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4197A - 개인용 컴퓨터의 절전모드에서 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용 컴퓨터의 절전모드에서 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4197A
KR20090034197A KR1020070099447A KR20070099447A KR20090034197A KR 20090034197 A KR20090034197 A KR 20090034197A KR 1020070099447 A KR1020070099447 A KR 1020070099447A KR 20070099447 A KR20070099447 A KR 20070099447A KR 20090034197 A KR20090034197 A KR 20090034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aving
remote control
home network
saving mode
pci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6149B1 (ko
Inventor
곽승현
이우승
김선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9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149B1/ko
Publication of KR20090034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04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 G06F13/4221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being an input/output bus, e.g. ISA bus, EISA bus, PCI bus, SCSI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24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PC의 절전모드 상태에서 홈 네트워킹을 위한 리모컨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개인용 컴퓨터의 절전모드에서 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방법은, a) 리모컨으로부터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b) PC의 절전 상태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PC가 절전 상태일 경우 상기 리모컨에서 송출되는 제어명령을 상기 PC로 장착된 PCI 카드의 통신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d) 상기 통신 데이터를 상기 PCI 카드로 제공한 후, 상기 리모컨의 제어명령을 수행토록 지시하는 단계; e) 상기 b)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PC가 절전 상태가 아닐 경우 상기 홈 서버로 리모컨 신호를 상기 홈 서버의 CPU로 제공하는 단계; 및 f) 홈 네트워킹을 위한 RG 소프트웨어 운용에 대응하도록 상기 리모컨 신호를 변환하고, 이를 PCI 버스를 통해 상기 PCI 카드로 제공한 후, 상기 리모컨의 제어명령을 수행토록 지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PC의 RG 응용 소프트웨어가 동작되지 않더라도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함으로써,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소비 전력을 절감시킨다.
Figure P1020070099447
홈 네트워크, RG, 리모컨, PCI, 근거리 통신, ZigBee, 절전모드

Description

개인용 컴퓨터의 절전모드에서 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AN INSTALLATION FOR DRIVING HOME NETWORK IN POWER SAVING OF PERSONAL COMPUT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현하는 PC의 절전 모드 상태에서 리모컨을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개인용 컴퓨터의 절전모드에서 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T 기술의 급속한 발달과 초고속망을 통한 인터넷의 보급에 따라, 기업이나 공공기관의 사무실을 중심으로 구축되던 네트워크 환경이 가정 내의 디지털 전자기기로 확산되면서 홈네트워크 산업과 관련기기 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홈네트워크는 정보의 처리, 관리, 전달 및 저장에 있어서, 가정이나 기타 사무실내에 설치되어 각종 계산, 관리, 감시 및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들을 연결하고 통합할 수 있게 해 주는 구성요소들로 데이터와 통신의 공유 및 상호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2개 이상의 장비들로 이루어진다.
홈 네트워킹은 이더넷을 비롯한 전화선, 전력선, 그리고 무선을 포함하는 다 양한 네트워킹 프로토콜을 통하여 구현되며, 네트워크화된 가정이나 사무실 내에 디지털 정보기기들 간의 기능 공유, 데이터 공유, 원격 서비스를 비롯하여 기타의 네트워크화된 장비에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분배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홈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기술로는 크게 유선과 무선으로 나눌 수 있으며, 유선 기술로는 전화선, 전력선, 이더넷, USB 등이 있고, 무선에는 IEEE802.11x 계열의 무선랜, 홈 RF, 블루투스, 초광대역 통신망(UWB; ULtra Wide Band) 등이 대표적인 기술이다.
근래에는 전술된 인프라를 이용하여 가정 내의 홈네트워킹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블루투스 모듈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원격 제어하는 장치가 그 일 예로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블루투스 모듈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모듈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101)와, 블루투스 모듈이 내장된 홈서버(102)와,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위치를 확인하여 홈서버(102)로 전송하는 복수 개의 지역 안내기(103), 텔레비전(104a), 오디오(104b), 조명시스템(104c), 냉난방 시스템(104d) 등의 가전/기기(104)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구성된, 블루투스 모듈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101)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고유한 식별 번호를 가지며 블루투스 모듈이 내장된 이동 통신 단말기(101)는 블루투스 모듈이 내장된 홈서버(102)와 연결되어 별도의 통신 비용없이 자체적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이때, 표준으로 지정된 Bluetooth Standard Ver 1.2 에 규정되어 있는 Serial Profile 를 사용하여 통신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1)가 홈서버(102)로 가전/기기(104)의 제어 명령을 내리면, 홈서버(102)와 홈네트워크 표준 접속 규격으로 연결된 전자기기(104)들 중에 해당 전자기기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1)가 홈서버(102)에게 가전/기기(104)중 조명 시스템(104c)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명령을 내렸다면, 홈서버(102)는 조명 시스템(104c)의 전원을 오프하는 명령을 수행한다.
