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0677A - 휴대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설정 방법 및 그 기능이 탑재된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설정 방법 및 그 기능이 탑재된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0677A
KR20090030677A KR1020070096131A KR20070096131A KR20090030677A KR 20090030677 A KR20090030677 A KR 20090030677A KR 1020070096131 A KR1020070096131 A KR 1020070096131A KR 20070096131 A KR20070096131 A KR 20070096131A KR 20090030677 A KR20090030677 A KR 20090030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connection
mode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network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6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진
연승호
김동훈
배정일
이현주
서동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70096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0677A/ko
Publication of KR20090030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6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04L41/0253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using browsers or web-pages for accessing managemen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설정 방법 및 그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와,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비피씨(Non-PC)형 휴대 단말기에 통신망 접속 설정에 관한 모드를 구현하고 사용자가 원격의 컴퓨터로 휴대 단말기 상의 웹페이지에 접속해 휴대 단말기에 관한 통신망 접속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설정 방법 및 그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와,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원격 단말기로 휴대 단말기 상에서 운용되는 웹페이지에 접속해 상기 휴대 단말기에 관한 통신망 접속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휴대 단말기에 통신망 접속 설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마스터 모드(Master Mode)단과 단말 원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매니지드 모드(Managed Mode)단을 포함하되, 상기 마스터 모드단은, 상기 원격 단말기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접속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DHCP 서버 모듈; 사용자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에 관한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입력받기 위한 웹페이지를 구동하기 위한 HTTP 서비스 시작 모듈; 상기 HTTP 서비스 시작 모듈에서 구동되는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해석하기 위한 HTML 파싱 프로세스 모듈; 및 상기 HTML 파싱 프로세스 모듈에서 해석한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로 설정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 적용되 도록 하기 위한 마스터 모드 프로세스 모듈을 포함한다.
Figure P1020070096131
휴대 단말기, 비피씨(Non-PC)형, 통신망, 접속 설정, 원격 컴퓨터, 마스터 모드, 매니지드 모드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설정 방법 및 그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The network connection configuration method for Non-PC devices}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설정 방법 및 그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와,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피씨(Non-PC)형 휴대 단말기에 통신망 접속 설정에 관한 모드를 구현하고 사용자가 원격의 컴퓨터로 휴대 단말기 상의 웹페이지에 접속해 휴대 단말기에 관한 통신망 접속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설정 방법 및 그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와,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단말 기술 발전에 힘입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종류의 휴대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의 콘텐츠 감상, 정보 검색 등의 요구(needs)를 만족시켜 주기 위해, PDA, PSP, PMP 등과 같은 비피씨(Non-PC)형 휴대 단말기에도 통신망 접속 기능을 탑재시켜 사용자에게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여기서, 통신망 접속 기능이란 무선랜, 휴대 인터넷(일명 와이브로), 이동통신을 통한 무선 인터넷 등에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한편, 비피씨(Non-PC)형 휴대 단말기란 통상의 PC(예; 데스크톱 PC, 노트북 PC 등)를 제외한 특정 정보 제공 목적으로 상용화된 휴대 단말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PDA, PSP, PMP, MP3, 디지털 액자, 유비쿼터스 로봇,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가전기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비피씨(Non-PC)형 