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1181A -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1181A
KR20090031181A KR1020080015559A KR20080015559A KR20090031181A KR 20090031181 A KR20090031181 A KR 20090031181A KR 1020080015559 A KR1020080015559 A KR 1020080015559A KR 20080015559 A KR20080015559 A KR 20080015559A KR 20090031181 A KR20090031181 A KR 20090031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reverse
activated
data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1770B1 (ko
Inventor
김성훈
리에샤우트 게르트 잔 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31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history or models of usage information, e.g. activity schedule or time of d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에서 역방향 데이터 전송 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스케줄링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역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을 위한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전송할 역방향 데이터가 발생되면, 상기 발생된 역방향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근거로 상기 역방향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서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서와 관련된 서브 프레임에서 수신기를 온(ON)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Figure P1020080015559
Uplink discontinuous reception, Scheduling Information

Description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OF USER EQUIPMEN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에서 역방향 데이터 전송 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연속 수신(DRX) 동작은 아이들 상태의 단말이 호출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해서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동작이다.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단말이 장기간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 상태에서도 불연속 수신 동작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 중 하나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규격 작업이 진행 중인 LTE(Long Term Evolution)에서도 이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불연속 수신 동작에서 사용되는 수신기 온(Rx-on)과 수신기 오프(Rx-off)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수신기 온(Rx-on)은 단말이 수신기를 켠 상태이다. 이에 따라 수신기 온 구간 동안 단말은 정상적인 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단말은 상기 수신기 온 구간 동안 제어 채널을 감시해서 스케줄링 여부를 파악하고, 스케줄링된 경우 순방향 데이터를 수신하고, 스케줄링되지 않은 경우 다음 수신기 온 구간까지 수신기를 오프한다.다음으로, 수신기 오프 (Rx-off)는 단말이 수신기를 꺼두는 상태로, 단말의 전력 소모가 최소화되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수신기 오프 구간 동안 단말은 제어 채널을 감시하지 않으므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다.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의 요지는 상기 수신기 온 구간과 수신기 오프 구간의 길이를 최적화함으로써 단말이 불필요하게 수신기 온 상태에 머물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 중인 연결 상태 단말에 역방향 데이터가 발생하는 경우,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는 것보다는 역방향 데이터를 신속하게 전송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단말은 즉시 역방향 데이터 전송 과정을 시작한다. LTE와 같이 기지국이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에게 전송 자원이 할당되는 시점이 가변적이기 때문에, 역방향 데이터 전송을 시작한 단말은 상기 역방향 데이터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수신기를 온 상태로 유지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종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 중인 단말이 역방향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단말과 기지국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ENB : Enhanced Node B)(105)과 단말(UE : User Equipment)(110)로 구성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110)이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단말(110)은 소정의 시점에 소정의 기간 동안 순방향 제어 채널을 감시해서 순방향 데이터 스케줄링 여부를 확인하고, 나머지 기간은 수신기 오프(Rx off) 상태(140)를 유지한다.
수신기 오프 상태(140)인 시점에 단말에 역방향 데이터가 발생하면, 115 단계에서 단말(110)은 소정의 절차를 따라 기지국(105)에게 발생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수납한 스케줄링 정보(Scheduling Information)를 전송한다.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단말(110)이 저장하고 있는 역방향 데이터의 양과 우선 순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115 단계에서 단말(110)은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면, 기지국(105)이 전송하는 역방향 전송 자원 할당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서 수신기 온(Rx on) 상태(145)를 유지한다.
120 단계에서 단말(110)은 역방향 전송 자원을 할당 받으면, 125 단계에서 단말(110)은 상기 할당받은 역방향 전송 자원을 이용해서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110)은 버퍼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를 전송할 때까지 상기 120 단계와 125 단계를 반복하고, 130 단계와 135 단계를 통해 마지막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수신기 온 상태(145)를 해제하고,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으로 복귀 한다.
다시 말해서, 불연속 수신 동작 상에서 수신기 오프 상태로 규정되는 기간동안에는 수신기를 오프시키고, 수신기 온 상태로 규정되는 기간동안에만 수신기를 온 시킨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불연속 수신 동작 중인 단말이 역방향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양이나 종류에 관계없이, 데이터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수신기 온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역방향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성격에 따라, 역방향 데이터 전송이 완료될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가변적이며, 우선 순위가 낮은 데이터의 전송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도 있으며, 이는 배터리 성능의 저하로 이어진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 중인 단말이 역방향 데이터 전송 시,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과 성격을 고려해서 최소한의 기간 동안 수신기를 온 시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 중인 단말이 역방향 데이터 전송 시,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과 성격을 고려해서 최소한의 기간 동안 전력이 사용되도록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스케줄링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역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을 위한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전송할 역방향 데이터가 발생되면, 상기 발생된 역방향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근거로 상기 역방향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서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서와 관련된 서브 프레임에서 수신기를 온(ON)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스케줄링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장치는, 역방향 데이터가 발생되면, 상기 발생된 역방향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구성하는 스케줄링 정보 처리부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역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을 위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근거로 상기 역방향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 세서를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서와 관련된 서브 프레임에서 수신기를 온(ON)하는 역방향 불연속 수신 제어부와, 상기 역방향 불연속 수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온(ON)되는 상기 수신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 중인 단말이 역방향 데이터 전송 시,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과 성격을 고려해서 최소한의 기간 동안 수신기를 온 시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전송할 데이터의 우선 순위가 낮고 양이 작을수록 작은 수의 HARQ 프로세서를 사용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전송할 데이터의 우선 순위가 높고 양이 많을수록 많은 수의 HARQ 프로세서를 사용함으로써, 데이터가 신속하게 전송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3GPP에서 표준화가 진행 중인 LTE를 예로 들지만, 본 발명은 기지국 스케줄링이 적용되는 모든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주된 요지는,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 중인 단말이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역방향 데이터의 성격과 양에 따라서 한정된 기간 동안에만 순방향 제어 채널을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LTE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과정과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동작 방식을 아래에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LTE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순방향(Downlink)과 역방향(Uplink) 데이터 송수신의 기본 단위는 서브 프레임(205, 210)이다. 상기 서브 프레임(205, 210)은 하나의 정방형으로 표시되고 있으며, 상기 정방형의 세로변은 시간, 가로변은 주파수 자원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 프레임(205, 210)은 14개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 기간에 해당하며, 1 msec 의 길이로 구성된다. 한 셀에는 1.25MHz, 5MHz, 10MHz, 20MHz 등 소정의 대역폭에 해당하는 순방향 및 역방향 전송 자원이 구비되며, 상기 전체 대역폭은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단위 자원으로 나뉘어진다. 상기 1 msec 동안의 상기 단위 자원을 리소스 블록이라고 하며, LTE 시스템에서 전송 자원의 할당은 상기 리소스 블록을 단위로 수행된다.
