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4979A - 홀딩 엘리먼트를 가진 저항성 타입의 초전도성 전류 제한 장치 - Google Patents

홀딩 엘리먼트를 가진 저항성 타입의 초전도성 전류 제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4979A
KR20090034979A KR1020097003095A KR20097003095A KR20090034979A KR 20090034979 A KR20090034979 A KR 20090034979A KR 1020097003095 A KR1020097003095 A KR 1020097003095A KR 20097003095 A KR20097003095 A KR 20097003095A KR 20090034979 A KR20090034979 A KR 20090034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current limiter
superconductor
superconducting current
supercondu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3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2396B1 (ko
Inventor
한스-페터 크뢰머
만프레드 보흘파르트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90034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60/00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30Devices switchable between superconducting and normal stat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71Pancake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3Insulation between winding turns, between wind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6/00Superconducting magnets; Superconducting coils
    • H01F6/06Coils, e.g. winding, insulating, terminating or casing arrangemen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22Static electricity metal bleed-off metallic stock
    • Y10S428/9265Special properties
    • Y10S428/93Electric superconduc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05/00Superconductor technology: apparatus, material, process
    • Y10S505/825Apparatus per se, device per se, or process of making or operating same
    • Y10S505/85Protective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Containers, Films, And Cooling For Superconductive Devices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초전도성 전류 제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61)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의 전도 트랙은 적어도 하나의 밴드형 초전도체(17)로 형성되고, 홀딩 엘리먼트(2,41,10 51,62)는 인접한 코일 권선들 사이에 배치된다. 홀딩 엘리먼트(2,41,51,62)는 코일(61)의 축방향으로 초전도체(17)보다 넓게 구성된다. 홀딩 엘리먼트(2,41,51,62)는 추가로 편평한 스트립(11) 및 물결모양 스트립(12,42,52)으로 구성된다. 편평한 스트립(11)은 밴드형 초전도체(17)로부터 필수적으로 일정한 거리(22)에서 상기 밴드형 초전도체(17)와 필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물결모양 스트립(12,42,52)은 필수적으로 편평한 스트립(11)에 평행하고, 길이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편평한 스트립(11)으로부터 떨어진 영역들(15,43,53) 및 상기 편평한 스트립에 인접한 영역들(13)을 가진다. 편평한 스트립에 인접한 물결모양 스트립(12,42,52)의 영역들은 편평한 스트립(11)과 기계적 접속(21)을 가진다. 편평한 스트립으로부터 먼 물결모양 스트립의 영역들(15,43,53)은 편평한 스트립(11)에 관련하여 밴드형 초전도체(17)의 적어도 대략적으로 근접한 조립 장착이 조장되는 종류의 리세스들(16)을 가진다.

Description

홀딩 엘리먼트를 가진 저항성 타입의 초전도성 전류 제한 장치{SUPERCONDUCTING CURRENT-LIMITING DEVICE OF THE RESISTIVE TYPE WITH HOLDING ELEMENT}
본 발명은 저항 타입의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에 관한 것이고, 상기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의 전도 트랙은 적어도 하나의 밴드형(band-shaped) 초전도체에 의해 형성되고, 홀딩 엘리먼트는 이웃하는 코일 턴들 사이에 배열된다.
전기 구성요소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전류 제한기 장치는 초전도체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초전도체들의 특성은 재료 특정 임계 온도 아래에서, 전류 밀도가 동작 온도에 좌우되는 임계 전류 밀도 미만인 한, 상기 초전도체들이 실제로 저항없이 전류들을 운반한다는 특성이다. 이런 임계 전류 밀도는 동작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동작 온도가 상기 임계 온도에 도달할 때 영이된다.
이런 현상은 상기 임계 전류 밀도를 초과하는 경우, 전기 저항이 갑자기 증가하고 발생하는 오움 손실들에 의하여 임계 온도보다 높게 가열되는 전류 제한기 장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과열에 의한 파괴를 피하기 위하여, 전류는 전류 제한기가 트립된 후 스위치 오프되어야 한다. 동작을 다시 시작하기 위하여, 전체 제한기가 동작 온도로 다시 냉각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다. 이런 재냉각 시간은 전류 제한기의 이용성에 필수적으로 영향을 끼친다.
