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5344A -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5344A
KR20090035344A KR1020070100580A KR20070100580A KR20090035344A KR 20090035344 A KR20090035344 A KR 20090035344A KR 1020070100580 A KR1020070100580 A KR 1020070100580A KR 20070100580 A KR20070100580 A KR 20070100580A KR 20090035344 A KR20090035344 A KR 20090035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t
advertisement
work
advertiser
aut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0567B1 (ko
Inventor
신철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홀
Priority to KR1020070100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567B1/ko
Publication of KR20090035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6Advertisement cre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27Filtering policies
    • H04L63/0236Filtering by address, protocol, port number or service, e.g. IP-address or UR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작자가 생성한 저작물에 광고주의 광고를 결합하되, 저작자가 선택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광고, 광고주, 이미지, 및 광고문구를 저작자에게 제시함으로써, 저작자가 손쉽게 자신의 저작물을 광고에 매칭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과 그에 대한 과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광고를 저작자의 저작물에 매칭하는 광고 시스템으로, 광고주가 설정한 카테고리에 따라 광고, 및 광고에 대한 광고키워드를 구비하는 데이터베이스, 저작자가 저작물에 대한 광고 카테고리를 선택 시, 선택한 카테고리에서 매칭 가능한 단어를 네트워크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표시하는 광고 인터페이스 모듈, 및 저작물에 포함되는 단어들 중 광고와 매칭 가능한 단어를 선택 시, 단어에 광고에 대한 이미지, URL, 및 광고 문구 중 어느 하나를 결합하는 저작물 매칭모듈을 구비한다. 또한 저작물에 삽입된 광고주와 연관된 단어, 이미지, 동영상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경우, 저작물의 인지도에 따라 과금액을 달리 책정하는 인지도 산출모듈과 가상계좌 처리모듈을 구비한다.
저작물, 인지도, 광고, 트랙백

Description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Literary contents based AD system}
저작자가 생성한 저작물에 광고주의 광고를 결합하되, 저작자가 선택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광고, 광고주, 이미지, 및 광고문구를 저작자에게 제시함으로써, 저작자가 손쉽게 자신의 저작물을 광고에 매칭할 수 있도록 하고 저작물의 실적에 따라 광고주의 과금액을 환급하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버추어 광고가 출현한 이후, 광고시장은 키워드를 원하는 광고주의 입찰가에 따라 키워드 검색어에 대한 광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추세에 있다. 키워드 광고는 검색어에 의해 노출된 광고가 클릭되는 회수를 입찰가와 곱하여 광고비를 산출하며, 얼마나 많은 검색자가 선택하였는지에 따라 최종 광고비가 결정된다. 더 많은 검색자에게 광고를 노출시키기 위해 광고주는 키워드에 대한 입찰금을 높여야 하며, 다수의 광고주가 하나의 키워드를 원하는 경우, 경쟁에 의해 입찰금이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키워드 검색은,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물이 불필요한 광고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고, 검색 결과물에 포함되는 광고에도 자신이 원하는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물의 표시 순서는 높은 입찰가를 제시한 광고주에게 돌아가므로 검색자가 실제로 필요로 하는 정보가 쉽게 노출되지 않는다. 검색자가 광고주의 웹사이트를 검색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검색어에 대한 광고는 검색자에게 필요치 않다.
도 1은 오버추어의 키워드 검색 결과물을 나타낸다.
도시된 검색 결과물은 키워드 "남이섬 팬션"에 대한 검색 결과물로서, "남이섬 팬션" 이라는 검색어를 구입한 광고주(스폰서)의 웹 사이트 URL이 표시된다. 여기서, "남이섬 팬션" 이라는 키워드를 구매한 광고주들 중, 입찰가가 높은 광고주의 순서에 따라, 각 광고주의 URL이 순차로 표시되고 있다.