LTE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제어 채널을 통해 역방향 전송 자원을 할당 받은 후, 상기 전송 자원을 이용해서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어 채널은 순방향 전송 자원 혹은 역방향 전송 자원을 할당하는 소정의 제어 메시지가 전송되는 채널이며, 순방향 서브 프레임의 최초 n개의 심볼에 매핑된다.
도 2에서 215 단계에서 단말은 순방향 서브 프레임의 제어 채널을 통해 역방향 전송 자원을 할당 받으면, 225 단계에서 상기 순방향 서브 프레임에서 D1(220)만큼 이격된 역방향 서브 프레임에서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역방향 전송 자원 할당 시점과 역방향 데이터 전송 시점을 분리하는 것은, 단말이 자신에게 할당된 전송 자원을 통해 전송할 데이터를 만들기 위해 소정의 처리 지연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LTE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데이터 송수신에는 동기식 HARQ 기법이 사용되며, 동기식 HARQ 기법의 속성상 역방향 서브 프레임과 HARQ 프로세서(Processor)와의 관계는 시간축을 따라서 반복된다. 예를 들어 단말에게 구비된 HARQ 프로세서의 개수를 n이라고 할 때, 첫번째 서브 프레임은 0번 HARQ 프로세서와, 두번째 서브 프레임은 1 번 HARQ 프로세서와, n 번째 서브 프레임은 [n-1]번 HARQ 프로세서와, [n+1]번째 서브 프레임은 다시 0번 HARQ 프로세서와 관련된다. 특정 서브 프레임과 연관된 HARQ 프로세서의 식별자는 간단한 모듈로 연산을 통해 산출 가능하며,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HARQ process 식별자 = [라디오 프레임 번호 * 10 + 서브 프레임 번호] modulo n
상기 <수학식 1>에서 라디오 프레임은 10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시간 단위이므로, 상기 라디오 프레임 번호는 10 msec마다 1 씩 증가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 프레임 번호는 서브 프레임 마다 1 씩 증가하며, 라디오 프레임의 첫번째 서브 프레임에는 0, 마지막 서브 프레임에는 9가 부여된다.
역방향 서브 프레임이 특정 HARQ 프로세서와 관련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역방향 서브 프레임보다 D1만큼 이른 시점의 순방향 서브 프레임 역시 동일한 HARQ 프로세서와 관련된다.
다시 말해서 순방향 서브 프레임의 제어 채널을 통해 할당된 역방향 전송 자원이 HARQ 프로세서 x를 통해 사용된다면, 상기 순방향 서브 프레임 역시 HARQ 프로세서 x와 관련된다.
215 단계에서 단말이 역방향 HARQ 프로세서 x와 관련된 순방향 서브 프레임의 제어 채널을 통해 역방향 전송 자원을 할당 받으면, 225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순방향 서브 프레임에서 D1(220)만큼 떨어진 역방향 서브 프레임에서 HARQ 프로세서 x를 이용해서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229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한 서브 프레임에서 D2(227)만큼 이격된 시점에 상기 역방향 데이터 전송에 대한 HARQ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235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HARQ 피드백 정보가 부정적 인지 신호(NACK) 라면, 가장 가까운 시점의 동일한 HARQ 프로세서와 관련된 역방향 서브 프레임을 통해 상기 역방향 데이터를 재전송한다. 동일한 HARQ 프로세서와 관련된 서브 프레임들은 D3(230)만큼 이격되며, 상 기 D3(230)는 단말에 구비된 HARQ 프로세서의 개수에 1 msec을 곱한 값이다. 그리고 단말은 참조번호 240 단계 내지 270 단계와 같이 단말은 긍정적 인지 신호(ACK)을 수신할 때까지, 혹은 소정의 최대 재전송 회수만큼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 x를 통한 데이터 전송이 진행되는 중에, 다른 프로세서를 통한 데이터 전송이 병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40 단계에서 HARQ 프로세서 y와 관련된 순방향 서브 프레임의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역방향 전송 자원이 할당되면, 245 단계에서 단말은 HARQ 프로세서 y를 이용해서 역방향 데이터 전송을 시작한다. 이때 프로세서 별 데이터 송수신은 독립적으로 진행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동기식 HARQ 기법을 사용하는 LTE 이동 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데이터 송수신은, HARQ 프로세서 단위로 동작이 진행된다. 예컨대 HARQ 프로세서 x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은, HARQ 프로세서 x와 관련된 순방향 서브 프레임을 통한 역방향 전송 자원의 할당, HARQ 프로세서 x와 관련된 역방향 서브 프레임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 상기 역방향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D2만큼 이격된 순방향 서브 프레임을 통한 HARQ 피드백 수신, HARQ 프로세서 x와 관련된 역방향 서브 프레임을 통한 데이터의 재전송으로 이루어진다.
