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3435A - Rf rx front end module for picocell and microcell base station transceivers - Google Patents

Rf rx front end module for picocell and microcell base station transceiv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3435A
KR20090033435A KR1020097000225A KR20097000225A KR20090033435A KR 20090033435 A KR20090033435 A KR 20090033435A KR 1020097000225 A KR1020097000225 A KR 1020097000225A KR 20097000225 A KR20097000225 A KR 20097000225A KR 20090033435 A KR20090033435 A KR 20090033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receive
pass filter
substrate
duple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02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토마스 크네히트
글렌 리저
딘 클락
Original Assignee
시티에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티에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시티에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33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43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08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1One or more single auxiliary printed circuits mounted on a main printed circuit, e.g. modules, adap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05K9/002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of component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37High frequency adaptations
    • H05K1/0243Printed circuits associated with mounted high frequency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63Holes or slots in insulating substrate not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71Shields or metal cases

Abstract

An RF Rx module adapted for direct surface mounting to the top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motherboard of a picocell. The module comprises a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plurality of direct surface mounted discrete electrical components defining a receive (Rx) section and path for RF signals. The signal receive section is defined by at least the following elements located under a lid which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board: a duplexer, a receive low pass filter, a low-noise amplifier, and a receive bandpass filter. At least one aperture in the board is adapted to accept a screw or the like for securing the module to the motherboard of the picocell.

Description

피코셀 및 마이크로셀 기지국 트랜시버용 RF 수신 전단 모듈{RF Rx FRONT END MODULE FOR PICOCELL AND MICROCELL BASE STATION TRANSCEIVERS}RF Rx FRONT END MODULE FOR PICOCELL AND MICROCELL BASE STATION TRANSCEIVERS for picocell and microcell base station transceivers

본 발명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코셀룰러 또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기지국의 전단에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수신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dio frequency reception module for use in front of a picocellular or microcellular communication base station.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Cross Reference of Related Application

본 출원은 2006년 6월 14일 출원된 미국 출원번호 제11/452,800호의 일부 계속 출원으로서 그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거기에 언급된 모든 내용은 여기에 참고로 편입된다. This application is part of United States Application No. 11 / 452,800, filed June 14, 2006, which claims the benefit of that priority, all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현재, WCDMA와 UMTS 기반 셀룰러 통신 신호의 송수신에 사용되는 셀룰러 통신 기지국 또는 시스템은, 매크로셀(macrocell), 마이크로셀(microcell) 및 피코셀(picocell)의 세 종류가 있다. 매크로셀은 오늘날 셀룰러 타워(cellular tower)의 꼭대기에 위치하며 약 1,000와트에서 동작한다. 매크로셀의 커버리지(coverage)는 수 마일이다. 마이크로셀은 매크로셀보다 크기가 작으며 예를 들어, 전신주(telephone pole) 꼭대기에 위치하며 커버지리는 수 블록(block)이다. 마이크로셀은 약 20와트에서 동작한다. 더 작은 마이크로셀은 약 5와트의 동작 전력을 필요로 한다. 피코셀은 크기가 약 8" x 18" 인 기지국(base station)이며 쇼 핑몰, 오피스 빌딩 등과 같은 건물 내부에서 사용되고 약 0.25와트의 전력을 출력한다. 피코셀의 커버리지는 약 50야드이다.Currently, there are three types of cellular communication base stations or systems use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CDMA and UMTS-based cellular communication signals, macrocells, microcells, and picocells. Macrocells are located on top of today's cellular towers and operate at about 1,000 watts. Macrocell coverage is several miles. Microcells are smaller than macrocells, for example, located on top of a telephone pole and covered by a number of blocks. The microcell operates at about 20 watts. Smaller microcells require about 5 watts of operating power. Picocells are base stations (approximately 8 "x 18") in size and are used inside buildings such as shopping malls and office buildings and output about 0.25 watts of power. Picocell's coverage is about 50 yards.

오늘날 사용되는 모든 피코셀과 마이크로셀은 다양한 전자 부품(component)이 실장되는 "마더보드(motherboard)"를 포함한다. 마더보드의 전단부(즉, 대략 피코셀 안테나와 믹서 사이에 위치하는 RF 트랜시버부)는 현재 당업계에서는 "노드 B 로컬 영역 전단부," 즉 무선 주파수 제어 전기 부품이 실장되는 피코셀 또는 마이크로셀의 일부로서 일컬어지고 있다. All picocells and microcells in use today include "motherboards" on which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mounted. The front end of the motherboard (ie the RF transceiver part approximately located between the picocell antenna and the mixer) is currently known in the art as a "node B local area front end," ie a picocell or microcell in which radio frequency controlled electrical components are mounted. It is said to be part of.

본 발명은 노드 B 로컬 영역 Rx(수신) 경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RF Rx(수신) 부품을 대체하고/하거나 기존 RF Rx(수신) 부품을 보완하여 듀얼(dual) Rx 다양성(diversity)을 제공하는 소형의 전단 RF 부품 모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places RF Rx (receive) components typically used in Node B local area Rx (receive) paths and / or complements existing RF Rx (receive) components to provide dual Rx diversity. Provides a small shear RF component module.

본 발명은 직접 실장되는 복수의 개별 전기 부품을 갖는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피코셀 또는 마이크로셀 기지국의 전단부에 사용되며, 일단에서의 피코셀 또는 마이크로셀의 안테나와 타단에서의 피코셀 또는 마이크로셀의 마더보드 상의 각 출력 패드 사이에서 셀룰러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는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t the front end of a picocell or microcell base station comprising a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electrical components directly mounted thereon, the antenna of the picocell or microcell at one end and the picocell or micro at the other end. A module for receiving a cellular signal between each output pad on a cell's motherboard.

한 실시예에서, 모듈은 적어도 듀플렉서, 수신 저역 통과 필터, 선택적인 감쇠기 패드, 저잡음 증폭기 및 수신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한다. 듀플렉서, 수신 대역 통과 필터 및 저잡음 증폭기는 모두 덮개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듀플렉서, 수신 저역 통과 필터 및 수신 대역 통과 필터는 수신 셀룰러 신호, 즉 피코셀 또는 마이크로셀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셀룰러 신호의 분산 필터링(distributed filtering)을 제공한다. 기판의 개구부는 소비자의 마더보드에 모듈을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 등을 수용한다.In one embodiment, the module includes at least a duplexer, a receive low pass filter, an optional attenuator pad, a low noise amplifier, and a receive band pass filter. The duplexer, receive bandpass filter and low noise amplifier are all preferably located under the cover. The duplexer, receive low pass filter, and receive band pass filter provide distributed filtering of the received cellular signal, i.e., the cellular signal received via the picocell or microcell antenna. Openings in the substrate accommodate screws and the like for securing the module to the consumer's motherboard.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 및 청구범위로부터 더욱 쉽게 명백해질 것이다.Other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claims.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하는 도면의 이하의 설명으로 완벽하게 이해될 것이다.These and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l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전단 수신 모듈을 정의하는 여러 RF 부품을 통과하는 셀룰러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간략 블록도이다.1 is a simplified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flow of cellular signals through various RF components that define the shear receiv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단 수신 모듈의 확대 사시도이다.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hear receiv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서 덮개를 제거한 전단 수신 모듈의 확대 평면도이다.3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shear receiving module with the cover removed from FIG.

도 4A 및 4B는 각각 본 발명의 전단 수신 모듈 덮개의 평면 및 저면 사시도이다. 4A and 4B are top and bottom perspective views, respectively, of the front end receiving modul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전단 수신 모듈의 확대 저면도이다.5 is an enlarged bottom view of the shear receiv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전단 수신 모듈의 전기 회로의 개략도이다.6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electrical circuit of the shear receiv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수신 모듈의 수신 이득 성능의 그래프이다.7 is a graph of the receive gain performance of the receiv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전단 모듈의 인쇄 회로 기판의 확대된 간략 평면도이다8 is an enlarged simplified plan view of a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front end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여러 상이한 형태의 실시예가 가능하지만,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피코셀에 사용되는 오직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발명의 한 예로서 기재하 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마이크로셀에도 또한 확장된다.While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illustrate only one preferred embodiment for use in picocells as an example of the invention. However,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is also extended to, for example, microcells.

선택된 도면들에서, 단일 블록 또는 셀은 단일 기능을 집합적으로 수행하는 수 개의 개별적인 부품 및/또는 회로를 나타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선은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 개의 개별적인 신호 또는 에너지 전달 경로를 나타낼 수 있다.In the selected figures, a single block or cell may represent several individual components and / or circuits that collectively perform a single function. Likewise, one line may represent several individual signal or energy transfer paths for performing a particular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20으로 나타낸 RF(radio frequency) 전단 수신 모듈의 간략 블록도로서, 피코셀 또는 마이크로셀과 함께 사용된다.1 is a simplified block diagram of a radio frequency (RF) shear receiving modul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generally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20, used with a picocell or microcell.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수신 모듈(20)은 수신 경로(즉, RF 신호 수신 경로)의 세 개의 개별적인 RF 필터, 즉 듀플렉서(duplexer)(34), 저역 통과 필터(LPF)(36) 및 수신 대역 통과 필터(Rx BPF)(40)를 이용한 분산 필터링을 한다. 모듈(20)은 특히 3G 광대역 CDMA 시장, 특히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ervice)에 사용된다. 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receiving module 20 comprises three separate RF filters, i.e., a duplexer 34, a low pass filter (LPF) 36, of the receive path (i.e., the RF signal receive path) and Distributed filtering is performed using a receive band pass filter (Rx BPF) 40. The module 20 is used in particular in the 3G broadband CDMA market, in particular in the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ervice (UMTS).

모듈(20)은 UMTS 노드 B 로컬 영역 전단의 수신 경로에 사용되는 RF 수신 부품을 대체한다(하고/하거나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원하는 응용에 따라 보완한다). 모듈(20)은 TS25.104 R6 표준에 따르며 소비자가 수신기 감도, 선택도 및 출력 전력에 대한 서로 다른 값들을 선택하게 한다. 또한, 모듈(20)은 RoHS를 따르며 납이 없다(lead-free). 전술한 바와 같은 그리고 이하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는 모듈(20)의 일부 특징은 수신 선형성을 증대시키는 바이패스 모 드(bypass mode)를 포함하는 저잡음 증폭기와 함께 절연성과 고조파 억압성(harmonic suppression)이 뛰어난 분산 필터링 구성을 포함한다. Module 20 replaces the RF receiving component used in the receive path in front of the UMTS Node B local area (and / or complements according to the desired application as described in detail below). Module 20 complies with the TS25.104 R6 standard and allows the consumer to select different values for receiver sensitivity, selectivity and output power. In addition, module 20 is RoHS compliant and lead-free. Some features of module 20 as described above and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include isolation and harmonic suppression with a low noise amplifier including a bypass mode that increases receive linearity. Includes an excellent distributed filtering configuration.

