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937B1 - Construcion safety working cage with scaffold - Google Patents
Construcion safety working cage with scaffol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77937B1 KR100777937B1 KR1020060054911A KR20060054911A KR100777937B1 KR 100777937 B1 KR100777937 B1 KR 100777937B1 KR 1020060054911 A KR1020060054911 A KR 1020060054911A KR 20060054911 A KR20060054911 A KR 20060054911A KR 100777937 B1 KR100777937 B1 KR 1007779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ge
- building
- scaffold
- protective
- guide rai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8000009435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730 finish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ZVAJINKPMORJF-UHFFFAOYSA-N Acetaminophen Chemical compound CC(=O)NC1=CC=C(O)C=C1 RZVAJINKPMOR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work tool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19—Means supported by the building wall, e.g. security conso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호 케이지를 건물 외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tective c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utside the building.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 케이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protective c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호 케이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Figure 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protective c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에서의 가이드브라켓과 가이드레일에 대한 결합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detail for the guide bracket and the guide rail in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에서의 가이드브라켓에 대한 상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guide bracket in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의 방호 케이지를 활용하여 외벽 마감 공사를 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process for finishing the outer wall utilizing the protective cag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본 발명에 따른 방호 케이지1: protective c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 케이지프레임 20 : 방호스크린10: cage frame 20: protective screen
30 : 가이드레일 32 : 고정홀30: guide rail 32: fixing hole
35 : 걸림후크 40 : 작업발판35: hook hook 40: working step
50 : 가이드브라켓 51 : 브라켓 바디50: guide bracket 51: bracket body
52 : 브라켓 헤드 52' : 지지홀52: bracket head 52 ': support hole
53 : 브라켓 받침 54 : 가이드 휠53: bracket base 54: guide wheel
55 : 걸림레버 56 : 안전핀55: locking lever 56: safety pin
58 : 앵커볼트58: anchor bolt
본 발명은 고층 건축물을 건축함에 있어 시공하고자 하는 건물 구조체의 외부 측면에 설치되어서 작업자의 추락사고 및, 건설자재, 공구 또는 분진 등과 같은 위험/공해 물질의 낙하와 비산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와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건축공사용 방호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벽 일부에 해당하는 크기로 만들어져 이를 건축 공사의 진척도에 따라 상하로 이동 배치해 가면서 사용하는 승강식 건축공사용 안전 시설물에 있어서, 케이지의 형태로 구성되어 건물 외부 작업공간이 확보됨과 더불어 내부측에는 작업발판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낙하물 방지 기능은 물론 건물 외벽면에 대한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개선된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building structure to be constructed in the construction of high-rise buildings, safety accident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by preventing accidents and falling and scattering of dangerous / pollutants such as construction materials, tools or dust Regarding the protection facilities for construction workers for preventing the damage, More specifically, in the lifting construction safety facilities for construction used to the size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moving them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onstruction work, It is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cage to secure the working space outside the building, and the inside scaffold is provided with an integrated work scaffold to prevent the falling objects and improve the construction worker's protective cage for convenient work on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It is about.
일반적으로 건물 밀집도가 높고 지가 수준이 높은 도심지 등에 건축되는 건축물들은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최근 들어 급속히 고층화 되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이 건물이 고층화됨에 따라 그 시공에 있어서 공사 진행중에 건물 내부로부터 각종 건자재, 작업공구, 분진 등이 외부로 추락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불의의 추락 또는 낙하 사고로 인한 인명, 재산피해 및 환경오염 등을 방지하기 위해 기존에도 여러 가지 방식의 가설 안전 시설물이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buildings built in urban areas with high density of buildings and high land prices have been rapid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for efficient use of land. As the building becomes taller, various construction materials, work tools, dust, etc. fall from the inside of the building to the outside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In order to prevent damag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many existing temporary safety facilities have been used.
