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6968A - 원격 문서 편집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문서 편집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6968A
KR20090036968A KR1020070102285A KR20070102285A KR20090036968A KR 20090036968 A KR20090036968 A KR 20090036968A KR 1020070102285 A KR1020070102285 A KR 1020070102285A KR 20070102285 A KR20070102285 A KR 20070102285A KR 20090036968 A KR20090036968 A KR 20090036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iting
document
external resource
command
docum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7664B1 (ko
Inventor
정성호
노병욱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2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664B1/ko
Publication of KR20090036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terconnection network, e.g. matrix, shuffle, pyramid, star, snowflake
    • G06F15/17306Intercommunication techniques
    • G06F15/17331Distributed shared memory [DSM], e.g. remote direct memory access [RDM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원격 문서 편집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인터페이스부는 편집 명령 및 문서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출력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편집부는 입력된 문서 편집 명령에 따라 문서 데이터를 편집한다. 커넥터는 외부 리소스에 접속을 제공한다. 제어부는 입력된 문서 편집 명령에 따라 커넥터를 통하여 편집된 문서 데이터를 외부 리소스에 저장하거나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출력하고, 외부 리소스에 저장된 문서 데이터를 오픈하여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문서 편집 장치 및 발명에 의하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공하여 서버환경 및 명령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단말기에서 그래픽을 통해 서버에 저장된 파일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편집하고 서버를 제어할 수 있다.
원격, 편집, GUI, 서버

Description

원격 문서 편집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remote paper}
본 발명은 원격 문서 편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문서인 원격 문서를 편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단말기에서 텔넷(Telnet) 서비스를 이용하여 유닉스(UNIX) 계열의 서버에 접속하여 서버에 저장된 파일을 편집하거나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텔넷(Telnet) 서비스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서버에 저장된 파일을 편집하기 위해 사용되는 편집용 프로그램으로 vi, vim, ed, ex 등이 있다. vi, vim, ed, ex 중 vi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편집용 프로그램이다. 사용자는 텔넷(Telnet) 서비스를 이용하여 유닉스(UNIX) 계열의 서버에 접속한 후 vi를 실행시키고, 실행된 vi를 통해서 편집할 파일을 열고, 파일을 편집한 후에 편집된 파일을 저장하는 과정을 통해 서버에 저장된 파일을 편집하게 된다. 사용자가 vi를 통해 파일을 편집 위해서는 키보드로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는 명령어 입력방식으로 vi를 조작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vi의 명령어와 조작 방법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만 용이하게 서버 에 저장된 파일을 편집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에서 초보자가 vi를 이용하여 서버에 저장된 파일을 편집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유닉스(UNIX) 계열의 운영체제는 C언어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유닉스(UNIX) 계열의 운영체제에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컴파일러는 C언어 컴파일러이다. 따라서 C언어로 제작된 프로그램은 유닉스(UNIX) 계열의 운영체제와 용이하게 연동가능하며, 유닉스(UNIX) 계열의 운영체제에 제공하는 컴파일러를 통해 컴파일되어 유닉스(UNIX) 계열의 운영체제상의 응용프로그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소스코드에 큰 수정 없이 일반 윈도우 계열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컴파일러를 통해 컴파일 되면 윈도우 계열 운영체제상의 응용프로그램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C언어는 하위 레벨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능부터 상위 레벨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능까지 폭넓게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공하여 서버 명령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단말기에서 그래픽을 통해 서버에 저장된 파일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편집하고 서버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 문서 편집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단말기에서 그래픽을 통해 서버에 저장된 파일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편집 및 서버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 문서 편집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문서 편집 장치는, 문서 편집 명령 및 문서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출력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문서 편집 명령에 따라 상기 문서 데이터를 편집하는 편집부; 외부 리소스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 및 상기 문서 편집 명령에 따라 상기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편집된 문서 데이터를 상기 외부 리소스에 저장하거나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출력하고, 상기 외부 리소스에 저장된 문서 데이터를 오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외부 리소스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인 터미널을 더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미널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외부 리소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외부 리소스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외부 리소스가 실행된 실행 결과를 상기 터미널을 통하여 출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및 상기 터미널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터미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복수개의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및 상기 터미널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편집부는, 상기 문서 편집 명령에 따라 상기 문서 데이터를 그래프 형태로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더 갖는다.