단말이 모든 HARQ 프로세서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할 가능성이 있다면, 단말은 모든 순방향 서브 프레임의 제어 채널을 수신하여야 하므로, 수신기를 항상 온 시켜두어야 한다. 반면 단말이 특정 HARQ 프로세서만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한다면, 단말은 데이터를 송신할 가능성이 있는 HARQ 프로세서와 관련된 순방향 서브 프레임의 제어 채널만 수신하므로, 나머지 순방향 서브 프레임에서는 수신기를 오프 시 켜서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다. 모든 HARQ 프로세서를 사용할 가능성을 열어둔다는 것은, 단말이 전송 자원을 할당 받을 가능성이 그만큼 늘어남을 의미하기 때문에, HARQ 프로세서 중 일부만 사용하는 것에 비해서 데이터를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HARQ 프로세서를 모두 사용하는 것과 일부만 사용하는 것은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단말과 기지국이 역방향 데이터의 양과 성격에 따라 사용할 HARQ 프로세서의 개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HARQ 프로세서의 개수에 따라서 역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전송할 역방향 데이터의 양과 우선 순위에 따라서 사용할 HARQ 프로세서를 미리 결정하여 역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전송할 데이터의 우선 순위가 낮고 양이 작을수록, 작은 수의 HARQ 프로세서만 사용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고, 전송할 데이터의 우선 순위가 높고 양이 많을수록, 많은 수의 HARQ 프로세서를 사용함으로써, 데이터가 신속하게 전송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의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15 단계에서 단말(305)과 기지국(310)으로 구성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305)과 기지국(310)은 호 설정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315 단계의 호 설정 과정에서 기지국(310)은 단말(305)에게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기본적인 정보들을 신호하고 순방향 불연속 수신 관련 파라미터와 역방향 불연속 수신 관 련 파라미터를 신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순방향 불연속 수신 관련 파라미터는 순방향 불연속 수신 주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역방향 불연속 수신 관련 파라미터는 우선 순위 별로 발생한 데이터의 양과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의 개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하, 상기 정보를 우선 순위 별 활성화 HARQ 프로세서 개수 결정 조건으로 정의한다.
상기 우선 순위 별 활성화 HARQ 프로세서 개수 결정 조건은 m개의 우선 순위가 존재하고, n개의 HARQ 프로세서가 존재하며, 우선 순위 x인 데이터의 양을 Dx로 지시할 때, 우선 순위 별로 발생한 데이터의 양에 따라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의 개수를 지시하는 정보이며, 일 예로 아래의 조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순위 별 HARQ 프로세서 개수 결정 조건>
1. 우선 순위 1의 활성화 HARQ 프로세서 개수 결정 조건
- HARQ 프로세서 1개 활성화 조건 : 발생한 데이터의 양 D1 이 S1,1 보다 작을 때
- HARQ 프로세서 2개 활성화 조건 : 발생한 데이터의 양 D1 이 S1,1 이상이고 S1,2 보다 작을 때
- HARQ 프로세서 n개 활성화 조건 : 발생한 데이터의 양 D1 이 S1,n 이상일 때
2. 우선 순위 2의 활성화 HARQ 프로세서 개수 결정 조건
- HARQ 프로세서 1개 활성화 조건 : 발생한 데이터의 양 D2 가 S2,1 보다 작을 때
- HARQ 프로세서 2개 활성화 조건 : 발생한 데이터의 양 D2 가 S2,1 이상이고 S2,2 보다 작을 때
- HARQ 프로세서 n개 활성화 조건 : 발생한 데이터의 양 D2 가 S2,n 이상일 때.
3. 우선 순위 m의 활성화 HARQ 프로세서 개수 결정 조건
- HARQ 프로세서 1개 활성화 조건 : 발생한 데이터의 양 Dm 이 Sm,1 보다 작을 때
- HARQ 프로세서 2개 활성화 조건 : 발생한 데이터의 양 Dm 이 Sm,1 이상이고 Sm,2 보다 작을 때
- HARQ 프로세서 n개 활성화 조건 : 발생한 데이터의 양 Dm 이 Sm,n 이상일 때
예를 들어 우선 순위 별 HARQ 프로세서 개수 결정 조건에서 S1,1 이 100 바이트, S1,2 가 200 바이트로 신호되고 단말에 우선 순위 1인 데이터 150 바이트가 발생하면, 단말은 2개의 HARQ 프로세서를 활성화한다.
상기 호 설정 과정이 완료되면, 320 단계에서 단말(305)과 기지국(310)은 순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즉, 단말(305)은 정해진 시점에 수신기를 온하 고 순방향 제어 채널을 수신해서, 순방향 데이터의 스케줄링 여부를 판단하고, 스케줄링된 데이터가 없다면 수신기를 오프해서 다음 수신기 온 시점까지 대기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325 단계에서 단말(305)은 역방향 데이터가 발생하면,  발생한 데이터의 양과 우선 순위가 수납되는 통상적인 스케줄링 정보(SI : Scheduling Information)를 구성한다. 그리고 330 단계에서 단말(305)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수납된 정보를 우선 순위 별 활성화 HARQ 프로세서 개수 결정 조건에 대입해서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의 개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330 단계에서 단말(305)은 우선 순위 a의 데이터가 b 바이트 발생하였으며, b가 소정의 Sa,c-1 과 Sa,c사이의 값이라면, 단말은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의 개수를 c로 결정한다.