이러한 건축공사용 안전 시설물들의 경우, 기존에는 건물 골조의 외측에 천막이나 방진망을 묶어 설치하거나 혹은 건물 골조의 외부측에 프레임을 가설하고 이 프레임에 방진망 등을 고정 설치하는 등의 방식이 주로 적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는 가설공사의 효율성 제고라는 관점에서 건물의 외벽 일부에 해당하는 크기로 안전펜스를 제작하고 이를 건축 공사의 진척도에 따라 상하로 이동 배치해 가면서 필요한 부위를 방호, 방진하여 주는 승강식 건축공사용 안전 펜스가 개발되어 그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In the case of such safety facilities for building construction,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installing a tent or a dustproof net tied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frame or installing a frame on the outside of the building frame and fixing the dustproof net to the frame are mainly applied. . However, in recent year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nstruction work, a safety fence is manufactured to a size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it is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onstruction work to protect and dust the necessary parts. Construction safety fence has been developed and its use is gradually increasing.
상기와 같은 승강식 건축공사용 안전 펜스의 경우, 현재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승강식 안전 펜스의 구체적인 구성들은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0-32159호, 제98-15106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10940호 등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safety fence for the lifting construction work as described above, various types are currently being developed and used, and specific configurations of the lifting safety fence are, for example, Korean Patent Application Nos. 2000-32159 and 98-15106, and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s. 2000-10940, etc. can be easily confirmed.
상기한 선행 기술들의 경우, 그 개별적인 구성은 세부적인 면에서 각각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건축물의 외부(혹은 안전펜스)에 수직 유도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안전펜스를 상부로부터 타워 크레인이나 별도의 인양 수단을 이용하여 끌어 올리면, 안전펜스가 건물 외부면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the individual configuration is different in detail, but basically, as shown in Fig. 1, a vertical induction rail is installed on the exterior (or safety fence) of the building and the safety fence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When raised from the tower crane or using a separate lifting means, the safety fence is configured to move vertically along the exterior surface of the building.
이러한 기존의 승강식 안전펜스들은, 건축 공사의 진척도에 맞추어 건축 골조의 외벽을 타고 승강 이동되는 구성을 갖추고 있음에 따라 건물의 필요한 부위에서 분진의 비산 방지와 산재 예방을 수행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볼 때 가설공사비의 절감 및 공기 단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 These existing lifting safety fences are construct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outer wall of the construction frame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the construction work. It had the advantage of getting the effect of saving and shortening the air.
그런데, 이러한 기존의 승강식 안전펜스들의 경우, 낙하물 방지나 비산 방지의 기능면에서는 큰 문제가 없으나 작업 효율성의 면에서, 특히 석공사나 커튼월 공사 등과 같이 건물의 외측에 행해지는 외장 공사 등에서는 안전펜스의 설치로 인해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거나 작업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기존의 승강식 안전펜스들의 경우, 추락 및 분진 비산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건물 외측면에 거의 밀착되게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이 건물에 근접하게 설치된 안전펜스로 인해 외부측 작업의 수행에 지장이 있었으며, 따라서, 외부 작업시에는 안전펜스를 철수하고 건물 외측으로 작업발판과 안전시설 등을 가설하여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였는바, 이로 인해 가설비용 및 공기가 추가로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By the way, the existing lifting safety fence is not a big problem in terms of the function of the prevention of falling objects and scattering prevention, but in terms of work efficiency, in particular in the exterior construction such as masonry, curtain wall construction, etc.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fenc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ork efficiency is reduced or the work is practically impossible. That is, in the case of the existing lifting safety fence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effectively prevent falling and dust scattering, etc., it should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There was a problem in performance. Therefore, when working outside, it was necessary to withdraw the safety fence and install work scaffolding and safety facilities outside the building, which required additional equipment and air. .
