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3541A - Blind lifting device - Google Patents
Blind lif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33541A KR20090033541A KR1020070098596A KR20070098596A KR20090033541A KR 20090033541 A KR20090033541 A KR 20090033541A KR 1020070098596 A KR1020070098596 A KR 1020070098596A KR 20070098596 A KR20070098596 A KR 20070098596A KR 20090033541 A KR20090033541 A KR 200900335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tional force
- force transmission
- groove
- restraining
- shaf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454 s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인드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은 힘으로 복수개의 슬레이트로 구성된 블라인드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작동용 와이어의 조작에 대응되게 회전함에 따른 작동축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복수개의 슬레이트로 구성된 블라인드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바닥면에는 작동축을 관통시키기 위한 홀이 천공되고 내주면에는 내접기어부가 형성된 수용홈을 갖는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의 일면에 결착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로 구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재에 수용되되, 상기 작동용 와이어의 조작에 대응되게 회전하고, 회전에 따른 작동축의 작동을 구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작동축의 일단을 삽입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구속수단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구속수단에 일단이 수용 걸림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작동용 와이어의 조작에 대응되게 회전력을 작동축에 전달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력 전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되어 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device for blinds, the object of which is to enable the lifting of the blind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lats with a small force, this object, the rotational force on the operating shaft as it rotates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wire In constructing a lifting device for lifting the blind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lats to pass through, a hole for penetrating the operating shaft in the bottom surf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receiving member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med with an internal gear, and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A housing formed of a cover part provided to be fastened to the housing, and accommodated in the housing member of the housing, the one end of the operating shaft being inserted to rotate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wire and to restrict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shaft due to the rotation. Restraining means provided to be possible, and accommodated in the housing It is achieved by including a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means is provided so that the one end is accommodated in the restraining means is provided to be capable of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to the operating shaft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wire.
Description
본 발명은 블라인드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보안 및 차양을 위해 창문에 설치되는 블라인드의 승강시 적은 힘으로도 복수개의 슬레이트로 구성된 블라인드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블라인드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device for blinds, and more specifically, a blind lifting device for lifting and lowering a blind composed of a plurality of slats with little force during lifting of a blind installed in a window for security and awning of a room. It is about.
주지하는 바와 같이 건물의 창 내측에 설치되어 수동으로 작동되거나, 또는 모터를 이용한 자동화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블라인드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슬레이트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한 상태에서 슬레이트를 승강시키거나 또는 슬레이트의 경사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생화 보호와 난방 및 채광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As is well known, blinds installed inside a window of a building and operated manually, or operated by an automated device using a motor, lift and lower the slats with a plurality of slats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spaced at regular intervals. By adjusting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slats or by controlling the inclination of the slats, and controlling the amount of heating and light.
상기한 블라인드는 수직형 블라인드와 수평형 블라인드로 대분할 수 있다.The blinds can be divided into vertical blinds and horizontal blinds.
즉, 상기한 수직형 블라인드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슬레이트들이 수직으로 구비되는 구조이고, 상기한 수평형 블라인드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복수의 슬레이트들이 수평으로 구비되는 구조이다.That is, the vertical bli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lats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are provided vertically, and the horizontal bli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lats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are provided horizontally.
상기한 수직 및 수평형 블라인드는 승강장치의 승강수단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작동용 와이어의 조작에 대응되게 슬레이트에 연결된 슬레이트용 와이어가 권취수단에 감김 및 풀림됨으로써 복수개의 슬레이트들을 일방향으로 펼치거나 겹쳐지게 감기도록 하여 블라인드를 개폐시키게 된다.The vertical and horizontal blinds are wound or unrolled in one direction by winding and unwinding a plurality of slats in one direction by winding and unwinding a slate wire connected to the slate in response to an operation of an operation wire provided connected to a lifting means of a lifting device. To open and close the blind.