즉, 검색자에게 꼭 필요한 정보가 먼저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키워드를 구매한 광고주의 입찰가 순서에 따라 표시되고 있다. 만일, 검색자가 남이섬 팬션이라는 검색어를 통해 팬션을 실제로 이용한 사람들의 경험을 필요로 할 때, 또는 그들의 진솔한 사용 후기를 알고자 할 때, 검색어 "남이섬 팬션"에 의한 검색 결과물은 검색자에게 별 의미가 없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어 "남이섬 팬션"에 따른 검색 결과물은 검색어를 구매한 광고주의 URL을 중심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뉴스나 잡지의 기사, 및 일반 유저가 작성한 저작물 중 다수의 추천, 및 조회를 받아 인지도가 높은 저작물을 키워드 검색에 대한 검색 결과물로 제공하며, 양질의 저작물을 생성한 저작자에게 광고비의 일부를 피드백함으로써 검색자와 광고주, 및 저작자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고주체가 광고주가 아닌 저작자가 되도록 함으로써 해당광고의 자체적인 신뢰도를 제고하도록 하며, 소비자들로 하여금 양질의 상품을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작자는 자신이 생성한 저작물이 내재하고 있는 광고적 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받고, 이에 관한 체계적이고도 합리적인 보상을 받도록 함으로써 저작자에 의한 광고문화가 정착되도록 하고, 이에 따른 선순환에 의해 저작물의 광고적 가치가 지속적으로 제고될 수 있도록 하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작자 스스로의 인지도에 따라 저작자가 생성한 저적물의 가치를 가감함으로써, 저작자가 불량 저작물을 생성하지 않도록 유도하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광고를 저작자의 저작물에 매칭하는 광고 시스템에 있어서, 광고주가 설정한 카테고리에 따라 상기 광고, 및 상기 광고에 대한 광고키워드를 구비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저작자가 상기 저작물에 대한 광고 카테고리를 선택 시, 상기 선택한 카테고리에서 매칭 가능한 단어를 네트워크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표시하는 광고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저작물에 포함되는 단어들 중 상기 광고와 매칭 가능한 단어를 선택 시, 상기 단어에 상기 광고에 대한 이미지, URL, 및 광고 문구 중 어느 하나를 결합하는 저작물 매칭모듈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광고를 저작자의 저작물에 매칭하며, 상기 저작자의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 접속되며, 저작자의 저작물을 불러들여 편집하고, 상기 저작물에 할당 가능한 카테고리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시하며, 상기 저작물에 존재하는 단어들 중 상기 광고와 연관되는 광고 키워드와 매칭 가능한 것을 하이라이트 처리하는 편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편집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저작물에 대한 카테고리를 설정 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저작물과 결합 가능한 광고주를 제시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한 광고주의 광고 문구, URL, 및 이미지를 상기 저작물에 결합하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바에 따라, 본 발명은,
저작자가 생성한 저작물에 광고주의 광고를 결합하되, 저작자가 선택한 카테 고리에 해당하는 광고, 광고주, 이미지, 및 광고문구를 저작자에게 제시함으로써, 저작자가 손쉽게 자신의 저작물을 광고에 매칭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양질의 저작물이 검색 결과물에 우선 노출되므로 저작물을 생성하는 저작자는 더욱 양질의 저작물을 생성하게 되는 바, 인터넷에 퍼지는 저작물의 질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킨다.
또한, 저작물의 인지도에 따라 검색 결과물에 노출되는 순위가 결정되므로, 양질의 저작물을 생성한 저작자는 더 많은 광고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광고주의 동일한 입찰가라도 저작물의 인지도에 따라 과금액이 달라지므로, 허위정보 혹은 악의적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고주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한 저작자가 광고의 주체가 되므로 저작자의 저작물에 의한 광고가 신뢰성을 가지며, 소비자는 양질의 상품(또는 서비스)을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에 삽입되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100)은, 웹 사이트, 포털, 홈페이지, 및 블로그에 게시되는 뉴스, 잡지, 및 기타 일반 저작자가 생성한 저작물을 대상으로 한다.
저작물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어들 중 네티즌의 키워드 검색에 응답하여 검색 결과물에 표시되는 뉴스, 잡지, 및 기타 저작물에는 광고를 결합하되, 광고가 결합 된 저작물은 각자의 인지도 값에 따라 노출되는 순서가 결정된다.
또한,
1) 저작물이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물에 표시되고 - 이때, 저작물에는 검색어와 대응되는 키워드가 포함되며, 키워드에는 하이퍼 링크가 설정되고, 저작물에 포함되는 이미지나 동영상에도 하이퍼 링크가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타 검색자가 키워드 검색을 할 때, 이에 응답하여 검색 결과물에 저작물이 나타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이미지는 광고주의 상품, 및 서비스와 연관된 이미지(또는 동영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
2) 검색 결과물에 노출되는 각 저작물들은 각자의 인지도에 따라 검색 결과물에서 표시되는 순서가 결정되고,
3) 저작물에는 저작물 작성자와 저작물을 특정하기 위한 태그를 부여하여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물에서 저작물이 검색자에게 선택될 때마다 광고주의 광고비를 저작자에게 피드백하며,
4) 저작물은 광고주의 광고와 연관된 것이 선택되므로 저작물의 품질은 곧 광고의 성패와 직결된다. 이는 본 발명의 가장 핵심적인 특징으로서 광고의 주체가 광고주가 아닌 광고주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해 본 저작자의 저작물, 또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충실하게 작성된 뉴스나 잡지 기사(또는 상품에 대한 리뷰 )가 대상이 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반에 걸쳐 언급되는 저작물은,
- 뉴스 기사, 잡지 기사, 및 언론에서 작성하여 배포하는 온라인 콘텐츠,
- 광고 대상 상품을 사용하거나, 이에 대한 리뷰, 및 상품평을 기재하는 일반 유저의 콘텐츠, 및
- 상품, 및 서비스 이용과 관련하여 의견을 교환하는 커뮤니티, 개인 블로그, 홈페이지, 및 기타 웹사이트에 게시되는 온라인 콘텐츠(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중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반에 걸쳐 언급되는 저작자는,
신문 기자, 잡지 기자, 상품에 대한 리뷰, 사용기, 상품평과 같은 상품(또는 서비스) 관련 콘텐츠를 작성한 일반 유저, 신문사, 및 잡지사가 그 대상이 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100)은,
5)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에디터(editor)를 통해 저작자가 자신의 저작물을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100)에 등록된 광고주의 URL과 링크시킨다. 이때, 저작물은 텍스트 기반의 저작물, 이미지 기반의 저작물, 및 동영 상을 포함하는 저작물일 수 있으며, 저작물에 포함되는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는 광고주의 광고와 링크될 수 있다. 즉, 타 저작자가 저작물에 포함되는 이미지를 클릭 시, 타 저작자의 사용자 단말기는 광고주의 웹 사이트로 접속될 수 있다.