일예로서 커튼월 공사를 예를 들면, 커튼월 패널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건물 외측 선단부에 고정철물 및 패널 고정용 멀리온 등을 설치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전펜스를 사용하는 경우, 이 안전펜스의 설치로 인해 건물 외면에 멀리온 등을 설치할 여유 공간 및 작업자의 작업 공간이 없어지므로 상기 안전펜스를 이동시키지 않고서는 실질적으로 설치 작업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For example, in order to install a curtain wall panel, for example, in order to install a curtain wall panel, it is necessary to install fixing hardware and a faron for fixing the panel at the outer end part of the building.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safety fence, there is no free space for installing far-on and the lik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and the work space of the worker, so that the installation work is practically impossible without moving the safety fenc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건설공사용 승강식 안전펜스들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건축 공사의 진척도에 따라 상하로 이동 배치해 가면서 사용하는 승강식 건축공사용 안전 시설물로서, 작업자의 추락사고 및 작업장으로부터 각종 자재나 분진 등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케이지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작업발판이 구비됨으로써 건물 외부작업을 위해 별도의 가설 시설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될 뿐 아니라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시킬 필요 없이 건물 외부작업이 가능하므로 가설 공사비 및 공사 기간 등을 절감할 수 있는 개선된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shown in the conventional safety lifting type safety fence for construction as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building construction lifting construction worker use As a safety facility, it prevents the fall of workers and scattering of various materials and dusts from the workplace, as well as in the form of a cage and is equipped with a work platform inside, so that a separate temporary facility is not installed for work outside the building. It is a technical problem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n improved construction protective cage for construction work that can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period, because it is possible to work outside the building without moving in the installed stat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는, 고층 건축물의 외부 측면에 승강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에 있어서,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1개층 또는 2개층 이상에 해당하는 높이와, 소정의 폭 및 깊이를 갖도록 짜여진 케이지프레임과; 상기 케이지프레임의 외측면을 막을 수 있도록 설치된 방호스크린과; 상기 케이지프레임의 내측면에 일체로 설치된 세로 방향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케이지프레임의 내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며, 회동이 가능하게 고정되어 필요에 따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설치된 작업발판;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위치고정하고 승강을 안내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외측 선단에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본적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building construction protective cag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ilding construction protective cage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a high-rise building so as to be movable on one or two or more floors of a building to be constructed. A cage frame woven to have a corresponding height and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A protective screen installed to block the outer surface of the cage frame; A longitudinal guide rail integrally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age frame; A work scaffol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ge frame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work scaffold being installed to be folded or unfolded as needed to be pivotable; And a guide bracket fixedly installed at an outer end of the building to fix the position of the guide rail and guide the ascent of the guide rail.
삭제delete
이하, 상기와 같은 본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2는 본 발명의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호 케이지는 기본적으로, 소정의 높이와 폭 및 깊이를 갖도록 짜여진 케이지프레임(10)과, 상기 케이지프레임(10)의 외면을 막아주는 방호스크린(20)과, 상기 케이지프레임(10)의 내측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30)과, 상기 케이지프레임(10)의 내측면에 설치된 작업발판(40) 및, 건물 구조체(S)의 외측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3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브라켓(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uilding construction protective cag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protective cag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케이지프레임(10)은 소정 규격의 단위체로 제작되어 본 발명 방호 케이지(1)의 전체적인 외곽 형태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는 통상적인 철골 부재, 예컨대 각 파이프를 비롯하여 채널 형강이나 H-형강 등을 사용하여 격자형과 같은 형태로 조립 제작될 수 있다.