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0911A -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0911A
KR20050020911A KR1020030058501A KR20030058501A KR20050020911A KR 20050020911 A KR20050020911 A KR 20050020911A KR 1020030058501 A KR1020030058501 A KR 1020030058501A KR 20030058501 A KR20030058501 A KR 20030058501A KR 20050020911 A KR20050020911 A KR 20050020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ervice
received
response message
shor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8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태일
이상성
Original Assignee
엠씨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씨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씨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8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0911A/ko
Publication of KR20050020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0911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통신부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SMS서버로부터 서비스요청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단문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단문메시지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메시지를 서비스요청자단말기로 전송한다. 컨텐츠저장부에는 문자 또는 음성으로 작성된 응답메시지가 소정의 분류기준에 의해 분류되어 저장된다. 파싱처리부는 수신된 단문메시지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한다. 자연어질의처리부는 파싱처리부로부터 입력받은 키워드를 기초로 컨텐츠저장부를 검색하여 추출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독출한다. 메시지생성부는 독출된 응답메시지가 포함된 상기 멀티미디어메시지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요청자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단어에 해당하는 응답메시지를 서비스요청자의 단말기 사양에 대응하는 형태로 생성하여 서비스요청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가입자와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간에 메시지의 내용을 기초로 상호작용이 가능한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providing intelligent multimedia message sevice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지능형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능형 메시지응답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달과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향상에 힘입어, 이동전화 가입자들 간에 짧은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단문메시지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 SMS)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서비스인 IMT-2000의 등장과 함께 문자만을 전송하는 SMS에서 벗어나 동영상, 음악파일 등이 부가된 메시지서비스인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 MMS)의 제공이 현실화되고 있다. 현재 제안되고 있는 MMS는 전송자가 작성한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한 문자를 이모티콘, 이미지 등으로 변환하여 멀티미디어메시지를 생성한 후 수신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한편, 이동통신상에서의 메시지 서비스는 다양한 응용에 적용되고 있다. 현재 SMS 또는 MMS를 이용하여 상이한 이동통신회사에 가입한 가입자단말기간의 연동서비스, 주식정보나 교통정보와 같은 정보제공 서비스, 금융거래시 승인번호의 전송을 통한 소액결제서비스 등의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무선망과 데이터망의 두 개의 네트워크 하부 구조(infrastructure)를 이용해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인터넷 컨텐츠, 이메일 등을 공급할 수 있는 전송방식으로서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 WAP)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간에 컨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들은 기본적으로 이동통신가입자들간에 음성이 아닌 메시지를 이용한 의사소통 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이거나 특정한 기능을 구비한 정보제공시스템으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로의 일방적인 정보제공서비스이며, 이동통신가입자와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간에 메시지의 내용을 기초로 상호작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아직까지 제공되고 있지 않다. 나아가, 메시지의 전송에 있어서 수신자단말기의 사양을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수신자단말기가 멀티미디어메시지를 수용할 수 없는 기종인 경우에 수신자단말기에 메시지가 표시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통신가입자와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간에 메시지의 내용을 기초로 상호작용이 가능한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동통신가입자와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간에 메시지의 내용을 기초로 상호작용이 가능한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SMS서버로부터 서비스요청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단문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메시지를 상기 서비스요청자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 문자 또는 음성으로 작성된 응답메시지가 소정의 분류기준에 의해 분류되어 저장되는 컨텐츠저장부;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파싱처리부; 상기 추출된 키워드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저장부를 검색하여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독출하는 자연어질의처리부; 및 상기 독출된 응답메시지가 포함된 상기 멀티미디어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생성부;를 구비한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방법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SMS서버로부터 서비스요청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파싱처리부로부터 입력받은 키워드를 기초로 문자 또는 음성으로 작성된 응답메시지가 소정의 분류기준에 의해 분류되어 저장되는 컨텐츠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응답메시지가 포함된 멀티미디어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메시지를 상기 서비스요청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갖는다.
이에 의해, 이동통신가입자와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간에 메시지의 내용을 기초로 상호작용이 가능한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 MMS)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는 SMS서버(110),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서버(120), 고객DB서버(130), 과금서버(140), 전송서버(150), 및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로 구성된다.
SMS서버(110)는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Short Message)에 포함되어 있는 수신자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수신지로 전송한다. 이 때, SMS서버(110)는 수신된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수신자식별정보가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서버(120)에 부여된 식별정보와 동일하면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서버(120)로 라우팅한다.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서버(120)에는 450(사오공), 45#(사오정) 등의 식별정보가 부여될 수 있다.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서버(120)는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 핸드폰, PDA 등의 사용자단말기(170-1 내지 170-n)로부터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의 가입신청 및 서비스변경요청을 수신한다.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수신자식별정보를 기초로 제공되나, 사전에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 가입할 것을 전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170-1 내지 170-n)를 이용하여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서버(120)에 접속한 후 서비스를 신청하거나 서비스의 조건을 변경한다. 서비스의 조건에는 요금조건(월정액과금, 사용시간에 따른 과금, 메시지건수에 따른 과금 등의 사용요금 산정조건), 메시지타입(음악메시지수신거부, 동영상메시지 수신거부 등과 같은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제공받는 메시지타입에 대한 제한) 등이 포함된다.
