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4650A - 콘텐츠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센터, 방법 및그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콘텐츠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센터, 방법 및그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4650A
KR20090034650A KR1020070100011A KR20070100011A KR20090034650A KR 20090034650 A KR20090034650 A KR 20090034650A KR 1020070100011 A KR1020070100011 A KR 1020070100011A KR 20070100011 A KR20070100011 A KR 20070100011A KR 20090034650 A KR20090034650 A KR 20090034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message
transmission
transmission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필
한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70100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4650A/ko
Publication of KR20090034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650A/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콘텐츠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센터, 방법 및 그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송신 단말기로부터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전송요청을 수신한 경우 콘텐츠에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 또는 전송횟수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 및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 또는 전송횟수 정보가 부가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실된 콘텐츠가 포함된 메시지가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경우 전송된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어 원 전송자에게 할인혜택을 부여할 수 있다.
메시지 센터, 콘텐츠, 콘텐츠 식별정보,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 전송횟수 정보

Description

콘텐츠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센터, 방법 및 그 기록매체{Message cent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comprising contents and record media recoded program realiz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텐츠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센터, 방법 및 그 기록매체 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콘텐츠 식별정보로 식별되는 콘텐츠가 포함된 메시지의 전송 시 콘텐츠에 전송요청 단말의 전송정보를 순차적으로 부가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센터, 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이 급속도로 개선되면서 각종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재생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에는 음악, 영상, 이미지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이러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주로 콘텐츠를 전문적으로 제작하여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전송 받는다.
이러한 콘텐츠가 콘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되는 경우 해당 콘텐츠에는 콘텐츠 식별정보가 부가되었다. 콘텐츠 식별정보는 콘텐츠 제공장치 에서 콘텐츠에 미리 부가되거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센터를 경유하는 경우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센터에서 부가되었다.
콘텐츠 식별정보는 콘텐츠 제공장치 및 콘텐츠의 종류를 구분하여 정보이용료의 청구를 위한 정보 생성을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콘텐츠를 전송 받은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를 이동통신단말기 내부에서만 재생하는 것이 아니라 콘텐츠를 메시지에 삽입하여 다른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다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도 해당 콘텐츠가 재생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이동통신단말기 간에 메시지 서비스를 통하여 패킷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메시지에 콘텐츠가 삽입되어 전송되면, 순차적으로 여러 이동통신단말기에 콘텐츠가 전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전송되는 시점마다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 또는 전송횟수 정보를 부가하고 부가된 정보를 이용하여 과금정보를 생성하는 메시지 센터, 방법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가된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 또는 전송횟수 정보를 이용하여 할인되거나 차감된 과금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콘텐츠가 포함된 메시지의 전송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메시지 센터, 방법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가된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 또는 전송횟수 정보를 콘텐츠 제공장치에게 전송함으로써 콘텐츠 제공자가 전송정보를 이용하여 타겟광고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 센터, 방법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가된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콘텐트 제공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콘텐츠 제공자가 콘텐츠 제작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 센터, 방법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메시지 전송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센터에서 콘텐츠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전송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콘텐츠에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 또는 전송횟수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a); 및 상기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 또는 전송횟수 정보가 부가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b)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메시지 센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센터에 있어서, 송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전송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콘텐츠에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 또는 전송횟수 정보를 부가하는 전송정보 부가부; 및 상기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 또는 전송횟수 정보가 부가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센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에 부가된 식별정보에 해당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전송되는 시점마다 전송정보를 부가하고 부가된 전송정보를 이용하여 과금 정보가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최초로 콘텐츠를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한 단말기에 할인 또는 차감된 과금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 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과금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망은 메시지 센터(100)(이하 MMSC(Multimedia Message Service Center)라고 칭함), 과금장치(105), CP(110)(Content Provider), ME 1 내지 3(120, 130, 140)(Mobile Equuipment)로 구성되어 있다.
MMSC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 하기 위한 서버(Server)의 통칭이며, 물리적인 하나의 서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일련의 서버들의 조합으로 정의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이동통신망에 교환기, 기지국, 홈 위치 등록기, 방문자 위치 등록기 등이 더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나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았다.
이 중 교환기는 이동통신망에서 중추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망 구성장치로서 유선통신기능, 무선통신기능 및 이동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유무선 디지털 교환기이며 이동통신단말기간의 착, 발신 호 처리 기능,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등록 절차, 핸드오프 절차 처리 및 타망과의 연동기능 등을 수행한다.