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케이지프레임(10)의 크기로는 시공하고자 하는 건물의 규모 등 제반 현장 여건을 감안하여 적절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일반적인 건물의 경우라면 대략 가로폭의 경우 6m ~ 15m 정도로 할 수 있으며, 높이의 경우 대략 건물 2 ~ 4개층 정도를 커버할 수 있는 높이로 하고, 깊이의 경우 0.6 ~ 1.2m 정도로 하면 적당하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건물의 3개층을 커버할 수 있는 높이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 구체적인 크기는 현장 여건에 맞춰 임의로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격자형으로 조립 형성된 케이지프레임(10)은 필요에 따라 턴 버클이나 브레이싱(bracing) 등에 의해 구조 보강되는 것도 충분히 고려할 수 있다.As the size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케이지프레임(10)에는 방호 스크린(20)이 설치되어 케이지프레임(10)의 외부면을 막아 줌으로서 건축물을 외부와 차폐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방호 스크린(20)은 본 발명의 방호 케이지(1)의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단순 추락 방지나 낙하물 방지의 목적이라면 PE 네트나 철망 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고, 먼지나 내화 피복의 비산 방지의 목적이라면 텐트 등이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한편, 상기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는 기존의 승강식 안전 펜스들에서와 같이, 공사중인 건축물의 외벽면에 배치되어 건물 내부와 외부를 차단시켜 추락이나 낙하 및 내화피복의 비산 등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되되 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건축 공사의 진척도에 맞추어 상하로 이동 배치해 가면서 필요한 부위를 방호/방진하여 주는 것으로서, 본 발명 역시 이와 같은 상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30)과 가이드브라켓(50)을 포함한 승강 유도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Meanwhile, the protective cage for construction work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under construction, as in the conventional lifting safety fences, and blocks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o prevent falling or falling and scattering of fireproof coating. It is us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but it is not fixed to one position, but to protect and dust the necessary parts while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building construc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allows the guide rail ( 30) and the lifting guide means including the
즉, 본 발명 방호 케이지의 구성 및 설치 상세를 도시한 도3을 참조하면, 상기한 케이지프레임(10)의 내측면에는 세로 방향으로 길게 가이드레일(30)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건물 구조체(S)의 슬래브 단부에는 가이드브라켓(50)이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30)의 위치 고정 및 승강 안내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30)로는 통상의 H-형강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150×100×6×9 규격의 H-형강이 사용되었으며, 이 밖에도 현장 여건에 따라 다른 규격의 H-형강이나 I-형강, C-채널 등 다른 형태의 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That is, referring to Figure 3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installation details of the protective ca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레일(30)은 케이지프레임(10)의 전체 높이 중 일부 부분에만 설치되어 있는데(전체 3개층 높이 중 대략 가운데 2개 층에 해당하는 길이), 이는 굳이 전 높이에 걸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승강 이동에는 별다른 지장이 없음을 고려하여 자재 절약 및 자중 감소의 차원에서 채택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서는 전체 높이에 걸쳐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레일(30)은 케이지프레임(10)의 양측에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이 가이드레일의 갯수 역시 필요에 따라 그 이상의 갯수로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가이드레일(30)의 위치 고정 및 원활한 유도와 승강 이동을 위해 건물 구조체(S)의 외측 선단부에는 가이드브라켓(50)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30)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브라켓(50)은 또한 본 발명의 방호 케이지(1)의 자중을 지지하여 설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 브라켓(bracket)으로서의 역할도 하는 것으로, 이러한 가이드브라켓(5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4 및 도5에 도시되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bracket (50) is fixed to the outer end of the building structure (S)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도4 및 도5에 도시된 가이드브라켓에 대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브라켓(50)은 크게 브라켓 바디(51)와, 이 브라켓 바디(51)의 외측 선단부에 볼트 등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브라켓 헤드(52)와, 상기 브라켓 헤드(52)의 선단부에 축설치된 가이드휠(5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면 중 미설명 식별부호 53은 안정된 설치를 위해 까치발 형태로 브라켓 헤드(52)의 하부를 받쳐 주는 브라켓 받침을 도시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guide bracket shown in FIGS. 4 and 5, the
상기 브라켓 바디(5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구조체(S)의 슬래브 단부 상에 앵커 볼트(58)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이 브라켓 바디(51)는 채 널 형강과 강판 등을 조립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 바디(51)의 선단부에는 가이드휠(54)이 구비된 브라켓 헤드(52)가 연결되는데, 이 브라켓 헤드(52)는 브라켓 바디(51)와는 볼트 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원하는 경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해당층의 작업이 완료되어 방호 케이지를 이동하고 난 후 상기 브라켓 헤드(52)를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시공 오차 등으로 인해 가이드브라켓(50)과 가이드레일(30)의 위치가 맞지 않는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브라켓 바디(51)와의 사이에 강판이나 고무패드 등을 끼워 넣어 결합함으로써 용이한 위치조절 및 오차보정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The
