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3147A - 현장조립형 광커넥터를 이용한 광감쇠기 - Google Patents

현장조립형 광커넥터를 이용한 광감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3147A
KR20090033147A KR1020080095210A KR20080095210A KR20090033147A KR 20090033147 A KR20090033147 A KR 20090033147A KR 1020080095210 A KR1020080095210 A KR 1020080095210A KR 20080095210 A KR20080095210 A KR 20080095210A KR 20090033147 A KR20090033147 A KR 20090033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ferrule
optical
unit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1306B1 (ko
Inventor
김형철
신순애
김찬수
김기권
Original Assignee
고려오트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오트론(주) filed Critical 고려오트론(주)
Publication of KR20090033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64Optical coupling means with optical elements between opposed fibre ends which perform a function other than beam splitting
    • G02B6/266Optical coupling means with optical elements between opposed fibre ends which perform a function other than beam splitting the optical element being an attenuat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36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re or cladding comprising multiple layers
    • G02B6/03694Multiple layers differing in properties other than the refractive index, e.g. attenuation, diffusion, stress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nchoring or fixing the fibre within the ferru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현장조립형 광커넥터를 이용한 광감쇠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마련되어 광섬유의 코어가 내장된 페롤유니트와; 상기 페룰유니트에 설치되어 상기 광섬유로부터 전송된 광량을 감쇠시키는 감쇠광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페룰유니트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페룰유니트에 삽입된 코어를 가진 상기 광섬유의 외면을 가압하여 상기 광섬유의 코어와 상기 감쇠광섬유가 상호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광섬유를 고정하는 이격방지수단이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은 감쇠광섬유를 페룰에 내장시키고, 페룰내에서 광신호 전송용 광섬유와 접속되게 하거나, 감쇠광섬유가 내장된 페룰과 광신호 전송용 광섬유가 내장된 페룰을 슬리브내에서 접속되게 함으로써,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융착작업이 없이 간편하게 광감쇠기를 광커넥터내에 구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광감쇠기, 페룰, 슬리브, 융착, 슬라이딩

Description

현장조립형 광커넥터를 이용한 광감쇠기{OPTICAL ATTENUATOR USING OPTICAL CONNECTOR FOR ASSEMBLING IN THE FIELD}
본 발명은 광감쇠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커넥터의 페룰에 광감쇠용 감쇠광섬유를 내장시켜 광커넥터 내에서 광신호전송용 광섬유와 접속시킨 현장조립형 광커넥터를 이용한 광감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통신 시스템에서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해 광송신 모듈에 전기신호를 입력시켜 변환시키고 광커넥터를 통해 광케이블로 광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광통신 시스템의 수신단에서는 광케이블이 광패치 코드와 연결되고, 광패치 코드는 광통신 시스템과 연결되고 내부에 있는 광수신 모듈에서 광신호가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이때, 광접속기의 광출력이 너무 높거나 가까운 거리일 경우에는 너무 큰 광신호가 입력되어 수신 포토 다이오드의 포화 또는 부적합한 수신 레벨이 되므로 적합한 레벨로 조정하기 위해 광패치 코드와 광커넥터 사이에 광감쇠기를 연결하여 광출력을 강제적으로 감쇠시켜 수신 커넥터의 입력 레벨을 조절하고 있다.
이와 같은 광감쇠기의 종래기술로는 패치 코드형 인라인 광감쇠기가 있다.
패치 코드형 인라인 광감쇠기는 패치코드 케이블의 각각 양단에 광커넥터를 구비하고 고정형 감쇠기에 사용되는 감쇠광섬유를 패치 코드 케이블 중간에 광신호 전송용 광섬유와 융착 접속시켜 삽입한 것이다.
이는 패치 코드 하나로 패치 코드와 감쇠기 기능을 동시에 제공한 것이나, 감쇠광섬유의 양단에 광신호 전송용 광섬유를 두번에 걸쳐 각각 융착 접속하게 되고, 약해진 접속부분을 보강슬리브에 의해 보강하기 때문에 외경이 커지게 되며, 접속에 필요한 부품이 많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쇠광섬유가 내장되게 페룰을 형성하고, 융착작업이 없이 페룰내에서 광신호 전송용 광섬유와 접속시킬 수 있는 현장조립형 광커넥터를 이용한 광감쇠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현장조립형 광커넥터를 이용한 광감쇠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마련되어 광섬유의 코어가 내장된 페롤유니트와; 상기 페룰유니트에 설치되어 상기 광섬유로부터 전송된 광량을 감쇠시키는 감쇠광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페룰유니트는 상기 감쇠광섬유가 내장된 제1페룰과; 상기 광섬유의 코어가 내장되어 상기 제1페룰과 접속되는 제2페룰과; 상기 제1,2페룰이 양단에 끼워져 밀착되어 상기 감쇠광섬유와 상기 광섬유의 코어가 접속되도록 중앙부가 통공되어 상기 제1,2페룰을 안내하는 슬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 예는 상기 페룰유니트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페룰유니트에 삽입된 코어를 가진 상기 광섬유의 외면을 가압하여 상기 광섬유의 코어와 상기 감쇠광섬유가 상호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광섬유를 고정하는 이격방지수단이 더 구비된다.
