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062A - 저작물 광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저작물 광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062A
KR20090009062A KR1020070072508A KR20070072508A KR20090009062A KR 20090009062 A KR20090009062 A KR 20090009062A KR 1020070072508 A KR1020070072508 A KR 1020070072508A KR 20070072508 A KR20070072508 A KR 20070072508A KR 20090009062 A KR20090009062 A KR 20090009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t
work
advertisement
recogni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철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홀
Priority to KR1020070072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9062A/ko
Publication of KR20090009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0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질의 저작물이 검색 결과물에 우선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저작물의 창작 의욕을 고취하며, 저작물의 인지도에 따라 검색 결과물에 광고와 함께 노출되는 순위가 결정되도록 하는 저작물 광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물을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되, 검색 결과물에는 검색어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이 인지도에 따라 순차로 표시되고, 저작물에 포함되는 검색어,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는 광고주의 광고로 링크되며, 인지도는 저작물에 대한 네티즌의 선택 여부, 네티즌의 긍정적 반응, 및 부정적 반응을 토대로 산출되고, 저작물이 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면, 광고에 대한 광고비를 저작물에 할당되는 가상계좌에 적립한다.
저작물, 인지도, 광고, 트랙백

Description

저작물 광고 시스템{AD system using user contents}
본 발명은 광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워드 검색 요청에 대해 사용자가 생성한 저작물을 노출시키며, 저작물의 인지도에 따라 저작물이 노출되는 순위를 결정함으로써 양질의 저작물이 광고와 매칭될 수 있도록 하는 저작물 광고 시스템.
오버추어 광고가 출현한 이후, 광고시장은 키워드를 원하는 광고주의 입찰가에 따라 키워드 검색어에 대한 광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추세에 있다. 키워드 광고는 검색어에 의해 노출된 광고가 클릭되는 회수를 입찰가와 곱하여 광고비를 산출하며, 얼마나 많은 검색자가 선택하였는지에 따라 최종 광고비가 결정된다. 더 많은 검색자에게 광고를 노출시키기 위해 광고주는 키워드에 대한 입찰금을 높여야 하며, 다수의 광고주가 하나의 키워드를 원하는 경우, 경쟁에 의해 입찰금이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키워드 검색은,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물이 불필요한 광고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고, 검색 결과물에 포함되는 광고에도 자신이 원하는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물의 표시 순서는 높은 입찰가를 제시한 광고주에게 돌아가므로 검색자가 실제로 필요로 하는 정보가 쉽게 노출되지 않는다. 검색자가 광고주의 웹사이트를 검색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검색어에 대한 광고는 검색자에게 필요치 않다.
도 1은 오버추어의 키워드 검색 결과물을 나타낸다.
도시된 검색 결과물은 키워드 "남이섬 팬션"에 대한 검색 결과물로서, "남이섬 팬션" 이라는 검색어를 구입한 광고주(스폰서)의 웹 사이트 URL이 표시된다. 여기서, "남이섬 팬션" 이라는 키워드를 구매한 광고주들 중, 입찰가가 높은 광고주의 순서에 따라, 각 광고주의 URL이 순차로 표시되고 있다.
