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877B1 - 광커넥터용기밀체 - Google Patents

광커넥터용기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877B1
KR100284877B1 KR1019970056045A KR19970056045A KR100284877B1 KR 100284877 B1 KR100284877 B1 KR 100284877B1 KR 1019970056045 A KR1019970056045 A KR 1019970056045A KR 19970056045 A KR19970056045 A KR 19970056045A KR 100284877 B1 KR100284877 B1 KR 100284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optical
optical fiber
cas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6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4440A (ko
Inventor
이호경
유광준
유기원
한호섭
Original Assignee
김진찬
주식회사머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찬, 주식회사머큐리 filed Critical 김진찬
Priority to KR1019970056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4877B1/ko
Publication of KR19990034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87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광섬유를 지하나 수중에 매설할 때 실링을 결합하여 심선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광커넥터용 기밀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광섬유(12)가 결합된 커넥터(10)를 삽입고정키는 면에 실링(30)을 결합시켜 각각의 쌍으로 구비된 양측의 케이싱(20b)을 클립퍼(40)로 가압하여 실링의 압착력에 의해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커넥터용 기밀체
본 발명은 광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속에 광커넥가 설치되는 경우 광커넥터 속으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광커넥터용 기밀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통신은 빛을 전송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것으로, 유리 섬유로 된 광화이버(광섬유) 즉, 광섬유이 매개체가 되며, 현재의 동축케이블에 의한 전기 통신에 비해 수만배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의 전파 및 전자 자기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아 정보의 전송상태가 양호하므로 현재 통신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범위는 점점 타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광섬유는 수백 킬로미터 혹은 그 이상의 거리에 선로를 설치하게 되는데, 그 중간에 광섬유의 접속 분기가 필요한 경우 스프리터(Splitter), 광섬유 증폭기 혹은 광커넥터(Connector) 접속방법 또는 융착접속 방법이 사용된다. 최근 정보화의 급속한 확산으로 인해 보다 많은 광케이블의 선로가 요구되게 되었는데, 최근에는 광섬유의 심선을 띠형상으로 일체화시킨 리본형 광케이블로 제작하여 많은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광섬유는 매우 작은 직경(125㎛)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실제로 심선를 연결하기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특히 광섬유의 선로에서 리본형 광섬유의 심선들을 모두 바르게 연결시켜야 하지만 광섬유의 심선 중 어느 하나라도 바르게 연결되지 않을 경우 접속 불량을 일으키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광커넥터는 그 구조적 광섬유의 심선이 바르게 연결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다심 광커넥터는 광섬유의 설치장소에 영향을 받아 광커넥터를 통해 접속된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서로 어긋나면 빛(신호)의 전달이 손실되거나 차단되어 통신이 두절되는 통신장애가 발생한다. 또한 광섬유 주로 땅속 혹은 관로 및 해저 등에 주로 설치되게 됨으로 광커넥터의 접속 및 분기작업 혹은 케이블의 유지 보수작업시 설치장소의 환경이 열악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제로 광커넥터의 접속 및 분기 작업 혹은 케이블의 유지 보수작업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광커넥터의 접속 및 분기 작업시 통신기기의 단자함과 같이 커넥터를 간결하게 정렬 혹은 배치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광섬유를 접속시키는 종래의 광커넥터의 일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광커넥터가 조립된 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로서, 참조번호 10은 광섬유의 단부에 결합되어지는 커넥터이고, 20a는 양커넥터를 광접속시키기 위해 가이드해주는 아답터이다.
커넥터(10)는 일측면에 광섬유(12)의 삽입을 가이드하고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구비된 부트(15)가 결합되고, 타측면에는 부트(15)의 내부로 삽입된 광섬유(12)에 내장된 심선(13)이 인입구에 배열 고정되는 페룰(16)이 결합되어 있다.
아답터(20a)는 양측의 커넥터(10)가 삽입되는 가이드구멍(21)이 형성되고, 가이드구멍(21)의 커넥터(1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커넥터는 커넥터(10)에 결합된 부트(15) 내부로 광케이블(12)을 삽입시켜 페룰(16)에 형성된 인입구에 심선(13)을 관통시켜 그 단면을 연마한 뒤 아답터(20a)의 안착부(21)에 커넥터(10)를 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아답터(20a)의 가이드구멍(21)에 커넥터(10)를 삽입할 때, 심선(13)의 정렬을 정교하기 위해 양페룰(16)의 정렬시 가이드하는 슬리브(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의해 아답터(20a)의 내부에서 페룰(16)의 끝단이 접촉하여 심선(13)들이 접속된다.
