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425Y1 -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기종제품에 대한 통합 제어를 위한 홈게이트웨이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기종제품에 대한 통합 제어를 위한 홈게이트웨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425Y1
KR200435425Y1 KR2020060022071U KR20060022071U KR200435425Y1 KR 200435425 Y1 KR200435425 Y1 KR 200435425Y1 KR 2020060022071 U KR2020060022071 U KR 2020060022071U KR 20060022071 U KR20060022071 U KR 20060022071U KR 200435425 Y1 KR200435425 Y1 KR 2004354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power line
protocol
line communication
home gat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0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김동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렉터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렉터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렉터슨
Priority to KR20200600220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4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4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4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3Mains power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기종 제품에 대한 통합 제어가 가능한 홈게이트웨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전력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전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홈네트워크 내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력 신호를 제공받아 복조 및 신호 처리하여 전력선 통신을 위한 통신 신호를 추출하는 PLC 처리부; 상기 홈게이트웨이로 입력되는 각 가전 기기의 프로토콜을 확인하고, 상기 각 가전 기기와 송수신 되는 신호를 통합 처리 가능한 통합 프로토콜로 변환 처리하는 프로토콜 변환부; 및 상기 PLC 처리부 또는 프로토콜 변환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외부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CP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LC, 홈네트워크, 홈게이트웨이, 이기종, 프로토콜

Description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기종 제품에 대한 통합 제어를 위한 홈게이트웨이 장치{Home gateway for controlling different brand devices in a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도 1은 일반적인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홈게이트웨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홈게이트웨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홈게이트웨이의 계층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기종 제품에 대한 통합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홈게이트웨이 110 : 인터넷
111 : 서버 120 : 홈네트워크
121, 207 : PC 122, 202 : TV
123 : 전화 124, 204 : DVD
201, 410 : PDA 203 : PMP
205 : 세탁기 206 : 전기 오븐
210, 440, 630 : 통합 서버 300, 400, 500, 600 : 홈게이트웨이
301, 501 : 전원 공급부 302, 502 : PLC 처리부
303, 504 : CPU 310, 510 : 인터넷
320, 520 : 서버 420 : 제1 PLC 서버
430, 640 : 제1 PLC 가전 기기 450 : 제2 PLC 서버
460, 620 : 제2 PLC 가전 기기 503 : 프로토콜 변환부
530 : 이기종 PLC 처리 장치 610 : 제1 PLC
본 고안은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기종 제품에 대한 통합 제어를 위한 홈게이트웨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게이트웨이 시스템(Homegateway System)이란 가정 내의 정보가전기기들을 고속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인터넷을 통하여 집안의 정보가전기기들을 원격에서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홈네트워킹 핵심장치를 말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연결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홈게이트웨이(100)는 외부 인터넷(110)을 통하여 신뢰 된 서버(111)와 연결된다. 여기서 신뢰 된 서버(111)란 홈게이트웨이 시스템(100)과 고정되어 사용되는 서버를 말하며, 사업자에 따라 다수개의 서버가 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게이트웨이(100)는 외부 인터넷(110)과 홈네트워크(Home Network)(120) 사이에 관문 역할을 한다.
이때 홈게이트웨이(100)를 경계로 댁내망 및 댁외망(액세스 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댁내망에 대한 인터페이스로는 홈 PNA(Home PNA), IEEE1394, 무선, PLC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댁외망 인터페이스로는 ADSL, 케이블 모뎀, PST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홈네트워크(120)에는 다수의 정보 가전기기들(121 내지 124)이 연결된다. 상기 정보 가전기기들(121 내지 124)에는 컴퓨터(PC), TV, 전화, DVD, 디지털 카메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홈게이트웨이(100)는 이러한 정보 가전기기들(121 내지 124)을 연결하고 관리하는 허브로서의 역할도 담당한다.