휴대 단말기는 해당 통신망의 프로토콜에 맞추어 통신망 접속 기능이 탑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피씨(Non-PC)형 휴대 단말기의 저사양 스펙으로 인해 디스플레이부 미탑재, 통신망 접속에 관한 환경 설정 프로그램 미탑재 등으로 인해 휴대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는 경우 등에 있어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자체적으로 이용해 통신망 접속 설정, 통신망 접속 점검 등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비피씨(Non-PC)형 휴대 단말기의 제한적인 스펙, 예컨대 디스플레이부를 탑재하지 못한 경우, 낮은 사양의 펌웨어 환경, 휴대 단말기 상에서 통신망 접속 설정을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점 등을 고려해, 원격의 컴퓨터 등을 이용해 사용자가 휴대형 단말기에 관한 통신망 접속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비피씨(Non-PC)형 휴대 단말기에 통신망 접속 설정에 관한 모드를 구현하고 사용자가 원격의 컴퓨터로 휴대 단말기 상의 웹페이지에 접속해 휴대 단말기에 관한 통신망 접속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설정 방법 및 그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와,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원격 단말기로 휴대 단말기 상에서 운용되는 웹페이지에 접속해 상기 휴대 단말기에 관한 통신망 접속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휴대 단말기에 통신망 접속 설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마스터 모드(Master Mode)단과 단말 원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매니지드 모드(Managed Mode)단을 포함하되, 상기 마스터 모드단은, 상기 원격 단말기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접속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DHCP 서버 모듈; 사용자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에 관한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입력받기 위한 웹페이지를 구동하기 위한 HTTP 서비스 시작 모듈; 상기 HTTP 서비스 시작 모듈에서 구동되는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해석하기 위한 HTML 파싱 프로세스 모듈; 및 상기 HTML 파싱 프로세스 모듈에서 해석한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로 설정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 적용되도록 하기 위한 마스터 모드 프로세스 모듈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휴대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통신망 접속 설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마스터 모드(Master Mode)와 단말 원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매니지드 모드(Managed Mode)를 탑재하고 있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통신망 접속 설정을 위한 모드 전환을 요구받음에 따라 단말 모드를 상기 마스터 모드로 천이시키는 마스터 모드 천이 단계; 원격 단말기로부터 접속을 요청받음에 따라 상기 원격 단말기로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입력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한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에 관한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입력받은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해석하는 단계; 상기 해석한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로 설정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 저장을 완료함에 따라 단말 모드를 매니지드 모드로 천이시키는 매니지드 모드 천이 단계; 및 상기 저장한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을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 적용하는 적용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통신망 접속 설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마스터 모드(Master Mode)와 단말 원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매니지드 모드(Managed Mode)를 탑재하고 있는 기능; 사용자로부터 통신망 접속 설정을 위한 모드 전환을 요구받음에 따라 단말 모드를 상기 마스터 모드로 천이시키는 기능; 원격 단말기로부터 접속을 요청받음에 따라 상기 원격 단말기로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입력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기능; 상기 제공한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에 관한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입력받은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해석하는 기능; 상기 해석 한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로 설정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 저장하는 기능; 상기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 저장을 완료함에 따라 단말 모드를 매니지드 모드로 천이시키는 기능; 및 상기 저장한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을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 적용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원격의 