즉, 종래의 일반적인 수평형 블라인드용 승강장치는 천정 또는 벽체 상부에 고정 구비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를 갖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수단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작동용 와이어와, 상기 승강수단의 일측에는 작동축에 의해 승강수단의 회전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용 와이어의 조작에 대응되게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권취수단과, 상기 권취수단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슬레이트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슬레이트 승강용 와이어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conventional general horizontal lifting device for a blind has elevating means having a rotating member rotatably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fixed to the ceiling or wall upper portion, and is provided to rotate the elevating means connected to the elevating means And a winding wire which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member of the lifting means by an operating shaft on one side of the lifting means, and is rotatably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wire, and one end is fixedly connected to the winding means. And, the other end is made of a slate lifting wire which is connected to the slate provided.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수평형 블라인드용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펼쳐진 슬레이트를 감기도록 할 경우에는, 상기한 승강수단에 연결되어 구비된 작동용 와이어를 슬레이트가 감김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승강수단에 내설된 회전부재가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부재와 일단이 축 연결된 작동축이 회전하게 된다.When the unfolded slate is wound by using a conventional general horizontal blind lifting device made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wire connected to the lifting means is pull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ate is wound, which is built in the lifting means. At the same time as the rotating member rotates, the working shaft connected to the rotating member and one end thereof rotates.
상기와 같이 작동축의 회전함에 따른 상기 작동축 타단과 축 연결된 권취수단이 회전함과 동시에 슬레이트 승강용 와이어가 권취수단에 감김되면서 복수개의 슬레이트로 이루어진 블라인드가 감기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s the winding mean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is rotated as the operating shaft rotates, the wire for winding the slate lifts around the winding means, so that a blind made of a plurality of slats is wound.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수평형 블라인드용 승강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용 와이어를 잡아당김에 따른 승강수단의 회전부재가 회전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른 회전력을 작동축으로 직접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작동용 와이어를 잡아 당길 때 힘이 많이들 수 밖에 없어 블라인드의 승강시 작동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general horizontal blind lifting device made as described above to rotate the rotating member of the lifting means by pulling the operation wire as described above, so as to transfer the rotational for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directly to the working shaft. Since it is configured, the user is forced to pull up the operation wire, there is a problem that is very difficult to operate during the lifting of the blind.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작동용 와이어의 조작에 따른 작동축으로 회전력을 직접 전달하지 않고 회전력 전달수단을 통하여 회전력을 작동축에 전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적은 힘으로 복수개의 슬레이트로 구성된 블라인드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한 블라인드용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configuring the rotational force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ng shaft through the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means without directl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to the operating shaf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wire, a small for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fting device for the blind to enable the lifting of the blind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lat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동용 와이어의 조작에 대응되게 회전함에 따른 작동축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복수개의 슬레이트로 구성된 블라인드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바닥면에는 작동축을 관통시키기 위한 홀이 천공되고 내주면에는 내접기어부가 형성된 수용홈을 갖는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의 일면에 결착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로 구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재에 수용되되, 상기 작동용 와이어의 조작에 대응되게 회전하고, 회전에 따른 작동축의 작동을 구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작동축의 일단을 삽입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구속수단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구속수단에 일단이 수용 걸림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작동용 와이어의 조작에 대응되게 회전력을 작동축에 전달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력 전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onstruction of a lifting device for lifting the blind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lates by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operating shaft according to the rot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wire, the bottom surface penetrates the operating shaft The housing is composed of a receiving member having a receiving groove having an internal gear portion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hole for drilling, and a housing comprising a cover part which is fastened to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an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member of the housing. Rotat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nd the restraining means is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operating shaft so as to restrain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shaft according to the rotation, and the one end is installed so as to accommodate the restraining mean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Equipped to transfer the rotational force to the working shaft to correspond to the operation of the wir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including a rotating force transfer means.
