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6757A - Device for fixing components of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evice for fixing components of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6757A
KR20090036757A KR1020070101979A KR20070101979A KR20090036757A KR 20090036757 A KR20090036757 A KR 20090036757A KR 1020070101979 A KR1020070101979 A KR 1020070101979A KR 20070101979 A KR20070101979 A KR 20070101979A KR 20090036757 A KR20090036757 A KR 20090036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body
holder
wire
protrusion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9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04867B1 (en
Inventor
안성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1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867B1/en
Publication of KR20090036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7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8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A device for fixing components of a display apparatus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facilitate a component fixing work conveniently by fixing plural wires or a plate to a display device. A holder body(31) has a curved shape in its outer surface, and a holder arm(32) is extended from a portion of the holder body and has an interval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older body. A rear portion of the holder body has a shape that is depressed at a certain depth, and a wire separation preventing unit(321) which is protruded at a certain thickness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holder arm. A protrusion unit(311) is formed at a region near the wire separation preventing unit in the holder body. The protrusion unit has a shape that is protruded at a certain length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components.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의 부품 고정 장치{Device for fixing components of display apparatu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fixing components of a display device,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내부에 장착되는 부품 고정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PCB 기판으로부터 이어지는 다수의 전선을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잇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nent fixing device mounted inside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capable of securely fixing a plurality of electric wires extending from a PCB substrate.

모니터, 노트북 및 TV등의 디스플레이 기기는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전자기기이다.Display devices such as monitors, notebooks, and televisions are typical electronic devices commonly found in offices and homes.

이러한 디스플레이 기기는 그 내부에 PCB, 와이어(wire) 및 각종 전자 부품들이 내장되어 있으며, 기기의 내부를 보면 매우 복잡하게 다수의 와이어가 각각의 부품들을 연결하고 있다.Such a display device has a built-in PCB, a wire, and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therein, and a large number of wires connect each of the components in a complicated manner when viewed from inside the device.

도 1은 백커버를 제거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from which a back cover is removed.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기기(1)는 영상이 표시되는 모듈(11)과, 상기 모듈(11)을 전면에서 보호하는 전면 커버(10)와, 상기 모듈(11)을 후면에서 보호하기 위한 백커버(미도시)를 포함한다.In general, the display device 1 includes a module 11 for displaying an image, a front cover 10 for protecting the module 11 from the front, a back cover 10 for protecting the module 11 from the rear side (Not shown).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 내에는 각각의 전자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 결하기 위하여 복수의 와이어(111)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의 조립과정에서 상기 와이어(111)들이 고정시키기 위하여 타이핑 작업을 하게 되며, 도 1에는 상기 와이어(111)들을 고정하기 위하여 테이프(112)들을 부착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A plurality of wires 111 are provided in the display device 1 to electrically connect the electronic components to each other. In the assembly process of the display device 1, FIG. 1 shows a case in which tapes 112 are attached to fix the wires 111.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 조립시, PCB로부터 나오는 복수의 와이어(111)들을 정리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테이프(112)를 부착하게 되나, 상기 테이프(112)들은 디스플레이 기기내부에 발열되는 고온의 열에 의하여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ssembly of the display device 1, an operator attaches the tape 112 in order to arrange a plurality of wires 111 coming out from the PCB. However, since the tape 112 is easily heated There is a falling problem.

그리고, 와이어(111)수가 늘어남에 따라 테이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크게 증가하게 되며, 이러한 테이핑 작업은 작업자의 숙련정도에 따라 작업의 질이 크게 차이가 나게 되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As the number of wires 111 increases, the time required for taping is greatly increased. In this taping work, the quality of the work greatly varies depending on the skill level of the worker, and it takes a lot of time.

이러한 테이핑 작업을 개선하기 위하여, 와이어 홀더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일반적인 와이어 홀더는 도 2에 도시된다.To improve this taping operation, a wire holder may be used, and a typical wire holder is shown in Fig.

도 2는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홀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ire holder for fixing a wire.

도 2를 참조하면,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홀더(20)는 몸체를 이루는 홀더 바디(21)와, 상기 홀더 바디(21) 상에 형성되어 와이어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고리(22)를 포함한다.2, a wire holder 20 for fixing a wire includes a holder body 21 constituting a body, and a ring 22 formed on the holder body 21 to fix the wires. do.