컴퓨터 등을 통해 사용자가 휴대형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를 탑재하지 못한 경우, 낮은 사양의 펌웨어 환경 등을 갖는 비피씨(Non-PC)형 휴대 단말기에서도 통신망 접속 설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비피씨(Non-PC)형 휴대 단말기에 통신망 접속 설정에 관한 모드를 구현하고, 사용자가 원격의 컴퓨터 등으로 휴대 단말기 상의 웹페이지에 접속해 휴대 단말기에 관한 통신망 접속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특히 비피씨(Non-PC)형 휴대 단말기의 제한적인 스펙, 예컨대 디스플레이부를 탑재하지 못한 경우, 낮은 사양의 펌웨어 환경, 휴대 단말기 상에서 통신망 접속 설정을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점 등을 고려해, 사용자가 원격의 컴퓨터 등을 이용해 상기 휴대 단말기 상의 웹페이지에 접속해 이 웹페이지의 해당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 등을 셋팅해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을 설정하고, 상기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이 사용되어져 휴대 단말기 상에서 통신망 접속 설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에 2가지 모드, 예컨대 단말 원래 기능(original function)을 제공하기 위한 모드[이하 "매니지드 모드(Managed Mode)"라 함]와 통신망 접속 설정 기능 등을 제공하기 위한 모드[이하 "마스터 모드(Master Mode)"라 함]를 구현한다. 이와 같은 2가지 모드를 통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통신망 접속 환경 설정 기능, 통신망 점검 기능, 통신망 접속 방식 선택 기능, 통신망 접속 개시 기능, 및 통신망 접속 유지 기능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특정 명령어 입력, 버튼(예; 핫키 등) 조작 등을 통 해 상기 2가지 모드간 천이를 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드간 천이를 통해 원래의 휴대 단말기의 고유 기능을 사용하다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 관한 통신망 접속 설정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통해 동영상 콘텐츠를 다운로드받다가 통신망 접속 신호(예; 무선랜 수신 신호 등)의 약화로 인해 다운로드 속도가 떨어지거나 장소 이동에 따른 다른 통신망 접속 수단(예; 인근 AP 등)으로 접속을 변경해야 되는 경우 등에 있어, 버튼 조작 등을 통해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매니지드 모드에서 마스터 모드로 천이시킨 상태에서 컴퓨터로 상기 휴대 단말기 상의 웹페이지로 접속해 상기 휴대 단말기에 관한 통신망 접속 설정을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통신망 접속 설정을 하는데 있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리부팅 없이도 수행될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매우 편리함을 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설정 방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하며, 통신망에 대해서는 무선랜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설정에 관한 모드를 보여주기 위한 일실시예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휴대 단말기 통신망 접속 설정 방법 구현을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능 블록이 요구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 상에는 커널(10)(Kernel)단에 무선랜 디바이스 드라이버 매니지먼트 모듈(WLAN Device Driver Management Module)(11)이 탑재되어 있고, 상기 커널(10)단의 상위 계층에 무선랜 디바이스 콘트롤 프로세스 모듈(WLAN Device Control Process Module)(12), 시스템 핸들러 모듈(System Handler Module)(13), 무선랜 콘트롤 수신 모듈(WLAN Control Rx Module)(14), 무선랜 콘트롤 송신 모듈(WLAN Control Tx Module)(15), 및 무선랜 콘트롤 타이머 모듈(WLAN Control Timer Module)(16)이 탑재되어 있고, 본 발명에 따라 구현한 매니지드 모드(Managed Mode)단에 공통 프로세스 모듈(Common Process Module)(21), 통신 프로세스 모듈(Communication Process Module)(22), 및 DHCP 클라이언트 모듈(DHCP Client Module)(23)이 탑재되어 있고, 본 발명에 따라 구현한 마스터 모드(Master Mode)단에 마스터 모드 프로세스 모듈(Master Mode Process Module)(31), HTTP 서비스 시작 모듈(HTTP Service Start Module)(32), HTML 파싱 프로세스 모듈(HTML Parsing Process Module)(33), 및 DHCP 서버 모듈(DHCP Server Module)(34)이 탑재되어 있고, 휴대 단말기의 전반전인 제어를 담당하는 메인 프로세스 모듈(Main Process Module)(40)이 탑재되어 있다.
상기 메인 프로세스 모듈(40)은 휴대 단말기 제어를 위한 작업 프로세스(task process)를 생성, 관리하며, 통신망 접속 작업, 예컨대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을 로딩하고서 해당 설정 절차를 마친 후 그 자신은 매니지드 모드 상의 공통 프로세스 모듈(21)의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메인 프로세스 모듈(40)이 매니지드 모드 전환 버튼신호, 및 마스터 모드 전환 버튼신호 등에 따라 분기(branch)를 수행해 해당 모드가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공통 프로세스 모듈(21)은 매니지드 모드에서 무선랜 상태 관리, 통신 망 접속 구성 파일 관리, 및 DHCP 클라이언트 모듈(23)에서 이루어지는 DHCP 클라이언트 서비스 관리 등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 프로세스 모듈(22)은 매니지드 모드에서 통신 프로토콜 프로세스, 예컨대 휴대 단말기가 콘텐츠 서버로부터 콘텐츠 데이터 다운로드 등을 수행하는데 있어 해당 통신망에 대응되는 프로토콜, 예컨대 무선랜 프로토콜 수행 등을 한다.
