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4644A -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 - Google Patents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4644A
KR20090034644A KR1020070100002A KR20070100002A KR20090034644A KR 20090034644 A KR20090034644 A KR 20090034644A KR 1020070100002 A KR1020070100002 A KR 1020070100002A KR 20070100002 A KR20070100002 A KR 20070100002A KR 20090034644 A KR20090034644 A KR 20090034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control means
cooling device
cool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기
Original Assignee
김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기 filed Critical 김학기
Priority to KR1020070100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4644A/ko
Publication of KR20090034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6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20Pillar fountains or like apparatus for dispensing drinking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안치부가 형성된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의 상부에 형성된 수반부와 상기 수반부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조형물부를 형성하여 아름다운 외형을 가진 조형물의 형태로 구성하여 심미적 기능을 부가하고, 상기 기단부의 내부에 형성된 안치부에 냉각장치를 형성하여 이용자들에게 실외에서 냉각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에 관한 것이다.
안치부, 냉각부, 담수부, 조형물

Description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A Water Service Table for outdoor Landscape Architecture using cooling Apparatus}
본 발명은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안치부가 형성된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의 상부에 형성된 수반부와 상기 수반부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조형물부를 형성하여 아름다운 외형을 가진 조형물의 형태로 구성하여 심미적 기능을 부가하고, 상기 기단부의 내부에 형성된 안치부에 냉각장치를 형성하여 이용자들에게 실외에서 냉각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외에서 설치되어 운영되는 급수대는 주로 하절기와 춘추기 동안에 주로 활용되며, 그 중 하절기에 많은 이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하절기의 특성상 대기의 기온이 높기 때문에 이용객들이 실외 활동을 함에 있어서 신체의 수분배출이 증가 됨에 따라서 갈증이 나게 되며, 이로 인해 실외의 급수대의 이용이 많아지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상수도에서 물을 급수대 내부 또는 지하를 통해서 공급함에도 불구하고 하절기의 기온에 의해서 물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이용상에서 시원 한 물을 공급하지 못해 미지근해진 물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 인해 이용자들이 사용함에 있어 불편함과 불쾌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급수대의 경우 규격화된 형태의 외관에 의하여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가 있고, 특히 동절기에는 실외에 설치된 급수대의 이용빈도의 급감과 함께 실외에 설치된 급수대로 인하여 쾌적한 도시경관을 연출하는 데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되고 있는 문제가 있으며, 나아가, 기존의 급수대의 경우 동절기에 동파에 의하여 수리비용과 유지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안치부가 형성되어 기초를 형성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의 상부에 형성된 수반부와 상기 수반부의 상부에 상부조형물부를 형성하여 아름다운 외형을 가진 조형물의 형태로 구성하여 이용빈도가 높은 하절기와 춘추기 뿐만 아니라 비수기인 동절기에도 쾌적한 경관을 연출할 수 있는 심미적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단부의 내부에 형성된 안치부에 급수를 냉각하고 배출하는 담수부와, 상기 담수부의 급수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형성하여 수반부에 형성된 분출수단으로 냉각된 물을 이용자들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수부의 일측에 음용조절수단를 형성하여 이용빈도가 급감하는 동절기에는 냉각하지 않은 급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운행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수부의 외면에 동파방지부재를 형성하여 입수부의 내면에 존재하는 급수에 의해 동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리비용과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각탱크의 하단의 일측에 배수조절수단를 형성하여 냉각탱크의 내부에 존재하는 급수를 배수하여 동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내부에 안치부가 형성되어 기초를 형성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급수를 음용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반부와, 상기 수반부의 상부에 조형물을 형성하여 심미감을 높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부조형물부와, 상기 안치부에 안치되어 급수를 냉각하도록 형성되는 냉각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장치는, 냉각된 급수를 저장하도록 형성되는 냉각탱크를 포함하는 담수부와, 상기 담수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탱크에 저장된 급수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냉각탱크 또는 상기 수반부에 급수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입수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실외에서 냉각된 급수를 제공함과 동시에 아름다운 경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상기 입수부는, 상기 입수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음용조절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수반부의 상면에 형성된 분출수단으로 냉각되지 않은 급수를 제공하여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입수부는, 급수를 냉각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탱크에 급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입수부의 일측에 형성된 냉각조절수단과, 상기 냉각조절수단를 거쳐 들어오는 급수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냉각탱크로 유출되는 수압을 일정하게 하여 상기 냉각탱크의 훼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냉각조절수단과 상기 냉각탱크 사이에 형성되는 압력조절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입수부는, 상기 입수부의 내부에 존재하는 급수에 의해 동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입수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동파방지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담수부는, 동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냉각탱크의 내부에 존재하는 급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탱크의 하단의 일측에 형성된 배수조절수단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기단부는, 상기 안치부에 형성된 상기 냉각장치를 점검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기단부의 일면에 형성된 점검구와, 상기 냉각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기단부의 타면에 형성된 통기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는, 급수의 냉각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탱크의 외면에서 이격되어 형성된 온도조절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안치부가 형성되어 기초를 형성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의 상부에 형성된 수반부와 상기 수반부의 상부에 상부조형물부를 형성하여 아름다운 외형을 가진 조형물의 형태로 구성하여 이용빈도가 높은 하절기와 춘추기 뿐만 아니라 비수기인 동절기에도 쾌적한 경관을 연출할 수 있는 심미적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단부의 내부에 형성된 안치부에 급수를 냉각하고 배출하는 담수부와, 상기 담수부의 급수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형성하여 수반부에 형성된 분출수단으로 냉각된 물을 이용자들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입수부의 일측에 음용조절수단를 형성하여 이용빈도가 급감하는 동절기에는 냉각하지 않은 급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운행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한다.