사전에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 가입할 것을 전제로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서버(120)는 단문메시지(Short Message)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자식별정보를 기초로 메시지의 전송자가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 가입했는가를 확인한 후 단문메시지(Short Message)에 포함되어 있는 수신자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서버(120)로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라우팅한다.
고객DB서버(130)에는 이동통신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정보 및 단말기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가입자정보는 가입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주소 등의 정보를 포함하며, 단말기정보는 단말기번호, 단말기기종, 부가서비스신청여부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서버(120)는 수신된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자의 단말기번호를 기초로 고객DB서버(130)로부터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의 기종을 파악하고, 파악된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의 기종정보에 의해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로 전송할 메시지의 형태 및 전송방식을 결정한다. 이 때,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서버(120)는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의 기종에 의해 지원되는 가장 상위의 메시지형태로 작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가장 상위의 전송방식으로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로 전송한다.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의 기종에 따른 메시지의 형태 및 전송방식의 일예가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의 기종이 비MMS단말기인 경우에 메시지형태는 단문메시지로 결정되고, 전송방식은 Pull방식으로 결정된다.
서비스요청자단말기기종 전송방식 제공컨텐츠
SMS단말기 기본: SMS방식 문자, 이모티콘, 특수문자조합
비MMS단말기 기본: Pull방식, 옵션: SMS방식 이미지(캐릭터, 아바타), 벨소리
MMS단말기 기본: Push방식,옵션: SMS방식, Pull방식 이미지, 벨소리, 동영상
과금서버(140)는 서비스요청자가 선택한 과금정책에 따라 생성된 과금정보를 기초로 서비스요청자에 대한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의 이용요금을 산정한다.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요금은 사용건수와 관계없이 일정한 금액을 청구하는 정액제, 정해진 사용건수까지는 정액제에 의하고 추가되는 사용건마다 일정한 금액을 가산하는 변동정액제, 사용건수에 따라 사용금액을 청구하는 종량제 등의 과금체계에 따라 정해진다.
전송서버(150)는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Push방식에 의해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로 전송한다.
이상에서 설명의 편의상 고객DB서버(130), 과금서버(140), 전송서버(150), 및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서버(120)를 별도의 구성요소로 설정하였으나, 시스템의 구현시 고객DB서버(130), 과금서버(140), 및 전송서버(150)는 선택적으로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서버(120)에 통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버(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장치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200)은 통신부(205), 가입처리부(210), 서비스방식결정부(215), 파싱처리부(220), 자연어질의처리부(225), 메시지생성부(230), 부가서비스제공부(235), 과금처리부(240), 데이터베이스관리부(245), 및 데이터베이스부(250)를 구비한다. 데이터베이스부(250)는 텍스트정보저장부(255), 음성정보저장부(260), 이미지정보저장부(265), 접속기록저장부(270), 인덱스정보저장부(275), 및 가입자정보저장부(280)로 구성된다.
통신부(205)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단말기(170-1 내지 170-n)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각종의 서버(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통신부(205)는 제1통신부(206) 및 제2통신부(207)로 구성된다.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200)은 제1통신부(206)를 통해 TCP/IP와 같은 프로토콜에 의해 사용자단말기(170-1 내지 170-n)로부터 가입자정보, 서비스신청요구, 서비스변경요구 등을 수신하며, 사용자단말기(170-1 내지 170-n)로 멀티미디어컨텐츠, 과금정보 등을 제공한다. 한편,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200)은 제2통신부(207)를 통해 SMS서버(110)와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WAN(Wide Area Network)으로 연결되며, SMS서버(110)로부터 단문메시지를 수신한다.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200)은 제2통신부(207)를 통해 서비스방식결정부(215)에서 결정된 전송방식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SMS서버(110) 또는 전송서버(150)로 전송한다.
이 때,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제2통신부(207)를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로 전송되는 방식은 크게 SMS방식, Push방식, 및 Pull방식이 있다. SMS방식은 SMS서버(110)를 통해 문자, 숫자, KS5601에서 지원하는 특수문자그룹, 사용자지정그룹으로 표현된 단문메시지를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Push방식은 전송서버(150)를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Pull방식은 MMS서버(미도시)의 데이터저장부에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저장한 상태에서 SMS서버(110)를 통해 MMS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URL)를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가입처리부(210)는 제1통신부(206)를 통해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200)에 접속한 사용자단말기(170-1 내지 170-n)로 서비스정보, 과금정보, 멀티미디어컨텐츠 등을 전송한다. 또한, 가입처리부(210)는 사용자단말기(170-1 내지 170-n)로부터 수신된 서비스가입 또는 변경신청, 과금종류 등을 가입자정보저장부(280)에 저장한다. 또한,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가 사용자의 서비스가입을 전제로 제공되는 경우에 가입처리부(210)는 서비스가입 또는 변경을 신청한 가입자의 단말기번호를 SMS서버(110)로 전송한다. SMS서버(110)는 가입처리부(210)로부터 수신된 가입자의 단말기번호 및 서비스신청내역을 자체에 구비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한다. SMS서버(110)는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해당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수신자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
서비스방식결정부(215)는 제2통신부(207)를 통해 SMS서버(110)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자단말기번호를 기초로 고객DB서버(130)로부터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의 사양을 파악하고 파악된 사양에 따른 메시지 형태 및 전송방식을 결정한다. 고객DB서버(13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며, 이러한 고객DB서버(130)는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200)에 단말기정보저장부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방식결정부(215)는 단말기정보저장부로부터 획득한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의 사양에 따라 전송방식을 결정한다.
