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7021A - Adjustable guide brackets for building exterior walls - Google Patents
Adjustable guide brackets for building exterior wall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37021A KR20090037021A KR1020070102382A KR20070102382A KR20090037021A KR 20090037021 A KR20090037021 A KR 20090037021A KR 1020070102382 A KR1020070102382 A KR 1020070102382A KR 20070102382 A KR20070102382 A KR 20070102382A KR 20090037021 A KR20090037021 A KR 200900370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building
- work
- exterior wall
-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 tile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3—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horizont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외벽 작업용 가변형 가이드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 건축물의 골조에 각종 마감재를 부착하는 등 외벽 마감 작업에 있어서 층별 마감 설계에 따라 마감두께가 달라지는 등 건축물 구조체로부터의 소요 이격 간격이 변화하는 것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함으로써 시공성 향상 및 자재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개선된 건물 외벽 작업용 가변형 가이드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guide bracket for building exterior wall work, and more particularly, required distance from the building structure, such as the thickness of the finish depends on the floor finish design in the exterior wall finishing work, such as attaching various finishing materials to the framework of a high-rise build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guide bracket for improved building exterior wall work that can flexibly cope with this change to improve workability and material saving.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하면에 건축물로부터 돌출된 앙카볼트가 삽입되는 고정공 및 양측면에 여러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중앙부분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삽입부의 내면에 하나이상의 안내롤러가 형성된 고정유니트와, 상기 삽입부에 일측이 삽입되며 양측면에 여러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이동유니트와, 상기 고정유니트에 형성된 관통공과 이동유니트이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이동유니트를 고정시키는 체결고정구 및 상기 이동유니트의 타측에 조립되며 "ㄷ"자형의 내측에 가이드롤러와 일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걸림레버가 형성되는 브라켓해드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unit is formed in the fixing hole is inserted into the anchor bolt protruding from the building on the lower surface and both sides and at least one guide roller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penet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movement unit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n both sides,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through-hole and the movement unit formed in the fixing unit fastening fixture for fixing the movement unit and the other side of the mobile unit is assembled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bracket head which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 shaped guide lever and the locking lever rotatably assembled to one s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 외벽 작업용 가변형 가이드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 건축물의 골조에 각종 마감재를 부착하는 등 외벽 마감 작업에 있어서 층별 마감 설계에 따라 마감두께가 달라지는 등 건축물 구조체로부터의 소요 이격 간격이 변화하는 것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함으로써 시공성 향상 및 자재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개선된 건물 외벽 작업용 가변형 가이드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guide bracket for building exterior wall work, and more particularly, required distance from the building structure, such as the thickness of the finish depends on the floor finish design in the exterior wall finishing work, such as attaching various finishing materials to the framework of a high-rise build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guide bracket for improved building exterior wall work that can flexibly cope with this change to improve workability and material saving.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공사는 철골조, 철근콘크리트조(RC), 철골철근콘크리트조(SRC)등 각종 구조시스템에 따라 기둥, 보, 슬래브 등을 구축하여 건물의 뼈대를 형성하는 골조(骨組)공사와, 상기와 같은 골조공사가 완료된 후 완성된 골조의 외부 표면에 타일, 석재, 커튼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등 각종 마감 자재를 시공함으로써 건물의 실내 또는 옥외 표면을 미려하게 장식, 치장하는 건축마감공사로 크게 나눌 수 있다.In general,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is based on the construction of pillars, beams, slabs, etc. according to various structural systems such as steel frame, reinforced concrete (RC) and steel reinforced concrete (SRC) to form the skeleton of the building, After finishing the above frame construction, it is a building finishing work that beautifully decorates and decorates the indoor or outdoor surface of the building by constructing various finishing materials such as tiles, stone, curtain will, and precast concrete panel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mpleted frame. It can be divided largely.