이런 현상을 사용함으로써, 빠른 스위칭 시간들에 의해 구별되는 회로 차단기(전류 제한기) 및 본질적으로 보호 장치가 비파괴성인 스위칭 처리를 구성하는 것은 가능하다. 대응하는 전류 제한기 장치들은 예를들어 DE 10 2004 048 646 A1에 공지된다.
상기 전류 제한기의 전도체 트랙으로서, 초전도성 밴드 전도체들(코팅된 전도체들)은 특히 사용된다. 이런 환경에서 초전도성 밴드 전도체는 초전도성 층, 통상적으로 산화 고온 초전도체가 일반적으로 밴드 형태로 전도성 기판상에 제공되는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인덕턴스들을 방지하기 위하여, 초전도성 밴드 전도체는 편평한 이중 감김 코일 내에 도입된다. 냉각제가 코일을 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최소 간격이 이웃하는 코일 턴드 사이에 유지될 필요가 있다. 만약 고온 초전도체(예를들어 YBCO)가 초전도성 대역 전도체에 사용되면, 액체 질소는 전류 제한기 장치에 대한 냉각제로서 적당하다.
밴드 전도체 재료로 만들어진 이중 감김 코일들에서, 코일 양단 전체 전압 강하는 이웃하는 전도체 트랙들 사이의 외부 반경 영역에 인가된다.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를 최대로 콤팩트하게 설계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작게 이웃하는 전도체 턴들을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이웃하는 턴들 사이의 가장 우수한 절연은 전기 스파크오버를 보호하기 위하여 요구된다. 동시에, 이용 가능한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는 결정적으로 스위칭 처리 후 초전도체의 재냉각 시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전류 제한기의 전도체 트랙으로 냉각제의 우수한 접근성은 결과적으로 바람직하다.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는 추가로 가능한 가장 낮은 인덕턴스에 의해 구별되어야 한다. 이런 목적을 위하여, 코일의 축방향으로 이웃하는 턴들이 만약 가능하다면 이상적으로 공통 평면 표면상에 놓이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런 목적을 위하여,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턴들의 정확한 위치 결정은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기술적 문제들에 비해 개선되도록 구성된 저항성 타입의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된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의 조치들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저항성 타입의 특정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는 제공되고, 상기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의 전도성 트랙은 밴드형 초전도체에 의해 형성된다.
홀딩 엘리먼트는 이웃하는 코일 턴들 사이에 배열되어야 한다. 이런 홀딩 엘리먼트는 코일의 축방향으로 밴드형 초전도체보다 넓게 설계되어야 하고 편평한 밴드 및 물결모양 밴드로 구성된다. 편평한 밴드는 필수적으로 일정한 간격에서 밴드형 초전도체와 평행하게 연장하여야 한다. 편평한 밴드는 실질적으로 적어도 물결모양이 아니다. 물결모양 밴드는 편평한 밴드와 필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여야 하고, 물결모양 밴드는 길이방향으로 주기적으로 편평한 밴드로부터 먼 영역들 및 편평한 밴드와 인접한 영역들을 가진다. 편평한 밴드에 인접하게 놓여진 물결모양 밴드의 영역들은 편평한 밴드에 기계적 접속을 가져야 한다. 편평한 밴드로부터 멀리 놓인 물결모양 밴드의 영역들은 편평한 밴드로부터 떨어져서 밴드모양 초전도체의 적어도 대략적으로 견고한 조립 수용부를 허용하도록 리세스들을 가져야 한다.