파싱처리부(220)는 SMS서버(110)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구성하는 문장으로부터 키워드(단어)를 추출한다. 파싱처리부(220)는 문장에 대한 형태소/자연어 분석 또는 KMP(Knuth-Morris-Pratt)알고리즘에 의해 파싱을 수행한다. KMP알고리즘은 패턴을 텍스트의 좌로부터 우로 이동시키면서 최대접두부를 구하여 텍스트로부터 특정한 키워드를 검색하는 스트링매칭 알고리즘이다. 이와 달리, 파싱처리부(220)는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자(예를 들면, '/*', '*/', '/' 등)에 의해 사전에 지정된 단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식별자가 '/*'와 '*/'로 설정된 경우, 파싱처리부(220)는 식별자 '/*'과 '*/' 사이에 위치하는 단어를 추출한다. 파싱처리부(220)에서 추출된 단어는 자연어질의처리부(225)로 출력한다.
자연어질의처리부(225)는 파싱처리부(220)로부터 입력받은 단어를 기초로 텍스트정보저장부(255)를 검색하여 단어에 대응하는 응답문을 독출한다. 텍스트정보저장부(255)에는 소정의 기준에 의해 분류된 응답문이 저장되어 있다. 응답문의 분류기준은 단문메시지로부터 추출된 단어에 대응하는 상황, 응답문의 수신일시, 유사단어로 구성된 단어군 등이다. 한편, 자연어질의처리부(225)는 각각의 상황에 대응하는 단어들이 연계되어 있는 상황판단조건테이블을 보유하고 있으며, 상황판단조건테이블을 기초로 파싱처리부(220)로부터 입력받은 단어가 속하는 상황을 파악한다. 다음으로, 자연어질의처리부(225)는 텍스트정보저장부(255)으로부터 파악된 상황의 분류에 속하는 응답문을 독출한다. 이 때, 파악된 상황의 분류에 속하는 응답문이 복수개 있는 경우 자연어질의처리부(225)는 응답문의 저장순서에 의해 하나의 응답문을 선택하거나 난수발생 또는 단문메시지의 수신시간대 또는 고객정보(예를 들면, 성별, 나이 등)를 기준으로 무작위로 선정된 하나의 응답문을 선택한다.
이러한 자연어질의처리부(225)의 동작과 관련하여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에 출력되는 메시지의 일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요청자는 자신의 단말기(160)에서 단문메시지작성메뉴를 선택하고, 수신번호로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200)에 부여된 식별번호를 입력한다. 다음으로, 서비스요청자는 키워드를 조작하여 단문메시지를 작성한다. 도 3에 도시된 서비스요청자가 작성한 단문메시지는 "우리 겜이나 할까?"이다. 자연어질의처리부(225)는 상황판단조건테이블을 참조하여 파싱처리부(220)로부터 입력된 "겜"이 속하는 상황이 "놀이"에 해당함을 파악한다. 이 때, 자연어질의처리부(225)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동의어에 대한 데이터를 보유하며, 따라서, 입력된 "겜"은 "게임"으로 인식한다. 다음으로, 자연어질의처리부(225)는 텍스트정보저장부(255)로부터 "놀이"로 분류된 상황에 속하는 응답메시지중 하나를 선택하여 독출한다. 도 3에는 "뭐할까? 쿵쿵따할까?^_^"라는 메시지가 선택된 경우에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에 출력되는 단문메시지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만약, 서비스요청자가 제안된 게임을 하고자 하는 경우 "그래 그러자 ㅎㅎ"라는 메시지를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200)으로 전송하게 되며, 자연어질의처리부(225)는 게임진행모드로 돌입하여 텍스트정보저장부(255)로부터 쿵쿵따게임에 해당하는 단어를 독출한다. 이러한 과정은 서비스요청자로부터 중지메시지가 수신되거나 일정시간동안 서비스요청자로부터 단문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을 때까지 계속적으로 반복된다.
메시지생성부(230)는 자연어질의처리부(225)로부터 입력받은 응답메시지를 기초로 서비스방식결정부(215)에 의해 결정된 형태의 대화형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또한,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서비스방식결정부(215)에 의해 결정된 전송방식으로 전송된다.
텍스트정보저장부(255)에는 응답메시지, 텍스트형태로 제공되는 컨텐츠(쿵쿵따, 가위바위보 등의 게임과 관련된 컨텐츠) 등이 저장된다. 특히, 텍스트정보저장부(255)에 저장되는 정보중에서 응답메시지는 사용자들에 의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요청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응답문등록"이 포함된 단문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면,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200)은 응답메시지 추가상태로 진입한다. 다음으로 해당 서비스요청자의 단말기로부터 재차 단문메시지가 수신되면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200)은 수신된 단문메시지로부터 질의문과 응답문을 추출한 후 추출된 응답문을 텍스트정보저장부(255)의 질의문이 속하는 상황에 저장한다. 이러한 응답메시지의 추가는 컨텐츠관리부(245)에 의해 수행되며, 수신된 단문메시지로부터의 단어추출은 파싱처리부(220)에 의해 수행된다. 이 때, 파싱처리부(220)는 수신된 단문메시지로부터 "응답문등록"이 추출되면, 동일한 서비스요청자로부터 재차 수신된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질의문과 응답문을 데이터베이스관리부(245)로 출력한다. 한편, 데이터베이스관리부(245)는 파싱처리부(220)로부터 응답문등록을 요청하는 단문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통지받으면, 질의문과 응답문의 작성예를 메시지생성부(230)에 제공하며 메시지생성부(230)는 질의문과 응답문의 작성예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비스요청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도 4에는 응답문등록을 위해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와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20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단문메시지의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요청자는 "응답문등록"이 기재된 단문메시지를 생성하여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200)으로 전송하며,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200)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질의문과 응답문 사이에 '#'를 입력하세요... 예문) 졸려 # 신나는 음악들려줄까"라는 내용이 기재된 단문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로 전송한다. 서비스요청자는 수신된 예문을 참조하여 "아유 심심해..#심심하면 잠이나 자라오..^m^"라는 질의문과 응답문이 기재된 단문메시지를 작성하여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200)는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파싱하여 응답문을 텍스트정보저장부(255)의 질의문에 해당하는 상황분류에 저장한다.
