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5772A -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5772A
KR20090035772A KR1020070100724A KR20070100724A KR20090035772A KR 20090035772 A KR20090035772 A KR 20090035772A KR 1020070100724 A KR1020070100724 A KR 1020070100724A KR 20070100724 A KR20070100724 A KR 20070100724A KR 20090035772 A KR20090035772 A KR 20090035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network
plc
modem
network system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8153B1 (ko
Inventor
서성민
Original Assignee
대림아이앤에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아이앤에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아이앤에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0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153B1/ko
Publication of KR20090035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3Mains power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기종 시스템 에어콘을 구비한 홈네트워크(HomeNetwrok)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에 PLC(Power Line Communication) 통신 모뎀을 구비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작동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들에 명령 신호를 전달하는 월패드, 상기 월패드로부터 단일 RS-485 프로토콜을 통해 명령을 전달받으며, 상기 디바이스들간의 공통된 기능만 적용시키도록 하는 MAIN PLC 통신 모뎀 및 상기 MAIN PLC 통신 모뎀으로부터 공통 명령신호를 이기종 디바이스들간의 상호 연동을 위해 상기 명령신호로 수신하는 PLC 통신 모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상에 접속되어 있는 이종 디바이스들간 한대의 MAIN PLC 통신모뎀을 통해서 수십대의 시스템 에어콘을 한 화면을 통해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홈네트워크, 홈 디바이스, PLC, 시스템 에어콘

Description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home network}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기종 시스템 에어콘(digital variable multi)를 구비한 홈네트워크(HomeNetwrok)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PLC(Power Line Communication) 통신모뎀을 구비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작동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가정 내에 인터넷 통신을 위하여 네트워크망을 구축하면서 상기 네트워크망을 통해 복수개의 가전기기를 연결하고 상기 가전기기로 이루어진 홈네트워킹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즉, 가정 내에 구축된 네트워크망을 통해 복수개의 디바이스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디바이스를 네트워크망과 연결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디바이스가 위치하지 않는 장소에서도 네트워크망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기술은 크게 유선과 무선으로 나눌 수 있으며, 유선기술로는 전화선, 전력선, 이더넷, IEEE1394, USB등이 있고, 무선에는 IEEE802.11x 계열의 무 선 LAN, HomeRF, Bluetooth, UltraWideBand(UWB), Zigbee, HiperLAN 등이 대표적인 기술이다.
아직까지는 IEEE1394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식이 개발 방향을 주도하고 있으며 가전기기의 연동 표준화 방식으로 자리잡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볼 때 이동단말 기기의 확산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솔루션이 부각됨에 따라 홈 네트워크에서의 적용도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홈네트워크 전송 및 제어 프로토콜은 전송 매체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규약과 정보 가전제품 사이에 교환되는 메시지에 대한 정의를 하여 정보가전제품의 제품 상태 및 고장 유무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다.
이러한 프로토콜에는 Jini, UPnP, LnCP, HNCP 등이 있으며 스마트홈 서버 및 게이트웨이 제작업체는 해당 업체에 맞는 각각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홈네트워크 구현을 수행하고 있다.
이 때, 홈네트워킹 시스템을 이루는 복수개의 디바이스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되며, 경우에 따라 복수개의 디바이스에 IP주소 등을 부여하고, 원활하게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홈서버가 네트워크망에 같이 연결되기도 한다.
이에,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의 크기, 수행 명령 등에 대한 프로토콜은 표준으로 정해져 있는 것이 없으며, 디바이스 제조업체마다 자체적인 프로토콜로 정의되어 있다.