그러나, 광섬유(12)가 땅속이나 수중에 매설되는 경우에 아답터(20a)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때 심선(13)의 특성상 습기에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아답터(20a)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면 광전송이 중차되거나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커넥터 속으로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광커넥터를 둘러쌓아 방수를 구현하는 광커넥터용 기밀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섬유가 접속되는 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가 접속된 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리사시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용 기밀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용 기밀체가 결합된 상태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커넥터 12 : 광섬유
13 : 심선 15 : 부트
16 : 페룰 20a : 아답터
20b : 케이싱 21 : 안착부
22 : 안착구멍 24 : 수납홀
26 : 슬롯 28 : 고정홈
40 : 클립퍼 42 : 가압부
50 : 부시 60 : 고무링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일측면으로 광섬유를 삽입시켜 타측에 상기 광섬유에 내장된 심선을 배열 노출시키는 페룰이 결합된 커넥터를 조립시키는 아답터로 구성된 광커넥터에 있어서,
분리가능하게 분할된 접속면의 중심부에는 상기 커넥터가 수납되는 수납홀과, 상기 수납홀과 광섬유가 타측면으로 통과되도록 연통된 배출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가 고정된 단면에는 상기 수납홀을 포위하는 방수홈이 배치되고, 외주면에는 양측으로 대칭되게 슬롯이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방수홈에 삽입되는 실링과,
상기 케이싱의 배출구멍에 결합되는 개재되는 고무링을 가압하고, 내부에는 광섬유가 통과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부시와,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양측의 케이싱을 가압하는 클립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케이싱의 수납홀에 광커넥터를 삽입시킨 후에 방수홈에 실링을 고정시켜 클립퍼를 이용하여 양측의 케이싱을 가압시키면 실링의 압착력에 의해 커넥터가 결합되는 공간으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용 기밀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로서, 참조번호 10은 광케이블이 결합된 커넥터이고, 20b는 광커넥터를 결합하기 위한 케이싱이며, 30,50은 광커넥터에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과 부시이다.
커넥터(10)와 아답터(20a)는 도 1에서 설명한 동일한 형태와 인용부호로 설명한다.
케이싱(20b)은 일측면의 중심에서 커넥터(10)가 삽입되는 수납홀(22)이 형성되고 그 수납홀(22)은 타측면으로 광섬유(12)가 배출되도록 연통되는 배출구멍(23)이 형성된다. 이때, 수납홀(22)의 내부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10)와 아답터(20a)를 수용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커넥터(10)에 결합된 부트(15)가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고, 배출구멍의 내부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20b)의 수납홀(22)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면에는 수납홀(22)을 포위하는 방수홈(24)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그 어답터(20b)의 외부표면에는 양측면에 대칭되도록 절결된 슬롯(26)이 형성되고, 슬롯(26)의 일측벽에는 고정홈(28)이 구비되어 있다.
실링(30)은 케이싱(20b)의 방수홈(24)에 삽입되는데 끝어짐이 없는 신축소재, 바람직하게는 고무소재로 제작된다.
클립퍼(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체 탄성력이 구비되고, 양측 케이싱(20b)의 슬롯(26)과 이격된 길이를 갖는 로드부의 양측이 절곡되고, 그 절곡된 단부에는 가압부(42)가 구비되어 있다.
부시(50)는 마찰력이 큰 플라스틱 재질의 원통형의 형태로 길이방향으로 광섬유(12)의 직경과 동일한 관통구멍이(52)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나사홈(54)이 형성되어 있다.