335 단계에서 단말(305)은 소정의 절차에 따라 스케줄링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역방향 전송 자원을 할당 받기 위해서 순방향 제어 채널을 감시한다.
340 단계에서 단말(305)는 기지국(310)으로부터 임의의 프로세서 x와 관련된 순방향 서브 프레임의 제어 채널을 통해 역방향 전송 자원을 할당받는다. 그리고,, 단말(305)은 상기 역방향 전송 자원이 할당된 프로세서의 식별자와 상기 결정한 활성화 HARQ 프로세서의 개수 및 소정의 규칙을 이용해서,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들을 결정한다. 즉, 상기 단말(305)은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 후 최초로 전송 자원이 할당된 HARQ 프로세서의 식별자를 x, 활성화 HARQ 프로세서의 개수를 n이라 할 때, 아래와 같은 규칙으로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를 결정한다.
1. HARQ 프로세서 결정 규칙 1
- n=1, HARQ process x 사용
- n=2, HARQ process x와 HARQ process [x+1] 사용. x가 가장 높은 식별자라면, x+1 = 0으로 간주
- n=3, HARQ process x, HARQ process [x+1], HARQ process [x+2]사용. x가 가장 높은 식별자라면, x+1 = 0으로 간주. x+1이 가장 높은 식별자라면, x+2 =0 으로 간주
상기 규칙 1을 요약하자면, n이 1이면 스케줄링 정보가 전송된 후 최초로 전송 자원이 할당된 HARQ 프로세서를 활성화하고, n이 2 이상이면, 스케줄링 정보가 전송된 후 최초로 전송 자원이 할당된 HARQ 프로세서를 기준으로 상기 HARQ 프로세서보다 시간적으로 늦은 시점에 위치하는 역방향 서브 프레임과 관련된 HARQ 프로세서들을 순차적으로 활성화하는 것이다.
임의의 HARQ 프로세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HARQ 프로세서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데이터에 대한 HARQ 피드백이 전송되는 순방향 서브 프레임에서 단말은 수신기를 온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서, 활성화된 HARQ 프로세서에 대한 HARQ 피드백 정보가 전송되는 순방향 서브 프레임에서는 단말기가 수신기를 온할 가능성이 있기때문에, 임의의 HARQ 프로세서를 활성화했을 때, 상기 HARQ 프로세서의 HARQ 피드백 정보가 전송되는 순방향 서브 프레임에 해당하는 HARQ 프로세서도 함께 활성화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이 같은 사실에 착안해서 규칙 1대신 아래의 규칙 2를 사용할 수도 있다.
2. HARQ 프로세서 결정 규칙 2
- n=1, HARQ process x 사용
- n=2, HARQ process x 및 HARQ process x의 HARQ 피드백이 전송되는 순방향 서브 프레임과 관련된 HARQ 프로세서.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HARQ process x의 HARQ 피드백이 전송되는 순방향 서브 프레임과 관련된 HARQ 프로세서를 HARQ process xfeedback으로 명명.
- n=3, HARQ process x, HARQ process xfeedback, HARQ process [x+1]
- n=4, HARQ process x, HARQ process xfeedback, HARQ process [x+1], HARQ process [x+1]feedback
단말(305)은 상기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를 결정하면, 350 단계에서 상기 HARQ 프로세서와 관련된 서브 프레임에서 수신기를 온해서 제어 채널을 감시하고, 나머지 서브 프레임에서는 수신기를 오프하는 역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임의의 HARQ 프로세서가 활성화된 경우의 역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HARQ 프로세서가 활성화된 경우의 역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단말은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 후, 첫번째 제어 채널을 수신할 때까지 제어 채널을 계속 감시하여 첫번째 제어 채널을 수신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임의의 HARQ 프로세서가 활성화되었다는 것은 상기 HARQ 프로세서를 통해서 역방향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HARQ 프로세서 5가 활성화되었다면, 단말은 상기 HARQ 프로세서 5에 대한 역방향 전송 자원이 할당될 순방향 서브 프레임(405)에서 수신기 온 상태(410)로 천이해서 제어 채널을 수신하고, 역방향 전송 자원이 할당되면 상기 HARQ 프로세서 5를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나 도 4의 420 단계에서 단말은 수신한 제어 채널의 해석 결과, 역방향 전송 자원이 할당되지 않았음을 확인한 경우,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수신기를 오프한다. 그리고 HARQ 프로세서 5와 관련된 다음 순방향 서브 프레임(415), 즉 HARQ 프로세서 5에 대한 역방향 전송 자원이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다음 순방향 서브 프레임까지 대기한다. HARQ 프로세서 5와 관련된 다음 순방향 서브 프레임에서 단말기는 수신기를 온 상태(425)로 천이해서 제어 채널을 수신한다.
상기 서브 프레임에서 단말에게 역방향 전송 자원이 할당되면, 단말은 D1(430)만큼 떨어진 HARQ 프로세서 5와 관련된 역방향 서브 프레임(435)에서 송신기를 온해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기를 오프한다. 그리고 단말은 D2(440)가 흐른 후 수신기를 온(445) 해서 순방향 서브 프레임을 통해 HARQ 피드백을 수신한다. 단말은 HARQ 프로세서 5와 관련된 순방향 서브 프레임(450)에서 다시 수신기를 온(455)해서 제어 채널을 수신하고, 전송 자원 할당 여부/재전송 필요 여부 등에 따라서 HARQ 프로세서 5와 관련된 역방향 서브 프레임(457)에서 송신기를 온(460)해서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다.