즉, 검색자에게 꼭 필요한 정보가 먼저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키워드를 구매한 광고주의 입찰가 순서에 따라 표시되고 있다. 만일, 검색자가 남이섬 팬션이라는 검색어를 통해 팬션을 실제로 이용한 사람들의 경험을 필요로 할 때, 또는 그들의 진솔한 사용 후기를 알고자 할 때, 검색어 "남이섬 팬션"에 의한 검색 결과물은 검색자에게 별 의미가 없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어 "남이섬 팬션"에 따른 검색 결과물은 검색어를 구매한 광고주의 URL을 중심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유저가 생성한 저작물 중 다수의 추천, 및 조회를 받아 인지도가 높은 저작물을 키워드 검색에 대한 검색 결과물로 제공하며, 양질의 저작물을 생성한 저작자에게 광고비의 일부를 피드백 함으로써 검색자와 광고주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저작물 광고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고주체가 광고주가 아닌 일반 유저가 되도록 함으로써 해당광고의 자체적인 신뢰도를 제고하도록 하며, 소비자들로 하여금 양질의 상품을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작물 광고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저는 자신이 생성한 저작물이 내재하고 있는 광고적 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받고, 이에 관한 체계적이고도 합리적인 보상을 받도록 함으로써 유저에 의한 광고문화가 정착되도록 하고, 이에 따른 선순환에 의해 유저에 의해 생성된 저작물의 광고적 가치가 지속적으로 제고될 수 있도록 하는 저작물 광고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저 스스로의 인지도에 따라 유저가 생성한 저적물의 가치를 가감함으로써, 유저가 불량 저작물을 생성하지 않도록 유도하는 저작물 광고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물을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되, 상기 검색 결과물에는 상기 검색어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 이 인지도에 따라 순차로 표시되고, 상기 저작물에 포함되는 검색어,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는 광고주의 광고로 링크되며, 상기 인지도는 상기 저작물에 대한 네티즌의 선택 여부, 상기 네티즌의 긍정적 반응, 및 부정적 반응을 토대로 산출되고, 상기 저작물이 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광고에 대한 광고비를 상기 저작물에 할당되는 가상계좌에 적립하는 저작물 광고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유저가 생성한 저작물에 상기 저작물을 식별하기 위한 태그를 부여하며, 상기 태그가 부여된 저작물에 포함되는 키워드, 동영상, 및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광고와 매칭하는 저작물 매칭모듈, 상기 저작물에 대한 네티즌의 선택여부, 상기 네티즌의 긍정적 반응, 및 부정적 반응을 토대로 상기 저작물에 대한 인지도를 산출하는 인지도 산출모듈, 및 상기 저작물이 키워드 검색요청에 대한 검색 결과물에서 선택되면 이를 카운트하여 상기 유저의 고유정보와 결합하며, 상기 저작물이 선택된 회수에 따라 상기 저작물에 할당되는 가상 계좌로 광고의 광고비를 적립하는 가상계좌 처리모듈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바에 따라, 본 발명은,
양질의 저작물이 검색 결과물에 우선 노출되므로 저작물을 생성하는 유저는 더욱 양질의 저작물을 생성하게 되는 바, 인터넷에 퍼지는 저작물의 질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킨다.
또한, 저작물의 인지도에 따라 검색 결과물에 노출되는 순위가 결정되므로, 양질의 저작물을 생성한 유저는 더 많은 광고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광고주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한 유저가 광고의 주체가 되므로 유저의 저작물에 의한 광고가 신뢰성을 가지며, 소비자는 양질의 상품(또는 서비스)을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에 삽입되는 저작물 광고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 광고 시스템(100)의 특징은,
1) 유저가 작성한 저작물이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물에 표시되고 - 이때, 유저의 저작물에는 검색어와 대응되는 키워드가 포함되며, 키워드에는 하이퍼 링크가 설정되고, 저작물에 포함되는 이미지나 동영상에도 하이퍼 링크가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타 유저가 키워드 검색을 할 때, 이에 응답하여 검색 결과물에 저작물이 나타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이미지는 광고주의 상품, 및 서비스와 연관된 이미지(또는 동영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
2) 저작물의 인지도에 따라 검색 결과물에서 표시되는 순서가 결정되고,
3) 저작물에는 유저와 저작물을 특정하기 위한 태그를 부여하여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물에서 검색자에게 선택될 때마다 광고주의 광고비를 유저에게 피드백 하며,
4) 저작물은 광고주의 광고와 연관된 것을 선택되므로 저작물의 품질은 곧 광고의 성패와 직결된다. 이는 본 발명의 가장 핵심적인 특징으로서 광고의 주체가 광고주가 아닌 광고주의 물건이나 서비스를 이용해 본 유저의 저작물이 되는 특징이 있다.
