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5915A -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5915A
KR20090035915A KR1020070100950A KR20070100950A KR20090035915A KR 20090035915 A KR20090035915 A KR 20090035915A KR 1020070100950 A KR1020070100950 A KR 1020070100950A KR 20070100950 A KR20070100950 A KR 20070100950A KR 20090035915 A KR20090035915 A KR 20090035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onal service
video call
network
service
b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1816B1 (ko
Inventor
김수년
김기문
주영호
권혁훈
강봉주
김민석
이원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0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816B1/ko
Publication of KR20090035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10Metering calls from calling party, i.e. A-party charged for the communication
    • H04M15/12Discriminative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 H04M15/16Discriminative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ccording to connection obtain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0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즉, 발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요청에 따라 수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을 중계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사용에 따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수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 실패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가 부가 서비스를 사용할 경우, 이에 대한 비과금 처리를 요청하는 교환 장치; 상기 수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 실패에 따라 접속 유도된 상기 발신 단말기에 상기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에 대한 부가 서비스 제공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상기 교환기에 전달하며, 상기 발신 단말기의 상기 부가 서비스 사용에 따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 및 상기 교환 장치 및 부가 서비스 장치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금 센터;를 포함함으로써, 영상 통화 기반 부가 서비스 이용시 서비스에 대한 통화료 요율을 서비스별로 각각 다르게 설정하여, 고객에게 불필요한 시간인 각종 안내방송 및 메뉴 안내 시간 등에 대해 비과금 또는 낮은 요율을 적용할 수 있다.
영상 통화, 부가 서비스, 요율, 과금

Description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CHARGE PROCESSING SYSTEM FOR VIDEO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통화 기반 부가 서비스 이용시 서비스에 대한 통화료 요율을 서비스별로 각각 다르게 설정하기 위한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있는 구조로 변환되어, 음성통신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들은 패킷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들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카메라나 TV 수신기 등을 부가하여 동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이 구현됨에 따라,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영상을 촬영하여 동영상(Moving Picture) 및 정지영상(Still Picture)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아울러 촬영된 여상을 다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영상 통화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오디오 송수신과 함께 비디오 송수신을 수행하면서,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즉,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대측의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면서 통화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영상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통화 방법은 데이터 서비스 기능을 이용하여 압축된 음성 및 영상 데이터에 제어 데이터를 삽입하여 트래픽 채널을 통해 송/수신하는 것인데, 채널 특성상 지연(Delay), 지터(Jitter) 등으로 인해 통화 품질(QoS)의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송/수신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손실을 검출하여 실시간 스트리밍을 구현하기 위해 송신측 단말기에는 소정의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다. 즉, 영상 통화시 음성 및 영상 데이터의 손실은 대부분 무선 환경을 통한 전송 도중에 발생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실시간 통신 프로토콜(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H.324M, H.323, SIP 등과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오류를 확인할 수 있는 제어 데이터와 함께 보내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술한 영상 통화에 따른 영상 사서함, 영상 메시지 콜 등의 서비스 이용시, 사용자 편의를 위해 각종 안내 방송 및 메뉴 안내 등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부가적인 요소는 실질적인 영상 통화요금과 동일하게 교환기 기반의 시간 과금을 토대로 일률적으로 10 초당 1 도수의 요율을 가지고 과금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영상 통화에 대한 통화료 요율을 서비스의 종류 및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각종 안내 방송 등을 포함하는 부가 서비스를 구분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기존의 기술은 사용자에게 실질적인 서비스 이용보다 초 과된 요금을 청구하는 것이 불가피하며, 이는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와 직결되어 해당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참여도를 저하시키는 문제로 작용할 수 있다.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선행 기술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통화 기반 부가 서비스 이용시 서비스에 대한 통화료 요율을 서비스별로 각각 다르게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발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요청에 따라 수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을 중계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사용에 따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수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 실패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가 부가 서비스를 사용할 경우, 이에 대한 비과금 처리를 요청하는 교환 장치; 상기 수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 실패에 따라 접속 유도된 상기 발신 단말기에 상기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에 대한 부가 서비스 제공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상기 교환기에 전달하며, 상기 발신 단말기의 상기 부가 서비스 사용에 따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 및 상기 교환 장치 및 부가 서비스 장치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금 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a) 교환 장치가 발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요청시 수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 실패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의 접속을 영상 통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로 유도하는 단계; b)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가 