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5881A -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5881A
KR20090035881A KR1020070100906A KR20070100906A KR20090035881A KR 20090035881 A KR20090035881 A KR 20090035881A KR 1020070100906 A KR1020070100906 A KR 1020070100906A KR 20070100906 A KR20070100906 A KR 20070100906A KR 20090035881 A KR20090035881 A KR 20090035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iter
front panel
rear surface
bobbin
displa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9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영인
강혜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0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5881A/en
Publication of KR20090035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8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A display apparatus preventing the increase of thickness is provide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a customer and prevent the increase of the entire display apparatus by mounting a speaker unit on a display device. A display module outputs an image. A front panel(2) surrounds the display module. An exciter(4) delivers the acoustical vibration to the front panel. A supporting member fixes the rear side of the front panel. The supporting member comprises a support rib(9) extended from the rear side of the front panel. The front side of exciter is fixed to the supporting member with the adhesive member. A boss is extended from the supporting member.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Display apparatus}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종래의 디스플레이 기기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감싸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제공되는 스피커로 이루어진다. Conventional display devices include a display module, a case surrounding the display module, and a speak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상세히, 종래의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케이스 내부에 여진기(transducer)와 인클로져로 구성되는 스피커 유닛이 별도의 체결 부재에 의하여 장착되는 구조를 이룬다.In detail,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a speaker unit composed of a transducer and an enclosure is mounted in a case by a separate fastening member.

본 발명은 스피커 유닛이 별도의 단품으로서 디스플레이 기기 내부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 기기 전체 규격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을 보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 that the speaker unit is mounted inside the display device as a separate unit, so that the overall display device standard is increased.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두께를 더욱 줄여서, 소비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urther reduce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customer satisfac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를 감싸는 전면 패널;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어, 음향 진동이 상기 전면 패널로 전달되도록 하는 여진기;및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제공되어, 상기 여진기가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 부재가 포함된다.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display module for outputting an image; A front panel surrounding the display module; An exciter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to allow acoustic vibrations to be transmitted to the front panel; and a support member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to fix the exci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패널 배면에 여진기가 직접 부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조비가 경감되고, 상기 전면패널의 실질적인 전체면적이 떨림판으로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진기에 의해서 보다 폭넓은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citer is directly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display device, and since the substantial whole area of the front panel can act as a vibration plate, a wider frequency band is provided by the exciter. Sound can be implemented.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두께가 가시적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소비자의 만족감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is visually reduced, consumer satisfaction is enhanced.

이하에서는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진기의 장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structure of the exci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1)에는, 디스플레이 모듈(6)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의 전면 테두리 부분을 보호하는 전면 패널(2)과, 전면 패널(2)의 후면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여진기(4)와, 상기 전면 패널(2)의 배면 일측에 장착되어, 저음 영역의 음향을 출력하는 우퍼(12)가 포함된다. 1 and 2, a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module 6, a front panel 2 that protects a front edge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6, A plurality of exciters 4 fastened to the rear of the front panel 2 and a woofer 12 mounted on one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 to output a sound of the bass region.

상세히, 상기 전면 패널(2)의 하단부는 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어느 지점에 상기 우퍼홀(2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우퍼홀(21)에 우퍼(12)가 장착되도록 하여, 저음 영역의 바닥쪽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2)과 백커버(8)가 접촉되는 부위에 제진 패드(7)가 장착되어, 접촉 소음이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In detail,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front panel 2 may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backward, and the woofer hole 21 may be formed at a certain point. In addition, the woofer 12 may be mounted in the woofer hole 21 to be output to the bottom of the bass region. In addition, the vibration damping pad 7 may be mounted at a portion where the front panel 2 and the back cover 8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remove contact noise.

