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6226A -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단말기 및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방법 - Google Patents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단말기 및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36226A KR20090036226A KR1020070101277A KR20070101277A KR20090036226A KR 20090036226 A KR20090036226 A KR 20090036226A KR 1020070101277 A KR1020070101277 A KR 1020070101277A KR 20070101277 A KR20070101277 A KR 20070101277A KR 20090036226 A KR20090036226 A KR 200900362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eaker
- volume
- video call
- voice
- predetermin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의 영상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는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방법이 개시된다. 다자간 화상 통화에 참여하는 각각의 화자에 상응하는 음량 가중치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와, 소정의 화자로부터 음성 데이터가 제공되면 소정 화자에 상응하는 음량 가중치를 저장부로부터 독출한 후 독출된 음량 가중치에 기초하여 음량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음량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화자의 음성이 출력되는 좌측 채널의 음량 및 우측 채널의 음량을 각각 조절하는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따라서, 헤드셋을 통해 화자의 음성을 청취하는 것만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화상 통화 참여자의 영상 중 화자의 영상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다.
화상 통화, 다자간, 음성, 구분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자간 화상 통화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는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기술의 세대 진화로 인해 본격적인 화상 통화가 상용화되면서 기존의 음성 통화 및 단문 메시지 송수신 위주의 이동통신 서비스에서 벗어나 장소에 관계없이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모습을 보면서 통화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적어도 두 명 이상이 동시에 화상 통화에 참여하여 서로 상대방의 모습을 보면서 통화할 수 있는 다자간 화상 통화가 가능하게 되어 각각 다른 장소에 있는 사람들이 화상 통화를 통해 개인적인 친목을 도모하거나, 다자간 화상 통화를 원격 화상 회의 등과 같은 업무용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인 다자간 화상 통화에서는 화상 통화에 참여하는 모든 참여자의 영상이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구분된 영역에 표시되고,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스피커 또는 헤드셋을 통해 모든 화상 통화 참여자의 음성이 동일한 크기로 출력됨으로써 다자간 화상 통화가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다자간 화상 통화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 영역을 구분하여 화상 통화에 참여하는 각 참여자의 영상을 각각 다른 표시 영역에 표시하기 때문에 각 참여자의 영상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으나, 상기 영상과 동기된 각 참여자의 음성은 스피커 또는 헤드셋을 통해 모두 동일한 크기의 음량으로 출력되기 때문에 출력되는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의 영상을 구분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의 영상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는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의 영상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는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다자간 화상 통화에 참여하는 각각의 화자에 상응하는 음량 가중치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와, 소정의 화자로부터 음성 데이터가 제공되면 상기 소정 화자에 상응하는 음량 가중치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독출한 후 독출된 상기 음량 가중치에 기초하여 음량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음량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화자의 음성이 출력되 는 좌측 채널의 음량 및 우측 채널의 음량을 각각 조절하는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상기 음량 가중치는 상기 소정 화자의 음성이 출력되는 좌측 채널 및 우측 채널에 대해 각각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화자로부터 음성 데이터가 제공되면 상기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호 구분자를 추출하여 상기 다자간 화상 통화에 참여하는 각각의 화자 중에서 상기 소정의 화자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코덱은 상기 음량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좌측 채널의 음량을 조절하는 제1 증폭부 및 상기 음량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우측 채널의 음량을 조절하는 제2 증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좌측 채널의 음량 및 상기 우측 채널의 음량이 각각 조절된 상기 소정 화자의 음성을 제공받는 헤드셋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의 영상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는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방법은 소정의 화자로부터 음성 데이터가 제공되면 상기 소정 화자에 상응하는 음량 가중치를 독출하는 단계와, 독출된 상기 음량 가중치에 기초하여 음량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음량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화자의 음성이 출력되는 좌측 채널의 음량 및 우측 채널의 음량을 각각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음량 가중치는 상기 소정 화자의 음성이 출력되는 좌측 채널 및 우측 채널에 대해 각각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화자로부터 음성 데이터가 제공되면 상기 소정 화자에 상응하는 음량 가중치를 독출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의 화자로부터 음성 데이터가 제공되면 상기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호 구분자를 추출 하여 상기 다자간 화상 통화에 참여하는 각각의 화자 중에서 상기 소정의 화자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방법은 상기 좌측 채널의 음량 및 상기 우측 채널의 음량이 각각 조절된 상기 소정 화자의 음성을 헤드셋 연결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방법은 소정의 화자로부터 음성 데이터가 제공되면 상기 음성 데이터로부터 상기 소정 화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화자에 상응하는 음량 가중치를 저장부로부터 독출한다. 그리고 독출된 음량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화자의 음량을 조절한 후 헤드셋 연결부를 통해 출력한다.
