길이 차이에 따라 상판 길이가공을 수행하여도 코너부에 대한 상판의 상호 이음붙임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체결 구조를 가지는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 등에서의 싱크대는 가스렌지 등의 설치위치와 요리대 및 세척을 위한 부분을 감안하여 코너부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코너부에 대한 싱크대의 설치는 코너부를 가지는 일체형의 상판으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판의 운반이나 설치시에 곤란성이 있는데 특히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규격화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일체형의 상판을 변형할 수 없는 바, 싱크대를 일정거리 이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설치장소를 많이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싱크대 상판을 모두 일자형으로 제공한 후, 상판을 절단하고 상호 이음붙임을 하여 시공한다.
즉, 일자형 싱크대 상판을 이용하여 코너부를 형성할 경우에는 도 1과 같이 베 이스상판(10)의 양단부에 체결홈(11)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상판(10)의 체결홈(11)에 수직상판(20)의 일단부를 끼워 상기 베이스상판(10)과 수직상판(20)을 상호 수직되게 이음붙임하거나, 도 2와 같이 베이스상판(10)의 양단부를 사선형상으로 가공한 후, 수직상판(20) 일단부를 상기 베이스상판(10)에 대응되는 사선형상으로 형성한 후 상호 대응되는 사선형상의 단부를 이음붙임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일자형 싱크대 상판을 이용한 코너부 시공구조는 베이스상판이나 수직상판을 제작한 후 실제 시공할 때, 시공하고자 하는 공간상의 길이보다 베이스상판이나 수직상판의 길이가 길 경우, 수직상판이나 베이스상판을 절단 가공하게 되는데 이때 상호 대응되게 이음붙임되는 단부의 형상이 변경되어 코너부 시공이 어렵게 된다.
즉, 수직상판이나 베이스상판을 시공 공간부의 길이와 동일하게 절단한 후에는 상호 대응되게 이음붙임되는 부분의 형상이 변경되는 바, 다시 상호 대응되게 이음붙임되는 부분에 대한 가공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작업이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수직상판이나 베이스상판의 단부의 상호 대응되게 이음붙임되는 부분이 절단됨으로써 접착면이 최초의 절단되기전보다 작아지게 되어 수직상판이나 베이스상판의 상호 결합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싱크대 상판의 코너부 시공시 상판의 길이가 시공공간부보다 길어 절단하더라도 상호 이음붙임되는 접착면이 줄어들지 않아 상호 안정적인 접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절단하더라도 상호 대응되게 이음붙임하기 위한 추가적인 가공작업이 필요하지 않는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일단부가 수직되게 접한 상태로 이음붙임되는 일자형의 베이스상판과 수직상판을 가지는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상판의 상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상판의 길이방향 일단부에는 상기 안착홈에 대응 안착되는 안착돌출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안착돌출단의 길이는 상기 안착홈의 폭에 대응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안착홈이 형성된 베이스상판과, 상기 안착홈에 대응 안착되는 안착돌출단을 길이방향 일단부에 구비하는 수직상판을 시공장소에 상호 일단부가 수직되게 접한 상태로 이음붙임되게 설치하는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시공장소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상판의 길이방향 일단부를 절단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베이스 상판을 시공장소의 일벽에 접한 상태로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시공장소의 폭에 대응되도록 상기 수직상판의 길이방향 일단부를 절단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직상판을 상기 베이스상판에 수직되게 위치한 후, 상기 수직상판의 안착돌출단을 상기 베이스상판의 안착홈에 안착 결합한 상태로 시공장소의 일벽에 접한 상태로 고정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상판의 길이방향 일단부를 절단 가공시에는 상기 베이스상판의 안착홈에 상기 수직상판의 안착돌출단을 대응 안착한 상태에서 시공장소의 폭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측정한 후, 상기 안착돌출단이 형성되지 않은 길이방향 단부를 절단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의 시공방법.
본 발명의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 및 그의 시공방법은, 베이스상판 및 수직상판을 절단 가공하여 길이를 변경하더라도 베이스상판의 안착홈과 수직상판의 안착돌출단은 상호 대응되게 접하여 접합면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접합상태를 유지되게 함과 더불어, 절단 가공 외에 다른 가공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 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은, 베이스상판(100), 수직상판(200)을 구비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상판(100)과 상기 수직상판(200)의 상호 일단부가 수직되게 접한 후 이음붙임된다.