6) 검색엔진 또는 봇(Bot)을 통해 각종 웹 사이트에서 저작물을 획득하며, 획득한 저작물에 태그를 부여하고, 태그가 부여된 저작물의 인지도를 고유의 규칙(추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에 따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다.
5)의 경우에서,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광고주의 키워드, 이미지 혹은 동영상 및 URL과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된 저작물이어야 한다. 따라서, 저작물(5)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키워드, 이미지 혹은 동영상 및 URL과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먼저, 저작자가 자신의 저작물을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100)을 통해 키워드, 이미지 혹은 동영상 및 URL을 삽입하면,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100)은 저작자의 저작물에 고유 식별자를 부여하고, 고유 식별자가 부여된 저작물의 인지도를 판단하여 수치화한다.
저작물의 인지도는,
7) 타인이 저작물을 열람한 회수,
8) 타인이 저작물을 추천, 스크랩, 북마크한 회수,
9) 저작물을 작성한 저작자의 인지도 정도,
10) 타인에 의해 신고, 또는 고발된 회수를 참조하여 산출된다.
예컨대, 저작자가 작성한 저작물이 많은 추천, 스크랩을 받는 경우, 해당 저작물은 타인들에게도 유용한 정보일 가능성이 크다. 북마크 회수 또한, 스크랩 회수와 마찬가지로, 타인이 웹 서핑 중 참조할 자료로 선택한 것을 의미한다. 다만, 타인에 의해 신고, 또는 고발된 회수는 저작물의 인지도를 떨어트린다. 타인에 의한 신고, 또는 고발이 발생한다는 것은 저작물이 옳지 못한 내용을 포함하거나, 또는 저작물에 기재된 내용이 틀린 경우를 나타낸다. 이외에, 저작물의 인지도는 저자 자신의 인지도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저자의 인지도는 해당 저자가 얼만큼 신뢰성 있는 저작물을 많이 생성하였는가에 의해 형성되므로, 인지도가 높은 저자의 저작물 역시 타인들에게 유용한 정보일 확률이 높다.
저작물에 대한 인지도는 아래의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저작물의 인지도롤 F(X)라고 하면,
Figure 112007071786673-PAT00001
여기서,
A는 수동적 액션으로, 사용자가 저작자의 저작물을 클릭하여 선택하는 것을 의미하며, 저작물이 선택되었을 때, 숫자(예컨대 "1")가 할당된다.
B는 능동적 액션으로, 사용자가 저작자의 저작물을 추천, 스크랩, 및 북마크 하는 것을 의미하며, 숫자(예컨대 "2"가 할당된다.
C는 전환율을 나타낸다. 전환율은 저작물에 포함되는 키워드, 이미지, 동영상 링크들 중 사용자에 의해 클릭되는 비율을 의미한다. 전환율이 높다는 것은 저작물이 그만큼 광고주의 광고와 밀접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D는 저작물을 생성한 저작자의 인지도를 나타낸다. 저작자의 인지도는 저작자가 허위 저작물을 작성하거나 타인의 저작물을 카피하는 경우에 저감되며, 이러한 행위가 반복될수록 저작자의 인지도는 감소한다. 저작물의 인지도가 저작자의 인지도에 따라 가감되도록 함으로써, 저작자가 불량 저작물을 생성하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
E는 타인에 의해 신고, 및 고발된 회수에 따른 부정적 액션으로, 부정적 액션의 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소수점의 수를 부여하며, 저작물의 인지도를 저감시킨다.
표 1에 나타난 바에 따라, 저작물의 인지도가 산출되고, 산출된 인지도에 따른 저작물이 검색자에게 선택되어 열람되거나, 추천, 스크랩, 북마크 혹은 허위 정보로 고발될때, 해당 저작물의 인지도는 수시로 재조정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저작물은 하나, 또는 복수의 키워드, 이미지, 동영상을 포함하며, 각 키워드, 이미지, 동영상이 광고와 연관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저작물에 포함되는 여러 키워드, 이미지, 동영상 중 클릭율이 높은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존재할 수 있다. 이는 각 저작물에 포함되는 키워드, 이미지, 동영상간의 전환율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저작물이 광고와 링크될 때, 광고에 연관된 저작물들 중 광고와 밀접한 것이 검색 결과물의 상위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표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Figure 112007071786673-PAT00002
여기서, G(X)는 저작물에 삽입된 각각의 키워드, 이미지, 및 동영상들의 인지도를 의미한다.
또한, F는 저작물에 포함되는 각 키워드, 이미지, 동영상의 광고링크 전환율을 의미한다.
예컨대, 하나의 저작물에 a, b, c, d, 및 e라는 키워드가 삽입되었다고 가정할 때, a가 150번 클릭 되고, b가 30번 클릭 된다면 a와 저작물의 연관성이 큰 것으로 판단하여 검색자가 a를 이용하여 검색을 요청 시, 저작물을 검색 결과물의 상단에 표시한다.