기지국은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및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이동통신단말기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이동통신망 종단장치이다.
홈 위치 등록기는 이동통신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발신시, 위치 등록시, 이동통신단말기로 착신시 등 거의 모든 가입자 정보를 교환기에 제공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는 이동통신서비스 가입자의 미리 가입되어 있는 홈 기지국 단위 지역을 벗어나 이동함에 따라 수시로 생성, 소멸되는 레지스터로서 가입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록하고 있다.
MMSC(100)는 송신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 이동통신단말기가 MMSC(100)에 접속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하는 캐싱(Caching)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선불과금(Pre-Paid), 응답과금(Reply Charging), 메시지 차단 및 VMS(Voice Mail Sever),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 외부 이메일 서버와의 연동을 통한 통합메시징 기능 등을 수행한다. 도 1에서는 MMSC(100)로 도시하였으나 본 명세서에서 메시지 센터는 MMSC(1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SMSC(미도시)(Short Messsage Service Center)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서버의 통칭이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MMSC(100)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과금장치(105)는 MMSC(100)와 연동하여 MMSC(100)가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의 전송요청에 따라 메시지의 전송을 수행한 바에 상응하는 과금정보를 생성한다. 즉, 미리 설정된 단위(예를 들면 일(日) 단위)로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정보이용료에 따른 과금정보를 생성한다.
과금장치(105)가 생성한 과금정보는 별도의 과금서버(미도시)로 전송되어 분류된 후 월 단위의 청구서 등을 생성하여 해당 이메일 수신장치(미도시) 등으로 전송하게 된다.
ME(120,130,140)는 이동통신단말기로써 상술한 이동통신망 구성장치로부터 통화 호 또는 데이터 호를 설정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이동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에 해당한다.
CP(110)는 콘텐츠 제공장치로서 음성, 영상, 이미지, 텍스트 등의 콘텐츠를 저장하고 이를 요청하는 ME 1(120)로 MMSC(100)를 통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CP(110)으로부터 ME 1(120)으로 콘텐츠ⓐ가 전송된다.
먼저, 콘텐츠ⓐ가 MMSC(100)을 경유하여 전송되는 경우 CP(110)는 CP(110)에 저장된 콘텐츠ⓐ를 MMSC(100)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콘텐츠ⓐ는 ME1이 CP(110)에 요청한 이미지 파일일 수 있으며 콘텐츠ⓐ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형식으로 ME 1 (120)에 전송된다.
이 때 MMSC(100)를 통하여 콘텐츠ⓐ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메시지 형식으로 전송되는 경우 이외에도 콘텐츠ⓐ는 ME 1(120)가 이동통신망의 망연동장치(IWF : Inter Working Function)를 통하여 인터넷 망 및 PDSN(Packet Data Service Node)로 접속하여 CP(110)로부터 콘텐츠ⓐ를 직접 전송 받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
즉, ME 1(120)에는 CP(110)로부터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브라우저 또는 별도의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콘텐츠 전송용 프로토콜에 의하여 CP(110)로부터 콘텐츠ⓐ를 직접 전송 받을 수 있다.
이 때 CP(100)로부터 최초로 전송 받은 ME 1(120)이 콘텐츠ⓐ를 ME 2(130)로, ME 2(130)에서는 ME 3(140)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통하여 전파하는 경 우 최초 발신 단말기인 ME 1(120)에 과금될 콘텐츠 정보이용료의 할인 또는 사이버 머니의 생성 등의 혜택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즉, ME 1(120)이 CP(100)으로부터 콘텐츠ⓐ를 전송 받아 이를 메시지 서비스를 통하여 최초로 발신함으로써 콘텐츠ⓐ가 전파되는 것이므로 최초 발신 단말기인 ME 1(120)에 상응하는 과금정보를 생성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MMSC(100)는 전송하는 메시지에 콘텐츠ⓐ의 추가정보 중의 하나로 정의되는 콘텐츠 헤더를 포함시킨다. 본 콘텐츠 헤더에는 CP(110) 및 콘텐츠ⓐ의 종류를 구분하여 정보이용료의 청구를 위한 콘텐츠 식별정보(예를 들면, MM1234)등이 포함된다.