따라서, 헤드셋을 통해 화자의 음성을 청취하는 것만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화상 통화 참여자의 영상 중 화자의 영상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 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음성 및/또는 음향이 두 개의 채널 즉, 좌측 채널 및 우측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스테레오 타입의 헤드셋을 이용하여 다자간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디오 코덱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화상 통화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기능을 위해 설정된 화자별 가중치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카메라부(111), 디스플레이부(113), 그래픽 처리부(115), 비디오 코덱(117), 헤드셋 연결부(120), 마이크(121), 스피커(123), 오디오 코덱(130), 제어부(140), 저장 부(150), 키입력부(160) 및 무선 송수신부(170)를 포함한다.
카메라부(111) 구성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렌즈, 이미지 센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digital converter)를 포함하고, 이미지 촬영 또는 화상 통화 기능이 실행되면 렌즈를 통해 입사된 피사체의 광학적 신호를 이미지 센서를 통해 입사된 광학적 신호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를 통해 상기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이에 대응되는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한 후 그래픽 처리부(115)에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부(111)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초당 15 프레임 또는 초당 30 프레임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유기전계발광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와 같은 표시 장치가 될 수 있고, 그래픽 처리부(115)로부터 제공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동작 상태, 응용프로그램 실행 화면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3)는 다자간 화상 통화시에는 그래픽 처리부(115)로부터 화상 통화 참여자들 및/또는 사용자의 영상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화상 통화 참여자 및/또는 사용자의 영상을 각각 지정된 소정의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또한, 사진 촬영시에는 미리보기 영상(preview image) 및 촬영된 영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자간 화상 통화가 시작되면 표시 영역을 화상 통화 참여자의 수에 기초하여 소정 개수의 영역으로 구분한 후 구분된 각각의 영역에 화상 통화 참여자 각각의 영상을 표시한다. 도 4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를 포함하여 5명(A, B, C, D 및 사용자)이 화상 통화에 참여한 것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그래픽 처리부(115)는 카메라부(111)로부터 디지털 영상을 제공받고, 디지털 영상의 컬러 포맷을 변환함으로써 영상의 크기를 축소시킨 후 비디오 코덱(117)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그래픽 처리부(115)는 카메라부(111)로부터 RGB(Red, Green, Blue) 형태의 로(raw) 데이터를 제공받고 이를 인코딩하여 YCbCr 420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픽 처리부(115)는 비디오 코덱(117)으로부터 디코딩된 영상(예를 들면, 화상 통화 참여자들의 영상)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13)의 소정 영역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해상도, 표시 위치, 프레임 레이트 등과 같은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13)에 제공한다.
비디오 코덱(117) 그래픽 처리부(115) 또는 제어부(140)로부터 디지털 영상을 제공받고 이를 소정의 화상 통화 포맷으로 인코딩한 후 제어부(140)에 제공한다. 또한, 비디오 코덱(117)은 제어부(140)로부터 제공된 소정의 영상(예를 들면, 화상 통화 참여자들의 영상)을 제공받고 이를 디코딩한 후 그래픽 처리부(115)에 제공한다.
비디오 코덱(117)은 예를 들어 H.261, H.263, H.264 및 MPEG-4 등과 같은 코덱을 이용하여 영상을 인코딩 및 디코딩할 수 있고, 화상 통화시에는 H.263, MPEG-4 simple profile level 0를 이용하여 영상을 인코딩 및 디코딩할 수 있다.
헤드셋 연결부(120)는 마이크 입력 단자(미도시), 좌측 음향 출력 단자(127) 및 우측 음향 출력 단자(129)를 포함할 수 있고, 헤드셋(미도시)과 연결된다.
헤드셋 연결부(120)는 오디오 코덱으로부터 제공된 화상 통화 참여자들의 음성을 좌측 음향 출력 단자(127) 및 우측 음향 출력 단자(129)를 통해 헤드셋으로 출력한다. 또한, 헤드셋 연결부(120)는 헤드셋에 설치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을 마이크 입력 단자(미도시)를 통해 수신하여 오디오 코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마이크(121)는 화상 통화 및 음성 통화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고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을 이에 상응하는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코덱(130)에 제공한다
스피커(123)는 오디오 코덱(130)으로부터 디코딩 및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소정의 레벨로 증폭된 음성 및/또는 음향 신호를 제공받고 이를 가청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오디오 코덱(130) 마이크(121)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형태의 전기신호를 제공받고 이에 상응하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전송 규격에 적합하도록 인코딩한 후 제어부(140)에 제공한다.