도시된 저작물 광고 시스템(100)은,
5) 저작물 광고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에디터(editor)를 통해 유저가 자신의 저작물을 광고주의 URL과 링크시킨 후, 유저의 저작물을 저작물 광고 시스템(100)에 등록한다. 이때, 저작물은 텍스트 기반의 저작물, 이미지 기반의 저작물,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저작물일 수 있으며,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는 광고주의 광고와 링크될 수 있다. 즉, 타 유저가 이미지를 클릭 시, 타 유저는 광고주의 웹 사이트로 접속될 수 있다.
6) 검색엔진 또는 봇(Bot)을 통해 각종 웹 사이트에서 저작물을 획득하며, 획득한 저작물에 태그를 부여하고, 태그가 부여된 저작물의 인지도를 고유의 규칙(추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에 따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다.
5)와 6) 두 가지 경우 모두,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작물이 등록되어야 한다. 따라서, 저작물(5)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상태를 기준으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먼저, 유저가 자신의 저작물을 저작물 광고 시스템(100)에 등록하면, 저작물 광고 시스템(100)은 유저의 저작물에 고유 식별자를 부여하고, 고유 식별자가 부여된 저작물의 인지도를 판단하여 수치화한다.
저작물의 인지도는,
7) 타인이 저작물을 추천한 회수,
8) 타인이 저작물을 스크랩한 회수,
9) 타인이 저작물을 북마크 한 회수,
10) 타인에 의해 신고, 또는 고발된 회수를 참조하여 산출된다.
예컨대, 유저가 작성한 저작물이 많은 추천을 받는 경우, 해당 저작물은 타인들에게도 유용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유저의 저작물이 여러 번 스크랩 된다는 것은 유저의 저작물을 참조하고자 하는 타인들이 그만큼 많다는 것으로, 역시 유용한 정보일 가능성이 크다. 북마크 회수 또한, 스크랩 회수와 마찬가지로, 타인이 웹 서핑 중 참조할 자료로 선택한 것을 의미한다. 다만, 타인에 의해 신고, 또는 고발된 회수는 저작물의 인지도를 떨어트린다. 타인에 의한 신고, 또는 고발은 저작물의 창작자가 유저가 아니거나, 저작물이 옳지못한 내용을 가지거나, 또는 저작 물에 기재된 내용이 틀린 경우를 나타낸다. 이 외에, 저작물의 인지도는 검색 결과물에서 유저의 저작물을 선택한 후, 유저의 저작물
저작물에 대한 인지도는 아래의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저작물의 인지도롤 F(X)라고 하면,
Figure 112007052501161-PAT00001
여기서,
A는 수동적 액션으로, 사용자가 유저의 저작물을 클릭하여 선택하는 것을 의미하며, 저작물이 선택되었을 때, 숫자(예컨대 "1")가 할당된다.
B는 능동적 액션으로, 사용자가 유저의 저작물을 추천, 스크랩, 및 북마크 하는 것을 의미하며, 숫자(예컨대 "2"가 할당된다.
C는 전환율을 나타낸다. 전환율은 저작물에 포함되는 링크들 중 광고로 연결되는 비율을 의미한다. 전환율이 높다는 것은 저작물이 그만큼 광고주의 광고와 밀접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D는 저작물을 생성한 유저의 인지도를 나타낸다. 유저의 인지도는 유저가 허위 저작물을 작성하거나 타인의 저작물을 카피하는 경우에 저감되며, 이러한 행위가 반복될수록 유저의 인지도는 감소한다. 저작물의 인지도가 유저의 인지도에 따라 가감되도록 함으로써, 유저가 불량 저작물을 생성하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
E는 타인에 의해 신고, 및 고발된 회수에 따른 부정적 액션으로, 부정적 액션의 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소수점의 수를 부여하며, 저작물의 인지도를 저감시킨다.