또한, 수용부재 일면 일측에는 상기 작동용 와이어의 조작에 따른 가이드가능하도록 가이드축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가이드 로울러로 이루어진 가이드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receiv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ortion made of a guide roller rotatable about the guide shaft to the axis so as to be guid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wire is further provid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승강장치에 따르면, 블랑인드의 승강을 위하여 작동용 와이어를 잡아 당김에 따른 회전력의 전달은 선기어부와 복수개의 유성기어부를 포함하는 회전력 전달수단을 통하여 작동축으로 전달하게 되므로 적은 힘으로도 블라인드를 쉽게 승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lind elev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of the rotational force by pulling the operation wire for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blind, the operating shaft through the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means including a sun gear and a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Since it is delivered to, the effect of being able to raise and lower the blind easily with little for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따른 블라인드용 승강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 of the blind lif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기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in the drawings repres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air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승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설명한다.Next, a preferred embodiment of a blind lif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승강장치(100)는 작동용 와이어(A)의 조작에 대응되게 회전함에 따른 작동축(B)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복수개의 슬레이트로 구성된 블라인드를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바닥면에는 작동축(B)을 관통시키기 위한 홀(111a)이 천공되고 내주면에는 내접기어부(111b)가 형성된 수용홈(111c)을 갖는 수용부재(111)와, 상기 수용부재(111)의 일면에 결착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112)로 구성된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수용부재(111)에 수용되되, 상기 작동용 와이어(A)의 조작에 대응되게 회전하고, 회전에 따른 작동축(B)의 작동을 구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작동축(B)의 일단을 삽입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구속수단(130)과, 상기 하우징(110)에 수용된 구속수단(130)에 일단이 수용 걸림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작동용 와이어(A)의 조작에 대응되게 회전력을 작동축(B)에 전달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력 전달수단(150)으로 이루어진다.1 to 5, the
또한, 상기한 하우징(110)의 수용부재(111) 일면 일측에는 상기 작동용 와이어(A)의 조작에 따른 가이드가능하도록 가이드축(171)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가이드 로울러(173)로 이루어진 가이드부(170)가 구비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receiving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승강장치의 하우 징(1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속수단(130)과 회전력 전달수단(150)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수용부재(111)와, 상기 수용부재(111)의 일면을 막음하기 위한 덮개부(112)로 구성되는 바, 상기한 수용부재(111)는, 상기 구속수단(130)을 안착 수용함과 아울러 바닥면에는 후술할 상기 구속수단(130)의 구속용 기둥부재가 관통 걸림되어 상기 작동축(B)의 일단을 삽입시켜 연결되도록 홀(111a)이 형성되고, 내주면 상부에는 상기 회전력 전달수단(150)와 치합가능하도록 내접기어부(111b)가 형성된 안착턱(111d)을 갖는 수용홈(111c)이 형성된다.In more detail, first, the
또한, 상기 안착턱(111d)에는 구속수단(130)의 수용에 따른 회전을 방지하도록 일정간격 걸림돌기(111e)가 복수개 돌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수용부재(111)의 양면 중앙부에는 상기 덮개부(112)를 장,탈착시킬 수 있도록 결합용돌기(111f)가 돌출 형성된다.In addition, a
그리고, 상기 수용부재(111)의 일면 즉, 상기 수용홈(111c)이 형성된 면의 양측 모서리부에는 작동용 와이어(A)의 조작시 이의 작동용 와이어(A)를 가이드 하기 위해 구비되는 가이드부재(170)를 설치가능하도록 가이드돌기(111g)와 상기한 가이드축(171)의 일단을 삽입 고정시키기 위한 홈(111h)이 각각 형성된다.And, one side of the
상기한 하우징(110)의 덮개부(112)는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일면 양단에는 상기 결합용돌기(111f)를 수용시켜 결합되도록 결착부(112a)가 형성된다.The