도 7은 본 발명의 모듈(20)의 수신 이득 성능 특성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한 성능을 제공하는 기본 모듈 동작 파라미터를 표 A-D에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7 shows the receive gain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modul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 module operating parameters providing the performance shown in FIG. 7 are summarized in Tables A-D as follows.

Figure 112009000652275-PCT00001
Figure 112009000652275-PCT00001

Figure 112009000652275-PCT00002
Figure 112009000652275-PCT00002

Figure 112009000652275-PCT00003
Figure 112009000652275-PCT00003

Figure 112009000652275-PCT00004
Figure 112009000652275-PCT00004

Figure 112009000652275-PCT00005
Figure 112009000652275-PCT00005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모듈(20)은 RF 신호 수신부(receive section) 또는 수신 경로를 정의하는 복수의 개별 RF 수신 전기 부품 및 핀(pin)에 의하여 정의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Referring now to FIG. 1, module 20 is understood to be defined by a plurality of individual RF receiving electrical components and pins defining an RF signal receiving section or receive path.

피코셀 또는 마이크로셀 안테나(도시 안됨)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즉, 수신 신호)와 모듈(20)을 통하여 송신되는 신호의 수신부 또는 수신 경로에 대하여 도 1을 참고로 설명하며, 이는 12번 모듈 안테나 핀과 Indiana, Elkhart 소재 CTS사에서 제조 판매하는 유형의 듀플렉서(34)를 최초로 통과하여 피코셀 또는 마이크로셀 안테나(미도시)로부터 왼쪽부터 오른쪽, 즉 시계방향으로 전달되어 송신되는 수신 신호를 나타낸다. The receiving unit or receiving path of a signal (ie, a received signal) received from a picocell or microcell antenna (not shown) and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module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 first pass through a pin and a duplexer 34 of the type manufactured by CTS, Indiana, Elkhart, and received from the picocell or microcell antenna (not shown), transmitted from left to right, that is, clockwise.

듀플렉서(34)는 물론 수신 신호를 수신 저역 통과 필터(36)의 시계방향으로 통과시키는 것으로 주지의 기술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 저역 통과 필터(36)는 듀플렉서(34)의 고조파(harmonics)를 감소시켜 12.75GHz까지의 임의의 스퓨어리스 응답(spurious response)이 -30dB 이상의 감쇠되는 것을 보장한다. 일반적으로 화살표(41)로 나타낸, 저역 통과 필터(36)로부터의 수신 신호는 선택적으로 3dB 감쇠기 패드(37)(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것처럼 개별 저항 R5, R6 및 R8로 이루어짐)를 통과할 수 있고, 이어 LNA(low noise amplifier)(39)를 통과한다. The duplexer 34 is, of course, configured to pass the received signal clockwise of the received low pass filter 3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e low pass filter 36 reduces the harmonics of the duplexer 34 to ensure that any spurious response up to 12.75 GHz is attenuated above -30 dB.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low pass filter 36, generally indicated by arrow 41, can optionally pass through a 3 dB attenuator pad 37 (consisting of individual resistors R5, R6 and R8, as detailed below). Then, it passes through a low noise amplifier (LNA) 39.

본 발명에 따르면, 감쇠기 패드(37)는 선택적이며 수신 체인(receive chain)을 덜 민감하게 하고 수신기를 더욱 선형적으로 만드는데, 즉, 예를 들어, 다른 장치가 피코셀에 매우 근접하여 동작하는 환경에 노드 B가 배치된 경우 수신 체인을 복원(decompress)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선형성을 희생하여 감도를 높이고자 하는 경우, 패드(37)는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선택적으로 패드(37)는 전적으로 생략될 수도 있다. 모든 3GPP 규격은 3dB 패드(37)를 위치시키는 경우에도 충족된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attenuator pad 37 is optional and makes the receive chain less sensitive and makes the receiver more linear, ie an environment in which other devices operate very close to the picocell, for example. Node B may be used to decompress the receive chain. If the sensitivity is to be increased at the expense of linearity, the pad 37 may have a different value. Of course, the pad 37 may optionally be omitted entirely. All 3GPP specifications are met even when placing a 3dB pad 37.

저잡음 증폭기(39)는 9번 VLNA(LNA 공급 전압) 핀과 10번 LNA(저잡음 증폭기) 이득 선택 핀에 연결되어 있다. LNA는 통상의 모드 또는 바이패스 모드에서 1.3dB의 잡음 수치와 14dB의 이득과, 통상적으로 4.3dB NF와 -3dB 이득을 갖는다. LNA는 매우 선형적이며 분산된 듀플렉서 아키텍처 내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된다.The low noise amplifier 39 is connected to the VLNA (LNA supply voltage) pin 9 and the LNA (low noise amplifier) gain select pin 10. The LNA has a noise figure of 1.3 dB and a gain of 14 dB in normal or bypass mode, and typically has a 4.3 dB NF and -3 dB gain. LNAs are designed to operate within a very linear and distributed duplexer architecture.

이어, 수신 신호는 저잡음 증폭기(39)로부터, 또한 Indiana, Elkhart 소재 CTS사에서 제조 판매하는 유형의 Rx BPF(수신 대역통과 세라믹 필터)(40)를 거쳐서 전달된다. 수신 신호(41)는 수신 대역통과 필터(40)로부터 6번 수신 출력 신호 핀 을 통과하는데, 이 핀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피코셀 또는 마이크로셀의 마더보드 상의 대응 수신 출력 신호 패드(미도시)로의 직접 표면 연결(direct surface coupling)을 위하여 모듈(20)의 상부면과 저부면 사이로 연장된다. The received signal is then transmitted from the low noise amplifier 39 and also via an Rx BPF (receive bandpass ceramic filter) 40 of the type manufactured and sold by CTS of Elkhart, Indiana. The receive signal 41 passes through the six receive output signal pins from the receive bandpass filter 40, which pins correspond to the corresponding receive output signal pads on the motherboard of the picocell or microcell as described below. And extends betwee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module 20 for direct surface coupling.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 대역 통과 필터(40)는 듀플렉서(34)와 함께 동작하여 송신 절연에 대하여 80dB 초과 수신을 제공한다. 또한, 필터(40)는 TS25.104 R6 표준을 따르기 위하여 필요한 포위 차단(close-in blocking)을 제공하는 기능을 보조한다. TS25.104 R6 표준이 가장 어려운 면 중 하나는 1.9GHz 및 2GHz에서 15dB 내지 20dB의 전단 감쇠에 이르는 차단 요건이다.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 bandpass filter 40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duplexer 34 to provide greater than 80 dB of reception for transmit isolation. In addition, filter 40 assists in providing the close-in blocking necessary to comply with the TS25.104 R6 standard. One of the most challenging aspects of the TS25.104 R6 standard is the blocking requirement from 15dB to 20dB shear attenuation at 1.9GHz and 2GHz.

도 2 내지 도 5와 도 8은 모듈(20)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배경으로서, 도 2에 도시한 모듈(20)은 치수가 약 폭 25.0mm, 길이 30.5mm, 높이가 최대 6.75mm (부착된 덮개 포함)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쇼핑 몰이나 오피스 건물과 같은 건물 내에서 셀룰러 신호 전송 기지국으로 사용되는, 8인치x18인치 크기의 피코셀의 마더보드에 실장된다는 것이 이해된다. 피코셀의 통상의 출력 전력은 약 250mW이다. 피코셀이 수신하는 수신 신호의 주파수는 약 1920 내지 1980MHz 사이이며 저잡음 증폭기 공급 전압은 약 4.5 내지 5.5볼트 사이이고 일반적으로 약 5.0볼트이다.2-5 and 8 show one embodiment of a module 20. As a background, the module 20 shown in FIG. 2 has dimensions of about 25.0 mm in width, 30.5 mm in length, and a maximum of 6.75 mm in height (including the attached cover), and as described above, in a building such as a shopping mall or an office building. It is understood that it is mounted on a motherboard of 8 inches by 18 inches of picocell, which is used as a cellular signal transmission base station. Typical output power of picocells is about 250 mW. The frequency of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by the picocell is between about 1920 and 1980 MHz and the low noise amplifier supply voltage is between about 4.5 and 5.5 volts and typically about 5.0 volts.

도시한 실시예에서, 모듈(20)은 먼저 도시된 실시예에서 GETEK®등의 유전 물질의 4개 층으로 이루어지고 두께 약 1mm(즉, 0.040인치)인 인쇄 회로 기판 또는 기판(22)을 포함한다. 기판(22)의 소정 영역은 구리 등의 물질과 땜납 마스크 물질(solder mask material)로 덮여 있으며, 이 둘은 당업계에서 주지된 바와 같이 기판에 적용되어 있고/있거나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다양한 구리, 유전체 및 땜납 마스크 영역을 기판(22) 상에 형성한다. 금속화 시스템은 구리 상의 ENIG(electroless nickel/immersion gold)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module 20 first comprises a printed circuit board or substrate 22 consisting of four layers of dielectric material such as GETEK®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d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 mm (ie, 0.040 inch). do. Certain areas of the substrate 22 are covered with a material such as copper and a solder mask material, both of which are applied to the substrate and / or selectively removed as known in the art to provide various copper, dielectric materials. And a solder mask region is formed on the substrate 22. The metallization system is preferably electroless nickel / immersion gold (ENIG) on copper.

인쇄 회로 기판(22) 영역의 약 2/3를 덮고 있는 덮개(45)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도 4A 및 4B에 상세히 도시한 것처럼 ROHS 준수 목적으로 Cu/Ni/Sn(구리/니켈/주석)이 도금된 물질을 포함하는 황동 합금(brass)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리선 또는 띠(47) 위에 위치하는 기판(22) 상부면 영역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덮개(45)로 덮이는 기판(22) 부분을 정의한다. 덮개(45)는 먼지 차단과 패러데이 실드(Faraday shield)로 기능한다. The lid 45 covering about two thirds of the area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2 is Cu / Ni / Sn (copper / nickel / tin) for ROHS compliance purposes as detailed below and as detailed in FIGS. 4A and 4B. It is preferably a brass alloy comprising this plated material. The reg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22 located above the copper wire or strip 47 defines a portion of the substrate 22 covered with the lid 45 a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cover 45 functions as a dust shield and a Faraday shield.