이때, 홈네트워크 표준 접속 규격이란 UPnP( Universal Plug and Play)라는 미들웨어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것은, IP 네트워크와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홈네트워크 기기의 제어를 구현하자는 목적으로 가진 것으로써, 가장 큰 장점은 이미 검증된 웹 기술을 기반으로 홈네트워크 기기 간의 제어 모델을 구현하였다는 것이다. 따라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그리고 운영체제에 무관하게 동작이 가능하고, UPnP 포럼에 의해 기기와 서비스 타입이 잘 맞춰져 있다. 그리고 HTML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홈 서버(102)를 중심으로 낵내 가전/기기를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홈 서버(102)의 시스템 상태 예컨대, 홈 서버가 절전 상태에서는 홈 서버의 기능이 정지되어 있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운용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 운용 알고리즘을 변경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모컨 수신부가 실장되어 절전 기능이 지원되는 PC에 RG(Residential Gateway) 기능이 소프트웨어적으로 탑재하고,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카드가 실장된 경우, PC의 절전 상태에서 PC를 깨우지 않고 리모컨으로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개인용 컴퓨터의 절전모드에서 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적용되는 PC의 절전 상태에서 리모컨 동작을 수행토록 함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종합 제어 기능을 강화하고, 홈 오토메이션의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개인용 컴퓨터의 절전모드에서 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PC로 리모컨 수신부와 PCI 카드 사이에 통신 채널을 확보함으로써, PC RG응용 소프트웨어가 동작되지 않은 상태 즉, PC 응용 프로그램의 Sleep/Awake에 관계없이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구동하여, 시스템의 안정성 및 소비전력을 저하시킬 수 있는 개인용 컴퓨터의 절전모드에서 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개인용 컴퓨터의 절 전모드에서 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 장치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다수의 가전/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홈 네트워크 운용을 위한 PC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PC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CPU; RG(Residential Gateway) 기능을 수행하고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가전/기기로 원격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PCI 카드; 및 상기 CPU의 PC 응용 프로그램의 상태를 감시하며, 감시 결과에 따라 상기 PCI 카드와의 통신 채널을 이용한 리모컨 원격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리모컨 수신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모컨 수신제어부는 리모컨의 적외선 송출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 수신부; 상기 CPU의 절전 모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절전모드 인지부; 상기 절전모드 인지부에서 검출된 상기 CPU의 절전 모드 상태에 따라 상기 리모컨 수신부의 수신신호를 상기 USB 포트를 통해 상기 CPU로 제공하거나, 상기 PCI 카드로 전송하기 위한 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상기 PCI 카드로 인가되는 신호에 대하여 리모컨 코드를 ZigBee 통신 코드로 변환하기 위한 수신신호 변환부; 상기 리모컨 코드와 ZigBee 통신 코드에 대한 상호 매칭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상기 수신신호 변환부로 제공하는 데이터 메모리; 및 상기 수신신호 변환부에서 변환된 코드 정보를 상기 PCI 카드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출 제어하는 신호 출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개인용 컴퓨터 의 절전모드에서 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 방법은, PC의 절전모드에서 홈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리모컨으로부터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PC의 절전 상태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PC가 절전 상태일 경우 상기 리모컨에서 송출되는 제어명령을 상기 PC로 장착된 PCI 카드의 통신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d) 상기 통신 데이터를 상기 PCI 카드로 제공한 후, 상기 리모컨의 제어명령을 수행토록 지시하는 단계; e) 상기 b)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PC가 절전 상태가 아닐 경우 상기 PC로 리모컨 신호를 상기 PC의 CPU로 제공하는 단계; 및 f) 홈 네트워킹을 위한 RG 소프트웨어 운용에 대응하도록 상기 리모컨 신호를 변환하고, 이를 PCI 버스를 통해 상기 PCI 카드로 제공한 후, 상기 리모컨의 제어명령을 수행토록 지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컴퓨터의 절전모드에서 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은 PC로 내설되는 리모컨 수신부와 PCI 카드 사이에 통신 채널을 확보하여 PC의 RG 응용 소프트웨어가 동작되지 않더라도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함으로써,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용할 뿐만 아니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불필요한 소비 전력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개인용 컴퓨터의 절전모드에서 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홈 네트워크 장치로 적용되는 홈 서버는 PC로 통칭할 것이다. 