상기와 같은 건축마감공사에 있어서, 건축물의 외벽면을 마감하는 공사의 경 우 주로 건물의 외부 측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바, 이러한 외부작업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올라가 마감재를 부착하거나 마감재 고정용 철물 등을 고정할 수 있도록 작업 발판 및 안전난간 등이 부설된 가설 작업대의 설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In the construction finishing work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construction of finishing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the work is mainly performed on the outside side of the building. For such external work, the worker goes up to attach the finishing material or fix the hardware for fixing the finishing material. In order to do so,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temporary work platform on which work platforms and safety railings are installed.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층수가 높지 않은 저층 건축물의 경우, 상기와 같은 외부작업용 가설 작업대를 설치함에 있어 건물의 벽면에 인접한 위치에 지면으로부터 강관 파이프를 클램프로 체결/조립한 뒤 그 위에 가설발판을 얹어 가설작업대를 설치하고, 작업층수가 높아짐에 따라 계속해서 기존가설 작업대위에 추가로 가설대를 설치하여 올라가는 방식으로 가설공사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일반적인 가설 작업대의 경우, 층수 및 높이가 낮은 저층 건축물에 있어서는 큰 문제가 없으나 고층 건축물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가설대를 추가하여 설치하는 작업의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으며, 아울러 가설작업대 크기가 커짐으로써 자재비가 많이 들고, 설치 및 해체시에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low-rise buildings where the number of floors of the building is not high, in the case of installing the temporary work platform for external work as described above, the steel pipe pipe is clamped / assembled from the groun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wall of the building, and then the temporary scaffold is placed on it. As work benches are installed and the number of working floors increases, temporary work is carried out in such a way that additional temporary work benches are installed on the existing work benches. However, in the existing general temporary work platform, there is no problem in low-rise buildings with low floors and heights, but in the case of high-rise buildings, it is cumbersome and time-consuming to add and install temporary works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of safety accidents during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is high due to th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temporary workbench.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기와 같이 지면에서부터 가설작업대를 설치해 올라가는 대신, 미리 건물의 외벽일부에 해당되는 일정한 크기(통상 건축물의 2~3층 높이)로 작업발판이 구비된 케이지(cage) 형태의 가설작업대를 제작하여두고, 이와 같은 제작된 작업 케이지를 건축공사의 진척도에 따라 위로(또는 아래로) 이동 배치해 가면서 필요한 외벽부위의 마감공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식 가설작업대가 개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승하강식 가설작업대는 그 구조에 있어, 건물 슬래브 단부에 층별로 동일한 위치마다 가이드 브라켓들을 고정 설치하고, 이 가이드 브라켓에 작업 케이지의 가이드레일이 결합되게 설치한 다음, 타워 크레인과 같은 인양 장비로 끌어올리면 상기 가이드레일이 가이드 브라켓을 따라 유도되어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작업 케이지를 건물 상층으로 옮겨가며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instead of installing a temporary work bench from the ground as described above, a cage-type temporary work bench equipped with a work scaffold having a predetermined size (usually 2 to 3 stories high of a building) corresponding to a part of an exterior wall of a building in advance. As a result, a lifting and lowering construction work platform was developed to allow the finished work cage to be moved up (or down)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onstruction work to perform the finishing work on the exterior wall. In the structure of the elevating work platform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brackets are fixedly installed at the same position by floor at the end of the building slab, and the guide rails of the work cage are installed on the guide brackets, and then lifted like a tower crane. When pulled up to the equipment, the guide rail is guided along the guide bracket and is configured to slide and move the work cage to the upper floor of the building.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승하강식 가설작업대에 의하면 실제적인 설치 및 승강 이동에 있어서, 마감재 설치 공간 확보를 위해 작업 케이지를 건물 골조로부터 이격시켜야 하는 거리가 층별로 달라지는 경우에 대응방법이 고려되지 않아, 이로 인해 가이드 브라켓의 반복사용이 어려워 가이드 브레켓의 제작 갯수가 증가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levating temporary work platform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ctual installation and elevating movement, the corresponding method is not considered when the distance to separate the work cage from the building frame to secure the space for installing the finishing material varies from floor to floor.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repeatedly use the guide bracket, which increases the number of production of the guide bracket.