통상 사각형인 기판(22)은 상부면(23)(도 3 및 도 8), 하부면(27)(도 5), 그리고 상하면 또는 가장자리(42, 44)와 측면 또는 가장자리(46, 48)(도 3 및 도 5)를 정의하는 외주측 가장자리를 갖는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는 않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판(22)은 예를 들어, 저부 RF 접지 평면층, RF 중간 신호층, 상부 RF 접지층, 그리고 최상부 DC 층 및 접지층과 같이 당업계 주지의 도전 물질의 각 층 사이에 위치하는 적절한 유전 물질을 적층한 복수층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해된다. The substrate 22, which is usually rectangular, has an upper surface 23 (FIGS. 3 and 8), a lower surface 27 (FIG. 5), and an upper or lower surface 42 or 44 and side or edges 46 and 48 ( It has an outer peripheral edge defining FIGS. 3 and 5). Although not described in greater detail,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ubstrate 22 is well known in the art, such as, for example, a bottom RF ground plane layer, an RF intermediate signal layer, a top RF ground layer, and a top DC layer and a ground layer. It is understood that a plurality of layers are stacked of appropriate dielectric materials located between each layer of conductive material.

캐스텔레이션(castellation)(35, 37)은 기판(22)의 외주 가장자리 부근에 정의되고 위치한다. 캐스텔레이션(35)은 모듈(20)의 다양한 접지 및 DC 입출력 핀을 정의하는 반면, 슬롯 또는 캐스텔레이션(37)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덮개(45)의 탭(tab)을 수용한다. Castellations 35 and 37 are defined and located near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bstrate 22. The castelation 35 defines the various ground and DC input and output pins of the module 20, while the slots or castels 37 receive tabs of the lid 45 as described in detail below. do.

모듈(20)은 표 E에 기호와 기능을 요약한 모두 13개의 핀을 정의한다.Module 20 defines all 13 pins in Table E which summarize the symbols and functions.

Figure 112009000652275-PCT00006
Figure 112009000652275-PCT00006

캐스텔레이션(35)은 각 가장자리(42, 44, 46, 48)에 패인 반원형 금속화 홈(metallized semicircular groove)으로 정의되며 기판(22)의 상부면과 하부면(23, 27) 사이로 각각 연장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캐스텔레이션(35)은 어레이로부터 기판의 제조 시에 반으로 자른 도금된 관통구(plated through-hole)로 정의된다. 캐스텔레이션(35)은 기판(22)의 각 가장자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된다. 도 3 및 도 8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부 가장자리(42)는 4개의 이격된 캐스텔레이션(35)을, 하부 가장자리(44)는 세 개의 이격된 캐스텔레이션(35), 측면 가장자리(46, 48) 각각은 한 개의 캐스텔레이션(35)을 각각 정의한다.The castelation 35 is defined as a metallized semicircular groove recessed at each edge 42, 44, 46, 48 and extend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23, 27 of the substrate 22, respectively. do.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astelation 35 is defined as a plated through-hole cut in half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the substrate from the array. The castellation 35 extends in parallel and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edge of the substrate 22.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3 and 8, the upper edge 42 has four spaced castels 35, and the lower edge 44 has three spaced castels 35, the side edges ( 46 and 48 each define one castellation 35, respectively.

측면 가장자리(46, 48) 각각은 서로 정반대로 이격되어 있는 금속화 캐스텔레이션(37) 한 쌍을 정의한다. 각 캐스텔레이션(37)은 각 기판 측면 가장자리(46, 48)에 패인 확장 또는 연장된 타원형 홈으로 정의된다. 모든 캐스텔레이션은 구리선 또는 구리 띠(47) 상에 위치한다. Each of the lateral edges 46, 48 defines a pair of metallized castels 37 spaced opposite each other. Each castellation 37 is defined by an elliptical groove extending or extending into each substrate side edge 46, 48. All castels are located on copper wire or copper strip 47.

각 캐스텔레이션(35, 37)의 외부면(outer surface)은 전기 도금 등에 의하여 구리층 등의 도전 물질로 코팅되며, 이 물질은 당업계에서 주지하는 바대로 기판(22)의 제조 과정 중에 처음에 기판(22)의 모든 면에 적용되고 표면의 선택적인 부분에서 제거하여 구리 코팅 캐스텔레이션(35, 37)을 정의한다. 캐스텔레이션(35, 37)과 특히 그 위의 구리는 기판(22)의 상부면(23)과 하부면(27) 사이의 전기 경로를 형성한다.The outer surface of each castel 35, 37 is coa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 copper layer by electroplating or the like, which material is first known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ubstrate 22 as is known in the art. Is applied to all sides of the substrate 22 and removed from optional portions of the surface to define the copper coated castels 35, 37. The castels 35, 37 and in particular the copper thereon form an electrical path between the upper surface 23 and the lower surface 27 of the substrate 22.

캐스텔레이션(37)은 접지될 수 있다. 구리는 캐스텔레이션(35) 각각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 주변으로 연장되어 기판(22)의 상부면(23) 상에 그리고 각 캐스텔레이션(35)의 상부 가장자리를 둘러 싸면서 구리 등의 도전 물질(35a)의 띠 또는 패드를 정의하고(도 3 및 도 8), 일반적으로 사각형인 복수의 띠(35b)는 각 캐스텔레이션(35)의 하부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기판(22)의 하부면(27)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패드를 정의한다(도 5).The castelation 37 may be grounded. Copper extends around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each of the castels 35 and surrounds the upper surface 23 of the substrate 22 and surrounds the upper edges of each castel 35, such as copper. A band or pad of 35a is defined (FIGS. 3 and 8), and a plurality of generally rectangular strips 35b extend inwardly from the bottom edge of each castel 35 so that the bottom of the substrate 22 is lower. A plurality of pads defined on the face 27 are defined (FIG. 5).

기판(22)의 하부면(27) 상에 정의되는 모든 패드와 캐스텔레이션은 모듈(20)이 피코셀(미도시)의 마더보드의 표면에 위치하는 해당 패드에 대하여 리플로우 납땜 등으로 직접 표면 실장되게 한다. 모든 패드와 캐스텔레이션은 상부와 하부 기판 표면 사이에 적절한 전기 경로를 형성한다.All pads and castels defined on the bottom surface 27 of the substrate 22 are directly reflow soldered or the like to the corresponding pads where the module 20 is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motherboard of the picocell (not shown). Allow surface mount. All pads and castels form a suitable electrical path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 surfaces.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9번과 10번 핀을 정의하는 캐스텔레이션(35)의 패드(35a, 35b)는 접지 핀이 아니므로 구리 등의 물질로 덮이지 않는 기판(22)의 상부면과 하부면의 각 영역(도 8의 35c, 도 5의 35d), 즉 기판 유전 물질의 영역에 의하여 둘러 싸인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pads 35a and 35b of the castels 35 defining pins 9 and 10 are not ground pins and thus are not covered with a material such as copper. Each region (35c in FIG. 8, 35d in FIG. 5)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bstrate 22 is surrounded by a region of the substrate dielectric material.

각 캐스텔레이션(37)은 기판(22)의 상부면(23)과 하부면(27)에 각각 형성되며 각 캐스텔레이션(37)의 상부 및 하부 주변 가장자리를 각각 둘러 싸는 구리 등의 도전 물질의 띠 또는 패드(도 3의 37a, 도 5의 37b)를 추가로 정의한다. Each castellation 37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23 and the lower surface 27 of the substrate 22, respectively, and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opper surrounding the upper and lower peripheral edges of the respective castellation 37, respectively. The band or pad of (37a in FIG. 3, 37b in FIG. 5) is further defined.

상부 캐스텔레이션(37) 각각은 추가로 각 구리 띠(37a)로부터 연장되어 각 위쪽 캐스텔레이션(37)을 둘러 싸고 기판(22)의 상부 모서리 주변으로 연장되는 구리 등의 도전 물질의 모서리 띠(corner strip)(도 3의 37c)를 정의하는 한편, 각 아래쪽 캐스텔레이션(37)의 띠(37a)는 각각 상부와 하부 기판 가장자리(42, 44)에 대하여 이격되어 평행하게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각 확장 구리 띠 또는 선(47)의 끝에 연결되어 있다. 기판 좌측의 모서리 띠(37c)는 10번 LNA 이득 선택 핀을 정의하는 캐스텔레이션(35)의 띠(35a)와 이격되어 있다. Each of the upper castels 37 further extends from each copper strip 37a to enclose each upper castel 37 and edge strips of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opper extending around the upper edge of the substrate 22. (corner strip) (37c in FIG. 3), while the strips 37a of each lower castelation 37 are spaced apart and parallel to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 edges 42 and 44, respectively, and extend therebetween. Are connected to the ends of each expanded copper strip or line 47. The edge strip 37c on the left side of the substrate is spaced apart from the strip 35a of the castel 35 that defines the LNA gain select pin 10.

구리 등의 물질의 띠(37e)(도 3)는 좌측 기판 가장자리(48)를 따라 연장되는 캐스텔레이션(35)과 역시 좌측 기판 가장자리(48)를 따라 연장되는 위쪽 캐스텔레이션(37) 사이에서 연장되어 캐스텔레이션(35)을 위쪽 캐스텔레이션(37)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A strip of material such as copper 37e (FIG. 3) is formed between the castel 35 extending along the left substrate edge 48 and the upper castel 37 also extending along the left substrate edge 48. Extends at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castelation 35 to the upper castelation 37.

구리 등이 물질의 띠(37f)(도 3)는 5번 접지 핀을 정의하는 캐스텔레이션(35)과 아래쪽 캐스텔레이션(37) 사이에서 우측 기판 가장자리(46)를 따라 연장되어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또한, 구리 등의 도전 물질의 확장 띠(37g)(도 3)는 상부 기판 가장자리(42)를 따라 우측 모서리 띠(37c)의 일단과,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9번 VLNA 핀을 정의하는 캐스텔레이션(35)의 타단 사이에서 연장됨을 이해할 것이다. 띠(37g)는 모서리 띠(37c), 우측 기판 가장자리(46)의 캐스텔레이션(37), 그리고 상부 주변 기판 가장자리(42)를 따라 연장되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은 7번과 8번 접지 핀(도 3)을 정의하는 두 캐스텔레이션(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A strip of copper or the like material 37f (FIG. 3) extends along the right substrate edge 46 between the castel 35 and the lower castel 37, defining ground pin 5, to electrically connect them. Connect it. In addition, an extension band 37g (FIG. 3)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opper defines one end of the right edge band 37c along the upper substrate edge 42 and the VLNA pin 9 as described in detail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extends between the other ends of the castelation 35. The strip 37g extends along the edge strip 37c, the castration 37 of the right substrate edge 46, and the upper peripheral substrate edge 42, and grounds 7 and 8 as detailed below.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wo castels 35 defining the pins (FIG. 3).

하지만, 띠(37g)의 좌측 끝은 9번 VLNA 핀을 정의하는 캐스텔레이션(35)과 이격되어 있어 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구리 등 물질의 다른 짧은 띠(37h)(도 3)는 9번 VLNA 핀을 정의하는 캐스텔레이션(35)과, 상부 주변 기판 가장자리(42)를 따라 연장되는 10번 LNA 이득 선택 핀을 정의하는 캐스텔레이션(35) 사이에서 접촉하지 않으면서 이격되어 상부 주변 기판 가장자리(42)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However, the left end of the strip 37g is spaced apart from the castel 35, which defines pin 9 VLNA and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Another short strip 37h of copper or the like material (FIG. 3) defines the castelation 35 defining VLNA pin 9 and the LNA gain select pin 10 extending along the upper peripheral substrate edge 42. It is spaced apart without contact between the castels 35 and extends along the upper peripheral substrate edge 42.