다음 장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조치들과 연간된다: 제 1 밴드 및 물결모양 밴드로 구성된 홀딩 엘리먼트는 축방향으로 밴드형 초전도체보다 넓게 설계된다. 이런 방식으로, 하나의 초전도성 턴으로부터 다음 턴으로 전기 브레이크다운 경로는 홀딩 엘리먼트가 밴드형 초전도체와 동일한 폭을 가진 버젼과 비교하여 길어진다. 바람직하게, 전류 제한기 장치의 컴팩트한 설계는 전압 스파크오버를 보호함과 동시에 달성된다. 편평한 밴드 및 물결모양 밴드로 구성된 홀딩 장치의 구성은 추가로 밴드형 초전도체를 냉각하는 냉각제에 대한 코일의 높은 침투성을 달성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초전도성 밴드 전도체의 재냉각 시간은 최소화될 수 있다. 초전도성 밴드 전도체는 물결모양 밴드의 리세스들에 의해 적어도 대략적으로 단단한 조립으로 수용되어야 한다. 이런 방식으로, 코일의 축방향으로 초전도성 밴드 초전도체를 설치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런 설치는 코일의 인덕턴스를 최소화한다. 코일 턴들의 정확한 축방향 위치 결정은 코일의 인덕턴스 및 이웃하는 턴들 사이에 작용하는 로렌쯔 힘들 모두를 최소화할 것이다. 바람직하게, 이에 따라 최저으로 제공된 턴의 지지 엘리먼트들 상에 작용하는 기계적 로드들, 및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들의 총 인덕턴스 모두를 최소화하는 것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류 제한기 장치의 바람직한 구성들은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청구항들에서 발견될 수 있다.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실시예는 종속항들 중 하나의 특징들 또는 바람직하게 몇몇 종속항들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는 부가적으로 다음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 전류 제한 장치의 코일은 이중 감김 코일로서 구성되어야 한다. 이중 감김 코일에서, 이중 감김의 두 개의 반쪽 부분들의 인덕턴스들은 서로 상쇄한다. 이런 방식으로, 최소화된 인덕터스를 가진 컴팩트 설계는 바람직하게 전류 제한기에 대하여 달성될 수 있다.
- 전기 절연체는 편평한 밴드 및/또는 물결모양 밴드에 대한 재료로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홀딩 장치의 적어도 일부들에 대해 전기적으로 절연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코일의 개별 턴들 사이의 전기 스파크오버 위험성은 최소화될 수 있다.
- 플라스틱은 전기 절연체로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플라스틱은 전기 절연체로서 작동하고 또한 비교적 낮은 열 용량으로인해 전류 제한기 장치를 냉각하는 처리 동안 낮은 열 로드를 방지한다.
- 물결모양 밴드는 필수적으로 사다리꼴, 톱니 모양 또는 사인곡선 모양으로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물결모양 밴드의 사다리꼴 구성은 방사상 방향으로 초전도성 밴드 전도체의 기계적으로 안정한 가이드를 가진다. 물결모양 밴드의 톱니모양 또는 사인곡선 구성은 특히 제조와 관련하여 간단하고, 그러므로 바람직하다.
- HTS 재료(산화 고온 초전도체 재료) 또는 LTS 재료(금속 저온 초전도체 재료)는 밴드 모양 초전도체의 초전도성 재료로서 제공된다. 산화 고온 초전도체 재료의 사용을 통하여, 액체 질소는 바람직하게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금속 저온 초전도체 재료는 높은 기계적 로드 유지 능력을 가지며 결과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높은 기계적 세기는 추가로 결함에 대해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의 낮은 민감성을 유도한다.
- 밴드 모양 초전도체는 자체적으로 금속 기파 밴드에 인가되는 버퍼 층 또는 중간층에 인가된 Ab2Cu3Ox 타입의 산화 초전도체 재료 층에 의해 형성되어야 하고, 여기서 A는 이트륨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희토류 금속이고 B는 적어도 하나의 알칼리 토류 금속이다. 초전도성 전류 제한 장치에서 이트륨-바륨-구리 산화물을 바탕으로 하는 제 2 세대 초전도성 밴드 전도체의 사용은 추가로 상업적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제 2 세대 밴드형 초전도체 처리 측면, 및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의 스위칭 처리 측면 모두에 바람직하다.
- 코일에서, 밴드형 초전도체는 기판측 외부에 편리하게 배열된다. 금속 기판 밴드상에 인가되는 초전도성 층은 통상적으로 신장성 스트레스들보다 압축 스트레스들에 대해 높은 기계적 로드 유지 능력을 가진다. 외부 기판측에, 즉 내부 코팅된 측에 초전도성 밴드 전도체를 감음으로써, 초전도성 층은 우선적으로 압축 스트레스들에 노출된다. 이런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초전도성 특성들을 파괴하는 초전도성층 내부 크랙킹(cracking)을 감소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이것은 전류 제한기 장치의 개선된 신뢰성을 유도한다.