상기 DHCP 클라이언트 모듈(23)은 매니지드 모드에서 휴대 단말기가 DHCP 클라이언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부연 설명하면, 정상적으로 통신망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의 이동 등에 따라 인터넷 접속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할당받은 IP 주소 등을 갱신하는데 있어 DHCP 클라이언트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마스터 모드 프로세스 모듈(31)은 마스터 모드에서 무선랜 상태 관리, HTTP 서비스 시작 모듈(32)에서 이루어지는 HTTP 서비스 관리, HTML 파싱 프로세스 모듈(33)에서 이루어지는 HTML 파싱 프로세스 관리, 및 DHCP 서버 모듈(34)에서 이루어지는 DHCP 서버 서비스 관리 등을 수행한다.
상기 HTTP 서비스 시작 모듈(32)은 마스터 모드에서 사용자가 원격 컴퓨터로 접속할 수 있는 웹페이지, 예컨대 사용자가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셋팅해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웹페이지 관련 서비스를 수행한다.
상기 HTML 파싱 프로세스 모듈(33)은 HTTP 서비스 시작 모듈(32) 상에서 제공되는 HTML 문서 형태의 웹페이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 등을 해석하여 마스터 모드 프로세스 모듈(31)에게 넘겨주며, 상기 마스터 모드 프로세스 모듈(31)로부터 명령받은 웹페이지 게재 데이터를 HTTP 서비스 파일로 재가공하여 HTTP 서비스 시작 모듈(32)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한다.
상기 DHCP 서버 모듈(34)은 마스터 모드에서 휴대 단말기가 DHCP 서버 기능, 즉 상기 사용자측 원격 컴퓨터가 휴대 단말기로 접속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부연 설명하면, 사용자가 HTTP 서비스 시작 모듈(32)의 웹페이지를 통해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셋팅하는 도중에 휴대 단말기의 이동 등에 따라 휴대 단말기 IP 주소 변경 등으로 인해 사용자 접속이 끊기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어 DHCP 서버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랜 콘트롤 수신 모듈(14)은 시스템 핸들러 모듈(13) 또는 무선랜 콘트롤 타이머 모듈(16)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매니지드 모드 관련 데이터이면 공통 프로세스 모듈(21)로 전달하고, 마스터 모드 관련 데이터이면 마스터 모드 프로세스 모듈(31)로 전달한다. 여기서, 시스템 핸들러 모듈(13)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는 휴대 단말기 내부 자체적으로 발생된 이벤트 데이터 등이 될 수 있고, 무선랜 콘트롤 타이머 모듈(16)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는 콘텐츠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콘텐츠 데이터 또는 HTTP 서비스 시작 모듈(32)의 웹페이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 데이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무선랜 콘트롤 송신 모듈(15)은 무선랜 송신 제어,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서버(예; 콘텐츠 서버 등)로 보낼 데이터 처리 등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랜 콘트롤 타이머 모듈(16)은 무선랜 콘트롤 송신 모듈(15)에서 무선랜 디바이스 콘트롤 프로세스 모듈(12)로 디바이스 제어 관련 메시지 등을 보내 는 경우에 타이머를 동작시키거나, 이 타이머 동작 결과로 타임아웃(time out)된 메시지를 무선랜 콘트롤 수신 모듈(14)로 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랜 디바이스 콘트롤 프로세스 모듈(12)은 무선랜 콘트롤 송신 모듈(15)로부터 수신받은 메시지에 대해 시스템 핸들러 모듈(13)을 동작시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시스템 핸들러 모듈(13)은 무선랜 디바이스 콘트롤 프로세스 모듈(12)에 의해 생성되는 쓰레드(thread)로서, 커널(10)단의 무선랜 디바이스 드라이버 매니지먼트 모듈(11)로 해당 데이터를 전송시켜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받는다. 