또한, 상기 브라켓 헤드(52)의 선단부에 장착된 가이드휠(54)은 승강 이동시 가이드 레일(30)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휠(54)은 H-형강 가이드레일(30)의 웨브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되어 가이드레일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면서 원활한 승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브라켓(50)은 본 발명의 방호 케이지(1)의 자중을 지지하여 견고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 브라켓으로서의 역할도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케이지의 고정을 위해 상기 브라켓 헤드(52)에는 지지홀(52')이 천공되어 있으며, 이와 더불어 상기 가이드레일(30)의 대응 위치에는 고정홀(30')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방호 케이지를 이동 설치함에 있어서는 타워 크레인이나 윈치 등 인양 수단을 이용하여 케이지 본체를 원하는 설치 장소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고정홀(30')과 지지홀(52')을 관통하도록 지지고정핀(60)을 끼워 넣어 고정시키게 되며, 이로써 이 지지고정핀(60)에 의해 전체적인 자중이 지지되어 안정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30)에 형성된 고정홀(3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를 형성함으로써 설치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Accordingly, in moving and installing the protective ca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ge main body is positioned at a desired installation site using a lifting means such as a tower crane or a winch, and then penetrates the fixing hole 30 'and the support hole 52'. The
나아가,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도4에 도시된 것과 같이상기 가이드레일(30)의 내측면에는 걸림후크(35)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브라켓(50)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걸림후크(35)가 걸림될 수 있는 형태의 회동 가능한 걸림레버(55)가 더욱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후크(35)와 걸림레버(55)는 시공 현장에서 본 발명의 방호 케이지를 사용함에 있어 불의의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비상 안전장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만일 설치중 또는 설치된 이후에 외부 충격이나 과실 등으로 인해 방호 케이지가 낙하하는 경우, 상기 걸림후크(35)가 걸림레버(55)에 걸려 낙하가 저지됨으로써 대형 안전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Further, as a more preferable configura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inner surface of the
이를 위해 상기 걸림레버(55)의 하부측에는 안전핀(56)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걸림레버(55)의 하향 회전이 방지되고, 반대로 상향 회전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방호 케이지를 끌어 올릴 때에는 상기한 걸림후크(35)가 걸림레버(55)를 밀어 올리면서 저항 없이 상승할 수 있으며, 불의의 낙하시에는 상기 걸 림후크(35)가 그 아래에 위치된 걸림레버(55)에 걸려지고, 이 때 걸림레버(55)는 하부의 안전핀(56)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회전이 억제되어 낙하를 저지하는 스토퍼(stopper)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o this end, the
한편,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케이지프레임(10)의 내측에는 작업발판(40)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작업발판(40)은 도2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프레임(10)의 안쪽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형강 부재 및 익스팬디드 메탈 등을 조합하여 대략 0.6 ~ 1.2m 정도의 폭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main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대체로 평면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던 종래의 승강식 안전 펜스들과 비교할 때, 소정의 폭과 높이와 함께 깊이를 갖는 입체 케이지(cage)의 형태로 되어 있음로써 건물 구조체의 외부측으로 소정의 작업 공간이 제공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케이지프레임(10)의 내부에는 작업발판(40)이 구비됨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외부 작업 및 자재의 적치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게 되면, 본 발명의 방호 케이지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외벽 마감작업을 위해 이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며, 또한 건물 외부 작업을 위해 별도의 가설 작업발판 및 안전난간 등을 설치하지 않고도 석공사나 커튼월 공사와 같은 건물 외벽에 대한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가설공사에 드는 비용 및 시간 등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a three-dimensional cage having a depth with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lifting safety fences, which are generally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lane, and thus toward the outside of the building structure. A predetermined working space is provided, and at the same time, since the working
나아가, 상기 작업발판(40)은 케이지프레임(10) 내측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 로 설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업발판(40)을 회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 접거나 펼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도3 참조). 이와 같이 작업발판을 절첩 가능하게 구성하게 되면, 상기 작업발판(40)을 접어 올렸을 때 건물 구조체로부터 이격된 공간이 생기게 되므로 이 공간을 통해 석재 패널이나 커튼월 패널 등을 끌어올릴 수 있어 자재 이동 공간 등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Further, the working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호 케이지는 기존의 안전 펜스들과 비교할 때, 기존의 안전 펜스들이 단순히 추락방지, 낙하물 방지, 분진 비산방지 등을 위한 안전 시설물로서만 기능하였던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의 경우 기존의 안전 펜스로서의 일반적인 개념을 탈피, 기본적인 안전 시설물의 기능은 물론이거니와 이를 작업 시설물(scaffold)로서의 기능을 함께 가질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며,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외벽 마감 작업에 있어 매우 유리한 효과 및 장점을 가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otective cag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afety fences, whereas the existing safety fences merely functioned as safety facilities for fall prevention, falling object prevention, dust scattering prevention, and the lik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afety fence is to break away from the general concept of safety facilities, as well as to implement it to have a function as a work (scaff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in the exterior wall finishing work It has advantageous effects and advantages.