콘텐츠 식별정보는 MMSC(100)에서 콘텐츠 헤더에 포함시킬 수도 있으며 콘텐츠를 최초로 ME 1에 제공한 CP(110)에서 미리 콘텐츠ⓐ에 부가할 수 있다. 콘텐츠 식별정보가 CP(110)에서 부가된 경우에는 MMSC(100)에서 콘텐츠 식별정보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MMSC(100)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규격에 부합하도록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CP(110)로부터 MMSC(100)를 통하여 또는 모바일 브라우저 나 기타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콘텐츠ⓐ를 전송 받은 최초 발신 단말기인 ME 1(120)에서는 콘텐츠ⓐ가 재생되고 ME 1(120)의 사용자는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이 경우 ME 1(120)의 사용자는 콘텐츠ⓐ를 지인들에게 전파시키고 싶을 수 있는데 이 경우 ME 1(120)에서는 콘텐츠ⓐ가 포함된 메시지(120a)를 작성하여 MMSC(100)로 전송요청을 하게 된다. 메시지 전송요청은 작성된 메지시(120a)의 업로드 및 업로드된 메시지(120a)를 전송할 ME 2(130) 전화번호 등을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메시지(120a)의 전송요청을 받은 MMSC(100)는 SMSC와 연동하여 ME 2(130)로 메시지(120a)가 MMSC(100)로 업로드 되었음을 알리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고, 단문 메시지를 전송 받은 ME 2(130)에서는 MMSC(100)로 접속하여 업로드 된 메시지(120a)를 다운로드 받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MSC(100)에서는 콘텐츠ⓐ의 정보가 정의된 콘텐츠 헤더에 ME 1(120)에 대한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를 부가한 후 ME 2(130)로 메시지(120a)를 전송한다.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는 예를 들어 ME 1(120)의 전화번호일 수 있다. 즉,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는 콘텐츠가 각각의 메시지에 포함되어 순차적으로 ME간에 전송되는 경우 ME 각각의 전화번호로써 어떠한 경로로 해당 콘텐츠가 전송되어 왔는지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가 부가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120a)의 구조에 대하여는 도 2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 후 메시지를 전송 받은 ME 2(130)에서는 메시지(120a)에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가 재생되어 ME 2(130)의 사용자도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그러나 ME 2(130)의 사용자 역시 콘텐츠ⓐ를 지인에게 전파시키고 싶을 수 있으므로 이 경우 ME 2(130)는 콘텐츠ⓐ가 포함된 메시지(120b)를 작성하여 MMSC(100)로 전송요청 할 수 있다.
다만, ME 1(120)에서 작성한 메시지(120a)와 ME 2(130)에서 작성한 메시지(120b)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콘텐츠ⓐ가 포함되었다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나머지 텍스트 또는 다른 콘텐츠의 내용 등은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콘텐츠ⓐ는 ME 1(120)으로부터 최초로 전송된 것이므로 메시지(120b)에 포함된 콘텐츠ⓐ는 동일한 콘텐츠이며 이는 콘텐츠ⓐ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 식별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MMSC(100)는 ME 1(120)로부터 수신한 전송요청에 따라 메시지(120a)의 전송을 수행한 것과 마찬가지로 ME 3(140)로 메시지(120b)를 전송하게 되나, ME 3(140)로 전송되는 메시지(120b)에 포함되는 콘텐츠ⓐ 헤더에는 ME 2(130)에 대한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예를 들면, ME 2(130)의 전화번호)가 더 부가된다.
따라서 ME 3(140)에서도 콘텐츠ⓐ가 재생될 수 있다. 또한, ME 3(140)도 이를 전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MMSC(100)에 메시지 전송요청을 보내게 되고, MMSC(100)는 콘텐츠ⓐ 헤더에 ME 3(140)에 대한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예를 들면, ME 3(140)의 전화번호)를 더 부가하게 된다.
이러한 콘텐츠ⓐ의 전파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 의하여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MMSC(100)는 콘텐츠ⓐ가 포함된 메시지 전송요청 수신시 마다 전송 요청한 ME의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를 부가한다.