상기한 구속수단(130)은, 상기 회전력전달수단(150)의 회전에 따른 작동축(B)으로 회전력을 전달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블라인드의 비조작시 작동축(B)의 회전을 구속하여 블라인드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 수용부재(111)의 수용홈(111c)에 안착구비되는 구속용 링부재(131)와, 상기 구속용 링부재(131)에 내설되는 구속스프링(132)과, 상기 구속스프링(132)을 구속시킴과 아울러 작동축(B)의 일단을 일단내측으로 삽입시켜 연결되는 구속용 기둥부재(135)로 이루어진다.The restraining means 130 allows the transmission of the rotational force to the operating shaft (B)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means 150, and also restrains the rotation of the operating shaft (B) during the non-operation of the blind blind Constrained
즉, 상기한 구속용 링부재(131)는, 상기 수용부재(111)의 수용홈(111c)에 안착되어 비회가능하도록 원형의 링으로 형성되되, 일단 외주면에는 걸림홈(131a)이 형성되고, 타단 내주면에는 상기 구속스프링(132)을 내설시킴에 따른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용 연장편(131b)이 형성된다.That is, the constraining
또한, 상기 구속스프링(132)은 상기 구속용 링부재(131)에 외주면이 압착되도록 내설되되, 양단 자유단은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구속용 절곡부(132a)를 갖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구속용 기둥부재(135)는 상기 구속용 링부재(131)를 관통하여 수용홈(111c)에 안착 걸림되도록 소경부(133)와 대경부(134)를 갖되, 상기 소경부(133)의 중앙부는 작동축(B)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는 작동축 결합용 홈(133a)이 형성되고, 대경부(134)의 외주면에는 회전시 상기 구속스프링(132)의 구속용 절곡부(132a)가 확경되는 방향으로 걸림가능하도록 구속돌기(134a)가 소정거리 이격되어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restricting
상기한 회전력 전달수단(15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용 와이어의 조작에 대응되게 회전됨에 따른 작동축으로 회전력을 전달시키도록 구성 된 것으로, 작동용 와이어의 조작에 대응되게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력전달휠(151)과, 상기 회전력전달휠(151)에 고정 연결되며 외주면에는 기어부를 갖는 회전력전달부재(152)와, 상기 회전력전달부재(152)와 기어물림됨과 아울러 수용부재(111)의 수용홈(111c)에 형성된 내접기어부(111b)와 기어물림가능하게 복수개의 기어를 갖추어 회전력을 감속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회전력전달용 유성부재(157)와, 상기 회전력전달용 유성부재(157)의 일면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기어가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한 유성기어 이탈방지용 결합판(158)으로 구성된다.The rotation force transmitting
즉, 상기 회전력전달휠(151)은, 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한 작동용 와이어(A)를 수용하기 위한 와이어용 홈(151a)이 형성되며, 일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단면 형상의 결합홈(151b)을 갖는 회전력전달돌기(151c)가 돌출 형성된다.That is, the rotational
또한, 상기 회전력전달부재(152)는 상기 회전력전달휠(151)의 결합홈(151b)에 삽입가능하도록 일면에는 대응되는 단면을 갖는 결합돌기(152a)가 돌출형성되고, 타면에는 회전력전달용 유성부재(157)와의 결합에 따른 위치 이동방지를 위한 삽입홈(152b)이 요설되며, 외주면에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선기어부(152c)를 갖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rotational
또한, 상기 회전력전달용 유성부재(157)는 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일면 선단부에는 유성기어축(153)을 삽입시키기 위한 유성기어축홈(154a)이 일정간격 복수개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삽입홈(152b)에 삽입가능한 삽입돌기(154b)가 돌출 형성되며, 타면에는 상기 구속 스프링(132) 내측으로 삽입되어 회전력전달시 상 기 구속스프링(132)의 구속용 절곡부(132a)가 확경되는 방향으로 걸림가능하도록 소정량 돌출된 반호형상의 회전력전달용돌기(154c)가 한 쌍으로 형성된 회전력전달판(154)과, 상기 회전력전달판(154)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유성기어축(153)을 중앙부로 관통시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회전력전달부재(152)와 결합됨에 따른 선기어부(152c)와 기어물림됨과 아울러 상기 수용홈(111c)에 수용됨에 따른 내접기어부(111b)와 기어물림되도록 외주면에는 기어부를 갖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유성기어부(155)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그리고, 상기 유성기어 이탈방지용 결합판(158)은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력전달용 유성부재(157)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복수개의 유성기어부(155)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일면은 상기 유성기어축(153)을 삽입하기 위한 유성기어축용 홈(158a)이 일전간격 복수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planetary gear separation preventing
한편, 상기한 회전력전달휠(151)과 회전력전달부재(152)는 스크류로 체결된다. 즉, 상기 회전력전달휠(151)의 결합홈(151b)에 상기 회전력전달부재(152)의 결합돌기(152a)가 삽입됨에 따른 결착력을 증대시키도록 스크류를 매개로 하여 고정 연결시키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rotational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승강장치(100)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구속용 절곡부(132a)를 갖는 구속스프링(132) 내설된 구속용 링부재(131)를 하우징(110)의 수용부재(111)에 형성된 수용홈(111c)에 수용시킨 후, 구속용 기둥부재(135)의 소경부(133)가 수용홈(111c)의 바닥면에 형성된 홀(111a)을 관통하도록 삽입시킨다.