반면, b는 a에 비해 전환율이 낮으므로, b에 대한 F(X)값이 광고와 연관되는 타 저작물의 F(X)보다 더 클 경우에도 타 저작물이 검색 결과물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타 저작물이 b에 대한 전환율이 저작물에 비해 높다는 가정하에서 성립한다.
상기한 바에 따라 저작물에 대한 인지도가 산출되면, 저작물에 대한 광고비는 아래의 표 3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07071786673-PAT00003
여기서, 광고비는 광고주가 원하는 입찰액에 저작물의 인지도가 고려된 값으로, 오버추어와는 달리 일정금액의 입찰가를 제시한 광고주에게 항상 일정한 과금을 하지는 않는다. 광고주가 작성한 광고문구를 직접 내보내는 오버추어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광고주가 원하는 각종 키워드, 이미지, 동영상 등이 광고주와 관련이 없는 일반 저자의 저작물에 삽입되므로, 저작물의 인지도에 따라 탄력적으로 과금을 한다. 질 좋은 저작물과 그렇지 않은 저작물 간에 차등하여 과금하여야 광고주에게도 합리적이기 때문이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광고비는 저작물이 갖는 인지도에 따라 그 비용이 점차로 늘어나는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특정 저작물의 인지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 이를 광고주가 선택하기 어려우므로, 인지도의 최대값은 1.1 ∼ 2 의 범위 내에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인지도 값이 최대치인 2일 경우, 광고주가 부담해야할 광고비는 입찰가에 대해 두 배가 될 수 있다.
한편, 광고와 연관된 저작물 중 동일한 저작자의 저작물, 또는 동일 광고주에 대한 저작물이 우선순위를 갖고 검색 결과물의 첫 페이지에 배치되는 경우, 특정한 광고주의 광고가 검색 결과물에 편중되어 노출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출원인은 동일 광고주의 광고와 연관되는 저작물이 검색 결과물에 둘 이상 노출될 경우(통상 검색 결과물의 첫 페이지에 노출되는 경우를 의미함),
a) 동일 광고주와 연관된 저작물들 중 인지도 값이 가장 큰 것만이 첫 번째 검색 결과물에 표시되거나,
b) 광고주가 광고와 관련된 카테고리에 지불한 입찰가와 광고주 점수(예컨대 광고주가 광고를 의뢰한 실적)를 승산하고, 승산된 값이 가장 큰 광고주의 순서에 따라 각 광고주와 연관된 저작물을 검색 결과물에 순차로 표시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저작물을 생성한 저작자가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100)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100)은 저작자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하며, 저작자의 저작물에 삽입된 광고주의 키워드, 이미지, 동영상 등이 사용자에게 선택될 때마다 저작자에게 할당할 광고비를 저작자의 가상 계좌에 적립한다. 가상 계좌에 적립된 광고비는 일정한 조건을 만족할 때, 저작자의 실 계좌로 입금된다. 여기서, 일정한 조건이란, 저작물에 일정금액이 적립되거나, 약정된 기간(예컨대 한 달)이 지난 후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저작물에 대한 광고비를 공시하고, 저작자와 광고주 중 어느 일 측이 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지 않을 때, 저작자에게 광고비가 지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작물에는 트랙백(TRACK BACK) 코드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랙백 코드를 저작물에 심어두면, 저작물이 선택될 때, 트랙백 코드에 설정된 타겟 주소로 저작물의 선택 여부를 통보할 수 있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20"은 검색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검색 결과물에서 저작자의 저작물이 선택되는 것을 나타낸다. 검색자가 저작자의 저작물을 선택하면, 해당 저작자의 저작물로 연결된다. 이때, 저작물에 삽입된 키워드, 이미지, 동영상 등에 대해 자세한 정보를 알기 위해 클릭하면, 링크(하이퍼 링크 : Hyper link)에 의해 검색자의 단말기(10)가 광고주의 URL로 연결되거나,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100)을 통해 URL 접속 경로를 요청한다.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100)은 검색자의 단말기(10)로 접속 경로(URL)를 제공하고, 검색자의 단말기(10)는 제공된 접속경로를 이용하여 광고주의 웹 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100)의 내부 블록개념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100)은, 가상계좌 처리모듈(160), 데이터베이스(110), 저작물 매칭모듈(150), 인지도 산출모듈(120), 및 광고설정 인터페이스 모듈(140)을 구비한다.
데이터베이스(110)는 저작자 정보, 저작물 분류정보, 사용자 액션정보, 및 저작물과 연동되는 광고주의 정보를 구비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10)는 저작자의 가상계좌에 대한 정보를 구비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10)는 광고주가 자신의 광고와 매칭되는 키워드, 광고에 대한 문구(광고 멘트, 광고 대상 상품의 구입처나 연락처, 접속 경로(URL)에 대한 정보, 광고와 관련된 클립 이미지, 및 동영상 등을 구비한다.
저작물 매칭모듈(150) 검색엔진(130)을 통해 수집된 저작물, 또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100)에 등록된 저작물에 저작물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 식별자를 부여하며, 고유 식별자가 부여된 저작물에 광고를 매칭한다. 저작물과 광고의 매칭은 아래의 방법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11) 광고주가 선택한 키워드, 이미지, 동영상에 의해 저작물이 광고주의 광고와 매칭되거나,
12) 저작물을 생성한 저작자가, 자신의 저작물에 적합한 광고주를 선택하여 저작물이 광고와 매칭되거나,
13) 저작자가 선택한 카테고리에 의해 광고와 저작물이 매칭되거나,
14) 저작자가 선택한 카테고리에 적합한 광고들을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100)이 저작자에게 제시하고, 저작자가 제시된 광고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저작물과 광고가 매칭될 수 있도록 한다.