본 발명은 입수부의 외면에 동파방지부재를 형성하여 입수부의 내면에 존재하는 급수에 의해 동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리비용과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한다.
본 발명은 냉각탱크의 하단의 일측에 배수조절수단를 형성하여 냉각탱크의 내부에 존재하는 급수를 배수하여 동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냉각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냉각장치의 측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안치부에 채용된 냉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8)는 기단부(3), 수반부(2), 상부조형물부(1), 입수부(4)와, 냉각장치(9)를 포함한다.
상기 기단부(3)는 본 발명을 지지하는 기초부분을 형성하고, 전체 조형물의 외관의 하부의 형태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하기에 설명할 냉각장치(9)를 보호하며, 상기 기단부(3)는 안치부(31)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안치부(31)는 상기 기단부(3)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일정깊이와 일정폭, 바람직하게는, 하기에 설명할 냉각장치(9) 등이 안치될 수 있는 깊이와 폭으로 천공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안치부(31)는 상기 기단부(3)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연통되어 중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단부(3)는 점거구(32), 점검막음부재, 통기구(33)와 통기막음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검구(32)는 상기 기단부(3)의 외면의 일측에서 내면의 타측으로 연통되어 중공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점검구(32)는 일정폭,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치부(31)에 형성된 냉각장치(9) 등을 손이나 기구 등을 집어넣어 점검하고 조절할 수 있는 폭이 적합하다. 상기 점검막음부재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점검구(32)의 일단에 형성되어 이물질이 상기 점검구(32)를 통하여 상기 안치부(31)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단부(3)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기구(33)는 상기 기단부(3)의 외면의 타측에서 내면의 타측으로 연통되어 중공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통기구(33)는 일정 폭,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치부(31)에 형성된 냉각장치(9)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할 수 있는 폭으로 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통기막음부재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통기구(33)의 일단에 형성되어 냉각장치(9)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이물질이 상기 통기구(33)를 통하여 상기 안치부(3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단부(3)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반부(2)는 상기 기단부(3)의 상부에 형성되어 급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일정형상, 바람직하게는 상면이 평평한 절두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전체 조형물의 중간부분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수반부(2)는 분출수단(21)과 배수구(22)를 포함한다.