상기 이격방지수단은 상기 페룰유니트에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고, 중앙부 에 상기 광섬유가 인입되게 광섬유인입홀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선단에 원주방향으로 분할되어 회동되는 다수의 조가 마련된 콜릿부와; 상기 콜릿부의 원주 방향으로 분할된 다수의 조에 결합되어 상기 다수의 조를 중심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광섬유인입홀의 단면적을 축소시키며 상기 광섬유에 고정되는 조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격방지수단의 다른 실시 예는 내부가 관통되고, 상기 페룰유니트의 단부가 일측에 끼워져 상기 페룰유니트를 지지하는 페룰지지관과; 상기 페룰지지관에 결합되고, 상기 광섬유가 인입되어 상기 페롤지지관으로 안내되게 내부가 관통되며, 외압에 의해 소성변형되어 상기 광섬유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고정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감쇠광섬유를 페룰에 내장시키고, 페룰내에서 광신호 전송용 광섬유와 접속되게 하거나, 감쇠광섬유가 내장된 페룰과 광신호 전송용 광섬유가 내장된 페룰을 슬리브내에서 접속되게 함으로써,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융착작업이 없이 간편하게 광감쇠기를 광커넥터내에 구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블에 중간에 감쇠광섬유가 설치되었던 종래기술과는 달리 접속부위가 노출되지 않고, 접속부위를 보강하기 위한 별도의 보강부재가 필요없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인 현장조립형 광커넥터를 이용한 광감쇠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첨부한 도 1, 도 2에 나타내 보였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광커넥터의 내부에 마련된 페룰유니트(40)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코어삽입홀에 광감쇠용 감쇠광섬유를 내장시켜 이루어진다.
광신호 전송용 광섬유와의 접속은 페룰유니트(40)의 코어삽입홀의 일부에 감쇠광섬유(10)가 내장되고, 광섬유의 코어(20)를 코어삽입홀에 인입시켜 코어삽입홀내에서 감쇠광섬유(10)와 광섬유의 코어(20)와의 접촉으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는 페룰유니트가 하나의 페룰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페룰유니트가 두 개의 페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감쇠광섬유(10)가 내장된 제1페룰(41)과, 광섬유 코어(20)가 내장된 제2페룰(42)과, 제1,2페룰(41,42)이 양단에 끼워져 접속되게 제1,2페룰(41,42)을 안내하는 슬리브(43)로 이루어진다.
한편, 페룰유니트(40)에서 접속되는 감쇠광섬유(10)와 광섬유의 코어(20)가 상호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격방지수단(50)이 구비된다. 이격방지수단(50)은 페룰유니트(40)의 단부에 광섬유를 고정하여 광섬유 코어(20)가 감쇠광섬유(10)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이러한, 이격방지수단은 하우징 외면을 가압하여 광섬유를 고정하는 클립방식과, 광섬유 외면을 가압하는 다수의 척을 구비한 척부재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척방식이 가능하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척방식의 이격방지수단은 중앙부에 광섬유가 인입되게 관통된 광섬유인입홀이 형성되고 선단에 원주방향으로 분할되어 회동되는 다수의 조(51a)가 마련된 콜릿부(51)와, 콜릿부(51)의 다수의 조(51a)에 결합되어 다수의 조를 중심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광섬유인입홀의 단면적을 축소시키는 조임부재(52)로 이루어진다.
콜릿부(51)는 페룰유니트(50)의 단부에 연결부재(53)에 의해 연결된다. 즉, 제2페룰(42)의 단부에 연결된 연결부재(53)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연결부재(53)는 콜릿부(51)의 광섬유인입홀에 인입된 광섬유가 제2페룰(42)에 안내되고, 양단에 제2페룰(42)과 콜릿부(51)가 결합되도록 중앙부는 통공되고, 양단은 제2페룰(42) 및 콜릿부(51)의 내경에 따라 직경이 상호 다르게 형성된다.