이 경우 MMSC(100)는 메시지 전송 요청한 ME에 상응하는 CDR(Call Data Recod)를 과금장치로 전송한다. 과금장치는 CDR을 이용하여 각각의 ME 별로 메시지 전송에 따른 과금정보를 생성한다. 이 경우 ME 1(120)은 CP로부터 콘텐츠ⓐ를 전송 받음에 상응하는 과금정보가 부과되는데 ME 1(120)에서 시작된 콘텐츠ⓐ의 전파에 대한 반대급부는 전혀 반영되지 않는 것이 종래의 기술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MSC(100)는 콘텐츠ⓐ 헤더에 부가된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값(예를 들면, 5)이상인 경우 이를 과금장치(110)에 알림으로써 과금장치(110)가 종래에 ME 1(120)에 부과될 과금정보에서 미리 설정된 할인율 또는 차감율이 적용된 과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E 1(120)이 CP(110)로부터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음으로써 부과되는 정보 이용료가 300원인 경우에 부가된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의 개수가 5를 넘게 되면, 100원이 차감된 200원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300원의 과금정보가 미리 생성되어 이미 ME 1(120)으로 청구된 경우 100원의 사이버 머니를 생성하여 ME 1(120)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메시지 전송방법을 이용하면, ME 1(120)으로 하여금 콘텐츠ⓐ를 전파하도록 하는 유인요인이 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의 이용을 활성화 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MMSC(100)는 CP(110)로 부가된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예를 들어 ME 1, ME 2, ME 3의 전화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CP(110)는 ME 1(120)으로 전송된 콘텐츠ⓐ가 어떤 종류의 콘텐츠인지 파악이 가능하기 때문에 콘텐츠ⓐ를 전송 받은 ME 1(120) 및 콘텐츠ⓐ가 메시지 서비스를 통하여 전파된 ME 2(130) 및 ME 3(140)에 콘텐츠ⓐ 와 유사한 종류의 콘텐츠ⓑ를 홍보하는 타겟광고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MMSC(100)은 홈 위치 등록기에 ME 1, ME 2, ME 3의 사용자 정보를 질의할 수 있다. 즉, 홈 위치 등록기는 이동통신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기 때문에 ME 1, ME 2, ME 3의 사용자의 나이, 성별 또는 가입한 부가서비스의 종류 등을 저장한다.
따라서, MMSC(100)는 이를 질의하여 획득한 후 이를 분류 또는 통계 낼 수 있다. 즉, ME 1, ME 2, ME 3의 사용자 정보를 나이별, 성별 등으로 분류하거나 통계 낼 수 있고, 분류되나 통계된 정보는 CP(11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CP(110)가 향후 제작할 콘텐츠의 제작 방향이나 계획을 수립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센터가 전송하는 메시지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ME 1(120)에서 MMSC(100)를 통하여 전송되는 메시지(120a)는 HTTP 헤더(200), 서비스 파라미터(205)(Service Parameter), HTML 영역(210), 콘텐츠ⓐ 헤더(215 및 220), 콘텐츠ⓐ(230), 콘텐츠ⓑ 헤더(235 및 240), 콘텐츠ⓑ(245)의 영역으로 구성되어있다.
HTTP 헤더(200)에는 메시지 전송 타임, 송신 이동통신단말기 번호, 콜백(Callback)번호, 타이틀, 콘텐츠 타입, 메시지의 길이 등의 정보가 정의된다.
서비스 파라미터(205)는 메시지(120a) 전송에 있어서 부가적으로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메시지(120a)의 전송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메시지를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하여 저장하고자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필요한 메시지 클래스, 메시지의 순위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우선순위, 각종 과금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HTML 영역(210)은 메시지의 구조를 정의하는 부분으로 일반적인 웹 브라우저가 인식하는 HTML 문서와 마찬가지로 단말기 브라우저가 메시지의 구조를 분석하여 구성할 수 있도록 각 태그를 이용하여 표현된다. HTML 영역(210)이 나타내는 구조 안에서 표현될 이미지, 음성, 영상 등의 콘텐츠는 콘텐츠 각각을 식별하는 별도의 ID를 통하여 지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마크업 언어가 HTML인 것으로 설명하나 마크업 언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가 전송하는 메시지가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형식의 메시지인 경우에는 XML(eXtensible Markup Langauge)로 대체할 수 있다. SMIL은 오디오, 비디오, 텍스트, 그래픽스 등을 조합하여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을 작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간단한 몇 개의 TAG와 속성들로 이루어진 XML 기반의 다중매체를 위한 종합언어로서 각 미디어들이 스크린 상에 프리젠테이션 할 위치와 프리젠테이션 할 시간을 동기화 하는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언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SMIL 형식의 메시지인 경우에도 도 1의 메시지의 구성을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콘텐츠ⓐ 헤더(215 및 220)에는 콘텐츠ⓐ의 타입, 콘텐츠ⓐ의 인코딩 방식 등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딩 방법은 각각의 콘텐츠 헤더에 정의되어 있 는데 콘텐츠 헤더에는 Content-Transfer-encoding: base 64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MMSC(100)는 콘텐츠ⓐ헤더(215 및 220)에 콘텐츠ⓐ가 CP(110)부터 ME 1으로 전송된 콘텐츠임을 나타내는 콘텐츠 식별 정보(215)를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콘텐츠 식별정보를 SVCCode인 것으로 정의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콘텐츠 식별정보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SVCCode: MM1234일 수 있다.