즉, 임의의 HARQ 프로세서 x를 활성화해서 역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 한다는 것은 아래 기간에 수신기를 온하고, 나머지 기간에는 수신기를 오프하는 것을 의미한다.
- HARQ 프로세서 x와 관련된 순방향 서브 프레임
- HARQ 프로세서 x와 관련된 순방향 서브 프레임에서 역방향 전송 자원을 할당 받았다면, HARQ 프로세서 x와 관련된 역방향 서브 프레임.
- HARQ 프로세서 x와 관련된 역방향 서브 프레임에서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했다면, 상기 데이터에 대한 HARQ 피드백이 수신되는 순방향 서브 프레임
- HARQ 프로세서 x와 관련된 역방향 서브 프레임에서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하였으며, HARQ 피드백으로 부정적 인지 신호를 수신하였으며 소정의 최대 재전송 제한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피드백을 수신한 직 후의 HARQ 프로세서 x와 관련된 역방향 서브 프레임.
상기 역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은 HARQ 프로세서 별로 정의되며, 다수의 HARQ 프로세서가 활성화되는 역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은, 각각의 HARQ 프로세서들에 대한 불연속 수신 동작을 모두 더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복수의 HARQ 프로세서를 활성화한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단말은 각 각의 HARQ 프로세서의 역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에서 수신기 온 상태로 규정되는 모든 서브 프레임들에서 수신기를 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5 단계에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역방향 불연속 수신 동 작 파라미터를 수신한 후, 역방향 데이터가 발생할 때까지 호 설정 과정에서 설정된 순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역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 파라미터로는 HARQ 프로세서 개수를 결정하는 조건이 포함되며, 우선 순위 별로 발생 데이터의 양과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 개수 사이의 관계를 지시하는 우선 순위 별 HARQ 프로세서 개수 결정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510 단계에서 단말은 역방향 데이터의 발생을 확인하면, 515 단계에서 상기 발생한 역방향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SI)를 구성한다.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역방향 데이터의 양과 우선 순위를 지시하는 제어 정보이며, 기지국은 단말이 보고한 스케줄링 정보를 바탕으로 단말에게 역방향 전송 자원을 할당한다.
520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의 내용과 우선 순위 별 HARQ 프로세서 개수 결정 조건을 이용해서, 역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 중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의 개수 n을 결정한다. 즉, 520 단계에서 단말은 발생한 데이터의 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HARQ 프로세서 개수 결정 조건을 찾은 뒤 발생한 데이터의 양에 부합되는 조건을 확인해서 활성화할 프로세서의 개수 n을 결정한다.
525 단계에서 단말은 스케줄링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530 단계에서 역방향 전송 자원을 할당 받기 위해서 순방향 제어 채널을 지속적으로 수신한다.
535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 후 최초로 역방향 전송 자원을 할당받으면, 540 단계에서 상기 역방향 전송 자원이 할당된 서브 프레임과 관련된 HARQ 프로세서의 식별자와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의 개수 n을 이용해서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를 결정한다. 상기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를 결정 하기 위해서 단말은 소정의 규칙을 적용하며, 상기 소정의 규칙은 상기 설명한 HARQ 프로세서 결정 규칙 1 혹은 HARQ 프로세서 결정 규칙 2가 될 수 있다. 상기 규칙은 호 설정 과정에 단말에게 신호될 수도 있고, 단말과 기지국이 호 설정 과정 이전에 이미 인지하고 있을 수도 있다.
545 단계에서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를 결정한 단말은 상기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와 관련된 서브 프레임들에서 수신기를 온하고, 나머지 서브 프레임들에서 수신기를 오프하는 역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을 개시한다.
만약 HARQ 프로세서 x가 활성화되었을 때, HARQ 프로세서 x와 관련된 서브 프레임, 혹은 단말이 수신기 온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서브 프레임은 아래와 같다.
<임의의 HARQ 프로세서 x와 관련된 서브 프레임>
- HARQ 프로세서 x와 관련된 순방향 서브 프레임
- HARQ 프로세서 x와 관련된 순방향 서브 프레임에서 역방향 전송 자원을 할당 받았다면, HARQ 프로세서 x와 관련된 역방향 서브 프레임.
- HARQ 프로세서 x와 관련된 역방향 서브 프레임에서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했다면, 상기 데이터에 대한 HARQ 피드백이 수신되는 순방향 서브 프레임
- HARQ 프로세서 x와 관련된 역방향 서브 프레임에서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하였으며, HARQ 피드백으로 부정적 인지 신호를 수신하였으며 소정의 최대 재전송 제한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피드백을 수신한 직 후의 HARQ 프로세서 x와 관련된 역방향 서브 프레임.