우측 및 좌측 가장자리(46, 48) 각각은 또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모듈(20)의 4번, 6번, 12번 및 13번 핀을 정의하는 한 쌍의 이격된 도전 비아(conductive via)(38)를 정의하여 포함한다. 비아(38)는 각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기판(22)을 통하여 상부면과 하부면(23, 27) 사이로 연장되어 있으며, 당업계에서 주지하는 바대로, 구리 등의 도전 물질로 도금된 내부 원통형 표면을 정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기판의 가장자리(46, 48)에 정의된 캐스텔레이션(35) 대신에 각 기판의 가장자리(46, 48)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비아(38)를 사용함으로써 일정한 50옴(ohm) 특성 임피던스를 보장한다. 비아(38)의 각 상부 개구부(opening)는 유전 기판 물질의 영역(38a)(도 3 및 도 8), 즉 도전성 구리 물질이 당업계에서 주지의 식각, 레이저 처리 등으로 제거된 기판(22)의 영역으로 둘러 싸여 있다. Each of the right and left edges 46 and 48 also has a pair of spaced apart conductive vias defining pins 4, 6, 12 and 13 of the module 20 as described in detail below. (38) is defined and included. The via 38 is spaced from each edge and extends through the substrate 22 betwee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23 and 27 and, as is known in the art, an inner cylinder pla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opper. Define the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stant 50 ohm is achieved by using vias 38 spaced from the edges 46 and 48 of each substrate instead of the castels 35 defined at the edges 46 and 48 of each substrate. Ensure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Each upper opening of the via 38 is an area 38a of dielectric substrate material (FIGS. 3 and 8), i.e., the substrate 22 from which the conductive copper material has been removed by etching, laser treatment, or the like, well known in the art. Surrounded by the area of.

기판(22) 하부면(27) 상의 각 비아(38)의 하부 개구부는 구리 등 도전 물질의 통상의 사각형 패드(38b)(도 5)로 둘러 싸여 있다. 패드(38b)는 기판(22)의 제조 과정 중에 당업계에서 주지하는 바대로 구리 물질이 제거된 기판(22)의 하부면(27)의 영역(38c)으로 둘러 싸여 있다.The bottom opening of each via 38 on the bottom surface 27 of the substrate 22 is surrounded by a conventional rectangular pad 38b (FIG. 5)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opper. The pad 38b is surrounded by the area 38c of the bottom surface 27 of the substrate 22 from which the copper material has been removed, as is known in the art during the manufacturing of the substrate 22.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스텔레이션(35), 캐스텔레이션(37)과 비아(38) 모두는 각 기판의 가장자리(46, 48)를 따라서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으며, 캐스텔레이션(35)과 비아(38) 각각은 캐스텔레이션(37) 쌍들과 전술한 모든 구리 띠(47)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하부 비아(38)는 구리 띠(47)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각 측면 가장자리(46, 48)의 하부 비아(38)는 정반대로 위치하고 있다. Thus, as shown in FIG. 3, all of the castels 35, castels 37, and vias 38 are spaced apart along the edges 46, 48 of each substrate. Each of 35 and vias 38 is located between the castellation 37 pairs and all of the copper strips 47 described above, and the lower via 38 is located below the copper strips 47. Lower vias 38 of each side edge 46, 48 are located oppositely.

듀플렉서(34), 수신 저역 통과 필터(36), 수신 대역 통과 필터(40) 및 수신 저잡음 증폭기(39)는 모두 확장 구리 띠(47) 위에서 기판(22)의 상부면 영역 상에 실장되어 있어 덮개(45)로 덮고자 한다.The duplexer 34, receive low pass filter 36, receive band pass filter 40, and receive low noise amplifier 39 are all mounted on the top surface area of the substrate 22 over the expansion copper strip 47 to cover. To cover with (45).

특히,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대역 통과 필터(40)는 기판(22)의 우측 상부 모서리에 위치하며 기판(22)의 상부 세로 방향 가장자리(42)에 인접하고 평행하게 세로 방향으로 일반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6번 수신 신호 출력 핀은 필터(40)의 우측 단면에 일반적으로 대향하여 측면 기판 가장자리(46)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다. 7번과 8번 접지 핀은 필터(40)의 세로 방향 상부 가장자리에 일반적으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부 가장자리(42)를 따라 위치하고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3, the receive bandpass filter 40 is located in the upper right corner of the substrate 22 and is gener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djacent to and parallel to the upper longitudinal edge 42 of the substrate 22. Extends. The sixth received signal output pin is located adjacent to the side substrate edge 46 generally opposite the right end face of the filter 40. Ground pins 7 and 8 are located along the upper edge 42 in a direction generally opposite the longitudinal upper edge of the filter 40.

1번 접지 핀, 2번 N/C(연결 없음) 핀 및 3번 N/C 핀[모두 각 캐스텔레이션(35)에 의하여 정의됨] 각각은 기판(22)의 하부 세로 방향 가장자리(44)를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다. Ground pin 1, pin 2 N / C (no connection) and pin 3 N / C (all defined by each castelation 35) each have a lower longitudinal edge 44 of the substrate 22 It is located from left to right along the street.

4번 Tx I/P(송신 입력) 핀, 5번 접지핀 및 6번 수신 출력 핀 각각은 기판(22)의 우측 확장 가장자리(46)를 따라 하부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다. 4번 N/C 핀은 구리 띠(47) 아래쪽에 위치한다. 6번 수신 출력 핀과 4번 N/C은 구리 띠(47) 위쪽에 위치하며 전술한 각 비아(38)에 의하여 정의되는 한편, 5번 접지핀은 캐스텔레이션(35)중 하나에 의하여 정의된다. 캐스텔레이션(37)은 띠(47)와 5번 핀을 정의하는 캐스텔레이션(35) 사이의 가장자리(46)에 정의된다. 다른 캐스텔레이션(37)은 6번 핀을 정의하는 비아(38)와 상부 기판 가장자리(42) 사이에서 가장자리(46)에 정의된다.Each of the 4th Tx I / P (transmit input) pin, the 5th ground pin, and the 6th receive output pin are positioned spaced from bottom to top along the right extended edge 46 of the substrate 22. The 4th N / C pin is located below the copper strip 47. The sixth receive output pin and the fourth N / C pin are located above the copper strip 47 and defined by each of the vias 38 described above, while the ground pin 5 is defined by one of the castels 35. Is defined. The castration 37 is defined at the edge 46 between the band 47 and the castelation 35 defining pin # 5. Another castellation 37 is defined at the edge 46 between the upper substrate edge 42 and the via 38 defining pin 6.

7번 GND(접지) 핀, 8번 GND(접지) 핀, 9번 VLNA(전압 저잡음 증폭기)핀 및 10번 LNA 이득 선택 핀(도 3) 각각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격되어 기판(22)의 상부 세로 방향 가장자리(42)를 따라 위치하면서 연장되어 있다. 7, 8, 9 및 10번 핀 각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캐스텔레이션(35)에 의하여 정의된다.Each of the GND 7 (GND) pin, GND 8 (GND) pin, VLNA (Voltage Low Noise Amplifier) pin 9, and LNA gain select pin 10 (FIG. 3) are each spaced from right to left to the top of the substrate 22 It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edge 42. Pins 7, 8, 9 and 10 are each defined by each castel 35 as described above.

11번 GND(접지) 핀, 12번 안테나 핀 및 13번 N/C(연결 없음) 핀 각각은 상부에서 하부로 인쇄 회로 기판(22)의 좌측 가장자리(48)를 따라 이격되어 연장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12번 핀과 13번 핀은 각 비아(38)에 의하여 정의되고, 11번 핀은 캐스텔레이션(35)에 의하여 정의된다. 13번 핀은 구리 띠(47) 아래쪽에 위치한다. 12번 핀과 13번 핀은 구리 띠(47) 위쪽에 위치한다. Each of the 11 GND (ground) pin, 12 antenna pin, and 13 N / C (no connection) pins extend along the left edge 48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2 from top to bottom. As described above, pins 12 and 13 are defined by each via 38, and pin 11 is defined by the castelation 35. Pin 13 is located below the copper strip 47. Pins 12 and 13 are located above the copper strip 47.

2번, 3번, 4번 및 13번 핀은 모듈(20)의 송신 경로/부분의 미사용/비연결 핀을 정의한다. Pins 2, 3, 4 and 13 define the unused / disconnected pins of the transmit path / part of module 20.

수신측에서 약 1.3dB의 삽입 손실을 낳는 세라믹 모노블록(monoblock) 구성이 바람직한 듀플렉서(34)는 일반적으로 기판(22)의 좌측 가장자리(48)에 인접하고 평행하게 그리고 구리 띠(47) 위쪽에서 평행하게 기판의 상부면에 위치한다. 12번 RF 안테나 핀은 기판 가장자리(48)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듀플렉서(34)의 반대편에 일반적으로 위치한다. The duplexer 34, where a ceramic monoblock configuration with a insertion loss of about 1.3 dB at the receiving side, is preferred, is generally adjacent to and parallel to the left edge 48 of the substrate 22 and above the copper strip 47. Located parallel to the top surface of the substrate. RF antenna pin 12 is located adjacent to the substrate edge 48 and generally located opposite the duplexer 34.

수신 저잡음 증폭기(39)는 수신 통과 대역 필터(40)의 좌측에서 이와 이격되어 기판(22)의 좌측 상부 모서리에 일반적으로 위치하며 기판(22)의 좌측 가장자리(48)에 인접하면서 이격된 채 듀플렉서(34)의 위쪽에서 이와 이격되어 있다. 9번 VLNA 핀과 10번 LNA 이득 선택 핀은 일반적으로 수신 저잡음 증폭기(39) 위쪽에 위치하면서 기판 가장자리(42)를 따라 정의되어 위치한다. 수신 저잡음 증폭기(39)는 통상 모드 또는 바이패스 모드에서 1.3dB의 잡음 수치와 14dB의 이득과, 통상적으로 4.3dB NF와 -3dB 이득을 갖는다. 저잡음 증폭기(39)는 선형적이며 분산된 듀플렉서 아키텍처 내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된다.The receive low noise amplifier 39 is spaced apart from the left side of the receive passband filter 40 and is generally located in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substrate 22 and is located adjacent to the left edge 48 of the substrate 22 and spaced apart from the duplexer. Above it at 34; The VLNA pin 9 and the LNA gain select pin 10 are generally located above the receiving low noise amplifier 39 and defined along the substrate edge 42. Receive low noise amplifier 39 has a noise figure of 1.3 dB and a gain of 14 dB in normal mode or bypass mode, and typically has a 4.3 dB NF and -3 dB gain. The low noise amplifier 39 is designed to operate within a linear, distributed duplexer architecture.