표 1에 나타난 바에 따라, 저작물의 인지도가 산출되고, 산출된 인지도에 따른 저작물이 검색자에게 선택될 때, 저작물을 생성한 유저는 광고비의 일부를 피드백 받는다.
한편, 본 발명은 저작물은 하나, 또는 복수의 키워드를 포함하며, 각 키워드가 광고와 연관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저작물에 포함되는 여러 키워드 중 광고에 대해 반응이 좋은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존재할 수 있다. 이는 각 저작물에 포함되는 키워드간의 전환율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저작물이 광고와 링크될 때, 광고에 연관된 저작물들 중 광고와 밀접한 것이 검색 결과물의 상위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표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Figure 112007052501161-PAT00002
여기서, G(X)는 표 1을 통해 산출된 F(X)값을 토대로 만들어지는 저작물의 인지도를 의미한다.
여기서, F는 저작물에 포함되는 각 키워드의 광고링크 전환율을 의미한다.
예컨대, 하나의 저작물에 a, b, c, d, 및 e라는 키워드가 존재한다고 가정할 때, a가 150번 클릭 되고, b가 30번 클릭 된다면 a와 저작물의 연관성이 큰 것으로 판단하여 검색자가 a를 이용하여 검색을 요청 시, 저작물을 검색 결과물의 상단에 표시한다.
반면, b는 a에 비해 전환율이 낮으므로, b에 대한 F(X)값이 광고와 연관되는 타 저작물의 F(X)보다 더 클 경우에도 타 저작물이 검색 결과물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타 저작물이 b에 대한 전환율이 저작물에 비해 높다는 가정하에서 성립한다.
상기한 바에 따라 저작물에 대한 인지도가 산출되면, 저작물에 대한 광고비는 아래의 표 3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07052501161-PAT00003
여기서, 입찰액은 광고주가 원하는 키워드에 대해 제시한 금액으로 오버추어와는 달리 최고 입찰가를 제시한 광고주에게 항상 최대 노출 회수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이는 추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광고비는 유저의 저작물이 갖는 인지도에 따라 그 비용이 점차로 늘어나는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특정 저작물의 인지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 이를 광고주가 선택하기 어려우므로, 인지도의 최대값은 1.1 ∼ 2 의 범위 내에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인지도 값이 최대치인 2일 경우, 광고주가 부담해야할 광고비는 입찰가에 대해 두 배가 된다.
한편, 저작물을 생성한 유저가 저작물 광고 시스템(100)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저작물 광고 시스템(100)은 유저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하며, 유저의 저작물이 검색자에게 선택될 때마다 유저에게 할당할 광고비를 유저의 가상 계좌에 적립한다. 가상 계좌에 적립된 광고비는 일정한 조건을 만족할 때, 유저의 실 계좌로 입금된다. 여기서, 일정한 조건이란, 저작물에 일정금액이 적립되거나, 약정된 기간(예컨대 한 달)이 지난 후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저작물에 대한 광고비를 공시하고, 유저와 광고주 중 어느 일 측이 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지 않을 때, 유저에게 광고비가 지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작물에는 트랙백(TRACK BACK) 코드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랙백 코드를 저작물에 심어두면, 저작물이 선택될 때, 트랙백 코드에 설정된 타겟 주소로 저작물의 선택 여부를 통보할 수 있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20"은 검색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검색 결과물에서 유저의 저작물이 선택되는 것을 나타낸다. 검색자가 유저의 저작물을 선택하면, 검색 결과물에 포함된 링크(하이퍼 링크 : Hyper link)에 의해 검색자의 단말기(10)가 광고주의 ULR로 연결되거나, 저작물 광고 시스템(100)을 통해 ULR 접속 경로를 요청한다. 저작물 광고 시스템(100)은 검색자의 단말기(10)로 접속 경로(URL)를 제공하고, 검색자의 단말기(10)는 제공된 접속경로를 이용하여 광고주의 웹 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저작물 광고 시스템(100)의 내부 블록개념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저작물 광고 시스템(100)은, 가상계좌 처리모듈(160), 데이터베이스(110), 저작물 매칭모듈(150), 인지도 산출모듈(120), 및 광고설정 인터페이스 모듈(140)을 구비한다.