상기 분출수단(21)은 상기 수반부(2)의 상면 일측에 수개, 바람직하게는 4개가 형성되어 급수가 관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분출되어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다양한 수전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배수구(22)는 상기 수반부(2)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분출수단(21)에서 배출된 급수를 배출토록 하측으로 일정 깊이 패인 홈으로서 상기 분출수단(21)과 상기 배수구(2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공지의 기술인 바 생략하기로 하며, 상기 배수구(22)의 상부에 이물질을 거를 수 있도록 형성된 부재, 바람직하게는 망 형태로 형성된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조형물부(1)는 상기 수반부(2)의 상부에 형성되어 조형물을 형성하여 심미감을 조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조형물부(1)의 형상과 조화될 수 있도록 상기 수반부(2)와 상기 기단부(3)의 형상이 다양하게 형성되어 본 발명의 이용빈도가 높은 하절기와 춘추기 뿐만 아니라 비수기인 동절기에도 쾌적한 경관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하절기와 춘추기는 통상 각각 여름과 봄과 가을을 지칭하나 실외에서 냉각된 물을 자주 음용토록 하는 기온을 가진 날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고, 동절기는 통상 겨울을 지칭하나 실외에서 냉각된 물을 드물게 음용토록 하는 기온을 가진 날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입수부(4)는 상수도에서 물을 직접 공급받아 하기에 설명할 냉각탱크(51) 또는 상기 수반부(2)의 분출수단(21) 등으로 급수를 공급하도록 형성되고, 음용조절수단(41), 결합부재(45), 냉각조절수단(42)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음용조절수단(41)의 일단은 상기 입수부(4)의 일측에 수개, 바람직하게는 4개가 상기 입수부(4)의 일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관을 통하여 하기 에 설명할 결합부재(45)로 급수가 유출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면 상기 음용조절수단(41)은 밸브로 형성되는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냉각된 물을 필요로 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음용조절수단(41)을 개방하여 상기 입수부(4)로 유입된 급수가 상기 음용조절수단(41)과 하기에 설명할 결합부재(45)를 거쳐 상기 분출수단(21)으로 분출되게 구성되어 냉각에 따른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부재(45)는 일정형상,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용조절수단(41)에서 연통된 관과 상기 분출수단(21)과 연통된 관과, 하기에 설명할 토출구(53)에서 연통된 관을 결합할 수 있도록 T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음관이 적합하다.
상기 냉각조절수단(42)은 일단은 상기 입수부(4)의 일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하기에 설명할 냉각탱크(51)로 급수가 유출될 수 있는 관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입수부(4)는 하기에 설명할 냉각탱크(51)로 급수가 유출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면 상기 냉각조절수단(42)은 밸브로 형성되는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조절수단(42)은 냉각된 물을 이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조절수단(42)을 개방하여 상기 입수부(4)로 유입된 급수가 하기에 설명할 냉각탱크(51)로 공급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수부(4)는 압력조절수단(421)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조절수단(421)의 일단은 상기 냉각조절수단(42)과 연통된 관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냉각탱크(51)와 연통된 관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압력조절수단(421)은 상기 냉각조절수단(42)을 거쳐 유입되는 급수 의 압력을 조절하는 형상이라면 레버의 회동 조작에 의해 형성되는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력조절수단(421)에 의하여 하기에 설명할 냉각탱크(51)로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하여 수압에 의해 냉각탱크(51) 등의 냉각장치(9)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냉각탱크(51)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일정하게 하므로 안정적으로 냉각탱크(51)에 저장된 물을 냉각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수부(4)는 청소조절수단(43)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조절수단(43)의 일단은 상기 입수부(4)의 일측과 연통되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안치부(31)로 유입된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도록 관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반부(2)와 상기 상부조형물부(1)의 일정위치, 바람직하게는 중앙에 각각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청소조절수단(43)의 타단과 연통된 관이 상기 수반부(2)와 상기 상부조형물부(1)의 중앙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상기 상부조형물부(1)의 상단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청소조절수단(43)으로 유입된 급수가 상기 상부조형물부(1)의 상단으로 분출되어 상부조형물부(1)를 따라 하부로 흐르게 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수부(4)는 동파방지부재(4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파방지부재(44)는 동절기에 상기 입수부(4) 내부에 존재하는 급수에 의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입수부(4)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열선을 감아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동파방지부재(44)의 외면은 단열재를 추가로 포함하여 외부와의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냉각장치(9)는 상기 안치부(31)에 안치되어 급수를 냉각하도록 형성하고, 담수부(5), 고정프레임(10)과 냉각부(6)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담수부(5)는 상기 냉각장치(9)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조절수단(42)을 거쳐 유입되는 급수를 하기에 설명할 냉각부(6)에 의하여 냉각하고 상기 분출수단(21)으로 냉각된 급수를 분출하도록 형성되며, 유입조절수단(521), 유입구(52), 냉각탱크(51), 토출구(53), 토출조절수단(531)을 포함한다.
상기 유입조절수단(521)은 일단이 상기 냉각조절수단(42)과 연통되고, 타단은 하기에 설명할 유입구(52)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하기에 설명할 냉각탱크(51)로 유입되는 급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면 밸브로 형성되는 등의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다.
상기 유입구(52)는 일단이 상기 유입조절수단(521)과 연통되고 타단이 하기에 설명할 냉각탱크(51)의 상부 일측과 연통되도록 하여 급수가 냉각탱크(51)로 유입되게 한다.