즉, 복수의 와이어들은 상기 고리(22)가 갖는 굴곡된 형상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이며, 작업자는 복수의 와이어들을 상기 고리(22) 내에 끼우는 방법으로 작업을 수행한다.That is, the plurality of wires are fixed by the bent shape of the ring 22, and the operator performs the work by inserting a plurality of wires into the ring 22.

그러나, 작업자가 상기 와이어 홀더(20)를 기기 내부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홀더 바디(21)의 배면에 양면 테이프를 붙이고, 양면 테이프의 비닐을 제거한 다음 상기 와이어 홀더(20)를 기기 내부에 복수개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존재한다. However, in order for the operator to mount the wire holder 20 inside the apparatus, the double-sided tape i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holder body 21, the vinyl of the double-sided tape is removed, There is still an inconvenience to install.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기기 내부에 존재하는 복수의 와이어나 플레이트등의 각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를 제안하며, 이러한 장치에 의하여 작업자에 의한 와이어등의 각 부품의 고정 작업이 보다 수월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proposes a device for fixing various components such as a plurality of wires or plates existing in a display device. By this device, the fixing operation of each component such as wire by the operator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

또한, 고정시키고자 하는 와이어나 각 부품의 고정이 보다 견고히 수행되도록 하는 부품 고정 장치를 제안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omponent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wire to be fixed or each component more firmly.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부품 고정 장치는 디스플레이 기기 내에 장착되어, 상기 기기의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외주면 일부가 굴곡된 형상을 갖는 홀더 바디; 및 상기 홀더 바디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홀더 바디의 상부면과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홀더 암;이 포함되고, 상기 홀더 바디의 배면은 소정 깊이 함몰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omponent fixing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fixing a component of a device mounted in a display device, the device having a shape in which a part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bent, And a holder arm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older body and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gap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holder body, wherein the back surface of the holder body is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고정 장치에 의해서, 작업자가 와이어등의 부품들을 고정하는 것이 보다 편리해지고, 디스플레이 기기의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무관하게 와이어를 보다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With the component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more convenient for the operator to fix the components such as the wire, and the wire can be more firmly fixed regardless of the heat generated from the inside of the display device.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개시된 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개시되는 도면에 의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함을 밝혀둔다.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noted, however,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부품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부품 고정 장치의 일부 절개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부품 고정 장치가 장착된 경우의 단면도이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ponent fixing devic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4 is a partial cutaway view of a component fixing devic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Sectional view when the fixing device is mounted.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부품 고정 장치(3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합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몸체를 형성하는 홀더 바디(31)와, 상기 홀더 바디(31)의 일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홀더 바디(31) 상부면과 소정 거리를 두도록 형성된 홀더 암(32)을 포함한다.3 to 5, the component fixing device 30 of this embodiment comprises a holder body 31 which is made of a synthetic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nd forms a body, and a part of the holder body 31 And a holder arm 32 formed to exten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body 3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상세히, 상기 홀더 바디(31)는 가장자리로부터 그의 중심으로 갈수록 솟아오르는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홀더 바디(31)의 배면은 상대적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홀더 바디(31)의 배면은 소정 깊이 오목한 형상의 함몰부를 갖도록 형성된다. In detail, the holder body 31 is formed to have a convex shape rising from the edge to the center thereof, and the back surface of the holder body 31 is formed to have a relatively concave shape. That is, the back surface of the holder body 31 is formed to have a concave depression at a predetermined depth.

그리고, 상기 홀더 바디(31)가 소정의 구조물(200, 예컨대, '디스플레이 모듈')상에 놓여졌을때 그 내부에 공기가 차 있을 수 있도록 굴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상기 홀더 바디(31)를 상기 구조물(200) 상에 놓은 다음 상기 홀더 바디(31)를 가압하는 경우에 압력차에 의한 상기 홀더 바디(31)의 고정이 이루어진다.When the holder body 31 is placed on a predetermined structure 200 (for example, a 'display module'), the holder body 31 has a curved shape so that air can flow inside the holder body 31, Is placed on the structure 200 and then the holder body 31 is fix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when the holder body 31 is pressed.

한편, 상기 홀더 암(32)은 일단이 상기 홀더 바디(31)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홀더 바디(31)상에 놓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홀더 암(32)상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One end of the holder arm 32 is connected to the holder body 31 and the other end of the holder arm 32 is placed on the holder body 31.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holder arm 32 have.