시스템 에어콘은 건물의 초기단계 또는 리노베이션 건물에서 설치 장소와 냉 방공조 시스템을 계획적으로 설계 시공하는 건물(주택) 일체형 에어콘이다. 한대의 실외기에 접속되는 냉매배관을 단배관으로 직렬구성하며 여러가지 형태의 실내기를 사용하여 최대 16실까지 실내 연결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시스템 에어콘 구성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패드(100), 제1디바이스(120) 및 제2디바이스(130)로 이루어지는데, 동일한 RS-485 인터페이스(110) 방식을 사용하지만, 제1디바이스(120)는 2400bps 통신속도, 이븐(even) 패리티비트, 가변 길이 방식의 패킷 길이를 사용하는 장치이고, 제2디바이스(130)는 4800bps 통신속도, 널(none) 패리티비트, 고정 길이 방식의 패킷 길이를 사용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이러한 프로토콜에 대해 홈네트워크에 적용에 필요한 하나의 표준이 정해져야 하지만, 아직 실현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종 디바이스간의 연동이 가능한 통합 시스템 및 방법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홈네트워크 상에 접속되어 있는 이종 디바이스들간의 상호 연동성을 제공하는 홈네트워크 범용 통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상에 접속되어 있는 이종 디바이스들을 PLC 통신모뎀을 통해 동일한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해당 디바이스들의 스펙사양에 맞게 제어가능한 홈네트워크 범용 통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들에 명령 신호를 전달하는 월패드, 상기 월패드로부터 단일 RS-485 프로토콜을 통해 명령을 전달받으며, 상기 디바이스들간의 공통된 기능만 적용시키도록 하는 MAIN PLC 통신 모뎀 및 상기 MAIN PLC 통신 모뎀으로부터 공통 명령신호를 이기종 디바이스들간의 상호 연동을 위해 상기 명령신호로 수신하는 PLC 통신 모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MAIN PLC 모뎀 통신 방법은 월패드가 PLC 통신 모뎀과 EIA RS-485 규격을 이용해서 폴링 방식을 이용해 주기적으로 통신하는 단계, 상기 PLC 통신 모뎀에 수신된 공통 디바이스 프로토콜의 데이터를 조합하는 단계, 상기 공통 디바이스 프로토콜의 데이터가 문서상에 정의된 통신 규격과 일치 여부를 검사한 후 상기 데이터가 디바이스 제어에 대한 명령인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MAIN PLC 모뎀 내에 상기 디바이스 등록 테이블을 검색하고, 상기 디바이스 존재 유무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의 존재 유무 판별 후 상기 명령이 존재하면 상기 디바이스 제어 신호를 PLC 통신 모뎀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상에 접속되어 있는 이종 디바이스들간 한대의 MAIN PLC 통신모뎀을 통해서 수십대의 시스템 에어콘을 한 화면을 통해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통 시스템 에어콘 프로토콜이 적용된 상위쪽에서는 중계기 개수 및 실내기 개수가 파악되면 현장에 설치될 시스템 에어콘 디바이스들의 스펙에 상관없이 제어 및 상태 반영이 가능해진다.
홈네트워크 상에 접속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가 웹 UI 프로그램인 경우 단일 통신 인터페이스 및 공통 시스템 에어콘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매번 이종 디바이스들간의 프로그래밍이 불필요하고, 현장별로 설치되는 디바이스에 따라서 상위 프로그램을 적용할 필요가 없는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상에 접속되어 있는 이기종 디바이스들을 리모트 컨트롤 서비스(Romte Control Serivce)가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PLC 통합 모뎀을 사용하여 이기종 시스템 에어콘 즉 시스템 에어콘을 공통 시스템 에어콘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통합 관리가 이루어지는 홈네트워크 디바이스들간의 상호 연동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기종 시스템 에어콘 디바이스들을 PLC 통신모뎀으로 각각의 디바이스들과 연결하여 중앙에서 통합 관리를 위해 MAIN PLC 모뎀을 구성함으로써 월패드 또는 중앙관리 장치에서 손쉽게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시스템 에어콘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하나의 월패드(200), 월패드(200)와 각각의 이기종 디바이스(260, 270)와 연결되어 중앙의 기본 명령신호를 인터페이싱 하는 PLC 모뎀(240, 250), 월패드(200)으로부터 기본 명령신호를 변환하여 각각의 디바이스(260, 270)와 연결된 PLC 통신모뎀(240, 250)으로 명령을 전달하는 MAIN PLC 통신모뎀(230)으로 구성된다.