상기 냉각탱크(51)는 하기에 설명할 상부지지프레임(100)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52)로 유입된 급수를 저장하고 하기에 설명할 냉각부(6)에 의해서 냉각된 급수를 하기에 설명할 토출구(53)로 배출한다.
상기 토출구(53)는 상기 냉각탱크(51)의 상부의 일측에 수개, 바람직하게는 4개가 형성되어 상기 냉각탱크(51)의 냉각된 급수를 배출한다.
상기 토출조절수단(531)은 일단이 상기 토출구(53)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결합부재(45)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53)로 유출되는 급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면 밸브로 형성되는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담수부(5)는 배수조절수단(54)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조절수단(54)은 상기 냉각탱크(51)의 하단의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냉각탱크(51)의 내부에 존재하는 급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면 밸브로 형성되는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조절수단(54)에 의해 동절기에 상기 냉각탱크(51)의 내부에 존재하는 급수를 배수하여 동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은 담수부(5)와 냉각부(6)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부지지프레임(100)과 하부지지프레임(101)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지지프레임(100)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부에서 하부로 일정위치 이격되어 일정형상, 바람직하게는 상부지지프레임(100)의 상면에 설치된 냉각탱크(5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고, 상기 하부지지프레임(101)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하단에서 일정형상, 바람직하게는 하부지지프레임(101)의 상면에 설치된 하기에 설명할 냉각부(6)를 지지할 수 있도록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채용된 냉각부(6)의 순환 싸이클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냉각부(6)는 상기 하부지지프레임(101)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탱크(51)의 물을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압축기(62), 팽창밸브(61), 응축기(63), 증발기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62)는 상기 하부지지프레임(101)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 기(62)가 구동되면 하기에 설명할 냉각코일에서 흡입된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으로 하기에 설명할 응축기(63)로 냉매가 토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응축기(63)는 상기 압축기(62)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62)에서 압축된 냉매가 하기에 설명할 팽창밸브(61)로 팽창된다.
상기 팽창밸브(61)는 상기 하부지지프레임(101)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63)와 연통되고 상기 응축기(63)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냉각하여 하기에 설명할 증발기(65)로 보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부(6)는 냉각휀(64)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휀(64)은 상기 팽창밸브(61)의 일측에 형성되어 냉매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증발기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냉각탱크(51)의 내부에 일정형상,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각탱크(51)로 유입된 물과 상기 증발기를 흐르는 냉매와 열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져 상기 냉각탱크(51)로 유입된 물을 원활히 냉각할 수 있도록 상하로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고, 상기 증발기의 일단은 상기 팽창밸브(63)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압축기(62)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장치(9)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8)는 온도조절수단(7)과 차단수단(71)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수단(7)은 상기 냉각탱크(51)의 외면에서 이격되어 일정위치,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탱크(51)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경우에 상기 냉각부(6)를 작동시키도록 형성된 센서이고, 상기 차단수단(71)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동파방지부재(44), 온도조절수단(7)과 냉각부(6)에 전기를 공급함에 있어 누전 및 과부하시 전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센서로서, 상기 온도조절수단(7)과 상기 차단수단(71)에 대한 상세한 구조 설명은 공지의 기술인 바,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의 사용상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에 따른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냉각된 급수의 사용이 급증하는 춘추기 또는 하절기에는 음용조절수단들을 폐쇄하고 냉각조절수단만을 개방하여 냉각조절수단으로 유입된 급수가 압력조절수단에서 압력을 조절 받고 냉각탱크로 유입되게 된다. 냉각탱크로 유입된 급수는 냉각부의 냉각사이클에 의해 냉각되고, 냉각된 급수는 토출밸브를 개방하여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어 분출수단으로 분출하게 된다. 한편, 냉각탱크에 저장된 냉각수의 온도가 소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온도조절수단에 의하여 냉각부를 가동시켜 냉각탱크에 저장된 냉각수가 소정온도 이하로 유지되게 한다.