상기 접속 유도된 상기 발신 단말기에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상기 교환 장치에 전달하는 단 계; c)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가 상기 발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사용에 따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여 과금을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교환 장치가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여 비과금을 요청하는 단계; 및 e) 과금 센터가 상기 교환 장치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 상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토대로 비과금 요청임을 인지하여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만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과금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서의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이 개시되며: 이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요청에 따라 수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을 중계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사용에 따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수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 실패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가 부가 서비스를 사용할 경우, 이에 대한 비과금 처리를 요청하는 교환 장치; 상기 수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 실패에 따라 접속 유도된 상기 발신 단말기에 상기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에 대한 부가 서비스 제공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상기 교환기에 전달하며, 상기 발신 단말기의 상기 부가 서비스 사용에 따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 및 상기 교환 장치 및 부가 서비스 장치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금 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환 장치는,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부가 서비스 장 치로 접속 유도될 경우, 부가 서비스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여 비과금을 처리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환 장치는 WCDMA 교환기(MSC)이고,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는 ISUP 프로토콜의 'ANM' 메시지 상의 특정 서비스 액티베이션(Service Activation) 파라미터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교환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환 장치는 SIP 망의 교환기(CSCF,Call Session Control Unit)이고,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는, '200 OK' 메시지의 SDP 상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Script)를 삽입하여 상기 교환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환 장치는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의 교환기(GK)이고,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는, 'Connect' 메시지내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교환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과금 센터는, 상기 교환 장치가 상기 발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부가 서비스 사용에 따른 비과금을 요청할 경우,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만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복수의 영상 통화 서비스 망을 포함하는 이종 망에서의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의 상기 이종 망 간의 영상 통화 요청에 따라 수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을 중계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사용에 따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수신 단 말기와의 호 접속 실패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가 부가 서비스를 사용할 경우, 이에 대한 비과금 처리를 요청하는 교환 장치; 상기 수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 실패에 따라 접속 유도된 상기 발신 단말기에 상기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에 대한 부가 서비스 제공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상기 교환기에 전달하며, 상기 발신 단말기의 상기 부가 서비스 사용에 따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이종 망간의 송수신 메시지의 프로토콜을 각각의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게이트웨이; 및 각각의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 위치한 상기 교환 장치 및 부가 서비스 장치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금 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환 장치는, 상기 발신 단말기가 각각의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 위치한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로 접속 유도될 경우,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여 비과금을 처리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환 장치는 WCDMA 교환기(MSC)이고,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는 ISUP 프로토콜의 'ANM' 메시지 상의 특정 서비스 액티베이션(Service Activation) 파라미터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교환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환 장치는 SIP 망의 교환기(CSCF,Call Session Control Unit)이고,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는, '200 OK' 메시지의 SDP 상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Script)를 삽입하여 상기 교환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환 장치는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의 교환기(GK)이고,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는, 'Connect' 메시지내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교환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 망이 WCDMA 망 및 SIP 망을 포함하는 이종 망일 경우, 각각의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서 수신되는 'ANM' 메시지 및 '200 OK' 메시지의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시켜 대상 교환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 망이 WCDMA 망 및 상기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을 포함하는 이종 망일 경우, 각각의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서 수신되는 'ANM' 메시지 및 'Connect' 메시지의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시켜 대상 교환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 망이 SIP 망 및 상기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을 포함하는 이종 망일 경우, 각각의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서 수신되는 '200 OK' 메시지 및 'Connect' 메시지의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시켜 대상 교환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과금 센터는, 각각의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 위치한 상기 교환 장치가 상기 발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부가 서비스 사용에 따른 비과금을 요청할 경우,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만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서의 