또한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문서 편집 방법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문서 편집 명령 또는 문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문서 편집 명령이 오픈 명령인 경우에 외부 리소스에 저장된 문서 데이터를 오픈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오픈된 문서 데이터를 출력하는 파일 오픈 단계; 상기 문서 편집 명령에 따라 상기 입력된 또는 출력된 문서 데이터를 편집하는 편집단계; 및 상기 문서 편집 명령이 저장 명령인 경우에 상기 편집된 문서 데이터를 상기 외부 리소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격 문서 편집 방법은, 상기 외부 리소스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인 터미널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원격 문서 편집 방법은, 상기 제공된 터미널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외부 리소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제어 명령을 상기 외부 리소스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외부 리소스가 실행된 실행 결과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터미널을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문서 편집 장치 및 발명에 의하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공하여 서버 환경 및 명령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단말기에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에 저장된 파일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편집하고 서버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문서 편집 장치의 사용하기 적당한 바람직한 컴퓨팅 환경의 일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문서 편집 장치(110)는 인트라넷(120) 및 인터넷(130)을 통해 외부 리소스(140, 150)에 접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문서 편집 장치(110)는 외부 리소스(140, 150)에 접속하기 위해 기존의 텔넷 포트를 사용하거나 외부 리소스(140, 150)에 임의 포트를 오픈하여 오픈된 포트로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리소스(140, 150)는 일예로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 제로 하여 구동되는 서버이며,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로 AIX, BSD, DragonFly, BSD, FreeBSD, HP-UX, IRIX, 리눅스, LynxOS, Mac OS X, Minix, NetBSD, NEXTSTEP, OpenBSD, QNX, SCO, OpenServer, 솔라리스, System V, Tru64, Xenix 등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문서 편집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수행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문서 편집 장치(200)는 인터페이스부(210), 편집부(220), 제어부(240) 및 커넥터(230)를 구비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문서 편집 장치의 인터페이스부가 제공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및 터미널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부(210)는 문서 편집 명령 및 문서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출력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310, 320)는 사용자가 그래픽을 통해 컴퓨터와 정보를 교환하는 작업 환경을 말한다. 이제까지의 외부 리소스(25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키보드를 통해 명령어를 입력받아 작업을 수행하였고, 입력받은 명령어 또는 명령을 실행한 결과를 화면에 문자로 표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문서 편집 장치(20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마우스 등으로 화면의 메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작업을 지시하게 함으로써, 외부 리소스(250)의 명령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용이하게 문서를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컴퓨터(PC)의 보급의 확대로 윈도우 환경에 친숙한 일반인은 별도의 외부리소스 의 명령어에 대한 학습할 필요가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문자 편집 장치(200)를 통해 외부리소스에 저장된 파일일 편집하거나 편집한 파일을 외부리소스에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문서 편집 장치의 메인메뉴 구성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파일 메뉴(410), 편집 메뉴(420) 및 엑스툴 메뉴(43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파일 메뉴(410), 편집 메뉴(420) 및 엑스툴 메뉴(430)에 속하는 하위 메뉴를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선택함으로써 해당 메뉴에 연관된 명령을 외부 리소스(250)에 지시할 수가 있다.