12)의 경우는 저작물을 생성하는 저작자 스스로가 자신의 저작물과 가장 적합한 광고를 선택한다는 점에서 광고와 저작물이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저작자는 저작물에 포함되는 단어들 중 광고주와 연관되는 단어에 링크를 걸어서 저작물과 광고가 매칭되도록 하며, 광고설정 인터페이스 모듈(140)은 저작자가 저작물에 포함되는 단어를 광고와 손쉽게 링크할 수 있도록 하는 에디터를 제공한다.
한편, 저작물 매칭모듈(150)은 저작물에 URL, 광고 문구, 및 이미지(또는 동영상)을 매칭할 수 있다.
저작물의 매칭은 크게 저작물과 광고를 매칭하는것과, 저작물 내에 이미지, 광고문구, 및 접속경로(URL)를 매칭하는 세부적인 것이 있다. 저작물 내에 이미지, 광고문구, 및 접속경로(URL)를 매칭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설정 인터페이스 모듈(140)이 저작자에게 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된다. 저작자가 자신의 저작물과 어울리는 광고 카테고리를 선택할 때, 광고설정 인터페이스 모듈(140)은 저작자가 선택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광고 키워드를 제시하며, 저작자는 제시된 광고 키워드들 중 원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광고설정 인터페이스 모듈(140)은 저작물을 구성하는 단어에 광고를 매칭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광고설정 인터페이스 모듈(140)은 도 4,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는 광고설정 인터페이스 모듈(140)에서 저작자의 단말기(미도시)로 제공하는 에디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에디터는 저작물의 제목, 글자체, 크기, 및 문단의 형태를 설정하는 통상적인 에디터의 틀을 갖추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저작물에 포함되는 단어들 중, 저작자가 원하는 단어를 우측 "스폰서 링크"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서, 저작자는 "아이폰" 이라는 단어에 대해 각각 업체 2, 및 업체 3을 연결하고 있으며, 영문 "IPHONE"에 대해서는 업체 1을 연결하고 있다.
도시된 에디터를 이용하여 저작자가 저작물과 광고를 연결하면,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100)은 이를 저작물 매칭모듈(150)로 전송하며, 저작물 매칭모듈(150)은 광고와 연결된 저작물에 태그를 부여한다. 이때, 인지도 산출모듈(120)은 앞서 표 1을 통해 설명된 방법에 따라, 저작물에 대한 인지도값을 산출하여 저작물 매칭모듈(150)로 제공한다. 저작물 매칭모듈(150)은 광고가 연결된 저작물에 인지도값을 부가한 후, 이에 대한 태그를 최종적으로 부가하여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한다.
저작자가 도면 우측 상단에 위치한 "스폰서 링크 추가버튼"을 클릭하면, 도 6과 같은 인터페이스가 저작자에게 제공된다. 도 6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는 저작자가 저작물에 포함되는 키워드 중 광고 키워드와 매칭되는 키워드를 찾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작물을 광고와 손쉽게 매칭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면의 우측 하단에는 이미지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이미지 삽입")가 마련되며, 광고주가 등록한 이미지를 저작자가 자신의 저작물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는 영역 "C"에 광고주의 이미지가 삽입된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저작자가 삽입한 광고주의 이미지는 그 자체가 광고주의 광고로 연결되는 링크를 구비하며, 저작물이 검색 결과물에 나타났을 때, 타 저작자가 이미지를 선택하면 광고주의 광고, 또는 웹사이트로 접속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미지 이외에, 동영상을 저작물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동영상에도 광고를 링크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은 광고설정 인터페이스 모듈(140)에서 저작자의 단말기(미도시)로 제공하는 에디터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에디터는 저작물의 제목, 글자체, 크기, 및 문단의 형태를 설정하는 통상적인 에디터의 틀을 가지되, 도 4에 도시된 에디터와는 달리 저작자가 좀 더 간편하게 저작물과 광고를 매칭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광고설정 인터페이스 모듈(140)은 저작자에게 저작물과 광고를 간편하게 대응시킬 수 있도록 하는 편집 인터페이스를 저작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한다. 도면에 도시된 편집 인터페이스를 살펴보면,
저작자는 카테고리 설정메뉴(105)를 통해 자신의 저작물에 대한 카테고리를 설정하도록 하며,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광고주를 사용자 단말기로 표시하고, 이때, 도면의 좌측에 마련되는 저작물 원본에 포함되는 단어들 중, 광고 키워드와 매칭되는 단어들을 하이라이트 처리한다. 하이라이트 처리는 광고 키워드에 매칭되는 단어들에 대해 색상, 크기, 기울기, 굵기, 및 음영을 처리하여 이웃하는 타 단어들과 차별화하는 것으로서, 도면에는 참조부호 "113", 및 참조부호 "114"가 이에 해당한다.