월패드(200)와 MAIN PLC 통신모뎀(230) 사이의 명령어 전송 및 MAIN PLC 통신모뎀(230)과 각각의 디바이스(260, 270)와 연결된 PLC 통신모뎀(240, 250)사이의 명령어 전송은 RS-485 프로토콜(210)로 이루어진다.
월패드(200)와 MAIN PLC 통신모뎀(230) 간의 프로토콜은 이기종간 공통된 기능(예를 들면 시스템 에어콘의 경우 온도 및 습도조절 기능, 온/오프 기능 또한, 보일러의 경우 온도, 시간조절 기능 및 온/오프 기능)만 적용토록 정의되며, 공통 시스템 에어콘 프로토콜을 적용함으로써 단일 RS-485 프로토콜(210)만으로 이기종간 시스템 에어콘 통신을 구현한다.
MAIN PLC 통신모뎀(230)은 각각의 디바이스(260, 270)의 PLC 통신 모뎀(240, 250)과는 공통 시스템 에어콘 프로토콜로 통신하며, 하부에 여러 이기종의 시스템 에어콘이 붙어도 통신 가능하도록 프로그램된다.
각각의 디바이스(260, 270)에 명령을 전달하는 PLC 통신모뎀(240, 250)은 각 모뎀 당 실내기 8대 내지 16대 제어가 가능하며, PLC 통신모뎀(240, 250)을 이용함으로써 복잡한 배선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PLC 통신모뎀(240, 250)은 해당 디바이스(260, 270)의 RS-485 프로토콜(210)을 공통 시스템 에어콘 프로토콜로 변환한다. 즉, 해당 디바이스(260, 270)의 프로토콜에 적용 가능한 PLC 통신 모뎀(240, 250)을 적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LC 통신 모뎀 블록도이다.
PLC 통신모뎀(400)은 시리얼 인터페이스(Serial Interface)로 월패드(세대기) 또는 시스템 에어콘(300)과 통신을 구현한다. 우선, 232/485 드라이버/리시버(410)는 EIA RS-232C, RS-485 표준 규격을 준수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시리얼 신호로 상호 변환해준다.
고속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420)는 FIFO(First-In First-Out)를내장한 범용 비동기 송수신기로써 시리얼 신호와 패러럴(Parallel) 신호를 상호 변환해주는 역할을 한다.
Clock(430)은 CPU를 작동시키는 전원부나 관련 회로의 모음으로 10MHz Clock을 이용해서 Neuron 3150 Chip(440)을 작동시킨다.
Neuron 3150 Chip(440)은 ANSI/EIA 709.2 Lonworks 표준 스택(Stack)이 올라가 있는 CPU로 전력선 통신과 고속 UART(420) 통신 및 각종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수행을 관장하는 메인 CPU이다.
고객 시스템 에어콘용 어플리케이션(450)은 Neuron 3150 Chip(440)에 탑재되는 시스템 에어콘관련 기능을 적용한 소스 코드이다. MAIN PLC 모뎀과 시스템 에어콘용 PLC 모뎀에 따라 답재되는 어플리케이션이 틀리다.
PLC 통신 신호 변환기(460)는 일반 프로토콜을 ANSI/EIA 709.2에 정의된 전력선 신호로 변환해서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PLC 통신 신호 변환기(460)에서는 220V/60Hz 전원에 132kHz, 115kHz의 캐리어 주파수를 실어서 관련 데이터를 보내며 해당 신호의 변, 복조를 담당한다.