한편, 상기 홈게이트웨이(100)는 가정 내부의 유무선 정보기기들을 통합 연결하여 가정 내 어느 곳에서도 각종 정보 기기들(121 내지 124)을 제어하며, 관리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게이트웨이(100)를 이용하여 외부 인터넷망(110)에 접속함으로써 초고속 인터넷 접속 및 전화 통화 등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홈네트워크(120) 상에 연결된 정보 가전기기(121 내지 124)에 변경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홈게이트웨이(100)에 상기 정보 가전기기(121 내지 124)에 대응하는 홈네트워킹 모듈(이하 '하드웨어 장치'라 칭함)을 추가하거나 교체하여야 한다.
한편, 최근에는 상술한 홈네트워크를 구현함에 있어 댁내로 유입되는 전력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전력선 통신이란 옥내, 옥외에 시설되어 있는 저압 배전선 또는 고압 배전선에 고주파 신호를 중첩하여 음성, 데이터 신호 등을 고속으로 전송하는 방식을 말한다.
특히, 수용가의 설비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려는 욕구와 함께 정보기기의 발전에 따라 수용가에 설치된 TV(TeleVision),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캠코더(Camcorder) 등 정보 가전기기를 연결하려는 욕구가 높아져 상술한 홈 네트워크(Home-Network) 분야에서 고속의 전력선 통신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전력선 통신모뎀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수 Mbps 급 고속 전송이 가능하게 되면서, 전화선을 이용한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이나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케이블 모뎀(cable modem)과도 경쟁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새로운 가입자 망(access network)으로 부각되고 있다.
상기한 전력선 통신기술 개발이 상용화되면 전력 사업자에게서는 원격검침(Automatic Meter Reading; AMR), 배전 자동화 등 전력 정보 고도화를 위하여 망을 직접 활용할 수 있으며, 인터넷(internet) 등 고속 정보 전송서비스 제공으로 회선 임대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이처럼 전력선 통신에서는 무선 통신과 같이 망 접속의 편리성뿐만 아니라 고속 양방향 통신이 가능함에 따라 원격검침 외에 부가 서비스 기능을 추가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데이터 및 콘텐츠(contents) 데이터를 말한다.
도 2는 일반적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홈게이트웨이(200)는 통합 서버(210)와 이더넷(Ethernet)을 통해 통신한다. 이때, 상기 홈게이트웨이(200)는 상기 통합 서버(210)로 가전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통합 서버(21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각 가전 제품을 제어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홈게이트웨이(200)는 각종 가전 기기(202 내지 207)와 인터넷 라인 또는 전력선을 통해 통신하게 되며, 가전 정보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각 가전 기기(202 내지 207)들로 전송되며, 상기 통합 서버(210)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는 상기 전력선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선 홈 네트워킹 기술중의 하나인 PLC(Power Line Communication)통신을 이용하여 댁내 가전기기의 제어 및 외부에서 전화선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기술중에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외부와 내부를 연결시켜 주는 관문이라 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이러한 단말 장치인 홈게이트웨이의 경우 홈네트워크 장치의 기능은 가지고 있으나, 상기 홈게이트웨이와 통신하는 상기 각 가전 제품의 회사가 다를 경우에는 프로토콜의 불일치로 인해 제어할 수가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홈게이트웨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홈게이트웨이(300)는 전원 공급부(301), PLC 처리부(302),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303)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홈게이트웨이(300)는 LAN 또는 TCP/IP 프로토콜에 의해 인터넷(310)을 통해 외부 서버(320)와 통신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홈게이트웨이(300)는 다른 제조사의 제품과 통신하게 될 경우에는 내부 프로토콜(protocol)이 상호 일치하지 않아 가정 내의 이기종 제품에 대한 통합 제어가 불가능 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제조사가 '삼성'인 제품의 경우에는 에실론(Echelon) 사에서 개발된 칩을 사용하며, 제조사가 'LC'인 제품의 경우에는 플라넷(Planet)과 제휴한 모뎀 형식의 칩을 사용하므로 상호 호환이 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홈게이트웨이(300)를 댁내에서 정상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댁내에 구비된 모든 전자 제품을 상기 홈게이트웨이(300)에서 지원하는 해당 제조사의 전자 제품으로 바꾸어야만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전자 제품의 제조사가 다른 경우에도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기종 제품에 대한 통합 제어를 위한 