상기와 같이, 여진기(4)가 전면 패널(2)에 직접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전면 패널(2)이 떨림판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여진기(4)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은 상기 전면 패널(2) 전체에서 출력되기 때문에, 전면 패널(2) 자체가 하나의 스피커 유닛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by allowing the exciter 4 to be directly attached to the front panel 2, the front panel 2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shaking plate. In other words, since the sound output from the exciter 4 is output from the entire front panel 2, the front panel 2 itself performs the function of one speaker unit.

여기서, 상기 전면 패널(2)의 하단부에 별도의 떨림판이 안착되기 위한 함몰 부와, 여진기가 관통하기 위한 홀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떨림판이 상기 함몰부에 결합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떨림판의 배면과 상기 함몰부 사이에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 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떨림판이 상기 전면 패널과 거의 단일체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떨림판의 배면에 상기 여진기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떨림판과 전면 패널(2)이 하나의 떨림판으로 작용하게 된다.Here, a recessed portion for seating a separate shaking plate and a hole for penetrating the exciter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nel 2, and the shaking plate may be coupled to the recessed portion. In other words, an adhesive member such as an adhesive or a double-sided tape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shaking plate and the recessed portion, such that the shaking plate may be coupled to the front panel in a single unit. In addition, the exciter may be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haking plate. In this configuration, the shake plate and the front panel 2 serve as one shake plate.

한편, 상기 전면 패널(2)의 배면에는 상기 여진기(4)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 리브(9)가 돌출된다. On the other hand, a support rib 9 for fixing the exciter 4 protrudes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

상세히, 상기 전면 패널(2)의 배면에 상기 여진기(4)가 직접 부착되는 구조에서는, 상기 여진기(4)의 직경이 상기 전면 패널(2) 하단부의 상하 폭보다 큰 경우 여진기(4)의 장착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진기(4)의 외주면으로부터 체결을 위한 돌출부(411)가 연장되는데, 돌출부(411)간 길이가 전면 패널(2)의 하단부 상하 폭보다 크게 되는 경우 여진기(4)의 장착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In detail,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exciter 4 is directly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 the exciter 4 when the diameter of the exciter 4 is larger than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nel 2. ) May not be easy to mount. In addition, the protrusion 411 for fastening extend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citer 4. When the length between the protrusions 411 is greater than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nel 2, the mounting of the exciter 4 is performed. It may not be easy.

이러한 조립상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 패널(2)의 배면에 여진기(4)의 장착을 위한 별도의 지지 리브(9)가 연장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 리브(9)에 여진기(4)가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To compensate for this assembly disadvantage, a separate support rib 9 for mounting the exciter 4 extends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 and the exciter 4 is attached to the support rib 9. ) Can be mounted.

상세히, 상기 지지 리브(9)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는 경우, 상기 여진기(4)의 직경이 전면 패널(2)의 하단부 폭보다 크더라도 조립시 디스플레이 모듈(6)과 간섭되는 현상이 제거된다.In detail, when the support ribs 9 extend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module 6, even if the diameter of the exciter 4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nel 2, the display module 6 during assembly ), Interference with) is eliminated.

또한, 상기 지지 리브(9)가 상기 전면 패널(2)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면, 상기 지지 리브(9)로 전달된 파동이 상기 전면 패널(2)로 그대로 전달되므로, 음향 품질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 패널(2)이 떨림판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 리브(9)에 상기 돌출부(411)가 안착되기 위한 보스(10)가 돌출되어, 상기 여진기(4)가 상기 지지 리브(9)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여진기(4)의 전면은 상기 지지 리브(9)에 접착 부재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보스(10)와 돌출부(411)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결합력이 강화되어 여진기(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하여 여진기(4)가 지지 리브(9)로부터 분리되는 가능성이 매우 낮아지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support rib 9 is injection molded integrally with the front panel 2, the wave transmitted to the support rib 9 is transmitted to the front panel 2 as it is, so that the acoustic quality is maintained as it is. Can be. That is, the front panel 2 can fully perform the function as the vibration plate. In addition, the boss 10 for mounting the protrusion 411 on the support rib 9 protrudes, so that the exciter 4 may be stably fixed to the support rib 9. The front surface of the exciter 4 is fixed to the support rib 9 by an adhesive member, and the boss 10 and the protrusion 411 are coupled. Therefore, the possibility that the exciter 4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ribs 9 by th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exciter 4 is enhanced very much.