데이터베이스(110)는 저작자 정보, 저작물 분류정보, 사용자 액션정보, 및 저작물과 연동되는 광고주의 정보를 구비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10)는 유저의 가상계좌에 대한 정보를 구비한다.
저작물 매칭모듈(150) 검색엔진(130)을 통해 수집된 저작물, 또는 저작물 광고 시스템(100)에 등록된 저작물에 저작물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 식별자를 부여하며, 고유 식별자가 부여된 저작물에 광고를 매칭한다. 저작물과 광고의 매칭은 아래의 두 가지 방법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11) 광고주가 선택한 키워드에 의해 저작물이 광고주의 광고와 매칭되거나,
12) 저작물을 생성한 유저가, 자신의 저작물에 적합한 광고주를 선택하여 저작물이 광고와 매칭될 수 있다.
12)의 경우는 저작물을 생성하는 유저 스스로가 자신의 저작물과 가장 적합한 광고를 선택한다는 점에서 광고와 저작물이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유저는 저작물에 포함되는 단어들 중 광고주와 연관되는 단어에 링크를 걸어서 저작물과 광고가 매칭되도록 하며, 광고설정 인터페이스 모듈(140)은 유저가 저작물에 포함되는 단어를 광고와 손쉽게 링크할 수 있도록 하는 에디터를 제공한다.
광고설정 인터페이스 모듈(140)은 저작물을 구성하는 단어에 광고를 매칭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광고설정 인터페이스 모듈(140)은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광고설정 인터페이스 모듈(140)에서 유저의 단말기(미도시)로 제공하는 에디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에디터는 저작물의 제목, 글자체, 크기, 및 문단의 형태를 설정하는 통상적인 에디터의 틀을 갖추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저작물에 포함되는 단어들 중, 유저가 원하는 단어를 우측 "스폰서 링크"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서, 유저는 "아이폰", 및 "애플" 이라는 단어에 대해 각각 업체 2, 및 업체 3을 연결하고 있으며, 영문 "IPHONE"에 대해서는 업체 1을 연결하고 있다.
도시된 에디터를 이용하여 유저가 저작물과 광고를 연결하면, 저작물 광고 시스템(100)은 이를 저작물 매칭모듈(150)로 전송하며, 저작물 매칭모듈(150)은 광고와 연결된 저작물에 태그를 부여한다. 이때, 인지도 산출모듈(120)은 앞서 표 1을 통해 설명된 방법에 따라, 저작물에 대한 인지도값을 산출하여 저작물 매칭모듈(150)로 제공한다. 저작물 매칭모듈(150)은 광고가 연결된 저작물에 인지도값을 부가한 후, 이에 대한 태그를 최종적으로 부가하여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한다.
유저가 도면 우측 상단에 위치한 "스폰서 링크 추가버튼"을 클릭하면, 도 6과 같은 인터페이스가 유저에게 제공된다. 도 6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는 유저가 저작물에 포함되는 키워드 중 광고 키워드와 매칭되는 키워드를 찾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작물을 광고와 손쉽게 매칭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면의 우측 하단에는 이미지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이미지 삽입")가 마련되며, 광고주가 등록한 이미지를 유저가 자신의 콘텐츠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는 영역 "C"에 광고주의 이미지가 삽입된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유저가 삽입한 광고주의 이미지는 그 자체가 광고주의 광고로 연결되는 링크를 구비하며, 저작물이 검색 결과물에 나타났을 때, 타 유저가 이미지를 선택하면 광고주의 광고, 또는 웹사이트로 접속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미지 이외에, 동영상을 저작물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동영상에도 광고를 링크시킬 수 있다.