- 밴드형 초전도체 및 홀딩 엘리먼트는 냉각 경로들을 비어있게 유지하면서 합성 수지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본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홀딩 엘리먼트상 밴드 전도체의 보다 우수한 조립은 초전도성 밴드 전도체를 홀딩 엘리먼트에 접착하여 본딩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런 방식으로, 전체 코일의 인덕턴스, 또는 코일의 이웃 턴들 사이에 작용하는 로렌쯔 힘들을 최소화하는 것은 가능하다.
- 홀딩 엘리먼트는 초전도성 턴들 사이의 상호 간격이 적어도 1mm이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이런 최소 간격을 따를 때, 스위칭 처리의 경우 냉각제 끓음은 코일의 지지 구조상 필수적으로 크지 않은 기계적 로드를 가하지 않고 코일의 개별 턴들 사이에서 회피할 수 있다. 게다가, 이런 최소 간격에 대한 부합은 초전도성 밴드 전도체에 충분한 냉각제 공급을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들의 다른 바람직한 구성들은 상기를 참조하지 않는 종속항들 및 특히 도면에서 발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하게 도시된 실시예들로 제한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추가로 설명된다.
도 1은 빗각 도면으로 그 내부에 설치된 초전도성 밴드 전도체 및 홀딩 엘리먼트를 도시하고, 홀딩 엘리먼트는 사다리꼴로 구성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사다리꼴 모양 홀딩 엘리먼트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사다리꼴 모양 홀딩 엘리먼트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사인파형 홀딩 엘리먼트의 길이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도 5는 물결모양 밴드가 톱니 모양으로 구성된 홀딩 엘리먼트의 길이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도 6은 전류 제한기 장치의 이중 감김 디스크 코일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면들에서, 서로 대응하는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가 제공된다.
도 1은 물결 모양이 아닌 편평한 밴드(11) 및 사다리꼴로 구성된 물결모양 밴드(12)로 구성된 전체적으로 2로 표시된 홀딩 엘리먼트를 도시한다. 사다리꼴로 구성된, 즉 물결모양 밴드(12)는 편평한 밴드(11)에 밀접한 영역들(13) 및 편평한 밴드(11)로부터 떨어진 영역들(15)을 가진다. 편평한 밴드에 인접하거나 떨어진 영역들(각각, 13 및 15)은 접속부 또는 전이부들(14)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각각 편평한 밴드(11)에 인접하고 상기 편평한 밴드로부터 떨어져 놓이는 도 1에 표현된 홀딩 엘리먼트(2)의 물결모양 밴드(12) 영역들(13 및 15)은 각각 트래피지아(trapezia)의 13 및 15로 표시된 표면뿐 아니라 접속 엘리먼트들(14)의 이들 표면들에 인접한 대응 부분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편평한 밴드(11)로부터 떨어져 놓이는 물결모양 밴드(12) 부분들(15)은 물결모양 밴드(12)의 길이방향으로 리세스들(16)을 가진다. 이들 리세스들은 초전도성 밴드 전도체(17)가 적어도 대략적으로 단단한 조립으로 놓이게 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표현되고 전체적으로 2로 표시된 홀딩 엘리먼트를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 코일에 사용하는 것과 관련하여, 도 1에서 B로 표시된 방향은 코일의 축 방향이고 A로 표시된 방향은 코일의 접선 방향이다. 전류 제한기 장치는 하나의 코일, 또는 축방향(B)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된 몇몇 코일들로 구성된다. 상기 전류 제한기 장치의 개별 코일들은 한번 감겨지거나 바람직하게 두번 감겨진 코일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
2로 표시된 홀딩 엘리먼트는 다양한 적당한 재료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편평한 밴드(11) 및 물결모양 밴드(12)는 동일한 재료이거나 다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양쪽 구성요소들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기계적 안정화 이유들로 인해, 초전도성 밴드 전도체(17)는 물결모양 밴드(12)에 기계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접촉 표면들 영역에서 물결모양 밴드(12)에 밴드 전도체(17)의 접착 본딩은 바람직하거나, 납땜 또는 용접 스폿들 또는 비드들에 의한 접속은 바람직하다. 두 개의 다른 재료들이 사용되는 홀딩 엘리먼트(2)의 구성에서, 편평한 밴드(11)는 A로 표시된 방향 및 B로 표시된 방향으로 발생하는 기계적 로드들을 흡수할 수 있다. 선택된 밴드(12)는 또한 전기 절연체로서 작동한다.