저작자가 카테고리 설정메뉴(105)를 누르면 "자동차, 교통", "IT", 및 기타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100)에 등록되어있는 카테고리가 팝-업되며, 저작자는 팝-업 된 카테고리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저작자가 팝-업 된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광고주 선택메뉴(107)가 저작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표시된다. 광고주 선택메뉴(107)는 광고 키워드에 광고를 연결하고자하는 광고주를 표시하며, 저작자는 자신이 원하는 광고주를 클릭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도면에는 싼타페, 및 현대자동차라는 광고 키워드가 표시되어 있으며, 저작자는 광고 키워드 "싼타페"를 선택하였다.
여기서, 저작자가 광고 키워드 "싼타페"를 선택한다는 것은 광고 키워드 "싼타페"의 광고를 원하는 광고주를 선택하였다는 것과 동일하다. 여기서, 광고 키워드 "싼타페"는 둘 이상의 광고주가 제시할 수 있으며, 저작자는 동일한 광고 키워드가 둘 이상일 경우에 원하는 광고문구를 가진 광고 키워드(싼타페)를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저작자가 광고 키워드 "싼타페"를 선택하면 참조부호 "106"에는 저작자가 선택한 광고 키워드(싼타페)가 표시되고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100)에 광고 키워드 "싼타페"가 등록되었음을 표시한다.
도 8은 저작자가 광고 키워드 "싼타페"를 선택 시, 광고 키워드 "싼타페"에 해당하는 광고주의 광고와 저작물이 결합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면에는 저작자가 광고 키워드를 선택 시, 선택한 광고 키워드의 광고주, 광고주가 원하는 이미지, 및 광고문구를 저작물과 결합하는 광고 결합메뉴(108)가 도시된다.
도면에서, 광고 키워드, 광고 이미지, 및 광고문구는 한 번의 선택에 의해 일괄 처리된다. 저작자가 자신의 저작물에 적합한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선택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광고주, 및 광고 키워드가 표시되면 저작자는 광고주(광고주의 광고 키워드)를 선택하며, 광고 결합 메뉴(108)에서 표시되는 광고주의 이미지들(108) 중 하나(참조부호 "109")를 선택 후, 정렬 방식을 선택하는 단순한 과정에 의해 자신의 저작물을 광고에 매칭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정렬 방식은 참조부호 "1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작물의 좌측, 중심, 및 우측 중 선택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우측 정렬에 따라 이미지(110)가 저작물에 삽입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마우스로 이미지를 끌어서 본문에 놓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광고문구는 광고주 선택메뉴(107)에서 광고 키워드 "싼타페"의 우측에 표시된 것(참조부호 112)을 의미한다. 참조부호 112에 표시된 광고문구(가격, 라인업, 컬러, 성능 디자인 등에서...)는 광고주가 이미지(112)와 매칭하여 저작물 광고 시스템(100)에 미리 등록해 둔 것이다. 광고 문구는 키워드 검색에 의해 저작물이 검색자의 단말기에 노출되고, 검색자가 노출된 저작물에 삽입된 키워드, 이미지, 동영상 등을 선택하거나 마우스를 대면할때, 풀 -텍스트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라 저작물과 광고를 결합할 때, 저작자는 저작물과 광고를 결합하는데 최소한의 과정만을 필요로 하며, 이미지의 선택, 편집, 및 광고문구의 선택이 일괄 처리됨으로써 광고와 저작물의 결합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도 5는 검색엔진(130)에서 검색자의 단말기로 제공되는 검색 결과물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같이, 검색자는 "남이섬 팬션"을 검색어로 하여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100)에 검색을 요청하고, 검색엔진(130)은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물에 "남이섬", 및 팬션이 포함된 저작물을 제공하되, 각 저작물은 인지도 순서에 따라 1, 2, 3, 4, 및 5의 순으로 리스트-업 된다. 또한, 검색 결과물에는, 남이섬 또는 팬션에 대한 이미지(D)가 포함될 수 있다. 이미지(D)는 도 4를 통해 저작자가 삽입한 광고주의 이미지로 저작물에 포함되는 키워드와 마찬가지로 광고주의 광고나 웹사이트로 연결되는 링크를 구비한다.
도면에는 검색어 "남이섬 팬션"에 대해 저작물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저작물 이외에 일반 웹 사이트, 블로그, 및 지식(예컨대 네이버 지식IN)과 함께 리스트-업 될 수 있다. 이 경우, 검색엔진(130)은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것 이외에도 봇(bot, 미도시)을 통해 검색된 검색 결과물을 저작물과 함께 리스트-업 해야하며, 데이터베이스(110)에도, 봇에 의해 검색된 검색 결과물이 저장되어야 한다. 물론, 데이터베이스(110)에 검색 결과물을 저장하는 대신, 외부 검색엔진(미도시)에 검색어를 전송하여 그에 대한 검색 결과물을 수신하고, 이를 저작물에 대한 검색 결과물과 믹스하여 검색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상계좌 처리모듈(160)은 저작자의 저작물에 삽입된 키워드, 이미지, 동영상 등이 검색자에 의해 선택될 때, 사전에 산출된 저작물의 인지도와 클릭된 각각의 키워드, 이미지, 동영상의 광고 입찰가를 토대로, 저작자에게 배당할 광고비를 산출하고, 산출된 광고비를 저작물에 할당된 가상계좌에 적립한다. 광고비가 저작물에 할당된 가상계좌에 적립된 후,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일정기간 공시되고, 저작자나 광고주가 이에 대해 수긍할 때, 저작자의 실 계좌로 입금될 수 있다.