여기서, 시스템 핸들러 모듈(13)은 무선랜 디바이스 드라이버 매니지먼트 모듈(11)로부터 해당 응답 메시지를 받은 경우에 이 응답 메시지를 무선랜 콘트롤 수신 모듈(14)로 전달하고, 자신은 소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통신망 접속 설정 방법 중 휴대 단말기가 마스터 모드로 천이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일실시예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원격 컴퓨터로 휴대 단말기 상의 웹페이지에 접속해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셋팅해 휴대 단말기에 관한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휴대 단말기가 상기 통신망 접속 설정을 위한 상기 웹페이지를 구동하는 마스터 모드로 천이되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마스터 모드 전환 버튼(핫키) 등을 눌러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매니지드 모드에서 마스터 모드로 천이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널(10)을 통해 마스터 모드 전환 버튼에서 발생된 신호(이하, "마스터 모드 전환 요구신호"라 함)가 메인 프로세스 모듈(40)에 입력되면, 상기 메인 프로세스 모듈(40)는 마스터 모드 천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이러한 메인 프로세스 모듈(40)이 실행하는 마스터 모드 천이 어플리케이션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메인 프로세스 모듈(40)은 커널(10)에 어떠한 신호가 도착하면 인터럽트를 발생(Interrupt Occur)시켜 시그널 핸들러(Signal Handler)(51)를 실행시킨다. 여기서, 메인 프로세스 모듈(40)은 시그널 핸들러(51)를 통해 커널(10)의 신호가 어떠한 것인지를 감지한다.
이에, 상기 시그널 핸들러(51)는 커널(10)의 신호가 마스터 모드 전환 요구신호인지를 감지해 해당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Interrupt Service Routine)(52), 즉 마스터 모드 천이 실행 절차로 들어간다.
상기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52)은 휴대 단말기의 현재 모드, 즉 매니지드 모드로 동작되던 해당 프로세스를 정지시키거나 다운(kill of related managed process)(53)시킬 준비를 실행한다.
그런 후, 상기 메인 프로세스 모듈(40)은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매니지드 모드에서 마스터 모드로 천이시켜 마스터 모드 시작(start master mode)(54)을 실행하여 매니지드 모드의 공통 프로세스 모듈(21)을 비활성화시킨다.
그런 후, 상기 메인 프로세스 모듈(40)은 HTML 파싱(HTML Parsing)(55)을 실행하여 마스터 모드의 HTML 파싱 프로세스 모듈(33)을 활성화시킨다.
그런 후, 상기 메인 프로세스 모듈(40)은 매니지드 모드의 DHCP 클라이언트 모듈(23)에서 수행되던 DHCP 클라이언트 서비스 정지(End DHCP Client Service)(56)를 실행하여 매니지드 모드의 DHCP 클라이언트 모듈(23)을 비활성화시킨다.
그런 후, 상기 메인 프로세스 모듈(40)은 DHCP 서버 서비스 시작(start of DHCP Server Service)(57)을 실행하여 마스터 모드의 DHCP 서버 모듈(34)을 활성화시킨다.
그런 후, 상기 메인 프로세스 모듈(40)은 HTTP 서비스 시작(start HTTP Service)(58)을 실행하여 마스터 모드의 HTTP 서비스 시작 모듈(32)을 활성화시킨다.
이후, 상기 메인 프로세스 모듈(40)은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마스터 모드로 천이시킨 상태에서 이 마스터 모드 제어권, 즉 상기 활성화된 HTTP 서비스 시작 모듈(32), HTML 파싱 프로세스 모듈(33), 및 DHCP 서버 모듈(34)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마스터 모드 프로세스 모듈(31)에게 넘겨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통신망 접속 설정 방법 중 마스터 모드에서 휴대 단말기와 사용자와의 통신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일실시예 블록도이다.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모드가 마스터 모드로 천이한 이후에, 상기 마스터 모드에 의해 휴대 단말기 상에서 사용자가 원격 컴퓨터로 접속해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 등을 셋팅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측의 컴퓨터(90)에는 휴대 단말기 상에서 제공(운용)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 모듈(Web Browser Module)(91)과 DHCP 클라이언트 모듈(DHCP Client Module)(92)이 탑재되어 있으면 된다.