그러나, 냉각된 급수의 사용이 급감하는 동절기에는 냉각조절수단과 유입조절수단과 토출조절수단을 폐쇄하여 급수가 냉각탱크로 유입되지 못하게 하고 음용조절수단을 개방하여 냉각되지 않은 상수를 분출수단으로 직접 분출하게 한다. 특히 급수대의 이용빈도가 낮은 동절기에도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의 상부에 형성된 수반부와 상기 수반부의 상부에 상부조형물부를 형성하여 아름다운 외형을 가진 조 형물의 형태를 제공함으로 인해 동절기에도 쾌적한 경관을 연출할 수 있는 심미적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냉각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냉각장치의 측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안치부에 채용된 냉각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에 따른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채용된 냉각부의 순환 싸이클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상부조형물부 2: 수반부 3: 기단부 4: 입수부 5: 담수부
6: 냉각부 7: 온도조절수단 8: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
9: 냉각장치 10: 고정프레임 21: 분출수단 22: 배수구 31: 안치부
32: 점검부 33: 통기구 41: 음용조절수단 42: 냉각조절수단
43: 청소조절수단 44: 동파방지부재 45: 결합부재 51: 냉각탱크
52: 유입구 53: 토출구 54: 배수조절수단 61: 팽창밸브 62: 압축기
63: 응축기 71: 차단수단 100: 상부지지프레임 101: 하부지지프레임
421: 압력조절수단 521: 유입조절수단 531: 토출조절수단

Claims (7)

  1.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내부에 안치부가 형성되어 기초를 형성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급수를 음용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반부와, 상기 수반부의 상부에 조형물을 형성하여 심미감을 높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부조형물부와, 상기 안치부에 안치되어 급수를 냉각하도록 형성되는 냉각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장치는, 냉각된 급수를 저장하도록 형성되는 냉각탱크를 포함하는 담수부와, 상기 담수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탱크에 저장된 급수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냉각탱크 또는 상기 수반부에 급수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입수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실외에서 냉각된 급수를 제공함과 동시에 아름다운 경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부는,
    상기 입수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음용조절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수반부의 상면에 형성된 분출수단으로 냉각되지 않은 급수를 제공하여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부는,
    급수를 냉각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탱크에 급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입수부의 일측에 형성된 냉각조절수단과, 상기 냉각조절수단를 거쳐 들어오는 급수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냉각탱크로 유출되는 수압을 일정하게 하여 상기 냉각탱크의 훼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냉각조절수단과 상기 냉각탱크 사이에 형성되는 압력조절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부는,
    상기 입수부의 내부에 존재하는 급수에 의해 동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입수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동파방지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부는,
    동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냉각탱크의 내부에 존재하는 급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탱크의 하단의 일측에 형성된 배수조절수단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단부는,
    상기 안치부에 형성된 상기 냉각장치를 점검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기단부의 일면에 형성된 점검구와, 상기 냉각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할 수 있도 록 상기 기단부의 타면에 형성된 통기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는,
    급수의 냉각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탱크의 외면에서 이격되어 형성된 온도조절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
KR1020070100002A 2007-10-04 2007-10-04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 KR200900346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002A KR20090034644A (ko) 2007-10-04 2007-10-04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002A KR20090034644A (ko) 2007-10-04 2007-10-04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528U Division KR200448859Y1 (ko) 2009-07-01 2009-07-01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644A true KR20090034644A (ko) 2009-04-08

Family

ID=40760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002A KR20090034644A (ko) 2007-10-04 2007-10-04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46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0298B2 (en) Ice cube maker
AU2005278943B2 (en) Cooling apparatus
US7275387B2 (en) Integrated ice and beverage dispenser
US7017353B2 (en) Integrated ice and beverage dispenser
KR20180045758A (ko)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
JP5342303B2 (ja) 冷温飲料水サーバー
CA2461635A1 (en) Refrigerated display case
KR200448859Y1 (ko)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
CN207407475U (zh) 一种厨房空调系统
KR20090034644A (ko) 냉각장치를 이용한 실외 조경용 급수대
CN109695921A (zh) 一种厨房空调系统
CN104864534A (zh) 多功能便携式可制冷空气调节净化器
CN102809215B (zh) 热泵热水供暖装置
CN205351543U (zh) 可移动式冷暖空调制水一体机
CN204693693U (zh) 多功能便携式可制冷空气调节净化器
CN2937966Y (zh) 饮水机电子冰胆
US7207182B1 (en) Swamp cooler cooling system
KR101346963B1 (ko) 와인 냉각장치
CN110487010A (zh) 一种风冷冰箱
CN207196787U (zh) 多功能冷风机
CN202024426U (zh) 一种压缩机冰箱空调扇
CN205807941U (zh) 小型制冷设备
RU2367857C1 (ru) Способ охлаждения питьевой воды для автомата дозированного разлива напитков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питьевой воды
KR20200112250A (ko) 에어컨 실외기 냉각장치
CN206398885U (zh) 一种冷风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