제시되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 리브(9)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즉, 상기 지지 리브(9)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 리브(9)의 상면 또는 하면에 상기 여진기(4)가 안착되는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In the embodiment shown, the support ribs 9 are shown to b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support rib 9 may b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tructure in which the exciter 4 is seated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rib 9 may be possible.

도 3은 도 2의 Ⅰ-Ⅰ'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여진기(4)는 상기 지지 리브(9)로부터 연장되는 보스(10)에 상기 돌출부(411)가 안착되고,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다. Referring to FIG.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citer 4 is mounted to the boss 10 extending from the support rib 9, and the protrusion 411 is seated on each other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Combined.

여기서, 상기 보스(10)는 상기 지지 리브(9)와 단일체로 이루어지고, 스크류가 상기 보스에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상기 지지 리브(9)에 스크류 삽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411)로부터 보스가 연장되어, 스크류가 상기 보스를 관통하여 상기 삽입홀에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Here, the boss 10 may be formed of a single body with the support rib 9, an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screw is inserted into the boss, a screw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support rib 9, and the protrusion part ( The boss extends from 411 so that a screw may pass through the boss and fit into the insertion hole.

상세히, 상기 여진기(4)에는, 외관을 이루는 요크(41)와, 상기 요크(41)의 내측에 제공되어 자속을 형성하는 마그네트(42,43)와, 상기 마그네트(42,43)의 사이에 끼워지는 플레이트(44)와, 상기 마그네트(42,43)의 외측에 끼워져서 도면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진동하는 보빈(48)과, 상기 보빈(48)의 외주면에 둘러지고 전류가 흐르는 보이스 코일(45)과, 상기 보빈(49)의 단부에 결합되는 커플러(49)와, 상기 요크(41)의 개구면쪽에 결합되는 링(46)과, 일측이 상기 링(46)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보빈(48)에 연결되어 상기 보이스 코일(45)의 중심 유지 기능을 수행하는 댐퍼(47)가 포함된다. In detail, the exciter 4 includes a yoke 41 forming an external appearance, a magnet 42 and 43 provided inside the yoke 41 to form a magnetic flux, and the magnets 42 and 43. Plate 44 to be fitted to the bobbin, a bobbin 48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magnets 42 and 43 and oscillating back and forth in the drawing, and a voice coil surrounded by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48 and having a current flowing therein ( 45, a coupler 49 coupled to an end of the bobbin 49, a ring 46 coupled to an opening surface of the yoke 41, and one side connected to the ring 46 and the other side of the A damper 47 is connected to the bobbin 48 and performs a center holding function of the voice coil 45.

또한, 상기 요크(41)는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함몰되는 부분에 마그네트(42,43)가 안착되어, 상기 마그네트(42,43)의 자리를 잡아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보이스 코일(45)에 전류가 흐르면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상기 보빈(48)이 전후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yoke 41 has a shape that is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the magnets 42 and 43 are seated on the recessed portion, thereby performing the function of positioning the magnets 42 and 43. When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voice coil 45, the bobbin 48 vibrates in the front-back direction according to the left-hand rule of Fleming.