즉, 전술된 홈 네트워크 장치는 개인용 컴퓨터(PC)를 포함하여 원격 제어되는 각각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홈 서버를 PC로 상정하는 것은 근래에 적용되는 홈 네트워크의 홈 서버가 가정 내의 펄스널 컴퓨터에 의해 대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PC는 RG(Residential Gateway) 기능을 갖는 응용 소프트웨어가 탑재된다. 또한 상기 응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타입으로 PCI Type Card가 적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상기 PCI Type Card는 근거리 통신 예컨대, ZigBee 모듈을 보유하며, 상기 ZigBee 모듈을 통해 다수의 가전/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PC의 중앙 제어장치 즉, CPU는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의 제어명령을 PCI BUS를 이용하여 상기 PCI Card로 전송하고, 상기 PCI Card는 ZigBee 모듈을 통해 각 가전/기기로 해당 명령을 전송한다. 또한, 상기 각 가전/기기에서 송출되는 상태 정보 또한, 상기 ZigBee 모듈을 거쳐 수신된 후, PCI BUS를 통해 CPU로 인가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PC(200)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CPU(201)와, RG(Residential Gateway) 기능을 수행하는 PCI 카드(203)와, 상기 CPU(201)의 PC 응용 프로그램의 상태를 감시하며, 감시 결과에 따라 상기 PCI 카드(203)와의 통신 채널을 이용한 리모컨 원격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리모컨 수신제어부(205)로 구성된다.
상기 리모컨 수신제어부(205)는 상기 PCI 카드(203)와의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을 보유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CPU(201)로부터 PC 응용 프로그램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PC(200)의 USB 포트를 이용한 인터페이싱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리모컨 수신제어부(205)는 상기 PCI 카드(203) 내에서 설계되어 일체화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PC(200)의 USB 포트로 접속되어 상기 PCI 카드(203)와의 별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PCI 카드(203)는 상기 PCI 버스를 이용한 CPU(201)와의 통신을 인터페이싱 하기 위한 PCI 인터페이스(209)를 포함하며, 상기 PCI 인터페이스(209)를 거쳐 인가되는 RG 소프트웨어의 가전/기기 제어명령을 각각의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하고, 각 해당 가전/기기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ZigBee 모듈(207)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리모컨 수신제어부(205)를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 수신제어부(205)는 리모컨의 적외선 송출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 수신부(301)와, 상기 CPU(201)의 절전 모드 예컨대, Sleep/Awake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절전모드 인지부(303)와, 상기 절전모드 인지부(303)에서 검출된 상기 CPU(201)의 절전 모드 상태에 따라 상기 리모컨 수신부(301)의 수신신호를 상기 USB 포트를 통해 CPU(201)로 제공하거나, 상기 PCI 카 드(203)로 전송하기 위한 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칭부(305)와, 상기 스위칭부(305)를 통해 상기 PCI 카드(203)로 인가되는 신호에 대하여 리모컨 코드를 ZigBee 통신 코드로 변환하기 위한 수신신호 변환부(307)와, 상기 리모컨 코드와 ZigBee 통신 코드에 대한 상호 매칭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상기 수신신호 변환부(307)로 제공하는 데이터 메모리(309)와, 상기 수신신호 변환부(307)에서 변환된 코드 정보를 상기 PCI 카드(203)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출 제어하는 신호 출력부(311)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S401 단계에서 사용자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다수의 가전/기기(211)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홈 네트워킹을 수행한다. 여기서, 홈 네트워킹을 구현하기 위한 PC(200)는 다수의 가전/기기(Device 1 ~ Device N)을 무선 제어하기 위한 ZigBee 모듈(207)을 사용한다. 상기 ZigBee 모듈(207)은 근거리 통신 수단으로, 별도의 RF 통신을 수행하여도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상기 리모컨의 동작 신호는 적외선(Ir)으로 구현되는 코드화된 신호로 상기 리모커 수신 제어부(205)의 리모컨 수신부(301)에서 수신된다. 상기 리모컨에서 출력되는 코드화된 신호는 상기 CPU(201)의 PC 응용 소프트웨어 즉, RG 소프트웨어를 통해 인지될 수 있도록 이미 규정화된 코드이다.