즉, 최근 도심지 등에 건설되는 고층 오피스 빌딩들의 경우 건물 외부 디자인적인 관점에서 조형미를 돋보이게 하기 위해 층별로 마감 설계가 달라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이 마감 설계가 달라지게되면 그에 따라 마감재 설치를 위해 확보되어야 하는 소요간격(예컨데, 커튼월 마감의 경우라면 멀리온의 두께 + 커튼월 유니트의 두께이상)이 상당히 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층별로 마감 설계가 달라지게되면 각 층의 마감 종류에 따라 골조로부터 작업 케이지를 이격시켜야하는 거리가 각각 달라지게 되며(작게는 수 cm에서 크게는 1m이상),이에 따라 가이드 레일을 고정시키는 가이드 브라켓을 설치함에 있어 슬래브 단부로부터 가이드 브라켓이 돌출되는 길이를 마감 층별로 각각 달리함으로써 마감 설치에 간섭이 없도록 해야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승강식 가설 작업대에 의하면, 미리 일정한 치수로 제작된 가이드 브라켓을 사용하는 관계로 가이드 브라켓이 슬래브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없이 작업 케이지와 슬래브 구조체 간의 간격 조절이 불가능한바, 층별로 마감 종류가 달라지는 경우에 있어 아래층에 사용하였던 가이드 브라켓을 윗층에 재사용할 수 없으므로 마감 타입별로 각각 다른 치수의 가이드 브라켓을 제작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In other words, in recent years, high-rise office buildings constructed in urban areas often have different finishing designs for each floor in order to highlight the beauty of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The required spacing (for example, in case of curtain wall finishes) will vary considerably from the thickness of the distant plus the thickness of the curtain wall unit. In this way, when the finishing design is different for each floor, the distance to separate the work cage from the frame varies according to the finishing type of each floor (small cm to larger than 1 m). In the installation of the guide bracket, the length of the guide bracket protruding from the slab end should be different for each finishing laye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inishing installation.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levat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 as described above, it is impossible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work cage and the slab structure without adjusting the length of the guide bracket protruding out of the slab, since the guide bracket made of a predetermined dimension in advance. In case of different finish type for each floor, the guide bracket used in the lower layer cannot be reused in the upper layer.
또한, 상기와 같이 층별 마감설계가 달라지는 경우가 아니더라도, 실제 골조시공에 있어 원래 설계상 또는 시공 오차에 의해 골조의 단부 상하 위치가 층별로 차이가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승강식 가설 작업대 방식에 따르게 되면 가이드 브라켓의 길이 조절이 불가능한바, 역시 가이드 브라켓을 미리 치수별로 여러 종류에 마련해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In addition, even if the floor finishing design is not changed as described above, even in the cas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end of the frame by floor due to the original design or construction error in the actual frame construction, the conventional lifting type temporary work bench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it is im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guide bracket, after all there was an inconvenience to prepare and use the guide bracket in various types for each dimension in advance.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층 건축물의 시공시에 건축 공사이 진척도에 맞춰 구조체의 외벽면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시켜 가면서 사용할 수 있는 건물 외벽작업용 승하강식 작업대에 있어서 작업 케이지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브라켓의 길이를 자유 자재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건물 골조에 각종 마감재를 부착하는 등 외벽 마감 작업시에 층별 마감설계에 따라 마감 두께가 달라지는 것 등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 시공성 향상 및 자재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개선된 건물 외벽 작업용 가변형 가이드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ork cage in the lifting work platform for building exterior wall work that can be used while the construction work ascending or descending along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the construction of high-rise building The length of the guide bracket for guiding the lifting of the building can be adjusted freely so that various thicknesses can be flexibly handled according to the finishing design of each floor during external wall finishing work such as attaching various finishing materials to the building fram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riable guide bracket for improved building exterior wall work, which can improve workability and material sav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면에 건축물로부터 돌출된 앙카볼트가 삽입되는 고정공 및 양측면에 여러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중앙부분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삽입부의 내면에 하나이상의 안내롤러가 형성된 고정유니트와, 상기 삽입부에 일측이 삽입되며 양측면에 여러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이동유니트와, 상기 고정유니트에 형성된 관통공과 이동유니트이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이동유니트를 고정시키는 체결고정구 및 상기 이동유니트의 타측에 조립되며 "ㄷ"자형의 내측에 가이드롤러와 일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걸림레버가 형성되는 브라켓해드로 구성된 건물 외벽 작업용 가변형 가이드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fixing hole and the both sides of the anchor hole protruding from the building to the lower surface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at least one guide roll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portion; The fixed unit and the insertion unit,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unit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both sides,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fixed unit and the moving unit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fixture for fixing the moving unit and the moving unit It is to provide a variable guide bracket for building exterior wall work consisting of a bracket head which is assembled on the other side of the "c" shaped inner side of the guide roller and the locking lever is assembled rotatably to one sid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 케이지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브라켓의 길이를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건물 골조에 각종 마감재를 부착하는 등 외벽마감 작업에 있어서 한 가지 종류의 가이드 브라켓 만으로도 층별 마감 설계에 따라 마감 두께가 달라지는 등 건물로부터의 이격 간격이 달라지는 것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 시공성 향상 및 가재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length of the guide bracket for guiding the lifting of the work cage, so that one kind of guide for finishing the exterior wall, such as attaching various finishing materials to the building frame, etc. The bracket alone can flexibly cope with the change in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building, such as the thickness of the finishing, depending on the floor finishing design, thereby improving the constructability and saving the crawfish.