배경으로서, 로컬 영역 노드 B는 TS25.104 R6 표준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107 dBm(12.2Kbps)의 수신 감도를 가져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약 19dB의 시스템 잡음 수치와 동일하다(실제 잡음 수치 요건은 다른 시스템 손상 정도에 따라 변한다). 로컬 영역 노드 B는 광역(wide area) 노드 B에 비하여 더 높은 입력 선형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TS25.104 R6 표준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시스템 IIP3은 약 -10dBm(약간의 dB 마진을 수신 체인에서의 편차용으로 부가)일 필요가 있다. 하지만, 로컬 영역 노드 B에 대하여 배치된 환경이 간섭의 관점에서 매우 거칠 경우 0dB에 가까운 시스템 IIP3은 통상적인 목표가 되기 더 쉽다. As a background, it is known that the local area Node B needs to have a reception sensitivity of at least -107 dBm (12.2 Kbps) to meet the TS25.104 R6 standard. This is equivalent to a system noise figure of about 19dB (actual noise figure requirements vary with the degree of other system damage). Local area Node B needs to have higher input linearity compared to wide area Node B. To meet the TS25.104 R6 standard, the system IIP3 needs to be about -10dBm (add some dB margin for deviation in the receive chain). However, if the environment deployed for the local area Node B is very rough in terms of interference, the system IIP3 close to 0 dB is more likely to be a common goal.

수신 저역 통과 필터(36)는 일반적으로 수신 저잡음 증폭기(39) 아래와 듀플렉서(34) 위쪽 사이에 그리고 증폭기(39)와 듀플렉서(34) 각각에 대하여 이격되어 평행하면서 증폭기(39)의 우측 가장자리의 약간 우측으로 기판(22)의 상부면에 위치한다. 11번 접지 핀은 일반적으로 필터(36)에 대향하는 가장자리(48)에 정의되어 있다. 필터(36)는 듀플렉서(34)의 고조파 응답을 감소시킨다. 이는 12.75GHz까지의 임의의 스퓨리어스를 -30dB 이상 감쇠시키는 것을 보장한다. The receive low pass filter 36 is generally slightly spaced between the receive low noise amplifier 39 and above the duplexer 34 and spaced apart and parallel to each of the amplifier 39 and the duplexer 34, slightly at the right edge of the amplifier 39. It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22 to the right. Ground pin 11 is generally defined at the edge 48 opposite the filter 36. Filter 36 reduces the harmonic response of duplexer 34. This ensures that any spurious up to 12.75 GHz is attenuated by -30 dB or more.

필터(34, 36, 40)를 함께 사용하여 필요한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분산 필터링 구성을 정의한다. 배경으로서, UMTS 표준의 가장 도전적인 면 중의 하나가 수신 설계에 있어서의 "차단," 즉, 송신 신호가 수신 신호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상의 무선 시스템 설계에 있어서, 듀플렉서는 0Hz 내지 1.9GHz와 2.0GHz 내지 12.75GHz까지 최소 20dB의 감쇠로 30dB 이상의 아웃 오브 밴드 감쇠를 제공하여 "차단"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보호한다. 물론, 이는 통상적으로 1dB 미만의 삽입 손실을 갖는 60MHz 광대역 필터(wide filter)에 대하여는 어렵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대부분의 듀플렉서는 8개의 극(pole)을 가지며 11인치x9인치x3인치(28cmx23cmx7.6cm) 크기일 수 있다. 물론, 모듈(20)은 그렇게 큰 듀플렉서를 수용할 정도로 크지 않으므로 "차단"과 필요한 포위 리젝션(close in rejection)은 전술한 세 개의 분산 필터(34, 36, 40)를 사용하여 달성된다. The filters 34, 36, and 40 are used together to define a distributed filtering scheme that provides the necessary "blocking" functionality. As a background, one of the most challenging aspects of the UMTS standard is known to be " blocking " in the reception design, i. In a typical wireless system design, the duplexer provides more than 30 dB of out of band attenuation with attenuation of at least 20 dB from 0 Hz to 1.9 GHz and from 2.0 GHz to 12.75 GHz to protect the radio signal from "blocking". Of course, this is difficult for a 60 MHz wide filter, which typically has an insertion loss of less than 1 dB. Most duplexers that can provide this feature have eight poles and can be 11 inches by 9 inches by 3 inches (28 cm by 23 cm by 7.6 cm). Of course, module 20 is not large enough to accommodate such a large duplexer, so "blocking" and the required close in rejection are achieved using the three dispersion filters 34, 36, 40 described above.

이제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덮개(45)는 상부 벽 또는 지붕(46), 이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뻗어 있는 한 쌍의 상하 벽(49a, 49b)과 한 쌍의 측벽(51a, 51b)을 각각 포함한다. 벽(49a, 49b, 51a, 51b)은 하측 세로 가장자리(53)를 정의한다. 각 측벽(51a, 51b)의 하측 세로 가장자리(53)는 이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적어도 두 개의 이격 탭(50)을 정의하고 각 관통 슬롯(through-slot) 또는 캐스텔레이션(37)에 피팅(fitting)시켜 덮개(45)를 기판(22)과 저면에서(in a grounded relationship) 기판(22)에 위치시키고 고정시키며, 각 덮개 벽(49a, 49b, 51a, 51b)의 하측 세로 방향 가장자리(53)는 구리 띠(47), 캐스텔레이션(35)의 구리 패드(35a), 캐스텔레이션(37)의 구리 패드(37a) 및 구리 띠(37c, 37e, 37f, 37h, 37g) 위에 안착되어 저면 덮개(grounded lid)(45)를 마련한다. Referring now to FIGS. 4A and 4B, the cover 45 includes a top wall or roof 46, a pair of top and bottom walls 49a and 49b and a pair of side walls 51a and 51b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s therefrom. Each includes. The walls 49a, 49b, 51a, 51b define the lower longitudinal edge 53. The lower longitudinal edge 53 of each sidewall 51a, 51b defines at least two spacing tabs 50 protruding downward therefrom and fitting to each through-slot or castel 37 ( fitting to position and secure lid 45 to substrate 22 and a substrate 22 in a grounded relationship, and to the lower longitudinal edge 53 of each lid wall 49a, 49b, 51a, 51b. ) Is placed on the copper strip 47, the copper pad 35a of the castel 35, the copper pad 37a of the castel 37 and the copper strips 37c, 37e, 37f, 37h, 37g. A grounded lid 45 is provided.

각 벽의 하측 세로 방향 가장자리(53)는 복수의 개별 노치(notch)(54)를 추가로 정의한다. 특히, 노치(54a, 54b)는 각 측벽(51a, 51b)에서 탭(50) 사이에 정의된다. 두 개의 추가 노치(54c, 54d)는 측벽(51a)에 인접한 상부벽(49a)에 정의되고, 한 개의 추가 노치(54e)는 하부 벽(49b)에 정의된다.The lower longitudinal edge 53 of each wall further defines a plurality of individual notches 54. In particular, notches 54a and 54b are defined between tabs 50 at each sidewall 51a and 51b. Two additional notches 54c and 54d are defined in the upper wall 49a adjacent to the side wall 51a and one additional notch 54e is defined in the lower wall 49b.

도 6은 본 발명의 전단 모듈(20)의 전기 회로의 개략도이다. 도시한 전기 부품 각각에 대한 도면 부호와 설명은 이하의 표 F에 정의하며 도 3, 도 6 및 도 8에 도시한다.6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electrical circuit of the front end modul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s for each of the illustrated electrical components are defined in Table F below and shown in FIGS. 3, 6, and 8.

Figure 112009000652275-PCT00007
Figure 112009000652275-PCT00007

모듈(20)의 회로에 대하여 도 3, 도 6 및 도 8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시하지 않았지만, 모듈(20)이 안착되는 피코셀 또는 마이크로셀의 마더보드의 안테나와 안테나 패드를 통하여 수신되는 수신 신호는 모듈(20)의 12번 안테나 핀의 하부 패드(38b)를 최초로 통과하고 기판(22) 위쪽과 회로선(118)을 통과하여, 모듈(20)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듀플렉서(34)의 3번 입력 단자로 입력된다는 것이 이해된다. 듀플렉서(34)의 4번 입력 단자는 회로선(117)을 통하여 접지에 연결되어 있다.The circuit of the module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6 and 8. First, although not shown,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pad and the antenna pad of the motherboard of the picocell or microcell on which the module 20 is seated first receives the lower pad 38b of antenna pin 12 of the module 20. It is understood that it is passed through the substrate 22 and through the circuit line 118 to the input terminal 3 of the duplexer 34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20. The input terminal 4 of the duplexer 34 is connected to ground through a circuit line 117.

듀플렉서(34)의 1번 입력 단자는 회로선(117a)을 통하여 또한 접지에 연결되어 있다. 저항(R7)은 1번 입력 단자와 접지 사이에 회로선(117a)을 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50옴 저항(R7)은 듀플렉서(34)의 미사용 송신 포트를 접지로 적절히 종단(terminate)시킨다. 수신 신호는 듀플렉서(34)(F1)를 통과하고 2번 출력 단자와 회로선(58)을 거쳐서 수신 저역 통과 필터(36)(F3)의 2번 입력 단자로 입력된다. 입력단에서의 제2 회로선(56) 또는 수신 저역 통과 필터(36)의 3번 접지 단자는 필터(36)를 접지에 연결시킨다.Input terminal 1 of duplexer 34 is also connected to ground through circuit line 117a. Resistor R7 extends through circuit line 117a between input terminal 1 and ground. This 50 ohm resistor R7 properly terminates the unused transmit port of duplexer 34 to ground. The received signal passes through the duplexer 34 (F1) and is input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of the received low pass filter 36 (F3) via the second output terminal and the circuit line 58. Ground terminal 3 of the second circuit line 56 or receive low pass filter 36 at the input stage connects the filter 36 to ground.

더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지만, 여기서 사용되는 것처럼 "회로선" 및/또는 "접지"라는 용어는 어떤 경우에는 기판(22) 표면 상의 적절한 패드 등의 회로 소자를 말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not described in greater detail,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ircuit line" and / or "ground" as used herein refer in some cases to circuit elements such as suitable pads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22.