상기와 안착 삽입된 구속용 링부재(131)는 걸림홈(131a)에 상기 수용홈(111c)의 안착턱(111d)에 형성된 걸림돌기(111e)를 수용시켜 삽입되므로 비회전되게 수용된다.The
또한, 상기 구속용 기둥부재(135)는 대경부(134)의 외주면에 형성된 구속돌기(134a)가 상기 구속스프링(132)의 구속용 절곡부(132a)에 회전시 확경되는 방향으로 걸림가능하도록 삽입된다.In addition, the constraining
상기와 같이 수용홈(111c)에 구속수단(130)이 수용되면, 일면에 복수개의 유성기어부(155)가 유성기어축(15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회전력전달판(154)을 상기 수용홈(111c)측으로 삽입시킨다.When the restraining means 13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상기 유성기어부(155)가 유성기어축(15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회전력전달판(154)이 수용홈(111c)에 삽입됨에 따른 상기 유성기어부(155)는 수용홈(111c)의 내주면에 형성된 내접기어부(111b)와 기어물림되어 진다.As the
또한, 상기 회전력전달판(154)의 타면에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된 회전력전달용돌기(154c)는 회전력전달시 상기 구속스프링(132)의 구속용 절곡부(132a)가 확경되는 방향으로 걸림가능하도록 상기 구속 스프링(132) 내측으로 삽입된다.In addition, the rotational
이와 같이 복수개이 유성기어부(155)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회전력전달판(154)이 상기 수용홈(111c)에 삽입되면, 일면에 회전력전달부재(152)가 결합 구비된 회전력 전달휠(151)을 수용홈(111c)측으로 삽입시킨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rotational
상기와 같이 회전력 전달휠(151)이 수용홈(111c)에 삽입되면, 이의 회전력 전달휠(151)의 일면에 구비된 회전력전달부재(152)의 선기어부(152c)는 상기 유성 기어부(155)와 기어물림되게 삽입된다.When the rotational
상기와 같이 수용부재(111)의 수용홈(111c)에 구속수단(130)과, 회전력전달수단(150)이 수용되면, 작동용 와이어(A)를 회전력 전달휠(151)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이어용 홈(151a)에 끼움시킨 후, 작동용 와이어(A)의 일단을 가이드부재(170)의 가이드로울러(173) 외주면에 접촉되게 가이드시키고 타단을 가이드돌기(111g)에 가이드시킨다.When the constraining means 130 and the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means 150 are accommodated in the
이후, 상기 수용부재(111)에 형성된 결합용돌기(111f)와 덮개부(112)에 형성된 결착부(112a)를 일치시켜 소정의 힘을 가하여 상기 덮개부(112)를 수용부재(111)에 결합시킨 후, 상기 수용홈(111c)의 바닥면에 형성된 홀(111a)에 관통하여 돌출된 소경부(133)의 작동축 결합용 홈(133a)에 상기 작동축(B)의 일단을 삽입시킴으로써 승강장치(100)의 조립이 완료되어 진다.Subsequently, the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승강장치(100)를 설치하여 블라인드를 감김시키고자 작동용 와이어(A)를 당기게 되면, 상기 작동용 와이어(A)의 당김으로 회전력 전달휠(151)과 상기 회전력 전달휠(151)의 일면에 고정된 회전력전달부재(152)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력전달부재(152)의 회전력은 선기어부(152c)와 기어물림된 유성기어부(155)로 전달되며 이의 유성기어부(155)가 회전함에 따른 회전력전달판(154)이 회전하게 된다.When the pulling device for pulling the operation wire (A) to wind the blind by installing the
상기한 회전력전달판(154)의 회전으로 회전력전달용돌기(154c)가 구속스프링(132)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고, 회전력을 전달받은 상기 구속스프링(132)은 구속용 링부재(131)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The rotational
따라서, 상기 구속스프링(132)의 구속용 절곡부(132a)에 대경부(134)의 구속돌기(134a)가 걸림된 구속용 기둥부재(135)가 회전함에 따른 작동축(B)이 회전하게 되어 블라인드가 감김되어 진다.Accordingly, the operating shaft B rotates as the restricting
한편, 상기와 같이 작동축(B)의 회전이 완료 즉, 블라인드의 감김이 완료되면, 상기한 작동축(B)은 구속수단(130)에 의해 구속되어 비회전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otation of the operating shaft (B)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winding of the blind is completed, the operating shaft (B) is constrained by the restraining means 130 to be non-rotating.