도 5는 검색엔진(130)에서 검색자의 단말기로 제공되는 검색 결과물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같이, 검색자는 "남이섬 팬션"을 검색어로 하여 저작물 광고 시스템(100)에 검색을 요청하고, 검색엔진(130)은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물에 "남이섬", 및 팬션이 포함된 저작물을 제공하되, 각 저작물은 인지도 순서에 따라 1, 2, 3, 4, 및 5의 순으로 리스트-업 된다. 또한, 검색 결과물에는, 남이섬 또는 팬션에 대한 이미지(D)가 포함될 수 있다. 이미지(D)는 도 4를 통해 유저가 삽입한 광고주의 이미지로 저작물에 포함되는 키워드와 마찬가지로 광고주의 광고나 웹사이트로 연결되는 링크를 구비한다.
도면에는 검색어 "남이섬 팬션"에 대해 저작물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저작물 이외에 일반 웹 사이트, 블로그, 및 지식(예컨대 네이버 지식IN)과 함께 리스트-업 될 수 있다. 이 경우, 검색엔진(130)은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것 이외에도 봇(bot, 미도시)을 통해 검색된 검색 결과물을 저작물과 함께 리스트-업 해야하며, 데이터베이스(110)에도, 봇에 의해 검색된 검색 결과물이 저장되어야 한다. 물론, 데이터베이스(110)에 검색 결과물을 저장하는 대신, 외부 검색엔진(미도시)에 검색어를 전송하여 그에 대한 검색 결과물을 수신하고, 이를 저작물에 대한 검색 결과물과 믹스하여 검색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상계좌 처리모듈(160)은 유저의 저작물이 검색자에 의해 선택될 때, 저작물이 피드백하는 정보(저작물의 선택 여부, 검색 결과물 내에서 최초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토대로 유저에게 배당할 광고비를 산출하고, 산출된 광고비를 저작물에 할당된 가상계좌에 적립한다. 광고비가 저작물에 할당된 가상계좌에 적립된 후,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일정기간 공시되고, 유저나 광고주가 이에 대해 수긍할 때, 유저의 실 계좌로 입금될 수 있다.
가상계좌는 유저의 아이디에 따라 생성되며, 가상계좌 처리모듈(160)은 저작물 광고 시스템(100)이 광고주로부터 수취한 광고비를 미리 정해진 기간(예컨대 한 달) 마다 정산하여 유저의 실 계좌로 입금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110)에는 유저의 실 계좌 정보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 광고 시스템은 기존의 검색어 광고 시장을 대체하며, 단순히 검색어에 대응되는 광고가 아니라, 유저가 생성한 저작물이 광고로서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오버추어의 키워드 검색 결과물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 광고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저작물 광고 시스템의 내부 블록개념도,
도 4는 광고설정 인터페이스 모듈서 유저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에디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검색엔진에서 검색자의 단말기로 제공되는 검색 결과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에디터와 연계되며, 저작물의 키워드를 광고 키워드와 매칭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저작물 광고 시스템 110 : 데이터베이스
120 : 인지도 산출모듈 130 : 검색엔진
140 : 광고설정 인터페이스 모듈 150 : 저작물 매칭모듈
160 ; 가상계좌 처리모듈

Claims (15)

  1.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물을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되, 상기 검색 결과물에는 상기 검색어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이 인지도에 따라 순차로 표시되고, 상기 저작물에 포함되는 검색어,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는 광고주의 광고로 링크되며,
    상기 인지도는 상기 저작물에 대한 네티즌의 선택 여부, 상기 네티즌의 긍정적 반응, 및 부정적 반응을 토대로 산출되고,
    상기 저작물이 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광고에 대한 광고비를 상기 저작물에 할당되는 가상계좌에 적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광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은,
    광고 대상에 대한 사용기, 및 의견 중 어느 하나이며,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광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은,
    검색자에 의해 선택될 때, 선택 여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트랙백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광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도는,
    상기 사용자의 인지도를 참조하여 산출되며,
    상기 사용자의 인지도는,
    허위 저작물, 및 카피(copy) 저작물의 작성 여부와 그 회수에 따라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광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에 대한 광고비는,
    상기 인지도를 광고주가 키워드에 대해 설정한 입찰금에 승산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광고 시스템.