또한, 오디오 코덱(130)은 제어부(140)로부터 소정의 음성 및/또는 음향 신호 및 음량 제어 신호를 제공받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음성 및/또는 음향 신호를 디코딩한 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이후, 오디오 코덱(130)은 상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소정의 음성 및/또는 음향 신호가 출력되는 좌측 채널 및 우 측 채널의 음량을 상기 음량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각각 조절한 후 헤드셋 연결부(120) 및/또는 스피커(123)에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오디오 코덱(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코더(vocoder)(131), 제1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DAC: Digital to Analog Converter)(133), 제2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135), 제1 증폭부(137) 및 제2 증폭부(139)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137) 및 제2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139)는 하나의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136)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보코더(131)는 제어부(140)로부터 채널 디코딩된 화상 통화 참여자들의 음성 데이터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음성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복원한 후 복원된 음성 신호를 제1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133) 및 제2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에 제공한다.
제1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133) 및 제2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135)는 각각 보코더(131)로부터 제공된 디지털 형태의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제1 증폭부(137) 및 제2 증폭부(139)에 제공한다.
제1 증폭부(137)는 제어부(140)의 음량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1 크기의 음량으로 음성 신호를 증폭한 후 좌측 채널 즉, 헤드셋 연결부(120)의 좌측 음향 출력 단자(127)에 증폭된 음성 신호를 제공한다.
제2 증폭부(139)는 제어부(140)의 음량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2 크기의 음량으로 음성 신호를 증폭한 후 우측 채널 즉, 헤드셋 연결부(120)의 우측 음향 출 력 단자(129)에 증폭된 음성 신호를 제공한다.
오디오 코덱(135)은 예를 들어, QCELP(QualComm Code Excited Linear Predictive Coding), EVRC(Enhanced Variable Rate Codec), G.711, G.723, G.723.1, G.728 등과 같은 코덱을 사용하여 음성의 인코딩 및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휴대용 단말기의 고유 기능인 음성 통화 및 화상 통화를 위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비디오 코덱(117) 및 오디오 코덱(130)으로부터 제공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다중화 하고 다중화된 신호를 채널 코딩하여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한 후 무선 송수신부(170)에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무선 송수신부(170)로부터 제공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채널 디코딩하고 역다중화한 후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각각 비디오 코덱(117) 및 오디오 코덱(13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키입력부(160)로부터 다자간 화상 통화를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가 제공되면, 다자간 화상 통화에 참여하는 각 참여자의 휴대용 단말기와 다자간 화상 통화 호를 설정한다.
이후, 다자간 화상 통화 참여자 중 소정의 참여자가 음성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에 제어부(140)는 상기 화자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음성 데이터에서 호 구분자를 추출함으로써 복수의 화상 통화 참여자 중 음성 신호를 제공한 상기 화자를 식별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상기 음성 신호를 제공한 화자에 상응하는 음량 가중 치를 저장부(150)에서 독출하고 독출된 음량 가중치에 기초하여 오디오 코덱(130)에 소정의 음량 제어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된 다자간 화상 통화 참여자의 영상 중 상기 소정의 화자에 대한 영상이 구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음량 제어 신호는 구체적으로 오디오 코덱(130)의 제1 증폭부(137) 및 제2 증폭부(139)에 제공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량 가중치는 화상 통화에 참여하는 각 화자별로 좌측 음향 출력 단자(127) 및 우측 음향 출력 단자(129)에 각각 출력되는 음량의 크기를 다르게 설정하여 헤드셋 연결부(120)를 통해 제공되는 각 화자의 음성에 대한 공간감을 다르게 함으로써 헤드셋을 통해 각 화자의 음성을 듣는 것 만으로 화자를 구분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도 3에서는 다자간 화상 통화에 참여하는 참여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를 제외한 4명(A, B, C 및 D)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였고, 각 화자별로 헤드셋 연결부(120)의 좌측 음향 출력 단자(127) 및 우측 음향 출력 단자(129)에 출력되는 음량의 가중치를 백분율로 예를 들어 표시하였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화자(A)는 좌측 음향 출력 단자(127)를 통해 음성이 최대의 음량(즉, 100 퍼센트)으로 출력되고, 우측 음향 출력 단자(129)를 통해 음성이 최대 음량의 25 퍼센트만 출력되도록 설정되어, 다자간 화상 통화 중 화자(A)가 말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설정된 음량 가중치에 상응하는 음량으로 화자의 음성이 조절되어 헤드셋 연결부(120)로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헤드셋 연결부(120)에 헤드셋을 연결하여 다자간 화상 통화를 수행할 경우, 사용자는 좌측 이어폰 및 우측 이어폰에서 들리는 음량의 차이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된 화상 통화 참여자의 영상 중 화자(A)의 영상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에서는 다자간 화상 통화의 참여자가 4명(사용자 제외)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다자간 화상 통화의 참여자가 4명 이상인 경우에도 각 참여자 별로 서로 다른 음량 가중치를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저장부(150)는 플래쉬(Flash)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의 기본 동작에 필요한 시스템 프로그램(예를 들면 운영체제) 및/또는 기타 응용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50)에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시스템 프로그램 및/또는 응용프로그램의 수행 중 발생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50)에는 다자간 화상 통화시 각각의 화자를 구분하기 위한 음량 가중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키입력부(160)는 복수의 숫자, 문자 입력 키 및 특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키조작(예를 들면, 다자간 화상 통화 실행)이 발생하면 이에 상응하는 키입력 신호를 제어부(130)에 제공한다.