음성정보저장부(260)에는 음성정보가 저장된다. 음성정보에는 음성으로 작성된 응답메시지, 벨소리, 음악파일 등이 포함된다. 음성정보저장부(260)에 저장되는 음성정보는 연예인의 축하음성, 변조된 음성 등을 포함한다. 음성정보 형태의 응답메시지 역시 텍스트정보저장부(255)에 저장되는 응답메시지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기준에 의해 분류되어 음성정보저장부(260)에 저장된다. 응답문의 분류기준은 단문메시지로부터 추출된 단어에 대응하는 상황, 응답문의 수신일시, 유사단어로 구성된 단어군 등이다. 이미지정보저장부(265)에는 휴대용단말기용 배경화면, 멀티미디어 메시지용 배경화면(예를 들면, 편지지), 아바타, 동영상 등의 영상정보가 저장된다. 접속기록저장부(270)에는 사용자별 접속기록이 저장된다. 인덱스정보저장부(275)에는 텍스트정보저장부(255), 음성정보저장부(260), 및 이미지정보저장부(265)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의 저장위치가 저장된다. 인덱스 정보의 구조는 사용자의 단말기번호를 고유한 키값으로 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키워드가 저장되어 있는 주소의 시작점과 크기를 값으로 하는 테이블과 키워드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파일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인덱스정보저장부(275)에 저장되는 인덱스정보는 데이터베이스관리부(245)에 의해 추출, 생성 및 관리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관리부(245)는 동일한 단어에 대응하는 텍스트정보에 기초한 응답메시지와 이미지정보에 기초한 응답메시지의 인덱스정보를 생성하여 인덱스정보저장부(275)에 저장한다. 자연어질의처리부(225) 또는 부가서비스제공부(235)는 서비스방식결정부(215)에 의해 결정된 메시지형태에 따라 인덱스정보저장부(275)에 저장되어 있는 인덱스정보를 기초로 텍스트정보저장부(255), 음성정부저장부(260), 및 이미지정보저장부(265)에 저장되어 있는 응답메시지를 선택적으로 독출하여 메시지생성부(230)로 제공한다. 메시지생성부(230)는 서비스방식결정부(215)에 의해 결정된 메시지형태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로 전송한다. 가입자정보저장부(280)에는 사용자단말기(170-1 내지 170-n)로부터 수신된 서비스가입 또는 변경신청, 및 과금종류를 포함하는 가입자정보가 저장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200)은 수신된 단말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한 식별자(예를 들면, '//')를 이용하여 별도의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파싱처리부(220)는 단문메시지로부터 부가서비스의 제공을 의미하는 식별자가 검출되면 해당 식별자에 이어지는 단어를 추출하여 부가서비스제공부(235)로 출력한다. 부가서비스의 제공과 관련하여 파싱처리부(220)는 부가서비스마다 상이한 동작을 수행한다. 일예로, '//'가 성금모금서비스를 의미하는 식별자인 경우에 파싱처리부(220)는 수신된 단문메시지로부터 '//'가 검출되면, 식별자 '//'이 검출되었음을 부가서비스제공부(235)로 통지한다.
제공되는 부가서비스로는 ARS 대체성 서비스, 광고서비스, 기타 응용서비스 등을 들 수 있다. ARS 대체성 서비스는 각종 성금모금서비스(수재민, 불우이웃돕기 등), 방송프로그램 참여서비스(순위투표, 생방송중 시청자에게 제공되는 단문전송), 여론조사서비스, 퀴즈서비스 등을 포함한다. 광고서비스는 각종의 프로모션활동에 대한 소비자의 의견수렴서비스, 경품제공광고서비스, 상품/서비스에 대한 사용소감접수서비스 등을 포함한다. 기타 응용서비스에는 기업의 영업/유통/보고활동과 관련한 사내 메시지전달서비스, 정보안내서비스, 기업의 상담센터와 소비자간의 질의/응답서비스, 기업활동에 대한 소비자 의견접수서비스 등을 포함한다.