  6. 유저가 생성한 저작물에 상기 저작물을 식별하기 위한 태그를 부여하며, 상기 태그가 부여된 저작물에 포함되는 키워드, 동영상, 및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광고와 매칭하는 저작물 매칭모듈;
    상기 저작물에 대한 네티즌의 선택여부, 상기 네티즌의 긍정적 반응, 및 부정적 반응을 토대로 상기 저작물에 대한 인지도를 산출하는 인지도 산출모듈; 및
    상기 저작물이 키워드 검색요청에 대한 검색 결과물에서 선택되면 이를 카운트하여 상기 유저의 고유정보와 결합하며, 상기 저작물이 선택된 회수에 따라 상기 저작물에 할당되는 가상 계좌로 광고의 광고비를 적립하는 가상계좌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광고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의 인지도는,
    허위 저작물, 및 카피(copy) 저작물의 작성 여부와 그 회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광고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저작물을 구성하는 단어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광고를 매칭하는 광고설정 인터페이스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광고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웹 페이지에서 저작물을 획득하는 봇(bot);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광고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상기 저작물의 저작자 정보, 상기 저작물의 분류정보, 상기 저작물과 매칭된 광고정보, 및 상기 저작물에 대한 인지도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광고 시스템.
  11. 제6항에 있어서,
    외부 웹 사이트, 상기 외부 웹사이트에 게시된 콘텐츠, 및 블로그 중 어느 하나를 검색하는 검색엔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광고 시스템.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은,
    검색자가 상기 저작물을 선택 시, 이를 상기 인지도 산출모듈로 통보하는 트랙백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에 삽입되는 하이퍼 링크를 이용하는 광고 시스템.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에 대한 긍정적 반응은,
    상기 저작물에 대한 추천, 스크랩, 및 북마크에 대한 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광고 시스템.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에 대한 부정적 반응은,
    상기 저작물에 대한 신고 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광고 시스템.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도 산출모듈은,
    상기 저작물이 검색 결과물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참조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광고 시스템.
KR1020070072508A 2007-07-19 2007-07-19 저작물 광고 시스템 KR200900090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508A KR20090009062A (ko) 2007-07-19 2007-07-19 저작물 광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508A KR20090009062A (ko) 2007-07-19 2007-07-19 저작물 광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062A true KR20090009062A (ko) 2009-01-22

Family

ID=40489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508A KR20090009062A (ko) 2007-07-19 2007-07-19 저작물 광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90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7112B2 (en) Identifying related information given content and/or presenting related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content-related advertisements
AU2004279095B2 (en) Automatically targeting web-based advertisements
US80150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igning monetary values to search terms
CN102246167B (zh) 提供搜索结果
CA2530400C (en) Serving advertisements using a search of advertiser web information
KR100932999B1 (ko) 사용자 정보 및 콘텐츠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생성된 링크에의한 문서 브라우징
US7856433B2 (en) Dynamic bid pricing for sponsored search
JPWO201200235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0079911A (ja) 話題に対するユーザーの関心情報を用いて、1つ以上の話題を有するドキュメントとともに広告を提供すること
US20120290387A1 (en) System and Method of Advertising for Objects Displayed on a Webpage
KR101020567B1 (ko) 저작물 기반 광고 시스템
JP2007286833A (ja) 広告配信システムおよび広告配信プログラム
US20050222966A1 (en) Delivering items based on links to resources associated with search results
KR20120074626A (ko) 간접클릭에 기초하여 키워드를 추천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0402548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and adaptively delivering special offerings in a network environment
KR20090009062A (ko) 저작물 광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