무선 송수신부(170)는 안테나(171)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고주파(RF: Radio Frequency) 신호를 베이스 밴드(baseband)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40)에 제공하고, 제어부(140)로부터 제공되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무선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171)를 통해 출력한다.
특히, 무선 송수신부(170)는 비디오 코덱(117) 및 오디오 코덱(130)에 의해 소정의 화상 통화 포맷으로 인코딩된 초당 소정 프레임의 화상 통화 신호를 다자간 화상 통화 참여자들의 휴대용 단말기에 송신하고, 다자간 화상 통화 참여자들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송한 화상 통화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40)에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헤드셋 연결부(120)에 포함된 좌측 음향 출력 단자(127) 및 우측 음향 출력 단자(129)를 통해 출력되는 음량을 각각 제어함으로써 소정 화자를 구분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좌측 채널 및 우측 채널에 각각 연결된 두 개의 스피커를 구비하고, 각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량을 조절함으로 화자를 구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40)는 키입력부(160)로부터 다자간 화상 통화를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가 제공되면 다자간 화상 통화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휴대용 단말기 사이에 다자간 화상 통화 호를 연결한다(단계 201).
이후, 다자간 화상 통화 참여자 중 소정의 화자로부터 음성이 사용자의 휴대 용 단말기로 제공되면(단계 203), 제어부(140)는 상기 소정의 화자로부터 제공된 음성 데이터에서 호 구분자를 추출함으로써 복수의 화상 통화 참여자 중 음성을 제공한 상기 화자를 식별한다(단계 205).
이후, 제어부(140)는 상기 음성 신호를 제공한 화자에 상응하는 음량 가중치를 저장부(150)에서 독출하고(단계 207), 독출된 음량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화자의 음량을 조절한다(단계 209). 여기서, 제어부(140)는 상기 독출된 음량 가중치에 상응하는 음량 제어 신호를 오디오 코덱(130)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화자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오디오 코덱(130)은 제어부(140)로부터 제공된 음량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화자의 음량을 조절한 후 음량이 조절된 상기 화자의 음성을 헤드셋 연결부(120)에 제공한다(단계 211).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디오 코덱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화상 통화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기능을 위해 설정된 화자별 음량 가중치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3 : 디스플레이부 117 : 비디오 코덱
120 : 헤드셋 연결부 130 : 오디오 코덱
131 : 보코더 140 : 제어부
150 : 저장부 170 : 무선 송수신부
Claims (9)
- 다자간 화상 통화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다자간 화상 통화에 참여하는 각각의 화자에 상응하는 음량 가중치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소정의 화자로부터 음성 데이터가 제공되면 상기 소정 화자에 상응하는 음량 가중치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독출한 후 독출된 상기 음량 가중치에 기초하여 음량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상기 음량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화자의 음성이 출력되는 좌측 채널의 음량 및 우측 채널의 음량을 각각 조절하는 오디오 코덱을 포함하는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량 가중치는상기 소정 화자의 음성이 출력되는 좌측 채널 및 우측 채널에 대해 각각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소정의 화자로부터 음성 데이터가 제공되면 상기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호 구분자를 추출하여 상기 다자간 화상 통화에 참여하는 각각의 화자 중에서 상기 소정의 화자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코덱은상기 음량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좌측 채널의 음량을 조절하는 제1 증폭부; 및상기 음량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우측 채널의 음량을 조절하는 제2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상기 좌측 채널의 음량 및 상기 우측 채널의 음량이 각각 조절된 상기 소정 화자의 음성을 제공받는 헤드셋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소정의 화자로부터 음성 데이터가 제공되면 상기 소정 화자에 상응하는 음량 가중치를 독출하는 단계;독출된 상기 음량 가중치에 기초하여 음량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생성된 상기 음량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화자의 음성이 출력되는 좌측 채널의 음량 및 우측 채널의 음량을 각각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량 가중치는상기 소정 화자의 음성이 출력되는 좌측 채널 및 우측 채널에 대해 각각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화자로부터 음성 데이터가 제공되면 상기 소정 화자에 상응하는 음량 가중치를 독출하는 단계는,상기 소정의 화자로부터 음성 데이터가 제공되면 상기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호 구분자를 추출하여 상기 다자간 화상 통화에 참여하는 각각의 화자 중에서 상기 소정의 화자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방법은상기 좌측 채널의 음량 및 상기 우측 채널의 음량이 각각 조절된 상기 소정 화자의 음성을 헤드셋 연결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1277A KR101334015B1 (ko) | 2007-10-09 | 2007-10-09 |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단말기 및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1277A KR101334015B1 (ko) | 2007-10-09 | 2007-10-09 |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단말기 및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36226A true KR20090036226A (ko) | 2009-04-14 |