본 발명의 2 실시 예에서는 전송할 역방향 데이터의 양과 우선 순위에 따라 서 사용할 HARQ 프로세서를 미리 결정해두고, 스케줄링 정보의 전송이 완료되면 곧 바로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를 인지하고 역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을 적용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역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 파라미터로 우선 순위 별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 결정 조건을 사용한다. 상기 우선 순위 별 HARQ 프로세서 결정 조건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의 개수가 아니라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가 지시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우선 순위 별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 결정 조건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우선 순위 별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 결정 조건은 데이터의 우선 순위 별로 발생한 데이터의 양에 따라서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를 지시하는 정보이며 1 ~ m까지 m개의 우선 순위와, H1 ~ Hn까지 n개의 HARQ 프로세서가 존재할 때 아래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우선 순위 별 HARQ 프로세서 결정 조건>
1. 우선 순위 1의 활성화 HARQ 프로세서 결정 조건
- H1 활성화 조건 : 발생한 데이터의 양 D1 이 S1,1 보다 작을 때
- H1,H2 활성화 조건 : 발생한 데이터의 양 D1 이 S1,1 이상이고 S1,2 보다 작을 때
- 모든 HARQ 프로세서 활성화 조건 : 발생한 데이터의 양 D1 이 S1,n 이상일 때
2. 우선 순위 2의 활성화 HARQ 프로세서 결정 조건
- H1 활성화 조건 : 발생한 데이터의 양 D2 가 S2,1 보다 작을 때
- H1,H2 활성화 조건 : 발생한 데이터의 양 D2 가 S2,1 이상이고 S2,2 보다 작을 때
- 모든 HARQ 프로세서 활성화 조건 : 발생한 데이터의 양 D2 가 S2,n 이상일 때.
3. 우선 순위 m의 활성화 HARQ 프로세서 결정 조건
- H1 활성화 조건: 발생한 데이터의 양 Dm 이 Sm,1 보다 작을 때
- H1,H2 활성화 조건: 발생한 데이터의 양 Dm 이 Sm,1 이상이고 Sm,2 보다 작을 때
- 모든 HARQ 프로세서 활성화 조건: 발생한 데이터의 양 Dm 이 Sm,n 이상일 때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발생한 데이터의 양과 우선 순위를 알면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의 개수뿐만 아니라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 자체가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스케줄링 정보의 전송이 완료되면 단말과 기지국은 즉시 역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우선 순위 별 HARQ 프로세서 개수 결정 조건 및 우선 순위별 HARQ 프로세서 결정 조건은 단순화될 수있다. 예를 들어, 발생한 데이터의 우선 순위가 소정의 기준값보다 낮고, 발생한 데이터의 양이 또 다른 소정의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소정의 HARQ 프로세서 하나만 활성화하고, 나머지 경우에는 모든 HARQ 프로세서를 활성화시키도록 정의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05 단계에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역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 파라미터를 수신한 후, 역방향 데이터가 발생할 때까지 호 설정 과정에서 설정된 순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역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 파라미터로는 우선 순위 별 HARQ 프로세서 결정 조건이 포함된다.
610 단계에서 단말은 역방향 데이터의 발생을 확인하면, 615 단계에서 상기 발생한 역방향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구성한다.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역방향 데이터의 양과 우선 순위를 지시하는 제어 정보이며, 기지국은 단말이 보고한 스케줄링 정보를 바탕으로 단말에게 역방향 전송 자원을 할당한다.
620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의 내용을 우선 순위 별 HARQ 프로세서 결정 조건에 대입해서 역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 중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들을 결정한다. 즉, 620 단계에서 단말은 발생한 데이터의 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HARQ 프로세서 결정 조건을 찾아서, 발생한 데이터의 양에 부합되는 조건을 확인하고, 상기 조건에 명시된 HARQ 프로세서들을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로 인지한다.
625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630 단계에서 단말은 역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을 시작한다. 요컨대 620 단계에서 활성화하기로 결정한 HARQ 프로세서와 관련된 서브 프레임에서 수신기를 온하고 나머지 서 브 프레임에서는 수신기를 오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는 소정의 타이머로 불연속 수신 동작 재개 시점을 결정하여 단말의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특히 전송하고자 하는 역방향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타이머의 길이를 조절하여 불연속 수신 동작 재개 시점을 결정하여 단말의 전력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역방향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조절된 타이머를 이용하면 순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과 역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의 유사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1 단계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이 적용되고 있는 단말의 임의의 로지컬 채널 전송 버퍼에 역방향 데이터가 발생한다.
703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데이터가 소정의 기준에 부합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기준은 타이머의 길이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중요한 데이터일수록 긴 타이머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네트워크는 호 설정 과정에서, 혹은 불연속 수신 동작 설정 과정에서, 단말에게 어떤 역방향 데이터에 어떤 타이머를 적용할지 지시할 수 있다. 일 예로, RRC(Radio Resource Control) 제어 메시지에는 긴 타이머인 T1을, RRC 제어 메시지가 아닌 일반적인 사용자 데이터에 대해서는 짧은 타이머인 T2를 적용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RRC 제어 메시지 중, 핸드 오버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측정 결과 보고 메시지에 대해서만 긴 타이머인 T1을 적용하고, 나머지 데이터에 대해서는 짧은 타이머인 T2를 적용하도록 설정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상기 703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검사결과 상기 발생한 데이터가 상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예컨대 RRC 메시지이거나 혹은 핸드 오버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측정 결과 보고 메시지라면, 705 단계로 진행하여 향후 불연속 수신 동작 재개 시점을 결정하는 타이머로 T1을 선택한다. 반면, 상기 703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707 단계로 진행하여 향후 불연속 수신 동작 재개 시점을 결정하는 타이머로 T2를 선택한다.
상기 타이머로 T1 또는 T2를 선택한후, 709 단계에서 단말은 스케줄러에게 전송 자원을 할당할 것을 요청하고 711 단계에서 수신 장치를 온 한다. 그리고 713 단계에서 단말은 순방향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mmOn ContRol ChannEl, 이 하 PDCCH)를 감시한다. 즉, 단말은 PDCCH에 매핑된 시간/주파수 자원을 수신해서 단말의 식별자가 마스킹된 CRC 연산(UE specific CRC)을 수행한다. 상기 CRC 연산 결과 오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면 상기 PDCCH에 상기 단말에게 전달되는 제어 정보, 예를 들어 순방향 전송 자원 할당 정보 혹은 역방향 전송 자원 할당 정보가 수납되어 있음을 의미하며, 상기 CRC 연산 결과 오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면 상기 PDCCH에는 상기 단말에게 전달되는 제어 정보가 수납되어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715단계에서 단말은 PDCCH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하면, 다시 말해서 CRC 연산 결과 오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PDCCH를 수신하면, 단말은 717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한T1 혹은 T2를 구동한다.