다음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Nex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벽 작업용 가변형 가이드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벽 작업용 가변형 가이드 브라켓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벽 작업용 가변형 가이드 브라켓이 가이드 레일과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guide bracket for building exterior wall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ed state of the variable guide bracket for building exterior wall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ariable type for building exterior wall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the guide bracket assembled with the guide rail.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이드 브라켓은 크게 건축물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고정유니트(10)와, 상기 고정유니트(10)의 내부에 일부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유니트(20) 및 상기 이동유니트(20)의 타측에 조립되며 통상의 가이드레일(40)이 조립되는 브라켓해드(30)로 구성된다.As shown, the guide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상기 고정유니트(10)는 "ㄷ"채널의 형강(11)을 마주보게 형성하고 상/하부에 철판(12)을 결합하여 형성한다.The
이렇게 형성된 고정유니트(10)는 중앙부분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삽입부(13)가 형성되며 이 삽입부(13)의 양측면에 여러 개의 안내롤러(14) 및 관통공(15)이 형성되며, 외부측 하부면에 건물의 바닥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공(16)이 형성된다.The
상기 이동유니트(20)는 "ㄷ"체널의 형강(21)을 마주보게 형성하고 상/하부를 철판(22)으로 연결하여 형성한다.The moving
이렇게 형성된 이동유니트(20)는 양측면에 여러개의 관통공(23)이 형성된다.The
한편, 상기 이동유니트(20)의 일측에는 브라켓해드(30)가 조립되는데. 상기 브라켓해드(30)는 "ㄷ"자형 채널의 일측부를 연결하고 중앙부분에 걸림레버(31)를 형성하고 타측에 내부로 한쌍의 가이드 롤러(32)를 형성하여 가이드 롤러(32)사이로 밀착되는 통상의 가이드레일(40)이 원활하게 미끄럼 이동하도록 형성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벽 작업용 가변형 가이드 브라켓의 동작과정을 도 4a 내지 4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Operation of the variable guide bracket for building exterior wall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B.