KR101334015B1 KR101334015B1 (ko) | 2013-11-28 |
Family
ID=40761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01277A KR101334015B1 (ko) | 2007-10-09 | 2007-10-09 |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단말기 및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401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025861B2 (en) | 2010-04-07 | 2021-06-01 | Apple Inc. | Establishing a video conference during a phone call |
WO2024128637A1 (ko) * | 2022-12-12 | 2024-06-2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화자별 음량 조절을 위한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08147B1 (ko) * | 1998-12-17 | 2001-12-17 | 서평원 | 이동 단말의 통화 음량 제어 방법 |
KR100713511B1 (ko) * | 2005-10-07 | 2007-04-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
-
2007
- 2007-10-09 KR KR1020070101277A patent/KR101334015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025861B2 (en) | 2010-04-07 | 2021-06-01 | Apple Inc. | Establishing a video conference during a phone call |
WO2024128637A1 (ko) * | 2022-12-12 | 2024-06-2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화자별 음량 조절을 위한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34015B1 (ko) | 2013-1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27802B1 (ko) |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장치 및 화상 통화 송수신방법 | |
KR20080043492A (ko) | 영상 합성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단말기의 영상 합성 방법 | |
US20070015496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jecting call recep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JP2012075039A (ja) | 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 |
KR20060058013A (ko) | 다지점 회의에서의 통신 단말기의 용이한 음량 조절 | |
KR100703454B1 (ko) | 다양한 화면 방식을 제공하는 휴대단말기 | |
US20030123621A1 (en) | Simple structured portable phone with video answerphone message function and portable phone system including the same | |
KR101334015B1 (ko) |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단말기 및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방법 | |
JP2008048030A (ja) | 情報処理装置 | |
KR20150025750A (ko)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양방향 번역 방법 | |
KR101232537B1 (ko) | 화상통신 단말기 및 화상통신 단말기에서 화상통신 방법 | |
JP2017103641A (ja) | 情報処理装置、会議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KR100879648B1 (ko) | 절전형 화상통화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단말기의 절전형 화상통화 방법 | |
JP2006211570A (ja) | 撮影装置 | |
JP6029626B2 (ja) | 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 |
KR20090054178A (ko) | 다자간 화상 통화시 음성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휴대용 단말기 | |
KR20080047683A (ko) | 휴대용 단말기에서 스트리밍 서비스 전송 방법 및 장치 | |
KR100861284B1 (ko) | 영상 통화 중 음성 처리 방법 및 영상 통화 중 음성 처리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 |
KR20090097319A (ko) | 대체 영상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방법 및 장치 | |
KR100735885B1 (ko) | 통화 내용의 필터링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 |
KR100872076B1 (ko) | 영상 통화 중 대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기 | |
KR100617564B1 (ko) | 이동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방법 | |
KR20090012657A (ko) | 카메라가 구비되지 않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 |
KR20090018507A (ko) | 영상 통화 방법 및 장치 | |
KR100830781B1 (ko) |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체 정지 영상 전송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