또한, MMSC(100)는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215)인 ME 1(120) 전화번호(0100000001)를 콘텐츠ⓐ에 부가한다. 즉, 콘텐츠ⓐ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어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것인지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215)로부터 파악될 수 있다.
콘텐츠 헤더는 ME 간에 전송되는 경우에도 콘텐츠와 함께 전송되며 임의로 변경이 불가한 부분이므로 콘텐츠의 일 영역에 해당하나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콘텐츠와 콘텐츠 헤더를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콘텐츠ⓐ(230)는 아스키 텍스트로 변환되어 메시지(120a)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콘텐츠ⓐ(230)는 이미지, 텍스트, 음성, 플래시 등의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콘텐츠ⓑ 헤더(235 및 240)와 콘텐츠ⓑ(245)영역에도 콘텐츠ⓐ(23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콘텐츠ⓑ(245)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된다. 다만 콘텐츠 ⓑ(245)가 다른 CP로부터 전송 받은 콘텐츠인 경우에는 콘텐츠ⓑ헤더(235)에 부가되는 콘텐츠 식별정보(240)는 MM5678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식별번호(215)와는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ME 1(120)에서 전송되는 메시지 내에 포함된 콘텐츠이므로 콘텐츠 ⓑ헤더에 포함되는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240)는 010000001로 동일하다.
ME 1(120)으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한 ME 2(130)는 콘텐츠ⓐ만 포함하는 메시지(120b)를 ME 3(14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수신한 메시지(120a)를 그대로 재전송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수신한 메시지를 편집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콘텐츠ⓑ는 삭제된 상태의 메시지(120b)를 ME 3(1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ME 2(130)으로부터 ME 3(140)으로 전송되는 메시지의 구조는 상술한 메시지(120a)의 구조와 동일하나 콘텐츠ⓐ헤더에 부가되는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220, 280)가 두 개로 늘어난다. 즉, ME 2(130)로부터 메시지 전송요청을 수신한 MMSC(100)에서 콘텐츠ⓐ헤더에 ME 2(130)의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인 0110000002(280)를 부가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MMSC(100)에서는 0100000001 에서 한 번, 0110000002에서 두 번 콘텐츠ⓐ(230)가 전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230)의 전파가 지속되어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값을 넘는 경우에는 콘텐츠ⓐ(230)로 인하여 메시지가 몇 회 전송되었는지 알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과금장치(105)로 전송되어 ME 1(120)가 CP(110)로부터 콘텐츠ⓐ(230)를 전송 받음에 따라 과금되는 비용을 할인하거나 차감해 주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MMSC(100)가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를 부가하여야 하는 콘텐츠ⓐ헤더의 길이는 무한대일 수는 없다. 예를 들어, 콘텐츠ⓐ헤더의 길이가 총 20 Byte로 제한되는 경우 11자리 전화번호의 저장에 약 30비트가 소요되어 약 5개의 번호만이 부가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MMSC(100)는 메시지의 전송요청을 수신하면서 업로드 된 메시지의 콘텐츠ⓐ헤더에 포함된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의 총 데이터 크기가 18Byte 이상인지 판단한다.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의 총 데이터 크기가 18Byte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의 전보 또는 일부를 삭제하고 삭제된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를 MMSC(100)에 포함되는 저장부에 저장한다.
따라서 MMSC(100)는 새로운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를 추가로 부가할 수 있으며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 및 콘텐츠ⓐ헤더에 포함된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과금장치(105)가 과금정보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ME 1(120)은 CP(110)로 콘텐츠ⓐ의 전송요청(Request)을 전송한다(S300).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츠ⓐ가 ME 1으로 전송되는 방법 중 하나는CP(110)는 요청 받은 콘텐츠ⓐ를 ME 1(120)으로 직접 전송하는 것이다(S505). ME 1(120)에는 단말기 브라우저 또는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콘텐츠ⓐ를 직접 전송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CP(110) 또는 CP(110)과 연동하는 별도의 장치에서 콘텐츠ⓐ에 미리 콘텐츠 식별자를 부가할 수도 있다.