먼저, 고정유니트(10)의 삽입부(13)에 이동유니트(20)의 일측으로 삽입하여 이동유니트(20)의 외면상/하부가 안내롤러(14)에 밀착되어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며 이동유니트(20)의 타측에는 브라켓 해드(30)를 조립하여 형성한다.First, the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가변형 가이드 브라켓은 건물의 선단부에 고정유니트(10)를 안착하고 선단부에 돌출 형성된 앙카볼트에 고정유니트(10)의 외부측에 형성된 고정공(16)을 삽입하여 나사결합함으로서 견고하게 고정시킨다.The variable guide bracket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firmly seated on the
한편, 상기 건물의 선단부와의 결합의 다른 실시예로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유니트(10)의 상판(12)과 하판(12')에 형성된 구멍(12a, 12'a)을 통하여 바닥면에서 돌출된 앙카볼트를 관통시켜 고정할 수 있다.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ing with the tip of the building, as shown in FIGS. 5A to 5B, the
이때, 전방부분에 형성된 앙카볼트는 이동유니트(20)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22a)에 관통된 상태로 고정유니트(10)의 구멍(12a)을 관통함으로서 이동유니트(20)의 이동에는 아무런 방해가 되지 않는다. At this time, the anchor bolt formed in the front portion penetrates the
상기와 같이 가이드 브라켓을 건물의 선단부에 고정시킨 후 작업자는 마감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하는 길이만큼 이동유니트(20)를 전/후진시켜 작업공간을 확보하고 고정핀(50)을 이용하여 이동한 상태의 이동유니트(20)를 고정 유니트(10)에 고정시킨다.After fixing the guide bracket to the front end of the building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or secures the work space by moving the moving
이는 고정핀(50)이 고정유니트(10)와 이동유니트(20)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공(15, 23)에 삽입되어 형성됨으로써 가능하다.This is possible because the
또한, 이동된 이동유니트(20)의 상부면에 작업자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발판등을 부수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operator additionally forms a scaffold or the lik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한편, 가이드레일(40)의 내측면에는 걸림후크(41)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브라켓해드(30)에는 가이드레일(40)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후크(41)에 대응되는 위치에 회동 가능한 걸림레버(31)가 더욱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레버(31)와 걸림후크(41)는 시공 현장에서 승강식 가설 작업대를 사용하여 외벽 마감 작업 등을 수행함에 있어 불의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비상 안전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만일 가설 작업대의 설치중 또는 설치후 작업 도중에 외부 충격이나 과실 등으로 인해 가설 작업대가 낙하하는 경우, 상기 걸림후크(41)가 걸림레버(31)에 걸려 낙하가 저지됨으로서 대형 안전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막을 수있게 된다.Meanwhile, the
이를 위하여 상기 걸림레버(31)의 하부측에는 안전핀(31a)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안전핀(31a)에 의하여 걸림레버(31)는 그 하향 회전이 구속/방지되고, 반대로 하향회전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가설작업대를 끌러 올려 상승시킬 때는 상기한 걸림후크(41)가 걸림레버(31)를 밀어올리면서 저항 없이 상승할 수 있는 반면, 불의의 사고로 인한 낙하시에는 상기 걸림후크(41)가 그 아래에 위치된 걸림레버(31)에 걸려지게 되고, 이때 상기 걸림레버(31)는 하부의 안 전핀(31a)에 의해 지지되므로 회전이 억제되어 낙하를 저지하는 스토퍼(stopper)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o this end, a safety pin 31a is installed at the lower side of the
상기와 같이 가변형 가이드 브라켓을 이용함으로써 통상의 작업케이지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브라켓의 길이를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한 가지 종류의 가이드브라켓 만으로 층별 마감 설계에 따라 마감두께가 달라지는 등 건물로부터 이격 간격이 달라져야 하는 경우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By using the variable guide bracket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length of the guide bracket for gui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usual work cage, and the finishing thickness varies depending on the finishing design of each floor with only one type of guide bracket. It is possible to flexibly cope with the case where the separation interval from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가변형 가이드 브라켓이 구비된 승강식 가설작업대는 소요 이격 간격에 맞추어 가이드 브라켓의 길이 조정이 가능함으로 미리 일정한 치수로 제작된 가이드브라켓을 사용하는 관계로 아래층에 사용하였던 가이드브라켓을 길이가 다른 윗층에서도 반복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됨으로 시공성의 향상 및 자재의 절감 등의 면에서 그 실용성이 매우 우수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lifting type temporary work bench equipped with the variable guide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guide bracket according to the required separation interval, and thus the guide used in the lower floor in relation to using the guide bracket manufactured in a predetermined dimension. Since the brackets can be repeatedly used on upper layers of different lengths, the invention can be said to be an excellent invention in terms of practicality in terms of improving workability and reducing materia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벽 작업용 가변형 가이드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guide bracket for building exterior wall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벽 작업용 가변형 가이드 브라켓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ed state of the variable guide bracket for building exterior wall work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벽 작업용 가변형 가이드 브라켓이 가이드 레일과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ariable guide bracket for building exterior wall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ed with the guide rail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벽 작업용 가변형 가이드 브라켓의 변형상태도4a to 4b is a modified state of the variable guide bracket for building exterior wall work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벽 작업용 가변형 가이드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의 변형상태도5a to 5b is a modified stat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variable guide bracket for building exterior wall work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고정유니트 20 ... 이동유니트10 ... fixed
30 ... 브라켓해드 40 ... 가이드 레일30 ...