도6에는 이러한 본 발명의 방호 케이지를 활용하여 외벽 마감 공사를 하는 공정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사용할 경우의 장점이 더욱 명확하게 나타날 수 있다.Figure 6 shows the process of finishing the outer wall utilizing the protective cag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is can be seen more clearly the advantages of using the present invention.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이용한 외벽마감 공법에 대한 일례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방호 케이지를 건물 외벽 주위에 설치한 경우, 방호 케이지(1)와 건물 구조체(S) 사이에는 대략 30 ~ 50cm 정도의 이격 공간이 생기게 된다. Referring to Figure 6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n example of the outer wall finishing metho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In general, when the protective c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roun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space between the protective cage (1) and the building structure (S) is approximately 30 ~ 50cm.
상기와 같이 방호 케이지가 설치된 상태에서, 외벽 마감재(P; 예컨대 커튼월 패널)를 상부로부터 윈치(W) 등의 인양장비를 활용하여 상기 건물 구조체와 방호 케이지 간의 이격 공간을 통해 아래로 내려 원하는 층고까지 이송시킨다. 이 때, 상기 방호 케이지(1)의 작업발판(40) 상에는 작업자가 대기하고 있다가 위에서 마감패널(P)이 내려오는 것을 받아 이를 건물 구조체(S) 외벽에 취부하게 된다. (이 때, 본 발명 방호 케이지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 발판이 들려질 수 있으므로 이격 공간이 충분하지 않을 시에는 윗쪽 작업 발판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패널을 이송하여도 좋다)In the state where the protective cage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wall finishing material (P; curtain wall panel) from the top down using the lifting equipment such as winch (W) from the top down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building structure and the protective cage desired floor height Transfer until At this time, the worker is waiting on the working
기존의 경우에서라면, 이러한 외벽 마감 작업을 위해서는 일단 건물 구조체 주변에 설치된 안전 펜스들을 다른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건물 외부에 별도로 가설 비계를 설치하여야 외벽 마감공사가 가능하였겠지만, 이상과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호 케이지의 경우 안전 시설물과 작업 시설물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별도의 가설 비계 등을 설치할 필요 없이 그 설치된 상태에서 외벽 마감작업까지 가능하게 되는바,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벽 마감 작업에 있어 공사 기간과 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In the existing case, for the exterior wall finishing work, the safety fences installed around the building structure must be moved to another location, and then the temporary wall scaffolding should be installed outside the building. In the case of the protective cag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act as a safety facility and work facilities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finish the outer wall in the installed state without the need to install a separate temporary scaffold, et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st in the exterior wall finishing work.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 연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addition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ed embodiments are also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below.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에 따르면, 작업자의 추락사고 및 작업장으로부터 각종 자재나 분진 등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입체 케이지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작업발판이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건물 외부작업을 위해 별도의 가설 시설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될 뿐 아니라,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시킬 필요 없이 건물 외부면에 대한 작업이 가능하므로 가설 공사비 및 공사 기간 등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otective cage for construction work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preventing the scattering of workers and the scattering of various materials and dusts from the workplace, it is made in the form of a three-dimensional cage and the working scaffold is It is not only necessary to install additional temporary facilities for the external work of the building, but also works on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without having to move it in the installed state, thereby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period. There is.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4911A KR100777937B1 (en) | 2006-06-19 | 2006-06-19 | Construcion safety working cage with scaffol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4911A KR100777937B1 (en) | 2006-06-19 | 2006-06-19 | Construcion safety working cage with scaffold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16461U Division KR200426297Y1 (en) | 2006-06-19 | 2006-06-19 | Construcion safety working cage with scaffol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77937B1 true KR100777937B1 (en) | 2007-11-22 |