다시 말하면, 상기 마그네트(42,43)에 의하여 자속의 방향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보이스 코일(45)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180도 차이로 변할 때마다 상기 보빈(48)이 전후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이를 적용하면, 엄지 손가락은 상기 보빈(48)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고, 검지 손가락은 자속의 방향을 나타내며, 중지 손가락은 전류의 방향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자속 방향은 고정된 상태에서 전류의 방향이 180도 차이로 변하면 상기 보빈(48)이 전후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lux is fixed by the magnets 42 and 43, the bobbin 48 vibrat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enever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voice coil 45 changes by 180 degrees. do. Applying this to Fleming's left hand law, the thumb indicate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bobbin 48, the index finger indicates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lux, and the middle finger indicates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Here, whe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changes by 180 degrees in the fixed magnetic flux direction, the bobbin 48 oscillat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이때, 상기 댐퍼(47)는 댐핑 기능뿐 아니라 상기 보이스 코일(45)이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중심 유지 기능을 수행한다. 기타, 상기 여진기의 구성 및 작동 관계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스피커 구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case, the damper 47 performs a center holding function so that the voice coil 45 can operate correctly as well as a damping function. In addition, sinc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xciter are the same as those of a general speaker structu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보빈(48)의 단부에는 커플러(49)가 씌워지고, 상기 커플러(49)는 일정 폭을 가지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커플러(49)의 전면이 상기 지지 리브(9)의 배면에 완전히 밀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end of the bobbin 48 is covered with a coupler 49, the coupler 49 is made of a ban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The front surface of the coupler 49 is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rib 9.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여진기(4)로 전기 음향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보이스 코일(45)과 보빈(48) 결합체가 음향 주파수 대역에서 전후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그리고,상기 보빈(48)이 진동하면 그 진동은 상기 지지 리브(9)로 직접 전달되고, 상기 지지 리브(9)로 전달되는 음향 진동은 상기 전면 패널(2) 전체로 전달되어, 상기 전면 패널(2)이 진동하면서 음향이 출력된다.By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lectro-acoustic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exciter (4), the voice coil 45 and the bobbin 48 combination vibrat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n the acoustic frequency band. When the bobbin 48 vibrates, the vibration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support ribs 9, and the acoustic vibrations transmitted to the support ribs 9 are transmitted to the entire front panel 2. Sound is output while (2) vibrates.

여기서, 상기 커플러(49)와 상기 지지 리브(9)의 배면 사이에는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 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여진기(4)가 지지 리브(9)의 배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Here, an adhesive member such as an adhesive or double-sided tape is interposed between the coupler 49 and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rib 9 so that the exciter 4 is firmly adher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rib 9. .

이와 같이, 여진기(4)의 전면은 접착 부재에 의하여 지지 리브(9) 배면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상기 돌출부(411)가 보스(10)에 스크류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여진기(4)가 2중으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In this way, the front side of the exciter 4 is firmly attached to the back of the support rib 9 by an adhesive member, and the protrusion 411 is screwed to the boss 10 so that the exciter 4 is 2 Combined firmly

그리고, 상기 지지 리브(9)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도록 하여, 상기 여진기(4)가 다른 부품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In addition, the support ribs 9 extend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module 6 so that the exciter 4 does not interfere with other components.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진기 장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mounting an exci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여진기(4) 장착을 위한 지지 부재가 별도로 제공되어, 상기 전면 패널(2)의 배면에 밀착되는 구조를 이룬다.Referring to FIG. 4, in this embodiment, a support member for mounting the exciter 4 is provided separately to form a structur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

상세히, 상기 지지 부재(11)는 상기 전면 패널(2)의 배면에 밀착되는 고정부(111)와, 상기 고정부(111)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여진기(4)가 고정되는 지지부(11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12)로부터 보스(113)가 연장되어, 상기 여진기(4)의 돌출부(411)가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11)는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 부재에 의하여 상기 전면 패널(2)의 배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In detail, the support member 11 is a fixing part 111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 and a support part 112 which is bent from the fixing part 111 to fix the exciter 4. Is done. The boss 113 extends from the support part 112, and the protrusion 411 of the exciter 4 is seated. In addition, the fixing part 111 may be firmly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 by an adhesive member such as an adhesive or a double-sided tape.

상기와 같이, 여진기(4)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 부재(11)가 제공됨으로써, 전면 패널(2)의 사출 공정이 쉽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여진기(4)의 크기에 맞는 지지 부재(11)를 선택함으로써, 한 종류의 전면 패널(2)의 호환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separate support member 11 for fixing the exciter 4,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jection process of the front panel 2 can be easily performed. And by selecting the support member 11 suitable for the magnitude | size of the exciter 4, one kind of front panel 2 becomes compatible.