50 ... 고정핀50 ... push pin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2382A KR100904185B1 (en) | 2007-10-11 | 2007-10-11 | Adjustable guide brackets for building exterior wall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2382A KR100904185B1 (en) | 2007-10-11 | 2007-10-11 | Adjustable guide brackets for building exterior wall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37021A true KR20090037021A (en) | 2009-04-15 |
KR100904185B1 KR100904185B1 (en) | 2009-06-22 |
Family
ID=40761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02382A KR100904185B1 (en) | 2007-10-11 | 2007-10-11 | Adjustable guide brackets for building exterior wall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04185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2528B1 (en) * | 2010-10-14 | 2011-06-20 | 주식회사 콘솔에스더블유씨 | Builder's Cage with Expansion |
KR102101779B1 (en) * | 2019-03-29 | 2020-04-20 | 구본영 | A Cage lifting system for building construction with slide footrest unit |
KR102523949B1 (en) | 2021-11-01 | 2023-04-19 | 김현성 | Guide Apparatus of Panel Construc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on u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112661A (en) * | 2000-06-09 | 2001-12-21 | 김성호 | an advertising method using packing materials and an advertising goods thereof |
KR100483898B1 (en) * | 2002-05-11 | 2005-04-18 | 손경식 | Rail handrail clamping device of construction site |
JP4038130B2 (en) * | 2003-01-15 | 2008-01-23 | ジャパン スチールス 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 Multi-story working device and its working method |
KR100814753B1 (en) * | 2005-09-15 | 2008-03-19 | (주) 콘스텍 | Formwork and work table combined construction structure and side ope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
-
2007
- 2007-10-11 KR KR1020070102382A patent/KR100904185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2528B1 (en) * | 2010-10-14 | 2011-06-20 | 주식회사 콘솔에스더블유씨 | Builder's Cage with Expansion |
KR102101779B1 (en) * | 2019-03-29 | 2020-04-20 | 구본영 | A Cage lifting system for building construction with slide footrest unit |
KR102523949B1 (en) | 2021-11-01 | 2023-04-19 | 김현성 | Guide Apparatus of Panel Construc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on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04185B1 (en) | 2009-06-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60260238A1 (en) | Refinement to the construction systems for structures in reinforced concrete or some other material of high-precision intergral modular forms | |
KR100812551B1 (en) | Slab formwork support bar for easy disassembly | |
AU2014250639B2 (en) |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and lifting device | |
AU2011220333B2 (en) | Removable barrier for location on an upper portion of a wall | |
KR20190114731A (en) | Apparaurs for constructing slab of building and method for the same | |
WO2011002120A1 (en) | Composite cage for construction | |
KR100839352B1 (en) | Elevated formwork with horizontal adjustment an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0731315B1 (en) | Gangform guide member and moving formwork system using the same | |
KR100777937B1 (en) | Guide Wall Bracket for Finishing Exterior Wall | |
US11585080B2 (en) | Balcony installation | |
KR100904185B1 (en) | Adjustable guide brackets for building exterior walls | |
KR102033453B1 (en) | Method for Construction Threshold of Gate for Elevator Cabin | |
KR20070000811U (en) | Gangform Lift Induction Machine | |
US20100005736A1 (en) | Method of concrete building construction and adjustable brace system therefor | |
TW201912904A (en) | Method of outer wall cantilever construction platform capable of smoothening the movement flow of the construction site,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 |
KR100901016B1 (en) | Exterior Wall Scaffolding Safety Bracket of Building | |
KR101033530B1 (en) | Safety kit for supporting ceiling formwork | |
KR200426297Y1 (en) | Protective Cages for Construction Workers | |
AU2017268495A1 (en) | Scaffolding System | |
KR20090064518A (en) | Safety stairs | |
CN220036212U (en) | Safety protection platform for elevator shaft | |
JPH0874361A (en) | Fixture for mounting external wall material and method of laminating high-and-medium-rise building by using the same | |
JP2007138416A (en) | Climbing construction method of external protective unit | |
KR101048155B1 (en) | Formwork Work Platform Connector | |
CN219100652U (en) | Protection operation platfor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6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6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7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