홀딩 엘리먼트(2)의 구성은 추가로 초전도성 밴드 전도체(17)보다 코일(도 1의 B로 표시됨)의 축방향으로 보다 큰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것은 방향(B)으로 초전도성 밴드 전도체(17)와 동일한 폭을 가진 홀딩 엘리먼트(2)와 비교하여 하나의 코일 턴에서 다음 코일 턴으로 전기 스파크오버에 대한 경로를 가능한 크게 늘린다. 이것은 코일 턴들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전기 스파크오버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방향(B)으로 리세스들(16)의 정확한 위치결정은 이런 방향으로 밴드 전도체(17)의 정확한 위치결정을 보장한다. 밴드 전도체(17)의 상기 위치결정은 차례로 코일의 인덕턴스를 최소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만약 코일이 이중 감김 코일로서 구성되면, 상기 정확한 위치결정은 이중 권선의 두 부분들 사이의 자기 인덕턴스들의 개선된 상쇄를 허용한다. 이웃하는 턴들 사이의 로렌쯔 힘들은 방향(B)으로 정확한 위치결정능력의 결과로서 최소화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홀딩 엘리먼트(2)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런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물결모양 밴드(12)에 의해 홀딩된 밴드 모양 초전도체(17)는 편평한 밴드(11)로부터 필수적으로 일정한 거리(22)에 놓인다. 물결모양 밴드(12)는 접속 엘리먼트들(21)을 통하여 편평한 밴드(11)에 접속된다. 접속 엘리먼트들(21)은 바람직하게 바들, 용접 스폿들, 접착 스폿들 또는 등등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홀딩 엘리먼트(2)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리세스(16)를 가진 편평한 밴드(11) 및 물결모양 밴드(12) 모두는 표현된다. 편평한 밴드(11) 및 물결모양 밴드(12)는 접속 엘리먼트들(21)을 통하여 서로 접속된다. 접속 엘리먼트들(21)의 실시예는 제 1 밴드(11) 및 물결모양 밴드(12)의 포인트 접속으로 한정되지 않고; 엘리먼트들(11 및 12) 사이의 부분적으로 이차원 접속은 바람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길이방향 단면으로 표현된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의 홀딩 엘리먼트(41)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런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 라, 물결모양 밴드(42)는 사인파형으로 구성되고 초전도성 밴드 전도체(17)를 수용하기 위한, 편평한 밴드(11)로부터 떨어져 놓이는 서브영역들(43)에 리세스들을 가진다.
도 5에 표현된 홀딩 엘리먼트(51)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물결모양 밴드(52)는 톱니 모양, 특히 주기적 삼각형 구조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이런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물결모양 밴드(52)는 초전도성 밴드 전도체(17)를 수용하기 위한, 편평한 밴드(11)로부터 멀리 떨어져 놓이는 영역들(53)에 리세스들을 가진다.
상기에 명확하게 표현되지 않고 예를들어 표현된 모양들의 결합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물결모양 밴드(12,42,52)의 다른 기하학적 구성 모양들은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코일(61)의 이중 감김 구조를 도시한다. 이중 감김 초전도성 밴드 전도체(17)는 표현되고, 턴들 사이에 배열된 홀딩 엘리먼트(2)는 표현된다. 이런 홀딩 엘리먼트(2)는 상기된 도면들 중 하나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초전도성 밴드 전도체(17)는 산화 고온 초전도체 층들이 신장하는 것보다 압축으로 보다 강하게 로딩될 수 있기 때문에, 코일 내부쪽으로 초전도성 층에 감겨질 수 있다.
초전도성 밴드 전도체(17)는 추가로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소위 버퍼 층은 처음에 금속 기판 밴드상에 제공될 수 있고, 실제 초전도성 산화물 고온 초전도체(예를들어 YBCO)는 버퍼 층 상에 인가된다. 상기 밴드 전도체의 구조는 예를들어 DE 10 2004 048 646 A1에서 제안된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들에 적당하다. 코일 턴들의 전체 기계적 구조는 기계적으로 상당히 안정하다, 즉 어셈블리 동안 조절할 수 있게 냉각제가 끓을 때 발생하는 힘들을 쉽게 흡수한다. 홀딩 엘리먼트(62)의 크기에 따른 전도체 턴들(17)의 간격(63)은 냉각제가 끓을 때(예를들어, 도 6) 발생하는 힘에 영향을 받는다. 도 2에 표현된 홀딩 엘리먼트(2)를 참조하여, 이런 간격은 특히 편평한 밴드(11)로부터 초전도성 밴드 전도체(17)의 거리(22)뿐 아니라, 홀딩 엘리먼트의 전체 높이(23)에 의해 결정된다.