그럼, 도 3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컴퓨터(90)로 휴대 단말기 상의 웹페이지에 접속해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 등을 셋팅해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마스터 모드 상에서 이루어지는 마스터 모드 프로세스 모듈(31)에 의한 제어 과정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HTTP 서비스 시작 모듈(32)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사용자측 컴퓨터(90)가 접속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웹페이지 상에 게재된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 등을 입력, 선택하며, 이에 상기 HTTP 서비스 시작 모듈(32)은 상기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 등을 하나의 파일로서 저장하고서 이 파일을 HTML 파싱 프로세스 모듈(33)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HTML 파싱 프로세스 모듈(33)은 HTTP 서비스 시작 모듈(32)로부터 전달받은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 즉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해석하여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로서 재가공, 변경해 휴대 단말기의 파일 시스템(미도시) 상에 저장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통신망 접속 설정 방법 중 휴대 단말기가 매니지드 모드로 복귀하는 과정 및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을 적용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일실시예 블록도이다.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마스터 모드에서 사 용자로부터 입력(셋팅)받은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을 저장한 이후로, 휴대 단말기에서는 마스터 모드에서 매니지드 모드로 복귀(천이)하고서 상기 저장되어 있는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을 휴대 단말기에 적용한다.
이후에, 사용자는 매니지드 모드에 의해 통신망에 접속한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휴대 단말기를 통해 콘텐츠 감상, 정보 검색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HTML 파싱 프로세스 모듈(33)에 의해 파일 시스템(미도시) 상에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이 저장(Config Save)(71)됨에 따라, 마스터 모드 프로세스 모듈(31)은 휴대 단말기 제어권을 메인 프로세스 모듈(40)에게 넘겨준다.
그러면, 상기 메인 프로세스 모듈(40)은 매니지드 모드 전환 어플리케이션 및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 적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즉, 상기 메인 프로세스 모듈(40)은 매니지드 모드 전환(Change Managed Mode)(72)을 실행하여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매니지드 모드로 복귀시킨다.
그런 후, 상기 메인 프로세스 모듈(40)은 마스터 모드의 HTTP 서비스 중지(Stop the HTTP Service)(73)를 실행하고, DHCP 서버 서비스 중지(Stop the DHCP Server Service)(74)를 실행하여 기 활성화되어 있던 마스터 모드 관련 모듈, 예컨대 HTTP 서비스 시작 모듈(32), HTML 파싱 프로세스 모듈(33), 및 DHCP 서버 모듈(34)을 비활성화시킨다.
그런 후, 상기 메인 프로세스 모듈(40)은 매니지드 모드로 천이됨에 따라 휴 대 단말기 제어권을 공통 프로세스 모듈(21)로 넘겨준다[주; 메인 프로세스 모듈이 공통 프로세스 모듈로서 동작].
그러면, 상기 공통 프로세스 모듈(21)은 기 중지되어 있던 DHCP 클라이언트 서비스 시작(75)을 실행하여 매니지드 모드의 DHCP 클라이언트 모듈(23)을 활성화시킨다.
그런 후, 상기 공통 프로세스 모듈(21)은 파일 시스템 상에 기 저장되어 있는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을 읽어서 이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로딩(Load Configuration)(76)한다.
그런 후, 상기 공통 프로세스 모듈(21)은 로딩한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 관한 통신망 접속 설정, 즉 무선랜 네트워크 연결 설정(Set of WLAN)(77)을 수행한다.