719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구동한 T1 혹은 T2가 만료될 때까지 새로운 PDCCH 가 성공적으로 디코딩 되는지 검사하고, 상기 T1 혹은 상기 T2가 만료될 때까지 새로운 PDCCH가 성공적으로 디코딩 되지 않으면, 즉 상기 T1 혹은 상기 T2가 만료될 때까지 순방향 혹은 역방향 전송 자원을 다시 할당 받지 못하면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기 위해서 721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T1 혹은 상기 T2가 만료되기 전에 새로운 PDCCH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하면 717 단계로 진행해서 T1 혹은 T2를 재구동한다.
상기 721 단계에서 단말은 HARQ 재전송 중인 데이터가 있는지 검사하고, HARQ 재전송 중인 데이터가 없다면 바로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한다. 반면 HARQ 재전송 중인 데이터가 있다면, 상기 HARQ 재전송을 완료한 후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은 전송 버퍼부(805)와, 다중화 장치(810)와, HARQ 프로세서(815)와, SI 처리부(820)와, 역방향 DRX 제어부(825)와, 제어 채널 처리부(830)와, 송수신부(835)를 포함한다.
단말의 송수신부(835)는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며, 역방향 DRX 제어부(825)의 제어에 의해, 수신기가 온(on) 되거나 오프(off) 된다.
상기 역방향 DRX 제어부(825)는 수신기 오프(Rx off)구간에서 수신기를 오프(off) 시키고, 수신기 온(Rx on) 구간에서 수신기를 온(on) 시킨다. 
HARQ 프로세서(815)는 다중화 장치(810)로부터 전달받은 패킷을 소정의 HARQ 동작을 통해 송신부(835)를 거쳐서 기지국에 전송한다.
상기 다중화 장치(810)는 전송 버퍼부(805)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들을 하나의 HARQ 패킷으로 다중화해서 HARQ 프로세서(815)로 전달한다.
역방향 DRX 제어부(825)는 역방향 불연속 수신 파라미터와 소정의 규칙을 이용해서, 역방향 DRX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역방향 DRX 제어부(825)는 SI 처리부(820)로부터 SI에 수납될 정보를 통보받아서, 상기 수납될 정보와 우선 순위 별 HARQ 프로세서 개수 결정 조건을 이용해서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의 개수를 결정한다. 그리고 역방향 DRX 제어부(825)는 SI 전송이 완료되면, 역방향 전송 자원이 할당된 HARQ 프로세서의 식별자와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의 개수 및 소정의 규칙을 이용해서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를 결정한다. 또한 역방향 DRX 제어부(825)는 상기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와 관련된 서브 프레임에서 수신기를 온하고, 나머지 서브 프레임에서는 수신기를 오프하도록 송수신부(835)를 제어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2 실시 예에서 역방향 DRX 제어부(825)는, SI 처리부(820)로부터 SI에 수납될 정보를 통보받아서, 상기 수납될 정보와 우선 순위 별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 결정 조건을 이용해서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를 결정한다. 그리고 SI 전송이 완료되면 활성화할 HARQ 프로세서와 관련된 서브 프레임에서 수신기를 온하고, 나머지 서브 프레임에서는 수신기를 오프하도록 송수신부(835)를 제어한다.
제어 채널 처리부(830)는 순방향 서브 프레임에서 전송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해서 순방향 전송 자원 및 역방향 전송 자원 할당 여부를 판단한다.
SI 처리부(820)는 전송 버퍼부(805)에 포함된 전송 버퍼들의 상태를 감시하고,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면 SI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SI 처리부(820)는 SI를 만들면, 상기 SI에 수납된 정보를 역방향 DRX 제어부(825)에게 통보하고, 소정의 절차를 거쳐 송수신부(835)를 통해 기지국에 SI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설명한 단말의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와 유사하게 상기 도 7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라 동작한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의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HARQ 프로세서가 활성화된 경우의 역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Claims (14)

  1. 기지국 스케줄링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역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을 위한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전송할 역방향 데이터가 발생되면, 상기 발생된 역방향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근거로 상기 역방향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서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서와 관련된 서브 프레임에서 수신기를 온(ON)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역방향 데이터의 양과 우선 순위를 지시하는 제어 정보인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서 개수를 결정하는 조건과, 우선 순위 별로 발생 데이터의 양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서 개수 사이의 관계를 지 시하는 우선 순위 별 프로세서 개수 결정 조건을 포함하는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서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의 내용과, 상기 우선 순위 별 프로세서 개수 결정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서의 개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역방향 전송 자원을 할당 받기 위해서 순방향 제어 채널을 감시하는 과정과,
    상기 순방향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역방향 전송 자원을 할당 받으면, 상기 역방향 전송 자원이 할당된 서브 프레임과 관련된 프로세서의 식별자와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서의 개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서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우선 순위 별 프로세서 결정 조건을 포함하는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서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의 내용을 상기 우선 순위 별 프로세서 결정 조건에 대입 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서를 결정한 후,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역방향 전송 자원을 할당받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를 온(ON)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서와 관련된 순방향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서와 관련된 순방향 서브 프레임에서 역방향 전송 자원을 할당받았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스와 관련된 역방향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서와 관련된 역방향 서브 프레임에서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했다면 상기 역방향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이 수신되는 순방향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수신기를 상기 온(ON)하고,
    상기 관련된 서브 프레임들이 아닌 나머지 기간에서 상기 수신기를 오프(OFF)하는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8. 기지국 스케줄링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역방향 데이터가 발생되면, 상기 발생된 역방향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구성하는 스케줄링 정보 처리부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역방향 불연속 수신 동작을 위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근거로 상기 역방향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서를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서와 관련된 서브 프레임에서 수신기를 온(ON)하는 역방향 불연속 수신 제어부와,
    상기 역방향 불연속 수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온(ON)되는 상기 수신기를 포함하는 전력 소모 최소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역방향 데이터의 양과 우선 순위를 지시하는 제어 정보인 전력 소모 최소화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서 개수를 결정하는 조건과, 우선 순위 별로 발생 데이터의 양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서 개수 사이의 관계를 지시하는 우선 순위 별 프로세서 개수 결정 조건을 포함하는 전력 소모 최소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불연속 수신 제어부는,
    상기 스케줄링 정보의 내용과, 상기 우선 순위 별 프로세서 개수 결정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서의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역방향 전송 자원을 할당 받기 위해서 순방향 제어 채널을 감시하고,
    상기 순방향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역방향 전송 자원을 할당 받으면, 상기 역방향 전송 자원이 할당된 서브 프레임과 관련된 프로세서의 식별자와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서의 개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서를 결정하는 전력 소모 최소화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우선 순위 별 프로세서 결정 조건을 포함하는 전력 소모 최소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불연속 수신 제어부는,