Claims (10)

  1. 전도성 트랙이 적어도 하나의 밴드형 초전도체(17)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가지며, 홀딩 엘리먼트(2,41,51,62)가 이웃하는 코일 턴들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홀딩 엘리먼트가 코일의 축방향으로 초전도체(17)보다 넓게 설계되고 편평한 밴드(11) 및 물결모양 밴드(12,42,52)로 구성된, 저항성 타입의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로서,
    a. 상기 편평한 밴드(11)는 필수적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밴드 모양 초전도체(17)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b. 상기 물결모양 밴드(12,42,52)는 편평한 밴드(11)에 필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상기 물결모양 밴드(12,42,52)는 길이방향으로 주기적으로 편평한 밴드에 밀접한 영역들(13) 및 편평한 밴드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들(15,43,53)을 가지며,
    b1. 상기 물결모양 밴드(12,42,52)의 영역들(13)은 편평한 밴드(11)에 기계적 접속(21)을 가진 편평한 밴드에 밀접하게 놓이고,
    b2. 상기 물결모양 밴드의 영역들(15,43,53)은 리세스들(16)을 가지며 편평한 밴드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편평한 밴드(11)로부터 떨어져 밴드모양 초전도체(17)의 적어도 대략적으로 단단한 조립 수용부를 허용하는,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전도체(17)의 이중 권선은 코일(61)을 위해 제공되는,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기 절연체는 편평한 밴드(11) 및/또는 물결모양 밴드(12,42,52)에 대한 재료로서 제공되는,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절연체는 플라스틱인,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결모양 밴드(12,42,52)는 필수적으로 사다리꼴, 톱니모양 또는 사인파형으로 설계되는,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HTS 재료 또는 LTS 재료는 밴드 모양 초전도체(17)의 초전도성 재료로서 제공되는,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모양 초전도체(17)는 금속 기판 밴드에 자체적 으로 제공된 버퍼 또는 중간층상에 제공된 Ab2Cu3Ox 타입의 산화 초전도체 재료 층에 의해 형성되고, A는 이트륨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희토류 금속이고 B는 적어도 하나의 알칼리 토류 금속인,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모양 초전도체(17)는 코일(61) 외측 기판 측면에 대해 배열되는,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모양 초전도체(17) 및 홀딩 엘리먼트(2,41,51,62)는 냉각제 경로들이 비어있도록 하면서 합성 수지에 의해 서로 접착하여 본딩되는,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엘리먼트(2,41,51,62)는 초전도성 턴들 사이의 상호 간격(63)이 적어도 1mm이도록 구성되는,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장치.
KR1020097003095A 2006-07-17 2007-06-21 홀딩 엘리먼트를 가진 저항성 타입의 초전도성 전류 제한 장치 KR1013723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32973A DE102006032973B3 (de) 2006-07-17 2006-07-17 Supraleitende Strombegrenzereinrichtung von resistiven Typ mit Halteelement
DE102006032973.2 2006-07-17
PCT/EP2007/056217 WO2008009537A1 (de) 2006-07-17 2007-06-21 Supraleitende strombegrenzereinrichtung vom resistiven typ mit halte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979A true KR20090034979A (ko) 2009-04-08
KR101372396B1 KR101372396B1 (ko) 2014-03-07

Family

ID=38521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3095A KR101372396B1 (ko) 2006-07-17 2007-06-21 홀딩 엘리먼트를 가진 저항성 타입의 초전도성 전류 제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12134B2 (ko)
EP (1) EP2041808B1 (ko)
KR (1) KR101372396B1 (ko)
AT (1) ATE463049T1 (ko)
DE (2) DE102006032973B3 (ko)
WO (1) WO20080095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93449B1 (en) * 2012-07-31 2017-11-15 Nexans Electric conductor element
US10614941B2 (en) * 2014-09-19 2020-04-07 Hitachi, Ltd. Persistent current switch and superconducting coil
DE102016206573A1 (de) 2016-04-19 2017-10-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 Spulenwicklung