부가서비스제공부(235)는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로 파싱처리부(220)로부터 입력받거나 통지받은 부가서비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한다. 파싱처리부(220)로부터 성금모금서비스를 의미하는 '//'를 입력받거나 성금모금서비스를 의미하는 식별자인 '//'이 검출되었음을 통지받으면, 부가서비스제공부(235)는 각종의 부가서비스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부가서비스정보저장부(285)로부터 현재 진행중인 성금모금상황을 추출하여 메시지생성부(230)로 출력한다. 메시지생성부(230)는 부가서비스제공부(235)로부터 입력된 성금모금상황을 기초로 대화형 단문메시지를 생성한다. 메시지생성부(230)에 의해 생성된 대화형 단문메시지의 일예가 도 5a에 도시되어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대화형 단문메시지에는 하나 이상의 성금모금정보(각각의 성금모금정보는 선택번호, 성금모금목적 또는 수혜자, 성금액 등을 포함)가 포함되어 있다. 생성된 단문메시지는 제2통신부(207)를 통해 SMS서버(110)로 전송된다. SMS서버(110)는 수신된 대화형 단문메시지를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로 전송한다. 서비스요청자는 숫자버튼 또는 선택버튼을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기에 출력된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성금모금정보 중에서 하나의 성금모금정보를 선택한 후 전송 또는 확인버튼을 누름으로써 성금을 출연할 수 있다. 서비스요청자가 출연한 성금은 추후 서비스요청자의 통신요금에 포함되어 청구된다.
도 5b에는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로부터 수신된 문자메시지 및 메시지생성부(230)에 의해 생성된 대화형 단문메시지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에 정보안내서비스를 나타내는 식별자(예를 들면, '%')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파싱처리부(220)는 수신된 단문메시지로부터 정보안내서비스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검출되었음을 부가서비스제공부(235)로 통지한다. 또한, 파싱처리부(220)는 수신된 단문메시지로부터 정보안내서비스를 나타내는 식별자에 이어지는 단어를 추출하여 부가서비스제공부(235)로 출력한다. 부가서비스처리부(230)는 파싱처리부(220)로부터 입력된 단어에 대응하는 정보를 텍스트정보저장부(255), 음성정보저장부(260), 또는 이미지정보저장부(265)로부터 독출하여 메시지생성부(23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SMS서버(110)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가 "%피자헛"이라면, 파싱처리부(220)는 '%'의 뒤에 위치하는 단어인 "피자헛"을 부가서비스제공부(235)로 출력한다. 부가서비스제공부(235)는 서비스방식결정부(215)에 의해 결정된 메시지형태에 기초하여 텍스트정보저장부(255), 음성정보저장부(260), 또는 이미지정보저장부(265)로부터 "피자헛"에 해당하는 정보를 독출한다. 메시지형태가 단문메시지로 결정된 경우에 부가서비스제공부(235)는 텍스트정보저장부(255)로부터 업체정보, 위치정보, 전화번호, 메뉴 및 가격 등을 포함하는 텍스트정보를 독출한다. 또한, 메시지형태가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결정된 경우에 부가서비스제공부(235)는 이미지정보저장부로부터 "피자헛"의 지도정보, 할인쿠폰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정보를 독출하며, 선택적으로 음성정보저장부(260)로부터 "피자헛"의 로고송이나 메뉴, 위치, 가격 등을 알려주는 음성안내정보를 독출한다. 부가서비스제공부(235)에 의해 독출된 정보는 메시지생성부(230)로 전달되며, 메시지생성부(230)는 서비스방식결정부(215)에 의해 결정된 메시지형태의 단문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생성된 메시지는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로 전송된다.
한편, 정보안내서비스는 서비스요청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요청자로부터 "피자헛"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은 경우에 부가서비스제공부(235)는 이동통신업체에 구비된 위치등록장치(Home Location Register : HLR)로부터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의 위치를 파악한다. 그리고, 서비스제공부(235)는 텍스트정보저장부(255), 음성정보저장부(260), 또는 이미지정보저장부(265)에 저장되어 있는 "피자헛"에 대한 정보중에서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의 위치와 가장 근접한 매장을 선택한다. 단문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결정된 경우에 메시지생성부(230)는 "위치: 지하철2호선 교대역 1번출구에서 오른쪽으로 30m, 연락처: 123-1234, 8월 31일까지 모든 피자 20%할인"과 같은 단문메시지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 달리,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결정된 경우에 메시지생성부(230)는 해당 피자헛의 위치 및 전화번호가 표시된 지도와 피자헛의 로고송이 포함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나아가, 메시지생성부(230)가 생성한 멀티미디어 메시지에는 피자헛 로고, 할인쿠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가서비스는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와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200)간의 대화형 메시지 송수신이 진행되는 도중에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부가서비스제공부(235)는 부가서비스의 제공이 완료되면 파싱처리부(220)로 부가서비스의 종료를 통지하고, 파싱처리부(220), 자연어질의처리부(225), 및 메시지생성부(230)는 지능형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제공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지능형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 부가서비스의 제공과 관련된 전체적인 동작의 제어는 운영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있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과금처리부(240)는 전송방식, 메시지의 전송결과, 변환레벨, 발신자정보, 메시지전송량 등을 기초로 과금데이터를 생성한다. 데이터베이스관리부(245)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정보의 관리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인덱스정보저장부(275)에 저장되어 있는 인덱스정보를 기초로 각종 저장부(255 내지 280)로의 데이터입력 및 각종 저장부(255 내지 280)로부터의 데이터출력을 처리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200)에 접속한 사용자단말기(170-1 내지 170-n)로부터 서비스 가입요청을 수신하면, 승인가입처리부(210)는 사용자단말기(170-1 내지 170-n)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서비스가입을 승인하고, 수신된 사용자정보를 가입자정보저장부(280)에 저장한다(S600). 다음으로, 가입처리부(210)는 SMS서버(110)로 가입자정보(예를 들면, 단말기 식별번호)를 전송하여 해당 사용자가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의 가입자임을 통지한다(S605). SMS서버(110)는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된 가입자정보를 자체에 구비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한다.