Family
ID=39080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54911A KR100777937B1 (en) | 2006-06-19 | 2006-06-19 | Construcion safety working cage with scaffol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77937B1 (en)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4186B1 (en) * | 2008-08-26 | 2009-06-22 | 이송복 | The safety fence with suooprted foot step using in custruction site |
ES2349965A1 (en) * | 2008-06-19 | 2011-01-13 | Fco. Javier Resa Gaujot | Support for construction safety system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
WO2014000034A1 (en) | 2012-06-26 | 2014-01-03 | Form 700 Pty Ltd | Improved frame for climbing screen |
CN103883123A (en) * | 2012-12-21 | 2014-06-25 | 中建四局第五建筑工程有限公司 | Method for simultaneous construction on upper main concrete and lower internal and external decoration and cantilever rack |
KR200477610Y1 (en) * | 2014-12-31 | 2015-07-02 | 강영호 | A scaffold of a construction work |
KR101796138B1 (en) * | 2016-03-04 | 2017-11-10 | 일웅이엔지(주) | Lifting devices |
CN110219451A (en) * | 2019-07-10 | 2019-09-10 | 河北亿安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 Main body construction and finishing synchronization job lifting protective platform and operational method |
CN115874862A (en) * | 2023-01-17 | 2023-03-31 | 国建华中建设有限公司 | Construction protection fence for building energy-saving reconstruction and protection method thereof |
KR102572551B1 (en) * | 2022-09-22 | 2023-08-30 | 주식회사 에스투아이엔지니어링 | Installation method of fire evacuation facility installed in outdoor room of high-rise building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32898A (en) * | 1994-02-22 | 1995-09-05 | Takenaka Komuten Co Ltd | Outer wall unit attaching device |
JPH07310438A (en) * | 1994-05-18 | 1995-11-28 | Nippon Kasetsu Kk | Curing frame unit |
KR200198526Y1 (en) | 2000-04-11 | 2000-10-02 | 주식회사신영 | Suspensor for dust protector wherein construction works |
JP2002115393A (en) | 2000-10-06 | 2002-04-19 | Maeda Corp | Elevating external curing device |
JP2003105967A (en) | 2001-09-28 | 2003-04-09 | Alinco Inc | Temporary scaffolding |
KR200389401Y1 (en) | 2005-04-11 | 2005-07-14 | 금강공업 주식회사 | Guide device for a climbing typed construction frame |
-
2006
- 2006-06-19 KR KR1020060054911A patent/KR10077793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32898A (en) * | 1994-02-22 | 1995-09-05 | Takenaka Komuten Co Ltd | Outer wall unit attaching device |
JPH07310438A (en) * | 1994-05-18 | 1995-11-28 | Nippon Kasetsu Kk | Curing frame unit |
KR200198526Y1 (en) | 2000-04-11 | 2000-10-02 | 주식회사신영 | Suspensor for dust protector wherein construction works |
JP2002115393A (en) | 2000-10-06 | 2002-04-19 | Maeda Corp | Elevating external curing device |
JP2003105967A (en) | 2001-09-28 | 2003-04-09 | Alinco Inc | Temporary scaffolding |
KR200389401Y1 (en) | 2005-04-11 | 2005-07-14 | 금강공업 주식회사 | Guide device for a climbing typed construction frame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2349965A1 (en) * | 2008-06-19 | 2011-01-13 | Fco. Javier Resa Gaujot | Support for construction safety system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
KR100904186B1 (en) * | 2008-08-26 | 2009-06-22 | 이송복 | The safety fence with suooprted foot step using in custruction site |
EP2864564A4 (en) * | 2012-06-26 | 2015-12-23 | Form 700 Pty Ltd | Improved frame for climbing screen |
WO2014000034A1 (en) | 2012-06-26 | 2014-01-03 | Form 700 Pty Ltd | Improved frame for climbing screen |
CN103883123B (en) * | 2012-12-21 | 2016-04-13 | 中建四局第五建筑工程有限公司 | The method that upper body concrete and bottom interior and exterior finishes are constructed simultaneously and suspension scaffold |