영상 통화 과금 처리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a) 교환 장치가 발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요청시 수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 실패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의 접속을 영상 통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로 유도하는 단계; b)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가 상기 접속 유도된 상기 발신 단말기에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상기 교환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 c)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가 상기 발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사용에 따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여 과금을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교환 장치가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여 비과금을 요청하는 단계; 및 e) 과금 센터가 상기 교환 장치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 상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토대로 비과금 요청임을 인지하여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만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는, 상기 교환 장치가 WCDMA 교환기(MSC)일 경우, ISUP 프로토콜의 'ANM' 메시지 상의 특정 서비스 액티베이션(Service Activation) 파라미터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교환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는, 상기 교환 장치가 SIP 망의 교환기(CSCF,Call Session Control Unit)일 경우, '200 OK' 메시지의 SDP 상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Script)를 삽입하여 상기 교환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는, 상기 교환 장치가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의 교환기(GK)일 경우, 'Connect' 메시지내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교환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복수의 영상 통화 서비스 망을 포함하는 이종 망에서의 영상 통화 과금 처리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a) 착신 교환 장치가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 실패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의 접속을 상기 착신 단말기가 위치한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 위치한 부가 서비스 장치로 유도하는 단계; b)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가 상기 접속 유도된 상기 발신 단말기에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정보를 각각의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 위치한 착신 교환 장치에 전달하며, 상기 발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사용에 따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여 과금을 요청하는 단계; c) 게이트웨이가 상기 착신 교환 장치로부터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전달받아, 발신 단말기가 위치한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 적합한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발신 교환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발신 교환 장치가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전달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여 비과금을 요청하는 단계; 및 e) 과금 센터가 상기 발신 교환 장치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 상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토대로 비과금 요청임을 인지하여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만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는, 상기 착신 교환 장치가 WCDMA 교환기(MSC)일 경우, ISUP 프로토콜의 'ANM' 메시지 상의 특정 서비스 액티베이션(Service Activation) 파라미터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착신 교환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는, 상기 착신 교환 장치가 SIP 망의 교환기(CSCF,Call Session Control Unit)일 경우, '200 OK' 메시지의 SDP 상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Script)를 삽입하여 상기 착신 교환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는, 상기 착신 교환 장치가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의 교환기(GK)일 경우, 'Connect' 메시지내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착신 교환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 단계는,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 망이 WCDMA 망 및 SIP 망을 포함하는 이종 망일 경우, 상기 착신 교환 장치에서 수신되는 '200 OK' 메시지 및 'ANM' 메시지의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시켜 상기 발신 교환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 단계는,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 망이 WCDMA 망 및 상기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을 포함하는 이종 망일 경우, 상기 착신 교환 장치에서 수신되는 'Connect' 메시지를 'ANM' 메시지로 프로토콜을 변환시켜 발신 교환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 단계는,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 망이 SIP 망 및 상기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을 포함하는 이종 망일 경우, 상기 착신 교환 장치에서 수 신되는 'Connect' 메시지를 '200 OK' 메시지로 프로토콜을 변환시켜 발신 교환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영상 통화 기반 부가 서비스 이용시 서비스에 대한 통화료 요율을 서비스별로 각각 다르게 설정하여, 고객에게 불필요한 시간인 각종 안내방송 및 메뉴 안내 시간 등에 대해 비과금 또는 낮은 요율을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3G-324M 기반의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WCDMA 망,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의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SIP 망 및, H.323 프로토콜 기반의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을 포함하는 이종 망에서 구현가능하며, 각각의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 위치하며 호 처리를 중계하며, 발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사용에 따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교환기(GK,CSCF,MSC;110,120,130); 접속한 발신 단말기에 다양한 종류의 영상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에 따른 별도의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V-VAS,Video VAS System;200); 이종 영상 서비스 망 간 프로토콜 및 미디어를 변환하는 장치로서, 이종 망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에 대한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IMG,Inter Media Gateway;300); 및 상기 교환기(110,120,130) 및 부가 서비스 장치(200)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금 센터(IPMD,4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참고로, 상기 교환기(CSCF,Call Session Control Funtion;120)는 IMS망에서 호 및 세션 처리에 관련된 부분을 담당하는 기능으로 인입 호에 대한 게이트웨이 역할과 호 제어 기능, SPD기능, 주소 처리 기능 등으로 구성된 일종의 교환기 역활을 담당하는 노드를 지칭한다.