SMS서버(110)는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로부터 단문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자번호를 기초로 서비스요청자가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의 가입자인가를 확인한다(S610). 이 때, 해당 서비스요청자가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S615), SMS서버(110)는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수신자번호에 대응하는 이동전화기 또는 시스템으로 단문메시지를 전송한다(S620). 이와 달리, 서비스요청자가 서비스의 가입자로 확인되면(S615), SMS서버(110)는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수신자번호에 대응하는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시스템(200)으로 단문메시지를 전달한다(S625).
서비스방식결정부(215)는 SMS서버(110)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자단말기번호를 기초로 고객DB서버(130)로부터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의 사양을 파악하고 파악된 사양에 따른 메시지 형태 및 전송방식을 결정한다(S630).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200)의 파싱처리부(220)는 SMS서버(110)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파싱하여 단문메시지에 특정한 부가서비스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635). 만약, 수신된 단문메시지에 특정한 부가서비스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으면(S640), 파싱처리부(220)는 부가서비스를 나타내는 식별자의 검출사실 및 해당 식별자에 이어지는 단어를 부가서비스제공부(235)로 출력한다. 이와 달리, 수신된 단문메시지에 특정한 부가서비스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존재하지 않으면(S640), 파싱처리부(220)는 수신된 단문메시지로부터 단어를 추출하여 자연어질의처리부(225)로 출력한다(S645).
자연어질의처리부(225)는 서비스방식결정부(215)에 의해 결정된 메시지 형태에 기초하여 텍스트정보저장부(255), 음성정보저장부(260) 및/또는 이미지정보저장부(265)로부터 입력받은 단어에 해당하는 응답메시지를 독출한다(S650). 메시지생성부(230)는 자연어질의처리부(225)로부터 입력된 응답메시지를 기초로 서비스방식결정부(215)에 의해 결정된 형태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한다(S655).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서비스방식결정부(215)에 의해 결정된 전송방식에 의해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로 전송된다(S660).
한편, 부가서비스제공부(235)는 파싱처리부(220)로부터 입력된 단어를 기초로 서비스요청자로부터 요청받은 부가서비스에 해당하는 메시지 또는 정보를 텍스트정보저장부(255), 음성정보저장부(260) 및/또는 이미지정보저장부(265)로부터 독출한다(S665). 메시지생성부(230)는 부가서비스제공부(235)로부터 입력된 메시지 또는 정보를 기초로 서비스방식결정부(215)에 의해 결정된 형태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한다(S670).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서비스방식결정부(215)에 의해 결정된 전송방식에 의해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로 전송된다(S660).
전송방식에 따른 메시지전송과정은 도 7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송방식은 SMS방식, Pull방식, Push방식 등이 존재한다. 서비스방식결정부(215)는 수신된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의 식별번호를 기초로 고객DB서버(130)로부터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의 사양을 파악하고, 파악된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의 사양에 의해 전송방식을 결정한다(S700). 전송방식이 SMS방식인 경우(S710), 통신부(205)는 메시지생성부(230)에 의해 생성된 단문메시지를 SMS서버(110)로 전송한다(S720). SMS서버(110)는 통상의 단문메시지의 전송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여 단문메시지를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로 전송한다(S730). 전송방식이 Pull방식인 경우(S710), 통신부(205)는 메시지생성부(230)에서 생성된 Call Back URL을 포함하는 단문메시지를 SMS서버(110)로 전송한다(S740). SMS서버(110)는 통상의 단문메시지의 전송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여 단문메시지를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로 전송한다(S750). 서비스요청자는 자신의 단말기(160)에 단문메시지가 표시되면, 단문메시지에 기재되어 있는 연결버튼(예를 들면, "확인"버튼)을 눌러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확인한다(S760). 전송방식이 Push방식인 경우(S710), 통신부(205)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서버(150)로 전송한다(S770). 전송서버(150)는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로 전송한다(S78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서비스요청자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단어에 해당하는 응답메시지를 서비스요청자의 단말기 사양에 대응하는 형태로 생성하여 서비스요청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가입자와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간에 메시지의 내용을 기초로 상호작용이 가능한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변경없이 서비스요청자와의 대화형 메시지의 송수신중에 서비스요청자로부터 특정한 부가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단문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부가서비스(예를 들면, ARS서비스, 광고서비스, 정보안내서비스 등)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대화형 서비스 및 부가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함으로 인해 이동통신가입자에 의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량의 증가를 유도하여 이동통신사업자 및 부가사업자 모두에게 경제적인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 MMS)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자연어질의처리부(225)의 동작과 관련하여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에 출력되는 메시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응답문등록을 위해 서비스요청자단말기(160)와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20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단문메시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5a는 메시지생성부(230)에 의해 생성된 대화형 단문메시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5b는 메시지생성부(230)에 의해 생성된 대화형 단문메시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7은 서비스방식에 따른 메시지전송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13)

  1.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SMS서버로부터 서비스요청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단문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메시지를 상기 서비스요청자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
    문자 또는 음성으로 작성된 응답메시지가 소정의 분류기준에 의해 분류되어 저장되는 컨텐츠저장부;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파싱처리부;
    상기 추출된 키워드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저장부를 검색하여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독출하는 자연어질의처리부; 및