콘텐츠ⓐ가 ME 1으로 전송되는 또 다른 방법은 MMSC(100)을 경유하는 것이다. 즉, 먼저 CP(110)는 콘텐츠ⓐ를 MMSC(100)로 전송한다(S306). 이 경우 콘텐츠ⓐ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형식으로 ME 1(120)에 전송될 수 있으므로 MMSC(100)가 도 2에서 설명한 구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ME 1(120)에게 전송한다. 다만 콘텐츠 헤더에 콘텐츠 식별정보가 부가된다(S315). CP(110)로부터 미리 콘텐츠 식별정보가 부가된 콘텐츠ⓐ를 전송 받아 ME 1(120)에게 전송하는 경우에는 단계 S315는 생략될 수 있다.
이 후 콘텐츠ⓐ 및 콘텐츠 식별정보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ME 1 (120)에 전송된다(S315).
ME 1(120)에서는 콘텐츠ⓐ가 포함된 메지시-1을 생성한다(S320). 메시지-1에는 콘텐츠ⓐ 및 ME 1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텍스트 또는 배경음악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ME 1(120)은 생성된 메시지-1을 MMSC(100)로 전송하면서 메시지-1를 ME 2(130)로 전송하도록 전송요청을 송신한다(S325). 이 경우 메시지-1의 업로드도 함께 이루어진다.
전송요청을 수신한 MMSC(100)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츠 식별정보 후단에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를 부가한다(S330). ME 2(120)가 MMSC(100)에 접속하 면 MMSC (100)는 메시지-1을 ME 2(130)에 전송한다.
ME 2(130)는 콘텐츠ⓐ가 포함된 메시지-2를 생성한다. 이 후 ME 2(130)가 메시지-2에 대한 전송요청을 송신하고 MMSC(100)가 ME 3(140)로 메시지-2를 전송하는 것은 앞선 단계 S325 및 단계 S335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다만, MMSC(100)는 단계 S330에서 부가된 ME 1(120)의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의 후단에 ME 2(130)의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를 부가한다(S350). 단계 S350에서 부가되는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는 ME 2(130)의 전화번호인 0100000002일 수 있다.
ME 3(140)도 콘텐츠ⓐ가 포함된 메시지-3을 생성하고 이 후 단계 S325 및 단계 S335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메시지-3이 ME 4(150)로 전송된다.
따라서 단계 S370에서 콘텐츠ⓐ헤더에는 SVCCode : MM1234;0100000001; 0100000002;0100000003 가 부가된다. 이 경우MMSC(100)은 콘텐츠ⓐ의 전송이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메시지로 전송된 것은 3회라는 것이 판단할 수 있으며 3회라는 정보 또는 0100000001;0100000002;0100000003이라는 정보가 과금장치로 전송된다(S378).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를 수신한 과금장치는 ME 1에게 본래 부과되는 정보 이용료에서 할인 또는 차감된 과금정보를 생성한다(S380).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달리 5회 이상인 경우에 비하여 적은 액수가 감액된 240원의 과금정보가 과금장치에서 생성될 수 있다. 즉, 과금장치는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만 할인이나 차감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개수에 반비례하는 과금정보를 생성할 수 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센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MMSC(100)는 콘텐츠 식별정보 부가부(500), 메시지 전송요청 수신부(510), 전송정보 판단부(520), 전송정보 삭제부(530), 전송정보 부가부(540), 메시지 전송부(560), 저장부(570)로 구성되어 있다.
저장부(57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수행되거나 제어부의 일 영역일 수 있다.
콘텐츠 식별정보 부가부(500)는 CP(110)로부터 전송 받은 콘텐츠에 콘텐츠 식별정보가 삽입된 콘텐츠 헤더를 부가한다. 콘텐츠 헤더가 부가된 콘텐츠에는 HTTP 헤더, 서비스 파라미터, HTML 의 각 영역이 부가되어 메시지 형식으로 ME 1에 전송된다.
ME 1(120)으로부터 메시지 서비스를 통하여 콘텐츠를 전송 받은 ME 2(130)는 메시지를 작성하여 MMSC(100)에 전송요청한다. 메시지 전송요청 수신부(510)는 ME 2(130)로부터 메시지 및 메시지 전송요청을 수신하여 전송정보 판단부(520)로 입력한다.