상기 교환기(110,120,130)는 발신 단말기의 단일 망 또는 이종 망 간의 영상 통화 요청에 따라 수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을 중계하며, 상기 수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 실패에 따라 발신 단말기를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200)로 접속 유도한다.
아울러, 교환기(110,120,130)는 상기 발신 단말기가 부가 서비스를 사용할 경우, 이에 대한 비과금 처리를 요청한다. 즉, 교환기(110,120,130)는, 상기 발신 단말기가 각각의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 위치한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200)로 접속 유도될 경우,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과금 센터(400)에 전송함으로써, 교환기 사용에 대한 비과금을 처리를 요청한다.
한편, 교환기(110,120,130)는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와의 정상적인 호 연결이 이루어질 경우, 종래의 영상 통화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과금 데이터를 적용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200)는 상기 수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 실패에 따라 접속 유도된 상기 발신 단말기에 상기 영상 사서함을 포함하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발신 단말기에 대한 부가 서비스 제공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상기 교환기에 전달하며, 상기 발신 단말기의 상기 부가 서비스 사용에 따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여 과금 센터(400)에 전송하여 이에 대한 처리를 요청한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 장치(200)에서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의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실질적인 서비스 사용 내역을 구분하고, 실질적인 서비스 대상과 메뉴 제공 또는 안내 방송과 같이 실질적인 서비스 대상이 아닌 것을 구분하여 선택적 요율 적용 또는 비과금 처리 등과 같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실질적인 서비스에 대한 탄력적인 과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부가 서비스 장치(200)는 WCDMA 망에 위치한 경우, ISUP 프로토콜의 'ANM' 메시지 상의 특정 서비스 액티베이션(Service Activation) 파라미터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하여 해당 교환기(130)에 전송하며, 또한, 상기 SIP 망에 위치한 경우, '200 OK' 메시지의 SDP 상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Script)를 삽입하여 상기 교환기(120)에 전송하고, 아울러, 상기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에 위치한 경우, 'Connect' 메시지 상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교환기(110)에 전송한다.
상기 게이트웨이(300)는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이종 망간의 송수신 메시지의 프로토콜을 각각의 영상 통 화 서비스 망에 적합하도록 변환한다. 즉, 게이트웨이(300)는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 망이 WCDMA 망 및 SIP 망을 포함하는 이종 망일 경우, 각각의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서 수신되는 'ANM' 메시지 및 '200 OK' 메시지의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시키며, 또한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 망이 WCDMA 망 및 상기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을 포함하는 이종 망일 경우, 각각의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서 수신되는 'ANM' 메시지 및 'Connect' 메시지의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시고, 아울러,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 망이 SIP 망 및 상기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을 포함하는 이종 망일 경우, 각각의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서 수신되는 '200 OK' 메시지 및 'Connect' 메시지의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시켜 대상 교환기로 전달한다.
상기 과금 센터(400)는 각각의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 위치한 상기 교환기 및 부가 서비스 장치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 위치한 상기 교환기(110,120,130)가 상기 발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부가 서비스 사용에 따른 비과금을 요청할 경우,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200)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만을 처리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과금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과금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3G-324M 기반의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WCDMA 망,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의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SIP 망 및, H.323 프로토콜 기반의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을 포함하는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서 단일 망에 대한 영상 통화 과금 처리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교환기(110,120,130)가 발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요청시 수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 실패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의 접속을 영상 통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200)로 유도한다(S110).