수신 저역 통과 필터(36)는 4번과 1번 출력 단자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두 개의 출력 회로선(60, 61)을 포함한다. 출력선(60)은 필터(36)의 4번 출력 단자를 11번 접지 핀에 연결시킨다. 또한, 회로선(60)은 노드(N1)에서 회로선(60)에 연결되어 있는 회로선(62)를 통하여 접지에 연결되어 있다. 노드(N1)는 회로선(60) 상에서 수신 저역 통과 필터(36)의 4번 출력 단자와 11번 접지 핀 사이에 위치한다. 출력선(61)은 필터(36)의 1번 출력 단자와 증폭기(39)(U2)의 3번 입력 단자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Receive low pass filter 36 includes two output circuit lines 60, 61 extending from output terminals 4 and 1, respectively. The output line 60 connects the output terminal 4 of the filter 36 to the ground pin 11. In addition, the circuit line 60 is connected to the ground through the circuit line 62 connected to the circuit line 60 at the node N1. Node N1 is located on circuit line 60 between output terminal 4 and ground pin 11 of receive low pass filter 36. The output line 61 extends between the first output terminal of the filter 36 and the third in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39 (U2).

필터(36)의 1번 출력 단자로부터, 수신 신호는 회로선(61)을 통과하여 선택적인 감쇠기 패드(37)를 형성하는 저항(R5, R6, R8)을 거친다. 저항(R6)은 회로선(6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저항(R5)은 저항(R6) 위에 위치하는 회로선(61a) 상에서 노드(N1a)와 접지 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저항(R8)은 저항(R6) 아래에서 노드(N1b)와 접지 사이에 연장된 회로선(61b) 상에서 연장되어 있다. From the output terminal 1 of the filter 36, the received signal passes through the circuit lines 61 and goes through resistors R5, R6, R8 to form an optional attenuator pad 37. The resistor R6 extends along the circuit line 61. Resistor R5 extends between node N1a and ground on a circuit line 61a located above resistor R6, and resistor R8 extends between node N1b and ground under resistor R6. It extends on the circuit line 61b.

인덕터(L7)는 저항(R8) 아래에서 노드(N1c)와 접지 사이에 연장된 회로선(61c) 상에서 연장되어 있다. 커패시터(C14)는 회로선(61) 상에서 저항(R6)과 저잡음 증폭기(39)의 3번 입력 단자 사이에 위치한다. 노드(N1c)는 커패시터(C14)와 노드(N1b) 사이에서 회로선(61) 상에 위치한다. Inductor L7 extends on circuit line 61c extending between node N1c and ground under resistor R8. The capacitor C14 is located between the resistor R6 and the third input terminal of the low noise amplifier 39 on the circuit line 61. Node N1c is located on circuit line 61 between capacitor C14 and node N1b.

저잡음 증폭기(39)는 추가 단자 1번, 2번, 4번, 5번 및 6번을 갖는다. 증폭기(39)의 2번 입력 단자는 2번 입력 단자와 8번 접지 핀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회로선(61d) 상의 노드(N2)를 통하여 8번 접지 핀에 연결되어 있다. 증폭기(39)의 1번 입력 단자는 회로선(63)을 통하여 9번 VLNA 핀에 연결되어 있다. 커패시터(C2)는 회로선(63) 상의 노드(N3)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커패시터(C2)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C3)는 회로선(63) 상의 노드(N4)과 접지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커패시터(C3)는 커패시터(C2)와 9번 VLNA 핀 사이에 위치한다. 저항(R2)은 회로선(63) 상에서 노드(N4)와 9번 VLNA 핀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노드(N3)는 회로선(63) 상에서 저잡음 증폭기(39)의 1번 입력 단자와 노드(N4) 사이에 위치한다. 노드(N4)는 회로선(63) 상에서 노드(N3)와 저항(R2) 사이에 위치한다. 저항(R2)은 회로선(63) 상에서 노드(N4)와 노드(N5) 사이에 위치한다. 노드(N5)는 회로선(63) 상에서 저항(R2)과 9번 VLNA 핀 사이에 위치한다.The low noise amplifier 39 has additional terminals 1, 2, 4, 5 and 6. The input terminal 2 of the amplifier 39 is connected to the ground pin 8 through the node N2 on the circuit line 61d extending between the input terminal 2 and the ground pin 8. The input terminal 1 of the amplifier 39 is connected to the VLNA pin 9 through the circuit line 63. Capacitor C2 is connected between node N3 on circuit line 63 and ground. Capacitor C3 connected in parallel with capacitor C2 extends between node N4 on circuit line 63 and ground. Capacitor C3 is located between capacitor C2 and pin 9 VLNA. The resistor R2 is connected between the node N4 and the VLNA pin 9 on the circuit line 63. The node N3 is located between the input terminal 1 of the low noise amplifier 39 and the node N4 on the circuit line 63. The node N4 is located between the node N3 and the resistor R2 on the circuit line 63. The resistor R2 is located between the node N4 and the node N5 on the circuit line 63. The node N5 is positioned between the resistor R2 and the VLNA pin 9 on the circuit line 63.

저항(R5, R6, R8)은 기판(22)에서 듀플렉서(34) 위쪽에 모두 위치한다. 저잡음 증폭기(39)에 대하여 정합망(matching network)의 일부를 이루는 인덕터(L7)는 기판(22)에서 저항(R8) 위쪽에 위치한다. 커패시터(C2, C3, C14)는 기판(22)에서 저항(R6) 위쪽과 증폭기(39)의 좌측에 위치한다. 저항(R2)은 기판(22)에서 상부 기판 가장자리(42)와 증폭기(39) 사이와 커패시터(C3) 우측에 위치한다. Resistors R5, R6, and R8 are all located above the duplexer 34 on the substrate 22. The inductor L7, which forms part of the matching network for the low noise amplifier 39, is located above the resistor R8 on the substrate 22. Capacitors C2, C3 and C14 are located above resistor R6 and to the left of amplifier 39 on substrate 22. The resistor R2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substrate edge 42 and the amplifier 39 and to the right of the capacitor C3 in the substrate 22.

저잡음 증폭기(39)의 4번 단자(즉, 수신 신호 출력 단자)는 회로선(70)을 통하여 수신 대역 통과 필터(40)의 1번 입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커패시터(C4)는 회로선(70) 상의 노드(N6)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인덕터(L4)와 커패시터(C16)는 회로선(72)을 통하여 회로선(70) 상의 노드(N7)와 접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인덕터(L1)와 커패시터(C13)는 회로선(70) 상에서 노드(N7)와 수신 대역 통과 필터(40)의 1번 입력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저항(R4)은 회로선(74)을 통하여 회로선(72) 상의 노드(N9)와 회로선(63) 상의 노드(N5)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노드(N6)는 회로선(70) 상에서 저잡음 증폭기(39)의 4번 출력 단자와 노드(N7) 사이에 위치한다. 인덕터(L1)는 회로선(70) 상에서 노드(N6)과 노드(N7) 사이에 위치한다. 노드(N9)는 회로선(72) 상에서 인덕터(L4)와 커패시터(C16) 사이에 위치한다. 노드(N5)는 회로선(63) 상에서, 저항(R2)과 9번 VLNA 핀 사이에 위치한다.Terminal 4 of the low noise amplifier 39 (ie, the reception signal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1 of the reception band pass filter 40 through the circuit line 70. Capacitor C4 is connected between node N6 on circuit line 70 and ground. The inductor L4 and the capacitor C16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node N7 on the circuit line 70 and the ground through the circuit line 72. The inductor L1 and the capacitor C13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node N7 and the first input terminal of the reception band pass filter 40 on the circuit line 70. In addition, the resistor R4 is connected between the node N9 on the circuit line 72 and the node N5 on the circuit line 63 through the circuit line 74. The node N6 is position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4 of the low noise amplifier 39 and the node N7 on the circuit line 70. Inductor L1 is located between node N6 and node N7 on circuit line 70. Node N9 is located between inductor L4 and capacitor C16 on circuit line 72. The node N5 is located between the resistor R2 and the VLNA pin 9 on the circuit line 63.

커패시터(C15)는 회로선(74) 상의 노드(N10)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노드(N10)는 회로선(74) 상에서 노드(N9)와 저항(R4) 사이에 위치한다.Capacitor C15 is connected between node N10 on circuit line 74 and ground. Node N10 is located between node N9 and resistor R4 on circuit line 74.

저잡음 증폭기(39)의 5번 출력 단자는 회로선(76)을 통하여 접지에 연결되어 있다.Output terminal 5 of the low noise amplifier 39 is connected to ground through a circuit line 76.

저잡음 증폭기(39)의 6번 출력 단자는 회로선(84)을 통하여 10번 이득 선택 핀에 연결되어 있다. 저항(R1)은 회로선(84) 상에서 저잡음 증폭기(39)의 6번 출력 단자와 10번 이득 선택 핀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커패시터(C1)는 회로선(86) 상의 노드(N11)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노드(N11)는 회로선(86) 상에서 저항(R1)과 10번 이득 선택 핀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An output terminal 6 of the low noise amplifier 39 is connected to a gain selecting pin 10 through a circuit line 84. The resistor R1 is connected between the sixth output terminal of the low noise amplifier 39 and the tenth gain select pin on the circuit line 84. Capacitor C1 is connected between node N11 on circuit line 86 and ground. Node N11 is located between resistor R1 and gain select pin 10 on circuit line 86.

커패시터(C1)와 저항(R1)은 기판(22)에서 기판 가장자리(42)와 증폭기(39)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저항(R4), 커패시터(C15, C16), 인덕터(L4) 및 커패시터(C4)는 기판(22) 상에서 증폭기(39)의 우측 가장자리와 듀플렉서(40)의 좌측 가장자리 사이에 모두 위치한다. 인덕터(L1)와 커패시터(C13)는 둘 다 기판(22) 상에서 듀플렉서(40)의 좌하측 가장자리 모서리 아래에 위치한다. Capacitor C1 and resistor R1 are positioned between substrate edge 42 and amplifier 39 at substrate 22. Resistor R4, capacitors C15 and C16, inductor L4 and capacitor C4 are all located on the substrate 22 between the right edge of amplifier 39 and the left edge of duplexer 40. Inductor L1 and capacitor C13 are both located below the lower left edge corner of duplexer 40 on substrate 22.

필터(40)(F5)의 3번, 5번, 7번, 9번 11번 및 13번 입력 단자는 모두 공통 회로선을 통하여 접지에 연결되어 있다. 수신 신호는 수신 대역 통과 필터(40)의 2번 출력 단자를 통과하여 회로선(78)을 거쳐서 6번 수신 출력 핀으로 입력된다. 필터(40)의 4번, 6번, 8번, 10번, 12번 및 14번 출력 단자는 공통 회로선(81)을 통하여 7번 접지 핀에 모두 연결되어 있다.The input terminals 3, 5, 7, 9, 11 and 13 of the filter 40 (F5) are all connected to the ground through a common circuit line. The received signal passes through the output terminal 2 of the receive band pass filter 40 and is input to the receive output pin 6 through the circuit line 78. Output terminals 4, 6, 8, 10, 12, and 14 of the filter 40 are all connected to the ground pin 7 through the common circuit line 81.