그런 후, 상기 공통 프로세스 모듈(21)은 매니지드 모드의 통신 프로세스 모듈(22)을 활성화시켜 콘텐츠 서버 접속, 정보 검색 요청/응답, 콘텐츠 다운로드 등의 서비스를 수행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 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설정에 관한 모드를 보여주기 위한 일실시예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통신망 접속 설정 방법 중 휴대 단말기가 마스터 모드로 천이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일실시예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통신망 접속 설정 방법 중 마스터 모드에서 휴대 단말기와 사용자와의 통신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일실시예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통신망 접속 설정 방법 중 휴대 단말기가 매니지드 모드로 복귀하는 과정 및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을 적용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일실시예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커널
11 : 무선랜 디바이스 드라이버 매니지먼트 모듈
12 : 무선랜 디바이스 콘트롤 프로세스 모듈
13 : 시스템 핸들러 모듈 14 : 무선랜 콘트롤 수신 모듈
15 : 무선랜 콘트롤 송신 모듈 16 : 무선랜 콘트롤 타이머 모듈
21 : 공통 프로세스 모듈 22 : 통신 프로세스 모듈
23 : DHCP 클라이언트 모듈 31 : 마스터 모드 프로세스 모듈
32 : HTTP 서비스 시작 모듈 33 : HTML 파싱 프로세스 모듈
34 : DHCP 서버 모듈 40 : 메인 프로세스 모듈

Claims (11)

  1. 원격 단말기로 휴대 단말기 상에서 운용되는 웹페이지에 접속해 상기 휴대 단말기에 관한 통신망 접속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휴대 단말기에 통신망 접속 설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마스터 모드(Master Mode)단과 단말 원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매니지드 모드(Managed Mode)단을 포함하되,
    상기 마스터 모드단은,
    상기 원격 단말기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접속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DHCP 서버 모듈;
    사용자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에 관한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입력받기 위한 웹페이지를 구동하기 위한 HTTP 서비스 시작 모듈;
    상기 HTTP 서비스 시작 모듈에서 구동되는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해석하기 위한 HTML 파싱 프로세스 모듈; 및
    상기 HTML 파싱 프로세스 모듈에서 해석한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로 설정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 적용되도록 하기 위한 마스터 모드 프로세스 모듈
    을 포함하는 통신망 접속 설정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모드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HTML 파싱 프로세스 모듈에서 해석한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로 설정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 저장한 후에, 단말 모드를 마스터 모드에서 매니지드 모드로 천이시켜 메인 프로세스 모듈에게 상기 저장한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을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 적용하도록 제어권을 넘겨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접속 설정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특정 버튼을 통해 마스터 모드 전환 요구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단말 모드를 매니지드 모드에서 마스터 모드로 천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접속 설정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스 모듈은,
    커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상기 마스터 모드 전환 요구신호임을 시그널 핸들러를 통해 감지하되,
    상기 시그널 핸들러는,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실행시켜 단말 모드를 매니지드 모드에서 마스터 모드로 천이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접속 설정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서 매니지드 모드로 동작되던 공통 프로세스 모듈, 통신 프로세스 모듈, 및 DHCP 클라이언트 모듈의 동작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접속 설정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
  6. 휴대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통신망 접속 설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마스터 모드(Master Mode)와 단말 원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매니지드 모드(Managed Mode)를 탑재하고 있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통신망 접속 설정을 위한 모드 전환을 요구받음에 따라 단말 모드를 상기 마스터 모드로 천이시키는 마스터 모드 천이 단계;
    원격 단말기로부터 접속을 요청받음에 따라 상기 원격 단말기로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입력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한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에 관한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입력받은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해석하는 단계;
    상기 해석한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로 설정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 저장을 완료함에 따라 단말 모드를 매니지드 모드로 천이시키는 매니지드 모드 천이 단계; 및
    상기 저장한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을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 적용하는 적용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설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모드 천이 단계에서 모드 전환을 요구받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특정 버튼을 통해 마스터 모드 전환 요구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통신망 접속 설정을 위한 모드 전환 요구가 있는 것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설정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모드 천이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마스터 모드 전환 요구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서 매니지드 모드로 동작되던 공통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는 과정;
    상기 마스터 모드의 HTML 파싱 프로세스를 활성화시키는 과정;
    상기 매니지드 모드의 DHCP 클라이언트 서비스를 비활성화시키는 과정;
    상기 마스터 모드의 DHCP 서버 서비스를 활성화시키는 과정;
    상기 마스터 모드의 HTTP 서비스를 활성화시키는 과정;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어권을 마스터 모드 프로세스로 넘겨주는 과정
    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설정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지드 모드 천이 단계는,
    상기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이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 저장 완료됨에 따라 상기 HTML 파싱 프로세스, DHCP 서버 서비스, 및 HTTP 서비스를 비활성화시키는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서 마스터 모드로 동작되던 상기 마스터 모드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는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어권을 상기 매니지드 모드의 공통 프로세스로 넘겨주는 과정; 및
    상기 DHCP 클라이언트 서비스를 활성화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설정 방법.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 저장되어 있는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을 읽어서 상기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로딩하는 과정; 및
    상기 로딩한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에 따라 해당 통신망 접속 설정을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서 수행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설정 방법.