즉, 상기와 같이 감김된 블라인드가 풀림되는 방향으로 작동축(B)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작동축(B)의 일단과 연결된 구속용 기둥부(135)의 대경부(134) 외주면에 형성된 구속돌기(134a)가 구속스프링(132)의 구속용 절곡부(132a)를 확경되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됨으로써 상기 구속스프링(132)의 직경은 확경되어 지고 따라서 구속용 링부재(131)에 내설된 구속스프링(132)이 회전하지 않게 되는바, 상기 작동축(B)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That is, when the operating shaft (B)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ound blind wound as described above, the restraint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승강장치는 선기어부와 복수개의 유성기어부를 포함하는 회전력 전달수단에 의해 블라인드 승강시 적은 힘으로도 블라인드를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lind lif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lift and lower the blind with little force when the blind is lifted by the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means including the sun gear part and 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 part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승강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fting device for the bli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승강장치의 하우징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using of the lifting device for the blind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승강장치의 회전력 전달수단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means of the lifting device for the blind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승강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ft device for the blin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승강장치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ifting device for the blind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블라인드용 승강장치 110 ; 하우징100;
130 ; 구속수단 150 ; 회전력 전달수단130; Restraining means 150; Torque transmission means
170 ; 가이드부 A ; 작동용 와이어170; Guide part A; Operating wire
B ; 작동축B; Working shaft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98596A KR20090033541A (en) | 2007-10-01 | 2007-10-01 | Blind lif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98596A KR20090033541A (en) | 2007-10-01 | 2007-10-01 | Blind lift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33541A true KR20090033541A (en) | 2009-04-06 |
Family
ID=40759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98596A Abandoned KR20090033541A (en) | 2007-10-01 | 2007-10-01 | Blind lif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33541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8404B1 (en) * | 2012-06-14 | 2013-10-16 | 박해성 | Curtain elevating drive |
US9890583B2 (en) | 2011-05-16 | 2018-02-13 | Maxxmar Inc. | Blind assembly with two blind head rail |
KR102551762B1 (en) | 2023-03-06 | 2023-07-04 | 이현우 | Blind elevation device |
-
2007
- 2007-10-01 KR KR1020070098596A patent/KR20090033541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890583B2 (en) | 2011-05-16 | 2018-02-13 | Maxxmar Inc. | Blind assembly with two blind head rail |
KR101318404B1 (en) * | 2012-06-14 | 2013-10-16 | 박해성 | Curtain elevating drive |
KR102551762B1 (en) | 2023-03-06 | 2023-07-04 | 이현우 | Blind elevation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43044B1 (en) | - selective tilting for blinds-variable radius wrap double pitch | |
EP2877666B1 (en) | Window shade, its control modu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TWI477690B (en) | Selective tilting arrangement for a blind system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and method for selectively tilting the slats of a blind | |
US20090223641A1 (en) | Cordless Roller Shade | |
AU2013225057B2 (en) | Blind tilt assembly and method of controlling tilt ladders | |
EP3705679B1 (en) | Bottom rail assembly for a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structure and related assembly methods | |
US11686151B2 (en) | Motorized shade and wand assembly | |
JP6872020B2 (en) | Window shade | |
KR20090033541A (en) | Blind lifting device | |
TWI572771B (en) | The sun shading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JP2005521815A (en) | A mechanism to tension the compensating spring for closure or sunshade equipment | |
EP1882805A2 (en) | Reversable direction activation mechanism for blinds | |
JP3896342B2 (en) | Electric blinds | |
US11866992B2 (en) | Cordless operating safety blind | |
KR102031526B1 (en) | Smart Privacy Button Blind | |
JP2019065564A (en) | Delay device and horizontal blind | |
KR101323021B1 (en) | One-code type blind apparatus | |
KR20090033540A (en) | Blind lifting wire winding device | |
KR100500716B1 (en) | Both course be coiled roll blind | |
KR102551762B1 (en) | Blind elevation device | |
KR20110073891A (en) | Blind device | |
JP5315009B2 (en) | blind | |
JP2012012866A (en) | Horizontal blind | |
KR102028024B1 (en) | Head rail assembly for multi blind | |
KR100547287B1 (en) | Drive Bracket for Roll Scre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30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