그리고 나서, 부가 서비스 장치(200)가 상기 접속 유도된 상기 발신 단말기에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상기 교환기(110,120,130)에 전달한다(S120-S130). 바람직하게는, 부가 서비스 장치(200)는 WCDMA 망에 위치한 경우, ISUP 프로토콜의 'ANM' 메시지 상의 특정 서비스 액티베이션(Service Activation) 파라미터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하여 해당 교환기(130)에 전송하며, 또한, 상기 SIP 망에 위치한 경우, '200 OK' 메시지의 SDP 상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Script)를 삽입하여 상기 교환기(120)에 전송하고, 아울러, 상기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에 위치한 경우, 'Connect' 메시지 상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교환기(110)에 전송한다.
그런 다음, 부가 서비스 장치(200)가 상기 발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사용에 따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고, 과금 센터(400)에 이를 제공하여 과금 처리를 요청한다(S140-S150).
이후, 교환기(110,120,130)가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여, 부가 서비스 사용에 따른 교환기에서의 비과금을 과금 센터(400)에 요청한다(S160-S170).
다음으로, 과금 센터(400)는, 상기 교환기(110,120,130)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 상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토대로 비과금 요청임을 인지하여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200)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만을 처리한다(S180).
다음, 도 4를 참조하여 3G-324M 기반의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WCDMA 망,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의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SIP 망 및, H.323 프로토콜 기반의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을 포함하며, 상기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을 발신 망에서 제외시킨 이종 망에서의 영상 통화 과금 처리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착신 교환기(110,120,130)가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 실패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의 접속을 상기 착신 단말기가 위치한 영상 통화 서비스 망의 부가 서비스 장치(200)로 유도한다(S210).
그런 다음,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200)가 상기 접속 유도된 상기 발신 단말기에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정보를 각각의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 위치한 착신 교환기(110,120,130)에 전달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사용에 따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여 과금 센터(400)에 과금 처리를 요청한다(S220-S250). 바람직하게는, 부가 서비스 장치(200)는 WCDMA 망에 위치한 경우, ISUP 프로토콜의 'ANM' 메시지 상의 특정 서비스 액티베이션(Service Activation) 파라미터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하여 해당 교환기(130)에 전송하며, 또한, 상기 SIP 망에 위치한 경우, '200 OK' 메시지의 SDP 상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Script)를 삽입하여 상기 교환기(120)에 전송하고, 아울러, 상기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에 위치한 경우, 'Connect' 메시지 상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교환기(110)에 전송한다.
이 후, 게이트웨이(300)가 상기 착신 교환기(110,120,130)로부터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전달받아, 발신 단말기가 위치한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 적합한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발신 교환기(120,130)로 전달한다(S260-S280). 바람직하게는, 게이트웨이는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 망이 WCDMA 망 및 SIP 망을 포함하는 이종 망일 경우, 상기 착신 교환기(120, 130)에서 수신되는 '200 OK' 메시지 및 'ANM' 메시지의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시켜 각각의 발신 교환기(120,130)로 전달하며, 또한,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 망이 WCDMA 망 및 상기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을 포함하는 이종 망일 경우, 착신 교환기(110)에서 수신되는 'Connect' 메시지를 'ANM' 메시지로 프로토콜을 변환시켜 발신 교환기(130)로 전달한다. 아울러,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 망이 SIP 망 및 상기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을 포함하는 이종 망일 경우, 착신 교환기(110)에서 수신되는 'Connect' 메시지를 '200 OK' 메시지로 프로토콜을 변환시켜 발신 교환기(120)로 전달한다.