한편, 상기 리모컨 수신 제어부(205)는 S403 단계에서 상기 리모컨의 적외선 코드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CPU(201)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기동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CPU(201)의 상태 감시는 CPU(201)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판단하는데, 상기 절전모드 인지부(303)는 이러한 CPU(201)와의 접속을 통해 판단한다.
S405 단계에서, 상기 절전모드 인지부(303)는 PC(200)의 현재 상태가 절전모드 즉, Sleep/Awake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판단한 결과 상기 PC(200)가 절전 모드임으로 판단할 경우, S407 단계에서 상기 절전모드 인지부(303)는 이러한 인지 결과를 상기 스위칭부(305)로 제공한다. 상기 스위칭부(305)는 절전모드 인지부(303)의 제어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리모컨 수신부(301)에서 수신된 리모컨의 적외선 신호를 상기 수신신호 변환부(307)로 제공한다.
상기 수신신호 변환부(307)는 S409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리모컨 수신부(301)에서 제공되는 적외선 코드 신호를 정형화시킨 후, 상기 적외선 코드 신호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상기 근거리 통신 수단으로 사용되는 ZigBee 모듈(207)의 수신 신호로 변환한다. 즉, 상기 리모컨에서 송출되는 코드 신호에 대한 프로토콜과, 상기 ZigBee 모듈(207)에서 적용되는 프로토콜에 대한 변환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ZigBee 모듈(207)에서 인지하기 위한 프로토콜과 리모컨에서 발신되는 적외선 신호에 대한 각 데이터 간 호환을 이루기 위해, 리모컨의 발신 신호를 ZigBee 모듈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프로토콜 및 데이터를 변환해야 한다. ZigBee의 packet format을 보면 헤더에 보내는 data의 sequence ID를 포함하고 있으며, ZigBee로 보낼 수 있는 크기는 128byte 정도이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리모컨에서 발신되는 코드 신호를 해당 포멧으로 변환하고, 리모컨의 발신 코드에 포함되는 제어 명령을 ZigBee에서 인지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메모리(309)는 이러한 데이터 변환 및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할 수 있는 매칭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수신신호 변환부(307)는 상기 데이터 메모리(309)로부터 제공되는 매칭 데이터를 토대로 데이터 변환을 수행한 후, 상기 ZigBee 모듈(207)에서 수신될 수 있도록 통신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한다. 상기 리모컨 수신 제어부(205)는 이와 같은 절차에 근거하여 신호 변환을 수행하고, S411 단계와 같이 변환된 신호를 상기 PCI 카드(203)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리모컨 수신 제어부(205)는 상기 PCI 카드(203)의 회로 기판에 장착되어 PCI 카드와 일체화된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모듈화된 장치로 상기 PCI 카드와 별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모컨 수신 제어부(205)가 PCI 카드와 별개로 구현될 경우, 상기 리모컨 수신 제어부(205)의 신호 출력부(311)는 PCI 카드(203)와 유선을 이용하여 리모컨의 적외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신호 출력부(311)가 PCI 카드(203)로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할 것이다.
S413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PCI 카드(203)는 리모컨 수신 제어부(205)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수신하며, ZigBee 모듈(207)을 통해 가전/기기(211)를 원격 제어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가전/기기(211)의 제어 방식은 상기 PC(200)의 CPU 즉, PC 응용 프로그램의 Sleep/Awake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PC의 절전상태에서 가전/기기의 원격 제어가 수행된다.