PLC 통신 신호 변환기(460)에 PLC 통신 신호는 Lonworks ANSI/EIA 709.2 규격을 준수하는 220V/60Hz 전원에 실린 BPSK 132kHz, 115kHz로 DCNB(Dual Carrier Narrow Band)방식으로 전달되는 신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AIN PLC 통신 모뎀 순서도이다.
우선 월패드는 PLC 통신 모뎀과 EIA RS-485 규격을 이용해서 폴링(Polling) 방식을 이용해 주기적으로 통신한다(S100). 월패드와 PLC 통신 모뎀 사이의 신호는 PLC 통신 모뎀 내부의 UART를 통해 수신 후, 공통 시스템 에어콘 프로토콜의 데이터를 조합한다(S101). 공통 시스템 에어콘 프로토콜 규격 검사는 문서상에 정의된 통신 규격과 일치여부를 검사한 후 정상인 경우 다음 단계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바로 종료하게 된다(S112). 공통 시스템 에어콘 프로토콜 규격 검사에 통과하는 경우 시스템 에어콘 제어 부분은 시스템 에어콘 프로토콜 내용을 검사해서 해당 데이터가 시스템 에어콘 제어에 대한 내용 인지 여부를 검사한다(S103). 시스템 에어콘 제어인 경우, MAIN PLC 통신 모뎀 내에 저장된 시스템 에어콘 등록 데이블을 검색해서 해당 시스템 에어콘 존재 유무를 추후 판별한다(S104). MAIN PLC 통신 모뎀이 해당 시스템 에어콘 존재를 확인하면(S105), 해당 기능이 존재하는지 그 여부를 조사한 후(S106), 해당 시스템 에어콘 제어 패킷을 PLC 통신 모뎀에 전송한다(S107).
만약 시스템 에어콘 제어가 아닌 경우, 해당 프로토콜 내용이 시스템 에어콘 상태 요청에 대한 내용인지 여부를 검사한다(S108). 시스템 에어콘 제어인 경우 재차 시스템 에어콘 등록 테이블을 검색해서 해당 시스템 에어콘 존재 유무를 추후 판별한다(S109). 해당 시스템 에어콘이 존재하면(S110), 해당 시스템 에어콘 상태를 월패드로 전송한다(S111).
월패드의 상태 요청 시에는 MAIN PLC 통신 모뎀이 보관하고 있는 해당 시스템 에어콘 상태를 월패드로 전송해준다. 시스템 에어콘 상태는 이벤트 방식으로 그때 그때 MAIN PLC 통신 모뎀쪽으로 업데이트가 된다. 시스템 에어콘 제어 시에는 시스템 에어콘 프로토콜 내용을 검사해서 해당 기능이 시스템 에어콘에 수용 가능한 기능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에어콘 PLC 통신 모뎀 순서도이다.
각각의 시스템 에어콘 PLC 통신 모뎀은 시스템 에어콘 디바이스별로 존재하며, 월패드쪽에서 전달된 ANSI/EIA 709.2 전력선 신호를 복조해서 PLC 데이터를 수신하여 정상 데이터 유무를 검사한다(S201). 공통 시스템 에어콘 프로토콜 변환기는 공통 시스템 에어콘 프로토콜을 특정 업체용 시스템 에어콘 프로토콜로 변환시킨 후(S202), 해당 디바이스용 시스템 에어콘 프로토콜을 해석한다(S203). 해당 디바이스는 전달된 시스템 에어콘 프로토콜 내용을 검사 후 해당 데이터가 실내기 제어에 관한 내용인지 여부를 검사한다(S204). 해당 디바이스에 전달된 시스템 에어콘 프로토콜이 실내기 제어에 해당하는 데이터이면 각각 시스템 에어콘 PLC 통신 모뎀 내에 저장된 실내기 등록 테이블을 검색하며(S205), 해당 실내기 존재 유무를 판별한다(S206). 해당 실내기가 존재한다면, 해당 실내기에 제어 패킷인 RS-485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내기 상태를 전달한다(S207).