    상기 독출된 응답메시지가 포함된 상기 멀티미디어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서비스요청자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이동통신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가 보유한 단말기의 기종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고객정보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요청자단말기의 기종을 파악하여 상기 멀티미디어메시지의 형태를 결정하는 서비스방식결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연어질의처리부는 상기 문자 또는 음성으로 작성된 응답메시지 중에서 상기 서비스방식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형태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독출하여 상기 메시지생성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서비스요청자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이동통신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가 보유한 단말기의 기종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고객정보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요청자단말기의 기종을 파악하여 SMS전송방식, Push방식, 및 Pull방식 중에서 상기 멀티미디어메시지의 전송방식을 결정하는 서비스방식결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방식이 SMS방식으로 결정된 경우에 상기 자연어질의처리부는 상기 컨텐츠저장부로부터 문자로 작성된 응답메시지를 독출하여 상기 메시지생성부에 제공하고, 상기 전송방식이 Push방식 또는 Pull방식으로 결정된 경우에 상기 자연어질의처리부는 상기 컨텐츠저장부로부터 음성으로 작성된 응답메시지를 독출하여 상기 메시지생성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저장부에는 벨소리, 음악파일, 휴대용단말기용 배경화면, 멀티미디어 메시지용 배경화면, 아바타,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컨텐츠가 추가적으로 저장되고,
    상기 전송방식이 Push방식 또는 Pull방식으로 결정된 경우에 상기 자연어질의처리부는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중에서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컨텐츠를 독출하여 상기 메시지생성부에 제공하며,
    상기 메시지생성부는 상기 자연어질의처리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응답메시지 및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가 포함된 상기 멀티미디어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외부장치로부터 새로운 응답메시지의 등록을 요청하는 단문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를 기초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새로운 응답메시지를 상기 분류기준에 의해 분류하여 상기 컨텐츠저장부에 저장하는 컨텐츠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파싱처리부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로부터 새로운 응답메시지의 등록을 나타내는 소정의 식별자가 추출되면, 상기 컨텐츠관리부로 새로운 응답메시지의 등록을 지시하는 제어신호,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로부터 추출한 키워드, 및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로부터 추출한새로운 응답메시지를 상기 컨텐츠관리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저장부에는 성금모금서비스 및 방송프로그램 참여서비스를 포함하는 ARS서비스와 소비자의 의견수렴서비스 및 경품제공광고서비스를 포함하는 광고서비스를 포함하는 부가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부가서비스컨텐츠가 추가적으로 저장되고,
    상기 서비스요청자단말기로부터 상기 부가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단문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서비스요청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서비스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파싱처리부는 상기 서비스요청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로부터 상기 부가서비스의 제공요청을 나타내는 소정의 서비스식별자가 추출되면,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로부터 추출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부가서비스컨텐츠를 상기 컨텐츠저장부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메시지생성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7.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SMS서버로부터 서비스요청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파싱처리부로부터 입력받은 키워드를 기초로 문자 또는 음성으로 작성된 응답메시지가 소정의 분류기준에 의해 분류되어 저장되는 컨텐츠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응답메시지가 포함된 멀티미디어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메시지를 상기 서비스요청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메시지 독출단계 전에,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서비스요청자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이동통신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가 보유한 단말기의 기종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고객정보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요청자단말기의 기종을 파악하여 상기 멀티미디어메시지의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응답메시지 독출단계는 상기 문자 또는 음성으로 작성된 응답메시지 중에서 상기 결정된 멀티미디어메시지의 형태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메시지 독출단계 전에,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서비스요청자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이동통신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가 보유한 단말기의 기종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고객정보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요청자단말기의 기종을 파악하여 SMS전송방식, Push방식, 및 Pull방식 중에서 상기 멀티미디어메시지의 전송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응답메시지 독출단계는, 상기 전송방식이 SMS방식으로 결정된 경우에 상기 컨텐츠데이터베이스로부터 문자로 작성된 응답메시지를 독출하고, 상기 전송방식이 Push방식 또는 Pull방식으로 결정된 경우에 상기 컨텐츠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음성으로 작성된 응답메시지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데이터베이스에는 벨소리, 음악파일, 휴대용단말기용 배경화면, 멀티미디어 메시지용 배경화면, 아바타,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컨텐츠가 추가적으로 저장되고,
    상기 전송방식이 Push방식 또는 Pull방식으로 결정된 경우에,
    상기 응답메시지 독출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중에서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컨텐츠를 독출하며,
    상기 메시지 생성단계는 상기 독출된 응답메시지 및 상기 독출된 멀티미디어컨텐츠가 포함된 상기 멀티미디어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외부장치로부터 새로운 응답메시지의 등록을 요청하는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로부터 새로운 응답메시지의 등록을 나타내는 소정의 메시지등록식별자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에 상기 메시지등록식별자가 존재하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를 기초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새로운 응답메시지를 상기 분류기준에 의해 분류하여 상기 컨텐츠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데이터베이스에는 성금모금서비스 및 방송프로그램 참여서비스를 포함하는 ARS서비스와 소비자의 의견수렴서비스 및 경품제공광고서비스를 포함하는 광고서비스를 포함하는 부가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부가서비스컨텐츠가 추가적으로 저장되고,
    상기 응답메시지 독출단계는,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로부터 추출된 키워드에 소정의 부가서비스의 제공요청을 나타내는 서비스식별자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에 상기 서비스식별자가 존재하면, 상기 컨텐츠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서비스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부가서비스컨텐츠중에서 상기 추출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부가서비스컨텐츠 및 응답메시지를 독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 생성단계는 상기 독출된 응답메시지 및 상기 독출된 부가서비스컨텐츠가 포함된 상기 멀티미디어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방법.