홈게이트웨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전자 제품의 제조사가 다른 경우에도 OSGi를 이용하여 프로토콜의 호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통합 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기종 제품에 대한 통합 제어를 위한 홈게이트웨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홈게이트웨이 장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기종 제품에 대한 통합 제어가 가능한 홈게이트웨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전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홈네트워크 내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력 신호를 제공받아 복조 및 신호 처리하여 전력선 통신을 위한 통신 신호를 추출하는 PLC 처리부; 상기 홈게이트웨이로 입력되는 각 가전 기기의 프로토콜을 확인하고, 상기 각 가전 기기와 송수신 되는 신호를 통합 처리 가능한 통합 프로토콜로 변환 처리하는 프로토콜 변환부; 및 상기 PLC 처리부 또는 프로토콜 변환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외부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CP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각 가전 기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제조사 ID를 통해 프로토콜의 종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사 ID는, 상기 홈게이트웨이의 계층 구조 중 최상위 계층에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는, 이더넷 프로토콜을 통해 외부 서버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는, 이기종 프로토콜에 대한 통합 프로토콜로의 변환 처리를 수행하는 별도의 외부 이기종 PLC 처리 장치와 직렬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기종 PLC 처리 장치는, 상기 각 가전 기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제조사 ID를 통해 프로토콜의 종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사 ID는, 상기 홈게이트웨이의 계층 구조 중 최상위 계층에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전자 제품의 제조사가 다를 경우에도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기종 제품에 대한 통합 제어가 가능한 홈게이트웨이를 제안한다. 이때, 상기 통합 제어를 위하여 상기 홈게이트웨이에는 프로토콜 변환부를 포함하며, OSGi를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써 이기종 신호에 대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에서는 연결된 가전 기기의 제조 회사 ID(Company ID)를 확인하고, 해당 가전 기기로부터의 신호를 통합 패키지 형식의 포맷으로 변환시키게 된다. 상기 변환된 신호는 CPU를 통해 외부 장치들로 전송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홈게이트웨이에 직렬(Serial) 통신 수단(예컨대, RS-232 등)을 이용하여 이기종 PLC에 대한 처리가 가능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술한 이기종 신호에 대한 처리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는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이 적용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홈게이트웨이(400)와 TCP/IP 통신을 수행하는 원격 접속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410) 단말 및 통합 서버(440), 그리고, 직렬 통신 수단(예컨대, RS-232)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각 가전 기기들(430, 460)로 구성된다.
상기 PDA(410)는 상기 홈게이트웨이(400)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통합 서버(440)에서는 상기 홈게이트웨이(400)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홈게이트웨이(400)는 각종 가전 기기들(430, 460)과 전력선을 통해 통신하게 되며, 상기 전력선을 통해 상기 각 가전 기기들(430, 460)로 전력이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각 가전 기기들(430, 460)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가 송수신 된다.
상기 홈게이트웨이(400)에는 이기종의 가전 기기들(430, 460)이 접속되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기종의 가전 기기(430)들은 상기 각 가전 기기(430)에 구비된 제1 PLC 모듈 및 제1 PLC 서버(420)를 통해 상기 홈게이트웨이(400)와 통신하게 되며, 제2 기종의 가전 기기(460)들은 상기 각 가전 기기(460)에 구비된 제2 PLC 모듈을 통해 상기 홈게이트웨이(400)와 통신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기종의 가전 기기(430) 내에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기종의 가전 기기들(430, 460)이 상기 홈게이트웨이(400)에 접속하게 될 경우, 본 고안에 따라 상기 홈게이트웨이(400)에서는 상기 각 가전 기기(430, 460)의 제조사 ID를 확인하고, 상기 각 가전 기기(430, 460)와 통신하는 신호를 각 제조사별 프로토콜에 따라 통합 제어가 가능한 패키지 형식의 포맷을 변환시킴으로써 통합 제어하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OSGi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구현하게 된다.