가상계좌는 저작자의 아이디에 따라 생성되며, 가상계좌 처리모듈(160)은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100)이 광고주로부터 수취한 광고비를 미리 정해진 기간(예컨대 한 달) 마다 정산하여 저작자의 실 계좌로 입금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110)에는 저작자의 실 계좌 정보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은 기존의 검색어 광고 시장을 대체하며, 단순히 검색어에 대응되는 광고가 아니라, 저작자가 생성한 저작물이 광고와 결합되어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오버추어의 키워드 검색 결과물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의 내부 블록개념도,
도 4는 광고설정 인터페이스 모듈서 저작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에디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검색엔진에서 검색자의 단말기로 제공되는 검색 결과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에디터와 연계되며, 저작물의 키워드를 광고 키워드와 매칭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광고설정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저작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에디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8은 저작자가 광고 키워드 "싼타페"를 선택 시, 광고 키워드 "싼타페"에 해당하는 광고주의 광고와 저작물이 결합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110 : 데이터베이스
120 : 인지도 산출모듈 130 : 검색엔진
140 : 광고설정 인터페이스 모듈 150 : 저작물 매칭모듈
160 : 가상계좌 처리모듈

Claims (21)

  1. 적어도 하나의 광고를 저작자의 저작물에 매칭하는 광고 시스템에 있어서,
    광고주가 설정한 카테고리에 따라 상기 광고, 및 상기 광고에 대한 광고키워드를 구비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저작자가 상기 저작물에 대한 광고 카테고리를 선택 시, 상기 선택한 카테고리에서 매칭 가능한 단어를 네트워크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표시하는 광고설정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저작물에 포함되는 단어들 중 상기 광고와 매칭 가능한 단어를 선택 시, 상기 단어에 상기 광고에 대한 이미지, 동영상, URL, 및 광고 문구 중 어느 하나를 결합하는 저작물 매칭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이 키워드 검색요청에 대한 검색 결과물에서 선택되면 이를 카운트하여 상기 저작자의 고유정보와 결합하며, 상기 저작물에 가상 계좌를 할당하고,
    상기 저작물이 선택된 회수에 따라 상기 광고에 대한 광고비를 상기 가상 계좌에 적립하는 가상계좌 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에 대한 광고비는,
    상기 저작물에 대한 인지도와 상기 광고 키워드에 대해 설정된 입찰금을 승산 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에 상기 광고에 대한 이미지, URL, 및 광고 문구 중 어느 하나를 결합한 저작물은,
    검색 사이트에서 키워드 검색에 대한 검색 결과물에 표시되며,
    상기 검색 결과물에서 표시되는 순서는, 상기 저작물의 인지도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인지도는,
    상기 저작물에 대한 네티즌의 선택 여부, 상기 네티즌의 긍정적 반응, 및 부정적 반응에 따라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물에 표시되는 저작물은,
    상기 검색 결과물에 일부가 표시되며, 검색자에 의해 선택될 때, 검색자의 단말기를 상기 저작물의 URL로 인도하여 상기 저작물 전체를 상기 검색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에 대한 네티즌의 선택여부, 상기 네티즌의 긍정적 반응, 및 부정적 반응을 토대로 상기 저작물에 대한 인지도를 산출하는 인지도 산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은,
    상기 인지도 산출모듈에서 산출된 인지도에 따라 상기 검색 결과물에 순서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와 결합 된 저작물은,
    동일 광고주와 연관된 저작물이 복수인 경우, 광고주의 입찰가, 및 광고주의 점수를 참조하여 상기 동일 광고주의 광고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검색 결과물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은 뉴스 기사이며,
    상기 저작자는 상기 뉴스 기사를 작성한 기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은,
    광고 대상에 대한 사용기, 뉴스 기사, 잡지 기사, 및 의견 중 어느 하나이며,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은,
    검색자에 의해 선택될 때, 선택 여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트랙백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도는,
    상기 사용자의 인지도를 참조하여 산출되며,
    상기 사용자의 인지도는,
    허위 저작물, 및 카피(copy) 저작물의 작성 여부와 그 회수에 따라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13. 적어도 하나의 광고를 저작자의 저작물에 매칭하며, 상기 저작자의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 접속되며,
    저작자의 저작물을 불러들여 편집하고, 상기 저작물에 할당 가능한 카테고리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시하며,
    상기 저작물에 존재하는 단어들 중 상기 광고와 연관되는 광고 키워드와 매칭 가능한 것을 하이라이트 처리하는 편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편집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저작물에 대한 카테고리를 설정 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저작물과 결합 가능한 광고주를 제시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한 광고주의 광고 문구, URL, 및 이미지, 동영상을 상기 저작물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인터페이스는,
    상기 저작물에 대한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카테고리 선택메뉴;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를 표시하는 광고주 선택메뉴; 및
    상기 광고주 선택메뉴에 의해 선택된 광고의 이미지가 상기 저작물 내에서 배치될 위치를 설정하는 광고 결합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은,
    광고 대상에 대한 사용기, 뉴스 기사, 잡지 기사, 및 의견 중 어느 하나이며,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인터페이스는,
    상기 저작물에 포함되는 단어들 중 상기 광고주의 광고 키워드와 매칭되는 단어의 색상, 크기, 글자체, 음영, 및 기울기를 이웃하는 타 단어와 차별하여 하이라이트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은,
    상기 저작물에 가상 계좌를 할당하며,
    상기 광고와 상기 저작물이 결합 된 후, 키워드 검색에 대한 검색 결과물에서 타 네티즌에 의해 선택될 경우, 선택된 회수를 참조하여 상기 저작물에 대해 광고비를 적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비는,