    상기 스케줄링 정보의 내용을 상기 우선 순위 별 프로세서 결정 조건에 대입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서를 결정한 후, 역방향 전송 자원을 할당받는 전력 소모 최소화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불연속 수신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서와 관련된 순방향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서와 관련된 순방향 서브 프레임에서 역방향 전송 자원을 할당 받았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스와 관련된 역방향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할 프로세서와 관련된 역방향 서브 프레임에서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했다면 상기 역방향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이 수신되는 순방향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수신기를 상기 온(ON)하고,
    상기 관련된 서브 프레임들이 아닌 나머지 기간에서 상기 수신기를 오프(OFF)하는 전력 소모 최소화 장치.
KR1020080015559A 2007-09-21 2008-02-20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017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96978 2007-09-21
KR1020070096978 2007-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181A true KR20090031181A (ko) 2009-03-25
KR101501770B1 KR101501770B1 (ko) 2015-03-12

Family

ID=40697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559A KR101501770B1 (ko) 2007-09-21 2008-02-20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77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7406A3 (ko) * 2010-11-15 2012-07-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2138155A2 (en) * 2011-04-05 2012-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ttery consumption control method of user equip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629088B2 (en) 2010-11-15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power consumption of a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3503451A1 (en) * 2017-12-20 2019-06-2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Base station and scheduling method of uplink resource unit
US10356802B2 (en) 2017-12-20 2019-07-1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Base station and scheduling method of uplink resource uni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4606B1 (ko) * 1998-08-05 2001-11-30 이봉훈 선택적양방향무선호출시스템에서의데이터재전송방법
KR100644582B1 (ko) * 1999-10-30 2006-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우선순위를 고려한 백오프 알고리즘을 이용한 충돌 방지 프로토콜
US6799043B2 (en) * 2001-12-04 2004-09-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 reverse link supplemental channel scheduling
JP4444246B2 (ja) * 2005-07-19 2010-03-31 三星電子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のスケジューリング装置及び方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7406A3 (ko) * 2010-11-15 2012-07-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장치
US9100913B2 (en) 2010-11-15 2015-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power consumption of a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629081B2 (en) 2010-11-15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power consumption of a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629088B2 (en) 2010-11-15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power consumption of a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629087B2 (en) 2010-11-15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power consumption of a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681385B2 (en) 2010-11-15 2017-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power consumption of a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2138155A2 (en) * 2011-04-05 2012-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ttery consumption control method of user equip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2138155A3 (en) * 2011-04-05 2013-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ttery consumption control method of user equip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3503451A1 (en) * 2017-12-20 2019-06-2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Base station and scheduling method of uplink resource unit
US10356802B2 (en) 2017-12-20 2019-07-1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Base station and scheduling method of uplink resource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770B1 (ko)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16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uplink data by DRX-mode terminal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S9451547B2 (en) Coordinated signaling of scheduling information for uplink and downlink communications
JP5396087B2 (ja) 間欠受信を動的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EP2589250B1 (en) Scheduling of user terminals in communication network
US9906347B2 (en) Method and system for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operation in a semi-persistent scheduling (SPS) interval
RU2413393C2 (ru) Выделение радиоресурсов в системе подвижной связи
JP503182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パケットを不連続的に受信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75567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EP2169871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handling a timer for triggering buffer status report
US9629132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reverse control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48798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cheduling request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2011368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 개선 방법 및 장치
KR2012005217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80003682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harq 재전송 타이밍을 조정해서패킷을 신속하게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966079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ontinuous recep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090101793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유닛의 전송 성공 여부 판단 방법 및 장치
KR101501770B1 (ko)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방법 및 장치
EP2768171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reverse control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30038500A1 (en) Enhanced drx operation for power saving when there is no uplink data for transmission
KR20080067273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의역방향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230169148A (ko)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CN115865287A (zh) 配置方法、信道监控方法、通信节点及存储介质
KR20080086299A (ko) 채널 품질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