한편 상기 S405 단계에서 절전모드 인지부(303)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CPU(201)가 Sleep/Awake 상태 즉, 절전모드가 아닐 경우, 상기 절전모드 인지부(303)는 상기 스위칭부(305)를 제어하여, 상기 리모컨 수신부(301)에서 송출되는 적외선 신호를 상기 PC(200)의 USB 포트로 제공하도록 스위칭한다.
실질적으로 USB 통신을 사용하는 것은 PCI 카드에 의해 지원되며, USB 통신을 위한 데이터 프레임은 SOF(Start Of Frame) 패킷에 의해 개시된다. 그리고, 호스트의 PC는 사전에 그 프레임내에 scheduling되어 있던 데이터 전송요구 토큰을 순차 송출함으로써 복수 펑션과의 데이터 전송을 병행하여 실시함으로써, USB 포트를 이용한 CPU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데이터 통신은 사실상 PCI 카드에 의해 지원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 수신 제어부(205)에서는 USB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즉, 상기 절전모드 인지부(303)에서 지시된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스위칭부(305)에 의해 상기 리모컨 송출 신호를 USB 포트를 통해 제공함에 있어서, 스위칭부(305)는 USB 통신 프로토콜 운용을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PCI 카드(203)에서 지원됨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상기 S405 단계에서 현재의 PC(200)가 절전모드가 아닐 경우, S415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리모컨 수신 제어부(205)는 USB 포트를 이용하여 리모컨의 가전/기기 제어명령을 전송한다. 상기 CPU(201)는 RG 소프트웨어에 기반하여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PCI 버스를 이용하여 상기 PCI 카드(203)로 전달한다. 이후, S411 단계로 피드백하여, PCI 카드(203)의 ZigBee 모듈(207)은 리모컨의 제어명령에 따라 어느 하나 이상의 가전/기기(211)를 제어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컴퓨터의 절전모드에서 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은 PC의 Sleep/Awake에 관계없이 홈 네트워크 운용을 위한 리모컨 제어의 안정적인 동작을 확보토록 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고 시스템의 전력 효율을 높임에 따라 산업적 이용 가치가 충분한 상태이다.
도 1은 종래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장치의 개인용 컴퓨터(PC)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리모컨 수신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주요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PC 201 : CPU
203 : PCI 카드 205 : 리모컨 수신 제어부
207 : ZigBee 모듈 209 : PCI 인터페이스
211 : 가전/기기 301 : 리모컨 수신부
303 : 절전모드 인지부 305 : 스위칭부
307 : 수신신호 변환부 309 : 데이터 메모리
311 : 신호 출력부

Claims (10)

  1. 리모컨을 이용하여 다수의 가전/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홈 네트워크 운용을 위한 PC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PC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CPU;
    RG(Residential Gateway) 기능을 수행하고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가전/기기로 원격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PCI 카드; 및
    상기 CPU의 PC 응용 프로그램의 상태를 감시하며, 감시 결과에 따라 상기 PCI 카드와의 통신 채널을 이용한 리모컨 원격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리모컨 수신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컴퓨터의 절전모드에서 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 수신제어부는 상기 PCI 카드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컴퓨터의 절전모드에서 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 수신제어부는 상기 CPU로부터 PC 응용 프로그램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PC의 USB 포트를 이용한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개인용 컴퓨터의 절전모드에서 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CI 카드에서 적용되는 근거리 통신 수단은 ZigBee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컴퓨터의 절전모드에서 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 수신제어부는 상기 PCI 카드 내에서 설계되어 상기 PCI 카드와 일체화된 구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컴퓨터의 절전모드에서 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CI 카드는 PCI 버스를 이용한 상기 CPU와의 통신을 인터페이싱 하기 위한 PCI 인터페이스; 및
    상기 PCI 인터페이스를 거쳐 인가되는 RG 소프트웨어의 가전/기기 제어명령을 각각의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하고, 각 해당 가전/기기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ZigBee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컴퓨터의 절전모드에서 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 수신제어부는 리모컨의 적외선 송출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 수신부;
    상기 CPU의 절전 모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절전모드 인지부;
    상기 절전모드 인지부에서 검출된 상기 CPU의 절전 모드 상태에 따라 상기 리모컨 수신부의 수신신호를 상기 USB 포트를 통해 상기 CPU로 제공하거나, 상기 PCI 카드로 전송하기 위한 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상기 PCI 카드로 인가되는 신호에 대하여 리모컨 코드를 ZigBee 통신 코드로 변환하기 위한 수신신호 변환부;
    상기 리모컨 코드와 ZigBee 통신 코드에 대한 상호 매칭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상기 수신신호 변환부로 제공하는 데이터 메모리; 및
    상기 수신신호 변환부에서 변환된 코드 정보를 상기 PCI 카드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출 제어하는 신호 출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컴퓨터의 절전모드에서 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 장치.