    상기 저작물에 대한 인지도와 상기 광고 키워드에 대해 설정된 입찰금을 승산 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도는,
    상기 저작물에 대한 네티즌의 선택여부, 상기 네티즌의 긍정적 반응, 및 부정적 반응을 토대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와 결합 된 저작물은,
    상기 인지도에 따라 상기 검색 결과물에서 순서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와 결합 된 저작물은,
    동일 광고주와 연관된 저작물이 복수인 경우, 광고주의 입찰가, 및 광고주의 점수를 참조하여 상기 동일 광고주의 광고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검색 결과물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KR1020070100580A 2007-10-05 2007-10-05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KR101020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580A KR101020567B1 (ko) 2007-10-05 2007-10-05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580A KR101020567B1 (ko) 2007-10-05 2007-10-05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344A true KR20090035344A (ko) 2009-04-09
KR101020567B1 KR101020567B1 (ko) 2011-03-09

Family

ID=40760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580A KR101020567B1 (ko) 2007-10-05 2007-10-05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056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700B1 (ko) * 2009-04-13 2014-04-18 (주)엔써즈 동영상 관련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WO2014065466A1 (ko) * 2012-10-26 2014-05-0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광고 시스템 및 방법
US10503819B2 (en) 2012-10-17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image search using one or more selected words
WO2021201505A1 (ko) * 2020-03-30 2021-10-07 (주)인끼업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광고주와 콘텐츠 생성자인 사용자의 직접 광고 계약을 지원하는 방법 및 광고 계약 지원 시스템
KR20210123939A (ko) * 2020-04-06 2021-10-14 주식회사 모먼트랩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23940A (ko) * 2020-04-06 2021-10-14 주식회사 모먼트랩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483B1 (ko) * 2016-01-04 2016-08-12 이준영 웹상 컨텐츠의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102464509B1 (ko) * 2021-12-14 2022-11-10 주식회사 뤼튼테크놀로지스 작문을 위한 콘텐츠를 추천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4060A (ko) * 2003-06-02 2004-12-10 송재현 블로그 컨텐츠의 키워드 분석을 통한 관련 사이트 광고 및링킹 방법
KR100806862B1 (ko) * 2004-07-16 2008-02-26 (주)이네스트커뮤니케이션 웹 사이트에서의 1차 키워드 검색에 대해 관련성 있는 2차키워드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700B1 (ko) * 2009-04-13 2014-04-18 (주)엔써즈 동영상 관련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0503819B2 (en) 2012-10-17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image search using one or more selected words
WO2014065466A1 (ko) * 2012-10-26 2014-05-0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1499536B1 (ko) * 2012-10-26 2015-03-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광고 시스템 및 방법
WO2021201505A1 (ko) * 2020-03-30 2021-10-07 (주)인끼업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광고주와 콘텐츠 생성자인 사용자의 직접 광고 계약을 지원하는 방법 및 광고 계약 지원 시스템
KR20210123939A (ko) * 2020-04-06 2021-10-14 주식회사 모먼트랩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23940A (ko) * 2020-04-06 2021-10-14 주식회사 모먼트랩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0567B1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51776A1 (en) Identifying Related Information Given Content and/or Presenting Related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Content-related Advertisements
JP4809219B2 (ja) 広告主ウェブ情報の検索を用いた広告提供
JP4426583B2 (ja) インターネットデータ及び従来の媒体データから、オンライン広告用の情報を生成すること
US8355949B1 (en) Enhanced hyperlink feature for web pages
US9563646B1 (en) Method and system for mining image searches to associate images with concepts
JP4369477B2 (ja) 広告を一のタイプの広告スポットから他のタイプの広告スポットへと昇格及び/又は降格させること
KR101020567B1 (ko)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US200700279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veloping and Managing A Computer-Based Marketing Campaign
US2007002785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veloping and managing a computer-based marketing campaign
US20140122235A1 (en) Determining ad targeting information and/or ad creative information using past search queries
US20100306030A1 (en) Contextual Content Targeting
CN102163217A (zh) 构造搜索结果说明
KR20020028044A (ko) 데이터베이스 링크 키워드 포털서비스 방법
US200402548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and adaptively delivering special offerings in a network environment
KR20090009062A (ko) 저작물 광고 시스템
AU2013231131B2 (en) Online advertising
KR20100121967A (ko) 웹에디터를 이용한 사용자 수익형 실시간 키워드 광고방법
Kumar Internet Marketing Proposing Better Alternatives to Society
JP2001184369A (ja) 電子計算機を用いた情報配信システム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情報配信取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