파일 메뉴(410)는 문서의 열기, 새문서, 닫기, 저장, 다른 이름으로 저장, 인쇄 등 파일에 관련된 명령을 지원하는 하위 메뉴를 포함한다. Edit 메뉴(420)는 오려두기, 복사, 붙여넣기, 바꾸기 등의 문서 편집에 관련된 명령을 지원하는 하위 메뉴를 포함한다. 엑스툴 메뉴(43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 터미널 생성, 그래프 생성 등의 툴에 관련된 명령을 지원하는 하위 메뉴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문서 편집 장치의 터미널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부(210)는 외부 리소스(250)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인 터미널(510)을 더 제공한다. 터미널(510)은 사용자로부터 외부 리소스(2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제어 명령을 화면에 표시하고 동시에 제어부(240)로 출력한다. 그리고 터미널(510)은 제어 명령에 따라 외부 리소스(250)의 실행된 결과를 화면에 표시한다. 제어 명령은 유닉스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기본 명령어, 응용 프로그램 실행 명령 등을 포함하며, 나아가 Unix shell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즉 사용자는 터미널(510)을 통해 Unix shell 프로그램을 편집하고 실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21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310, 320) 및 터미널(330, 340)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310, 320) 또는 터미널(330, 34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10)는 복수개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310, 320) 및 터미널(330, 340)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편집부(220)는 인터페이스부(210)가 입력받은 문서 편집 명령에 따라 문서 데이터를 편집한다. 문서 데이터는 새문서의 문서 데이터이거나 열기 명령에 의해 오픈된 외부 리소스(250)의 파일을 구성하는 데이터이다. 편집부(220)는 문서 편집 명령에 따라 문서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문서 작성 기능과 문서 수정 기능을 제공한다. 문서 작성 기능은 한글, 영문, 일문 등 해당 언어를 구성하는 기본 문자(예컨대, 한글의 자음과 모음, 영어의 알파벳, 일어의 가타가나와 히라가나 등)와 숫자, 그리고 그 밖의 특수문자(예컨대, +, -, *, /, %,amp; 등)를 조합하여 문서를 작성하는 기능이다. 문서 수정 기능은 작성된 문서의 전체 또는 일부를 복사하기, 지우기, 오려두기, 붙이기 등을 수행하여 문서를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문서 편집 장치의 편집부가 문서 데이터를 그래프로 편집한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편집부(220)는 인터페이스부(210)가 입력받은 문서 편집 명령에 따라 문서 데이터를 그래프 형태로 편집한다. 즉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부(210)의 엑스툴 메뉴(430)의 그래프 생성 메뉴를 선택하면 편집부(220)는 새문서의 문서 데이터 또는 열기 명령에 의해 오픈된 외부 리소스(250)의 파일을 구성하는 문서 데이터를 사용자가 선택한 형태의 그래프로 편집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서 편집기(200)는 그래프 편집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므로 외부 리소스(250)에 저장된 파일로부터 그래프를 산출할 수 있어, 외부 리소스(250)에 저장된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이를 별도로 저장한 후에 일반 윈도우용 응용프로그램인 엑셀 등의 스프레드시트(spread sheet)가 읽을 수 있는 형태로 파일을 변환하고 스프레드시트(spread sheet)를 실행시켜 변환된 파일의 문서 데이터를 읽어 그래프 형태로 조작해야 하는 복잡한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230)는 외부 리소스(250)와의 접속을 수행한다. 여기서 외부 리소스(25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커넥터(230)는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을 통해 외부 리소스(25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를 위해 커넥터(230)는 네트워크상의 각종 통신 장비와 유무선으로 정보 및 통신 제어 신호 또는 명령 신호 등을 송신하기 위한 각 네트워크상의 통신 장비를 위한 통신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커넥터(230)는 네트워크상의 특정 통신 장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어댑터 또는 랜카드 등을 구동하는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커넥터(230)는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문서 편집기(200)가 특정 외부 리소스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 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통신 드라이버 및 그 특성을 정의하기 위한 디바이스 타입(Device Type), 통신 대상 장비의 식별번호를 나타내는 디바이스 아이디(Device ID), 인터넷 주소를 나타내는 IP, 포트 번호를 나타내는 Port, 통신을 위한 데이터의 기본 전송 단위로써, 비트, 캐릭터, 워드, 숫자 등을 정의하기 위한 데이터타입(DataType) 등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입력된 문서 편집 명령에 따라 커넥터(230)를 통하여 편집된 문서 데이터를 외부 리소스(250)에 저장하거나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출력하고 외부 리소스(250)에 저장된 문서 데이터를 오픈하여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출력한다. 즉 제어부(240)는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새문서 메뉴가 선택되면 새문서에 포함될 문서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창을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화면에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저장 메뉴가 선택되면 현재 편집된 문서 데이터를 커넥터(230)를 통하여 외부 리소스(250)에 저장하며, 만일 외부 리소스(250)에 편집된 문서 데이터의 파일 이름과 동일한 이름의 파일이 있으면 덮어쓰기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다른 이름으로 저장 메뉴가 선택되면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파일 이름을 입력받아서 입력된 파일이름으로 편집된 문서 데이터를 외부 리소스(25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40)는 문서 데이터를 외부 리소스(250)에 저장할 때 외부 리소스(250)가 요구하는 파일 포맷으로 문서 데이터 형태를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열기 메뉴가 선택되면 커넥터(230)를 통하여 외부 리소스(250)에 저장된 문서 데이터를 오픈하여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240)는 오픈된 문서 데이터를 윈도우용 운영체제가 요구하는 파일 포맷으로 문서 데이터 형태를 변환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터미널(510)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외부 리소스(2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커넥터(230)를 통하여 외부 리소스(250)에 전송하고, 전송된 제어 명령에 따라 외부 리소스(250)가 실행된 실행 결과를 수신한다. 제어부(240)는 수신한 실행 결과를 인터페이스부(210)로 출력하여 이를 인터페이스부(210)로 하여금 터미널(510)을 통하여 출력하게 한다.