CN103883123A (en) * | 2012-12-21 | 2014-06-25 | 中建四局第五建筑工程有限公司 | Method for simultaneous construction on upper main concrete and lower internal and external decoration and cantilever rack |
KR200477610Y1 (en) * | 2014-12-31 | 2015-07-02 | 강영호 | A scaffold of a construction work |
WO2016108475A1 (en) * | 2014-12-31 | 2016-07-07 | 강영호 | Foothold using panels |
KR101796138B1 (en) * | 2016-03-04 | 2017-11-10 | 일웅이엔지(주) | Lifting devices |
CN110219451A (en) * | 2019-07-10 | 2019-09-10 | 河北亿安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 Main body construction and finishing synchronization job lifting protective platform and operational method |
CN110219451B (en) * | 2019-07-10 | 2024-02-27 | 河北亿安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 Lifting protection platform for main body construction and decoration synchronous operation and operation method |
KR102572551B1 (en) * | 2022-09-22 | 2023-08-30 | 주식회사 에스투아이엔지니어링 | Installation method of fire evacuation facility installed in outdoor room of high-rise building |
CN115874862A (en) * | 2023-01-17 | 2023-03-31 | 国建华中建设有限公司 | Construction protection fence for building energy-saving reconstruction and protection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77937B1 (en) | Construcion safety working cage with scaffold | |
JP7547047B2 (en) | Safety Rail System | |
KR100260648B1 (en) | Safe fence for construction | |
WO2011002120A1 (en) | Composite cage for construction | |
JP4462441B2 (en) | Scaffolding / supporting equipment | |
KR20130068880A (en) | Construction scaffold safety foothold | |
CN110259088B (en) | Method for erecting external protection scaffold of building with twisted vertical face | |
RU2400609C2 (en) | Complex system of accident prevention support in construction | |
JP6603824B2 (en) | Upper scattering prevention curing system and upper scattering prevention curing method at the time of multi-story building dismantling | |
KR200426297Y1 (en) | Construcion safety working cage with scaffold | |
CN213418443U (en) | Self-climbing type elevator shaft operation platform | |
KR20110094720A (en) | Composite cage for construction | |
KR101051819B1 (en) | Removable temporary fence | |
KR200430674Y1 (en) | High place working gondola in building | |
KR100301573B1 (en) | Safety fence for building construction | |
KR100901016B1 (en) | Safety bracket to external wall scaffolding for a structure | |
JP3950800B2 (en) | Suspension scaffold | |
EP1854940A1 (en) | Scaffolding | |
KR101796138B1 (en) | Lifting devices | |
CN210482970U (en) | Extension formula elevartor shaft construction operation protection platform | |
KR200288007Y1 (en) | Rail railing (scaffolding) clamping device in the construction site. | |
CN210239201U (en) | Cart type elevator wellhead and hoistway protection device | |
JP2005163355A (en) | Horizontally moving scaffold | |
NZ336959A (en) | Scaffolding | |
JP2801520B2 (en) | Excavation method and equipment for steep slo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J206 |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 ||
J121 |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 ||
J206 |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 ||
J121 |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10823 Effective date: 2011110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110000201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10823 Effective date: 20111101 |
|
J2X1 |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
|
J206 |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20111 Effective date: 2012060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100000102;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20111 Effective date: 20120607 |
|
J302 |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11205 Effective date: 20120824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1200011699;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11205 Effective date: 20120824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21008 Effective date: 20130212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13000017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21008 Effective date: 201302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13 |
|
J206 |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