여기서 더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지만, 앞에서 확인하고 설명한 여러 구리 영역과 띠는 당업계에서 주지된 바와 같이, 기판 제조 과정 중에 기판(22)의 상하부면(23, 27)에서 구리 물질을 선택된 부분에서 삭제 또는 제거의 결과 및/또는 구리층의 미리 선택된 부분 위에 땜납 마스크 물질의 층 또는 띠를 적용한 결과로서 정의되고 형성되었음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not described in more detail herein, the various copper regions and bands identified and described above may remove copper material from selected portions at the top and bottom surfaces 23 and 27 of the substrate 22 during substrate fabrication, as is well known in the art.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is defined and formed as a result of removal and / or applying a layer or strip of solder mask material over a preselected portion of the copper layer.

도 3, 도 5,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22) 상의 선택 영역은 기판 유전 물질의 영역을 포함하고, 기판(22) 상의 다른 선택 영역은 기판의 영역을 포함하며, 구리 물질은 땜납 마스크 물질로 덮여 있으며, 영역 중의 또 다른 선택 영역은 구리 물질이 노출된 영역을 포함함을 이해할 것이다.As shown in FIGS. 3, 5, and 8, the selection region on the substrate 22 includes a region of the substrate dielectric material, the other selection region on the substrate 22 includes a region of the substrate, and the copper material It will be appreciated that another selected area of the area is covered with the silver solder mask material and includes the area where the copper material is exposed.

구리 연결 패드, 띠 및 영역 중 선택된 것은 본 발명의 모듈(20)의 여러 전자 부품의 단자를 기판(22)의 상부면(23)에 바로 직접 땜납 부착시키고 기판(22)의 하부면(27)의 여러 단자 및 패드를 피코셀 또는 마이크로셀의 마더보드의 상부면의 단자 및 패드에 직접 땜납 부착시키는데 사용된다. 달리 말하면, 노출된 구리 패드, 띠 및 영역 중 선택된 것은 당업계에서 주지하는 바와 같이 거기에 땜납이 적용되게 한다. The choice of copper connection pads, strips and regions allows soldering of the terminals of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of the modul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directly to the top surface 23 of the substrate 22 and the bottom surface 27 of the substrate 22. Several terminals and pads are used for solder attachment directly to the terminals and pads on the top surface of the motherboard of the picocell or microcell. In other words, the choice of exposed copper pads, strips, and regions allows solder to be applied thereto, as is well known in the art.

특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인쇄 회로 기판(22)은 수신 통과 대역 필터(40), 저잡음 증폭기(39), 저역 통과 필터(36) 및 듀플렉서(34) 아래에 위치하는, 상이한 크기와 모양의 복수의 연결 구리 패드(미도시)를 구비하여 동일한 것이 기판(22)에 직접 표면 땜납 실장되게 한다고 이해된다. 상이한 크기 및 모양의 구리 연결 패드(미도시)는 모듈(20)의 회로를 이루는 각각의 저항과 커패시터 아래에 또한 적절하게 위치한다. In particular, although not shown, the printed circuit board 22 includes a plurality of different sizes and shapes located below the receive pass band filter 40, the low noise amplifier 39, the low pass filter 36, and the duplexer 34. It is understood that the same is provided with connecting copper pads (not shown) to allow surface solder mounting directly to the substrate 22. Copper connection pads (not shown) of different sizes and shapes are also suitably located under each resistor and capacitor constituting the circuit of the module 20.

기판(22)은 또한 당업계에서 주지하는 바와 같이 기판(22)의 상부면(23)과 하부면(27)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며 상하부면과 기판(22)을 이루는 임의의 중간 금속층 사이를 접지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제1 접지 관통구(134)(도 8)를 정의한다. 관통구 또는 비아(134)의 각 내부면은 당업계에서 주지하는 바와 같은 전기 도금 등의 처리에 의하여 구리 등의 도전 물질층으로 코팅되어 있다. 관통구(134)는 기판(22) 표면에 걸쳐서 분산되어 있다.The substrate 22 also extends between the top surface 23 and the bottom surface 27 of the substrate 22, as is well known in the art, and grounds betwee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and any intermediate metal layers that make up the substrate 22. A plurality of first ground through holes 134 (FIG. 8)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Each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r via 134 is coa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layer, such as copper, by treatment such as electroplating, as is well known in the art. The through holes 134 are dispersed over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22.

도 5를 참고하면, 기판(22)의 하부면(27)은 일반적으로 사각형인 복수의 구리 패드(138)를 추가로 정의함을 이해할 것이다. 구리 패드(138)는 땜납 마스크 물질의 띠(140)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5,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bottom surface 27 of the substrate 22 further defines a plurality of copper pads 138 that are generally rectangular. The copper pads 138 are separated by strips 140 of solder mask material.

기판(22)은 또한 모듈(20)을 히트 싱크(heat sink)와 소비자의 마더보드에 고정시키는 나사 등(미도시) 을 위한 관통로(through-way)를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150)를 정의하여 마더보드와 모듈(20) 사이의 열적 접촉을 개선시킨다. 현재의 실시예에서, 개구부(150)는 구리 띠(47) 아래와 전력 증폭기(26) 좌측에 위치한다.Substrate 22 also includes at least one opening 150 defining a through-way for a heat sink and screws or the like (not shown) that secure module 20 to the consumer's motherboard. Define to improve the thermal contact between the motherboard and the module 2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ning 150 is located below the copper strip 47 and to the left of the power amplifier 26.

모듈(20)을 조립하는 과정은 다음 단계와 관련되어 있다. 기판(22)를 제조한 후, 즉 적절한 구리 캐스텔레이션, 구리 띠, 구리 비아, 구리 패드 및 구리 관통구 모두를 그 위에 형성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Ag/Sn(은/주석) 땜납을 2.6"x4.6" 인쇄 회로 기판 어레이 위, 특히 당업계에서 주지하는 바와 같이 땜납 마스크 물질의 소정 층과 띠를 적용한 후 어레이 상에 정의된 적절한 땜납 패드 및 띠 각각의 표면 위에 스크린 프린트한다. 지정된 구리 띠, 패드 및 영역의 모든 표면에 땜납을 적용하고, 이어 모듈(20)을 정의하는 모든 필터를 포함하는 모든 전기 부품은 어레이 상에 적절하게 배치되고 위치된다.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module 20 involves the following steps. After fabricating the substrate 22, i.e., forming all of the appropriate copper castellation, copper strips, copper vias, copper pads, and copper through holes thereon, Ag / Sn (silver / tin) solder,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onto a 2.6 " x4.6 " printed circuit board array, in particular a layer and strip of solder mask material as is well known in the art, followed by screen printing on each surface of the appropriate solder pads and strips defined on the array. The solder is applied to all surfaces of the designated copper strips, pads and regions, and then all electrical components, including all filters defining module 20, are properly placed and positioned on the array.

다음, 덮개(45)를 전술한 바와 같이 기판(22)의 적절한 부분 위에 위치시켜 납땜으로 연결하고, 기판(22)의 각 측면 가장자리(46, 48)에 정의되어 있는 적절한 캐스텔레이션/슬롯(37)에 탭(50)을 피팅시켜, 덮개(45)의 하부 벽(49b)의 하측 가장자리가 구리 띠 정의선(47) 위에 안착되고, 상부 벽(49a)의 하측 가장자리는 상부 기판 가장자리(42)를 따라 인접하고 그 위에 정의된 전술한 바와 같은 각 구리 띠 및 패드(35a, 37c, 37g, 37h) 위에서 연장되며, 덮개(45)의 각 측벽(51a, 51b)의 하측 가장자리는 각 대향 기판 가장자리(46, 48)를 따라 연장되는 각 구리 띠 및 패드(35a, 37a, 37c, 37e) 위에 안착되도록 덮개(45)를 기판(22)에 적절히 위치시키고 고정시킨다. 물론, 기판(22) 상의 구리 띠 및 패드의 미리 선택된 영역과 접촉되도록 덮개(45)를 위치시키는 것은 덮개(45)가 전기적으로 접지되는 모듈(20)을 정의한다.Next, the lid 45 is placed on the appropriate portion of the substrate 22 and soldered as described above, and a suitable castelization / slot defined at each side edge 46, 48 of the substrate 22 37, fitting the tab 50 so that the lower edge of the lower wall 49b of the lid 45 rests on the copper strip defining line 47, and the lower edge of the upper wall 49a is the upper substrate edge 42. Adjacent each other and extending above each copper strip and pads 35a, 37c, 37g, 37h as defined above, the lower edge of each sidewall 51a, 51b of the lid 45 being the edge of each opposing substrate. The lid 45 is properly positioned and secured to the substrate 22 so as to rest on each copper strip and pads 35a, 37a, 37c, 37e extending along 46 and 48. Of course, placing the lid 45 in contact with a preselected area of copper strips and pads on the substrate 22 defines the module 20 to which the lid 45 is electrically grounded.

덮개(45)의 벽(49, 51)의 하측 주변 가장자리에 정의된 노치(54)는 덮개(45) 주변에 연속 접지면을 제공함과 동시에, 덮개(45)와, 노출된 유전 물질 또는 땜납 마스크 물질을 포함하는 그러한 기판(22)의 선택된 부분 사이에 갭(gap)을 제공하며, 이 선택 부분은 예를 들어, 12번 안테나 핀과 6번 수신 출력 핀을 정의하는 개별 비아(38) 위에 위치하는 노치(54a, 54b), 8번 및 9번 핀을 둘러 싸는 영역 위에 위치하는 및 노치(54c, 54d), 그리고 선택된 회로선, 즉 접지시키고자 아니하는 영역 위에 위치하는 노치(54e)와 같은 것임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이어 모듈(20)은 최대 260℃의 온도에서 리플로우 납땜되어 모든 부품과 덮개(45)를 기판에 연결시킨다. The notches 54 defined at the lower peripheral edges of the walls 49 and 51 of the cover 45 provide a continuous ground plane around the cover 45, while simultaneously covering the cover 45 and the exposed dielectric material or solder mask. A gap is provided between selected portions of such a substrate 22 comprising material, which selection portions are located over individual vias 38 that define, for example, antenna pin 12 and receive pin 6 receiving output pins. Such as notches 54a and 54b, located above the areas surrounding pins 8 and 9 and notches 54c and 54d, and notches 54e located above the selected circuit line, i.e., the area not to be grounded. Will also be understood. The module 20 is then reflow soldered at a temperature of up to 260 ° C. to connect all components and the lid 45 to the substrate.

마지막으로, 어레이를 당업계에서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른 후 개별 모듈(20)을 최종 점검하고 "테이프 앤드 릴(tape and reel)" 하여 선적 준비를 마친다.Finally, the array is cut as is well known in the art, and the individual modules 20 are finally checked and "tape and reel" ready for shipment.