상기 베이스상판(100)은 싱크대를 시공하고자 하는 공간부의 벽에 일측을 접하도록 설치되는 일자형의 판부재이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상판(100)의 상면부 테두리에는 길이방향으로 안착홈(11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베이스상판(100)은 석재나 목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합성수지로 제작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수직상판(200)은 싱크대를 시공하고자 하는 공간부의 벽에 일측을 접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상판(100)에 수직되게 접하면서 일단부가 이음붙임되는 일자형의 판부재이다.
여기서, 상기 수직상판(200)의 길이방향 일단부에는 각각 상기 베이스상판(100)의 안착홈(110)에 대응 안착되는 안착돌출단(21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수직상판(200)은 상기 베이스상판(100)과 동일한 재질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석재나 목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합성수지로 제작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상판(100)의 안착홈(110)에 상기 수직상판(200)의 안착돌출단(210)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호 접착면을 크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상판(200)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안착돌출단(210)의 길이는 상기 베이스상판(100)에 형성된 안착홈(110)의 폭에 대응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호 대응되게 접한 상태로 이음붙임되는 상기 베이스상판(100)의 안착홈(110)과 상기 수직상판(200)의 안착돌출단(210)은 상호 접하는 면부를 수평면부로 형성하는 것 외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의 시공방법은, 베이스상판 절단 가공단계(S1), 베이스상판 설치단계(S2), 수직상판 절단가공단계(S3), 수직상판 설치단계(S4)를 거쳐 일자형의 베이스상판(100)과 수직상판(200)을 상호 일단부가 수직되게 접한 상태로 시공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싱크대를 시공하고자 하는 시공장소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베이스상 판(100)을 위치시킨 후, 상기 베이스상판(100)이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길이를 절단 가공한다.(S1)
즉, 시공장소의 길이를 측정한 후, 상기 베이스상판(100)의 길이방향 단부를 선택적으로 시공장소 길이에 대응되게 절단장치로서 절단하게 된다.
시공장소의 길이에 대응되게 상기 베이스상판(100)을 절단 가공한 후에는(S1), 상기 베이스상판(100)을 시공장소의 길이방향 일벽에 접한 상태로 싱크대(도면미도시) 상부에 거치한 후, 시공장소의 길이방향 일벽에 상기 베이스상판(100)을 접착제나 볼트와 같은 결합기재로 고정 설치한다.(S2)
여기서, 상기 베이스상판(100)은 싱크대에 거치된 상태에서 싱크대와 접착제나 볼트와 같은 결합기재로 결합한다.
상기 베이스상판(100)을 시공장소의 길이방향 일벽에 접한 상태로 고정 결합하면(S2), 상기 수직상판(200)을 시공장소의 폭방향으로 위치시킨 후, 상기 수직상판(200)을 상기 베이스상판(100)에 수직되게 접한 상태로 시공장소의 폭보다 돌출되지 않게 설치될 수 있도록 길이를 절단 가공한다.(S3)
즉, 상기 베이스상판(100)의 안착홈(110)에 상기 수직상판(200)의 안착돌출단(210)을 대응되게 안착한 상태에서 시공장소의 폭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측정한다.
이후, 상기 수직상판(200)의 안착돌출단(210)이 형성되지 않은 길이방향 단부를 시공장소의 폭방향 길이에 대응되게 절단장치로서 절단하게 된다.
시공장소의 폭방향 길이에 대응되게 상기 수직상판(200)을 절단 가공한 후에 는(S3), 상기 수직상판(200)을 시공장소의 폭방향 일벽에 접하게 한다.