상기 홀더 암(32)과 홀더 바디(31) 사이에 와이어와 같은 부품이 놓여지게 되고, 상기 홀더 암(32)은 상기와 같은 부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홀더 암(32)의 타단은 소정 두께 돌출형성된 와이어 이탈방지부(321)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이탈방지부(321)는 그 자중에 의해 상기 홀더 바디(31)상에 놓여진다.A component such as a wire is placed between the holder arm 32 and the holder body 31. The holder arm 32 prevents the component from being separated. The other end of the holder arm 32 is formed to have a wir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321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wir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321 is placed on the holder body 31 by its own weight Loses.

또한, 상기 홀더 바디(31)와 홀더 암(32)상에는 소정 두께 돌출형성된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홀더 암(32) 상에 형성되는 제 1 돌기부(322)와, 상기 홀더 바디(31) 상에 형성되는 제 2 돌기(311)가 개시된다.The holder body 31 and the holder arm 32 may have protrusions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322 formed on the holder arm 32 and a second protrusion 322 formed on the holder body 31, The second protrusion 311 is formed.

상기 홀더 암(32) 상에 형성되는 제 1 돌기부(322)는 실시예의 부품 고정 장치(30) 상에 또 다른 구조물(예컨대, '백커버')이 놓여지는 경우에, 상기 제 1 돌기부(322)가 갖는 두께에 의하여 상기 홀더 암(32)과 상측의 구조물간의 간극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first protrusion 322 formed on the holder arm 32 can be mov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protrusion 322 when a further structure (e.g., a 'back cover') is placed on the part fixing device 30 of the embodiment.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holder arm 32 and the upper structure.

한편, 상기 제 1 돌기부(322)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의 홀더 바디(31)에 제 3 돌기부(312)가 더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측에 놓여지는 구조물의 자중은 상기 제 1 돌기부(322) 및 제 3 돌기부(312)로 전달되고, 이렇게 가압되는 힘에 의해 상기 홀더 바디(31)는 하측의 구조물에 보다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When the third protrusion 312 is further formed on the holder body 31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protrusion 322 is formed, the weight of the structure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protrusion 312 322 and the third protrusion 312 and the holder body 31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lower structure by the force.

그리고, 상기 제 3 돌기부(312)에 의해 상기 홀더 바디(31)상에 놓여지는 복수의 와이어들은 구분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상기 제 2 돌기부(311)를 이용하여 와이어들의 색깔별로 또는 그 기능별로 구분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A plurality of wires placed on the holder body 31 may be separated by the third protrusion 312. The operator may use the second protrusion 311 to wire the wire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wire or the function thereof It can be fixed separately.

또한, 상기 홀더 바디(31)상에는 상기 와이어 이탈방지부(321)와 함께 와이어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 2 돌기부(311)가 더 형성되며, 상기 제 2 돌기부(311)는 상기 와이어 이탈방지부(321)에 의해 형성되는 굴곡된 형상을 갖는 부위의 홀더 암(32) 아래에 놓여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A second protrusion 311 is formed on the holder body 31 to prevent the wires from coming off together with the wire detachment prevention portion 321. The second protrusion 311 is formed on the holder body 31,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be placed under the holder arm 32 in the portion having the bent shape formed by the holder 321.

도 6과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부품 고정 장치가 장착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6 and 7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component fixing devic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먼저, 도 6에는 복수의 와이어가 제 3 돌기부(312)에 의하여 구분되어 상기 홀더 암(32)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가 도시된다. 6 shows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separated by the third protrusion 312 and fixed by the holder arm 32. FIG.

이 경우, 상기 와이어들은 홀더 바디(31)로부터 연장되는 부위의 상기 홀더 암(32)에 의해 그 이탈이 방지되거나, 상기 홀더 암(32)의 단부에 형성된 와이어 이탈방지부(321)에 의해 그 이탈이 방지된다.In this case, the wires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the holder arm 32 extending from the holder body 31, or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the wir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321 formed at the end of the holder arm 32 Escape is prevented.

한편, 도 7에는 상기 홀더 암(32)과 홀더 바디(31)에 의해 장방형의 플레이트(plate)가 고정되는 경우가 도시되며, 상기 홀더 암(32)의 상측에 특정의 구조물이 놓여지는 경우에 상기 플레이트의 고정이 보다 견고히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7 shows a case where a rectangular plate is fixed by the holder arm 32 and the holder body 31. When a specific structure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lder arm 32 The fixing of the plate can be performed more firmly.