고무링(60)은 케이싱(20b)의 배출구멍(23)에 삽입되는 형태로 내부에는 광섬유(12)의 직경과 동일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용 광커넥터의 조립 및 그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용 기밀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용 기밀체가 결합된 상태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케이싱(20b)의 양측단면의 배출구멍(23)에 고무링(60)을 삽입시킨 후에 부시(50)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케이싱(20b)의 수납홀(22)로 광섬유(12)를 삽입시켜 부시(50)의 관통구멍(52)를 통해 배출시킬 때 커넥터(10)가 수납홀(22)에 고정된다. 이때, 수납홀(22)에 고정된 커넥터(10)의 페룰(16)에는 심선(13)이 노출된 상태이다. 그리고, 부트(15)의 내부로 배출된 광섬유(12)는 부시(50)를 케이싱(20b)의 배출구멍(23)에 삽입시킴으로써 관통구멍(52)의 내주면과 광섬유(12)의 외주면에 의한 강한 압찹력이 작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의 케이싱(20b)의 방수홈(24)에 실링(30)을 결합시킨다. 또한, 타측의 케이싱(20b)에도 상술된 설명으로 동일하게 실링(30)을 방수홈(24)에 조립하고, 케이싱(20b)의 양측단부에는 부시(50)에 의해 고무링(60)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20b)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된 케이싱(20b)의 슬롯(26)에 클립퍼(40)를 삽입시키면 클립퍼(4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양측의 케이싱(20b)을 가압함으로써 양측의 실링(30)이 가압됨에 따라 강한 밀착력이 작용되고, 양측단부에는 부시(50)에 결합된 고무링(60)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퍼(40)의 가압력에 의해 양측의 케이싱(20b)이 가압되면서 양실링(30)이 서로 압착되고 양측단부에는 결합된 부시(50)가 고무링(60)을 조임으로써 케이싱(20b)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페룰(16)에 배열된 심선(13)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광섬유(12)를 수중에 설치하더라도 안전하게 광전송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

  1. 일측면으로 광섬유(12)를 삽입시켜 타측에 상기 광섬유(12)에 내장된 심선(13)을 배열 노출시키는 페룰(16)이 결합된 커넥터(10)를 조립시키는 아답터(20a)로 구성된 광커넥터에 있어서,
    분리가능하게 분할된 접속면의 중심부에는 상기 커넥터(10)가 수납되는 수납홀(22)과, 상기 수납홀(22)과 광섬유(12)가 타측면으로 통과되도록 연통된 배출구멍(23)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10)가 고정된 단면에는 상기 수납홀(22)을 포위하는 방수홈(24)이 배치되고, 외주면에는 양측으로 대칭되게 슬롯(26)이 형성된 케이싱(20b)과,
    상기 방수홈(24)에 삽입되는 실링(30)과,
    상기 케이싱(20b)의 배출구멍(24)에 결합되는 개재되는 고무링(60)을 가압하고, 내부에는 광섬유(12)가 통과되는 관통구멍(54)이 형성된 부시(50)와,
    상기 슬롯(26)에 삽입되어 양측의 케이싱(20b)을 가압하는 클립퍼(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용 기밀체.
KR1019970056045A 1997-10-29 1997-10-29 광커넥터용기밀체 KR100284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045A KR100284877B1 (ko) 1997-10-29 1997-10-29 광커넥터용기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045A KR100284877B1 (ko) 1997-10-29 1997-10-29 광커넥터용기밀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440A KR19990034440A (ko) 1999-05-15
KR100284877B1 true KR100284877B1 (ko) 2001-03-15

Family

ID=66048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6045A KR100284877B1 (ko) 1997-10-29 1997-10-29 광커넥터용기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48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997B1 (ko) * 2014-01-03 2015-04-17 주식회사 제이티 이중 락킹 구조의 방수형 광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440A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17756B2 (ja) 光ファイバプラグ
CN110542952B (zh) 一种光纤连接头以及光纤连接器
US4852963A (en) Optical fiber biconic connector
US5461688A (en) Fiber optic connector with electrical contact
US4205897A (en) Fiber optic connector for single fiber
KR890013495A (ko) 광섬유 접속기 및 제조방법
US4478487A (en) Optical fiber connectors
US11598924B2 (en) Retention assembly for securing POF fiber within a connector
EP4134717A1 (en) Prefabricated connector, coupler, and prefabricated connector assembly
CA1043143A (en) Deformable fiber optic connection alignment device
KR100284877B1 (ko) 광커넥터용기밀체
US20210271029A1 (en) Sealed optical cable assembli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284875B1 (ko) 광커넥터용기밀체
GB2124793A (en) Fibre optic connector
KR20000074785A (ko) 방수형 광 커넥터 및 어댑터
KR100290181B1 (ko)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
CN211856993U (zh) 一种模块型两件结构预制光缆
CN112952457B (zh) 水下连接器
KR100245623B1 (ko) 결속 및 분리가 용이한 광커넥터
KR100259267B1 (ko) 광화이버 접속자
KR200230008Y1 (ko) 리본형다심광섬유분리형커넥터
CN218602171U (zh) 可同步插接的光电组合缆
KR20010059909A (ko) 다심분리형 커넥터 분기부 압착조립기
KR100276071B1 (ko) 다심광섬유케이블용성단케이블
US20120051698A1 (en) Optical Fiber Termin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