상기 OSGi란 가정 정보 기기 및 보안 시스템과 같은 인터넷 장비의 표준 연결 방법을 위해 OSGi 단체가 제안한 산업체 표준안을 의미한다. 즉, 상기 OSGi는 개방형 자바 임베디드 서버(JES) 기반의 게이트웨이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것으로, 플랫폼, 응용 소프트웨어 등에 전혀 구애받지 않고 보안 기능이 우수한 멀티 서비스를 장치나 설비에 제공하는 기능이 있다.
특히, 블루투스, HAVi, 홈 PNA, 홈 RF, USB, VESA 등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수용하는 개방형 네트워크 기술로서, 셋톱 박스, 케이블 모뎀, 라우터, 경보 시스템, 전력 관리 시스템, 가전 제품, PC 등의 모든 제품에 대한 관리 및 연결 기능을 제공하며, 자바 기반의 게이트웨이는 자바 환경, 서비스 프레임워크, 장비 접근 관리 기능, 로그 서비스 등의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어 각종 장비 접근이나 신규 서비스가 발생할 경우 여기에 접속할 수 있는 기술 등을 포함하고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홈게이트웨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홈게이트웨이(500)는 전원 공급부(501), PLC 처리부(502), 프로토콜 변환부(503), CPU(50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홈게이트웨이(500)는 LAN 또는 TCP/IP 프로토콜로 인터넷(510)을 통해 서버(520)와 통신하게 된다.
한편, 상기 홈게이트웨이(500)는 전원 공급부(501)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게 되며,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게 되므로, 상기 전원 공급부(501)로부터 공급되는 전력 신호를 상기 PLC 처리부(502)에서 신호 처리하게 된다. 즉, 상기 PLC 처리부(502)에서는 커플링 회로를 통해 전력 신호를 수신하고, 필터링 및 증폭한 후 상기 CPU(504)를 통해 각 가전 기기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홈게이트웨이(500)가 각 가전 기기와 송수신하는 신호는 상기 각 가전 기기의 제조사마다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라 상기 홈게이트웨이(500)에 프로토콜 변환부(503)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상기 홈게이트웨이(500)에서 가전 기기의 제조사 및 프로토콜 종류에 상관없이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503)에서는 상기 각 가전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제조 회사의 ID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조 회사의 ID를 통해 해당 가전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통합 패키지 형식의 포맷으로 변환시켜주게 된다.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503)에서 변환된 신호는 상기 CPU(504)를 통해 외부 서버(520)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503)에서는 각 가전 기기로 전송하는 신호에 대해 상기 파악된 해당 가전 기기의 프로토콜 형식을 확인하고, 해당 프로토콜 형식에 맞는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해당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홈게이트웨이(500)에 소정의 직렬 통신 수단(예컨대, RS-232)을 통해 상기와 같은 이기종 프로토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이기종 PLC 처리 장치(530)를 별도로 구비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홈게이트웨이(500)의 외부에 연결된 이기종 PLC 처리 장치(530)에서 상기 홈게이트웨이(500)로 전송된 신호의 프로토콜 종류를 확인하고, 통합 처리 가능한 프로토콜로 변환시켜서 상기 홈게이트웨이(500)로 제공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홈게이트웨이의 계층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홈게이트웨이(600)는 도시된 바와 같은 계층(Layer) 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최상위 계층에는 클라이언트 관리, H/G 관리, 전력 제어, 전력 관리, 가전 관리 등의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으로 구성되며, 다음 계층으로 서비스 관리자(Service Manager), 그 다음 계층으로 클라이언트 관리자(Client Manager) 및 장치 관리자(Appliance Manager)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의 하위 계층으로 서버(Server) 및 PLC 브릿지(PLC Bridge)가 구성되며, 마지막 물리 계층으로 이더넷 통신부(Ethernet Comm), 제1 PLC 통신부, 제2 PLC 통신부 등이 구성된다.