  13.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SMS서버로부터 서비스요청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파싱처리부로부터 입력받은 키워드를 기초로 문자 또는 음성으로 작성된 응답메시지가 소정의 분류기준에 의해 분류되어 저장되는 컨텐츠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응답메시지가 포함된 멀티미디어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메시지를 상기 서비스요청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30058501A 2003-08-23 2003-08-23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209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501A KR20050020911A (ko) 2003-08-23 2003-08-23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501A KR20050020911A (ko) 2003-08-23 2003-08-23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911A true KR20050020911A (ko) 2005-03-04

Family

ID=37229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8501A KR20050020911A (ko) 2003-08-23 2003-08-23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0911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030B1 (ko) * 2005-11-17 2007-02-07 (주)폴리다임 이모티콘 메시지 변환시스템 및 변환방법
KR100683895B1 (ko) * 2004-06-23 2007-02-15 (주)에이록스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방법
WO2007058420A1 (en) * 2005-11-17 2007-05-24 Polidigm Co., Ltd. Emoticon message transforming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KR100732991B1 (ko) * 2005-12-12 2007-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긴급방송 자동시청기능이 구비된 디엠비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0736550B1 (ko) * 2005-10-31 2007-07-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문 메시지를 기반으로 mms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WO2009061056A1 (en) * 2007-11-08 2009-05-14 Herit Co., Ltd.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message-based service, and storage media storing instructions performing the same
WO2010051478A3 (en) * 2008-10-31 2010-07-22 Palm,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enhanced mobile messaging services
WO2011074792A3 (en) * 2009-12-16 2011-11-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54673B1 (ko) * 2007-04-26 2014-01-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의 자동응답문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17082519A1 (ko) * 2015-11-10 2017-05-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응답 메시지를 추천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895B1 (ko) * 2004-06-23 2007-02-15 (주)에이록스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방법
KR100736550B1 (ko) * 2005-10-31 2007-07-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문 메시지를 기반으로 mms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JP2009521018A (ja) * 2005-11-17 2009-05-28 ポリディグム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エモーティコンメッセージ変換システムおよび変換方法
WO2007058420A1 (en) * 2005-11-17 2007-05-24 Polidigm Co., Ltd. Emoticon message transforming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KR100680030B1 (ko) * 2005-11-17 2007-02-07 (주)폴리다임 이모티콘 메시지 변환시스템 및 변환방법
CN101120598B (zh) * 2005-11-17 2011-07-06 普利电子有限公司 感情图标消息转换系统及其方法
KR100732991B1 (ko) * 2005-12-12 2007-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긴급방송 자동시청기능이 구비된 디엠비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1354673B1 (ko) * 2007-04-26 2014-01-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의 자동응답문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09061056A1 (en) * 2007-11-08 2009-05-14 Herit Co., Ltd.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message-based service, and storage media storing instructions performing the same
WO2010051478A3 (en) * 2008-10-31 2010-07-22 Palm,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enhanced mobile messaging services
US8583807B2 (en) 2008-10-31 2013-11-12 Palm,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enhanced mobile messaging services
WO2011074792A3 (en) * 2009-12-16 2011-11-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7082519A1 (ko) * 2015-11-10 2017-05-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응답 메시지를 추천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US10721194B2 (en) 2015-11-10 2020-07-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for recommending response to a multimedia message based on age or gender, and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7728B2 (en) Systems and methods to connect members of a social network for real time communication
US8914435B2 (en) Ubiquitous notif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3A based push type event
US20170237801A1 (en) Device configuration-based function delivery
CN101505458A (zh) 基于通信标识符提供相关广告或其它内容
WO2001093138A1 (fr) Procede et systeme de distribution de publicites sur un reseau
WO2009030769A2 (en) Systems, methods, network elements and applications for modifying messages
US20050228754A1 (en) Marketing method
KR20040107867A (ko)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20309A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케팅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20911A (ko) 지능형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508494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040052531A (ko) 모바일 영상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
KR100436424B1 (ko) 무선 단말기에 대한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에적합한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메시징 에이전트 시스템
WO200806961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identification number allocated to communication network
KR20050095402A (ko) 위치 기반 인터넷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3879391B2 (ja) 音声配信方法および装置
GB2452625A (en) Advertising system
CN101138258A (zh) 在移动通信系统中进行广告的方法和系统
KR100916708B1 (ko) 그룹 사서함 운영 시스템 및 방법
JP2002290567A (ja) Ip電話システム、ip電話サーバ、及び広告提供プログラム
KR100694534B1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03468A (ko) 식별 id를 이용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639078B1 (ko)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장치
KR20030042946A (ko) 왑컨텐츠 삽입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JPWO2002091192A1 (ja) 携帯端末を用いた情報配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