전송정보 판단부(520)는 메시지에 전송정보가 부가되어 있는지 여부 및 부가되어 있는 전송정보의 총 데이터 크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도 4에서 전송정보는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 또는 전송횟수 정보일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의 설명에서는 ME 2(130)의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인 0100000002가 부가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콘텐츠ⓐ가 메시지로 전송된 횟수 정보를 부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ME 1(120)에서 ME 2(130)로, ME 2(130)에서 ME 3(140)로, ME 3(140)에서 ME4(150)로 콘텐츠가 포함된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콘텐츠 헤더에는 SVCCode : MM11234;1;2;3 가 삽입될 수 있다. SVCCode : MM11234;1;2;3와 같은 전송정보는 저장부(570)에 저장될 수 있다. 즉, SVCCode : MM11234;1;2;3는 MM1234로 식별되는 콘텐츠가 포함된 메시지가 총 3회 전송이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송정보는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 또는 콘텐츠 횟수정보일 수 있다.
전송정보 삭제부(530)는 전송정보의 총 데이터 크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기(旣) 부가된 전송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삭제하여 콘텐츠 헤더에 여분의 데이터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전송정보 부가부는 콘텐츠 헤더에 ME 2(130)의 전송정보를 부가한다.
저장부(570)에 저장된 전송정보는 통신망을 통하여 과금장치(105)로 전송되고 과금장치(105)는 전송정보를 이용하여 ME 1(120)에 대하여 할인되거나 차감된 과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과금장치(105)는 ME 1(120)에 대하여 CP(110)로부터 콘텐츠를 전송 받은 서비스에 대하여 이미 과금정보가 생성된 경우 사이버 머니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MMSC(100)가 과금정보 생성부(580)를 포함하 는 경우에는 MMSC(100)에서 상술한 과금정보를 직접 생성하여 과금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전송정보가 삽입된 메시지는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으며 ME 3(140)가 MMSC (100)에 접속한 경우 저장부(570)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가 메시지 전송부를 통하여 ME 3(140)로 전송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센터에서 메시지 전송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콘텐츠ⓐ에 콘텐츠 식별정보를 부가한다(S600). 콘텐츠ⓐ에 콘텐츠 식별정보를 부가하는 것은 콘텐츠ⓐ에 콘텐츠 식별정보가 삽입된 콘텐츠ⓐ헤더가 부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후에는 임의의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콘텐츠ⓐ가 포함된 메시지 전송요청을 수신한다(S605). 콘텐츠ⓐ에는 콘텐츠 식별정보가 부가되어 있으므로 어떤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메시지 전송요청을 수신하더라도 콘텐츠ⓐ의 식별정보를 통하여 최초에 어느 이동통신단말기가 어느 콘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전송 받은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콘텐츠ⓐ임이 확인되면, 단계 S610으로 진행되어 MMSC는 전송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전송정보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 또는 전송횟수 정보일 수 있다. 전송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콘텐츠ⓐ를 CP로부터 최초로 전송 받은 ME로부터 수신 ME로 전송되는 것이므로 단계 S630으 로 진행하여 송신 ME의 전송정보를 부가한다(S630).
그러나 전송정보가 이미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른 ME로 이미 전파가 시작된 경우이므로 전송정보의 총 데이터 량이 미리 설정된 값(예를 들면 18Kbyte)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615에서 총 데이터 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기(旣) 부가되어 있는 전송정보를 삭제한다(S620). 이 경우 메시지에서 삭제되는 전송정보는 MMSC(100)에 포함되는 저장부에 저장된다(S625).
이 후 단계 S630으로 진행하여 콘텐츠ⓐ헤더에 전송정보를 부가한다(S630).
수신 ME가 MMSC(100)에 접속하면 MMSC(100)는 콘텐츠ⓐ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 ME로 전송한다(S635).