본 발명에 대하여 피코셀의 전단에 사용되는 모듈의 실시예를 특히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첨부한 청구범위에서 정해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형태와 상세가 변경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설명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오직 예시적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embodiments of modules used in the front end of picocell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y in form and detai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recognized. The 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예를 들어, 적어도 다음의 비배타적인 예시적인 실시예, 즉 수신 모듈(20)이 노드 B 로컬 영역 전단 수신 경로에 통상 사용되는 개별 수신 부품 대신 사용되는 기술된 실시예; 수신 모듈(20)이 노드 B 로컬 영역 전단 수신 경로에 지금 통상 사용되는 개별 수신 부품과 함께, 즉 이와 보완적으로 사용되어 제2의 듀얼 수신 경로에 듀얼 수신 다양성을 제공할 목적인 대체 실시예; 수신 모듈(20)이 2006년 6월 14일 출원되어 현재 계류 중인 미국특허출원 번호 제11/452,800호에 기재된 전단 모듈과 함께 사용되어 제2의 듀얼 수신 경로에 듀얼 수신 다양성 동작을 제공하는 추가 실시예; 및 수신 모듈(20)의 RF 부품 각각이 2006년 6월 14일 출원되어 현재 계류 중인 미국특허출원 번호 제11/452,800호에 기재된 RF 전단 모듈에 역시 포함되어 듀얼 수신 다양성 동작을 제공할 목적인 또 다른 실시예를 포함함을 이해할 것이다.For example, at least the following non-exclusive exemplary embodiments, that is, the described embodiment in which the receiving module 20 is used in place of the individual receiving components typically used for the Node B local area front end receive path; An alternative embodiment wherein the receiving module 20 is intended to be used in conjunction with, i.e., complementary to, the individual receiving components now commonly used in the Node B local area front end receive path to provide dual receive diversity in the second dual receive path; Receive module 20 is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front-end module described in pending US patent application Ser. No. 11 / 452,800, filed June 14, 2006, to provide a dual receive diversity operation in a second dual receive path. Yes; And another RF component of the receiving module 20, which is also included in the RF frontend module described in pending US patent application Ser. No. 11 / 452,800, filed June 14, 2006, to provide dual receive diversity opera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examples are included.

마더보드 상의 제한된 영역이 한 요인인 이들 출원에 있어서, 본 발명은 구리 띠(47) 아래로 연장되고 모듈(20)의 미사용/미연결 송신부를 포함하고 정의하는 인쇄 회로 기판(22)의 일부를 포함하지 않도록 모듈(20)이 제조되는 실시예를 포함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하부 기판 가장자리(42)는 띠(47)에 인접하여 위치될 것이다.In these applications where a limited area on the motherboard is a factor,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below the copper strip 47 and includes a por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2 that includes and defines an unused / unconnected transmitter of the module 20.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module 20 includes embodiments that are manufactured so as not to include them. In such an embodiment, the lower substrate edge 42 will be positioned adjacent the strip 47.

Claims (12)

피코셀(picocell) 또는 마이크로셀(microcell)의 마더보드(motherboard)의 전단에 직접 표면 실장되는 RF 모듈에 있어서, In an RF module that is directly surface-mounted to the front end of the picocell (microco) or microcell motherboard, 표면에 실장되는 복수의 개별 전기 부품을 구비하고 일단에서의 상기 피코셀 또는 마이크로셀의 안테나와 타단에서의 상기 피코셀 또는 마이크로셀의 상기 마더보드 상의 각 출력 패드 사이에서 셀룰러 신호(cellular signal)들을 수신되게 하는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RF 모듈.Cellular signals are provided between the antenna of the picocell or microcell at one end and each output pad on the motherboard of the picocell or microcell at the other end with a plurality of individual electrical components mounted on the surface. An RF module comprising a printed circuit board to be recei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의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표면에 모두 직접 표면 실장되는 적어도 듀플렉서(duplexer), 수신 대역 통과 필터 및 수신 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RF 모듈.The RF module of claim 1 comprising at least a duplexer, a receive band pass filter and a receive low pass filter all surface mounted directly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modu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의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표면에 직접 표면 실장되는 저잡음 증폭기(low-noise amplifier)를 더 포함하는 RF 모듈.The RF module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low-noise amplifier directly surface mounted to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modu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서, 상기 수신 저역 통과 필터, 상기 저잡음 증폭기 및 상기 수신 대역 통과 필터는 RF 신호들에 대한 수신 경로를 정의하는(define) RF 모듈.4. The RF module of claim 3 wherein the duplexer, the receive low pass filter, the low noise amplifier and the receive band pass filter define a receive path for RF signal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저역 통과 필터와 상기 저잡음 증폭기 사이의 상기 수신 경로에 감쇠기 패드(attenuator pad)를 더 포함하는 RF 모듈.5. The RF module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n attenuator pad in the receive path between the receive low pass filter and the low noise amplifier.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듀플렉서, 상기 저잡음 증폭기 및 상기 수신 대역 통과 필터를 덮는 덮개(lid)를 더 포함하는 RF 모듈.5. The RF module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lid covering at least the duplexer, the low noise amplifier and the receive band pass filter. 피코셀룰러 또는 마이크로셀룰러 기지국의 마더보드의 전단에 직접 표면 실장되며 RF 신호들을 수신하는 RF 모듈로서, An RF module that is surface mounted directly in front of a motherboard of a picocellular or microcellular base station and receives RF signals, 적어도 듀플렉서, 수신 저역 통과 필터, 저잡음 증폭기 및 수신 대역 통과 필터와 같은 개별 전기 부품을 표면에 실장하는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RF 모듈.An RF module comprising a printed circuit board that mounts at least individual electrical components on a surface, such as a duplexer, a receive low pass filter, a low noise amplifier, and a receive band pass filt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RF 신호들은 상기 듀플렉서, 상기 수신 저역 통과 필터, 상기 저잡음 증폭기 및 상기 수신 대역 통과 필터를 연속하여 통과하는 RF 모듈.8. The RF module of claim 7, wherein the RF signals pass through the duplexer, the receive low pass filter, the low noise amplifier, and the receive band pass filter in success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서, 상기 수신 대역 통과 필터, 상기 수신 저역 통과 필터 및 상기 저잡음 증폭기는 모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표면에 부착되는 덮개 아래에 위치하는 RF 모듈.8. The RF module of claim 7, wherein the duplexer, the receive band pass filter, the receive low pass filter, and the low noise amplifier are all located under a cover attached to a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하부면(bottom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면은 그 위에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복수의 패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코셀의 마더보드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이 직접 표면 실장되게 하는 RF 모듈.8. The printed circuit board of claim 7, wherein the printed circuit board includes a bottom surface, the bottom surface having a plurality of electrically conductive pads formed thereon, wherein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formed on a motherboard of the picocell. RF module for direct surface mount. 피코셀의 마더보드의 전단에 직접 표면 실장되는 RF 모듈로서, An RF module that is directly surface-mounted on the front end of a picocell motherboard, 상부면 및 하부면을 포함하는 기판 - 상기 상부면은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복수의 연결 패드, 회로선 및 핀(pin)을 정의하고, 상기 하부면은 상기 피코셀의 마더보드의 상기 상부면에 상기 모듈을 직접 실장하기 위한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복수의 연결 패드를 정의함 -, A substrate compris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the upper surface defining a plurality of electrically connected connection pads, circuit lines and pins, the lower surface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therboard of the picocell; Defines a plurality of electrically conductive connection pads for direct mounting of the module-, RF 신호들에 대한 수신 경로를 정의하며 적어도 듀플렉서, 수신 저역 통과 필터, 저잡음 증폭기 및 수신 대역 통과 필터와 같은 개별 전기 부품을 상기 상부면에 직접 표면 실장하는 상기 기판 상의 섹션(section)을 포함하는 RF 모듈.An RF on the substrate that defines a receive path for the RF signals and includes at least a section on the substrate that directly surface mounts an individual electrical component such as a duplexer, a receive low pass filter, a low noise amplifier, and a receive band pass filter on the top surface. modu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적어도 상기 듀플렉서, 상기 수신 대역 통과 필터, 상기 수신 저역 통과 필터 및 상기 저잡음 증폭기를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RF 모듈.12. The RF module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cover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covering at least the duplexer, the receive band pass filter, the receive low pass filter, and the low noise amplifier.
KR1020097000225A 2006-07-07 2007-06-28 Rf rx front end module for picocell and microcell base station transceivers KR2009003343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1975806P 2006-07-07 2006-07-07
US60/819,758 2006-07-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435A true KR20090033435A (en) 2009-04-03

Family

ID=38624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225A KR20090033435A (en) 2006-07-07 2007-06-28 Rf rx front end module for picocell and microcell base station transceiver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050197A1 (en)
KR (1) KR20090033435A (en)
CN (1) CN101485098A (en)
WO (1) WO200800819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45848B (en) * 2017-09-07 2019-11-22 中科迪高微波系统有限公司 The processing method of microwave power amplifier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248187U (en) * 2003-01-15 2004-10-21 Abocom Sys Inc Printed circuit board structure of RF transmission device
GB2404089B (en) * 2003-07-11 2007-05-02 Craig Rochford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US20050266803A1 (en) * 2004-06-01 2005-12-01 Nati Dinur Apparatus and methods for adaptation of signal detection threshold of a WLAN receiver
US7983624B2 (en) * 2005-06-17 2011-07-19 Cts Corporation RF front-end module for picocell and microcell base station transceiv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85098A (en) 2009-07-15
EP2050197A1 (en) 2009-04-22
WO2008008193A1 (en) 200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706B1 (en) Rf front-end module for picocell and microcell base station transceivers
US7855983B2 (en) Time division duplex front end module
CA2708263C (en) Rf monoblock filter with recessed top pattern and cavity providing improved attenuation
US20100289599A1 (en) High Performance RF Rx Module
US9252832B2 (en) High-frequency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0382765B1 (en) Passive devices and modules for transceiv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294532B2 (en) Duplex filter comprised of dielectric cores having at least one wall extending above a top surface thereof for isolating through hole resonators
KR100400234B1 (en) Passive devices and modules for transceiver
US20100203922A1 (en) Time Division Duplex Front End Module
US7356349B2 (en) High-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80153451A1 (en) RF Rx front end module for picocell and microcell base station transceivers
US9030272B2 (en) Duplex filter with recessed top pattern and cavity
CN201590820U (en) Time division duplex front-end module
WO2022034817A1 (en) High-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KR20090033435A (en) Rf rx front end module for picocell and microcell base station transceivers
CN117613545A (en) Access node and terminal device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060134293A (en) Front end complex module of one chip type
US6867663B2 (en) Dielectric duplexer
JP2006279553A (en) High-frequency switching modul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KR20050001615A (en) Complex module for CDMA transceiver
KR101393923B1 (en) Circuit board of communication module
KR20080078482A (en) 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KR20030083503A (en) High frequency semiconductor device
JP2005167625A (en) Laminated electronic component and radio apparatus
JP2003229702A (en) Microstrip line and high-frequency filter subst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