  11. 프로세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통신망 접속 설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마스터 모드(Master Mode)와 단말 원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매니지드 모드(Managed Mode)를 탑재하고 있는 기능;
    사용자로부터 통신망 접속 설정을 위한 모드 전환을 요구받음에 따라 단말 모드를 상기 마스터 모드로 천이시키는 기능;
    원격 단말기로부터 접속을 요청받음에 따라 상기 원격 단말기로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입력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기능;
    상기 제공한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에 관한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입력받은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해석하는 기능;
    상기 해석한 통신망 접속 설정 항목을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로 설정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 저장하는 기능;
    상기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 저장을 완료함에 따라 단말 모드를 매니지드 모드로 천이시키는 기능; 및
    상기 저장한 통신망 접속 구성 파일을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 적용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70096131A 2007-09-20 2007-09-20 휴대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설정 방법 및 그 기능이 탑재된휴대 단말기 KR200900306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131A KR20090030677A (ko) 2007-09-20 2007-09-20 휴대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설정 방법 및 그 기능이 탑재된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131A KR20090030677A (ko) 2007-09-20 2007-09-20 휴대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설정 방법 및 그 기능이 탑재된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677A true KR20090030677A (ko) 2009-03-25

Family

ID=40696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6131A KR20090030677A (ko) 2007-09-20 2007-09-20 휴대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설정 방법 및 그 기능이 탑재된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06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6861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control method
KR101516903B1 (ko) 운영 체제 환경 간의 웹 데이터 전달
EP2603865B1 (en) Exposing resource capabilities to web applications
KR101366993B1 (ko) 원격 디바이스 드라이버 제공 시스템 및 원격 디바이스 드라이버 제공 방법
JP2008139996A (ja) 情報漏洩抑止システム及びデータ保存方法
CN106570045B (zh) 一种数据操作控制方法及其系统、用户终端
US10628078B2 (en) Data access method and related device
US9087031B2 (en) Method and program for selective suspension of USB device
KR20090030677A (ko) 휴대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설정 방법 및 그 기능이 탑재된휴대 단말기
CN115421846A (zh) 跨设备控制方法、控制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US11487559B2 (en) Dynamically switching between pointer modes
JP5707366B2 (ja) Usb端末の制御方法及びこれを実行する装置
CN111885194B (zh) 通讯应用的通讯方法及装置、电子设备
US20130007725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 application using a plurality of computers
US10038728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processing method
US95011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N111880870B (zh) 控制电子设备的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20110068302A (ko) 유닉스/리눅스 시스템에서의 셸 기반의 접근제어시스템 및 접근제어방법
LU100541B1 (en) An intelligent mobile phone open cross-platform system based on the cloud computing
US2013034664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ub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Huang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daptive Web2. 0 QoS‐based home appliance control service platform
CN115640097A (zh) 应用程序虚拟化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12070328A (ja) 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及び入力方法
KR101399016B1 (ko)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휴대형 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 패키지 저장 방법
KR101318663B1 (ko)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휴대형 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터 환경 변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