조임부재(52)는 다수의 조(51a)의 외면에 나사결합되고, 광섬유에 고정된다.
조임부재(52)는 중앙부에 광섬유가 인입되어 콜릿부(51)의 광섬유인입홀에 안내되도록 관통되고, 외면에 끼워진 제1압축링(54)에 의해 가압되어 광섬유의 외면에 밀착고정된다.
또한, 첨부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릿부(51)에 끼워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다수의 조(51a)의 외면을 가압하여 중심방향으로 회동되게 하는 보조조임부재(55)가 더 구비되고, 상기 조임부재(52)가 상기 보조조임부재(55)에 나사결합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이격방지수단의 다른 실시 예인 클립방식을 첨부한 도 6, 도 7에 나타내 보였다.
도 6, 도 7을 참조하면, 이격방지수단(50)의 다른 실시 예는 페룰유니트(40), 즉 제2페룰(42)의 단부가 일측에 끼워져 고정되는 페룰지지관(56)과, 페룰지지관(56)에 결합되고 외압에 의해 소성변형되어 중앙부로 인입된 광섬유의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고정관(57)으로 이루어진다.
페룰지지관(56)의 중앙부는 광섬유가 인입되어 제2페룰(42)에 안내되도록 관통된다. 그리고, 일측 외면에는 가압고정관(57)이 나사결합된다.
가압고정관(57)의 중앙부도 광섬유가 인입되게 관통된다.
미설명된 부호 P는 가압고정관(57)에 외력이 가해져 소성변형된 부위이다.
한편, 도 3 내지 도 7에서는 감쇠광섬유(10)가 내장된 제1페룰(41)과, 광섬유 코어(20)가 내장된 제2페룰(42)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의 실시 예를 함께 도시하였다.
즉, 커넥터는 제1페룰(41)이 내장되는 제1유니트(100)와, 제2페룰(42)이 내장되어 제1유니트(100)에 결합되는 제2유니트(200)로 이루어진다.
제1유니트(100)는 제1페룰(41)과 제2페룰(42)이 양단에 끼워져 안내되는 슬리브(43)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재(110)와, 고정부재(110)가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되게 설치되는 프레임(120)과, 프레임(120)이 설치되는 하우징(130)으로 이루어진다. 감쇠광섬유(10)가 내장된 제1페룰(41)이 제1유니트(100)의 슬리브(43)에 내장된다.
제2유니트(200)는 제2페룰(42)의 단부에 설치된 상기 이격방지수단(50)과, 제2페룰(42)과 이격방지수단(50)을 감싸며 제1유니트(100)의 고정부재(110)에 결합 고정되는 보호부츠(210)로 이루어진다.
보호부츠(210)는 외면에 끼워진 제2압축링(220)에 의해 외면이 가압되어 광섬유에 밀착고정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예는 제1,2유니트의 결합에 의해 제1,2페룰(41,42)가 슬리브(43)내에서 접속된다. 특히, 보호부츠의 선단이 고정부재에 걸리어 고정됨으로써, 제1,2페룰이 견고히 접속된다. 또한, 이격방지수단(50)에 의해 광섬유가 제2페룰(42)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어, 광섬유 코어(20)가 감쇠광섬유(10)로부터 외력(광섬유의 굽힙, 인장)에 의해 슬리브(43)내에서 이격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감쇠광섬유(10)는 광 감쇠량에 따라 직경과 사이즈가 다르게 되는데, 직경과 사이즈가 다른 다수의 감쇠광섬유(10)가 내장된 단위페룰을 마련하고, 이들을 간편하게 교체함으로서, 광감쇠량의 제어가 능동적이도록 감쇠광섬유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감쇠광섬유의 길이 조절을 위해, 다양한 길이의 감쇠광섬유가 내장된 다수의 단위페룰을 각각 마련하고, 상기 다수의 단위페룰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슬리브에 결합시켜 감쇠광섬유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단위페룰을 상기의 언급한 방법으로 광신호 전송용 광섬유와 접속시키게 된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만 제한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장조립형 광커넥터를 이용한 광감쇠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조립형 광커넥터를 이용한 광감쇠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 도 4는 도 2의 현장조립형 광커넥터를 이용한 광감쇠기에서 이격방지수단이 적용된 광커넥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현장조립형 광커넥터를 이용한 광감쇠기에서 이격방지수단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광커넥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 도 7은 도 2의 현장조립형 광커넥터를 이용한 광감쇠기에서 이격방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광커넥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감쇠광섬유 20 : 광섬유 코어
40 : 페룰유니트 41 : 제1페룰
42 : 제2페룰 43 : 슬리브
50 : 이격방지수단 51 : 콜릿부
52 : 조임부재

Claims (5)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마련되어 광섬유의 코어가 내장된 페롤유니트와;
    상기 페룰유니트에 설치되어 상기 광섬유로부터 전송된 광량을 감쇠시키는 감쇠광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조립형 광커넥터를 이용한 광감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유니트는
    상기 감쇠광섬유가 내장된 제1페룰과;
    상기 광섬유의 코어가 내장되어 상기 제1페룰과 접속되는 제2페룰과;