외부 리소스(250)와 제어 명령 및 데이터를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어부(240)는 같은 컴퓨터 내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콤(COM: Component Object Model), 네트워크에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객체가 다른 컴퓨터에 있는 서버 프로그램 객체에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디콤(DCOM: Distributed Component Object Model) 및 객체 연결 및 내장(OLE: Object Linking and Embddding)을 기반으로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문서 편집 장치(200)의 구성요소는 콤(COM)을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240)는 콤(COM)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구성요소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모듈화 되어 있는 외부프로그램을 이식하여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문서 편집 장치(200)는 객체 연결 및 내장(OLE)을 기반으로 외부 리소스(250)와의 자료 전송 및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의 외부 리소스에 제어 명령을 실행시키기 위한 기능은 이기종 운영체제상의 운영되는 프로그램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해야 함으로 디콤(DCOM: Distributed Component Object Model)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문서 편집 장치(200)는 C언어를 주요 프로그래밍 언어로 하여 프로그램 될 수 있으며, C언어는 유닉스(UNIX)에서 제공하는 기본 프로그래밍 언어로서 C언어를 통해 유닉스(UNIX)를 운영체제로 하여 구동되는 서버와의 연동 기능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문서 편집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수행 고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부(21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700). 인터페이스부(210)는 사용자로부터 문서 편집 명령 또는 문서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710). 제어부(240)는 입력된 문서 편집 명령이 오픈 명령인지를 확인한다(S720). 입력된 문서 편집 명령이 오픈 명령이면, 제어부(240)는 외부 리소스(250)에 저장된 문서 데이터를 오픈하여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출력한다(S730). 편집부(220)는 문서 편집 명령에 따라 문서 데이터를 편집한다(S740). 제어부(240)는 입력된 문선 편집 명령이 저장 명령인지를 확인한다(S750). 제어부(240)는 입력된 문서 편집 명령이 저장 명령이면 문서 데이터를 외부 리소스(250)에 저장한다(S760).
인터페이스부(210)는 터미널을 제공한다(S705). 인터페이스부(210)는 터미널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외부 리소스(2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다(S715). 제어부(240)는 인터페이스부(210)가 입력받은 제어 명령을 외부 리소스(250)에 전송한다(S725). 제어부(240)는 전송된 제어 명령에 따라 외부 리소스가 실행된 실행 결과를 수신한다(S735). 인터페이스부(210)는 수신한 실행 결과를 터미널을 통하여 출력한다(S745).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장치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문서 편집기는 컴퓨터상에서 실현 가능한 구체적인 수단을 통해 이 기종 서버의 파일을 직접 엑세스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서 파일을 편집 및 서버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함으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인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문서 편집 장치의 사용하기 적당한 바람직한 컴퓨팅 환경의 일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문서 편집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수행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문서 편집 장치의 인터페이스부가 제공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및 터미널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문서 편집 장치의 메인메뉴 구성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문서 편집 장치의 터미널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문서 편집 장치의 편집부가 문서 데이터를 그래프로 편집한 일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문서 편집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수행 고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15)

  1. 문서 편집 명령 및 문서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출력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문서 편집 명령에 따라 상기 문서 데이터를 편집하는 편집부;
    외부 리소스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 및
    상기 문서 편집 명령에 따라 상기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편집된 문서 데이터를 상기 외부 리소스에 저장하거나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출력하고, 상기 외부 리소스에 저장된 문서 데이터를 오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문서 편집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외부 리소스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인 터미널을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문서 편집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미널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외부 리소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외부 리소스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외부 리소스가 실행된 실행 결과를 상기 터미널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문서 편집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및 상기 터미널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문서 편집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복수개의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문서 편집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부는,
    상기 문서 편집 명령에 따라 상기 문서 데이터를 그래프 형태로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문서 편집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리소스는 유닉스를 운영체제로 하여 구동되는 서버인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원격 문서 편집 장치.