상기 이더넷 통신부는 상기 홈게이트웨이(600)가 TCP/IP 프로토콜을 통해 외부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PLC 통신부는 제1 PLC 모듈을 통해 제1 PLC 가전 기기들과 통신하도록 인터페이싱하며, 상기 제2 PLC 통신부는 RS232 통신부, 파셔(Parser) 및 론토크(LonTalk) 프로토콜을 통해 제2 PLC 가전 기기들(620)과 통신하도록 인터페이싱한다.
이때, 상기 제2 PLC 가전 기기들(620)은 론토크, 파셔, 실행부(Executives) 등으로 구성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SMPS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홈게이트웨이(600)에서는 상기 제1 PLC 가전 기기 및 제2 PLC 가전 기기와 같이 이기종의 가전 기기들과 통합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상기 최상위 응용 계층(예컨대, 가전 관리)에서 최종 제조사에 대한 정보를 읽어들여 상기 각 가전 기기의 기종을 판별하고, 해당 기종에 맞는 통합된 프로토콜로서 변환하여 처리하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기종 제품에 대한 통합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comm_win32'에서는 자바 언어로 컴파일된 'javax.comm' 메시지를 RS232 제어부로 전송한다. 상기 RS232 제어부에서는 해당 제2 PLC 디바이스로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에서 상기 제2 PLC 디바이스로 디바이스 상태 변경(deviceStatusChanged)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제2 PLC 디바이스에서는 상태 변경 신호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PLC 디바이스에서는 상기 RS232 제어부로 디바이스 상태 설정(setDeviceStatus)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상기 홈게이트웨이에서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이기종 디바이스인 제1 PLC 디바이스 또는 제2 다바이스와 통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 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전자 제품의 제조사가 다른 경우에도 프로토콜을 통합하여 제어함으로써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기종 제품에 대한 통합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기종 제품에 대한 통합 제어가 가능한 홈게이트웨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전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홈네트워크 내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력 신호를 제공받아 복조 및 신호 처리하여 전력선 통신을 위한 통신 신호를 추출하는 PLC 처리부;
    상기 홈게이트웨이로 입력되는 각 가전 기기의 프로토콜을 확인하고, 상기 각 가전 기기와 송수신 되는 신호를 통합 처리 가능한 통합 프로토콜로 변환 처리하는 프로토콜 변환부; 및
    상기 PLC 처리부 또는 프로토콜 변환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외부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CP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기종 제품에 대한 통합 제어를 위한 홈게이트웨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각 가전 기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제조사 ID를 통해 프로토콜의 종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기종 제품에 대한 통합 제어를 위한 홈게이트웨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사 ID는,
    상기 홈게이트웨이의 계층 구조 중 최상위 계층에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기종 제품에 대한 통합 제어를 위한 홈게이트웨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이더넷 프로토콜을 통해 외부 서버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기종 제품에 대한 통합 제어를 위한 홈게이트웨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이기종 프로토콜에 대한 통합 프로토콜로의 변환 처리를 수행하는 별도의 외부 이기종 PLC 처리 장치와 직렬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기종 제품에 대한 통합 제어를 위한 홈게이트웨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기종 PLC 처리 장치는,
    상기 각 가전 기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제조사 ID를 통해 프로토콜의 종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기종 제품에 대한 통합 제어를 위한 홈게이트웨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사 ID는,
    상기 홈게이트웨이의 계층 구조 중 최상위 계층에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기종 제품에 대한 통합 제어를 위한 홈게이트웨이 장치.