  8. 개인용 컴퓨터(PC)의 절전모드에서 홈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리모컨으로부터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PC의 절전 상태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PC가 절전 상태일 경우 상기 리모컨에서 송출되는 제어명령을 상기 PC로 장착된 PCI 카드의 통신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d) 상기 통신 데이터를 상기 PCI 카드로 제공한 후, 상기 리모컨의 제어명령을 수행토록 지시하는 단계;
    e) 상기 b)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PC가 절전 상태가 아닐 경우 상기 PC로 리모컨 신호를 상기 PC의 CPU로 제공하는 단계; 및
    f) 홈 네트워킹을 위한 RG 소프트웨어 운용에 대응하도록 상기 리모컨 신호를 변환하고, 이를 PCI 버스를 통해 상기 PCI 카드로 제공한 후, 상기 리모컨의 제어명령을 수행토록 지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컴퓨터의 절전모드에서 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의 제어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PIC 카드의 가전/기기 제어 통신은 근거리 통신 채널을 이용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은 ZigBee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컴퓨터의 절전모드에서 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리모컨 신호를 상기 CPU로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PC의 USB 포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컴퓨터의 절전모드에서 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 방법.
KR1020070099447A 2007-10-02 2007-10-02 개인용 컴퓨터의 절전모드에서 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장치 및 방법 KR100946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447A KR100946149B1 (ko) 2007-10-02 2007-10-02 개인용 컴퓨터의 절전모드에서 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447A KR100946149B1 (ko) 2007-10-02 2007-10-02 개인용 컴퓨터의 절전모드에서 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197A true KR20090034197A (ko) 2009-04-07
KR100946149B1 KR100946149B1 (ko) 2010-03-10

Family

ID=40760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447A KR100946149B1 (ko) 2007-10-02 2007-10-02 개인용 컴퓨터의 절전모드에서 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14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299B1 (ko) * 2002-05-21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084334B1 (ko) * 2005-02-28 2011-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6149B1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4074B2 (en) Mesh network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interconnected individual mesh networks
CN1771695B (zh) 家庭网络系统
KR101405688B1 (ko) 지그비 시스템
WO2017119539A1 (ko) 스마트 홈 구현을 위한 통합 게이트웨이장치
US8411699B2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5577717B (zh) 兼容多种不同电器连接的控制方法和系统
CN106227123B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控制电路及控制器
KR20080023465A (ko) 홈 네트워크상의 무선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0796844A (zh) 一种无线遥控的方法
KR101738784B1 (ko) IoT 환경 구축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기능이 결합된 지능형 통합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어 방법
CN103713605A (zh) 一种智能控制平台及方法
CN103762719A (zh) 一种智能开关柜
CN105099836A (zh) Ble智能节点控制方法和系统
KR20170062424A (ko) IoT 환경 구축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기능이 결합된 지능형 통합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어 방법
KR100946149B1 (ko) 개인용 컴퓨터의 절전모드에서 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장치 및 방법
CN105024236A (zh) 自动对码的智能插座及其自动对码方法
Bai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oT multi-interface gateway for establishing a digital art interactive system
KR101088569B1 (ko) 무선 홈 네트워킹을 위한 무선 근거리 모듈의 정보 설정방법
KR20180121813A (ko) 사물인터넷 통신을 위한 통합게이트웨이
KR100928153B1 (ko) 홈네트워크 시스템
KR100712922B1 (ko) 네트워크 통합시스템
KR101194627B1 (ko)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와 그 동작 방법
EP3860082A1 (en) A mesh network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interconnected individual mesh networks
KR20160122447A (ko) 허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댁내 기기 제어 시스템
KR100737693B1 (ko) 이동통신 단말에서의 지그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