    상기 제1,2페룰이 양단에 끼워져 밀착되어 상기 감쇠광섬유와 상기 광섬유의 코어가 접속되도록 중앙부가 통공되어 상기 제1,2페룰을 안내하는 슬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조립형 광커넥터를 이용한 광감쇠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유니트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페룰유니트에 삽입된 코어를 가진 상기 광섬유의 외면을 가압하여 상기 광섬유의 코어와 상기 감쇠광섬유가 상호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광섬유를 고정하는 이격방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조립형 광커넥터를 이용한 광감쇠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방지수단은
    상기 페룰유니트에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고, 중앙부에 상기 광섬유가 인입되게 광섬유인입홀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선단에 원주방향으로 분할되어 회동되는 다수의 조가 마련된 콜릿부와;
    상기 콜릿부의 원주 방향으로 분할된 다수의 조에 결합되어 상기 다수의 조를 중심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광섬유인입홀의 단면적을 축소시키며 상기 광섬유에 고정되는 조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조립형 광커넥터를 이용한 광감쇠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방지수단은
    내부가 관통되고, 상기 페룰유니트의 단부가 일측에 끼워져 상기 페룰유니트를 지지하는 페룰지지관과;
    상기 페룰지지관에 결합되고, 상기 광섬유가 인입되어 상기 페롤지지관으로 안내되게 내부가 관통되며, 외압에 의해 소성변형되어 상기 광섬유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고정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조립형 광커넥터를 이용한 광감쇠기.
KR1020080095210A 2007-09-27 2008-09-29 현장조립형 광커넥터를 이용한 광감쇠기 KR1009713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97524 2007-09-27
KR1020070097524 2007-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147A true KR20090033147A (ko) 2009-04-01
KR100971306B1 KR100971306B1 (ko) 2010-07-20

Family

ID=40759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210A KR100971306B1 (ko) 2007-09-27 2008-09-29 현장조립형 광커넥터를 이용한 광감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3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48448A (zh) * 2021-02-26 2023-10-03 住友电工光学前沿株式会社 光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5098B2 (ja) * 1995-08-25 2001-10-02 株式会社精工技研 光減衰ファイバ組立体および光減衰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1306B1 (ko) 201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6082B2 (en) Ferrule-less fiber optic connector
US7686519B2 (en) Hardened fiber optic housing and cable assembly
US7785017B2 (en) Strain-relief assemblies and methods for a field-installable fiber optic connector
US4422716A (en) Optical fiber connector
US9395500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and cable assembly with dual diameter crimp sleeve
CN114072714B (zh) 可现场安装的光纤连接器
WO2016007491A1 (en) Optical ferrule for multi-fiber cable and hardened multi-fiber optic connector therefore
CA2720237C (en) A fiber optic cable retainer for a fiber optic cable connector assembly
US6282348B1 (en) Optical ferrule and method for installing fiber without adhesives
US7824108B2 (en) Connection device with conductor length compensation
KR100971306B1 (ko) 현장조립형 광커넥터를 이용한 광감쇠기
JPWO2010092657A1 (ja) 光コネクタおよび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KR101051119B1 (ko) 현장조립형 광커넥터
KR101132835B1 (ko) 광 커넥터
US11906795B2 (en)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with crimp tube subassembly and method of use
CN113167979B (zh) 防止光纤弯曲的现场组装式光连接器
KR102512811B1 (ko) 현장조립형 융착 광섬유 커넥터
EP3206066B1 (en) Preconnectorized optical cable assembly
KR20060114325A (ko) 광섬유 케이블을 위한 앵커
KR20000047099A (ko) 광케이블 분기장치
KR100284877B1 (ko) 광커넥터용기밀체
KR101104818B1 (ko) 필터링 기능을 갖춘 광커넥터
KR20120050355A (ko) 현장조립형 광커넥터
KR20090107278A (ko) 현장조립형 클램프 타입 광커넥터
JPH047384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