KR2020060022071U 2006-08-17 2006-08-17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기종제품에 대한 통합 제어를 위한 홈게이트웨이 장치 KR2004354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071U KR200435425Y1 (ko) 2006-08-17 2006-08-17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기종제품에 대한 통합 제어를 위한 홈게이트웨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071U KR200435425Y1 (ko) 2006-08-17 2006-08-17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기종제품에 대한 통합 제어를 위한 홈게이트웨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7894A Division KR20080016161A (ko) 2006-08-17 2006-08-17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기종제품에 대한 통합 제어를 위한 홈게이트웨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425Y1 true KR200435425Y1 (ko) 2007-01-22

Family

ID=41563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071U KR200435425Y1 (ko) 2006-08-17 2006-08-17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기종제품에 대한 통합 제어를 위한 홈게이트웨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42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625B1 (ko) * 2007-09-28 2009-03-05 한국전력공사 다중 벤더 전력선 통신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28153B1 (ko) * 2007-10-08 2009-11-23 대림아이앤에스주식회사 홈네트워크 시스템
KR100950276B1 (ko) 2007-10-19 2010-03-31 주식회사 젤파워 홈 네트워크의 옥외 제어를 위한 보안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3058638A1 (de) * 2013-10-15 2016-08-24 Diehl AKO Stiftung & Co. KG Hauskommunikations- und hausautomations-system
KR102287986B1 (ko) * 2020-12-18 2021-08-09 주식회사 엘커넥티드 홈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스마트 게이트웨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625B1 (ko) * 2007-09-28 2009-03-05 한국전력공사 다중 벤더 전력선 통신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28153B1 (ko) * 2007-10-08 2009-11-23 대림아이앤에스주식회사 홈네트워크 시스템
KR100950276B1 (ko) 2007-10-19 2010-03-31 주식회사 젤파워 홈 네트워크의 옥외 제어를 위한 보안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3058638A1 (de) * 2013-10-15 2016-08-24 Diehl AKO Stiftung & Co. KG Hauskommunikations- und hausautomations-system
KR102287986B1 (ko) * 2020-12-18 2021-08-09 주식회사 엘커넥티드 홈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스마트 게이트웨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1170B1 (ko)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20060184615A1 (en) Service framework for home network
KR100424297B1 (ko)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070009855A (ko) 이기종의 스마트홈 프로토콜 디바이스 통합 네트워크제어기
KR200435425Y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기종제품에 대한 통합 제어를 위한 홈게이트웨이 장치
CN101227354B (zh) 家庭网络中信息家电设备接入的方法
KR20040064294A (ko) Havi-upnp 브리징
KR20080016161A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기종제품에 대한 통합 제어를 위한 홈게이트웨이 장치
KR101123226B1 (ko) 제 1 유형의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국을 제 2 유형의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국으로부터 제어하는 방법 및, 제 1 및 제 2 유형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연결 유닛
KR100463839B1 (ko)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이기종 제어 미들웨어를 지원하는정보기기간의 협동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412365B1 (ko) 브릿지 수단을 가지는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동작방법
US8824283B2 (en) Control node, a network of control nodes and a network configurator
KR20020032028A (ko) 통합통신단자함
KR100351951B1 (ko) 인터넷을 통한 소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1800685B (zh) 信息传输与服务整合系统及信息传输与服务整合方法
KR101393432B1 (ko) 홈네트워크용 상호연동 미들웨어의 운용방법
KR100381201B1 (ko)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Tsutsui Latest trends in home networking technologies
KR20050112806A (ko) 게이트웨이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070109747A (ko) Hnxml 기반의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Park et al. Development of a residential gateway and a service server for home automation
EP2244422B1 (en) Updating parameters in a bridged multistandard home network
KR101397478B1 (ko) 홈네트워크용 상호연동 미들웨어 브릿지 시스템
KR100565495B1 (ko)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CN100583791C (zh) 控制第一类型的网络中的网络站点的方法、以及连接单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