만약 해당 데이터가 실내기 제어에 관한 내용이 아니면, 해당 프로토콜 내용이 실내기 상태 요청에 대한 내용인지 여부를 검사한다(S208). 해당 디바이스에 전달된 시스템 에어콘 프로토콜이 실내기 제어에 해당하는 데이터이면 각각 시스템 에어콘 PLC 통신 모뎀 내에 저장된 실내기 등록 테이블을 검색하며(S209), 해당 실내기 존재 유무를 판별한다(S210). 해당 실내기의 상태 요청시 해당 시스템 에어콘 PLC 통신 모뎀이 보관하고 있는 해당 실내기 상태를 PLC 통신을 이용해서 바로 전송해준다(S211). 실내기 상태는 시스템 에어콘 PLC 통신 모뎀에서 주기적으로 해당 상태를 실내기에 질의를 통해 상태 테이블에 반영한다. 상태 변화 시, 시스템 에어콘 PLC 통신 모뎀은 상태 테이블을 MAIN PLC 통신 모뎀에 바로 전달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시스템 에어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시스템 에어콘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LC 통신 모뎀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AIN PLC 통신 모뎀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에어콘 PLC 통신 모뎀 순서도.

Claims (9)

  1.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각각의 기본기능을 제어하는 월패드;
    상기 월패드로부터 단일 RS-485 프로토콜을 통해 명령을 전달받으며, 상기 디바이스들 각각에 해당하는 명령신호로 변환하는 MAIN PLC 통신 모뎀; 및
    상기 MAIN PLC 통신 모뎀으로부터 상기 명령신호를 이기종 디바이스들간의 상호 연동을 위해 인터페이싱하는 PLC 통신 모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LC 통신 모뎀은 월패드 또는 상기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시리얼 인터페이스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LC 통신 모뎀은
    상기 월패드 또는 상기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위해 EIA RS-232C, RS-485 표준 규격을 준수하는 전기적 신호로 상호 변환해 주는 232/485 드라이버/리시버;
    상기 시리얼 신호와 패러럴 신호를 변환해 주는 고속 UART;
    전력선 통신과 상기 고속 UART 통신 및 각종 어플리케이션 수행을 관장하는 Neuron 3150 Chip;
    상기 Neuron 3150 Chip, CPU를 작동시키는 전원부 또는 회로를 작동시키는 Clock;
    일반 프로토콜을 ANSI/EIA 709.2에 정의된 전력선 신호로 변환시키는 PLC 통신 신호 변환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Neuron 3150 Chip은 ANSI/EIA 709.2 표준 스택(Stack)이 올라가 있는 CPU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Neuron 3150 Chip에 답재되는 디바이스관련 기능을 적용한 소스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PLC 통신 신호 변환기의 통신 신호는 Lonworks ANSI/EIA 709.2 규격을 준수하는 220V/60Hz 전원에 실린 BPSK 132kHz, 115kHz인 DCNB 방식으로 전달되는 신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7.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MAIN PLC 모뎀 통신 방법에 있어서,
    월패드가 PLC 통신 모뎀과 EIA RS-485 규격을 이용해서 폴링 방식을 이용해 주기적으로 통신하는 단계;
    상기 PLC 통신 모뎀에 수신된 공통 디바이스 프로토콜의 데이터를 조합하는 단계;
    상기 공통 디바이스 프로토콜의 데이터가 문서상에 정의된 통신 규격과 일치 여부를 검사한 후 상기 데이터가 디바이스 제어에 대한 명령인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MAIN PLC 모뎀 내에 상기 디바이스 등록 테이블을 검색하고, 상기 디바이스 존재 유무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의 존재 유무 판별 후 상기 명령이 존재하면 상기 디바이스 제어 신호를 PLC 통신 모뎀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MAIN PLC 모뎀 통신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디바이스 제어에 대한 명령인지 검사하는 단계 후 상기 데이터가 제어 명령이 아닌 경우는,
    상기 디바이스 프로토콜 내용이 상기 디바이스 상태 요청에 대한 내용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 제어 신호인 경우 상기 디바이스 등록 테이블을 검색해서 상기 디바이스 존재 유무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가 존재하면, 상기 디바이스 상태를 홈자동화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MAIN PLC 모뎀 통신 방법.