MMSC(100)는 삭제된 부가정보 또는 단계 S630에서 부가된 부가정보의 총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부가정보의 총 개수를 과금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640). 또는 모든 부가정보를 주기적으로 과금장치로 전송하여 과금장치에서 부가정보에 상응하도록 할인되거나 차감된 과금정보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S650).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가 전송하는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가 전송하는 메시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송신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송신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이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Claims (9)

  1. 메시지 센터에서 콘텐츠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전송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콘텐츠에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 또는 전송횟수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a); 및
    상기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 또는 전송횟수 정보가 부가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b)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는 상기 콘텐츠를 다른 콘텐츠와 식별시키는 콘텐츠 식별정보가 부가 되어 있고,
    상기 콘텐츠 식별정보는 콘텐츠 제공장치에서 부가하거나 상기 메시지 센터에서 부가한 콘텐츠 식별정보 인 것-여기서 콘텐츠 제공장치는 상기 콘텐츠를 상기 송신 단말기 또는 상기 송신 단말기와 구별되는 콘텐츠 요청 단말기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방법은
    상기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 또는 상기 전송횟수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 또는 과금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과금장치는 상기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 또는 상기 전송횟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요청단말기 또는 상기 송신단말기에 대한 과금정보 또는 사이버 머니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수행 전에
    상기 콘텐츠에 기(旣) 부가되어 있는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 또는 전송횟수 정보의 총 데이터 크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기(旣) 부가되어 있는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 또는 전송횟수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방법.
  5. 콘텐츠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센터에 있어서,
    송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전송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콘텐츠에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 또는 전송횟수 정보를 부가하는 전송정보 부가부; 및
    상기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 또는 전송횟수 정보가 부가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센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센터는
    콘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콘텐츠에 콘텐츠 식별정보를 삽입하는 콘텐츠 식별정보 부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센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센터는
    상기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 또는 전송횟수 정보를 과금장치로 전송하는 전송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과금장치는 상기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 또는 전송횟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최초로 제공받은 단말기에 대한 과금정보 또는 사이버 머니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센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센터는
    상기 콘텐츠 전송경로 또는 전송횟수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메시지 센터와 연동하는 홈 위치 등록기에 질의하여 획득한 상기 사용자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 또는 통계 내는 사용자 정보 분류 통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센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센터는
    상기 콘텐츠에 기(旣) 부가되어 있는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 또는 전송횟수 정보의 총 데이터 크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송정보 판단부; 및
    상기 판단결과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기(旣) 부가되어 있는 콘텐츠 전송경로 정보 또는 전송횟수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삭제하는 전송정보 삭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센터.
KR1020070100011A 2007-10-04 2007-10-04 콘텐츠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센터, 방법 및그 기록매체 KR20090034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011A KR20090034650A (ko) 2007-10-04 2007-10-04 콘텐츠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센터, 방법 및그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011A KR20090034650A (ko) 2007-10-04 2007-10-04 콘텐츠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센터, 방법 및그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650A true KR20090034650A (ko) 2009-04-08

Family

ID=40760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011A KR20090034650A (ko) 2007-10-04 2007-10-04 콘텐츠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센터, 방법 및그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46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921B1 (ko) * 2009-11-27 2011-04-1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광역 무선랜 환경에서 컨텐츠 푸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921B1 (ko) * 2009-11-27 2011-04-1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광역 무선랜 환경에서 컨텐츠 푸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7020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delivery of targeted advertisements
US8369878B2 (en) Personalized multimedia messaging system
US20070088852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presentation of advertisements on a wireless device
US200802671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linking to content and services for a communication device
US20100161722A1 (en) Ubiquitous notif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3a based push type event
US200900636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by utilizing presence ser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ntent status information by utilizing presence service
WO200907665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mitting video messages to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20120095859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ublishing user generated content onto telecom system
US20080233930A1 (en) Optimized messaging service-based media delivery
US20090228346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collecting message advertisement metrics data
WO2005013629A1 (en)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message
US7693528B2 (en) Method and system for message modification and content selection
KR20040052531A (ko) 모바일 영상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
KR20120004156A (ko) 메시지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20911A (ko)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34650A (ko) 콘텐츠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센터, 방법 및그 기록매체
WO2012131708A2 (en) Video messaging and mailing service
KR101192900B1 (ko) 상보 데이터 결정 방법, 상보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
KR100962393B1 (ko) 구분 과금을 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
JP2004318404A (ja) 記事配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サーバ/端末/システム
KR101041794B1 (ko) 상품권 메시지 전송 및 서비스 방법과 그 장치
KR101261229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100612684B1 (ko) Tv 방송 연계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08237A (ko)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개인화 주문형 음악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90088499A (ko) 광고 데이터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326

Effective date: 2011071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10100231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326

Effective date: 2011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