이때, 상기 수직상판(200)의 상기 안착돌출단(210)을 상기 베이스상판(100)의 안착홈(110)에 대응되게 안착한 상태로 싱크대(도면미도시) 상부에 거치한 후, 시공장소의 폭방향 일벽과 상기 베이스상판(100)에 접착제나 볼트와 같은 결합기재로 고정 설치한다.(S4)
여기서, 상기 수직상판(200)은 싱크대에 거치된 상태에서 싱크대와 접착제나 볼트와 같은 결합기재로 결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 및 그의 시공방법은, 상기 베이스상판(100)과 상기 수직상판(200)을 절단 가공하더라도 상기 베이스상판(100)의 안착홈(110)과 상기 수직상판(200)의 안착돌출단(210)이 항상 상호 대응되게 접한 상태로 이음붙임됨으로써 안정적인 접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상판(100)과 상기 수직상판(200)을 길이에 대하여 절단 가공하더라도 상호 접합상태로 이음붙임하기 위한 새로운 안착홈(110) 및 안착돌출단(210)을 형성하는 가공 공정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Claims (4)

  1. 상호 일단부가 수직되게 접한 상태로 이음붙임되는 일자형의 베이스상판과 수직상판을 가지는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상판의 상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상판의 길이방향 일단부에는 상기 안착홈에 대응 안착되는 안착돌출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돌출단의 길이는 상기 안착홈의 폭에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
  3. 상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안착홈이 형성된 베이스상판과, 상기 안착홈에 대응 안착되는 안착돌출단을 길이방향 일단부에 구비하는 수직상판을 시공장소에 상호 일단부가 수직되게 접한 상태로 이음붙임되게 설치하는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시공장소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상판의 길이방향 일단부를 절단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베이스상판을 시공장소의 일벽에 접한 상태로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시공장소의 폭에 대응되도록 상기 수직상판의 길이방향 일단부를 절단 가공하 는 단계; 및,
    상기 수직상판을 상기 베이스상판에 수직되게 위치한 후, 상기 수직상판의 안착돌출단을 상기 베이스상판의 안착홈에 안착 결합한 상태로 시공장소의 일벽에 접한 상태로 고정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의 시공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상판의 길이방향 일단부를 절단 가공시에는 상기 베이스상판의 안착홈에 상기 수직상판의 안착돌출단을 대응 안착한 상태에서 시공장소의 폭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측정한 후, 상기 안착돌출단이 형성되지 않은 길이방향 단부를 절단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의 시공방법.
KR1020070102602A 2007-10-11 2007-10-11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928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602A KR100928319B1 (ko) 2007-10-11 2007-10-11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 및 그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602A KR100928319B1 (ko) 2007-10-11 2007-10-11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 및 그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131A true KR20090037131A (ko) 2009-04-15
KR100928319B1 KR100928319B1 (ko) 2009-11-25

Family

ID=40761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602A KR100928319B1 (ko) 2007-10-11 2007-10-11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 및 그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319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508A (ko) * 2000-03-04 2000-06-05 강영수 싱크대 및 싱크대 상판의 제조방법
KR200319424Y1 (ko) * 2003-04-25 2003-07-10 주식회사 동양하이켐 바닥용 조립 패널
KR200419432Y1 (ko) * 2006-02-28 2006-06-20 이응경 씽크대 상판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8319B1 (ko)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190063A (ja) 断熱パネルの施工構造
KR100928319B1 (ko)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 및 그의 시공방법
TWM529025U (zh) 支撐連接裝置及其與浪板的組合體
JP2006316533A (ja) 床材の接合構造
JP4458808B2 (ja) サッシの接合構造
CN215253890U (zh) 集成吊顶安装组件
JP4361856B2 (ja) デッキ構造
US10774859B2 (en) Strip and slot bonded joint
JP5388964B2 (ja) 断熱パネルの接合構造
JP3984617B2 (ja) 外壁板用の留め付け金具および該留め付け金具を用いた外壁施工構造と外壁施工方法
TWI596308B (zh) Support connecting device and its combination with the wave plate
KR200287632Y1 (ko) 탁자의 프레임과 다리의 조립 구조
JP2016195664A (ja) シンクの取付方法および取付構造
JP2008180041A (ja) 壁パネル
JP5911710B2 (ja) 壁パネル組立用部材、コーナー部の壁パネル組立構造、及び横並び部の壁パネル組立構造
CN211735686U (zh) 地漏支撑装置、地漏支撑组件和地板安装组件
JP6650837B2 (ja)
KR200400647Y1 (ko) 코너 이음 부재
KR200397151Y1 (ko) 창틀 프레임용 코너 조인트
JP6496811B2 (ja) 天井副構造のための縁部型材要素
JP6700760B2 (ja) 外壁の出隅構造及び出隅用下地材
JP2020122351A (ja) 板材施工具、板材施工構造、及び板材施工方法
JP2005120688A (ja) コーナー部材の取付け構造および取付け具
KR200322521Y1 (ko) 천장검사구용 지지틀
KR940007478Y1 (ko) 천정 모서리 장식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