  9.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PLC 모뎀 통신 방법에 있어서,
    월패드로부터 전달된 전력선 신호를 복조 후 PLC 데이터를 수신하여 정상 데이터 유무를 검사하는 단계;
    공통 디바이스 프로토콜 변환기로부터 상기 공통 프로토콜을 특정 업체용 디바이스 프로토콜로 변환시키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 프로토콜을 해석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프로토콜 내용을 검사 후 데이터가 하부 디바이스 제 어에 해당하는 상기 데이터이면 디바이스 PLC 통신 모뎀 내에 저장된 하부 디바이스 등록 테이블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하부 디바이스가 존재한다면 상기 하부 디바이스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PLC 모뎀 통신 방법.
KR1020070100724A 2007-10-08 2007-10-08 홈네트워크 시스템 KR100928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724A KR100928153B1 (ko) 2007-10-08 2007-10-08 홈네트워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724A KR100928153B1 (ko) 2007-10-08 2007-10-08 홈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772A true KR20090035772A (ko) 2009-04-13
KR100928153B1 KR100928153B1 (ko) 2009-11-23

Family

ID=40760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724A KR100928153B1 (ko) 2007-10-08 2007-10-08 홈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1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7578B2 (en) 2010-08-05 2015-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device and safety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342B1 (ko) * 2016-10-31 2018-10-0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지그비 기반의 무선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지그비 기반의 무선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312B1 (ko) * 2005-03-15 2007-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네트워크 제품 에뮬레이터
KR200429359Y1 (ko) 2006-06-23 2006-10-23 대명제로원주식회사 Plc를 이용한 감시/제어 통신시스템
KR200435425Y1 (ko) * 2006-08-17 2007-01-22 주식회사 렉터슨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기종제품에 대한 통합 제어를 위한 홈게이트웨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7578B2 (en) 2010-08-05 2015-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device and safety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8153B1 (ko) 2009-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72844A1 (en) Coexistence primitives in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s
US11722174B2 (en) Long preamble and duty cycle based coexistence mechanism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networks
KR101405688B1 (ko) 지그비 시스템
US8411699B2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0928153B1 (ko) 홈네트워크 시스템
KR100833678B1 (ko) 전력선통신 통합 게이트웨이
KR100684613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전송 방법
Bhatti et al. A TV-centric home network to provide a unified access to UPnP and PLC domains
KR100445658B1 (ko) 복수개의 통신규격이 사용되는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및 그 동작방법
Orfanos et al. Trends in home automation systems and protocols
KR20090076292A (ko)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KR20170071021A (ko) 이종 네트워크 간의 프로토콜 변환 장치 및 방법
KR101088569B1 (ko) 무선 홈 네트워킹을 위한 무선 근거리 모듈의 정보 설정방법
KR200416411Y1 (ko) 유무선 신호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홈오토메이션시스템
KR20090105713A (ko) 홈 네트워크 gui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N105281992B (zh) 一种电力线控制家居用户设备网络的方法及系统
CN220382811U (zh) 配电站的监控系统
KR100946149B1 (ko) 개인용 컴퓨터의 절전모드에서 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장치 및 방법
KR20070046381A (ko)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와 그 동작 방법
KR101067064B1 (ko) Scp를 활용한 통합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구성방법
CN203492040U (zh) 用于家庭网络传递的中继器
KR20080111856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모뎀 제어 방법
Gumaste Electrigence: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s with added intelligence for home/office automation and control
Gupta et al. Smart Home Networ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