물론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여진기(4)가 수직하게 장착되는 경우 외에, 수평하게 장착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Of cours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noted that the exciter 4 may be mounted horizontally, in addition to the case in which the exciter 4 is mounted vertical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진기의 장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exci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Ⅰ-Ⅰ'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진기 장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citer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A display module for outputting an image;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를 감싸는 전면 패널;A front panel surrounding the display module;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어, 음향 진동이 상기 전면 패널로 전달되도록 하는 여진기;및An exciter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to allow acoustic vibrations to be transmitted to the front panel; and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제공되어, 상기 여진기가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 부재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And a support member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to allow the exciter to be fix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 리브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And a support rib exten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 부재는 별도의 부품으로 제공되고, 일측이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고, 타측에 상기 여진기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The support member is provided as a separate component, one side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xciter is fixed to the other si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여진기는 상기 지지 부재에 수평 또는 수직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And the exciter is coupl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to the support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여진기의 전단은 접착 부재에 의하여 상기 지지 부재에 1차 고정되고, The front end of the exciter is first fixed to the support member by an adhesive member,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보스에 의하여 2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And a second fixing by a boss extending from the support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여진기에는, In the exciter, 보빈과, Bobbin, 상기 보빈에 감긴 보이스 코일과, A voice coil wound around the bobbin, 상기 보빈의 내측에 제공되는 마그네트와, A magnet provided inside the bobbin, 상기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요크 및 Yoke supporting the magnet and 상기 보빈의 단부에 씌워지는 커플러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And a coupler covering the end of the bobbin.
KR1020070100906A 2007-10-08 2007-10-08 Display apparatus KR2009003588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906A KR20090035881A (en) 2007-10-08 2007-10-08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906A KR20090035881A (en) 2007-10-08 2007-10-08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881A true KR20090035881A (en) 2009-04-13

Family

ID=40761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906A KR20090035881A (en) 2007-10-08 2007-10-08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5881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69567A (en) * 2013-09-25 2015-03-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Loudspeaker and displayer
WO2019200541A1 (en) * 2018-04-17 2019-10-24 陈引捷 Display device
US11381672B2 (en) * 2018-12-04 2022-07-05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69567A (en) * 2013-09-25 2015-03-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Loudspeaker and displayer
WO2019200541A1 (en) * 2018-04-17 2019-10-24 陈引捷 Display device
US11381672B2 (en) * 2018-12-04 2022-07-05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843711B2 (en) 2018-12-04 2023-12-12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704B1 (en) Display device and system for the display device
EP1617703B1 (en) Speaker apparatus using display window
JP6251458B1 (en) Sound equipment
JP2006238111A (en) Loudspeaker apparatus
KR20060041719A (en) A loud speaker device
KR101423841B1 (en) Microspeaker with inner resonance chamber
US9363588B2 (en) Panel-form loudspeaker
KR100948227B1 (en) Flate speaker
KR20090035881A (en) Display apparatus
US10979815B2 (en) Speaker
US11115754B2 (en) Actuator
KR102115383B1 (en) The exciter mounted on a vibrating panel
JP3063297U (en) Speaker mounting structure
KR101091608B1 (en) Bass enhancing rectangle speaker
KR101322853B1 (en) Bass enhancing speaker
JP2009278403A (en) Noise canceling type headphone
JP5987910B2 (en) Vibration generator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vibration generator
KR101404921B1 (en) Display apparatus
KR102115379B1 (en) The slim speaker
KR20090027831A (en) Display apparatus
KR102046392B1 (en) Speaker having improved quality of sound
KR102562106B1 (en) Slim Speaker
KR101116930B1 (en) Speaker
KR200333043Y1 (en) Vibration speaker
KR20090027795A (en)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