  8.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문서 편집 장치는 윈도우 운영체제상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문서 편집 장치.
  9.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문서 편집 명령 또는 문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문서 편집 명령이 오픈 명령인 경우에 외부 리소스에 저장된 문서 데이터를 오픈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오픈된 문서 데이터를 출력하는 파일 오픈 단계;
    상기 문서 편집 명령에 따라 상기 입력된 또는 출력된 문서 데이터를 편집하는 편집단계; 및
    상기 문서 편집 명령이 저장 명령인 경우에 상기 편집된 문서 데이터를 상기 외부 리소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문서 편집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문서 편집 방법은,
    상기 외부 리소스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인 터미널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문서 편집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문서 편집 방법은,
    상기 제공된 터미널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외부 리소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제어 명령을 상기 외부 리소스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외부 리소스가 실행된 실행 결과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터미널을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문서 편집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단계에서,
    상기 문서 편집 명령에 따라 상기 문서 데이터를 그래프 형태로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문서 편집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리소스는 유닉스를 운영체제로 하여 구동되는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문서 편집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편집 방법은 윈도우 운영체제상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문서 편집 방법.
  15. 제 9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70102285A 2007-10-10 2007-10-10 원격 문서 편집 장치 및 방법 KR100907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285A KR100907664B1 (ko) 2007-10-10 2007-10-10 원격 문서 편집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285A KR100907664B1 (ko) 2007-10-10 2007-10-10 원격 문서 편집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968A true KR20090036968A (ko) 2009-04-15
KR100907664B1 KR100907664B1 (ko) 2009-07-14

Family

ID=40761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285A KR100907664B1 (ko) 2007-10-10 2007-10-10 원격 문서 편집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6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422B1 (ko) 2017-08-10 2019-02-20 (주)사이냅소프트 편집 권한 설정을 지원하는 공동 편집을 위한 문서 편집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9626B2 (en) * 2000-04-14 2006-03-07 Picsel Technologies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visual representations of graphical data and digital document processing
KR20050072501A (ko) * 2004-01-06 2005-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마킹과 스캐닝을 통한 문서 편집이 가능한 인쇄 시스템 및그의 문서 편집 방법
JP2005216269A (ja) 2004-01-28 2005-08-11 Shinichiro Aoki インターネット遠隔出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7664B1 (ko) 2009-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82160A1 (en) Designated screen capturing and automatic image exporting
US5818447A (en) System and method for in-place editing of an electronic mail message using a separate program
AU20032335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user interface elements known to an application and user
KR100238608B1 (ko) 문자인식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7120634B2 (en) Computerized prepress
US716503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CN100403258C (zh) 嵌入式设备集成开发系统及其使用方法
US200900378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user manual generation
US20060173671A1 (en) Localizing tool for client software
KR20030060884A (ko) 웹 운영체제 및 웹 데스크탑
US865628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11076540A (ja) 文書編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データ転送方法
US5634024A (en) Definition execution system for operations and functions in computer system
WO2024022355A1 (zh) 基于rpa和ai的安全漏洞扫描任务处理方法及相关设备
JP4235441B2 (ja) 文書処理プログラム、文書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497478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プログラム
CN110688145B (zh) Android MVP代码自动生成方法、装置、介质、电子设备
CN106815010B (zh) 一种操作数据库的方法及装置
KR100907664B1 (ko) 원격 문서 편집 장치 및 방법
JP627426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11203282A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装置の目次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出し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100321706B1 (ko) 객체연결및내장방식을이용한문서작성방법
KR102189832B1 (ko) 오프라인 콘텐츠를 온라인 콘텐츠로 변환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매체 및 콘텐츠 변환 방법
JP472625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JP2009015717A (ja) 帳票作成装置及び帳票作成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