이후, 발신 교환기(120,130)가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여, 부가 서비스 사용에 따른 교 환기에서의 비과금을 과금 센터(400)에 요청한다(S290-S300).
다음으로, 과금 센터(400)는, 상기 발신 교환기(120,130)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 상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토대로 비과금 요청임을 인지하여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200)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만을 처리한다(S310).
마지막으로, 도 5를 참조하여 3G-324M 기반의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WCDMA 망,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의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SIP 망 및, H.323 프로토콜 기반의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을 포함하며, 상기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을 발신 망으로 한정하는 이종 망에서의 영상 통화 과금 처리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착신 교환기(120,130)가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 실패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의 접속을 상기 발신 단말기가 위치한 영상 통화 서비스 망의 부가 서비스 장치(200)로 유도한다(S320-S330). 바람직하게는, 상기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이 발신 망일 경우, 이종 망에 위치한 수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 불가시 이종 망으로 전송된 호 요청은 발신 교환기(110)로 피드백되어, 해당 영상 통화 서비스 망(H.323 프로토콜 기반 망)을 관할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로 접속 유도된다.
그런 다음,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200)가 상기 접속 유도된 상기 발신 단말기에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정보를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에 위치한 발신 교환기(110)에 전달하고, 상 기 발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사용에 따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여 과금 센터(400)에 과금 처리를 요청한다(S340-S370). 바람직하게는, 부가 서비스 장치(200)가 'Connect' 메시지 상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하여 발신 교환기(100)에 전달한다.
이후, 발신 교환기(120,130)가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여, 부가 서비스 사용에 따른 교환기에서의 비과금 처리를 과금 센터(400)에 요청한다(S380-S390).
다음으로, 과금 센터(400)는, 상기 발신 교환기(110)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 상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토대로 비과금 요청임을 인지하여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200)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만을 처리한다(S400).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영상 통화 부가 서비스에 대한 통화료 요율을 서비스의 종류 및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각종 안내 방송 등을 포함하는 부가 서비스를 구분하여 비과금 혹은 낮은 요율을 적용하에 따라, 실질적인 서비스 이용 시간만을 과금 처리함으로써, 사용자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 서비스 장치에서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 포맷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일 망에서의 영상 통화 과금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망에서의 영상 통화 과금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120, 130: 교환기(GK,CSCF,MSC)
200: 부가 서비스 장치(V-VAS)
300: 게이트웨이(IMG)
400: 과금 센터(IPMD)

Claims (26)

  1.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서의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요청에 따라 수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을 중계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사용에 따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수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 실패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가 부가 서비스를 사용할 경우, 이에 대한 비과금 처리를 요청하는 교환 장치;
    상기 수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 실패에 따라 접속 유도된 상기 발신 단말기에 상기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에 대한 부가 서비스 제공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상기 교환기에 전달하며, 상기 발신 단말기의 상기 부가 서비스 사용에 따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 및
    상기 교환 장치 및 부가 서비스 장치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금 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장치는,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로 접속 유도될 경우, 부가 서비스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여 비과금을 처리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장치는 WCDMA 교환기(MSC)이고,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는 ISUP 프로토콜의 'ANM' 메시지 상의 특정 서비스 액티베이션(Service Activation) 파라미터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교환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장치는 SIP 망의 교환기(CSCF,Call Session Control Unit)이고,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는, '200 OK' 메시지의 SDP 상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Script)를 삽입하여 상기 교환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장치는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의 교환기(GK)이고,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는, 'Connect' 메시지내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교환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센터는,
    상기 교환 장치가 상기 발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부가 서비스 사용에 따른 비과금을 요청할 경우,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만을 처리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
  7. 복수의 영상 통화 서비스 망을 포함하는 이종 망에서의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의 상기 이종 망 간의 영상 통화 요청에 따라 수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을 중계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사용에 따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수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 실패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가 부가 서비스를 사용할 경우, 이에 대한 비과금 처리를 요청하는 교환 장치;
    상기 수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 실패에 따라 접속 유도된 상기 발신 단말기에 상기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에 대한 부가 서비스 제공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상기 교환기에 전달하며, 상기 발신 단말기의 상기 부가 서비스 사용에 따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이종 망간의 송수신 메시지의 프로토콜을 각각의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게이트웨이; 및
    각각의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 위치한 상기 교환 장치 및 부가 서비스 장치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금 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장치는,