도 1은 백커버를 제거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from which a back cover is removed;

도 2는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홀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ire holder for fixing a wire.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부품 고정 장치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ponent fixing devic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부품 고정 장치의 일부 절개도.4 is a partial cutaway view of a component fixing devic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부품 고정 장치가 장착된 경우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ponent fixing device is mounted.

도 6과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부품 고정 장치가 장착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 6 and 7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component fixing devic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Claims (4)

디스플레이 기기 내에 장착되어, 상기 기기의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An apparatus for mounting a component in a display device, the apparatus comprising: 외주면 일부가 굴곡된 형상을 갖는 홀더 바디; 및A holder body having a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bent; And 상기 홀더 바디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홀더 바디의 상부면과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홀더 암;이 포함되고,And a holder arm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older body and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holder body, 상기 홀더 바디의 배면은 소정 깊이 함몰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부품 고정 장치. Wherein a back surface of the holder body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recessed shap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홀더 암의 단부에는 소정 두께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와이어 이탈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부품 고정 장치. Wherein the holder arm has a wire detachment prevention portion formed at an end thereof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제 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와이어 이탈방지부가 위치하는 인접한 영역의 홀더 바디에는 상기 부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 두께 돌출형성된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부품 고정 장치. Wherein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ormed on a holder body of an adjacent region where the wire detachment preventing portion is located, in order to prevent the component from coming off.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홀더 암의 외주면에는 소정 두께 돌출형성된 제 1 돌기부가 형성되고,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er arm, 상기 제 1 돌기부에 대향하는 위치의 홀더 바디에도 소정 두께 돌출형성된 제 2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부품 고정 장치.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ormed on the holder body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protrusion.
KR1020070101979A 2007-10-10 2007-10-10 Device for fixing components of display apparatus KR1014048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979A KR101404867B1 (en) 2007-10-10 2007-10-10 Device for fixing components of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979A KR101404867B1 (en) 2007-10-10 2007-10-10 Device for fixing components of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757A true KR20090036757A (en) 2009-04-15
KR101404867B1 KR101404867B1 (en) 2014-06-09

Family

ID=40761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979A KR101404867B1 (en) 2007-10-10 2007-10-10 Device for fixing components of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86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34120A (en) * 2016-07-04 2016-09-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Electronic equipment and routing structur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4965A (en) * 1994-05-30 1995-12-05 Kenji Tsuge Paper holder
KR200258514Y1 (en) * 2001-09-12 2001-12-28 김시연 holder for assemble ground wire
KR200310800Y1 (en) * 2003-01-29 2003-04-16 인천도시가스주식회사 Holder for wire used for detecting the location of gas pipe in the earth
JP2006119296A (en) * 2004-10-20 2006-05-11 Ohsuzu:Kk Display support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34120A (en) * 2016-07-04 2016-09-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Electronic equipment and routing structur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4867B1 (en) 2014-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1349B2 (en) Image display device
CN112514546B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hielding member
US20090255726A1 (en) Cushioning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with such cushioning member
US9706842B2 (en) Display device mount adapter
US20120315772A1 (en) Solderless connector for microelectronics
JP2011249975A (en) Electronic apparatus
KR101404867B1 (en) Device for fixing components of display apparatus
US11224135B2 (en) PCB assembly structure for electronic appliance
TW201310810A (en) USB connector and connecting device with USB connector
JP4308828B2 (en) Chassis base assembly and plasma display device assembly using the same
CN103295479A (en) Display device
US7084344B1 (en) V-seal EMC gasket assembly for precise placement, conduction and retention without adhesives
JP7169806B2 (en) Device mounting structure and device mounting method
TW200427140A (en) Connector
JP2012185935A (en) Electronic apparatus
CN220359378U (en) Protective net structure and electric heating device
KR20170011141A (en) Electrostatic discharge, PCB assembly and Control device having the same
US8467173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mponent
CN219577595U (en) Circuit board support and circuit board fixing structure
JPH0595137U (en) Shield clamp
CN211791773U (en) Recorded broadcast all-in-one
CN217979198U (en) Controller and air conditioner
CN113555707B (en)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device
CN218125171U (en) Circuit board structure with protection function
JP7407570B2 (en) Protective cover and power supp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