DE102016213753A1 (de) 2016-07-27 2018-02-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Gewickelte Leiteranordnung mit Abstandselement
CN108597722B (zh) * 2018-03-07 2019-06-07 北京交通大学 一种高温超导无感线圈匝间隔层
RU2723142C1 (ru) * 2019-12-25 2020-06-0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центр "Курчатовский институт" Способ пайки втсп лент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CN112688287A (zh) * 2021-01-19 2021-04-20 中天集团上海超导技术有限公司 一种渐开式超导故障限流器限流单元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3005A (ja) * 1990-03-02 1991-11-12 Hitachi Ltd 超電導コイルとその製法、複合超電導導体とその製法、並びに超電導装置
DE4107686A1 (de) 1991-03-09 1992-09-10 Abb Pat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upraleitenden strombegrenzers sowie ein entsprechend hergestellter strombegrenzer
DE4234312A1 (de) * 1992-10-12 1994-04-14 Abb Research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resistiven Strombegrenzers oder Schaltelementes auf der Basis eines Supraleiters
JP4359387B2 (ja) * 1997-12-19 2009-11-04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高い臨界温度を持つ超伝導材料を備えた超伝導体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の超伝導体を備えた電流制限装置
DE10230618A1 (de) * 2002-07-03 2004-01-29 Siemens Ag Bifilare Bandleiterstruktur eines Hochtemperatursupraleiters zur Strombegrenzung
DE102004048646B4 (de) * 2004-10-04 2006-08-10 Siemens Ag Supraleitende Strombegrenzereinrichtung vom resistiven Typ mit bandförmiger Hoch-Tc-Supraleiterbahn
DE502006004122D1 (de) * 2006-03-02 2009-08-13 Theva Duennschichttechnik Gmbh Resistiver Strombegren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41808B1 (de) 2010-03-31
DE102006032973B3 (de) 2008-02-14
EP2041808A1 (de) 2009-04-01
US8112134B2 (en) 2012-02-07
DE502007003329D1 (de) 2010-05-12
KR101372396B1 (ko) 2014-03-07
US20090264294A1 (en) 2009-10-22
ATE463049T1 (de) 2010-04-15
WO2008009537A1 (de) 200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396B1 (ko) 홀딩 엘리먼트를 가진 저항성 타입의 초전도성 전류 제한 장치
KR101377615B1 (ko) Hts 스트립 전도체들로 만들어진 바이필라 권선 및 권선스페이서를 가진 저항성 초전도성 전류 제한기
KR101548404B1 (ko) 초전도 도체 밴드로 구성된 2개 이상의 복합 도체를 구비한 저항성 스위칭 소자용 도체 배치 구조
KR101213775B1 (ko) 초전도체 케이블
EP0139189B2 (en) A persistent current switch for high energy superconductive solenoids
JP2007158292A (ja) 抵抗型超電導限流器
KR102098005B1 (ko) 코일 권선들 및 접촉부들을 포함하는 초전도 코일 장치
KR101665038B1 (ko) 도전성 물질로 함침된 무절연 초전도 코일 및 그의 제조장치
US7589941B2 (en) Fault current limiter having superconducting bypass reactor for simultaneous quenching
JPH0523485B2 (ko)
US8233952B2 (en) Superconducting magnet
US6344956B1 (en) Oxide bulk superconducting current limiting element current
US4956608A (en) Apparatus for propagating a quench in a superconducting magnet
KR101326745B1 (ko) 퀀칭 제어식 고온 초전도체
US20110034337A1 (en) Superconductive current limiter with magnetic field triggering
JP4638983B2 (ja) 超伝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90131043A1 (en) Electric Coil Winding
US3391362A (en) Superconducting magnet coil
US20210375508A1 (en) Electrical spool device having increased electrical stability
KR20200050818A (ko) 온도 스위치 기능을 갖는 세라믹 필름 및 이를 이용하는 초전도 코일
KR20120092077A (ko) 코팅 도전체를 가진 복합체
JPH10247532A (ja) 超電導装置用電流リード
US9065267B2 (en) Superconductive device with bridge contacts
JPH0567516A (ja) 超電導コイルの製造方法
WO2001001423A1 (en) Method for protection of a current-carrying cable against overheating and ca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