    상기 발신 단말기가 각각의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 위치한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로 접속 유도될 경우,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여 비과금을 처리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장치는 WCDMA 교환기(MSC)이고,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는 ISUP 프로토콜의 'ANM' 메시지 상의 특정 서비스 액티베이션(Service Activation) 파라미터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교환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장치는 SIP 망의 교환기(CSCF,Call Session Control Unit)이고,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는, '200 OK' 메시지의 SDP 상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Script)를 삽입하여 상기 교환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장치는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의 교환기(GK)이고,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는, 'Connect' 메시지내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교환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 망이 WCDMA 망 및 SIP 망을 포함하는 이종 망일 경우,
    각각의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서 수신되는 'ANM' 메시지 및 '200 OK' 메시지의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시켜 대상 교환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
  13. 제 9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 망이 WCDMA 망 및 상기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을 포함하는 이종 망일 경우,
    각각의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서 수신되는 'ANM' 메시지 및 'Connect' 메시지의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시켜 대상 교환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
  14.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 망이 SIP 망 및 상기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을 포함하는 이종 망일 경우,
    각각의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서 수신되는 '200 OK' 메시지 및 'Connect' 메시지의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시켜 대상 교환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센터는,
    각각의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 위치한 상기 교환 장치가 상기 발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부가 서비스 사용에 따른 비과금을 요청할 경우,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만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
  16.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서의 영상 통화 과금 처리 방법에 있어서,
    a) 교환 장치가 발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요청시 수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 실패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의 접속을 영상 통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로 유도하는 단계;
    b)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가 상기 접속 유도된 상기 발신 단말기에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상기 교환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
    c)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가 상기 발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사용에 따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여 과금을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교환 장치가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부가 서비스 정 보를 삽입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여 비과금을 요청하는 단계; 및
    e) 과금 센터가 상기 교환 장치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 상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토대로 비과금 요청임을 인지하여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만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과금 처리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교환 장치가 WCDMA 교환기(MSC)일 경우, ISUP 프로토콜의 'ANM' 메시지 상의 특정 서비스 액티베이션(Service Activation) 파라미터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교환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과금 처리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교환 장치가 SIP 망의 교환기(CSCF,Call Session Control Unit)일 경우, '200 OK' 메시지의 SDP 상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Script)를 삽입하여 상기 교환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과금 처리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교환 장치가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의 교환기(GK)일 경우, 'Connect' 메시지내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교환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과금 처리 방법.
  20. 복수의 영상 통화 서비스 망을 포함하는 이종 망에서의 영상 통화 과금 처리 방법에 있어서,
    a) 착신 교환 장치가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 실패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의 접속을 상기 착신 단말기가 위치한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 위치한 부가 서비스 장치로 유도하는 단계;
    b)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가 상기 접속 유도된 상기 발신 단말기에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정보를 각각의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 위치한 착신 교환 장치에 전달하며, 상기 발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사용에 따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여 과금을 요청하는 단계;
    c) 게이트웨이가 상기 착신 교환 장치로부터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전달받아, 발신 단말기가 위치한 영상 통화 서비스 망에 적합한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발신 교환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발신 교환 장치가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전달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여 비과금을 요청하는 단계; 및
    e) 과금 센터가 상기 발신 교환 장치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 상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토대로 비과금 요청임을 인지하여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만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과금 처리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착신 교환 장치가 WCDMA 교환기(MSC)일 경우, ISUP 프로토콜의 'ANM' 메시지 상의 특정 서비스 액티베이션(Service Activation) 파라미터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착신 교환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과금 처리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착신 교환 장치가 SIP 망의 교환기(CSCF,Call Session Control Unit)일 경우, '200 OK' 메시지의 SDP 상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Script)를 삽입하여 상기 착신 교환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과금 처리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착신 교환 장치가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의 교환기(GK)일 경우, 'Connect' 메시지내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착신 교환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과금 처리 방법.
  24.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 망이 WCDMA 망 및 SIP 망을 포함하는 이종 망일 경우,
    상기 착신 교환 장치에서 수신되는 '200 OK' 메시지 및 'ANM' 메시지의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시켜 상기 발신 교환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과금 처리 방법.
  25. 제 21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 망이 WCDMA 망 및 상기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을 포함하는 이종 망일 경우,
    상기 착신 교환 장치에서 수신되는 'Connect' 메시지를 'ANM' 메시지로 프로토콜을 변환시켜 발신 교환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과금 처리 방법.
  26.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 망이 SIP 망 및 상기 H.323 프로토콜 기반 망을 포함하는 이종 망일 경우,
    상기 착신 교환 장치에서 수신되는 'Connect' 메시지를 '200 OK' 메시지로 프로토콜을 변환시켜 발신 교환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과금 처리 방법.
KR1020070100950A 2007-10-08 2007-10-08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11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950A KR100911816B1 (ko) 2007-10-08 2007-10-08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950A KR100911816B1 (ko) 2007-10-08 2007-10-08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915A true KR20090035915A (ko) 2009-04-13
KR100911816B1 KR100911816B1 (ko) 2009-08-12

Family

ID=40761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950A KR100911816B1 (ko) 2007-10-08 2007-10-08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8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765A (ko) * 2019-10-29 2021-05-10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새로운 사람을 소개해주는 영상통화의 통화시간을 공평하게 과금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788B1 (ko) * 2005-02-23 2006-09-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3g 324m 화상 전화를 이용한 영상 사서함 제공 시스템 및방법
KR100727067B1 (ko) * 2005-10-27 2007-06-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타망 연동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765A (ko) * 2019-10-29 2021-05-10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새로운 사람을 소개해주는 영상통화의 통화시간을 공평하게 과금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1816B1 (ko) 200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51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nified messaging system service usi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KR100713359B1 (ko) 제3의 디스플레이를 통한 영상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영상 전화 방법
JP5450444B2 (ja) マルチメディア通話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040158647A1 (en) Gateway for connecting networks of different types and system for charging fees for communication between networks of different types
US8244229B2 (en) Mobile video call response
US7979062B2 (en) Communications method between a combinational terminal and multimedia terminal
US201200754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A Multi-Media Call Setup Request
US8681199B2 (en) Method of providing video-call service using general voice-call terminal and private branch exchange for performing the method
CN104580983A (zh) 一种实现视频通讯ptt功能的方法
KR100911816B1 (ko)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EP2127318B1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voip communication by means of digital video broadcasting network
KR100556914B1 (ko) 일대일 방식의 휴대폰 화상통화 서비스 방법
KR100646345B1 (ko) 화상 전화망에서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 가입 유무에따라 톤 및 안내 방송을 송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090238176A1 (en) Method, telephone system and telephone terminal for call session
EP2104303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the initiator and the receiver dismantling the call
KR20050068823A (ko) 차세대통신망에서 착신 통화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과,그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5006650A1 (en) Method and nodes for conference communication
US20110238785A1 (en) Multimedia providing service
KR100645923B1 (ko) 패킷 통신망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음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100907612B1 (ko)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 세션 종료 후의 과금처리 방법 및 시스템
CN107786836B (zh) 一种音视频会话业务实现方法和装置
KR101208119B1 (ko)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sip 기반 영상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13684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65003B1 (ko) Volp 가입자를 위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90030817A (ko) VoIP망과 WCDMA망 사이의 연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